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560B1 -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560B1
KR101867560B1 KR1020160131274A KR20160131274A KR101867560B1 KR 101867560 B1 KR101867560 B1 KR 101867560B1 KR 1020160131274 A KR1020160131274 A KR 1020160131274A KR 20160131274 A KR20160131274 A KR 20160131274A KR 101867560 B1 KR101867560 B1 KR 10186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ap
injection port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907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6013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5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8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는: 파우치공급부에서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주입구를 걸어주는 설치홈부가 형성되고, 동력부에 의해 플레이트 상에서 스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과, 파우치공급부와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회전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파우치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테이블과, 파우치공급부에 인접 배치되고, 설치홈부에 걸려 회전된 주입구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와, 충진부에 인접 배치되어 설치홈부에 걸려 회전된 주입구를 막은 상태로 주입구 둘레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세척부에 인접 배치되어 주입구에 캡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캡을 접촉 회전시켜 주입구에 결합하는 선행캡조립부와, 선행캡조립부에 의해 가조립된 캡을 캡실링부를 통해 밀봉한 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ROTARY TYPE MANUFACTURE DEVICE FOR POUCH MERCHANDISE}
본 발명은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회전테이블의 설치홈부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시키고, 회전동력을 충진부의 승강동작으로 전환하여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며, 파우치의 주입구를 세척부로 덮어 세척을 수행하고, 공급된 캡을 파우치의 주입구에 안착시킨 후 선행캡조립부에 의해 캡을 접촉회전시켜 조여주며, 캡실링부의 승강동작으로 캡을 파우치 주입구에 밀봉하며, 포장 완료된 파우치 제품을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회전테이블의 순차적인 스텝 회전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파우치 제품의 제조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우트 파우치(SPOUT POUCH, 이하, 피우치라 함)라 함은 합성수지 소재의 파우치용기 부분과 그 상측의 주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파우치용기와 주입구는 서로 잘 결합되어 있어서 액상의 내용물을 담고 캡(CAP)을 막으면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파우치는 유연성이 커서 특정한 형상으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포장 및 휴대성이 좋아서 근래에는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파우치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커서 특정한 형상으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공급장치나 일반적인 내용물 충진수단을 그대로 적용하여 생산하기 어렵고, 다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생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파우치용기를 자동을 공급하고, 충진노즐을 통해 내용물을 파우치 주입구로 충진하며, 캡을 덮은 후 조여 밀봉하고, 파우치 제품을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직선으로 배열된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파우치 제조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므로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028호(2002.08.22, 발명의 명칭: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파우치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회전테이블의 설치홈부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시키고, 회전동력을 충진부의 승강동작으로 전환하여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며, 파우치의 주입구를 세척부로 덮어 세척을 수행하고, 공급된 캡을 파우치의 주입구에 안착시킨 후 선행캡조립부에 의해 캡을 접촉회전시켜 조여주며, 캡실링부의 승강동작으로 캡을 파우치 주입구에 밀봉하며, 포장 완료된 파우치 제품을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회전테이블의 순차적인 스텝 회전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파우치 제품의 제조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는, 파우치공급부에서 공급된 파우치용기의 주입구를 걸어주는 설치홈부가 형성되고, 동력부에 의해 플레이트 상에서 스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 상기 파우치공급부와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회전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파우치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테이블; 상기 파우치공급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설치홈부에 걸려 회전된 상기 주입구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 상기 충진부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설치홈부에 걸려 회전된 상기 주입구를 막은 상태로 주입구 둘레를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 입접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에 캡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캡을 접촉 회전시켜 주입구에 결합하는 선행캡조립부; 및 상기 선행캡조립부에 의해 가조립된 캡을 캡실링부를 통해 밀봉한 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공급부는, 상기 파우치용기를 프레임에 일렬로 다수 배열하는 파우치봉부재; 상기 파우치봉부재를 너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체인이송부재; 상기 체인이송부재에 의해 너비방향으로 이송한 상기 파우치봉부재를 그립퍼로 집어 1개 또는 2개씩 승강하여 이송하는 승강그립퍼부재; 상기 승강그립퍼부재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우치봉부재에 걸려 있는 상기 파우치용기를 1열 또는 2열로 순차적으로 밀어 상기 회전테이블의 설치홈부에 삽입 장착하는 파우치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전달부재; 상기 구동전달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전달부재에 동력연결부재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동전달부재; 상기 피동전달부재의 중심부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단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분배 전달하는 동력분배부; 및 상기 동력분배부의 출력측에 구비되고, 승강축을 통해 상기 충진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캡실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분배부는, 상기 입력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베벨기어; 상기 구동베벨기어가 치합되고,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베벨기어; 및 상가 회전베벨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입력축에 