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98B1 - 자동 소켓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소켓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98B1
KR101139298B1 KR1020100138707A KR20100138707A KR101139298B1 KR 101139298 B1 KR101139298 B1 KR 101139298B1 KR 1020100138707 A KR1020100138707 A KR 1020100138707A KR 20100138707 A KR20100138707 A KR 20100138707A KR 101139298 B1 KR101139298 B1 KR 101139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
heating
fixe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성 filed Critical 서호성
Priority to KR102010013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을 구성하는 플랜지에 핀을 결합되는 위치로 성형판 위에 놓고 열경화수지를 투입후 자동으로 열을 가하여 경화시켜주는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자동 소켓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회전판(20)의 원둘레를 따라 회전판(20) 상면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가열금형(30)이 설치되고, 회전판(20)의 둘레에 금형개폐장치(10), 제품배출부(22), 부품삽입부(23),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24), 분말삽입부(25), 금형개폐장치(10), 가열구간(T)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0)이 한개의 가열금형(30)이 설치된 길이만큼 회전하는 것을 단위로 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순차적 회전이 되고, 단위시간마다 각 작업구역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일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열려 부품삽입,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 열경화성수지 분말 삽입이 로봇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타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가열구간(T)동안 회전되면서 열원공급라인(26)으로 부터 공급된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경화성수지 분말이 경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소켓 제조 장치 { A automatic process device for a socket }
본 발명은 자동 소켓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랜지에 핀을 결합되는 위치로 성형판 위에 놓고 열경화수지를 투입후 자동으로 열을 가하여 경화시켜주는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자동 소켓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켓을 이루는 부품은 플랜지와 전기 접속을 위한 핀으로 핀과 플랜지는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고정되어야 하므로 프랜지와 핀을 열경화수지로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공정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자동으로 소켓고정판(1)에 형성된 소켓홀(1-1)에 플랜지와 핀들이 삽입되고, 이렇게 결합될 부품이 삽입된 소켓고정판(1)이 가이드판(9)에 놓이게 된다.
가이드판(9) 위에 놓여진 소켓고정판(1)의 소켓홀(1-1)에 열경화성수지 분말이 투입되고, 가압판(8)의 수직선상 하방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가압판(8)은 승강판(5)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하이동은 실린더(7)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부고정부(4)에 의해 고정된 실린더(7)의 작동으로 가압판(8)이 가이드(6)를 따라 내려오면 소켓고정판(1)의 소켓홀(1-1)로 가압판(8)의 돌기(8-1)가 삽입되어 눌러주게 되며, 소켓고정판(1)이 놓여진 하부받침(2) 위의 가열판(3)이 가열되어 열경화성 수지 분말을 경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소켓고정판(1)에 삽입되어 셋팅된 갯수의 소켓을 열을 가하여 고정시키는 동안 다른 작업을 할 수 없고, 기다려야 하므로 많은 시간 손실이 있어왔다.
또한 사람이 일일이 소켓고정판(1)에서 고정된 소켓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고, 소켓의 부품인 플랜지와 핀을 소켓고정판(1)에 삽입하는 공정이 자동화 되었어도 사람이 항상 지속적으로 분리작업과 분말 투여 작업 및 가이드판(9)에서 가압판(8)의 아래로 밀어넣어야 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에서 소켓고정판(1)은 가열되어 뜨겁지만 사람이 일일이 소켓고정판(1)을 손으로 뒤집어 소켓을 분리하는 공정을 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즉 종래의 방식은 가열하는 시간인 1분 이상의 시간 동안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전담 인력이 있어야 작업이 진행되므로 인력 손실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켓을 이루는 핀과 플랜지를 가열금형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분말을 투여하며, 가열하는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시간 손실이 일어나지 않게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인력의 손실 없이 자동으로 소켓의 부품을 투여하고 가열하고 분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램프용 소켓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판(20)의 원둘레를 따라 회전판(20) 상면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가열금형(30)이 설치되고, 회전판(20)의 둘레에 금형개폐장치(10), 제품배출부(22), 부품삽입부(23),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24), 분말삽입부(25), 