KR20180108826A -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826A
KR20180108826A KR1020187026212A KR20187026212A KR20180108826A KR 20180108826 A KR20180108826 A KR 20180108826A KR 1020187026212 A KR1020187026212 A KR 1020187026212A KR 20187026212 A KR20187026212 A KR 20187026212A KR 20180108826 A KR20180108826 A KR 20180108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lining
spring
lining assembly
brake
ba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589B1 (ko
Inventor
세바스찬 잘츠만
랄프 페트리
노만 랑거
베르너 덴하트
토르스텐 아담
크리스티안 렌키즈
옌스 바우어
크리스토프 케일
디트리히 골츠
마티아스 하그
크리스토프 칼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0181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088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8010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9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the rear side of the pad or an element affixed thereto, e.g. spring clips securing the pad to the brake piston or cali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4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 F16D65/543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comprising a plastically-deform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9/00Type of operation source for auxiliary mechanisms
    • F16D2129/0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0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metallic
    • F16D2200/0008Ferro
    • F16D2200/0021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38Surface treatment
    • F16D2250/0053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킹 플레이트(14)를 갖고 그리고 백킹 플레이트에 고정된 시트 금속의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슬라이딩-캘리퍼 타입의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1)에 대해, 차량에 고정된 브레이크 홀더(2)를 갖고,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 배열된 마찰 라이닝 조립체가 브레이크 홀더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 라이닝 조립체 위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브레이크 홀더(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3)을 갖고, 그리고 복원 스프링은, 복원 스프링이 마찰 라이닝 조립체에 간격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레그(13)에 의해 브레이크 홀더(2)와 마찰 라이닝 조립체 사이에 축 방향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스프링 레그(13)는 백킹 플레이트(14)의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 위에서 연장되고, 스프링 레그(13)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에 일정하게 치수 설정된 간격을 적용하도록 마찰-재료 두께의 감소의 결과로서 브레이킹 구동 하에서 계획적으로 소성 변형 가능하게 디자인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
본 발명은 슬라이딩-캘리퍼(sliding-caliper) 타입의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해제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시트 금속의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해당 마찰 라이닝 조립체는, 차량에 대하여 고정된 브레이크 홀더를 포함하고, 연관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 배열된 마찰 라이닝 조립체가 브레이크 홀더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 라이닝 조립체 위에서 연장되고 브레이크 홀더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한 하우징을 가지며, 그리고 복원 스프링은 브레이크 홀더와 마찰 라이닝 조립체 사이에 클램핑되고, 복원 스프링은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백킹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그리고 브레이크 홀더 상의 스프링 레그(spring leg)에 의해, 축 방향 스프링 작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당김-작용 마찰 라이닝 조립체를 가진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타입의 슬라이딩-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적으로 공지된다 - Breuer/Bill, Bremsenhandbuch [Brake Handbook], ISBN-13 978-3-8348-0064-0, 제3판, 2006년 9월, Vieweg Verlag, 99쪽, 이미지 7 내지 이미지 14 참조.
미리 결정된 획정된 해제 간격의 치수 설정은 모든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영역에서 점점 중요해진다. 이것은 자동차가 브레이킹 없이 구동될 때 잔류 브레이킹 토크가 작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마찰 재료가 브레이크 디스크를 터치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모든 마모 치수(마찰 재료 및 브레이크 디스크 마모)를 포함하는, 마찰 재료가 해제될 때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획정된 그리고 균일하게 미리 결정된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해야 하는 이론적 필요조건을 발생시킨다. 이 거리는 해제 간격으로서 지칭된다. 지나치게 긴 해제 간격은 긴 브레이크 페달 이동을 초래하고, 반면에 지나치게 짧은 해제 간격은 잔류 브레이킹 토크를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불필요하게 높은 에너지 소비를 초래한다. 실제로, 부식과 오염은 해제 간격에 따라 문제를 심화시킨다.
