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917B1 -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917B1
KR102030917B1 KR1020180020884A KR20180020884A KR102030917B1 KR 102030917 B1 KR102030917 B1 KR 102030917B1 KR 1020180020884 A KR1020180020884 A KR 1020180020884A KR 20180020884 A KR20180020884 A KR 20180020884A KR 102030917 B1 KR102030917 B1 KR 10203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pouch
fixed
pin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015A (ko
Inventor
여환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to KR102018002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M)형 파우치의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 부분을 그립퍼가 안정적으로 물림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파우치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흡착하는 진공컵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A pouch opening apparatus for rotary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엠(M)형 파우치의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 부분을 그립퍼가 안정적으로 물림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파우치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흡착하는 진공컵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M)형 파우치(PB)는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하며, 또한 내용물을 투입시 부피를 확장할 수 있어서 보다 많은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엠(M)형 파우치(PB)는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2,3,4,5)를 포장기의 그립퍼들이 파지하고 개봉하여서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엠(M)형 파우치(PB)의 입구를 벌리는 동작은 미국특허 US 6,880,310호에 개시되고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백(102)들로부터 제1진공컵(130a)(130b)이 한장의 포장백(102)의 일측면부를 흡착하고, 도 2c 및 도 2d에서와 같이 제1진공컵(130a)(130b)이 제2진공컵(150a)(150b)에 대향된 위치로 이동되어서 제2진공컵(150a)(150b)이 포장백(102)의 타측면부를 흡착되도록 한 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진공컵(130a)(130b)이 후퇴하면서 포장백(102)을 개봉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백(102)의 일측면부를 흡착한 제1진공컵(130a)(130b)이 제2진공컵(150a)(150b)에 접근하여 상호 물리적으로 충돌하면서 상호 변형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물리적 충돌은 플렉서블한 진공컵(130a)(130b),(150a)(150b)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러한 진공컵의 수명단축은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47308호에 개시되고, 도 3 내지 도5에 도시된 엠 포장지용 자동포장장치에서도 나타난다.
이 장치는 매거진(210)에 M포장지(PB)들이 일렬로 세워져 공급되면, 제 1 흡착수단(220)에 의해 맨앞의 M포장지(PB)가 투입구(211)로 공급되고, M포장지가 투입구(211)를 통해 제 1 받침대(230)로 낙하되며, 이후 한쌍의 제2흡착수단(240)에 의해 제 1 받침대(230)에 지지된 M포장지(PB)의 날개부(2, 3 ; 4, 5)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 한쌍의 제2흡착수단(240)의 진공컵들이 상호 마주하여 반복적으로 충돌하면서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한쌍의 가이드수단(250)이 M포장지(PB)의 측면부에 배치되므로 플렉서블한 M포장지(PB)가 곧은 자세로 자립(自立)하기 어렵게 되며, 이 경우 4개의 핑거(180,185)(190,195)들이 날개부(2, 3 ; 4, 5)를 클램핑할때 유연한 재질의 M포장지(PB) 날개부(2, 3 ; 4, 5)의 각 높이위치가 다르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에 클램핑하기 어렵게 된다.
