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99B1 -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99B1
KR102546199B1 KR1020200150562A KR20200150562A KR102546199B1 KR 102546199 B1 KR102546199 B1 KR 102546199B1 KR 1020200150562 A KR1020200150562 A KR 1020200150562A KR 20200150562 A KR20200150562 A KR 20200150562A KR 102546199 B1 KR102546199 B1 KR 10254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artridge
conveyor
package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253A (ko
Inventor
이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팩
이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팩, 이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to KR102020015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 B65H29/1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1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 B65H29/3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from pneumatic, e.g. suction,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인 패키지도 그립퍼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습기 또는 정전기에 관계없이 낱장의 패키지를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A pakage supply device for automatic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인 패키지도 그립퍼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습기 또는 정전기에 관계없이 낱장의 패키지를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제품 양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존 라인방식의 제품 포장에서 벗어나 정해진 원호궤적을 따라 테이블이 간헐적으로 회전(step motion)하면서 제품의 포장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가 사용되고 있다.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는 파우치(pouch)와 같은 포장용기 공급, 포장대상 내용물 계량 및 용기내 내용물 충전, 용기 입구의 봉합 등의 일련의 과정이 원호궤적을 따라 단계별로 자동 수행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로타리 타입 포장기는 그립퍼(gripper;2b)에 파우치(P)와 같은 포장용기를 홀딩시키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해서, 홀딩된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충전시키기 위해 포장용기의 입구를 개방시키는 과정, 입구가 개방된 포장용기 내에 충전노즐을 통해 내용물을 충전하는 과정, 내용물 충전 후 씰링 바(sealing-bar)를 이용해 포장용기 입구를 봉합하는 과정 및 봉합이 완료된 포장용기 입구를 냉각시켜 포장을 완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테이블(10) 상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로터리 포장기에 있어서, 포장백(P)을 그립퍼(2)에 공급하는 공급부(가)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백(P)이 적층되어 수용된 카트리지(20)로부터 포장백(P)을 진공컵(22)으로 흡착하여 들어올린후 포착장치(30)로 포착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진공컵(22)은 공압호스(21)를 통하여 진공발생기(Vacuum ejector)와 연결되고 지렛대축(11), 승강로드(12)및 흡착지지대(13)로 구성된 흡착장치에 장착되는 것이며, 포장백(P)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진공컵(22)이 가장 위에 적재된 포장백(P) 표면에 접하게 되면 흡착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하나씩 흡착된 포장백(P)을 진공컵(22)이 약간 들어올리면, 진공컵(22)과 연동되는 포착장치(30)에 의하여 포장백(P)이 포착되어 그립퍼(2)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착공정이 최적(最適)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진공컵(22)으로 포장백(P)을 흡착할 때 가장 위에 적재된 포장백(P) 1개에만 흡착력이 작용하게 되어 1회 작동에 단 1개의 포장백(P)만이 포착된다.