따라서, 제DE 102 38 734 A1호에 따라, 해제 간격을 조정할 목적으로 마찰 라이닝에 대해 고정된 시트-금속 복원 스프링을 제공하는 공지된 마찰 라이닝 조립체가 있다. 이에 따라, 복원 스프링은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백킹 플레이트의 후면 상의 기저부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후면은 마찰 재료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본다. 탄성 스프링 레그는 호에서 방사상으로 외향으로 또는 호에서 접선으로 외향으로 항상 커브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복원 스프링은, 돌 영향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고 그리고 또한 브레이크 홀더의 고가의 기계 가공을 방지하는, 마찬가지로 시트 금속으로 이루어진, 별개의 라이닝 가이드 구성요소에 의해 브레이크 홀더 상에 또한 간접적으로 클램핑되고 그리고 체결된다.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백킹 플레이트에는 브레이크 홀더의 푸시 지지가 또한 제공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버전에서, 복원 스프링은 틸팅되는 경향을 방지할 목적으로 2개의 대칭으로 맞물리는 스프링 레그를 갖는다. 라이닝 가이드 구성요소는 또한 스프링 레그 내의 개구와 맞물리는 탭을 가질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공지된 복원 스프링은 해제 간격이 마찰 재료의 마모에 따라 일정하게 만들어지게 허용하지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이 개념에서 해제 간격은 스프링 암이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마찰 재료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된다. 따라서 잔류 브레이킹 토크가 모든 경우에서 완전히 그리고 신뢰 가능하게 방지되지만, 증가된 유휴 경로에 기인한 연장된 페달 이동은 마찰 재료의 마모가 증가될 때 동시에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 재료의 마모에 따라 해제 간격을 치수 설정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신규하고 개선된 개발을 제공하는 것이고, 해당 조립체는 공지된 조립체의 단점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즉, 페달 이동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리고 조립체의 간단함과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서 복잡성을 감소시키면서 작동의 면에서 강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처의 조합의 기본 원리는 상부에 고정된 복원 스프링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 조립체를 포함하고, 복원 스프링의 스프링 암은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claw) 위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제공된 스프링 암은 복원 스프링이 마찰 라이닝 조립체에 제어된 그리고 일정하게 치수 설정된 미리 결정된 해제 간격을 부여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마찰 재료 및/또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 마모 때문에 브레이크 구동 하에서 제어된 소성 변형을 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해제 간격의 자동 치수 설정은 복원 스프링의 스프링 암의 변형 성질을 포함하는, 획정된 위치에서의 맞물림을 통해 처음으로 달성되어, 설정된 목표를 완전히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찰 라이닝 조립체의 스프링이 기본적으로 정상 사용 동안 소성으로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는 선입관과는 판이하게 거리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사항 그리고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과 함께, 개별적으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제DE 102 38 734 A1호에 따른 기본적인 설명을 위해 의도된, 마찰 라이닝에 대해 고정된 시트-금속복원 스프링을 가진 공지된 부유식-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후방으로부터 본, 복원 스프링을 가진 슬라이딩-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와 상세도,
도 4는 도 2 및 도 3으로부터의 복원 스프링을 개별적인 부분으로서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후방으로부터 본, 복원 스프링을 가진 슬라이딩-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상세한 사시도, 및
도 7 및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후방으로부터 본, 복원 스프링을 가진 슬라이딩-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상세한 사시도.
도 1a 및 도 1b에 따르면, 공지된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1)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브레이크 홀더(2)를 포함하고, 구동 시스템을 가진 하우징(3)은 하우징이 축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지만 회전할 수 없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홀더 상에 장착된다. 하우징(3)을 하우징이 상대적인 축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게 하는 방식으로 지지하도록, 브레이크 홀더(2)는 2개의 핀-타입 가이드(4)를 갖는다. 이 배열에서, 하우징(3)은 회전 가능한 회전자(미도시), 특히,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마찰 라이닝 조립체(5)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내향, 외향)에 배열된다. 2개의 마찰 라이닝 조립체(5)는 결국,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지만 브레이크 홀더(2)의 가이드 프로파일(8)의 위치설정 오목부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접선으로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에 의해 가이드되고 그리고 접선 "푸시" 지지가 제공된다. 이 문맥에서, 모든 방향 표시는 회전자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바퀴 회전축(D)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설명된 좌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홀더(2)는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돌출부(6)에 대한 가이드 프로파일(8)을 가진 위치설정 오목부를 편입하는, 2개의 홀더 암(7)을 갖는다. 마찰 라이닝 조립체(5)는 위치설정 오목부와 구별되는 가이드 프로파일(8)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가이드된 방식으로 홀더 암(7) 내 또는 상에 수용된다. 홀더 암(7)의 강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홀더 암의 자유 단부는 웨브(web)(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종류의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1)의 해제 거동, 즉, 해제 후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사이의 획정된 해제 간격의 자기-작동식 자동 설정을 개선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복원 스프링(10)이 각각의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상에 제공되고, 상기 복원 스프링은 절단 없이 형성된 평평한 스톡(stock)으로 만들어진 시트-금속 컴포넌트로서 제공된다.
