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567A - 파우치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567A
KR20180107567A KR1020170036028A KR20170036028A KR20180107567A KR 20180107567 A KR20180107567 A KR 20180107567A KR 1020170036028 A KR1020170036028 A KR 1020170036028A KR 20170036028 A KR20170036028 A KR 20170036028A KR 20180107567 A KR20180107567 A KR 2018010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inlet
suction nozzle
opening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734B1 (ko
Inventor
임찬선
Original Assignee
임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찬선 filed Critical 임찬선
Priority to KR102017003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73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2Defoaming liquids in connection with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8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co-operating with fixe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의 입구를 개방 후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구를 실링 접착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충진한 후 파우치를 닫을 때, 파우치 내에서 넘치는 내용물의 일부 및/또는 파우치 내의 공기 및/또는 내용물에서 발생한 거품 등과 같은 잔여물이 파우치 외부로 누설되어 파우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용물의 정량 포장이 가능하도록, 파우치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석션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폐부재가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석선 노즐이 파우치 내의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 포장 장치{POUCH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우치의 입구를 개방 후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구를 실링 접착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충진한 후 파우치를 닫을 때, 파우치 내에서 넘치는 내용물의 일부 및/또는 파우치 내의 공기 및/또는 내용물에서 발생한 거품 등과 같은 잔여물이 파우치 외부로 누설되어 파우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용물의 정량 포장이 가능하도록, 파우치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석션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폐부재가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석선 노즐이 파우치 내의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비닐류의 포장지를 이면 또는 삼면 실링한 것을 파우치(pouch)라 한다.
이러한 파우치는, 내용물 포장 작업 등을 자동화시키기 위해, 개폐부재로 파우치의 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충진 노즐이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개폐부재가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한 다음, 폐쇄된 입구를 실링 접착하여 포장된다.
이와 관련된 파우치 포장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06-0028571호, 등록특허 제10-1275288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파우치 포장 장치는, 파우치의 입구를 개폐하는 구체적인 구조 내지 이송 방식 등(그리퍼를 이용한 로타리식 이송 또는 진공 흡착을 이용한 라인 이송 등)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파우치의 입구를 강제로 개방 후 내용물을 충진하고,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한 다음 폐쇄된 입구를 실링 접착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원리로 포장 공정이 진행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파우치 포장 장치에서, 파우치의 입구를 닫을 때, 즉 양 측면시트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오므려지면서 입구가 닫힐 때, 파우치 내의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에, 액상의 내용물 등은, 닫히는 측면시트의 압력으로 일부가 입구 밖으로 넘치거나 흐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최근에는 파우치를 이용한 제품 포장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따라서 포장되는 제품, 즉 내용물의 종류나 특성 또한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바, 내용물의 일부가 직접 입구 밖으로 넘치거나,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거품 등이 부풀어 올라 입구 밖으로 흐르기 쉽기 때문에, 이렇게 파우치 외부로 내용물이나 거품 등(이하 잔여물이라 통칭함.)이 넘치거나 흐르면, 측면시트의 내측면에 묻은 잔여물로 인해 실링 접착될 부위가 오염되어, 완전하게 실링 포장이 되지 않거나, 잔여물이 외부로 흐르면서 오염되어 위생적인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파우치 내에는, 내용물 외에 공기가 최대한으로 적게 포함되어 있어야,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데, 종래의 파우치 포장 장치는,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가득 채우는 것 외에 별도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잔여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흐르는 등의 문제점이 보다 쉽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개폐부재의 작동, 즉, 파우치의 입구 폐쇄가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렇게 포장기의 일부 작동시간을 임의로 천천히 조절하면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충진되는 양을 줄이면 충진 양에 비해 파우치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주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을 충진한 후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내용물의 