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182A - 디스크형 모터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182A
KR20180105182A KR1020187023765A KR20187023765A KR20180105182A KR 20180105182 A KR20180105182 A KR 20180105182A KR 1020187023765 A KR1020187023765 A KR 1020187023765A KR 20187023765 A KR20187023765 A KR 20187023765A KR 20180105182 A KR20180105182 A KR 2018010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group
magnet
coi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732B1 (ko
Inventor
융션 흐
밍천 흐
웬유 흐
Original Assignee
유젠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컴파니, 엘티디.
유젠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피티이 엘티디
유젠 (에이치케이)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젠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컴파니, 엘티디., 유젠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피티이 엘티디, 유젠 (에이치케이)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유젠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컴파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10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30Structural association of 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or controlling the motor,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12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detecting coils using the machine windings as detecting c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12Transversal flux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디스크형 모터는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와 제3, 제4 자성부재(61, 62)가 운동 방향으로 자화되고, 유도군(7)의 코일군(70)의 코일(71)이 운동 방향과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4 자기 효과(four magnetic effect)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와 제3, 제4 자성부재가 상이한 극이 서로 마주하고 동일 극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계되고, 유도 스위치 회로(80)의 순방향 및 역방향 회로의 전력 공급의 스위칭을 결합하여, 자기 저항력의 발생을 피하여 전체 운동 과정에서 모두 자기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파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출력 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형 모터
본 발명은 모터 기술 분야에 속하며, 특히 에너지 소모가 적고 자기 추진력(磁助力)을 증가할 수 있는 디스크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터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고정자(10)와 회전자(20)로 구성된다. 그 중 고정자(10)의 내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코일(11)이 설치되고, 회전자(2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코일(11)에 대응되는 다수의 자성부재(21)가 설치된다. 코일(11)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코일(11)이 자화되고, 회전자(20)의 자성부재(21)와 서로 배척하고 서로 흡인하는 자기력 작용이 형성되어, 회전자(20)를 고속 회전시킨다.
그리고, 모터가 작동할 때는 간헐적 전력 공급 방식을 취하여 필요한 자기 작용력을 얻어 상기 회전자(20)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코일(11)과 자성부재(21)의 높은 자속과 높은 절단 수량의 배치로 인해, 전력 공급을 잠정 중단하는 동안에도 코일(11)은 여전히 관성에 의한 상대적 운동 중인 자성부재(21)의 투자 절단으로 인해 발전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모터는 높은 파워를 입력하여 발전 시 증가하는 내부 전압을 억제해야 하므로, 필요 이상의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일반적 모터는 고리형으로 설계되어, 일방적인 단일 자기 작용력만 가지며, 동일한 파워가 입력되는 경우에 출력 동력 효율이 양호하지 않다.
다시 말하면, 발전량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고 자기 추진력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에너지 소모가 낮고 출력이 높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는 업계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 모터의 적용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깊이 연구하고 관련 산업에 수년간 종사하여 연구 개발한 경험을 빌어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찾았으며, 끊임없이 연구하고 시험에 노력한 끝에 디스크형 모터의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로써 종래 모터가 잠정적이고 간헐적인 전력 공급 시 여전히 발전을 진행하고 높은 전압을 증가시키며, 고리형 구조 설계하에서 일방적인 단일 자기유도력만 구비함에 따른 불편과 어려움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 및 증가된 전압을 효율적으로 저감시켜 입력 파워를 저감시키고, 자기 추진력을 더 증가시켜 운동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하고, 출력 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디스크형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아래와 같다.