이하의 설명은 도 2 내지 도 8의 실시형태의 특정한 해결책에 관한 것이고, 제DE 102 38 734 A1호와 대조적으로, 주변 브레이킹 하중의 전송은, 마찰 라이닝 조립체가 브레이크 홀더(2)의 가이드 프로파일(8)의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에 의해 장력 하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모든 마찰 라이닝 조립체(5)를 지지함으로써 보장되고-즉, 장력이 입구 측의 각각의 클로우(6)에 인가되고-그 결과 백킹 플레이트(14)에 인장 강도가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8의 모든 실례가 되는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레그(13)가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 위에서 연장되는, 2개의 강-시트 복원 스프링(10)이 각각의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상에 고정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론상으로, 각각의 복원 스프링(10)은 마찰 라이닝 조립체(5)와 브레이크 홀더(2) 또는 홀더 암(7)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3)은 복원 스프링(10)의 힘의 흐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복원 스프링(10)은 축 방향의 스프링 힘 성분을 마찰 라이닝 조립체(5)에 가하고, 복원 스프링(10)은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1)의 해제 동안 연관된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마찰 라이닝 조립체(5)를 능동적으로 당긴다. 도면에 예시된 복원 스프링(10)의 각각은 각각의 마찰 라이닝 조립체(5)에 연결되고 그리고 브레이크 홀더(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버전에 따르면, 복원 스프링(10)은 마찰 질량측의 백킹 플레이트(14) 상에서 맞물리고 그리고 슬라이딩 슈(sliding shoe)(15) 또는 스프링 레그(13)와 합쳐지는 홀딩 탭(holding tab)(16)을 갖고, 따라서 스프링이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 위에서 또는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팅되는 것을 보장하며 그리고, 백킹 플레이트(14)는 빨래 집게의 방식으로 홀딩 탭(16)과 복원 스프링(10)의 스프링 레그(13)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즉, 홀딩 탭(16)과 스프링 레그(13) 사이의 u- 또는 c-형상의 벤딩부는 빨래 집게의 방식으로 백킹 플레이트(14)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완전한 고정 클립을 형성한다. 따라서, 완전한 고정 클립을 가진 복원 스프링(10)은 백킹 플레이트(14) 상에 기본적으로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특히 까다로운 고정의 경우에 대해, 기저부(11)가 부가적으로 백킹 플레이트(14) 상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의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찰 재료측 상의 부가적인 고정 지점(12), 예컨대, 특히, 리벳 또는 상호 삽입부, 백킹 플레이트(14)와 기저부(11)의 스태킹(staking) 또는 만입부가 이 목적에 적합하고 그리고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론상으로, 다른 보충물, 즉, 부가적인 재료, 백킹 플레이트(14) 상의 포지티브하지 않은 또는 포지티브한 고정 수단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또한 고려 가능하다.