이 경우 핑거(180,185)(190,195)들의 그립불량이 발생되어 중량의 내용물 투입시 포장지가 낙하되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으로 장치의 가동을 멈춰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포장지(PB)에 내용물이 투입된 후 추후 상단부를 밀봉할때 밀봉부가 경사지게 밀봉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수단(250)에 의해서 플렉서블한 M포장지(PB)의 양측이 지지되고, 한쌍의 제2흡착수단(240)에 의해서 M포장지(PB)의 전,후면이 흡착된 상태에서, 4개의 핑거(180,185)(190,195)들이 날개부(2, 3 ; 4, 5)를 클램핑하더라도 그립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제2흡착수단(240)의 진공컵이 진공흡인력으로 M포장지(PB)의 측면부를 흡착할때 진공컵의 가장자리 주변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등 유연한 재질의 M포장지(PB)가 변형하게 되므로, 핑거(180,185)(190,195)들이 좁은 폭의 날개부(2, 3 ; 4, 5)를 클램핑할때 그립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미국특허 US 6,880,310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473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엠(M)형 파우치를 클램핑할때 그립불량을 줄이고 또한 진공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치의 4군데 위치에서 동일높이로 클램핑이 되도록 하여 내용물 투입후 밀봉시 수평상태의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한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볼명은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각 일단부가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쌍의 그립퍼와, 상기 각 쌍의 그립퍼를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여서, 파우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엠(M)형 파우치의 상단부 가장자리 네군데 위치를 상기 각 쌍의 그립퍼들이 파지하고 개봉시키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파우치 개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쌍의 그립퍼들은 상호 인접되어 배치되는 제1그립퍼와 제2그립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1그립퍼는 한쌍의 제1가이드봉과, 상기 제1가이드봉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2이동블럭과, 상기 제1,2이동블럭에 각각 탑재되며 상기 파우치의 일측 상단부 좌우 두군데 위치를 파지하는 제1,2픽커부와, 상기 제1,2픽커부를 연결하는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이동블럭에 고정되는 제1,2스토퍼와, 상기 제1,2스토퍼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의 일측면을 흡착하는 한쌍의 제1,2진공컵을 구비하고,
상기 제2그립퍼는 한쌍의 제2가이드봉과, 상기 제2가이드봉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3,4이동블럭과, 상기 제3,4이동블럭에 각각 탑재되며 상기 제1,2픽커부와 대향되어 배치되어서 상기 파우치의 타측 상단부 좌우 두군데 위치를 파지하는 제3,4픽커부와, 상기 제3,4픽커부를 연결하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스토퍼와 대향배치되며 상기 제3,4이동블럭에 고정되는 제3,4스토퍼와, 상기 제3,4스토퍼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의 타측면을 흡착하는 한쌍의 제3,4진공컵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한쌍의 제1,2가이드봉 사이에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2스크류를 구비하되,
상기 각 제1스크류는 일측에 상기 제1이동블럭이 나사결합되는 왼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이동블럭이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2스크류는 일측에 상기 제3이동블럭이 나사결합되는 왼나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4이동블럭이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2스크류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2이동블럭 및 제3,4이동블럭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되도록 이동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스크류의 중앙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베어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봉에 결합되고 상기 제1,2베어링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고정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각 제1,2고정블럭에 상호 대향되는 제5,6진공컵 및 제5,6스토퍼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픽커부는 상기 제1이동블럭에 고정된 제1고정픽커와; 상기 제1이동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고정픽커에 맞접촉되는 제1회전픽커를 구비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랙기어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회전픽커와 제1고정픽커 사이에 상기 파우치의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제1 내지 제6진공컵들의 단부와 상기 각 제1 내지 제6스토퍼들의 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일치되게 하여서, 상기 제1그립퍼와 제2그립퍼가 상호 근접되면서 상기 대향 배치된 각 진공컵들이 파우치를 진공흡착할때 변형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파우치(P)의 측면부를 진공흡착하는 진공컵을 상하로 한쌍 배치하고, 상기 한쌍의 진공컵 사이에 스토퍼를 배치하되, 진공컵들의 단부와 스토퍼들의 단부가 동일표면상이 놓이도록 일치되게 하여서,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가 상호 근접되면서 대향 배치된 각 스토퍼들이 맞접되도록 하여 각 진공컵들의 변형 자체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파우치(P)의 공급 및 진공흡착이 되더라도 각 진공컵의 변형에 따른 피로 파손을 방지하여 진공컵들의 교환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토퍼의 단부가 파우치(P)의 측면부에 접한 상태에서, 스토퍼의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진공컵들이 배치되므로, 파우치(P)를 진공흡착하게 되더라도 파우치(P)의 가장자리에 진공흡착에 따른 주름발생이 확연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서 주름발생에 따른 파우치(P)의 가장자리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므로 회전픽커의 회전에 의한 파지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픽커부(160), 제2픽커부(170), 제3픽커부(260) 및 제4픽커부(270)가 파지되는 파우치(P)의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에 주름변형이 방지되므로, 각 픽커부들이 동일 높이에서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서 파우치(P)에 내용물 투입후 밀봉시 수평상태의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포장품질을 향상시킨다.