그러나 적재된 포장백(P) 사이에는 취급과정에서 습기에 의해 또는 정전기가 발생하여 도 3에서와 같이, 1회 작동에 다수의 포장백(P)이 포착됨에 따라 이후 공정에서 개구불량 및 제품충전불량 등으로 이어져 포장백(P) 손실과 내용물 손실등이 자주 발생되어 포장작업에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포장기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한국특허등록 제10-1256350호에 공고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봉지(51)를 컨베이어(121)에 뉘어서 서로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이송시키고 수평구간(126a)을 갖는 마찰벨트(126)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수평구간(126a)으로부터 이탈한 최상부의 봉지를 진공흡착판(123)이 흡착할때 하측의 봉지들은 마찰벨트(126)에 눌리게 되어서, 겹쳐진 봉지들 사이에 습기 또는 정전기등에도 불구하고 컨베이어(121)에 잔류하게 되므로 정전기에 의한 복수의 봉지들이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특허는 봉지(51)들의 가장자리가 컨베이어(121)의 가이드벽(121a,121b)에 안내되어 공급되는 것인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사선(斜線)인 봉지의 경우 컨베이어(121)에 안내될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봉지의 선단부가 진공흡착판(123)에 의한 흡착시 삐뚤게 흡착하게 되므로, 그립퍼의 파지가 불량하게 되고 내용물의 충전시 내용물이 외부로 흘리게 되어 정량 충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563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인 패키지도 그립퍼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습기 또는 정전기에 관계없이 낱장의 패키지를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쌍의 그립퍼에 패키지의 양측 단부를 파지하도록 패키지를 공급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를 뉘어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과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패키지들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에 상기 패키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카트리지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패키지를 수용시키는 수용수단과;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최하부의 패키지를 취출하는 패키지 취출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와 턴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된 패키지를 상기 그립퍼 사이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상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상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와, 상기 경사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패키지를 진공흡착하고 상기 카트리지 상부에서 진공흡착을 해제시키는 제1흡착실린더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흡착실린더의 이송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진공흡착 해제된 패키지의 선단부가 상기 카트리지에 충돌된 후 낙하되어 수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패키지를 진공흡착하여 상기 제1흡착실린더에 진공흡착되도록 전달하는 제2흡착실린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좌,우로 이송력을 부여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며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패키지들중 최하부의 패키지를 진공흡착하여 취출하는 제3흡착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제3흡착실린더가 상기 적층된 패키지들을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들어올린 후 하강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공급장치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일단을 중심으로 동력원에 의해서 회동되는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부에 그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취출된 패키지의 선단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된 회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링크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를 구비하여서,
상기 회동링크의 회동으로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패키지가 상기 그립퍼 사이에 이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진공흡착 해제된 패키지의 선단부가 충돌되며 고정된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며 하단에 상기 지지턱이 형성된 한쌍의 측벽과, 상기 한쌍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벽과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후벽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패키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수용부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패키지 공급장치는 컨베이어(200)로 1차적으로 공급되는 패키지들을 카트리지(300)에 2차적으로 수용한 후 카트리지 하부에서 패키지를 취출하여 공급함으로써,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斜線)인 패키지도 그립퍼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키지를 비스듬히 경사 비행시킨 후 카트리지에 충돌하여 수용되게 함으로써, 습기 또는 정전기에 관계없이 낱장의 패키지를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패키지 공급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종래 다른 공급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가장자리가 사선(斜線) 형태를 가지는 패키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패키지를 종래 공급장치로 공급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패키지의 공급과정을 설명하는 본 발명 공급장치의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
도 10은 카트리지로부터 패키지를 취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11은 제1,2흡착실린더가 흡착되는 패키지의 흡착부분을 설명하는 개략도.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는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斜線)인 패키지도 그립퍼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습기 또는 정전기에 관계없이 낱장의 패키지를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패키지 공급장치는 턴테이블(100)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그립퍼(110)에 패키지(50)의 양측 단부를 파지하도록 패키지(5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 패키지 공급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5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斜線)인 경우에도 패키지(50)를 그립퍼(110)에 수평상태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패키지 공급장치는 패키지(50)를 뉘어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00)와; 상기 턴테이블(100)과 컨베이어(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00)로부터 이송되는 패키지(50)들이 수용되는 카트리지(300)와; 상기 컨베이어(200)로부터 상기 카트리지(300)에 상기 패키지(50)를 수용시키는 수용수단과; 상기 카트리지(300)로부터 최하부의 패키지(50)를 취출하는 패키지 취출수단과; 상기 카트리지(300)와 턴테이블(1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된 패키지(50)를 상기 그립퍼(110) 사이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한다.
