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23B1 - 포장용기 벌림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벌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1423B1 KR101311423B1 KR1020130023622A KR20130023622A KR101311423B1 KR 101311423 B1 KR101311423 B1 KR 101311423B1 KR 1020130023622 A KR1020130023622 A KR 1020130023622A KR 20130023622 A KR20130023622 A KR 20130023622A KR 101311423 B1 KR101311423 B1 KR 101311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container
- bar
- opening
- clamp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기 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머니 형태의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넣은 후 실링하는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밀착된 포장용기를 벌려 내용물 수납부를 개봉하는 벌림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안정된 포장용기의 개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클램프에 흡착수단을 내장한 포장용기 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이동바와 고정바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의 벌림 동작 시 포장용기의 외피를 흡착하여 포장용기를 개봉하는 흡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머니 형태의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넣은 후 실링하는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밀착된 포장용기를 벌려 내용물 수납부를 개봉하는 벌림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안정된 포장용기의 개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클램프에 흡착수단을 내장한 포장용기 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이동바와 고정바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의 벌림 동작 시 포장용기의 외피를 흡착하여 포장용기를 개봉하는 흡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용기 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머니 형태의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넣은 후 실링하는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밀착된 포장용기를 벌려 내용물 수납부를 개봉하는 벌림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안정된 포장용기의 개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클램프에 흡착수단을 내장한 포장용기 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자류와 같은 얇은 봉지 주머니 형태의 포장용기는 외피가 납작하게 밀착된 상태로 제조되고, 이후 포장용기를 개봉한 후에 내용물이 충진된다.
상기 포장용기는 두 장의 외피가 중첩되어 양측면과 하측면이 실링 등의 방법으로 접착된 주머니 형태이거나,
한 장 또는 두 장의 외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횡단면도상 유사 'M' 자 형의 접힘부를 갖는 포장용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얇은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는 제조 후 외피를 벌림 즉, 포장용기의 개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자동 포장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내용물 충진을 위하여 포장용기를 벌리는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자동 포장기에 이용되는 포장용기 벌림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1-0070805호(공개일자 2001.07.27.)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내용물을 충진하기전 빈 파우치용기를 완전한 개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내용물 충진을 위한 파우치용기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쪽 호울더에 의하여 한장씩 보유 지지되어 이송받침대를 매개로 이송되어 온 파우치용기의 양쪽면을 진공패드들을 갖춘 흡착부를 이용하여 개봉시키는 파우치 용기의 개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용기의 개방 상부면쪽으로 노즐을 갖춘 콘 형상의 압축공기분사부가 고정판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고정판은 지지대에 설치된 승하강용 실린더에 의하여 선형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상하 승하강 작동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의 노즐은 가변호오스를 매개로 압축기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연통되어 빈 파우치 용기를 완전하게 개봉시키는 내용물 충진을 위한 파우치용기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754029호(등록일자 2007. 08. 24.)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진공 봉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자동 진공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진공 봉투의 장착, 봉투 벌림, 내용물 삽입 및 진공 밀봉 등의 일련의 포장공정을 연속 회전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진공 자동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봉투 고정부에 봉투의 양측면을 고정한 후 별도의 봉투 개방수단으로 봉투의 입구를 개방하는 봉투 개방부를 포함하는 자동 포장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포장용기의 양측면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1)을 구비하고, 공기 흡착을 통해 포장용기의 외피(3)를 흡착하여 벌리는 별도의 흡착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공기 분사 수단(미도시)을 이용해 포장용기의 투입부(3a)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벌리는 등의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과, 개봉수단(흡착수단(4) 포함)으로 이루어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포함하는 포장기의 제조가 어렵고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며, 나아가 설비의 유지 보수가 어려우며,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포장기의 가동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은 포자용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고정수단(1)으로 인하여 포장용기의 개봉 시 개봉되는 부피만큼 변위 가능한 고정수단(1)을 도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포장용기를 개봉하더라도 파지한 고정수단(1)에 의하여 내용물 수납부의 완전한 개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내용물을 다수 수납할 수 없으며, 특히 횡단면도상 양측단이 