대해 설정 각도로 배치되는 출력축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를 작동하는 피동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동력분배부의 출력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캠홈에 캠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을 승강 작동하도록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부재; 상가 연결부재에 축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양측에 한 쌍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승강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롤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승강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세척 또는 부품의 수리를 위해 작동되는 간격유지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동력분배부의 출력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베벨기어; 상기 승강베벨기어에 치합되어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피승강베벨기어; 상기 피승강베벨기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캠면이 형성되는 캠부재; 상기 캠면에 안착되는 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승강축을 승강 작동하는 승강작동부재;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의 중심부에 스플라인결합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스플라인축;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를 승강하여 세척 또는 부품을 수리를 위해 작동되는 간격유지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부는, 승강축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주입구와 결합되어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공급부재; 및 상기 내용물공급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주입하는 충진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승강축에 결합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바디부재의 내경과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내측설치부재; 상기 내측설치부재의 중심에 삽입설치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주입구를 차단시키는 차단부재;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세척액 유입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주입구에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행캡조립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장착브라켓에서 일측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곡률에 대응하는 설치면을 갖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설치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에 설치홈부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상기 주입구에 결합된 상기 캡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캡을 회전 조립하는 연성재질의 접촉부재; 및 상기 힌지축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대해 상기 회전브라켓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캡에 대한 상기 접촉부재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파우치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된 캡을 미는 푸쉬부재를 구비하는 푸쉬실린더; 상기 푸쉬실린더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진 파우치용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이탈방지테이블에 형성된 인출구멍; 상기 인출구멍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파우치용기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부재; 및 상기 안내관부재에 의해 이동한 파우치용기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는, 파우치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회전테이블의 설치홈부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시키고, 회전동력을 충진부의 승강동작으로 전환하여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며, 파우치의 주입구를 세척부로 덮어 세척을 수행하고, 공급된 캡을 파우치의 주입구에 안착시킨 후 선행캡조립부에 의해 캡을 접촉회전시켜 조여주며, 캡실링부의 승강동작으로 캡을 파우치 주입구에 밀봉하며, 포장 완료된 파우치 제품을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회전테이블의 순차적인 스텝 회전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파우치 제품의 제조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회전 구성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동력 전달 관련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로서, 일 예에 따른 캠승강부를 갖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일 예에 따른 캠승강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정면도로서, 다른 예에 따른 캠승강부를 갖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다른 예에 따른 캠승강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서 세척부의 승강 및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서 선행캡조립부를 보인 좌측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서 배출부의 상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의 회전 구성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동력 전달 관련 구성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정면도로서, 일 예에 따른 캠승강부를 갖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서 일 예에 따른 캠승강부의 좌측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정면도로서, 다른 예에 따른 캠승강부를 갖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다른 예에 따른 캠승강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서 세척부의 승강 및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서 선행캡조립부를 보인 좌측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에서 배출부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는, 파우치공급부(100)에서 공급된 파우치용기(10)의 주입구(20)를 걸어주는 설치홈부(210)가 형성되고, 동력부(300)에 의해 플레이트(2) 상에서 스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200)와, 파우치공급부(100)와 연결 부위를 제외한 회전테이블(200)의 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파우치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테이블(250)와, 파우치공급부(100)에 인접 배치되고, 설치홈부(210)에 걸려 회전된 주입구(20)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400)와, 충진부(400)에 인접 배치되어 설치홈부(210)에 걸려 회전된 주입구(20)를 막은 상태로 주입구(20) 둘레를 세척하는 세척부(500)와, 세척부(500)에 인접 배치되어 주입구(20)에 캡공급부(580)에 의해 공급된 캡(30)을 접촉 회전시켜 주입구(20)에 결합하는 선행캡조립부(600)와, 선행캡조립부(600)에 의해 가조립된 캡(30)을 캡실링부(660)를 통해 밀봉한 후 배출하는 배출부(700);를 포함한다.