자석군, 유도군과 적어도 하나의 유도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군과 상기 유도군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한 회전자 또는 고정자로 각각 정의되는 디스크형 모터로서,
상기 자석군은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제1 자석 디스크군 및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제2 자석 디스크군을 포함하고, 자석군의 제1 자석 디스크군과 제2 자석 디스크군은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제1 자석 디스크군은 이격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제1, 제2 자성부재의 양단의 자극은 운동 방향과 평행하며,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제1 자성부재 사이는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자극은 동일 극이 서로 마주하며, 각각의 제2 자석 디스크군은 이격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성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자성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제3, 제4 자성부재의 양단의 자극은 운동 방향과 평행하며, 서로 인접한 제3, 제4 자성부재 또는 제4, 제3 자성부재 사이는 간격을 유지하며,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3, 제4 자성부재 각각은 제1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와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히 배열되며,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3, 제4 자성부재와 제1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는 자극이 서로 다르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서로 인접한 제3, 제4 자성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자극은 동일 극이 서로 마주하며,
상기 유도군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군을 포함하고, 각각의 코일군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 또는 제2, 제1 자석 디스크군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코일군은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은 당해 코일이 도통되어 자화된 후 발생한 양단의 자극의 연장선이 회전자의 운동 방향과 수직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도 스위치 회로는 자석군의 제1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3, 제4 자성부재에서의 진입단은 N극이며, 또한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가 설치되며, 제1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3, 제4 자성부재에서의 진입단은 S극이며, 또한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가 설치되며, 제1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3, 제4 자성부재에서의 이탈단에 단로 검출기가 설치되고, 서로 인접한 코일군의 코일 상에 유도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유도 어셈블리가 상기 전력 공급 검출기를 검출한 경우에는 코일과 전원 사이는 서로 도통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역으로 유도 어셈블리가 상기 단로 검출기를 검출한 경우에는 코일과 전원 사이는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유도군의 코일군은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서로 인접한 코일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의 진입단의 간격이다.
상기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모터는 자석군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와 제3, 제4 자성부재가 운동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유도군의 코일군의 코일이 운동 방향과 수직되도록 설치되도록 하여 4 자기효과(four magnetic effect:四磁力效應)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와 제3, 제4 자성부재가 상이한 극이 서로 마주하고 동일 극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계되고, 유도 스위치 회로의 순방향 및 역방향 회로의 전력 공급의 스위칭을 결합하여, 자기 저항력의 발생을 피하여 전체 운동 과정에서 모두 자기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파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출력 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로 하여금 저 에너지 소모 및 대 동력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부가 가치를 대폭 증가시키고 경제적 효익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모터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개략도이며, 그 주요 구성 어셈블리 및 그 상대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개략도 1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개략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개략도이며, 각 어셈블리의 상대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더 해석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형 모터에 관한 것이며,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그 부재에서 앞뒤, 좌우, 꼭대기부와 저부, 상부와 하부, 및 수평과 수직에 관한 모든 참고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그 부재를 어떤 위치나 공간 방향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지정한 사이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계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모터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으며, 자석군(5), 유도군(7) 및 적어도 하나의 유도 스위치 회로(80)를 포함한다. 상기 자석군(5)과 상기 유도군(7)은 각각 회전자 또는 고정자로 정의할 수 있다. 그 중 자석군(5)은 적어도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과 적어도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제2 자석 디스크군(60)을 포함하며, 자석군(5)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과 제2 자석 디스크군(60)은 이격된다. 상기 유도군(7)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군(70)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군(7)의 각 코일군(7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자석 디스크군(50)과 제2 자석 디스크군(60) 및 제2 자석 디스크군(60)과 제1 자석 디스크군(5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은 동기적으로 상기 유도군(7)의 코일군(70)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석군(5)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부재(5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부재(52)를 구비하며, 제1, 제2 자성부재(51, 52)의 양단의 자극은 운동 방향과 평행을 이룬다. 제1, 제2 자성부재(51, 52)는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51, 52) 사이는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51, 52)의 서로 대향하는 자극은 동일 극이 마주한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51)의 N극은 제2 자성부재(52)의 N극과 대향하고, 제2 자성부재(52)의 S극은 제1 자성부재(51)의 S극과 대향한다. 상기 자석군(5)의 제2 자석 디스크군(6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성부재(61)와 적어도 하나의 제4 자성부재(62)를 구비하고, 제3, 제4 자성부재(61, 62)의 양단의 자극은 운동 방향과 평행을 이룬다. 제3, 제4 자성부재(61, 62)는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3, 제4 자성부재(61, 62) 사이는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제2 자석 디스크군(60)의 제3, 제4 자성부재(61, 62)는 제1 자석 디스크군(50)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와 각각 서로 대향하여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2 자석 디스크군(60)의 제3, 제4 자성부재(61, 62)와 제1 자석 디스크군(50)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는 자극이 서로 다르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자석 디스크군(50)의 제1 자성부재(51)의 S극은 제2 자석 디스크군(60)의 제3 자성부재(61)의 N극과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서로 인접한 제3, 제4 자성부재(61, 62)의 서로 대향하는 자극은 동일 극이 마주한다. 예를 들어, 제3 자성부재(61)의 S극은 제4 자성부재(62)의 S극과 대향하고, 제4 자성부재(62)의 N극은 제3 자성부재(61)의 N극과 대향한다.
