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275A - 포장기 - Google Patents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275A
KR20060119275A KR1020050041992A KR20050041992A KR20060119275A KR 20060119275 A KR20060119275 A KR 20060119275A KR 1020050041992 A KR1020050041992 A KR 1020050041992A KR 20050041992 A KR20050041992 A KR 20050041992A KR 20060119275 A KR20060119275 A KR 2006011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cylinder
opening
bra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753B1 (ko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석 filed Critical 김원석
Priority to KR102005004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75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8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co-operating with fixe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비닐백(300)이 수납된 수납기(A2)와, 수납된 비닐백(300)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인출기(A4)로 구성된 매거진(A)과; 상기 인출된 비닐백(300)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B)와; 다수의 협지장치가 원형으로 배열된 판체를 회전시키면서 캠(H)에 의해 상기 협지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된 비닐백(300)을 연속적으로 협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장치(G)와;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협지된 비닐백(300)을 개방시키는 성형장치(C)와; 개방된 비닐백(300) 내에 일정량씩 내용물을 충진시키는 투입장치(D)와; 접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비닐백(300)의 개구부의 양측변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가제트(E)와; 상기 비닐백(300)의 개구부를 접착시키는 접착장치(F)와; 접착이 완료된 비닐백(300)을 배출콘베어(200)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M);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비닐백의 개봉공정과 내용물 투입공정 및 밀봉공정이 한 사이클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협지, 성형, 투입, 접착, 배출, 비닐백

Description

포장기 { packing apparatu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의 전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매거진 및 이송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a 및 도 3b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회전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서 성형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서 투입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9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2에서 가제트에 대한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e는 가제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2에서 접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매거진 B : 이송장치
C : 성형장치 D : 투입장치
E : 가제트 F : 접착장치
G : 회전장치 H : 캠
K : 주축대 M : 배출장치
A2 : 수납기 A4 : 인출기
B2 : 협지기 B3 : 가이드레일
G31~G36 : 협지장치 G310~G360 : 클램프
G314~G319 : 주링크 C24 : 지그
C26 : 안내부재 D48 : 투입통체
D7 : 제1푸셔 D8 : 제2푸셔
E2 : 양방향실린더 E24,E24' : 날개편
F14 : 제1가열판 F24 : 제2가열판
본 발명은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비닐백을 이송하면서 그 내부에 낱개포장된 믹스커피를 일정량씩 담아 밀봉하여 완제품을 배출시키는 공정이 연속적인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레져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믹스커피도 맛과 향을 개선시킨 프리미엄급의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믹스커피는 대개 스틱형상으로 낱개 포장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작은 수량은 박스로 포장되고 있으나 많은 수량은 취급성과 쓰레기 회수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을 위해 대용량의 비닐백에 담아 포장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낱개포장된 믹스커피(이하에서는 '내용물'이라 함)를 대용량의 비닐백에 일정량씩 담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비닐백의 개봉공정과 내용물 투입공정 및 밀봉공정이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능률을 월등히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비닐백이 수납된 수납기와, 수납된 비닐백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인출기로 구성된 매거진과; 상기 인출된 비닐백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다수의 협지장치가 원형으로 배열된 판체를 회전시키면서 캠에 의해 상기 협지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된 비닐백을 연속적으로 협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장치와;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협지된 비닐백을 개방시키는 성형장치와; 개방된 비닐백 내에 일정량씩 내용물을 투입시키는 투입장치와; 접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비닐백의 개구부의 양측변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가제트와; 상기 비닐백의 개구부를 접착시키는 접착장치; 및 접착이 완료된 비닐백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를 포함하 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의 전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매거진 및 이송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a 및 도 3b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회전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서 성형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서 투입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9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2에서 가제트에 대한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e는 가제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2에서 접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매거진(A)에 수납된 비닐백(300)이 한장씩 인출되어, 이송장치(B)를 통해서 회전장치(G)로 이송된 후 협지장치에 협지된다.
이렇게 협지된 비닐백(300)을 성형장치(C)를 통해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내부를 개방시킨 후, 투입장치(D)가 내용물을 일정량씩 투입한 다음 상기 가제트(E)와 접착장치(F)에 의해 개구부가 접착되어 비닐백(300)의 포장이 완료되도록 한 것이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매거진(A)은 수납기(A2)와 인출기(A4)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을 도 3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수납기(A2)는, 비닐백(300)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장방형의 프레임(A21)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A21)은 외주연에 외벽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A20)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A20)의 저면에는 가장자리에 걸림판(A24)이 형성된 관통공(A22)이 형성되며, 외벽의 전면에는 다수의 지지편(A23)이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용부(A20)에 다수의 비닐백(300)이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기(A2)의 관통공(A22)의 상부측 즉, 상기 수납기(A2)의 프레임(A21)의 상부 양측에는 소정 길이의 아암(A240)이 각기 힌지결합되고, 이 아암(A240)에 롤러(A24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압지기(A24)가 설치된다.