유사 'M'자 형의 접힘부를 갖는 포장용기를 벌려 내용물을 충진할 경우 고정수단(1)이 상기 접힘부(P2; 도 5 참고)를 가압 파지하여 고정하므로 완전한 포장용기의 개봉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완전한 개방을 보장하면서, 구조 단순화를 통하여 제조의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의 이동바와 고정바에 흡착수단이 내장되어 이동바와 고정바의 벌림 동작 시 포장용기의 외피를 흡착하여 개방하는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벌림장치의 부피 감소 및 포장용기의 완전한 개방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고정바가 연결된 고정봉 내부에 이동바와 연결된 이동봉이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 특히, 횡단면도상 유사 'M'자 형 접힘부를 갖는 외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포장용기의 개방을 완전하게 이루어 내용물의 충진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클램프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바와 이동바를 구비하여 접힘부를 둘러싼 외피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흡착하여 개방하는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외피를 안정되게 흡착하고, 흡착 후 흡착력을 증대시켜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 흡착 구조를 갖는 패드를 포함하는 흡착수단을 구비한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이동바와 고정바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의 벌림 동작 시 포장용기의 외피를 흡착하여 포장용기를 개봉하는 흡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바와 연결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연결된 이동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에서 상기 포장용기는 내용물 수용부 양측단이 횡단면도상 유사'M' 자형 접힘부를 갖는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접힘부를 둘러싼 외피를 각각 파지하도록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는 상기 접힘부를 둘러싼 외피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흡착하여 벌림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에서 상기 흡착수단은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패드는 공기 흡입 통로 둘레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서 외향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중첩 배열되고 외향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흡착수단을 내장하여 벌림 동작 시 포장용기의 외피를 흡착하여 개방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고정바에 연결된 고정봉 내부에 이동바와 연결된 이동봉이 내장되어 벌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안정된 개방을 보장함과 동시에 벌림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벌림장치의 부피를 줄여 벌림장치를 구비한 자동 포장기 전체의 부피를 줄여 사용자는 설비 설치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포장용기 특히, 횡단면도상 유사 'M' 자형 접힘부를 갖는 외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흡착하여 개방하는 이동바와 고정바를 포함하는 클램프를 도입하여 횡단면도상 유사 'M' 자형 접힘부를 갖는 포장용기의 개방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어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최대한으로 보장하여 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외향 돌출된 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중첩 배열된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흡착수단을 도입하여 포장용기의 안정되고 강력한 흡착력을 보장하고, 내용물을 수용 시 무게의 의한 포장용기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여러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포장용기 개방 작동을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포장용기 개방 작동을 구분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포장용기의 변형 흐름도와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종단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여러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포장용기 개방 작동을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의 포장용기 개방 작동을 구분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포장용기의 변형 흐름도와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종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고 포장용기(P)가 보이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여, 상하좌우를 정하고, 포장용기의 수용공간을 내측으로 하여 내외를 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포장용기는 종래 과자류나 음료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종이 또는 비닐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지고, 일측에 투입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수용한 후 실링 등의 방법으로 투입부가 밀폐되는 얇은 봉지 주머니 형태의 모든 포장용기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는 포장용기를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로써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본 발명은 벌림장치를 통해 포장용기를 개방하고 내용물을 수용한 후 밀폐하는 자동 포장기 등에 활용되는 모든 종류의 벌림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포장기에 활용되는 벌림장치를 대표하여 설명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벌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림장치는 포장용기(P)를 파지하는 이동바(13)와 고정바(12)를 포함하는 클램프(10);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에 내장되는 흡착수단(20); 및 상기 클램프(10)가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10)는 하나로만 이루어져 이동바(13)와 고정바(12)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흡착수단(20)을 이용한 포장용기(P)의 개방이 가능하며,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11)로 이루어져 포장용기(P)의 양측을 흡착하여 개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2 ,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0)는 상기 플레이트(30)에 다수 형성된 회전축(31)에 각각 힌지 결합되되, 한 쌍의 클램프(10)가 상호 마주보도록 이루어진다.