상기 유도군(7)의 코일군(70)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71)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71)은 당해 코일(71)이 도통되어 자화된 후 발생하는 양단의 자극의 연장선이 회전자 운동 방향과 수직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유도 스위치 회로(80)는 자석군(5)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60)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 또는 제3, 제4 자성부재(61, 62)의 양단 중, 제1, 제2 자성부재(51, 52) 또는 제3, 제4 자성부재(61, 62)에 들어가는 일단에 각각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1) 또는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3)가 설치된다. 그 중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1)는 N극 자극으로 들어가는 제2 또는 제3 자성부재(52, 61)의 단부에 설치되어 순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3)는 S극 자극으로 들어가는 제1 또는 제4 자성부재(51, 62)의 단부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1, 제2 자성부재(51, 52) 또는 제3, 제4 자성부재(61, 62)로부터 이탈하는 일단에는 단로 검출기(8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도군(7)의 코일군(70)의 코일(71)의 대향하는 일단에는 유도 어셈블리(85)가 설치되며, 유도 어셈블리(85)가 상기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1) 또는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3)를 검출한 경우에 코일(71)과 전원이 서로 도통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역으로 유도 어셈블리(85)가 상기 단로 검출기(82)를 검출한 경우에 코일(71)과 전원 사이에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입력 파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출력 동력을 증가시키는 디스크형 모터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제 작동시,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자석군(5)을 회전자로 하고, 유도군(7)을 고정자로 한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유도군(7)의 코일군(70)의 코일(71) 상의 유도 어셈블리(85)가 이동 중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의 제1 자성부재(51) 진입단의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3)를 검출한 경우에, 코일(71)과 전원 사이가 서로 도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부재(51)의 진입단이 S극이므로, 역방향 회로를 시동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암페어 오른손 법칙에 따라, 제1 자석 디스크군(50)에 대향하는 코일(71)의 일단은 S극을 띠고, 제2 자석 디스크군(60)에 대향하는 코일(71)의 일단은 N극을 띠어, 코일군(70)의 코일(71)의 양단은 각각 전방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제2, 제1 자성부재(52, 51) 및 제4, 제3 자성부재(62, 61)의 자극과 동극 배척 상태가 되어, 상기 유도군(7)은 회동하는 자석군(5)에 대해 반동 추력이 발생한다[도 3a와 같음]. 그리고,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이 지속적으로 위치 이동하여 코일군(70)의 코일(71)이 제1, 제3 자성부재(51, 61)의 중간 지점에 도달한 경우, 상기 코일군(70)의 코일(71)의 양단은 제1, 제3 자성부재(51, 61)의 전방 단부의 자극에 대해 동극 배척 상태가 되어, 상기 유도군(7)은 회동 중의 자석군(5)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동 추력이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코일군(70)의 코일(71)의 양단은 제1, 제3 자성부재(51, 61)의 후방 단부의 자극에 대해 이극(異極) 흡인 상태가 되어, 상기 유도군(7)은 회동 중의 자석군(5)에 대해 순방향 흡인력이 발생한다[도 3b와 같음].