따라서, 비닐백(300)을 인출할 때 그 상부측이 상기 압지기(A24)의 롤러(A242)에 의해 압지됨으로써 인출과정에서 비닐백(300)의 개구부가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기(A2)는 비닐백(300)의 적재와 인출이 용이하도록 약 50°~ 60°정도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기(A4)는 적재된 비닐백(300)을 상기 관통공(A22)을 통해 한장씩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작업대에 수평으로 설치된 실린더(A44)와;
상기 실린더(A44)의 로드에 고정되며 작업대의 레일(A442)에 끼움결합되어 전후진되는 브라켓(A444)과;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에 돌출턱(A451)이 형성되며 형성되고, 저면에 관통홀(A452)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폐판(A453)과 이를 작동시키는 제2실린더(A42)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수납기(A2)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브라켓(A444)에 경사지게 설치된 정렬박스(A45)와;
상기 정렬박스(A45)의 관통홀(A452)을 관통하는 다수의 흡착구(42)가 설치된 흡입기(A43)와;
상기 흡입기(42)를 전후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브라켓(A444)에 고정된 지지대(A47)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A41)와;
상기 흡착구(42)에 흡인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기(A43)는 대략 'I'자 형상의 판상이며, 비닐백(300)의 전면에 대해 균일한 흡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구(42)가 분산 설치된 것으로, 상기 흡착구(42)의 선단에는 흡반(421)을 형성하고, 이 흡반(421)을 에어호스(미도시)에 의해 흡입펌프(미도시)와 통하도록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흡착구(42)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2~G36)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므로 이후부터는 이에 대한 구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인출기(A4)의 작동관계를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a는 최초 대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실린더(A44)가 인입된 상태이므로 정렬박스(A45)가 수납기(A2)에 근접한 상태이고, 제1실린더(A41)가 인입된 상태이 므로 흡입기(A43) 및 흡착구(42)는 수납기(A2)와 이격된 상태이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인출신호가 주어지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A41)가 구동되어 상기 흡입기(A43)가 수납기(A2)를 향해 전진하게 됨에 따라 흡착구(42)가 정렬박스(A45)의 관통홀(A452)을 통과하여 수납기(A2)의 관통공(A22)을 통해서 인입되어 그 선단의 흡반(421)이 비닐백(300)에 흡착된다.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A41)가 역구동되어 상기 흡입기(A43)가 후진하면, 흡착구(42)에 흡착된 비닐백(300)이 낱장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인출되는 비닐백(300)의 상부측을 상기 수납기(A2)의 압지기(A24)가 압지시켜줌으로써 개구부가 벌어지는 폐단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A44)가 인출되면, 상기 브라켓(A444)이 레일(A442)을 타고 후진함에 따라, 그에 부속된 상기 정렬박스(A45) 및 인출기(A4)가 모두 후진하여 후술하는 이송장치(B)에 정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송장치(B)의 협지기(B2)가 비닐백(300)의 상단을 협지한 다음,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박스(A45)의 제2실린더(A42)가 구동되어 상기 개폐판(A453)이 개방됨으로써 정렬박스(A45)로부터 비닐백(3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B)는 도 3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기(A4)가 인출해온 비닐백(300)을 전달받아 후술한 회전장치(G)에 전달해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출기(A4)의 후진지점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B3)과; 이 가이드레일(B3) 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협지기(B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협지기(B2)는, 상기 가이드레일(B3)과 끼움결합되며 대략 '┌'형상의 브라켓(B23)과; 이 브라켓(B23)의 수평면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B22)와; 상기 브라켓(B23)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끝단이 상기 실린더(B22)의 로드와 결합됨으로써 회동에 의해 비닐백(300)을 압지할 수 있는 압지구(B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지구(B25)는 상단이 상기 실린더(B22)의 로드와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브라켓(B23)의 수평면에 힌지결합된 연결편(B252)과; 이 연결편(B252)의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비닐백(300)을 압지하도록 한 수평바(B254);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수평바(B254)의 전면에는 비닐백(30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지지편(A23)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기(A4)가 작동하여 인출한 비닐백(300)을 상기 협지기(B2)에 위치시키면, 상기 실린더(B22)가 구동되면서 압지구(B25)가 회동하여 비닐백(300)의 상단을 협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협지기(B2)가 가이드레일(B3)을 타고 이동하여 후술하는 회전장치(G)의 제1협지장치(G31)에 비닐백(300)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회전장치(G)는, 이송된 비닐백(300)을 협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투입공정부터 밀봉, 배출공정까지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가장 적은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일련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작업대를 원형으로 하였고, 각 공정을 실행하는 성형장치(C), 투입장치(D), 가제트(E), 접착장치(F)들은 작업대 상에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였다.