일부, 공기, 거품 등의 잔여물이 파우치 외부로 넘치거나 흘러 파우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우치의 입구 폐쇄 속도를 줄이지 않아 생산성을 유지하면서도, 정량 포장이 가능하도록, 개폐부재의 상부에 석션 노즐이 승하강하도록 설치되어, 개폐부재가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석션 노즐이 파우치 내의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석션 노즐이 잔여물의 흡착, 배출할 때, 이와 연동하여 파우치의 입구 개폐, 특히 입구 폐쇄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부재로써,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으로 각각 좌우 회동하며, 타측단에 파우치의 양 측단을 파지하는 고정편을 구비하여, 파우치의 양 측단을 오므려서 입구를 개방하고, 파우치의 양 측단을 벌려서 입구를 폐쇄하는 한 쌍의 그리퍼를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의 입구 폐쇄 중 석션 노즐의 흡착 전에, 잔여물의 외부 누설이 발생하지 않으며, 흡착 효율을 향상시켜 흡착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석션 노즐이 하강하여 파우치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의 입구가 폐쇄되는 동시에, 또는 파우치의 입구가 폐쇄된 직후에, 상기 석션 노즐이 일정 시간 흡착 작동한 후 상승 복귀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잔여물의 흡착, 배출 중에 파우치의 입구가 최대한으로 좁혀질 수 있도록, 파우치 내로 삽입되는 석션 노즐의 흡착부가 파우치 입구의 좌우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는,
파우치의 입구를 개방 후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구를 실링 접착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석션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가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석션 노즐이 파우치 내에 포함된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으로 각각 좌우 회동하며, 타측단에 파우치의 양 측단을 파지하는 고정편을 구비하여, 파우치의 양 측단을 오므려서 입구를 개방하고, 파우치의 양 측단을 벌려서 입구를 폐쇄하는 한 쌍의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석션 노즐이 하강하여 파우치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의 입구가 폐쇄되는 동시에, 또는 파우치의 입구가 폐쇄된 직후에, 상기 석션 노즐이 일정 시간 흡착 작동한 후 상승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에서,
상기 석션 노즐은,
파우치 내로 삽입되는 흡착부가 파우치 입구의 좌우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는, 내용물을 충진한 후,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닫히는 측면 시트의 압력으로 파우치 외부로 넘치거나 흘러서 누설되는 내용물의 일부, 공기, 거품 등의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함으로써, 잔여물의 누설에 의한 파우치의 오염 내지 실링 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정별 작동 시간, 특히 입구 폐쇄 작동 시간을 천천히 조절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충진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변질 위험성을 줄임과 동시에 정량 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의 일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별 측면도들과 평면도들.
도 3은 본 발명의 석션 노즐용 높이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와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의 평면도들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상하를 정하고, 도 2에서 파우치(P)의 일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파우치(P) 입구의 길이방향을 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P)의 입구를 개방 후 파우치(P)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파우치(P)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구를 실링 접착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개폐부재(10), 석션 노즐(2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10)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서, 파우치(P)를 직접 파지하여 이송하면서 각 공정에 맞게 파우치(P)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파우치 포장 장치의 사양(이송 방식 내지 개폐 방식)에 따라 구체적인 구조 내지 형태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우치(P)의 입구 개폐와, 석션 노즐(20)의 승하강 및 흡착 작동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잔여물의 흡착, 배출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파우치(P)의 양 측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파우치(P)를 회전 이송하면서 파우치(P)의 입구를 개폐하는 그리퍼(11)를 이용한 로타리식 회전 테이블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타리식 회전 테이블은, 원주 방향으로 한 쌍의 그리퍼(11)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으며, 파우치(P)가 공급되면 그리퍼(11)가 파우치(P)의 양 측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이송하면서 각 공정에 맞게 파우치(P)의 입구를 벌려서 개방하거나 파우치(P)의 입구를 오므려 폐쇄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개폐부재(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그리퍼(11)는,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부(미도시)를 축으로 각각 좌우 회동하며, 타측단에 파우치(P)의 양 측단을 파지하는 고정편(11a)을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편(11a)으로 파우치(P)의 양 측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양측 그리퍼(11)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오므려지면, 파우치(P)의 측면시트들이 전후로 벌어지면서 입구가 개방되고,
반대로 양측 그리퍼(11)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벌어지면, 파우치(P)의 측면시트들이 전후로 서로 밀착되도록 오므려지면서 입구가 폐쇄된다.