둘째, 제 1 내지 제6 스토퍼들은 고무재질로 형성하여서 반복적인 상호 접촉시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통상의 엠형 파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파우치 개봉장치를 나타낸 작동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 다른 파우치 개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 파우치 개봉시 문제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개봉장치가 채용된 로터리 포장기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저면도,
도 9는 도 7에 채용된 제1그립퍼와 제2그리퍼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파우치의 개봉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 개봉장치에 의한 파우치의 흡착위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 개봉장치에 의해 파우치의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5a 및 도 15b는 진공컵과 스토퍼의 상대위치 설명 및 개봉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엠(M)형 파우치의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2,3,4,5) 부분을 그립퍼가 안정적으로 물림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파우치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흡착하는 진공컵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를 장착한 로터리형 포장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7 및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300)과, 상기 턴테이블(300)의 가장자리에 각 일단부가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쌍의 그립퍼(100)(200)와, 상기 각 쌍의 그립퍼(100)(200)를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개봉장치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엠(M)형 파우치(P)의 상단부 가장자리 네군데 위치를 상기 각 쌍의 그립퍼(100)(200)들이 파지하고 개봉시킨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각 그립퍼(100)(200)의 단부에 부채꼴 형상의 섹터기어(301)(302)가 상호 맞물리도록 턴테이블(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 섹터기어(302)들에는 일단부가 턴테이블(300)의 회전시 왕복이동되는 링크조립체(310)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섹터기어(301)(302)들의 상호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그립퍼(100)(200)들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작동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연동수단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등록 제10-128878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호 인접되어 배치되는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그립퍼(100)는 한쌍의 제1가이드봉(130)과, 상기 제1가이드봉(1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이동블럭(110)(120)과,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에 각각 탑재되며 상기 파우치(P)의 일측 상단부 좌우 두군데 위치를 파지하는 제1,2픽커부(160)(170)와, 상기 제1,2픽커부(160)(17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픽커부(160)(170)를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에 고정되는 제1,2스토퍼(165)(175)와, 상기 제1,2스토퍼(165)(175)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P)의 일측면을 흡착하는 한쌍의 제1,2진공컵(166,167)(176,177)을 구비한다.
상기 제2그립퍼(200)는 한쌍의 제2가이드봉(230)과, 상기 제2가이드봉(23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4이동블럭(210)(220)과, 상기 제3,4이동블럭(210)(220)에 각각 탑재되며 상기 제1,2픽커부(160)(170)와 대향되어 배치되어서 상기 파우치(P)의 타측 상단부 좌우 두군데 위치를 파지하는 제3,4픽커부(260)(270)와, 상기 제3,4픽커부(260)(27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4픽커부(260)(270)를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2스토퍼(165)(175)와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3,4이동블럭(210)(220)에 고정되는 제3,4스토퍼(265)(275)와, 상기 제3,4스토퍼(265)(275)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P)의 타측면을 흡착하는 한쌍의 제3,4진공컵(266,267)(276,277)을 구비한다.