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이 지속적으로 위치 이동하여 코일군(70)의 코일(71)이 제1, 제3 자성부재(51, 61)의 끝단에 대응하는 경우, 역방향 회로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코일(71)의 증가 자극(增生磁極)이 상기 제1, 제3 자성부재(51, 61)와 이극 흡인 상태가 되어, 상기 유도군(7)이 자석군(5)에 대해 역방향 흡인 작용력, 즉 회동 중의 자석군(5)을 끌어당기는 자기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코일(71) 상의 유도 어셈블리(85)가 제1 자성부재(51)의 이탈단의 단로 검출기(82)를 검출한 경우[도 3c와 같음], 코일(71)과 전원 사이에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운동 방향에 불리한 자기 저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자석군(5)이 지속적으로 운전하여, 코일군(70)의 코일(71) 상의 유도 어셈블리(85)가 이동 중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의 제2 자성부재(52) 진입단의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81)를 검출한 경우, 코일(71)과 전원을 서로 도통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자성부재(52)의 진입단이 N극이므로, 순방향 회로를 시동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암페어 오른손 법칙에 따라 제1 자석 디스크군(50)에 대향하는 코일(71)의 일단은 N극을 띠고, 제2 자석 디스크군(60)에 대향하는 코일(71)의 일단은 S극을 띠어, 코일군(70)의 코일(71)의 양단은 각각 전방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 및 제3, 제4 자성부재(61, 62)의 자극과 동극 배척 상태가 되며, 상기 유도군(7)은 회동 중의 자석군(5)에 대해 반동 추력이 발생한다[도 4a와 같음]. 그리고,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이 지속적으로 위치 이동하여 코일군(70)의 코일(71)이 제2, 제4 자성부재(52, 62)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코일군(70)의 코일(71)의 양단은 제2, 제4 자성부재(52, 62)의 전방 단부의 자극과 동극 배척 상태가 되며, 상기 유도군(7)은 회동 중의 자석군(5)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동 추력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코일군(70)의 코일(71)의 양단은 제2, 제4 자성부재(52, 62)의 후방 단부의 자극과 이극 흡인 상태가 되며, 상기 유도군(7)은 회동 중의 자석군(5)에 대해 순방향 흡인력이 발생한다[도 4b와 같음].
한편,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이 지속적으로 위치 이동하여 코일군(70)의 코일(71)이 제2, 제4 자성부재(52, 62)의 끝단에 대응하는 경우, 순방향 회로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코일(71)의 증가 자극이 상기 제2, 제4 자성부재(52, 62)와 이극 흡인 상태가 되어, 상기 유도군(7)이 자석군(5)에 대해 역방향으로 흡인하는 작용력, 즉 회동 중의 자석군(5)을 끌어당기는 자기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코일(71) 상의 유도 어셈블리(85)가 제2 자성부재(52)의 이탈단의 단로 검출기(82)를 검출한 경우[도 4c와 같음], 코일(71)과 전원 사이에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운동 방향에 불리한 자기 저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출력 동력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제1, 제3 자성부재(51, 61) 및 제2, 제4 자성부재(52, 62)의 양단 자극이 이극 배열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제3 자성부재(51, 61)와 제2, 제4 자성부재(52, 62)의 자력선이 역방향으로 흐르고,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 사이의 자기 통로를 흐르는 자력선의 변화가 매우 적고, 대부분이 자기 갭 영역에서 스트리밍한다. 그러나, 이들 자력선은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자기 갭 사이에 위치하며, 이때 전력 차단 상태가 되므로,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 사이의 자기 통로는 적은 자속과 적은 절단 수량으로 인해 발전량이 매우 낮고 증가 전압도 매우 작다. 따라서, 전력 공급을 재개하여 자석군(5)을 구동시키는 경우, 낮은 입력 파워만으로도 가능하므로 입력 파워를 저감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석군(5)은 두 층의 제1 자석 디스크군(50)과 한 층의 제2 자석 디스크군(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군(7)은 두 층의 코일군(70)을 가지고, 이들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자석 디스크군(50)과 제2 자석 디스크군(60) 및 제2 자석 디스크군(60)과 제1 자석 디스크군(5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각 코일군(70)은 다수의 코일(71)을 구비하고, 서로 인접하는 코일(71)의 간격은 전술한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51, 52)의 진입단의 간격이다.