이러한 그리퍼(11)가 구비된 로타리식 회전 테이블은, 파우치(P)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파우치(P)의 입구 개방을 보조하도록 파우치(P)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충진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석션 노즐(20)은, 상기 개폐부재(10)의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석션 노즐(20)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바(21)와, 모터나 실린더 등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바(21), 즉 석션 노즐(2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봉(22)과, 석션 노즐(20)에 진공 흡착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흡착기(23)를 포함하며,
석션 노즐(20)과 진공 흡착기(23)는, 관체(호스 등. 미도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석션 노즐(20)은, 상기 개폐부재(10)가 파우치(P)의 입구를 폐쇄할 때, 흡착기(23)가 작동하여 파우치(P) 내에 흡착 압력을 걸어주어, 파우치(P) 내에 포함된 잔여물(측면시트의 가압으로 인해 넘치는 내용물의 일부, 또는 내용물에서 발생한 거품, 또는 파우치 내에 포함된 공기 등)을 흡착하여, 배출하게 된다.
즉, 파우치(P)의 입구 폐쇄 시 수반되는 측면시트들의 밀착에 의해, 내용물의 일부나 거품, 공기 등이 상부로 밀리면, 이 잔여물을 석션 노즐(20)이 흡착하여 배출함으로써, 입구 폐쇄 시 잔여물이 파우치(P)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석션 노즐(20)은, 흡착 중, 폐쇄된 파우치(P)의 입구를 최대한으로 좁혀서, 흡착 시간의 단축 및 흡착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파우치(P) 내로 삽입되는 흡착부(20a)가 파우치(P) 입구의 좌우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납작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포장 장치의 구체적인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파우치(P)가 로터리식 회전 테이블에 공급되면, 해당 그리퍼(11)의 고정편(11a)이 파우치(P)의 양 측단을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이 회전하여 파우치(P)를 각 공정별 정위치로 회전 이송하며,
파우치(P)는, 그리퍼(11)에 의해 파우치(P)의 입구가 개방된 후, 내용물이 충진된 다음, 입구의 실링 접착 전에, 석션 노즐(20)이 설치된 위치에서 입구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도 2의 [A]와 같이, 한 쌍의 그리퍼(11)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P)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석션 노즐(20) 하부로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P)가 이송되면,
도 2의 [B]와 같이 승강수단에 의해 석션 노즐(20)이 하강하여 파우치(P) 내로 삽입된다.
이후 도 2의 [C]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1)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P)의 입구를 폐쇄하면,
도 2의 [D]와 같이, 흡착기(23)가 작동하여, 석션 노즐(20)에 의해 파우치(P) 내의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하는데,
이때 석션 노즐(20)은, 파우치(P)의 입구가 폐쇄되는 동시에, 또는 파우치(P)의 입구가 폐쇄된 직후에, 흡착기(23)가 일정 시간 흡착 작동한 후, 상승 복귀하여, 다음으로 이송되는 파우치(P)에 대해 잔여물의 흡착, 배출을 실시할 수 있도록 대기한다.
도 2에서는, 단순 원형의 석션 노즐(20)이 대표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도 1의 좌측 원내 단면도와 같이, 흡착부(20a)가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석션 노즐(20)의 흡착 중, 파우치(P)의 입구가 흡착부(20a)에 밀착되는 형태로 최대한으로 좁게 유지되므로, 흡착 시간을 단축하여 잔여물 배출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렇게 파우치(P) 입구의 폐쇄 및 잔여물의 흡착, 배출이 완료되면, 회전 테이블이 회전하여 해당 파우치(P)를 실링부로 이송하여, 폐쇄된 입구에 대한 실링 접착 후 배출되어 포장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진 후, 파우치(P)의 입구를 실링 접착하기 전, 입구를 폐쇄할 때, 입구가 폐쇄되면서 좁아지는 측면시트들에 의해 내부의 잔여물(내용물의 일부, 공기, 거품 등)이 상측으로 가압되어 파우치(P)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우치(P) 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링 접착될 측면시트의 내측면에 잔여물이 묻어 실링 접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우치(P)에 포함된 공기의 양을 최소화시켜 내용물의 변질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파우치(P)의 상하 길이, 내용물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파우치(P) 내부로 삽입되는 석션 노즐(20)의 길이, 즉 석션 노즐(20)의 하강 높이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승강봉(22)의 상하 승하강 거리를 조절하면, 하강된 석션 노즐(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 방식은 포장 장치의 기계적인 셋팅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 노즐(20)이 상기 고정바(21)의 고정블록에 끼워져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홀(도면 부호 미표시)과, 상기 관통홀에서 석션 노즐(20)의 높이 조정 및 고정이 기어들의 치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수단(100)을 도입하였다.