전술한 회전장치(G)는 도 5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B)로부터 이송된 비닐백(300)을 협지하는 클램프와, 이 클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링크부로 구성된 협지장치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된 하부판(G3)과;
상기 협지장치에 대응하도록 성형장치(C), 투입장치(D), 가제트(E), 접착장치(F)가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G3)의 상부에 중첩되게 설치되는 상부판(G2)과;
상기 하부판(G3) 및 상부판(G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협지장치의 링크부와 접촉되는 캠(H)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G3)과 일체로 결합된 주축대(I)와;
상기 주축대(I)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P)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협지장치는 하부판(G3)에 60°의 간격으로 6개가 설치되는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50°지점에 배치된 협지장치를 제1협지장치(G31)로 명칭하고, 이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2 내지 제6협지장치(G32~G36)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이며, 이들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2~G36)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므로 제1협지장치(G3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협지장치(G31)는,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되는 면에 다수의 흡착구(42)가 형성된 제1 및 제2집게(G311,G312)가 하부판(G3)의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레일(G313)에 대향되게 끼움결합된 채 그 일단의 돌출봉체가 상기 하부판(G3)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및 제2장공(G316,G317)에 각각 끼움결합됨으로써 횡운동될 수 있는 클램프(G310)와;
상기 제1 및 제2집게(G311,G312)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보조링크(G318,G319)와, 상기 제1 및 제2장공(G316,G317)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링크(G318,G319)가 양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주링크(G314)로 구성된 링크부와;
일단이 상기 주링크(G314)와 제1보조링크(G318)가 연결된 힌지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부(10)에 대향되는 제2집게(G312)의 외측에 고정된 스프링(G3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링크(G314)의 일단부 즉, 제2보조링크(G319)가 결합된 힌지부에는 주축대(I)의 캠(H)과 접촉되는 롤러(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링크(G318)는 스프링(G31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주링크(G314)가 회동되지 않을 때는 스프링(G3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램프(G310)가 협지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공정을, 이송된 비닐백(300)을 협지하는 1단계와, 비닐백(300)을 개방하는 2단계와, 비닐백(300)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3단계와, 내용물이 투입된 비닐백(300)을 접는 4단계와, 접어진 비닐백(300)을 밀봉시키는 5단계와, 밀봉된 비닐백(300)을 배출시키는 6단계의 공정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들 공정을 순차로 이행하기 위해 각 공정에 부합되도록 상기 협지장치를 하부판(G3)에 6개를 설치하였으며, 이들 협지장치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한 작업공정 순서 대로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1~G36)로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주축대(I)는, 하부판(G3)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1~G36)의 주링크(G314,G324,G334,G344,G354,G364)에 접촉되는 캠(H)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캠(H)은 원판으로 형성되되 그 외주연에는 상기한 1단계 및 6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1 및 제6협지장치(G31,G36)의 주링크(G314,G364)를 회동시켜줄 수 있도록 제1돌출부(H1)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상기 2단계 내지 4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2 내지 제4협지장치(G32~G34)의 주링크(G324,G334,G344)를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제2돌출부(H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5협지장치(G35)는 4단계를 거친 다음에 스프링(G3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주링크(G3354)의 회동에 의해 항상 닫힌 상태가 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H1)와 제2돌출부(H2)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협지장치(G31)의 주링크(G314)가 스프링(G315)에 의해 회동될 때 이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이면 적당하다.
상기 캠(H)을 도 6a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돌출부(H1)는 대략 90°~ 150°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6협지장치(G31,G36)에 대응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2돌출부(H2)는 210°~ 300°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제2 내지 제4협지장치(G324~G344)에 대응되게 하였고,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H2)의 양단부에는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주링크(G314,G324,G334,G344,G354,G364)가 점진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판(G2)의 일측에는 캠(H)과 연결된 실린더(90)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실린더(9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캠(H)이 회동됨으로써 상기의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1~G36)를 닫거나 열어 줄 수 있게 된다.