브레이크 홀더(2)가 스프링 레그(13)의 자유 단부(22)에 의해 즉각적인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이 모든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특징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레그(13)의 벤딩부 또는 커브는 모든 경우에서 내향으로, 즉, 바퀴 회전축을 향하여 배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프링 레그(13)는 방사상으로 하향 곡률을 가지며 벤딩되고, 즉, 스프링 레그가 하향으로 구불구불한 구성을 갖고, 그 결과 액체의 자연적인 적하 거동에 관한 특히 유리한 효과가 있고, 동시에, 하우징(3)의 닛치(niche)(23)는 스프링 레그(13)의 통합을 위해 활용된다. 따라서, 복원 스프링(10)의 개선된 자기 세정 효과가 달성되고 그리고 이 구성은 특히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가이드 시스템의 오염, 부식 및 마모에 대해 내성이 있다. 바람직한 제1 버전은 또한 홀더 암(7) 사이의 웨브(9)와 조합하여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에 대한 유리한 조정과 함께 최대 스프링 이동을 보장한다.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스프링 레그(13)는 바람직하게는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의 중심(Z) 둘레에서 또는 위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특히 균일한 수축을 허용하기 위해서, 자유 단부(22)에 의한 힘의 도입이 마찬가지로 중심에 가까이, 즉,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중력의 중심에 가까이 또는 브레이크 홀더(2)의 가이드 프로파일(8)의 중력의 중심에 근접하여 중심에서 발생할 수 있다. 브레이크 홀더(2)에 관하여 틸팅되게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임의의 경향의 부가적인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 복원 스프링(10)의 고정 지점(12)이 방사상으로 내향으로, 즉, 바퀴 회전축(D)의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그리고 홀더 암(7) 상에서 오목하게 디자인될 수 있고, 그리고 자유 단부(22)는 브레이크 홀더(2) 상의 돌출된 카운터 베어링(24)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한 복원 스프링(10)의 상세사항을 도 4에서 볼 수 있다. 호-형상의 곡률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내향으로, 즉, 하향으로 벤딩되는, 자유 단부(22)와 스프링 레그(13)가 인접하고, 우선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라이딩 슈(15) 그리고 나서 방사상으로 스탬핑된 홀딩 탭(16)이 있고 그리고 복원 스프링(10)의 연이은 벤딩 작동을 위한 모든 벤딩 축(B, B', B'')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매우 간략화된 구성이 있다. 스프링 레그(13)는 또한 스프링 강성을 조정하도록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단일의 연속적인 개구(17)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된 재료의 등급에 따라, 소성 변형과 탄성 복원 이동의 서로 균형이 맞는 비율로, 스프링 레그(13)의 커브가 마찰 재료의 각각의 마모 단계에 가능한 한 원활하게 매칭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개구(17)는 이론상으로, 스프링 레그(13)의 전체 커브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개구(17) 대신 또는 개구에 더하여, 스프링 레그(13)는 대안적으로, 일부 영역 또는 영역들에 또는 전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다른 경계 조건과 협력하여 마찰 재료(19)의 마모 거동에 대해 스프링 레그(13)의 스프링 강성 및 탄소성 거동을 목적한 만큼 조정, 즉, 모델링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비드 또는 다른 프로파일링(18)을 갖는다. 특정한 선호도로서, 프로파일링(18) 또는 비드가 저온 처리 과정에서 복원 스프링(10)의 강 시트에 부여되고, 그 결과 유리한 자기-경화가 강 재료의 저온-경화 효과 때문에 스프링 레그(13)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레그(13)의 탄소성 거동은 프로파일링(18)의 생산 동안 형성되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만큼, 설정, 즉, 할당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수명 동안 마찰 재료(19)의 마모의 정도에 따른 스프링 레그(13)의 특정한 그리고 자동 소성 변형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이 명백히 주목을 끈다. 이 측정에 의해, 해제 간격의 적합한 그리고 자동 치수 설정이 각각의 마모 상태를 위해 달성된다. 일부 부분 또는 부분들에서 스프링 거동의 변경을 위한 위에서 설명된 측정이 고정 클립의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고정 클립의 구역에서 임의의 소성 변형이 모든 경우에서 분명히 방지되는 유일한 차이를 가짐이 자명하다.