한 쌍의 클램프(11)에 구비된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사이에 포장용기(P)가 위치하여 후술하는 포장용기(P)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는 상호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의 벌림동작 시 상기 흡착수단(20)이 포장용기(P)의 외피(P1)를 흡착하여 포장용기(P)를 개방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레이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클램프(11) 다수가 일렬 배열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동 포장기의 부피를 저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클램프(11) 다수가 원형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3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그 형상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11)가 배열됨은 당연하다.
상기 플레이트(30)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컨베이어벨트 등을 통해 상기 클램프를 이송하거나,
또는 자동포장기의 일측에 고정되어 내용물 충진수단이 작동하여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30)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플레이트(30)는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프(10)들이 후술하는 포장용기(P)의 고정 및 개방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원형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30)에 상기 클램프(10)가 방사상으로 원형 배열되기 때문에 한 쌍의 클램프(11)에 각각 구비된 이동바(13)와 고정바(12)가 일직선상에 배열되지 않게 되므로, 포장용기(P)가 일직선상으로 고정되지 않아 개방 시 미개방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램프(10) 상호간의 각도 조절(너비 조절)을 위한 연계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연계수단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충진한 후 실링하는 자동 포장기에 대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바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나, 상기 플레이트(3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P)의 개봉 후 포장용기(P)의 수용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수단과, 충진 후 포장용기(P)를 전달받아 투입구를 폐쇄한 후 밀폐시키는 실링 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0)는 상기 고정바(12)와 연결되는 고정봉(14)과, 상기 고정봉(14)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13)와 연결된 이동봉(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봉(14)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이동봉(15)을 도입하여 본 발명은 벌림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전체 부피를 줄이고,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봉(14)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연통홈(14A)을 갖고, 상기 이동봉(15)은 상기 연통홈(14A)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손잡이(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6)를 통하여 상기 이동봉(15)의 수동 벌림 동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포장용기(P) 개방작업 중 초기 셋팅 시 벌림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16)에는 상기 연통홈(14A)의 말단에 접촉되고 탈착 가능한 다양한 길이를 갖는 스토퍼(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초기 셋팅 시 포장용기(P)의 벌림 구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홈(14A)의 구간 길이와 상기 스토퍼(미도시)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라 칭함)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수정, 치환하여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10)는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가 벌림 동작을 행하지 않을 때 상시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봉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조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봉(14)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봉(14)을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벌림장치는 상기 연통홈(14A)과 상기 손잡이(16)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이동봉(15) 및 상기 이동바(13)가 벌림 동작 또는 오므림 동작 중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슬라이딩 운동하는 손잡이(16)의 특성 상 상기 연통홈(14A)은 상기 손잡이(16)의 두께보다 클 수밖에 없고, 따라서 상기 이동봉(15) 및 이동바(13)가 미세 회전하여 이동바(13)의 흡착수단(20)과 고정봉(14)의 흡착수단(2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아 포장용기(P)의 개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10)는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의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 시 상기 이동바(13) 및 이동봉(15)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이동바(13)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봉(14)과 평행배열된 안내봉(17)과, 상기 고정바(12)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봉(17)이 관통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는 안내홀(부호 미표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바(12)에 형성된 안내홀로 인하여 상기 이동바(13) 및 이동봉(15)은 벌림 동작 또는 오므림 동작 시 안내봉(17)이 상기 안내홀에 구속되므로 반복된 동작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다양한 포장용기(P)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내용물 수용부(S)의 양측단에 횡단면도상 유사'M' 자형 접힘부(P2)를 갖는 외피(P1)로 이루어진 포장용기(P) 개방 시 그 효과가 증대된다.