스파우트 파우치(이하, 파우치라 함)는 내용물을 담는 비닐팩으로 형성된 파우치용기(10)와, 파우치용기(10)의 출입구 부분에 형성되는 주입구(20)와, 주입구(20)에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어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는 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우치는 얇고 플렉시블한 비닐팩인 파우치용기(10)에 내용물이 담기므로 변형성 및 휴대성이 우수하여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음료용기이다.
파우치용기(10)는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파우치공급부(100)는, 파우치용기(10)를 프레임(110)에 일렬로 다수 배열하는 파우치봉부재(120)와, 파우치봉부재(120)를 너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체인이송부재(130)와, 체인이송부재(130)에 의해 너비방향으로 이송한 파우치봉부재(120)를 그립퍼로 집어 1개 또는 2개씩 승강하여 이송하는 승강그립퍼부재(140)와, 승강그립퍼부재(140)에 의해 이송된 파우치봉부재(120)에 걸려 있는 파우치용기(10)를 1열 또는 2열로 순차적으로 밀어 회전테이블(200)의 설치홈부(210)에 삽입하여 주입구(20)를 걸어주는 파우치푸쉬부재(150);를 포함한다.
파우치봉부재(1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봉에 하단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파우치용기(10)의 주입구(20)가 걸려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우치봉부재(120)에는 대략 50개 정도의 파우치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체인이송부재(130)는 프레임(110)의 너비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 파우치봉부재(130)를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즉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인이송부재(130)는 구동모터(132)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134)과, 구동스프로킷(134)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피동스프로킷(136)과, 구동스프로킷(134)과 피동스프로킷(136)에 치합되어 파우치봉부재(120)를 너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체인부재(137)를 포함한다.
승강그립퍼부재(140)는 집게 형태의 한 쌍의 그립퍼(142)를 이용하여 파우치봉부재(120)를 잡고서 상하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하고, 좌우실린더를 이용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너비방향으로 이송한 후 다시 하강하여 안착시키고, 파우치푸쉬부재(150)를 이용하여 2열로 안내레일부재(160)를 따라 순차적으로 밀어줌으로써, 회전테이블(200)의 설치홈부(210)에 주입구(20)를 삽입하여 걸어줄 수 있다.
안내레일부재(160)는 파우치용기(100)를 직진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회전테이블(200)의 설치홈부(210)에 주입구(20)가 걸려져 설치될 때 2열로 이송되는 파우치용기(10)가 종심으로 약간 꺽여 오므려지면서 이송하도록 단부가 굴곡 형성된다.
회전테이블(200)는 플레이트(2)의 중심부 하측에 설치된 동력부(300)의 구동부(305)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중심축(220)이 회전되고, 이 회전중심축(220)의 상단부에 결합된 회전테이블(200)가 스텝 회전하면서 각각의 공정으로 파우치용기(10)를 이송시킨다.
이탈방지테이블(2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공급부(100)의 안내레일부재(160)를 제외한 전체 둘레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설치홈부(210)에 공급되는 파우치용기(10)의 주임구(20)가 걸려진 상태로 이송할 때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력부(300)는, 구동부(305)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전달부재(310)와, 구동전달부재(310)에 동력연결부재(31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동전달부재(320)와, 피동전달부재(320)의 중심부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입력축(330)와, 입력축(330)의 단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분배 전달하는 동력분배부(340)와,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축(348)에 구비되고, 승강축(380)을 통해 충진부(400), 세척부(500) 및 캡실링부(6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부(350)(360);를 포함한다.