상기 각 한쌍의 제1,2가이드봉(130)(230) 사이에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2스크류(140)(2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봉(130) 및 제1스크류(140)는 한쌍의 제1지지판(151)(15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가이드봉(230) 및 제2스크류(240)는 한쌍의 제2지지판(251)(25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구동원은 작업자가 제1,2조절손잡이(180)(28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2스크류(140)(2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스크류(140)는 일측에 상기 제1이동블럭(110)이 나사결합되는 왼나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이동블럭(120)이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스크류(240)는 일측에 상기 제3이동블럭(210)이 나사결합되는 왼나부(2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4이동블럭(220)이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2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2조절손잡이(180)(280)의 회전으로 상기 제1,2스크류(140)(240)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 및 제3,4이동블럭(210)(220)은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되도록 이동된다.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 및 제3,4이동블럭(210)(220)의 이동은 크기가 다른 파우치(P)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제1,2스크류(140)(240)의 중앙부분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2베어링부(143)(243)가 형성되며, 상기 제1,2베어링부(143)(243)에는 공회전가능하게 제1,2고정블럭(190)(290)이 결합되고, 제1,2고정블럭(190)(290)에는 상기 제1,2가이드봉(130)(230)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블럭(190)에는 제5스토퍼(191) 및 제5진공컵(192)이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블럭(290)에는 상기 제5스토퍼(191) 및 제5진공컵(192)에 대향되는 제6스토퍼(291) 및 제6진공컵(292)이 배치된다.
상기 제1픽커부(160), 제2픽커부(170), 제3픽커부(260) 및 제4픽커부(27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파우치(P)의 상단부 가장자리 4군데를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제1픽커부(160)는 상기 제1이동블럭(110)에 고정된 제1고정픽커(161)와; 상기 제1이동블럭(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162a)과, 상기 제1피니언(16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고정픽커(161)에 맞접촉되는 제1회전픽커(162b)를 구비하는 제1회전체(162)와; 상기 제1피니언(162a)과 맞물리는 제1랙기어(163)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164);를 구비한다.
상기 제2픽커부(170)는 상기 제2이동블럭(120)에 고정된 제2고정픽커(171)와; 상기 제2이동블럭(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니언(172a)과, 상기 제2피니언(17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고정픽커(171)에 맞접촉되는 제2회전픽커(172b)를 구비하는 제2회전체(172)와; 상기 제2피니언(172a)과 맞물리는 제2랙기어(173)를 구비하는 제2실린더(174);를 구비한다.
상기 제3픽커부(260)는 상기 제3이동블럭(210)에 고정된 제3고정픽커(261)와; 상기 제3이동블럭(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피니언(262a)과, 상기 제3피니언(26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3고정픽커(261)에 맞접촉되는 제3회전픽커(262b)를 구비하는 제3회전체(262)와; 상기 제3피니언(262a)과 맞물리는 제3랙기어(263)를 구비하는 제3실린더(264);를 구비한다.
상기 제4픽커부(270)는 상기 제4이동블럭(220)에 고정된 제4고정픽커(271)와; 상기 제4이동블럭(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피니언(272a)과, 상기 제4피니언(27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4고정픽커(271)에 맞접촉되는 제4회전픽커(272b)를 구비하는 제4회전체(272)와; 상기 제4피니언(272a)과 맞물리는 제4랙기어(273)를 구비하는 제4실린더(274);를 구비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회전픽커(162b)와 제1고정픽커(16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일측 상단부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픽커(172b)와 제2고정픽커(17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일측 상단부 타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3회전픽커(262b)와 제3고정픽커(26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타측 상단부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4회전픽커(272b)와 제4고정픽커(27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타측 상단부 타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파우치(P)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진공흡착기(미도시)에 의해서 낱장의 파우치(P) 하단부가 진공흡착된 상태로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 사이로 공급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서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가 상호 근접되게 된다.
이때 제1스토퍼(165)와 제3스토퍼(265), 제2스토퍼(175)와 제4스토퍼(275), 제5스토퍼(191)와 제6스토퍼(291)가 상호 대향위치에서 파우치(P)를 사이에 두고 맞접하게 되며, 이어서 한쌍의 제1진공컵(166,167), 한쌍의 제2진공컵(176,177), 한쌍의 제3진공컵(266,267), 한쌍의 제4진공컵(276,2777) 및 한쌍의 제5진공컵(191,192)들에 진공압이 공급되어 파우치(P)의 양 측면부를 진공흡착하게 된다.