금형개폐장치(10), 가열구간(T)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0)이 한개의 가열금형(30)이 설치된 길이만큼 회전하는 것을 단위로 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순차적 회전이 되고, 단위시간마다 각 작업구역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일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열려 부품삽입,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 열경화성수지 분말 삽입이 로봇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타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가열구간(T)동안 회전되면서 열원공급라인(26)으로 부터 공급된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경화성수지 분말이 경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금형개폐장치(10)는 몸체(11) 상부에 승강실린더(12)가 설치되고, 승강슬린더(12)의 작동단에 걸쇠(14) 한쌍이 선택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어 가열금형(3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며, 몸체(11)의 양측부에 봉실린더(15)가 설치되어 각각 한쌍의 작동봉(16)이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작동봉(16)이 가열금형(30)을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가열금형(30)을 열리게 하며, 가열금형(30)은, 회전판(2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31)에 하부금형(32)이 고정되고, 하부고정판(31)의 양측으로 가이드바(36)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가이드바(36)를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판(39)이 설치되고, 가이드판(39)의 하부에 상부금형(33)이 고정되며, 상부금형(33)의 하부에 누름판(35)이 고정되어 상부금형(33)이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성형판(24)과 맞닿게 형성되고, 상부금형(33)과 하부금형(32)에 각각 열원공급구(37)와 열원배출구(38)가 형성되어 열원공급라인(26)이 연결되며, 가이드바(36)의 상부와 중앙에 각각 상부단차부(36-1)와 하부고정홈(36-2)이 형성되어 상부금형(33)이 상하 이동하면서 가이드판(39) 상면에 고정된 작동판(40)의 동작으로 멈추게 구성되고, 가이드판(39) 상면의 작동판(40)은 중공의 판체(41) 양측면에 가이드홀(43)이 각각 형성되고, 판체(41)의 내부에 한쌍의 작동쇠(42)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탄력지지되며, 작동쇠(42)는 몸체(42-1)의 전단 중앙에 걸림단(42-2)이 형성되고, 걸림단(42-2)은 작동판(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단차부(36-1) 또는 하부고정홈(36-2)에 걸리게 되며, 작동쇠(42)의 걸림단(42-2) 양쪽으로 경사면(42-3)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봉(16)의 하향 이동에 의해 뒤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단차부(36-1) 또는 하부고정홈(36-2)에서 걸림단(42-2)이 이탈하게 구성되고, 작동쇠(42)의 양측부에 가이드돌기(42-4)가 형성되어 가이드홀(43)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작동판(40)의 상면에 걸림판(50)이 고정되어 금형개폐장치(10)의 걸쇠(14)가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켓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램프의 소켓을 제조하는 공정을 전자동화하여 소켓을 시간 소비 없이 제조하여 제조 효율이 높아지고, 별도의 전담 인력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판에 다수개의 가열금형이 설치되고, 가열금형에 각각의 성형판이 설치되어 여러 단계의 제조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많은 수의 소켓을 한번에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열금형의 상부 금형이 자동으로 열려 소켓을 이루는 핀과 플랜지를 삽입하고, 제대로 부품이 삽입되어 있는지 센서로 확인하며, 열경화성수지 분말을 삽입하고 가열금형의 상부금형을 아래로 내리면 자동으로 체결되어 다음 금형개폐장치까지 도달하는 시간동안 가열되어 경화되므로 별도의 기다림 없이 제조공정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자동 소켓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소켓 제조 장치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소켓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소켓 제조 장치의 금형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소켓 제조 장치의 가열금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소켓 제조 장치의 가열금형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스톱퍼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소켓 제조장치의 가열금형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램프용 소켓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공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램프용 소켓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판(20)의 원둘레를 따라 회전판(20) 상면에 가열금형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회전판(20)의 둘레에 금형개폐장치(10), 제품배출부(22), 부품삽입부(23),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24), 분말삽입부(25), 금형개폐장치(10), 가열구간(T)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작업을 하도록 구성된다.
금형개폐장치(10)에서 상부금형(33)과 하부금형(32)으로 이루어진 가열금형(30)을 열고, 열린 가열금형(30)의 하부금형(32) 상부인 성형판(34)에 각 부품을 순차적으로 올려놓게 된다.