공지의 벌림장치를 이용하여 횡단면도상 유사 'M' 자형 접힘부(P2)를 갖는 포장용기(P ; 도 5참고)를 개방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의 양측을 고정수단(1)이 가압하여 파지하게 되므로, 포장용기(P) 개방 시 양측 접힘부(P2)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포장용기(P)의 수용부(S)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충진량이 저감되고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개방 후 충진 시 내용물이 포장용기(P) 밖으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도상 유사 'M' 자형 접힘부(P2)를 갖는 포장용기(P) 개방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0)에 상기 접힘부(P2)를 둘러싼 외피(P1)를 각각 파지하도록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13)와 상기 고정바(12)는 상기 접힘부(P2)를 둘러싼 외피(P1)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흡착하여 벌림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접힘부(P2)를 완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 충진량을 증대시키고, 좁은 입구로 인하여 내용물 충진 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계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연계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14)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제2결합공(32A)(32B)을 갖는 연계부재(32)와,
한 쌍의 클램프(11)(11A)에 연결된 연계부재(32)의 제1결합공(32A)과 인접한 다른 한 쌍의 클램프(11)(11B)에 연결된 다른 연계부재(32)의 제2결합공(32B)을 연결하는 크랭크축(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축(미도시)으로 상호 연결된 연계부재(32)가 상기 클램프(10)의 고정봉(14)에 연결됨에 따라 본 발명은 초기 셋팅 시 상기 클램프(10)(즉 고정봉(14))를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형의 플레이트에 배열된 클램프(10)의 이동바(13)와 고정바(14)의 접촉면(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파지부로 통칭함)을 인접한 클램프(10)의 파지부와 일직선 상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형 플레이트에 구비된 모든 클램프(10)를 상기 연계수단으로 모두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은 한 쌍의 클램프(11)(11A)만의 각도를 조절하여도 연계된 다른 한 쌍의 클램프(10)(11B)의 각도가 동일한 각도만큼 조절됨에 따라 초기 셋팅 시간을 단축 시켜 사용자에게 작업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프(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연계부재(32)의 제1결합공(32A)과 제2결합공(32B)의 위치가 변위되고, 이 연계부재(32)와 인접한 다른 연계부재(32)의 제2결합공(32B) 또는 제1결합공(32A) 역시 크랭크축(미도시)으로 인하여 동일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러한 연계수단에 의하여 원형 플레이트에 구비된 모든 클램프(10)의 각도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파지부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흡착수단(20)은 공지의 공기 흡입기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13)와 고정바(12)의 벌림동작 시 포장용기(P)의 외피(P1)를 흡착하여 개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용기(P)를 고정하는 클램프(10)를 포장용기(P)의 개방에 활용함으로써 벌림장치의 구조 단순화를 통한 제작 단가 저감 등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흡착수단(20)은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기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21)와 포장용기(P)의 외피(P1)와 접촉하는 흡착패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1)는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 흡입기와 연결된 연결관이 결합되거나, 공지의 흡착패드(22)를 갖는 니블이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패드(22)는 고무나 실리콘, 합성 수지 및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강력한 흡입 공기압에 의해 포장용기가 손상을 입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전한 개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패드(22)는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의 수용홈에서 소정 간격 돌출되고 외향 돌출된 돌출부(24)를 갖도록 형성되어 포장용기(P) 파지 시 외피(P1)에 제1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클램프(10)의 벌림동작 시 흡착패드(22)의 탄성에 의하여 클램프(10)가 1차 벌림동작 후 상기 흡착패드(22)가 2차 벌림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 얇은 종이와 같은 재질의 포장용기(P)의 개방 시 포장용기(P)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흡착패드(22) 자체의 재질에 의한 충격 및 흡착속도 완화 이외에도 흡착패드(22)의 돌출부(24)에 의한 충격 및 흡착속도 완화 효과를 가지는 바,