구동부(305)는 회전중심축(220)을 회전시켜 회전테이블(200)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동력의 일부를 인출하여 충진부(400), 세척부(500) 및 캡실링부(660)를 승강하기 위해 각각의 승강축(380)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구동전달부재(310)와 피동전달부재(320)는 타이밍풀리, 풀리, 스프로킷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동력연결부재(315)는 타이밍벨트, 벨트, 체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동력분배부(340)는, 입력축(3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베벨기어(342)와, 구동베벨기어(342)가 치합되고,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베벨기어(344)와, 회전베벨기어(344)에 치합되고, 입력축(330)에 대해 설정 각도로 배치되는 출력축(348)이 각각 연결되어 승강부(350)(360)를 작동하는 피동베벨기어(346);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는, 회전베벨기어(344)에 치합된 피동베빌기어(346)가 3개 형성되므로, 이 피동베벨기어(346)에 결합된 출력축(348) 역시 3개 형성되어 충진부(400), 세척부(500) 및 캡실링부(660)를 모두 승강시키기 위해 3개의 승강축(380)을 구비하야 승강하는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승강부(350)(360)은 측면 캠승강방식과, 상면 캠승강방식 등 2가지 방식이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측면 캠승강방식의 승강부(350)를 살펴 본다.
승강부(350)는,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측(348)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351)와, 회전판(351)의 캠홈에 캠롤러(356)가 설치되고, 승강축(380)을 승강 작동하도록 승강축(38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52)와, 플레이트(2)의 하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부재(353)와, 연결부재(352)에 축 고정되고, 가이드레일부재(353)의 양측에 한 쌍 접촉되어 연결부재(352)의 승강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롤러(354)와, 연결부재(352)와 승강축(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세척 또는 부품의 수리를 위해 작동되는 간격유지실린더부재(355)를 포함한다.
회전판(351)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출력축(348)에 의해 회전하고, 측면에 형성된 캠홈에 연결부재(352)의 하측에 구비된 캠롤러(346)가 캠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결부재(352)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회전방지롤러(354)는 연결부재(352)의 일측에 한 쌍 구비되되, 플레이트(2)의 하측에 수직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부재(353)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연결부재(352)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간격유지실린더부재(355)는 연결부재(352)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며, 연결부재(352)와 승강축(380)을 상측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주므로 부품들의 수리 또는 충진부(400)의 CIP 세척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상면 캠승강방식의 승강부(360)를 살펴 본다.
승강부(360)는,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측(348)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베벨기어(361)와. 승강베벨기어(361)에 치합되어 지지축(363)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피승강베벨기어(362)와, 피승강베벨기어(36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캠면이 형성되는 캠부재(364)와, 캠부재(364)의 캠면에 안착되는 롤러부재(368)를 통해 상기 승강축(380)을 승강 작동하는 승강작동부재(365)와, 지지축(36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부재(365)의 중심부에 스플라인결합되어 승강작동부재(365)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스플라인축(366)와, 플레이트(2)에 고정되어 승강작동부재(365)를 승강하여 세척 또는 부품을 수리를 위해 작동되는 간격유지실린더부재(367);를 포함한다.
승강베벨기어(361)는 출력축(348)에 축 결합되고, 수직으로 배치되어 지지축(36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승강베벨기어(361)는 피승강베벨기어(362)와 직교하게 치합된다.
캠부재(363)은 피승강베벨기어(36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 경사지게 ㅎ형성되는 상측 캠면이 형성된다, 캠면의 중심부위는 중공 형성된다.
간격유지실린더부재(367)는 승강작동부재(365)에 구비되며, 승강작동부재(365)와 승강축(380)을 상측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주므로 부품들의 수리 또는 충진부(400)의 CIP 세척시 사용하도록 한다.
충진부(400)는, 승강축(380)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410)와, 지지브라켓(410)에 고정되고, 주입구(20)와 결합되어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공급부재(420)와, 내용물공급부재(420)에 구비되고, 주입구(20)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주입하는 충진노즐(430);을 포함한다.