도 8a,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3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후술하는 진공흡착 해제된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충돌되며 고정된 고정벽(301)과, 상기 고정벽(301)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며 하단에 각각 패키지(50)를 지지하는 지지턱(302a)(303a)이 형성된 한쌍의 측벽(302)(303)과, 상기 한쌍의 측벽(302)(30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벽(301)과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후벽(304)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패키지(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300)의 수용부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 810은 한쌍의 측벽(302)(303)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폭조절용 핸들이고, 참조번호 820은 상기 후벽(304)을 이동시키는 길이조절용 핸들로서 상기 고정벽(301)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패키지의 길이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200)로부터 상기 카트리지(300)에 패키지(50)를 수용시키는 상기 수용수단은 상기 컨베이어(200) 상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400)와, 상기 경사컨베이어(400)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되며 상기 컨베이어(200)의 패키지(50)를 진공흡착하고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에서 진공흡착을 해제시키는 제1흡착실린더(5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200)의 패키지(50)를 진공흡착하여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에 진공흡착되도록 전달하는 제2흡착실린더(520)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521은 제2흡착실린더(520)를 승강시키는 승강액튜에이터이다.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는 상기 경사컨베이어(400)의 하측에 고정되어서, 상기 경사컨베이어(400)의 왕복 주행에 따라 패키지(50)를 흡착한 상태에서는 컨베이어(200) 상부로부터 카트리지(300) 상부로 점차적으로 하강되는 주행경로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는 패키지(50)를 흡착시킨 상태에서 하강 주행하다가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의 중간부분 위치에서 진공흡착력을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 패키지(50)는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의 하강 주행 관성력에 의해서 하강 전진 비행하다가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상기 카트리지(300)의 고정벽(301)에 충돌된 후 낙하되어 카트리지(300)에 적층하여 수용되게 된다.
도 8a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카트리지(300)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실린더(610)와, 상기 승강실린더(61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좌,우로 이송력을 부여하는 액튜에이터(620)와, 상기 액튜에이터(620)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며 상기 카트리지(300)에 수용된 패키지(50)들중 최하부의 패키지를 진공흡착 또는 진공흡착 해제하는 제3흡착실린더(530)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630은 액튜에이터(62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이며, 이동블럭(620)에 상기 제3흡착실린더(530)가 탑재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610)는 상기 제3흡착실린더(530)가 상기 적층된 패키지(50)들을 상기 지지턱(302a)(303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들어올린 후 하강되도록 작동되며, 최하부의 패키지(50)를 진공 흡착한 제3흡착실린더(530)는 상기 액튜에이터(620)에 의해서 상기 이송수단측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 이송되게 된다.
도 8d 및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수단은 일단을 중심으로 동력원에 의해서 회동되는 메인링크(710)와, 상기 메인링크(710)의 타단부에 그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취출된 패키지의 선단을 파지하는 파지부(721)가 형성된 회동링크(720)와, 일단이 상기 회동링크(72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링크(7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링크(710)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링크(720)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730)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회동링크(720)의 회동으로 상기 파지부(721)에 파지된 수평상태의 패키지(50)를 상기 그립퍼(110) 사이에 수직상태로 위치되도록 이송시킨다.
상기 제1,2,3흡착실린더(510,520,530)는 진공이 공급 및 배기되며 패키지(50)와 접촉되는 연질의 흡착패드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패키지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도 8a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폭조절 핸들(810)과 길이조절 핸들(820)을 조절하여 측벽(302)(303)과 후벽(304)을 이동시켜서 패키지(50)의 크기에 맞도록 카트리지(300)의 크기를 조절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컨베이어(200)를 통하여 패키지(50)들이 공급되면, 상기 승강액튜에이터(521)가 작동하여 제2흡착실린더(520)가 하강되면서 패키지(50)를 흡착하여 상승시키고, 제1흡착실린더(510)에 패키지(50)가 흡착되도록 한다..
이때 도 11을 참조하면, 패키지(50)의 중앙부분(가)에 제2흡착실린더(520)가 흡착되고 선단부분(나)에 제1흡착실린더(510)가 흡착된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로부터 상기 제2흡착실린더(520)에 패키지(50)가 이전되어 흡착되면, 상기 경사컨베이어(400)가 작동되어 패키지(50)를 흡착한 제2흡착실린더(520)를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하향 주행시킨다.