상기 흡착패드(22)의 돌출부(24)는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포장용기(P)가 접촉 및 흡착되어 점차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돌출부(24)는 개방되는 포장용기(P)와 함께 맞춰 개방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24)의 탄성 재질에 의해 개방되는 속도가 감소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의 몸체와 접촉될 때까지 개방속도를 감소시켜 포장용기(P)의 파손 및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흡착패드(22)를 갖는 흡착수단(20)을 도입하여 포장용기(P)의 안정된 흡착 및 개방을 보장하고, 흡착력을 증대시켜 내용물 투입 시 무게에 의하여 포장용기(P)가 상기 클램프(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착패드(22)는 공기 흡입 통로(22A) 둘레에 형성된 몸체부(23)와, 상기 몸체부(23)의 말단에서 외향 돌출된 돌출부(24)와, 상기 돌출부(24) 하부에 중첩 배열되고 외향 돌출된 제2돌출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제2돌출부(25)를 더 구비한 변형된 흡착패드(2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흡착패드(22)에는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의 몸체와 상기 흡착패드(22) 사이에 구비된 제2돌출부(2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흡착패드(22)의 몸체부(23)에서 추가적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돌출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부(25)는 흡착패드(22)의 돌출부(24)와 직경이 같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돌출부(25)의 위치는 진공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의 몸체 < 돌출부(24) < 제2돌출부(25) 순서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25)는 먼저 포장용기(P)와 접촉하여 개방하면서 포장용기(P)의 개방 속도를 줄여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의 몸체에 포장용기(P)가 완화된 속도로 정확하게 접촉 및 스토핑되어 포장용기(P)의 외피(P1)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개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바(13)와 고정바(12)가 벌림동 작 시 포장용기(P)와 접촉된 제2돌출부(25)가 벌어지면서, 제2돌출부(25)의 상부가 상기 흡착패드(22)의 돌출부(24)의 하부를 밀면서 올라가고 상기 돌출부(24)는 하부에서 밀려오는 제2돌출부(25)와 함께 벌어지면서 상기 포장용기(P)와 추가적으로 더 접촉 및 흡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돌출부(25)에 의하여 흡착되는 포장용기(P)가 완화된 속도로 상기 이동바(13) 또는 상기 고정바(12)의 몸체에 접촉되어 포장용기(P)의 정확한 위치와 수평을 잡아 안정적으로 흡착하여 흡착수단(20)을 통한 포장용기(P)의 흡착력을 증대시켜 내용물 충진 시 무게에 의하여 포장용기(P)가 클램프(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25)는 두 개 이상의 제2돌출부(25)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바(13)와 고정바(12)가 강력하게 가압하여 외피를 가압하여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흡착 시 즉, 벌림동작 시 포장용기(P)가 안전하게 신축되어 상기 흡착패드(22)에 접촉 및 흡착되어 안정된 개방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P) 벌림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포장용기 P1 : 외피
P2 : 접힘부 S : 수용부
10 : 클램프 12 : 고정바
13 : 이동바 14 : 고정봉
15 : 이동봉
20 : 흡착수단 22 : 흡착패드
23 : 몸체부 23 : 돌출부
24 : 제2돌출부
30 : 플레이트 31 : 회전축
32 : 연계부재
P2 : 접힘부 S : 수용부
10 : 클램프 12 : 고정바
13 : 이동바 14 : 고정봉
15 : 이동봉
20 : 흡착수단 22 : 흡착패드
23 : 몸체부 23 : 돌출부
24 : 제2돌출부
30 : 플레이트 31 : 회전축
32 : 연계부재
Claims (4)
- 포장용기를 파지하는 이동바와 고정바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의 벌림 동작 시 포장용기의 외피를 흡착하여 포장용기를 개봉하는 흡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바와 연결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연결된 이동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포장용기는 내용물 수용부 양측단이 횡단면도상 유사'M' 자형 접힘부를 갖는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접힘부를 둘러싼 외피를 각각 파지하도록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는 상기 접힘부를 둘러싼 외피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흡착하여 벌림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벌림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흡착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패드는