내용물공급부재(420)는 미도시된 저장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송하여 유입관로를 통해 충진노즐(430)로 공급하여 주입구(20)를 통해 파우치용기(10)에 내용물을 채우도록 한다.
충진노즐(430)의 단부는 주입구(20)에 일치하는 상태로 끼워지므로 주입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흘러 내리는것을 방지한다.
세척부(500)는, 승강축(380)에 결합되는 설치브라켓(510)와, 설치브라켓(510)에 고정되는 바디부재(520)와, 바디부재(520)의 내측에 설치되고, 바디부재(510)의 내경과 수용공간부(540)를 형성하는 내측설치부재(530)와, 내측설치부재(530)의 중심에 삽입설치되어 승강에 의해 주입구(20)를 차단시키는 차단부재(550)와, 바디부재(520)의 상측에 결합되고, 세척액 유입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재(560)와, 덮개부재(560)의 내측에 설치되고, 차단부재(550)가 주입구(20)에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570);를 포함한다.
세척부(500)는 파우치용기(10) 주입구(20)를 통해 충진하는 과정에서 주입구920)의 둘레에 묻은 내용물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과정이다.
기존에는 주입구(20)를 세척할 때, 관로를 직접 대고서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주입구(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세척부(500)는 주입구(20)를 상측에서 하강하여 막은 상태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주입구(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부재(520)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작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완충부재(57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세척부(500)가 승강축(380)에 의해 하강하여 차단부재(550)가 주입구(20)의 상측면을 차단하면서 받은 충격을 완충하도록 후방으로 미세하게 탄성 이동한다.
선행캡조립부(600)는, 지지부재(605)와, 지지부재(605)의 단부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610)와, 장착브라켓(610)에서 일측에 힌지축(630)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테이블(200)의 곡률에 대응하는 설치면을 갖는 회전브라켓(620)와, 회전브라켓(620)의 설치면에 부착되어 회전테이블(200)에 설치홈부(210)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주입구(200)에 결합된 캡(3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캡(30)을 회전 조립하는 연성재질의 접촉부재(640)와, 힌지축(630)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장착브라켓(610)에 대해 회전브라켓(620)을 탄성지지하여 캡(30)에 대한 접촉부재(640)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65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605)는 이탈방지테이블(250)의 상측에 설치된다.
장착브라켓(610)은 회전브라켓(620)의 상측에 힌지축(630)에 의해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접촉부재(640)는 회전브라켓(62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로서, 회전테이블(200)의 설치홈부(210)에 걸려진 주입구(20)에 끼워진 캡(30)의 측면을 접촉 지지함에 따라 주입구(20)의 이동에 의해 캡(30)을 조여 주는 효과를 갖는다.
탄성조절부재(650)는 힌지축(630)의 반대 측에서 장착브라켓(610)과 회전브라켓(62)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접촉부재(640)에 접촉되는 캡(30)의 유동에 의해 회전브라켓(620)이 힌지축(630)을 기준으로 미세하게 회동하는 것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조절부재(650)는 장착브라켓(610)와 회전브라켓(620)의 일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배출부(700)는, 파우치용기(10)의 주입구(20)에 결합된 캡(30)을 미는 푸쉬부재를 구비하는 푸쉬실린더(710)와, 푸쉬실린더(71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진 파우치용기(10)를 안내하도록 이탈방지테이블(250)에 형성된 인출구멍(720)와, 인출구멍(720)의 하측에 연결되어 파우치용기(10)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부재(730)와, 안내관부재(730)에 의해 이송한 파우치용기(10)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740);를 포함한다.