상기 슬라이딩 슈(15)를 개재함으로써, 홀더 암(7) 상의 방사상 지지에 관한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슬라이딩의 더 큰 용이성이 달성된다. 홀딩 탭(16)에는 백킹 플레이트(14)의 연관된 오목부의 바브(barb)의 방식으로 포지티브하게 맞물릴 수 있는, 벤딩된 그리고 스프링-탄성 리테이닝 레그(2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보충 고정 수단이 스프링 레그(13)와 홀딩 탭(16) 사이에 빨래 집게 같은 클램핑에 더하여 존재하여, 복원 스프링(10)과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사이에 안전하지만 신뢰할 수 있게 조립 가능하고 교환 가능한 고정 변형을 허용한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자명하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레그(13)는 이론상으로, 카운터 베어링(24)(브레이크 홀더(2)의 기계 가공되지 않은 주조 표면을 가진 자리를 편입할 수 있음) 상의 자유 단부(22)에 의해, 즉각적인 방식으로, 즉, 저비용의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놓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이론상으로 도 5 및 도 6의 실례가 되는 실시형태에 적용된다. 이 버전에서, 입방형 평평한-시트 블랭크가 측방향 그리고 대략 중심에서 연장되는 노치(21), 절단부 또는 슬롯의 생산 동안 제공되어,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고 따라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비스듬히 벤딩될 수 있는, 대략 동일한 강도의 2개의 상호 연결된, 평행한 스프링 레그(13a, 13b)를 생산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저온-경화 효과는 마찬가지로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 버전은 또한 하우징(3)의 닛치(23) 내로 함몰 방식으로 통합된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4 및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복원 스프링(10)은 오로지 백킹 플레이트(14)의 후면의 일부 위에서 연장되고, 오로지 백킹 플레이트(14)의 후면 상에서 기저부(11)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백킹 플레이트(14) 둘레에서 전혀 연장되지 않으며, 시트 금속 소비를 제한한다. 이 축 방향으로 특히 컴팩트한(compact) 디자인을 위해, 스프링 레그(13b)의 자유 단부(22)와의 획정된 접촉을 보장하도록 브레이크 홀더(2) 상의 자리의 기계 가공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의 하나의 중요한 이점은 최대 가능한 축 방향 전체 높이를 가진 평평한 시트 재료의 사용의 최대화된 효율이며, 그 결과 특히 중대한 설치 공간에 대한 효과적이고 동시에, 소형화된 복원 스프링의 형성에 대한 최적화된 비용/편익 비가 오직 비용의 약간의 증가로 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는 제1 및 제2 버전의 일부 특징과 결합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그리고 평평하고 꽉 피팅되는 방식으로 벤딩되는 스프링 레그(13)는 이론상으로, u-형상의 구성이고, 기본적으로 유사하게, 제2 버전에 대해, 닛치(23) 내의 위치설정과 유사하지만 부가적으로 고정 클립 기능을 통합하고, 그 결과, 전반적으로, 다시 한번, 홀딩 탭(16), 슬라이딩 슈(15) 및 스프링 레그(13)를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복원 스프링(10)이 제공되고, 그리고 홀딩 탭(16)의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는 원위 단부에서 백킹 플레이트(14) 둘레에서 탄력적으로(빨래 집게의 방식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연결된 스프링 레그(13)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지만(도 2 내지 도 6 참조) 백킹 플레이트(14)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즉, 주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정렬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 레그(13)의 프로파일링(18) 또는 구멍은 복원 스프링의 탄소성 변형 거동을 모델링하도록 이에 따라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개구(17)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그러나,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스프링 레그(13)는 만곡 또는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수회 벤딩된다. 특히, 스프링 레그는 이중 S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고, 즉, 마찰 재료(19)로부터 이격되어 비교적 많은 양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스프링 레그의 스프링 성질, 그리고 특히, 이 복원 스프링(10)의 준비자세를 유지하는 탄성 및/또는 소성 유지 이동을 가능하게 만드는, 상당한 양만큼 인위적으로 늘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이 증가된 저장된 스프링 이동 유지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브레이크 홀더(2), 하우징(3)과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사이의 주변 영역 내로, 닛치(23) 내로의 평평하고 보호된 방식으로 구현된 스프링 구성에 의해, 돌 영향의 노출, 특히, SUV(스포츠 레저용 차량)의 거친 일반 도로 적용을 위해 특히 추천되는 강력한 디자인이 획득된다. 백킹 플레이트(14)에 대한 스프링 레그(13)의 방향이 또한 변경된다. 따라서, 제1 버전(도 2 내지 도 4)의 호-형상의 스프링 레그(13)의 방향 및 고정과 비교하여, 제3 버전(도 7 및 도 8)의 구불구불한 스프링 레그(13)는 말하자면 클로우(6)의 원위 단부에서 90°로 뒤틀린 방식으로 적용되고, 즉,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백킹 플레이트(14)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승된 부분이 제EP 1 217 247 B1호에서와 같이 있기 때문에 스프링 고정을 위해 백킹 플레이트의 후면의 사용이 제한되는 해머-헤드-형상의 클로우(6)를 가진 모든 보강된 마찰 라이닝 조립체(5)가 제3 버전에서 권고된다.