핀과 플랜지가 소켓을 이루는 부품인데, 이러한 부품은 성형판(34) 위에 형성된 소켓홈에 핀부터 올려놓고, 다음 플랜지를 올려놓게 된다. 이와 같이 핀과 플랜지를 올려놓는 과정은 로봇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로봇은 전후방 일정 간격을 이동하며 부품을 집어 성형판으로 이동시켜 놓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로봇은 일반적인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판(20)의 둘레에 있는 부품삽입부(23)에는 1차부품삽입, 2차부품삽입, 3차부품삽입, 4차부품삽입의 4단계 핀 삽입 단계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24)에는 1차프랜지 삽입, 에러감지, 2차프랜지삽입의 단계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20)이 한개의 가열금형(30)이 설치된 길이만큼 회전하는 것을 단위로 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순차적 회전이 되고, 이러한 회전은 모터로 구동한다.
단위시간마다 각 가열금형(30)이 각각의 작업을 위한 로봇에 위치하여 각 작업구역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일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열려 부품삽입,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 열경화성수지 분말 삽입이 로봇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타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가열구간(T)동안 회전되면서 열원공급라인(26)으로 부터 공급된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경화성수지 분말이 경화되도록 구성된다. 열경화성수지 분말은 종래에 사용하던 것을 사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금형개폐장치(10)는 몸체(11) 상부에 승강실린더(12)가 설치되고, 승강슬린더(12)의 작동단에 금형고정부(13)가 고정되고, 금형고정부(13)에 걸쇠(14) 한쌍이 선택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어 가열금형(3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14)는 금형고정부(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걸쇠(14)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면 벌어지거나 오무려지게 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걸림판(50)의 걸림부(52)를 걸어 승강실린더(12)에 의해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금형개폐장치(10)의 몸체(11) 양측부에 봉실린더(15)가 설치되어 각각 한쌍의 작동봉(16)이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작동봉(16)이 가열금형(30)을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가열금형(30)을 열리게 한다.
가열금형(30)은, 회전판(2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31)에 하부금형(32)이 고정되고, 하부고정판(31)의 양측으로 가이드바(36)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6)를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판(39)이 설치되고, 가이드판(39)의 하부에 상부금형(33)이 고정되어 가이드판(39)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부금형(33)과 하부금형(32) 사이가 벌어지거나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부금형(33)의 하부에 누름판(35)이 고정되어 상부금형(33)이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성형판(24)과 맞닿게 형성되고, 상부금형(33)과 하부금형(32)에 각각 열원공급구(37)와 열원배출구(38)가 형성되어 열원공급라인(26)이 연결된다. 열원공급라인(26)으로 공급되는 열원은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판(35)은 탄력지지되어 하부금형(32)과 맞물릴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면서 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36)의 상부와 중앙에 각각 상부단차부(36-1)와 하부고정홈(36-2)이 형성되어 상부금형(33)이 상하 이동하면서 가이드판(39) 상면에 고정된 작동판(40)의 작동쇠(42)가 걸려 동작으로 멈추게 구성된다.
가이드판(39) 상면의 작동판(40)은 중공의 판체(41) 양측면에 가이드홀(43)이 각각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판체(41)의 내부에 한쌍의 작동쇠(42)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작동쇠(42)는 몸체(42-1)의 전단 중앙에 걸림단(42-2)이 형성되고, 걸림단(42-2)은 작동판(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단차부(36-1) 또는 하부고정홈(36-2)에 걸리게 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동쇠(42)의 걸림단(42-2) 양쪽으로 경사면(42-3)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봉(16)의 하향 이동에 의해 뒤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단차부(36-1) 또는 하부고정홈(36-2)에서 걸림단(42-2)이 이탈하게 구성된다.
작동쇠(42)의 양측부에 가이드돌기(42-4)가 형성되어 가이드홀(43)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작동쇠(42)의 후단에는 스프링(42-5)이 고정되어 작동판(40)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장치(미도시)에 걸려 작동쇠(42)를 탄력지지한다.
따라서 작동쇠(42)는 항상 가이드바(36) 쪽으로 밀게 되어 상부단차부(36-1)와 하부고정홈(36-2)에 위치하게 되면 걸리게 된다. 이때 작동봉(16)이 작동판(40)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와 작동쇠(42)의 경사면(42-3)을 누르면 뒤로 밀려 상부단차부(36-1)나 하부고정홈(36-2)에서 밀려나와 해제되고 승강실린더(12)의 작동으로 상하이동하게 된다.
