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324A -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 - Google Patents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324A
KR20180104324A KR1020187025548A KR20187025548A KR20180104324A KR 20180104324 A KR20180104324 A KR 20180104324A KR 1020187025548 A KR1020187025548 A KR 1020187025548A KR 20187025548 A KR20187025548 A KR 20187025548A KR 20180104324 A KR20180104324 A KR 2018010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resin
polyol
mass
polycarbonate polyol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756B1 (ko
Inventor
유코 다키카와
다모츠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2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7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carbodiimide and/or uretone-im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을 포함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의 반응물인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이,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화합물(c1)을 포함하는 히드록시 화합물(C)을 원료로서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형성 가능하다.

Description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성형물은, 현재, 자동차 부품, 가전 부품, 포장재, 피혁양 시트, 인쇄 롤 등의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성형물에는, 그 용도에 대응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성형물이 인쇄 롤의 탄성 부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가 이때까지 유기 용제형 잉크가 주류였기 때문에, 상기 성형물 표면의 용해나 변형, 변색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산업계로부터는 내용제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성형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 내용제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성형물로서는, 숙신산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우레탄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실시예 참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환경 조화가 호평을 받는 최근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용제형 잉크 대신에, 수성형 잉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기 때문에,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성형물의 개발이 중시되고 있다. 또한, 수성형 잉크에 있어서도, 소량의 용제나 세정 용제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내용제성도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이와 같이, 산업계로부터는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겸비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물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발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일본 특개평5-30133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형성 가능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우레탄 수지의 폴리올 성분으로서, 특정의 히드록시 화합물을 원료에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을 사용함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을 포함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의 반응물인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이,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화합물(c1)을 포함하는 히드록시 화합물(C)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일반식(1) 중의 n은, 1∼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자동차 부품, 가전 부품, 포장재, 피혁양 시트, 인쇄 롤, 코터 롤 등의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을 포함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의 반응물인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이,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화합물(c1)을 포함하는 히드록시 화합물(C)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을 포함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의 반응물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화합물(c1)을 포함하는 히드록시 화합물(C)과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함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은,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과 포스겐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 등, 기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해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로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500∼5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400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의 수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하기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을 가리킨다.
측정 장치 : 고속 GPC 장치(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HLC-8220GPC」)
칼럼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의 하기의 칼럼을 직렬로 접속해서 사용했다.
「TSKgel G5000」(7.8㎜I.D.×30㎝)×1개
「TSKgel G4000」(7.8㎜I.D.×30㎝)×1개
「TSKgel G3000」(7.8㎜I.D.×30㎝)×1개
「TSKgel G2000」(7.8㎜I.D.×30㎝)×1개
검출기 : RI(시차 굴절계)
칼럼 온도 : 40℃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유속 : 1.0mL/분
주입량 : 100μL(시료 농도 0.4질량%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
표준 시료 : 하기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해서 검량선을 작성했다.
(표준 폴리스티렌)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5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10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25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50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4」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4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8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28」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88」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550」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의 함유량은, 한층 더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폴리올(A) 중의 4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로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화합물(c1)을 필수로서 사용한다.