공기 흡입 통로 둘레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서 외향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중첩 배열되고 외향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벌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622A KR101311423B1 (ko) | 2013-03-05 | 2013-03-05 | 포장용기 벌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622A KR101311423B1 (ko) | 2013-03-05 | 2013-03-05 | 포장용기 벌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1423B1 true KR101311423B1 (ko) | 2013-09-25 |
Family
ID=4945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622A KR101311423B1 (ko) | 2013-03-05 | 2013-03-05 | 포장용기 벌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142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787Y1 (ko) * | 2015-06-01 | 2016-11-09 | 최재환 | 로터리 포장기 |
KR20190101015A (ko) * | 2018-02-22 | 2019-08-30 | 주식회사 솔팩 |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535U (ko) * | 1988-06-20 | 1990-01-10 | ||
JPH0281188U (ko) * | 1988-12-09 | 1990-06-22 | ||
KR960034012A (ko) * | 1995-03-09 | 1996-10-22 | 김영준 | 자동 포장 장치 |
KR20010047255A (ko) * | 1999-11-18 | 2001-06-15 | 최윤규 | 비닐포장지의 접합장치 |
-
2013
- 2013-03-05 KR KR1020130023622A patent/KR1013114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535U (ko) * | 1988-06-20 | 1990-01-10 | ||
JPH0281188U (ko) * | 1988-12-09 | 1990-06-22 | ||
KR960034012A (ko) * | 1995-03-09 | 1996-10-22 | 김영준 | 자동 포장 장치 |
KR20010047255A (ko) * | 1999-11-18 | 2001-06-15 | 최윤규 | 비닐포장지의 접합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787Y1 (ko) * | 2015-06-01 | 2016-11-09 | 최재환 | 로터리 포장기 |
KR20190101015A (ko) * | 2018-02-22 | 2019-08-30 | 주식회사 솔팩 |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
KR102030917B1 (ko) | 2018-02-22 | 2019-11-08 | 주식회사 솔팩 |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O20053981D0 (no) | Kobling for en emballasje som inneholder medisinske vaesker og tilsvarende emballasje for medisinske vaesker. | |
CN107934047A (zh) | 一种全自动包装方法 | |
CN207791308U (zh) | 一种全自动包装机 | |
KR101311423B1 (ko) | 포장용기 벌림장치 | |
WO2007075770A3 (en) | Filler device for filling flexible bags | |
RU2008142427A (ru) | Концевая пробка для рулона бумаги | |
BR102014030304A2 (pt) | processo de gerenciamento de conjunto de tampas empilhadas e inseridas em uma embalagem, dispositivo de transporte para conjunto formado de tampas empilhadas e inseridas em uma embalagem e sistema de produção de conjuntos de tampas paletizados | |
KR101019405B1 (ko) | 과일봉지 자동 씌움장치 | |
CN108792054A (zh) | 一种袋装食品包装机 | |
KR20060119275A (ko) | 포장기 | |
CN109718044A (zh) | 一种体位架用侧躺夹持装置及具有该加持装置的体位架 | |
KR101067454B1 (ko) | 듀얼 그립퍼형 포장장치의 봉지 개봉용 버큠장치 | |
KR101815997B1 (ko) |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 |
CN207328961U (zh) | 一种用于香菇菌种包装机的制袋机构 | |
CN206171906U (zh) | 一种水净化组件的包装设备 | |
CN210708079U (zh) | 一种真空包装机 | |
CN209795994U (zh) | 粉末包装机袋口闭合机构及粉末包装机 | |
CN203428053U (zh) | 茶叶包装机 | |
CN210311056U (zh) | 一种化妆品针管包装盒 | |
KR101574240B1 (ko) | 자동 결속 장치 | |
KR20130038888A (ko) | 노즐이 구비된 식품용기 진공포장장치 | |
JP6893845B2 (ja) | 袋体搬送処理方法及び袋体搬送処理装置 | |
CN207311892U (zh) | 一种非无菌灌装装置 | |
CN207467056U (zh) | 一种呼吸式等压气体置换装置 | |
CN110371360A (zh) | 一种采用软体夹持机器人的包装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