도 3의 상부 좌측 도면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수단(100)이 구비된 석션 노즐(20)의 요부 측면도이고, 도 3의 상부 우측 도면은 회전공(113)에서 제1, 제2 기어부(102)(103)가 랙기어부(20b)와 고정기어부(113a)에 치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A-A' 단면도 이고, 도 3의 하부 좌우측 도면들은 회전몸체(101)의 높이 가변에 따라 제2 기어부(103)가 고정기어부(113a) 및 랙기어부(20b)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B-B' 단면도이다.
도 3의 단면도들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회전공(113)의 고정기어부(113a)가 상기 랙기어부(20b)와 대향하는 반대편 일측면 일부에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랙기어부(20b)보다 높은 위치(즉, 회전공(113)의 외측)에서 회전공(113)의 내주면 전부 또는 일부에 고정기어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고정블록(21A)의 외측 끝단부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공(113)이, 석션 노즐(20)이 상하로 끼워진 관통홀과, 고정바(21)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여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높이 조절수단(100)은,
상기 석션 노즐(2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공(113)으로 노출되는 랙기어부(20b),
상기 회전공(113)의 내주면에 구비되되, 회전몸체(10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랙기어부(20b)보다 높은 위치(즉, 회전공(113)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기어부(113a),
상기 회전공(113)에서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인출입 가능하면서 양방향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되 상기 랙기어부(20b)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102)와, 상기 고정기어부(113a)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103)를 구비한 회전몸체(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몸체(101)를 인입시켜 제1 기어부(102)가 랙기어부(20b)에서 이탈하면서 제2 기어부(103)가 랙기어부(20b)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몸체(101)를 회전시켜 석션 노즐(20)의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몸체(101)가 인출하면, 제1 기어부(102)와 제2 기어부(103)가 각각 랙기어부(20b)와 고정기어부(103a)에 치합되어, 석션 노즐(20)이 고정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몸체(101)는, 고정블록(21A)의 외측 끝단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01a)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공(113)에서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101)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랙기어부(20b)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랙기어부(20b)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102)와, 상기 고정기어부(113a)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고정기어부(113a)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103),
상기 회전몸체(101)가 회전공(113)에 인출입하도록, 상기 회전공(113)의 바닥부에서 상기 회전몸체(101)를 회전공(113)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04)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몸체(101)는, 탄성지지부(104)에 의해 회전공(113)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인출된 상태에서, 제2 기어부(103)가 고정기어부(113a)에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랙기어부(20b)가 제1 기어부(102)에 치합된 상태의 석션 노즐(20)은 고정블록(21A)에서 상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석션 노즐(2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01)의 손잡이부(101a)를 회전공(113)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누르면, 회전몸체(101)가 회전공(113) 내부로 인입함에 따라, 랙기어부(20b)에서 제1 기어부(102)가 이탈하면서, 고정기어부(113a)에 치합되어 있던 제2 기어부(103)가 고정기어부(113a)에서 이탈하여 랙기어부(20b)에 치합되고, 이 상태에서는 회전몸체(101)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회전몸체(101)를 누른 상태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기어부(103)와 랙기어부(20b)의 치합 구조로 인해 석션 노즐(20)이 고정블록(21A)에서 승하강하게 되므로, 석션 노즐(20)의 높이 조정, 즉, 파우치(P) 내로 삽입되는 석션 노즐(2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해진다.
즉, 도 3에서, 회전몸체(101)를 누른 상태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석션 노즐(20)이 상승하고,
반대로, 회전몸체(101)를 누른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석션 노즐(20)이 하강되며,
이러한 높이 조절 후, 회전몸체(101)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지지부(104)에 의해 회전몸체(101)가 회전공(113)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제1, 제2 기어부(102)(103)가 각각 고정기어부(113a)와 랙기어부(20b)에 다시 치합되면서, 석션 노즐(20)의 승하강을 제한시켜, 석션 노즐(2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01)는 내측 단부에 삽입홀(101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탄성지지부(104)는 상기 삽입홀(101b)에 끼워지는 볼부재(104a)와, 상기 삽입홀(101b) 내부에서 상기 볼부재(104a)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04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공(113)의 바닥부에는, 상기 삽입홀(101b)을 형성하는 회전몸체(101)의 관부에 대응하는 삽입홈(113b)이 구비된다.