하향 주행되는 제2흡착실린더(520)가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의 중간지점에이를때 제2흡착실린더(520)의 진공흡착을 해제하게 되면, 패키지(50)는 제2흡착실린더(52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관성력에 의해서 비행하면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카트리지(300)의 고정벽(301)에 비스듬하게 충돌되게 되며, 충돌된 패키지(50)는 서서히 낙하하여 적층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00)로부터 패키지(50)를 흡착할때, 습기나 정전기 등에 의해서 2장의 패키지(50)가 한꺼번에 이송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비행 관성력에 의해서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벽(301)에 충돌되면서 2장의 패키지가 분리되게 되며 하강되면서 공기저항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거나 정전기가 소멸하게 되어 낱장의 패키지가 그립퍼(110)측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300)에 패키지(50)가 수용되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610)가 가동되어 상기 액튜에이터(620), 이동블럭(630) 및 제3흡착실린더(53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8b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흡착실린더(530)는 상기 적층된 패키지(50) 전체를 들어올리도록 카트리지(300) 내측으로 진입된 후, 상기 승강실린더(610)의 하강작동에 의해서 하강되면서 최하부의 패키지(50)를 진공흡착하여 카트리지(300)로부터 취출해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3흡착실린더(530)가 상기 적층된 패키지(50) 전체를 들어올리도록한 후 하강되면서 최하부의 패키지를 취출해내도록 함으로써, 상부측에 적층된 패키지(50)들과 카트리지(300)의 지지턱(302a)(303a) 사이에서 취출하고자 하는 패키지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취출불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흡착실린더(530)에 의해 패키지(50)가 취출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튜에이터(620)에 의해 상기 제3흡착실린더(530)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카트리지(300)의 하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파지부(721)에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패키지(50)의 선단부를 파지부(721)가 파지하게 되면, 상기 메인링크(710) 및 회동링크(720)가 회동되면서 패키지(50)를 그립퍼(110) 사이에서 수직으로 세워 공급함으로써 한쌍의 그립퍼(110)가 패키지(50)의 양단부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패키지 공급장치는 양측 가장자리가 사선인 패키지도 그립퍼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습기 또는 정전기에 관계없이 낱장의 패키지를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100...턴테이블 110...그립퍼
200...컨베이어 300...카트리지
400...경사컨베이어 510,520,530...제1,2,3흡착실린더

Claims (5)

  1. 턴테이블(100)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쌍의 그립퍼(110)에 패키지(50)의 양측 단부를 파지하도록 패키지(50)를 공급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50)를 뉘어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00)와;
    상기 턴테이블(100)과 컨베이어(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00)로부터 이송되는 패키지(50)들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에 상기 패키지(50)를 지지하는 지지턱(302a)(303a)이 형성된 카트리지(300)와;
    상기 컨베이어(200)로부터 상기 카트리지(300)에 상기 패키지(50)를 수용시키는 수용수단과;
    상기 카트리지(300)로부터 최하부의 패키지(50)를 취출하는 패키지 취출수단과;
    상기 카트리지(300)와 턴테이블(1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된 패키지(50)를 상기 그립퍼(110) 사이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수단은;
    상기 컨베이어(200) 상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400)와, 상기 경사컨베이어(400)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되며 상기 컨베이어(200)의 패키지(50)를 진공흡착하고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측 중간부분에서 진공흡착을 해제시키는 제1흡착실린더(51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의 하강 주행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진공흡착 해제된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상기 카트리지(300)에 충돌된 후 낙하되어 적층 수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200)의 패키지(50)를 진공흡착하여 상기 제1흡착실린더(510)에 진공흡착되도록 전달하는 제2흡착실린더(5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카트리지(300)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실린더(610)와,
    상기 승강실린더(61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좌,우로 이송력을 부여하는 액튜에이터(620)와,
    상기 액튜에이터(620)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며 상기 카트리지(300)에 수용된 패키지(50)들중 최하부의 패키지를 진공흡착 또는 진공흡착 해제하는 제3흡착실린더(530)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실린더(610)는 상기 제3흡착실린더(530)가 상기 적층된 패키지(50)들을 상기 지지턱(302a)(303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들어올린 후 하강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일단을 중심으로 동력원에 의해서 회동되는 메인링크(710)와,