1: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
2: 브레이크 홀더 3: 하우징
4: 핀-타입 가이드 5: 마찰 라이닝 조립체
6: 클로우 7: 홀딩 암
8: 가이드 프로파일 9: 웨브
10: 복원 스프링 11: 기저부
12: 고정 지점 13: 스프링 레그
14: 백킹 플레이트 15: 슬라이딩 슈
16: 홀딩 탭 17: 개구
18: 프로파일링 19: 마찰 재료
20: 리테이닝 레그 21: 노치
22: 단부 23: 닛치
24: 카운터 베어링
Ax: 축 방향 B, B', B'': 벤딩 축
D: 바퀴 회전축 R: 방사 방향
T: 접선 방향 Z: 중심

Claims (14)

  1. 백킹 플레이트(14)를 갖고 그리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에 고정된 시트 금속의 복원 스프링(10)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5)로서,
    슬라이딩-캘리퍼(sliding-caliper) 타입의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1)에 대해, 차량에 대해 고정된 브레이크 홀더(2)를 갖고,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 배열된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가 상기 브레이크 홀더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위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홀더(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3)을 갖고, 그리고 상기 복원 스프링(10)은, 상기 복원 스프링(10)이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에 해제 간격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레그(spring leg)(13)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홀더(2)와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사이에 축 방향으로 클램핑될 수 있되,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상기 백킹 플레이트(14)의 클로우(claw)(6) 위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마찰-재료 두께의 감소의 결과로서 브레이킹 구동 하에서 획정된 방식으로 소성 변형 가능하게 디자인되며, 그 결과 일정하게 치수 설정된 해제 간격이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상기 클로우(6)의 중심(Z)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탄성 예비하중(elastic preload) 하에, 상기 브레이크 홀더(2)의 상기 카운터 베어링(24) 상에 바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놓이는 자유 단부(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10)은 상기 스프링 레그(13), 상기 홀딩 탭(holding tab)(16), 상기 슬라이딩 슈(15) 및 상기 리테이닝 레그(20)의 융통성 있는 형성을 위해 상기 복원 스프링(10) 상에 서로 평행한 정렬로 제공되는 벤딩 축(B, B', 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축(B, B', B'')은 접선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의 상기 자유 단부(22)를 위한, 상기 홀더 상에 위치된, 자리는 바퀴 회전축(D)의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내향으로 오프셋되게 그리고 상기 카운터 베어링(24) 상의 홀딩 암(7) 또는 웨브(web)(9) 상에서 축 방향으로 함몰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의 상기 자유 단부(22)는, 상기 카운터 베어링(24) 및/또는 상기 자리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승된 디자인이라는 점에서, 상기 자리를 가진 상기 카운터 베어링(24) 상에 놓이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상기 카운터 베어링(24)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강 시트 재료의 탄소성 스프링 거동의 부분적인 변경을 위해 프로파일링(18), 예컨대, 특히, 하나 이상의 비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10)은 적어도 일부 부분 또는 부분들에서 상기 강 시트 재료의 저온 성형을 통한 저온 경화된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10)은 상기 백킹 플레이트(14) 상의 해제 가능한 고정을 위해 탄성 고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스프링 레그(13), 슬라이딩 슈(sliding shoe)(15) 및 홀딩 탭(16)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백킹 플레이트(14)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1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대략 대칭축을 따라 중심에서 연장되는 노치(21)를 가진 실질적으로 입방형 평평한-시트 블랭크로서 디자인되고, 그 결과 상기 노치(21)는 대략 동일한 강도의 2개의 연결된, 서로 평행한 스프링 레그(13a, 13b)를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상기 하우징(3)의 닛치(niche)(23)에 함몰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구불구불한 형상, 예컨대, 특히, 이중 S 형상으로 뒤틀리고 그리고 접선 방향(T)으로 상기 백킹 플레이트(14)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며,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백킹 플레이트(14) 상의 상기 클로우(6)의 원위 단부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