여기서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가 상호 근접되면서 상기 대향 배치된 각 스토퍼들이 맞접하게 되는 데, 예컨대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165)와 제3스토퍼(265)가 상호 맞접하게 되므로 대향 위치되는 유연한 재질의 한쌍의 제1진공컵(166,167)들이 진공흡착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1 내지 제5진공컵들의 단부와 상기 각 제1 내지 제6스토퍼들의 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일치되게 하여서, 상기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가 상호 근접되면서 상기 대향 배치된 각 스토퍼들이 맞접되도록 하여 각 진공컵들의 변형 자체가 방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반복적인 파우치(P)의 공급 및 진공흡착이 되더라도 각 진공컵의 변형에 따른 피로 파손을 방지하여 진공컵들의 교환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 1 내지 제6 스토퍼들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서 반복적인 상호 접촉시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가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서 상호 벌어지도록 이동되면서 파우치(P)가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각 실린더(164,174,264,274)들이 작동되어서 상기 각 제1회전픽커(162b), 제2회전픽커(172b), 제3회전픽커(262b) 및 제4회전픽커(262b)들이 회전되면서 파우치(P)의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를 각각 파지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픽커부(260)를 예로들면, 제3스토퍼(265)의 단부가 파우치(P)의 측면부에 접한 상태에서, 제3스토퍼(265)의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제3진공컵(266,267)들이 배치되므로, 파우치(P)를 진공흡착하게 되더라도 파우치(P)의 가장자리에 진공흡착에 따른 주름발생이 상기 종래보다도 확연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서 주름발생에 따른 파우치(P)의 가장자리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므로 제3회전픽커(262b)의 회전에 의한 파지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파우치(P)의 실링처리된 가장자리는 폭이 좁을 뿐만 아니라 파우치(P)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제3회전픽커(262b)의 단부도 좁은 폭임에도 불구하고, 유연한 재질의 파우치(P) 가장자리에서의 진공흡착에 따른 주름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픽커부(160), 제2픽커부(170), 제3픽커부(260) 및 제4픽커부(270)가 상기 파우치(P)의 상단부 4군데 가장자리를 동시에 파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각 가장자리에서의 진공흡착에 따른 주름변형이 방지되므로 각 픽커부들이 동일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서 파우치(P)에 내용물 투입시 안정적인 파지로 인하여 중량의 내용물에 따른 낙하를 방지하고, 투입후 밀봉시 수평상태의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포장품질을 향상시킨다.