상기 구성 설계와 동작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모터는 자석군(5)의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와 제3, 제4 자성부재(61, 62)가 운동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유도군(7)의 코일군(70)의 코일(71)은 운동 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어 4 자기효과(four magnetic effect)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50, 60)의 제1, 제2 자성부재(51, 52)와 제3, 제4 자성부재(61, 62)를 상이한 극이 서로 대향하고 동일 극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계하고, 유도 스위치 회로(80)의 순방향과 역방향 회로의 전력 공급의 스위칭을 결합시켜, 자기 저항력의 발생을 피하여 전체 운동 과정에서 모두 자기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파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출력 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매우 높은 창의성을 가진 발명으로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것 외에도 기능 효과를 대폭 증가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술 분야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제품이 창작되거나 공개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으며, 기능 효과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상의 '신규성'과 '진보성' 요건에 부합하므로 법에 의거하여 출원한다.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제품 형태와 양식이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실시예와 도면에 대해 진행한 그 어떤 적절한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고정자 … 10
코일 … 11
회전자 … 20
자성부재 … 21
자석군 … 5
제1 자석 디스크군 … 50
제1 자성부재 … 51
제2 자성부재 … 52
제2 자석 디스크군 … 60
제3 자성부재 … 61
제4 자성부재 … 62
유도군 … 7
코일군 … 70
코일 … 71
유도 스위치 회로 … 80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 … 81
단로 검출기 … 82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 … 83
유도 소자 … 85

Claims (2)

  1. 자석군, 유도군과 적어도 하나의 유도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군과 상기 유도군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한 회전자 또는 고정자로 각각 정의되는 디스크형 모터로서,
    상기 자석군은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제1 자석 디스크군 및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제2 자석 디스크군을 포함하고, 자석군의 제1 자석 디스크군과 제2 자석 디스크군은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제1 자석 디스크군은 이격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제1, 제2 자성부재의 양단의 자극은 운동 방향과 평행하며,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제1 자성부재 사이는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자극은 동일 극이 서로 마주하며, 각각의 제2 자석 디스크군은 이격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성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자성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제3, 제4 자성부재의 양단의 자극은 운동 방향과 평행하며, 서로 인접한 제3, 제4 자성부재 또는 제4, 제3 자성부재 사이는 간격을 유지하며,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3, 제4 자성부재 각각은 제1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와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히 배열되며, 제2 자석 디스크군의 제3, 제4 자성부재와 제1 자석 디스크군의 제1, 제2 자성부재는 자극이 서로 다르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서로 인접한 제3, 제4 자성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자극은 동일 극이 서로 마주하며,
    상기 유도군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군을 포함하고, 각각의 코일군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제2 자석 디스크군 또는 제2, 제1 자석 디스크군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코일군은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은 당해 코일이 도통되어 자화된 후 발생한 양단의 자극의 연장선이 회전자의 운동 방향과 수직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도 스위치 회로는 자석군의 제1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3, 제4 자성부재에서의 진입단은 N극이며, 또한 순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가 설치되며, 제1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3, 제4 자성부재에서의 진입단은 S극이며, 또한 역방향 전력 공급 검출기가 설치되며, 제1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1, 제2 자성부재 또는 제2 자석 디스크군의 각각의 제3, 제4 자성부재에서의 이탈단에 단로 검출기가 설치되고, 서로 인접한 코일군의 코일 상에 유도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유도 어셈블리가 상기 전력 공급 검출기를 검출한 경우에는 코일과 전원 사이는 서로 도통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역으로 유도 어셈블리가 상기 단로 검출기를 검출한 경우에는 코일과 전원 사이는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군의 코일군은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서로 인접한 코일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제1, 제2 자성부재의 진입단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모터.