핀, 플랜지, 열경화성수지분만이 투입되어 상부금형(33)이 하강하여 작동판(40)의 작동쇠(42)가 가이드바(36)의 하부고정홈(36-2)에 걸리게 되면 가열금형(30)이 잠기게 되고, 가열구간(T)에서 가열되게 된다. 이렇게 가열되는 순간에 다른 섹터에서는 부품배출, 부품투입, 에러감지, 플랜지투입, 분말투입 등의 작업이 계속되어 시간 지연이 없어지게 된다.
1 : 소켓고정판 1-1 : 소켓홈
2 : 하부받침 3 : 가열판
4 : 상부고정부 5 : 승강판
6 : 가이드 7 : 실린더
8 : 가압판 8-1 : 돌기
9 : 가이드판 10 : 금형개폐장치
11 : 몸체 12 : 승강실린더
13 : 금형고정부 14 : 걸쇠
15 : 봉실린더 16 : 작동봉
20 : 회전판 21 : 회전축
22 : 제품배출부 23 : 부품삽입부
24 :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 25 : 분말삽입부
26 : 열원공급라인 30 : 가열금형
31 : 하부고정판 32 : 하부금형
33 : 상부금형 34 : 성형판
35 : 누름판 36 : 가이드바
36-1 : 상부단차부 36-2 : 하부고정홈
37 : 열원공급구 38 : 열원배출구
39 : 가이드판 40 : 작동판
41 : 판체 42 : 작동체
42-1 : 몸체 42-2 : 걸림단
42-3 : 경사면 42-4 : 가이드돌기
42-5 : 스프링 43 : 가이드홀
50 : 걸림판 51 : 고정부
52 : 걸림부

Claims (4)

  1. 삭제
  2. 회전판(20)의 원둘레를 따라 회전판(20) 상면에 가열금형(30)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회전판(20)이 회전판(20)이 한개의 가열금형(30)이 설치된 길이만큼 회전하는 것을 단위로 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순차적 회전이 되며, 단위시간마다 회전판(20)의 둘레에 설치된 제품배출부(22), 부품삽입부(23),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24), 분말삽입부(25)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램프용 소켓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의 둘레에 금형개폐장치(10), 제품배출부(22), 부품삽입부(23),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부(24), 분말삽입부(25), 금형개폐장치(10), 가열구간(T)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열려 부품삽입, 프랜지삽입 및 에러감지, 열경화성수지 분말 삽입이 로봇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타측 금형개폐장치(10)에서 가열금형(30)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가열구간(T)동안 회전되면서 열원공급라인(26)으로 부터 공급된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경화성수지 분말이 경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금형개폐장치(10)는 몸체(11) 상부에 승강실린더(12)가 설치되고, 승강슬린더(12)의 작동단에 걸쇠(14) 한쌍이 선택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어 가열금형(3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며, 몸체(11)의 양측부에 봉실린더(15)가 설치되어 각각 한쌍의 작동봉(16)이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작동봉(16)이 가열금형(30)을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가열금형(30)을 열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켓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열금형(30)은,
    회전판(2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31)에 하부금형(32)이 고정되고, 하부고정판(31)의 양측으로 가이드바(36)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가이드바(36)를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판(39)이 설치되고, 가이드판(39)의 하부에 상부금형(33)이 고정되며, 상부금형(33)의 하부에 누름판(35)이 고정되어 상부금형(33)이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성형판(24)과 맞닿게 형성되고, 상부금형(33)과 하부금형(32)에 각각 열원공급구(37)와 열원배출구(38)가 형성되어 열원공급라인(26)이 연결되며, 가이드바(36)의 상부와 중앙에 각각 상부단차부(36-1)와 하부고정홈(36-2)이 형성되어 상부금형(33)이 상하 이동하면서 가이드판(39) 상면에 고정된 작동판(40)의 동작으로 멈추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켓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이드판(39) 상면의 작동판(40)은 중공의 판체(41) 양측면에 가이드홀(43)이 각각 형성되고, 판체(41)의 내부에 한쌍의 작동쇠(42)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탄력지지되며, 작동쇠(42)는 몸체(42-1)의 전단 중앙에 걸림단(42-2)이 형성되고, 걸림단(42-2)은 작동판(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단차부(36-1) 또는 하부고정홈(36-2)에 걸리게 되며, 작동쇠(42)의 걸림단(42-2) 양쪽으로 경사면(42-3)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봉(16)의 하향 이동에 의해 뒤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단차부(36-1) 또는 하부고정홈(36-2)에서 걸림단(42-2)이 이탈하게 구성되고, 작동쇠(42)의 양측부에 가이드돌기(42-4)가 형성되어 가이드홀(43)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작동판(40)의 상면에 걸림판(50)이 고정되어 금형개폐장치(10)의 걸쇠(14)가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켓 제조 장치.