  14. 브레이크 홀더(2)와 하우징(3)을 구비하고, 그리고 복원 스프링(10)을 갖고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내포하는 마찰 라이닝 조립체(5)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제어된 탄소성 변형성을 갖는, 상기 복원 스프링(10)의 상기 스프링 레그(13)는 일정하게 치수 설정된 해제 간격이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 상에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부여되는 방식으로 상기 마찰 라이닝 조립체(5)의 백킹 플레이트(14)와 상기 브레이크 홀더(2) 사이에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87026212A 2016-02-18 2017-02-10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 KR102148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2520.1A DE102016202520A1 (de) 2016-02-18 2016-02-18 Reibbelaganordnung mit Rückstellfeder zur Lüftspiellimitierung für eine Kraftfahrzeugteilbelagscheibenbremse
DE102016202520.1 2016-02-18
PCT/EP2017/053048 WO2017140598A1 (de) 2016-02-18 2017-02-10 Reibbelaganordnung mit rückstellfeder zur lüftspiellimitierung für eine kraftfahrzeugteilbelagscheiben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826A true KR20180108826A (ko) 2018-10-04
KR102148589B1 KR102148589B1 (ko) 2020-08-26

Family

ID=5801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212A KR102148589B1 (ko) 2016-02-18 2017-02-10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09056B2 (ko)
EP (1) EP3417187B1 (ko)
JP (1) JP6920320B2 (ko)
KR (1) KR102148589B1 (ko)
CN (1) CN109073002A (ko)
DE (1) DE102016202520A1 (ko)
DK (1) DK3417187T3 (ko)
ES (1) ES2858749T3 (ko)
PL (1) PL3417187T3 (ko)
WO (1) WO2017140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682A (zh) * 2018-06-19 2018-11-16 张思维 具有恒回复力复位机构的低拖磨制动衬块总成
DE102019205500A1 (de) * 2019-04-16 2020-10-22 Zf Active Safety Gmbh Bremsbelagrückstell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DE102019210316A1 (de) * 2019-07-12 2021-01-14 Zf Active Safety Gmbh Brem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Rückstellvorrichtung
JP7426245B2 (ja) * 2020-01-15 2024-02-01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ピン受金具付き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DE102020101058A1 (de) 2020-01-17 2021-07-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CN113915260B (zh) * 2021-09-30 2023-07-28 浙江万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制动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3014A (ja) * 2011-11-21 2012-03-2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13207424A1 (de) * 2013-04-24 2014-10-3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einer Federanordnung zur Lüftspielverbesserung sowie Federanordnung
US20140367208A1 (en) * 2013-06-18 2014-12-18 Nissin Kogyo Co., Ltd. Vehicle disc brake
DE112013004669T5 (de) * 2012-09-25 2015-07-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cheibenbrems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32U (ko) 1979-06-20 1981-01-10
DE3023103A1 (de) 1979-06-20 1981-01-08 Tokico Ltd Scheibenbremse
JPS56131038U (ko) 1980-03-08 1981-10-05
DE3538320A1 (de) * 1984-10-29 1986-04-30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Bremsbacke mit rueckstellfeder
JP3085799B2 (ja) * 1992-09-22 2000-09-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DE20011435U1 (de) * 2000-07-05 2000-11-30 Honeywell Bremsbelag Gmbh Reibbelag für Scheibenbremsen, insbesondere für Straßen- und Schienenfahrzeuge
DE10064168B4 (de) 2000-12-22 2023-06-15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Bremsbelag für eine Teilbelagscheibenbremse
WO2003027527A1 (en) * 2001-09-25 2003-04-03 Kelsey-Hayes Company Pad retraction spring for a brake shoe assembly and a disc brake assembly
DE10238734A1 (de) 2002-08-23 2004-03-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chwimmsattel-Scheibenbremse mit einer Bremsbelagfeder
US20060237269A1 (en) 2005-04-25 2006-10-26 Muhammad Farooq Pad retaining clip
JP2007315577A (ja) * 2006-05-29 2007-12-06 Toyota Motor Corp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FR2925636B1 (fr) * 2007-12-21 2010-04-02 Bosch Gmbh Robert Systeme de montage de patin de frein a disque.