인출구멍(720)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인출구멍(7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송컨베이어(740)는 2개의 안내관부재(730)를 통하여 하강하는 2열로 배출되는 파우칭용기(100)를 이송벨트를 통해 포장공정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플레이트 10 : 파우치용기
20 : 주입구 30 : 캡
100 : 파우치공급부 110 : 프레임
120 : 파우치봉부재 130 : 체인이송부재
140 : 승강그립퍼부재 150 : 파우치푸쉬부재
200 : 회전테이블 210 : 설치홈부
250 : 이탈방지테이블 300 : 동력부
305 : 구동부 210 : 구동잔달부재
315 : 동력연결부재 320 : 피동전달부재
330 : 입력축 340 : 동력분배부
342 : 구동베벨기어 344 : 회전베벨기어
346 : 피동베벨기어 348 : 출력축
350 : 승강부 351 : 회전판
352 : 연결부재 353 : 가이드레일부재
354 : 회전방지롤러 355 : 간격유지실린더부재
360 : 승강부 361 : 승강베벨기어
362 : 피승강베벨기어 363 : 지지축
364 : 캠부재 365 : 승강작동부재
366 : 스플라인축 367 : 간격유지실린더부재
368 : 롤러부재 400 : 충진부
410 : 지지브라켓 420 : 내용물공급부재
430 : 충진노즐 500 : 세척부
510 : 설치브라켓 520 : 바디부재
530 : 내측설치부재 540 : 수용공간부
550 : 차단부재 560 : 덮개부재
570 : 완충부재 550 : 캡공급부
600 : 선행캡조립부 603 : 지지부재
610 : 장착브라켓 620 : 회전브라켓
630 : 힌지축 640 : 접촉부재
650 : 탄성조절부재 650 : 캡실링부
700 :배출부 710 : 푸쉬실린더
720 : 인출구멍 730 : 안내관부재
740 : 이송컨베이어

Claims (10)

  1. 파우치공급부(100)에서 공급된 파우치용기(10)의 주입구(20)를 걸어주는 설치홈부(210)가 형성되고, 동력부(300)에 의해 플레이트(2) 상에서 스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200); 상기 파우치공급부(100)와 연결 부위를 제외한 회전테이블(200)의 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파우치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테이블(250); 상기 파우치공급부(100)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설치홈부(210)에 걸려 회전된 상기 주입구(20)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400); 상기 충진부(40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설치홈부(210)에 걸려 회전된 상기 주입구(20)를 막은 상태로 주입구(20) 둘레를 세척하는 세척부(500); 상기 세척부(50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20)에 캡공급부(580)에 의해 공급된 캡(30)을 접촉 회전시켜 주입구(20)에 결합하는 선행캡조립부(600); 및 상기 선행캡조립부(600)에 의해 가조립된 캡(30)을 캡실링부(660)를 통해 밀봉한 후 배출하는 배출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300)는, 구동부(305)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전달부재(310); 상기 구동전달부재(310)에 동력연결부재(31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동전달부재(320); 상기 피동전달부재(320)의 중심부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입력축(330); 상기 입력축(330)의 단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분배 전달하는 동력분배부(340); 및 상기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측(348)에 구비되고, 승강축(380)을 통해 상기 충진부(400), 상기 세척부(500) 및 상기 캡실링부(6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부(35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350)는,
    상기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측(348)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351);
    상기 회전판(351)의 캠홈에 캠롤러(356)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380)을 승강 작동하도록 상기 승강축(38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52);
    상기 플레이트(2)의 하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부재(353);
    상가 연결부재(352)에 축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재(353)의 양측에 한 쌍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352)의 승강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롤러(354); 및
    상기 연결부재(352)와 상기 승강축(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세척 또는 부품의 수리를 위해 작동되는 간격유지실린더부재(3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공급부(100)는,
    상기 파우치용기(10)를 프레임(110)에 일렬로 다수 배열하는 파우치봉부재(120);
    상기 파우치봉부재(120)를 너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체인이송부재(130);
    상기 체인이송부재(130)에 의해 너비방향으로 이송한 파우치봉부재(120)를 그립퍼로 집어 1개 또는 2개씩 승강하여 이송하는 승강그립퍼부재(140); 및
    상기 승강그립퍼부재(14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우치봉부재(120)에 걸려 있는 상기 파우치용기(10)를 1열 또는 2열로 순차적으로 밀어 상기 회전테이블(200)의 설치홈부(210)에 삽입하여 주입구(20)를 걸어주는 파우치푸쉬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배부(340)는,
    상기 입력축(3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베벨기어(342);
    상기 구동베벨기어(342)가 치합되고,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베벨기어(344); 및