KR1020100138707A 2010-12-30 2010-12-30 자동 소켓 제조 장치 KR101139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07A KR101139298B1 (ko) 2010-12-30 2010-12-30 자동 소켓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07A KR101139298B1 (ko) 2010-12-30 2010-12-30 자동 소켓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298B1 true KR101139298B1 (ko) 2012-04-26

Family

ID=4614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707A KR101139298B1 (ko) 2010-12-30 2010-12-30 자동 소켓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756A (ko) * 2014-08-14 2016-02-24 서호성 자동차 헤드라이트 소켓의 사출용 금형
KR20160020754A (ko) * 2014-08-14 2016-02-24 서호성 헤드라이트용 소켓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공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296A (ko) * 1989-05-17 1990-12-24 제이. 로저스 죤 저 프로파일 램프 소켓 조립체 및 제조방법
KR20060119275A (ko) * 2005-05-19 2006-11-24 김원석 포장기
KR200432486Y1 (ko) * 2006-09-22 2006-12-04 주식회사 태원엠씨씨 친환경 생분해성 전분 용기의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296A (ko) * 1989-05-17 1990-12-24 제이. 로저스 죤 저 프로파일 램프 소켓 조립체 및 제조방법
KR20060119275A (ko) * 2005-05-19 2006-11-24 김원석 포장기
KR200432486Y1 (ko) * 2006-09-22 2006-12-04 주식회사 태원엠씨씨 친환경 생분해성 전분 용기의 성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756A (ko) * 2014-08-14 2016-02-24 서호성 자동차 헤드라이트 소켓의 사출용 금형
KR20160020754A (ko) * 2014-08-14 2016-02-24 서호성 헤드라이트용 소켓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공정
KR101598844B1 (ko) 2014-08-14 2016-03-02 서호성 헤드라이트용 소켓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공정
KR101631068B1 (ko) 2014-08-14 2016-06-17 서호성 자동차 헤드라이트 소켓의 사출용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2437B1 (en) An improved method for loading a moldset into a molding machine
KR101139298B1 (ko) 자동 소켓 제조 장치
CN106945205B (zh) 蜡模成型模具
CN107756715B (zh) 金属模具旋转式注塑成形机以及金属模具旋转式注塑成形机的模具部件更换方法
US8651845B2 (e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olded part onto a functional part so as to form a multi-component part
CN103341957B (zh) 一种导磁环组件的注塑模具及其制造方法
KR101156512B1 (ko)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CN107756716A (zh) 金属模具旋转式注塑成形机以及金属模具旋转式注塑成形机的金属模具更换方法
KR200440564Y1 (ko) 언더컷 성형을 위한 슬라이드 코아장치
US4726757A (en) Moulding apparatus
KR101454439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CN112092399A (zh) 一种可对尾插进行检测的耐高温尾插加工装置
KR101849025B1 (ko) 연결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ITMI20070510A1 (it) Macchina per lo stampaggio rotazionale a stampo riscaldato e con estrazione facilitata
CN104619300B (zh) 热疗设备
CN214324244U (zh) 一种可对尾插进行检测的耐高温尾插加工装置
CN209063443U (zh) 一种二次顶出装置
CN208930644U (zh) 一种具有保护装置的动模滑块与定模镶件互锁模具
CN208239670U (zh) 一种陶瓷插芯点胶烘烤一体工装
KR20170071740A (ko) 복합재 시트 복합성형용 금형 장치
JPH05138683A (ja) ロータリー式射出成形機
CN219227717U (zh) 一种可调式高清摄像头
CN205889793U (zh) 一种注塑模定模推出机构
WO2020062542A1 (zh) 一种用于放疗体架板的解锁装置及具有解锁功能的体架板
CN220512669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