즉, 최초에는 도 6a와 같이 제1협지장치(G31)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90)가 전진하여 캠(H)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b에서와 같이 제1협지장치(G31)의 주링크(G314)가 제1돌출부(H1)를 타고 스프링(G3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닫힌 상태가 되어 비닐백(300)을 협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2, 제3, 제6협지장치(G32,G33,G36)는 제2돌출부(H2)에 밀려져 회동됨으로써 열린 상태가 되고, 제4 및 제5협지장치(G34,G35)는 제1 및 제2돌출부(H1,H2) 중 어느 것에도 간섭받지 않으므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주링크(G344,G354)가 회동되어 닫혀진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주축대(I)의 구동에 의해 하부판(G3)이 반시계방향으로 60°만큼 회동되면, 도 6c에서와 같이 제1협지장치(G31)는 첫번째 회동되어 후술하는 성형장치(C)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90)는 후진하여 캠(H)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오게한 후 다음번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판(G3)의 회동에 동반되어 제2 내지 제6협지장치(G32~G36)도 한단계씩 회전되면서 다음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P)는, 구동모터(P2)의 풀리(미도시0와 주축대(I)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로켓(미도시)을 타이밍벨트(P3)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주축대(I)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때 회전각도는 공정 순서를 고려하여 60°로 설정함으로써 6번의 회전을 마치면 상기한 1단계부터 6단계까지의 작업공정 사이클이 완료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성형장치(C)는 도 7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협지장치(G31)에 대응하도록 상부판(G2)에 설치되어 비닐백(300)의 내부를 개방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제1협지장치(G31)의 상부판(G2)에 형성된 통공(G22)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탠드(C22)와; 상기 통공(G22)에 삽입되며 하단에 에어분사기(C245)가 장착된 일정 길이의 지그(C24)가 로드에 장착되며 상기 스탠드(C22)에 고정된 채 승강되는 대형실린더(C2)와; 상기 통공(G22)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형실린더(C4)에 의해 승강되면서 비닐백(30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안내부재(C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제1협지장치(G31)는 비닐백(300)을 협지한 상태에서 회전장치(G)의 구동에 의해 첫번째로 회전하여 상기 성형장치(C)에 이르게 되면 상기 캠(H)에 의해 그 클램프(G310)가 열려짐으로써, 비닐백(300)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지그(C24)는 일정 길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써 상기 비닐백(300)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펼쳐주도록 한 것이며, 삽입된 후 지그(C24)의 하단에 설치된 에어분사기(C245)를 통해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비닐백(300)의 내부를 확장시키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C26)는, 비닐백(300)에 지그(C24)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통공(G2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소형실린더(C4)와; 통공 (G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형실린더(C4)에 연결된 채 승강되는 사각형상의 브라켓(C264)과; 내부에 배출구(C260)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C264)에 고정된 개폐장치(C2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주어지면, 먼저 상기 안내부재(C26)가 하강하여 개폐장치(C262)가 제1협지장치(G31)에 고정된 비닐백(30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1차동작이 먼저 실시되고(도 8b 참조), 이후 상기 대형실린더(C2)가 구동하여 지그(C24)가 상기 비닐백(300)에 삽입된 다음 에어분사기(C245)로부터 에어가 주입됨으로써 비닐백(300)이 부풀어올라 내부가 개방되는 2차동작이 실시된다(도 8c 참조).
상기 투입장치(D)는, 상기 성형장치(C)를 거친 후 두번째로 회동된 제1협지장치(G31)에 대응되는 상부판(G2)에 형성된 통공(G23)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하방으로 밀어넣어 비닐백(300)에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9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G23)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기대(D22)에 수직되게 고정된 소형실린더(D20)와, 상기 소형실린더(D20)의 로드와 연결된 제1브라켓(D21)과, 상기 제1브라켓(D21)과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는 개폐장치(D49)가 구비되고 일측변이 개구된 투입통체(D48)로 구성된 제1하강장치와;
로드(D40)에 상기 투입통체(D48) 내에 위치된 블럭(D46)이 장착된 채 상기 기대(D2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메인실린더(D4)로 구성된 제2하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폐장치(D49)는, 상기 통공(G23)의 하부에 설치된 장방형의 프레임(D491)과; 베벨기어(D492)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D491)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장축(D493) 및 단축(D494)과; 상기 장축(D493)과 단축(D494)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D491)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게이트판(D495)과; 상기 프레임(D491)의 일측에 설치되되 그 로드(D497)가 상기 장축(D493)과 연결된 아암(D498)과 연결된 개폐실린더(D49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실린더(D496)의 로드(D497)가 인출되면 상기 아암(D498)이 회동됨과 동시에 장축(D493)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베벨기어(D492)가 연동되어 상기 게이트판(D495)이 개방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개폐실린더(D496)의 로드(D497)가 인입되면 상기와 역순으로 진행되면서 게이트판(D495)이 폐쇄된다.
또한, 상기 투입통체(D48)는 그 하단의 개구부를 스프링(D41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막고 있는 개폐판(D41)이 설치된 것으로, 전술한 개폐판(D41)이 닫힌 상태에서 투입통체(D48) 내에 내용물이 적재된 후 상기 메인실린더(D4)의 블럭(D46)이 하강하여 눌러주면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판(D41)이 열리면서 내용물이 상기 개폐장치(D41)를 통과하여 비닐백(300) 내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D46)은 내용물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통체(D48)의 개구부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을 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하강장치의 일측에는 내용물을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장치(G)의 외주연에 연접되게 설치된 이송콘베어(100)와; 이 이송콘베어(100)의 내용물을 횡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투입통체(D48)의 전면에 위치시키도록 푸싱판(D72)이 구비된 제1푸셔(D7)와; 이렇게 이송된 내용물을 다시 종방향으로 밀 어서 상기 투입통체(D48)의 내부로 밀어넣도록 푸싱판(D82)이 구비된 제2푸셔(D8);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푸셔(D7,D8)는 외벽이 구비된 이송로(D6) 내에 설치함으로써 밀치는 동작중에 내용물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통체(D48)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제1푸셔(D7)의 푸싱판(D72)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며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D5)에 의해 승강되는 게이트(D52)가 설치됨으로써,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푸셔(D7)의 푸싱판(D72)과 게이트(D52) 사이에 일정량씩 내용물이 정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푸셔(D8)의 푸싱판(D82)과 상기 블럭(D46)의 전면에는 요철부(D820)(D462)가 각기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럭(D46)이 하강할때 대응되는 요철부(D820)(D462)가 끼움결합된 채 상하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끼어서 터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투입장치(D)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와 같이, 최초 대기상태는 상기 제1 및 제2푸셔(D7)(D8)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게이트(D52) 사이에 일정량의 내용물이 모인 상태이다.