JP2008241046A (ja) 2008-06-02 2008-10-09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09022633A1 (de) * 2009-03-25 2010-10-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einer Federanordnung zur Lüftspielverbesserung sowie Federanordnung
US8397880B2 (en) 2010-05-27 2013-03-19 Akebono Brake Corporation Pad retraction device
DE102010043898A1 (de) * 2010-06-02 2011-12-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estsattelbremse und Bremsbelag für eine Festsattelbremse
US8376092B2 (en) 2011-02-10 2013-02-19 Akebono Brake Corp. Pad retraction device
FR2984438B1 (fr) * 2011-12-15 2014-01-17 Bosch Gmbh Robert Ressort radial de patin de frein a disque et patins de frein ainsi que freins equipes de tels ressorts radiaux
DE102012016737A1 (de) 2012-08-23 2014-02-27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mit plastisch deformierbarer Rückstellfeder und Rückstellfeder
FR3004500B1 (fr) * 2013-04-16 2016-02-05 Chassis Brakes Int Bv "frein a disque equipe de moyens de rappel elastique des patins de freinage et equipe de moyens de rattrapage, par deformation plastique, du jeu d'usure des patins"
US9677629B2 (en) 2014-08-25 2017-06-13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Multiple piece pad clip
FR3027081B1 (fr) * 2014-10-10 2016-12-23 Chassis Brakes Int Bv "frein a disque a etrier coulissant comportant un ressort central de rappel e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exterieur comportant des moyens de rattrapage du jeu d'usure, ressort et kit de remplacement"
FR3027080B1 (fr) * 2014-10-10 2018-03-09 Chassis Brakes International B.V. "ressort de rappel e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comportant des moyens de rattrapage du jeu d'usure, frein a disque et kit de remplacement"
FR3032505B1 (fr) * 2015-02-06 2017-03-17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ressort de rappel e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ressort de rappel elastique, patin de freinage et kit de remplacement"
FR3033378B1 (fr) * 2015-03-06 2018-08-10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ressort de rappel e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ressort de rappel elastique, glissiere de guidage et kit de rempla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3014A (ja) * 2011-11-21 2012-03-2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DE112013004669T5 (de) * 2012-09-25 2015-07-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cheibenbremse
DE102013207424A1 (de) * 2013-04-24 2014-10-3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einer Federanordnung zur Lüftspielverbesserung sowie Federanordnung
US20140367208A1 (en) * 2013-06-18 2014-12-18 Nissin Kogyo Co., Ltd. Vehicle disc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09056B2 (en) 2021-12-28
DK3417187T3 (da) 2021-04-12
WO2017140598A1 (de) 2017-08-24
EP3417187A1 (de) 2018-12-26
BR112018015509A2 (pt) 2018-12-18
US20190024736A1 (en) 2019-01-24
JP2019503464A (ja) 2019-02-07
EP3417187B1 (de) 2021-01-13
KR102148589B1 (ko) 2020-08-26
JP6920320B2 (ja) 2021-08-18
CN109073002A (zh) 2018-12-21
PL3417187T3 (pl) 2021-07-05
DE102016202520A1 (de) 2017-08-24
ES2858749T3 (es)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8826A (ko) 자동차의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가진 마찰 라이닝 조립체
US10563713B2 (en) Disc brake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brake pad set
JP469814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組立体
RU2650322C2 (ru) Фрикционная накладка со стальной проволочной пружинной скобой
RU2655790C2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ной механизм и прижимная пружина такого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ного механизма
EP1391628A2 (en) Brake pad and brake caliper for disc brakes
US20190293133A1 (en) Disc Brake for a Utility Vehicle, and Brake Pad Set
JP2003517143A (ja) 摩擦要素のための案内スプリング及び少なくとも1つのこの種のスプリングを装着し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H1031830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140374202A1 (en) Disc Brake Pad Guideway and Disc Brake equipped with such a Guideway
CN108138877B (zh) 磨损优化的片设计
CN112585372B (zh) 用于盘式制动器卡钳中的摩擦衬垫的弹簧
EP1628033A2 (en) Pad spring for opposed piston calipers
US20220412414A1 (en) Disc Brake for a Utility Vehicle
PL211830B1 (pl) Hamulec tarczowy posiadający zespół płytki klocka ciernego
JP585539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組立体
JP20072321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9503464A5 (ko)
SI2761198T1 (en) Disc brake and brake disc brake pad
EP3019764B1 (en) Brake pad retention device and method
CN113692500A (zh) 具有摩擦衬片复位弹簧的机动车辆盘式制动器衬片
CN108603548B (zh) 用于商用车辆的盘式制动器以及用于盘式制动器的制动衬片
CN109563894B (zh) 具有制动衬片组件复位用导向部件的固定钳盘式制动器
US20230193965A1 (en) Motor vehicle disc brake friction lining with wire helical spring
JPH09500708A (ja) 摩耗限度警告がた防止ば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