따라서 볼부재(104a)가 회전공(113)의 바닥부에 지지되어 회전몸체(10)가 회전공(113)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회전몸체(101)를 가압하여 인입시켰을 때, 상기 코일스프링(104b)이 압축되면서 삽입홀(101b)의 관부가 상기 삽입홈(113b)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몸체(101)의 회전이 이루어져,
회전몸체(101)의 인출입 및 인입 상태에서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높이 조절수단(100)을 도입하면, 석션 노즐(2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석션 노즐(20)의 고정이 풀려 석션 노즐(20)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파우치 포장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파우치
10 : 개폐부재 11 : 그리퍼
11a : 고정편 20 : 석션 노즐
20a : 흡착부 21 : 고정바
22 : 승강봉 23 : 진공 흡착기

Claims (4)

  1. 파우치의 입구를 개방 후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구를 실링 접착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석션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가 파우치의 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석션 노즐이 파우치 내에 포함된 잔여물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으로 각각 좌우 회동하며, 타측단에 파우치의 양 측단을 파지하는 고정편을 구비하여, 파우치의 양 측단을 오므려서 입구를 개방하고, 파우치의 양 측단을 벌려서 입구를 폐쇄하는 한 쌍의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석션 노즐이 하강하여 파우치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파우치의 입구가 폐쇄되는 동시에, 또는 파우치의 입구가 폐쇄된 직후에, 상기 석션 노즐이 일정 시간 흡착 작동한 후 상승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노즐은,
    파우치 내로 삽입되는 흡착부가 파우치 입구의 좌우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포장 장치.
KR1020170036028A 2017-03-22 2017-03-22 파우치 포장 장치 KR10198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28A KR101981734B1 (ko) 2017-03-22 2017-03-22 파우치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28A KR101981734B1 (ko) 2017-03-22 2017-03-22 파우치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67A true KR20180107567A (ko) 2018-10-02
KR101981734B1 KR101981734B1 (ko) 2019-05-23

Family

ID=6386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28A KR101981734B1 (ko) 2017-03-22 2017-03-22 파우치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66B1 (ko) 2023-04-18 2023-10-11 김정택 파우치 포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908A (ja) * 1997-01-30 1998-08-11 Fab Toyama:Kk 充填包装装置
KR100661969B1 (ko) * 2005-12-29 2006-12-28 이익재 스파우트 파우치의 내용물 충전장치
KR20160142933A (ko) * 2015-06-03 2016-12-14 동호기계 주식회사 보빈용 자동 진공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908A (ja) * 1997-01-30 1998-08-11 Fab Toyama:Kk 充填包装装置
KR100661969B1 (ko) * 2005-12-29 2006-12-28 이익재 스파우트 파우치의 내용물 충전장치
KR20160142933A (ko) * 2015-06-03 2016-12-14 동호기계 주식회사 보빈용 자동 진공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734B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431B2 (ja) 把持装置において容器を閉鎖部材によって閉鎖するための方法
JP3123709U (ja) 包袋機に対する包袋の供給装置
JP6448298B2 (ja) 製品の充填及び仕上げのための使い捨て製造ライン
JP6285698B2 (ja) 容器保持装置および容器保持方法
JP4329066B2 (ja) 無菌試験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981734B1 (ko) 파우치 포장 장치
EP3608237A1 (en) Packaging method used in bag-feeding and packaging apparatus, and bag-feeding and packaging apparatus
JP3604519B2 (ja) 包装袋の開口方法
JPH09207909A (ja) 急速減圧装置
JP2002293306A (ja) リテーナへの袋の挿入方法及び挿入装置
US9056691B2 (en) Bag defl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eflating bags
KR101867560B1 (ko)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JP2001278204A (ja) フラップ差し込み装置
KR101311423B1 (ko) 포장용기 벌림장치
KR20190127815A (ko) 이중 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7222402A (ja) 袋詰め包装機
JP6644644B2 (ja) 真空包装方法及び真空包装機
CN114905240B (zh) 航天电气件配件自动上料工艺
CN114905241B (zh) 航天电气件配件自动组装系统
JP6893845B2 (ja) 袋体搬送処理方法及び袋体搬送処理装置
KR101981741B1 (ko) 스파우트 파우치 공급 장치
CN205707457U (zh) 中药液包装机
JPH09254931A (ja) 真空包装機における包装袋の取り出し装置
CN220281864U (zh) 一种装袋机
JPH11236009A (ja) 2ロータ式縦型真空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