이후 도 10b와 같이, 소형실린더(D20)가 하강하면 그에 종속된 투입통체(D48)가 1차 하강하여 개폐판(D41)이 개폐장치(D49)에 근접하게 되고, 이후에 도 10c와 같이, 상기 게이트(D52)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푸셔(D8)가 1차 전진하여 내용물을 투입통체(D48) 내로 밀어넣는다.
이후 도 10d와 같이, 상기 제2푸셔(D8)는 후진하고 상기 게이트(D52)가 하강함과 동시에 제1푸셔(D7)의 작동에 의해 다시 일정량의 내용물이 모인게 된다.
이후 도 10e와 같이, 상기 게이트(D52)가 상승함과 동시에 제2푸셔(D8)가 2차 전진하여 내용물을 투입통체(D48) 내로 밀어넣고, 아울러 상기 개폐장치(D49)가 개방되며, 상기 소형실린더(D20)가 하강하여 그에 종속된 투입통체(D48)가 2차 하강하여 상기 개폐장치(D49)는 통과한 후 비닐백(300) 내측에 인입된다.
이후 도 10f와 같이, 상기 메인실린더(D4)가 작동하여 상기 블럭(D46)이 하강하여 투입통체(D48)의 내용물을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개폐판(D41)이 자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내용물이 비닐백(300) 내로 투입된다.
이후, 상기 메인실린더(D4)의 블럭(D46) 및 투입통체(D48)는 상승하여 원복되고, 최초 도 10a의 상태로 복귀하며 다음 동작을 대비하게 된다.
상기 가제트(E)는, 상기의 투입장치(D)를 거친 후 세번째로 회동된 제1협지장치(G31)에 대응되는 상부판(G2)에 형성된 장공(G24)에 설치되어 직사각형상으로 개방된 비닐백(300)의 개구부의 양측 단변을 내측으로 접어줌으로써 후술하는 접착장치(F)에서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1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양측 단변에 접하도록 두 개의 날개편(E24,E24')이 대향되게 링크되어 양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양방향실린더(E2)와; 상면에 상기 양방향실린더(E2)가 고정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가이드판(E42)이 설치되어 상기 장공(G24)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E4)과; 상기 브라켓(E4)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부판(G2)에 수직되 게 설치된 승강실린더(E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날개편(E24,E24')은 대향되는 측에 만곡부(E240,E240')를 형성시킨 편체로써, 그 끝단은 상기 양방향실린더(E2)의 로드(E22)와 링크결합되되 일측에는 브라켓(E4)과 연결되는 힌지부(E242,E242')를 형성함으로써 양방향실린더(E2)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어 호를 궤적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날개편(E24,E24')의 벌어짐과 오므려짐의 동작에 의해 비닐백(300)의 개구부의 양측 단변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승강실린더(E6)는 가제트(E)를 전체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닐백(300)을 접기 위해 상기 날개편(E24,E24')이 양측으로 벌어진 채 하강하였을 때 상기 개구부의 양측 단변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날개편(E24,E24')이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만곡부(E240,E240')가 비닐백(300)의 측면을 쓸어올려주어 비닐백(300)의 측면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협지장치(G31)는 캠(H)의 구동과 그에 따른 주링크(G314)의 구동에 의해 협지동작이 실행된다(도 6a 내지 도 6c 참조).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E42)은 비닐백(300)의 개구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날개편(E24,E24')이 작동될 때 개구부를 내측에서 지지해줌으로써 비닐백(300)이 찌그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접어질 수 있게 된다(도 12e 참조).