KR1020187023765A 2016-02-03 2016-02-03 디스크형 모터 KR102118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3257 WO2017132853A1 (zh) 2016-02-03 2016-02-03 盘式电动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182A true KR20180105182A (ko) 2018-09-27
KR102118732B1 KR102118732B1 (ko) 2020-06-04

Family

ID=594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765A KR102118732B1 (ko) 2016-02-03 2016-02-03 디스크형 모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056956B2 (ko)
EP (1) EP3413444B1 (ko)
JP (1) JP6612462B6 (ko)
KR (1) KR102118732B1 (ko)
BR (1) BR112018015919B1 (ko)
ES (1) ES2893586T3 (ko)
HU (1) HUE055843T2 (ko)
MY (1) MY193255A (ko)
PH (1) PH12018501630A1 (ko)
PL (1) PL3413444T3 (ko)
PT (1) PT3413444T (ko)
RU (1) RU2722658C2 (ko)
WO (1) WO201713285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3081A (ja) * 2003-04-10 2006-10-05 サンユ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改良型磁石とコイル構造を持つリニア発電機及び製造方法
US20080197739A1 (en) * 2005-05-24 2008-08-21 Denso Corporation Motor And Control Unit Thereof
JP2008295212A (ja) * 2007-05-24 2008-12-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キシャルモータ及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
JP2012244874A (ja) * 2011-05-24 2012-12-10 Aisin Aw Co Ltd 回転電機
EP2955840A1 (en) * 2014-04-15 2015-12-16 Kokusai Display Kogyo Co., Ltd. Drive circuit for brushless dc mo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6040A (en) * 1968-07-02 1972-04-11 Sanders Associates Inc Self-starting single phase motor
US4577130A (en) * 1984-05-21 1986-03-18 Rca Corporation Pancake motor with insitu wound bobbinless stator coils
JPH01129753A (ja) * 1987-11-13 1989-05-23 Shicoh Eng Co Ltd 磁気エンコーダを有するリニア直流モータ
US5252870A (en) * 1991-03-01 1993-10-12 Jacobsen Stephen C Magnetic eccentric motion motor
JPH07213041A (ja) * 1994-01-18 1995-08-11 Shicoh Eng Co Ltd 単相ブラシレスモ−タ
JPH1129753A (ja) * 1997-07-09 1999-02-02 Oji Paper Co Ltd 粘着シート
JP2000134891A (ja) * 1998-10-28 2000-05-12 Okuma Corp 同期電動機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2001327135A (ja) * 2000-05-18 2001-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
US6812598B2 (en) * 2002-02-19 2004-11-02 Rockwell Scientific Licensing, Llc Multiple magnet transducer with differential magnetic strengths
US20040212273A1 (en) * 2003-04-24 2004-10-28 Gould Len Charles Heat engine and generator set incorporating multiple generators for synchronizing and balancing
US20070052314A1 (en) * 2005-09-07 2007-03-08 Ching-Yen Hsu Structure of generator/motor
EP1986311A2 (en) * 2007-04-26 2008-10-29 Seiko Epson Corporation Brushless electric machine
JP5098082B2 (ja) * 2007-09-11 2012-12-12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回転型電磁発電機
JP5605164B2 (ja) * 2010-10-26 2014-10-15 株式会社明電舎 永久磁石型同期電動機及び永久磁石型同期電動機の運転方法
DE102011002740A1 (de) * 2011-01-17 2012-07-19 Zf Friedrichshafen Ag Induktionsgener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s Induktionsgenerators