    상가 회전베벨기어(344)에 치합되고, 상기 입력축(330)에 대해 설정 각도로 배치되는 출력축(348)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350)를 작동하는 피동베벨기어(3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5. 삭제
  6. 파우치공급부(100)에서 공급된 파우치용기(10)의 주입구(20)를 걸어주는 설치홈부(210)가 형성되고, 동력부(300)에 의해 플레이트(2) 상에서 스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200); 상기 파우치공급부(100)와 연결 부위를 제외한 회전테이블(200)의 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파우치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테이블(250); 상기 파우치공급부(100)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설치홈부(210)에 걸려 회전된 상기 주입구(20)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400); 상기 충진부(40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설치홈부(210)에 걸려 회전된 상기 주입구(20)를 막은 상태로 주입구(20) 둘레를 세척하는 세척부(500); 상기 세척부(50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20)에 캡공급부(580)에 의해 공급된 캡(30)을 접촉 회전시켜 주입구(20)에 결합하는 선행캡조립부(600); 및 상기 선행캡조립부(600)에 의해 가조립된 캡(30)을 캡실링부(660)를 통해 밀봉한 후 배출하는 배출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300)는, 구동부(305)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전달부재(310); 상기 구동전달부재(310)에 동력연결부재(31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동전달부재(320); 상기 피동전달부재(320)의 중심부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입력축(330); 상기 입력축(330)의 단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분배 전달하는 동력분배부(340); 및 상기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측(348)에 구비되고, 승강축(380)을 통해 상기 충진부(400), 상기 세척부(500) 및 상기 캡실링부(6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부(36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360)는,
    상기 동력분배부(340)의 출력측(348)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베벨기어(361);
    상기 승강베벨기어(361)에 치합되어 지지축(363)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피승강베벨기어(362);
    상기 피승강베벨기어(36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캠면이 형성되는 캠부재(364);
    상기 캠부재(364)의 캠면에 안착되는 롤러부재(368)를 통해 상기 승강축(380)을 승강 작동하는 승강작동부재(365);
    상기 지지축(36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365)의 중심부에 스플라인결합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365)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스플라인축(366); 및
    상기 플레이트(2)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365)를 승강하여 세척 또는 부품을 수리를 위해 작동되는 간격유지실린더부재(3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400)는,
    승강축(380)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410);
    상기 지지브라켓(410)에 고정되고, 상기 주입구(20)와 결합되어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공급부재(420); 및
    상기 내용물공급부재(420)에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20)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주입하는 충진노즐(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500)는,
    승강축(380)에 결합되는 설치브라켓(510);
    상기 설치브라켓(510)에 고정되는 바디부재(520);
    상기 바디부재(520)의 내측에 설치되고, 바디부재(510)의 내경과 수용공간부(540)를 형성하는 내측설치부재(530);
    상기 내측설치부재(530)의 중심에 삽입설치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주입구(20)를 차단시키는 차단부재(550);
    상기 바디부재(520)의 상측에 결합되고, 세척액 유입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재(560); 및
    상기 덮개부재(56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550)가 상기 주입구(20)에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캡조립부(600)는,
    지지부재(605);
    상기 지지부재(605)의 단부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610);
    상기 장착브라켓(610)에서 일측에 힌지축(630)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테이블(200)의 곡률에 대응하는 설치면을 갖는 회전브라켓(620);
    상기 회전브라켓(620)의 설치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200)에 설치홈부(210)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상기 주입구(20)에 결합된 상기 캡(3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캡(30)을 회전 조립하는 연성재질의 접촉부재(640); 및