100...제1그립퍼 110...제1이동블럭
120...제2이동블럭 130...제1가이드봉
140...제1스크류 160...제1픽커부
170...제2픽커부 180...제1조절손잡이
190...제1고정블륵 200...제2그립퍼
220...제4이동블럭 230...제2가이드봉
240...제2스크류 260...제3픽커부
270...제4픽커부 280...제2조절손잡이
290...제2고정블륵 300...턴테이블

Claims (5)

  1.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각 일단부가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쌍의 그립퍼와, 상기 각 쌍의 그립퍼를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여서, 파우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엠(M)형 파우치의 상단부 가장자리 네군데 위치를 상기 각 쌍의 그립퍼들이 파지하고 개봉시키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파우치 개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쌍의 그립퍼들은 상호 인접되어 배치되는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를 구비하며,
    상기 제1그립퍼(100)는 한쌍의 제1가이드봉(130)과, 상기 제1가이드봉(1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이동블럭(110)(120)과,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에 각각 탑재되며 상기 파우치(P)의 일측 상단부 좌우 두군데 위치를 파지하는 제1,2픽커부(160)(170)와, 상기 제1,2픽커부(160)(17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픽커부(160)(170)를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에 고정되는 제1,2스토퍼(165)(175)와, 상기 제1,2스토퍼(165)(175)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P)의 일측면을 흡착하는 한쌍의 제1,2진공컵(166,167)(176,177)을 구비하고,
    상기 제2그립퍼(200)는 한쌍의 제2가이드봉(230)과, 상기 제2가이드봉(2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4이동블럭(210)(220)과, 상기 제3,4이동블럭(210)(220)에 각각 탑재되며 상기 제1,2픽커부(160)(170)와 대향되어 배치되어서 상기 파우치(P)의 타측 상단부 좌우 두군데 위치를 파지하는 제3,4픽커부(260)(270)와, 상기 제3,4픽커부(260)(27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4픽커부(260)(270)를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2스토퍼(165)(175)와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3,4이동블럭(210)(220)에 고정되는 제3,4스토퍼(265)(275)와, 상기 제3,4스토퍼(265)(275)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P)의 타측면을 흡착하는 한쌍의 제3,4진공컵(266,267)(276,277)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한쌍의 제1,2가이드봉(130)(230) 사이에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2스크류(140)(240)를 구비하되,
    상기 제1스크류(140)는 일측에 상기 제1이동블럭(110)이 나사결합되는 왼나사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이동블럭(120)이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스크류(240)는 일측에 상기 제3이동블럭(210)이 나사결합되는 왼나사부(2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4이동블럭(220)이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242)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2스크류(140)(24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2이동블럭(110)(120) 및 제3,4이동블럭(210)(220)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되도록 이동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스크류(140)(240)의 중앙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2베어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봉(130)(230)에 결합되고 상기 제1,2베어링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고정블럭(190)(290)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블럭(190)에 제5스토퍼(191) 및 제5진공컵(192)이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블럭(290)에 상기 제5스토퍼(191) 및 제5진공컵(192)에 대향되는 제6스토퍼(291) 및 제6진공컵(292)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픽커부(160)는 상기 제1이동블럭(110)에 고정된 제1고정픽커(161)와; 상기 제1이동블럭(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162a)과, 상기 제1피니언(16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고정픽커(161)에 맞접촉되는 제1회전픽커(162b)를 구비하는 제1회전체(162)와; 상기 제1피니언(162a)과 맞물리는 제1랙기어(163)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164);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픽커부(170)는 상기 제2이동블럭(120)에 고정된 제2고정픽커(171)와; 상기 제2이동블럭(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니언(172a)과, 상기 제2피니언(17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고정픽커(171)에 맞접촉되는 제2회전픽커(172b)를 구비하는 제2회전체(172)와; 상기 제2피니언(172a)과 맞물리는 제2랙기어(173)를 구비하는 제2실린더(174);를 구비하고,
    상기 제3픽커부(260)는 상기 제3이동블럭(210)에 고정된 제3고정픽커(261)와; 상기 제3이동블럭(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피니언(262a)과, 상기 제3피니언(26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3고정픽커(261)에 맞접촉되는 제3회전픽커(262b)를 구비하는 제3회전체(262)와; 상기 제3피니언(262a)과 맞물리는 제3랙기어(263)를 구비하는 제3실린더(264);를 구비하고,