    상기 메인링크(710)의 타단부에 그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취출된 패키지의 선단을 파지하는 파지부(721)가 형성된 회동링크(720)와,
    일단이 상기 회동링크(72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링크(7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링크(710)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링크(720)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730)를 구비하여서,
    상기 회동링크(720)의 회동으로 상기 파지부(721)에 파지된 패키지(50)가 상기 그립퍼(110) 사이에 이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는 진공흡착 해제된 패키지(50)의 선단부가 충돌되며 고정된 고정벽(301)과,
    상기 고정벽(301)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며 하단에 상기 지지턱(302a)(303a)이 형성된 한쌍의 측벽(302)(303)과,
    상기 한쌍의 측벽(302)(30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벽(301)과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후벽(304)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패키지(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300)의 수용부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KR1020200150562A 2020-11-11 2020-11-11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KR10254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62A KR102546199B1 (ko) 2020-11-11 2020-11-11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62A KR102546199B1 (ko) 2020-11-11 2020-11-11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53A KR20220064253A (ko) 2022-05-18
KR102546199B1 true KR102546199B1 (ko) 2023-06-28

Family

ID=8180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562A KR102546199B1 (ko) 2020-11-11 2020-11-11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1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121A (ja) 1999-08-09 2001-02-20 Toyo Jidoki Co Ltd 空袋供給装置
JP2004359310A (ja) 2003-06-06 2004-12-24 General Packer Co Ltd 包装袋の供給装置
KR100505747B1 (ko) 2005-03-10 2005-08-03 주식회사리팩 부착물을 갖는 백의 자동 공급장치
JP2018197159A (ja) 2017-05-24 2018-12-1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搬送方法及び袋搬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350B1 (ko) 2013-02-18 2013-04-25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121A (ja) 1999-08-09 2001-02-20 Toyo Jidoki Co Ltd 空袋供給装置
JP2004359310A (ja) 2003-06-06 2004-12-24 General Packer Co Ltd 包装袋の供給装置
KR100505747B1 (ko) 2005-03-10 2005-08-03 주식회사리팩 부착물을 갖는 백의 자동 공급장치
JP2018197159A (ja) 2017-05-24 2018-12-1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搬送方法及び袋搬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53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7171B2 (ja) 空袋供給方法及び空袋供給装置
KR101256350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CA2255090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 particular, soft film packs
US6128887A (en) Method for packaging flat articles
JP2014218281A (ja) 包装機における包装袋供給装置
JPH11189201A (ja) 袋詰め装置および方法
CN111498154A (zh) 包装系统
CN113734544A (zh) 一种试剂盒包装设备
CN105438545A (zh) 包装一体机
KR20180005372A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파우치 공급장치
EP1410995A1 (en) A machine for packing cartons containing bottles separated by separators
JP5197093B2 (ja) 空袋供給方法及び空袋供給装置
KR102546199B1 (ko) 자동 포장기의 패키지 공급장치
KR20190027331A (ko) 삼각 샌드위치용 포장기 및 삼각 샌드위치의 포장 방법
JPH0285113A (ja) 所定の数のスライドファスナを束に形成する装置
JP2011073777A (ja)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放出補助装置
KR101733282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CN117642341A (zh) 用于袋装产品的包装机器
JP2750981B2 (ja) 搬送物整列装置及び搬送物箱詰装置
JP5474672B2 (ja) 物品把持装置
KR102030917B1 (ko)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KR20230148609A (ko) 로터리 자동포장기의 파우치 공급장치
JP2005523221A (ja) 袋用ホッパー内に積み重ねられた袋を取り上げ、単独にし、開くための装置。
CN215884281U (zh) 一种试剂盒包装用袋子供料装置
CN215972330U (zh) 一种试剂盒包装用装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