JP6020781B2 (ja) * 2011-03-29 2016-11-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EP2869433B1 (en) * 2013-10-30 2016-09-21 SC BMEnergy SRL Axial flux permanent magnet electrical machine with magnetic flux concentration
RU144227U1 (ru) * 2014-01-28 2014-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ом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Отказоустойчивый трехмер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подвижного объекта
CN203967938U (zh) * 2014-04-25 2014-11-26 蔡晓青 电磁逆变控制电机
CN204334259U (zh) * 2014-11-14 2015-05-13 江西理工大学 一种电动车用转子分段反向斜极式双盘式永磁电机
CN204794383U (zh) * 2015-06-11 2015-11-18 宇生自然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磁装置
JP6327221B2 (ja) * 2015-09-04 2018-05-23 マツダ株式会社 回転電機
CN205490049U (zh) * 2016-02-03 2016-08-17 宇生自然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盘式电动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3081A (ja) * 2003-04-10 2006-10-05 サンユ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改良型磁石とコイル構造を持つリニア発電機及び製造方法
US20080197739A1 (en) * 2005-05-24 2008-08-21 Denso Corporation Motor And Control Unit Thereof
JP2008295212A (ja) * 2007-05-24 2008-12-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キシャルモータ及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
JP2012244874A (ja) * 2011-05-24 2012-12-10 Aisin Aw Co Ltd 回転電機
EP2955840A1 (en) * 2014-04-15 2015-12-16 Kokusai Display Kogyo Co., Ltd. Drive circuit for brushless d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413444T (pt) 2021-10-07
EP3413444A1 (en) 2018-12-12
RU2018131319A (ru) 2020-03-03
RU2722658C2 (ru) 2020-06-02
EP3413444A4 (en) 2019-09-04
US11056956B2 (en) 2021-07-06
EP3413444B1 (en) 2021-07-07
HUE055843T2 (hu) 2021-12-28
ES2893586T3 (es) 2022-02-09
US20190006924A1 (en) 2019-01-03
KR102118732B1 (ko) 2020-06-04
WO2017132853A1 (zh) 2017-08-10
MY193255A (en) 2022-09-28
JP6612462B2 (ja) 2019-11-27
RU2018131319A3 (ko) 2020-03-03
BR112018015919B1 (pt) 2023-02-07
JP2019504607A (ja) 2019-02-14
PH12018501630A1 (en) 2019-06-03
JP6612462B6 (ja) 2020-01-22
BR112018015919A2 (pt) 2022-02-22
PL3413444T3 (pl)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5722A (ja) 同軸電磁装置
JP6625766B2 (ja) モーターの構造
TWM551782U (zh) 磁電複合機
KR20180105182A (ko) 디스크형 모터
TWM532689U (zh) 電動機結構
TW201739145A (zh) 電動機結構
RU2722438C2 (ru)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ее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M542884U (zh) 電動機構造
WO2018045480A1 (zh) 磁电复合机
TW201807934A (zh) 同軸電磁裝置
TWM559537U (zh) 具磁隙之磁極錯位電動裝置
CN107040105B (zh) 盘式电动机
TW201803252A (zh) 電動機構造
TW201818636A (zh) 雙磁助電動裝置
TWM548927U (zh) 雙磁助電動裝置
TWM542885U (zh) 推吸雙磁助電動機
TWI678863B (zh) 磁組相對磁極異位之發電裝置
TWI621325B (zh) Magnetoelectric compound machine
TW202017284A (zh) 應用嵌齒能之動能產生裝置
TW201740658A (zh) 跨磁隙發電機
TWM606661U (zh) 電磁裝置
TW201943188A (zh) 半主動電磁彈射馬達結構
TW201914168A (zh) 同心共電磁電裝置
TW201943181A (zh) 全載電動裝置
TW202137670A (zh) 電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