    상기 힌지축(630)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브라켓(610)에 대해 상기 회전브라켓(620)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캡(30)에 대한 상기 접촉부재(640)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700)는,
    상기 파우치용기(10)의 주입구(20)에 결합된 캡(30)을 미는 푸쉬부재를 구비하는 푸쉬실린더(710);
    상기 푸쉬실린더(71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진 파우치용기(10)를 안내하도록 상기 이탈방지테이블(250)에 형성된 인출구멍(720);
    상기 인출구멍(72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파우치용기(10)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부재(730); 및
    상기 안내관부재(730)에 의해 이송한 파우치용기(10)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KR1020160131274A 2016-10-11 2016-10-11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KR10186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74A KR101867560B1 (ko) 2016-10-11 2016-10-11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74A KR101867560B1 (ko) 2016-10-11 2016-10-11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907A KR20180039907A (ko) 2018-04-19
KR101867560B1 true KR101867560B1 (ko) 2018-07-17

Family

ID=6208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74A KR101867560B1 (ko) 2016-10-11 2016-10-11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592B1 (ko) * 2018-08-13 2020-01-13 박병용 식품용기의 입구 세척장치
CN111232320B (zh) * 2020-03-04 2023-12-12 扬州美达灌装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转盘式多罐分离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708A (ja) * 2000-05-31 2001-12-11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包装袋を用いる袋詰め包装での口部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0538048B1 (ko) * 2003-05-06 2005-12-21 주식회사 한국크리에타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JP3757044B2 (ja) * 1997-11-25 2006-03-22 森永製菓株式会社 流動食品の充填装置
KR20090100641A (ko) * 2008-03-20 2009-09-24 백성준 파우치 팩 자동 포장기
KR20150063649A (ko) * 2013-12-02 2015-06-10 이익재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컵 제품용 회전식 제조시스템
KR101529707B1 (ko) * 2014-01-03 2015-06-18 이익재 컵 제품 제조용 회전식 동력장치
KR20160115198A (ko) * 2015-03-26 2016-10-06 김명환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044B2 (ja) * 1997-11-25 2006-03-22 森永製菓株式会社 流動食品の充填装置
JP2001341708A (ja) * 2000-05-31 2001-12-11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包装袋を用いる袋詰め包装での口部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0538048B1 (ko) * 2003-05-06 2005-12-21 주식회사 한국크리에타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KR20090100641A (ko) * 2008-03-20 2009-09-24 백성준 파우치 팩 자동 포장기
KR20150063649A (ko) * 2013-12-02 2015-06-10 이익재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컵 제품용 회전식 제조시스템
KR101529707B1 (ko) * 2014-01-03 2015-06-18 이익재 컵 제품 제조용 회전식 동력장치
KR20160115198A (ko) * 2015-03-26 2016-10-06 김명환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907A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3001B (zh) 一种无菌灌装机
CN102056807B (zh) 用于填充容器的设备
KR101641881B1 (ko) 별치식 포장처리장치
KR101572837B1 (ko) 음료용기의 삽입 및 배출장치
JP4627190B2 (ja) 容器兼用可能な充填ラインの容器搬送システム
CN104271284A (zh) 线性衬垫机和相关方法
KR101867560B1 (ko)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JP5978165B2 (ja) 充填システム
KR100440909B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CN110271718A (zh) 对瓦楞纸箱自动化封装工艺
CN101691141B (zh) 铝盒包装机
KR101870771B1 (ko) 스팀세척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KR101930051B1 (ko) 스파우트 파우치 자동포장기
KR102024848B1 (ko)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KR102061432B1 (ko) 진공 포장기
FI95678B (fi) Laite nestepakkausten täyttämistä ja sulkemista varten
JP2012121627A (ja) 簡易液体商品充填装置
US3495291A (en) Container rinser apparatus
KR101386769B1 (ko) 용기 세척기
CN103231908A (zh) 超洁净预制杯灌装机
JP2008044660A (ja) 間欠移送式包装機
KR20180116537A (ko) 캡 조립식 회전 제조장치
CN112744415A (zh) 高速全自动自立袋包装机
KR102360301B1 (ko) 충전 시스템
ITVI20010097A1 (it) Apparecchiatura per il trasferimento di contenitori in particolare dibottiglie o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