아울러 상기한 접는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승강실린더(E6)가 구동하여 가제트(E)를 상승시킴으로써 날개편(E24,E24')이 비닐백(30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2a는 상기 가제트(E)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b는 상기 가제트(E)가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판(E42)이 비닐백(300)의 개구부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2c는 도 12b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2d는 상기 날개편(E24,E24')이 회동하면서 비닐백(300)의 측면을 내측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e는 상기 가제트(E)의 가이드판(E42)이 비닐백(300) 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접착장치(F)는, 가제트(E)를 거친 후 네번째로 회동된 제1협지장치(G31)에 대응하는 상부판(G2)에 설치되어 협지동작과 열융착에 의해 비닐백(300)의 개구부를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3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차부(F5)로 결합된 채 수평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회동축(F1,F2)과; 내측에 열선이 개재된 제1가열판(F14)이 일단에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제1회동축(F1)에 고정된 제1아암(F12)과; 상기 제1가열판(F14)에 대향되는 제2가열판(F24)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제2회동축(F2)에 고정된 제2아암(F22)과; 로드(F32)가 상기 제1아암(F12)에 형성된 링크편(F16)과 힌지결합되며 상부판(G2)에 수평으로 설치된 구동실린더(F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드(F32)는 제1아암(F12)에 형성된 링크편(F16)과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실린더(F3)가 구동하여 상기의 로드(F32)가 후진하면, 상기 치차결합된 제1 및 제2회동축(F2)이 회동되고, 이에 연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아암(F22)이 회동하면서 오므려져 협지됨으로써 상기 비닐백(300)을 열융착에 의해 접 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장치(M)는, 접착장치(F)를 거쳐 접착이 완료된 비닐백(300)을 협지한 채 제1협지장치(G31)가 다섯번째 회동하면 주링크(G314)가 상기 캠(H)의 제1돌출부(H1)와 접촉되어 회동됨으로써 클램프(G310)가 열리게 되어 밀봉된 비닐백(300)이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비닐백(300)은 배출콘베어(200)를 타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콘베어(200) 상에는 계량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중량이 기준에 미달된 제품은 밀쳐내어 따로 분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는 이미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업공정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매거진(A)의 수납기(A2)에 적재된 비닐백(300)을 상기 인출기(A4)가 한장씩 인출시킨 후 이송장치(B)의 협지기(B2)에 전달하면, 이 협지기(B2)가 이를 받아 가이드레일(B3)을 타고 이동하여 회전장치(G)의 제1협지장치(G31)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협지장치(G31)는 주링크(G314)가 상기 캠(H)에 밀려져 회동된 상태이므로 클램프(G310)가 벌어진 상태였다가 주축대(I)의 회동에 동반되어 하부판(G3)이 회동되면서 주링크(G314)가 캠(H)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스프링(G3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램프(G310)가 닫혀지면서 상기 이송된 비닐백(300)을 협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닐백(300)의 양면에는 흡착구(42)가 흡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비닐백(300)을 협지한 제1협지장치(G31)가 회전장치(G)의 구동에 의해 첫번째 회동하여 상기 성형장치(C)의 위치에 오게 되면, 주링크(G314)가 캠(H)의 제2돌출부(H2)에 접촉되어 클램프(G310)가 열리면서 흡착구(42)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비닐백(300)의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후, 상기 성형장치(C)의 안내부재(C26)가 비닐백(300)의 개구부에 삽입된 후 지그(C24)가 삽입된 다음 에어분사에 의해 비닐백(300)을 완전히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비닐백(300)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협지장치(G31)가 회전장치(G)의 두번째 회동에 의해 투입장치(D)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푸셔(D7,D8)와 상기 제1 및 제2하강장치에 의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비닐백(300) 내에 투입된다.
내용물의 투입이 완료된 비닐백(300)을 협지한 채 상기 제1협지장치(G31)가 회전장치(G)의 세번째 회동에 의해 가제트(E)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날개편(E24,E24')이 비닐백(300)의 개구부의 양측변을 밀어서 내측으로 접어준다.
이후 상기 제1협지장치(G31)가 회전장치(G)의 네번째 회동에 의해 접착장치(F)에 도달되면, 주링크(G314)가 캠(H)의 제2돌출부(H2)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스프링(G3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램프(G310)가 닫히면서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협지된 비닐백(300)의 상단을 접착장치(F)의 제1 및 제2가열판(F24)이 협지함과 동시에 열융착시킴으로써 밀봉이 완료되고, 이후 밀봉된 비닐백(300)은 배출장치(M)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는 비닐백의 개봉공정과 내용물 투입공정 및 밀봉공정이 한 사이클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능률을 월등히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19)

  1. 다수의 비닐백(300)이 수납된 수납기(A2)와, 수납된 비닐백(300)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인출기(A4)로 구성된 매거진(A)과;
    상기 인출된 비닐백(300)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B)와;
    다수의 협지장치가 원형으로 배열된 판체를 회전시키면서 캠(H)에 의해 상기 협지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된 비닐백(300)을 연속적으로 협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장치(G)와;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협지된 비닐백(300)을 개방시키는 성형장치(C)와;
    개방된 비닐백(300) 내에 일정량씩 내용물을 충진시키는 투입장치(D)와;
    접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비닐백(300)의 개구부의 양측변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가제트(E)와;