    상기 제4픽커부(270)는 상기 제4이동블럭(220)에 고정된 제4고정픽커(271)와; 상기 제4이동블럭(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피니언(272a)과, 상기 제4피니언(272a)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4고정픽커(271)에 맞접촉되는 제4회전픽커(272b)를 구비하는 제4회전체(272)와; 상기 제4피니언(272a)과 맞물리는 제4랙기어(273)를 구비하는 제4실린더(274);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회전픽커(162b)와 제1고정픽커(16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일측 상단부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픽커(172b)와 제2고정픽커(17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일측 상단부 타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3회전픽커(262b)와 제3고정픽커(26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타측 상단부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4회전픽커(272b)와 제4고정픽커(271) 사이에 상기 파우치(P)의 타측 상단부 타측 가장자리가 파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내지 제6진공컵들의 단부와 상기 각 제1 내지 제6스토퍼들의 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일치되게 하여서, 상기 제1그립퍼(100)와 제2그립퍼(200)가 상호 근접되면서 상기 대향 배치된 각 진공컵들이 파우치를 진공흡착할때 변형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KR1020180020884A 2018-02-22 2018-02-22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KR10203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84A KR102030917B1 (ko) 2018-02-22 2018-02-22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84A KR102030917B1 (ko) 2018-02-22 2018-02-22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15A KR20190101015A (ko) 2019-08-30
KR102030917B1 true KR102030917B1 (ko) 2019-11-08

Family

ID=6777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884A KR102030917B1 (ko) 2018-02-22 2018-02-22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52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솔팩 자동포장기의 포장백 개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77A (ja) 2004-04-02 2005-10-20 Furukawa Mfg Co Ltd ロータリ式袋詰め包装装置
JP2006044694A (ja) 2004-08-02 2006-02-16 Furukawa Mfg Co Ltd ロータリ式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包袋の開口方法及び装置
KR101311423B1 (ko) 2013-03-05 2013-09-25 정훈 포장용기 벌림장치
KR101487283B1 (ko) 2013-08-13 2015-01-29 주식회사 한독자동기 로터리 방식 포장기용 그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310B2 (en) 2002-09-24 2005-04-19 Yakima Packaging Automation, Inc. Method for automatic bale bag loading
KR20080047308A (ko) 2007-11-28 2008-05-28 (주)제일자동포장기계 엠 포장지용 자동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77A (ja) 2004-04-02 2005-10-20 Furukawa Mfg Co Ltd ロータリ式袋詰め包装装置
JP2006044694A (ja) 2004-08-02 2006-02-16 Furukawa Mfg Co Ltd ロータリ式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包袋の開口方法及び装置
KR101311423B1 (ko) 2013-03-05 2013-09-25 정훈 포장용기 벌림장치
KR101487283B1 (ko) 2013-08-13 2015-01-29 주식회사 한독자동기 로터리 방식 포장기용 그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52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솔팩 자동포장기의 포장백 개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15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4047A (zh) 一种全自动包装方法
KR101731582B1 (ko) 로터리 포장기
EP2666726A2 (en) Filling and sealing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and sealing of a bag
KR101256350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US3715858A (en) Valve bag placer
CN107878820B (zh) 包装袋智能自动分垛调头堆叠装置及自动包装生产线
CN110315566B (zh) 一种用于抓取工作的工业机器人
JP2019517963A (ja) カートンに緩衝要素を梱包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ITMI20131355A1 (it) Macchina, procedimento, contenitore ed involucro per confezionare prodotti di forma tetraedrica
US202201619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rienting and/or displacing a sterile object packaged in a film bag relative to the film bag
CN113002874B (zh) 医药、军工、化工自动给袋灌装扎袋一体式设备
KR102030917B1 (ko)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EA016014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клады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сжимаемого типа в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узел
KR101487283B1 (ko) 로터리 방식 포장기용 그립장치
CN107804536B (zh) 包装袋自动分装包装生产线
JP2018515402A (ja) パウチを移動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14085037U (zh) 果仁灌装装置
JP2017222402A (ja) 袋詰め包装機
KR102353155B1 (ko) 자루공급장치
JP5474672B2 (ja) 物品把持装置
KR102546199B1 (ko)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CN107892026B (zh) 包装袋自动拆口装袋装置及自动包装生产线
CN107235187B (zh) 一种轴管件制袋装袋机
RU26769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мешков машины для наполнения мешков
JP2789315B2 (ja) 袋詰め包装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