    상기 비닐백(300)의 개구부를 접착시키는 접착장치(F)와;
    접착이 완료된 비닐백(300)을 배출콘베어(200)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M);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기(A2)는, 비닐백(300)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장방형의 프레임(A21)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A21)은 외주연에 외벽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A2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A20)의 저면에는 가장자리에 걸림판(A24)이 형성된 관통공(A22)이 형성되며, 외벽의 전면에는 다수의 지지편(A23)이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수납기(A2)의 프레임(A2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관통공(A22)을 향하는 소정 길이의 아암(A240)이 각기 힌지결합되고, 이 아암(A240)에 롤러(A24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압지기(A2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A4)는, 흡입펌프에 의해 흡인력이 제공되는 다수의 흡착구(42)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기(A2)의 후방에 배치된 흡입기(A43)와; 이 흡입기(A43)를 전후로 작동시키는 실린더(A44)와; 상기 흡착구(42)에 흡인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B)는, 인출기(A4)의 후진지점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B3)과; 상기 가이드레일(B3)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협지기(B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기(B2)는,
    상기 가이드레일(B3)과 결합되는 브라켓(B23)과; 상기 브라켓(B23)의 수평면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B22)와; 상기 브라켓(B23)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끝단이 상기 실린더(B22)의 로드와 결합된 압지구(B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구(B25)는, 상단이 상기 실린더(B22)와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브라켓(B23)의 수평면에 힌지결합된 연결편(B252)과; 전면에 지지편(B256)이 부착된 채 상기 연결편(B252)의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바(B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G)는,
    상기 이송장치(B)로부터 이송된 비닐백(300)을 협지하는 클램프와, 이 클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링크부로 구성된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1~G36)가 등간격으로 배열된 하부판(G3)과;
    상기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1~G36)에 대응하도록 성형장치(C), 투입장치(D), 가제트(E), 접착장치(F)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G3)의 상부에 중첩되게 설치되는 상부판(G2)과;
    상기 하부판(G3) 및 상부판(G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링크부에 접촉되는 캠(H)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G3)과 일체로 결합된 주축대(I)와;
    구동모터(P2)에 의해 상기 주축대(I)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P)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6협지장치(G31~G36)는,
    대향되는 면에 다수의 흡착구(42)가 형성된 제1 및 제2집게(G311,G312)가 하부판(G3)의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레일(G313)에 대향되게 끼움결합된 채 그 일단의 돌출봉체가 상기 하부판(G3)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및 제2장공(G316,G317)에 각각 끼움결합됨으로써 횡운동될 수 있는 클램프(G310)와;
    상기 제1 및 제2집게(G311,G312)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보조링크(G318,G319)와, 상기 제1 및 제2장공(G316,G317)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링크(G318,G319)가 양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주링크(G314)로 구성된 링크부와;
    일단이 상기 주링크(G314)와 제1보조링크(G318)가 연결된 힌지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부(10)에 대향되는 제2집게(G312)의 외측에 고정된 스프링(G3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9.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42)는 흡입펌프(미도시)와 통하도록 연결된 흡반(421)이 선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H)은 원판으로 형성되되 그 외주연에는 제1 및 제6협지장치(G31,G36)의 주링크(G314,G364)를 회동시켜줄 수 있도록 제1돌출부(H1)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상기 제2 내지 제4협지장치(G32~G34)의 주링크(G324~G3344)를 회동시켜 주는 제2돌출부(H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I)는 60°의 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C)는,
    상부판(G2)에 형성된 통공(G22)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탠드(C22)와; 상기 통공(G22)에 삽입되며 하단에 에어분사기(C245)가 장착된 일정 길이의 지그(C24)가 로드에 장착되며 상기 스탠드(C22)에 고정된 채 승강되는 대형실린더(C2) 와; 상기 통공(G22)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형실린더(C4)에 의해 승강되면서 비닐백(30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안내부재(C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C26)는, 통공(G2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소형실린더(C4)와; 통공(G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형실린더(C4)에 연결된 채 승강되는 브라켓(C264)과; 내부에 배출구(C260)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C264)에 고정된 개폐장치(C2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D)는,
    일정 높이로 설치된 기대(D22)에 수직되게 고정된 소형실린더(D20)와, 상기 소형실린더(D20)의 로드와 연결된 제1브라켓(D21)과, 상기 제1브라켓(D21)과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는 개폐장치(D49)가 구비되고 일측변이 개구된 투입통체(D48)로 구성된 제1하강장치와;
    로드(D40)에 상기 투입통체(D48) 내에 위치된 블럭(D46)이 장착된 채 상기 기대(D2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메인실린더(D4)로 구성된 제2하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5. 제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D49)는, 상기 통공(G23)의 하부에 설치된 장방형의 프레임(D491)과; 베벨기어(D492)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D491)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장축(D493) 및 단축(D494)과; 상기 장축(D493)과 단축(D494)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D491)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게이트판(D495)과; 상기 프레임(D491)의 일측에 설치되되 그 로드(D497)가 상기 장축(D493)과 연결된 아암(D498)과 연결된 개폐실린더(D4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통체(D48)의 전면에는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게이트(D5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7.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제트(E)는,
    끝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양측 단변에 접하도록 두 개의 날개편(E24,E24')이 대향되게 링크되어 양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양방향실린더(E2)와; 상면에 상기 양방향실린더(E2)가 고정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가이드판(E42)이 설치되어 상기 장공(G24)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E4)과; 상기 브라켓(E4)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부판(G2)에 수직되게 설치된 승강실린더(E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포장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E24,E24')은 대향되는 측에 만곡부(E240,E240')가 형성되며, 그 끝단은 상기 양방향실린더(E2)의 로드(E22)와 링크결합되되 일측에는 브라켓(E4)과 연결되는 힌지부(E242,E242')를 형성함으로써 양방향실린더(E2)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어 호를 궤적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장치(F)는,
    치차부(F5)로 결합된 채 수평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회동축(F1,F2)과; 내측에 열선이 개재된 제1가열판(F14)이 일단에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제1회동축(F1)에 고정된 제1아암(F12)과; 상기 제1가열판(F14)에 대향되는 제2가열판(F24)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제2회동축(F2)에 고정된 제2아암(F22)과; 로드(F32)가 상기 제1아암(F12)에 형성된 링크편(F16)과 힌지결합되며 상부판(G2)에 수평으로 설치된 구동실린더(F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KR1020050041992A 2005-05-19 2005-05-19 포장기 KR10079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992A KR100798753B1 (ko) 2005-05-19 2005-05-19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992A KR100798753B1 (ko) 2005-05-19 2005-05-19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275A true KR20060119275A (ko) 2006-11-24
KR100798753B1 KR100798753B1 (ko) 2008-01-28

Family

ID=3770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992A KR100798753B1 (ko) 2005-05-19 2005-05-19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7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298B1 (ko) * 2010-12-30 2012-04-26 서호성 자동 소켓 제조 장치
KR101500309B1 (ko) * 2013-11-27 2015-03-10 주식회사 솔팩 자동포장기의 봉지 실링부 냉각장치
CN109094883A (zh) * 2018-08-07 2018-12-28 湖南金能自动化设备有限公司 推箱机
CN109625437A (zh) * 2018-12-27 2019-04-16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用于塑型及定型硬质外包装的传送线
CN110040298A (zh) * 2019-05-28 2019-07-23 浙江古川机械有限公司 水平加料给袋式包装机的机夹组件
CN116002146A (zh) * 2021-10-22 2023-04-25 顺丰科技有限公司 旋转收口装置、自动取撑收口装置和方法及自动打包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32B1 (ko) * 2014-06-09 2016-01-25 영양제과 주식회사 건빵 포장장치
KR101606028B1 (ko) 2014-07-02 2016-03-24 (주)위시코 섬유질 사료 자동 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364B1 (ko) * 1998-11-17 2002-09-27 윤봉준 자동포장기의 액체충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298B1 (ko) * 2010-12-30 2012-04-26 서호성 자동 소켓 제조 장치
KR101500309B1 (ko) * 2013-11-27 2015-03-10 주식회사 솔팩 자동포장기의 봉지 실링부 냉각장치
CN109094883A (zh) * 2018-08-07 2018-12-28 湖南金能自动化设备有限公司 推箱机
CN109625437A (zh) * 2018-12-27 2019-04-16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用于塑型及定型硬质外包装的传送线
CN109625437B (zh) * 2018-12-27 2024-01-30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用于塑型及定型硬质外包装的传送线
CN110040298A (zh) * 2019-05-28 2019-07-23 浙江古川机械有限公司 水平加料给袋式包装机的机夹组件
CN116002146A (zh) * 2021-10-22 2023-04-25 顺丰科技有限公司 旋转收口装置、自动取撑收口装置和方法及自动打包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753B1 (ko) 2008-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753B1 (ko) 포장기
JP5918942B2 (ja) ロータリー式包装機
CN111498154B (zh) 包装系统
KR101951347B1 (ko) 자동 포대 공급장치
CN209241450U (zh) 一种水平装袋机
CN111483644B (zh) 物料包装系统及槟榔包装系统
KR102103342B1 (ko) 자동 포장 충진 장치
CN105480447A (zh) 全自动筒纱打包机
CN106742411B (zh) 防护眼镜自动化包装设备
CN109018536A (zh) 一种用于水平装袋机的m形袋整理机构
CN109018538A (zh) 一种水平装袋机的m形袋机构
CN109335130A (zh) 一种产品包装盒自动封盒机
CN210853161U (zh) 一种纸盒自动展开成型装置
CN114906402A (zh) 套袋装置和装箱设备
CN206914707U (zh) 一种纸盒折叠插底机
KR102300739B1 (ko) Pet 병 포장 마감장치 및 그 마감장치를 이용한 포장 마감방법
CN111483651B (zh) 装袋机构及其进行闭袋的方法
JP2002225803A (ja) 包装体製造装置
CN208963440U (zh) 一种用于水平装袋机的m形袋机构
CN112109976A (zh) 一种物料包装设备
CN220333112U (zh) 一种供袋设备
CN111483642A (zh) 易拉罐盖体打包装置
CN213566753U (zh) 一种物料包装设备
TWM588090U (zh) 自動化包裝設備
CN117429717A (zh) 一种自动灌装和装箱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