Figure pct00002
(일반식(1) 중의 n은, 1∼7의 정수이다)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1)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한층 더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이 얻어지므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히드록시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1)의 함유량은, 내용제성이 우수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 전량 중의 4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1)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이,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 중에 4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은,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1) 외에,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히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한층 더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이 얻어지므로, 트리메틸올프로판이 바람직하다. 이들 히드록시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n-부틸카보네이트, 디이소부틸카보네이트, 에틸-n-부틸카보네이트, 에틸이소부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디벤질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테트라메틸렌카보네이트, 1,2-프로필렌카보네이트, 1,2-부틸렌카보네이트, 1,3-부틸렌카보네이트, 2,3-부틸렌카보네이트, 1,2-펜틸렌카보네이트, 1,3-펜틸렌카보네이트, 1,4-펜틸렌카보네이트, 1,5-펜틸렌카보네이트, 2,3-펜틸렌카보네이트 및 2,4-펜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이 얻어지므로,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 외에, 그 밖의 폴리올(a2)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올(a2)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 이외의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저분자량의 폴리올과, 폴리카르복시산을 반응해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ε-카프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개환 중합 반응해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이들을 공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저분자량의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등의 분자량이 50∼300 정도인 지방족 폴리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방족 환식 구조를 갖는 폴리올; 비스페놀A 및 비스페놀F 등의 방향족 구조를 갖는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상기 폴리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카르복시산 등의 지방족 폴리카르복시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그들의 무수물 또는 에스테르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활성 수소 원자를 둘 이상 갖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개시제로서,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수소 원자를 둘 이상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물, 헥산트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에피클로로히드린,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 이외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의 상기 그 밖의 히드록시 화합물과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환식 구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루드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루드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의 반응은, 예를 들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당량을 [NCO]로 나타내고, 상기 폴리올의 수산기 당량을 [OH]로 나타낼 경우에,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 상기 폴리올(A)과의 당량비([NCO]/[OH])는, 0.5∼2.5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7∼1.1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한층 더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폴리올(A) 및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 외에, 필요에 따라서 쇄신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쇄신장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3'-디메틸올헵탄,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3,3-비스(히드록시메틸)헵탄,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1,4-비스(2-히드록시에톡시)벤젠, 1,3-비스(2-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되고,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 충전재, 안료, 염료, 안정제, 난연제 등, 종래 알려져 있는 각종 첨가물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가열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균일하게 혼합된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시트상 금형 또는 원주(圓柱) 금형에 주입하고, 열경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로서는, 100∼150℃, 1∼4시간의 일차 경화를 실시하고, 다음으로, 90∼130℃, 10∼20시간의 이차 경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 후에는,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우레탄화 반응이 완결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은, 예를 들면, 자동차 부품, 가전 부품, 포장재, 피혁양 시트, 인쇄 롤, 코터 롤, 인쇄용 스퀴지, 닥터 블레이드 등의 내용제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인쇄 롤, 코터 롤, 인쇄용 스퀴지 또는 닥터 블레이드의 탄성 부재로서 특히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합성예 1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100질량부와 디페닐카보네이트 193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200℃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감압 조건 하에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의 수산기가는 32.0mgKOH/g였다.
(합성예 2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2)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에틸렌글리콜 15질량부와 디에틸렌글리콜 50질량부와 트리에틸렌글리콜 35질량부와 디페닐카보네이트 189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200℃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감압 조건 하에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2)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2)의 수산기가는 60.0mgKOH/g였다.
(합성예 3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3)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50질량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니찌유가부시키가이샤제 「PEG#200」) 50질량부와 디페닐카보네이트 140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200℃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감압 조건 하에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3)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3)의 수산기가는 58.7mgKOH/g였다.
(합성예 4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4)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97질량부와 트리메틸올프로판 3질량부와 디페닐카보네이트 193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200℃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감압 조건 하에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4)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4)의 수산기가는 35.4mgKOH/g였다.
(합성예 5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5)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50질량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니찌유가부시키가이샤제 「PEG#400」) 50질량부와 디페닐카보네이트 114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200℃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감압 조건 하에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5)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5)의 수산기가는 59.4mgKOH/g였다.
(합성예 6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6)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60질량부와 부탄디올 40질량부와 디페닐카보네이트 200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200℃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감압 조건 하에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6)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6)의 수산기가는 56.2mgKOH/g였다.
(합성예 7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7)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탄디올 100질량부와 디에틸카보네이트 132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120℃에서 10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19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감압하면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7)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7)의 수산기가는 55.7mgKOH/g였다.
(합성예 8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8)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30질량부와 부탄디올 70질량부와 디에틸카보네이트 125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120℃에서 10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19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감압하면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8)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8)의 수산기가는 56.5mgKOH/g였다.
(합성예 9 :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9)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탄디올 100질량부와 디에틸카보네이트 132질량부를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01중량% 첨가하고, 120℃에서 10시간 반응시키고, 다음으로 19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감압하면서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9)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9)의 수산기가는 55.7mgKOH/g였다.
합성예 1∼9에서 합성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의 원료 및 수산기가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3
(실시예 1 : 우레탄 수지 성형물(1)의 제작)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1)을 얻었다.
(실시예 2 : 우레탄 수지 성형물(2)의 제작)
합성예 2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2)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2)을 얻었다.
(실시예 3 : 우레탄 수지 성형물(3)의 제작)
합성예 3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3)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 프탈산벤질부틸(이하, 「BBP」로 약기한다) 25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3)을 얻었다.
(실시예 4 : 우레탄 수지 성형물(4)의 제작)
합성예 4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4) 100질량부와 가소제 BBP 25질량부를 혼합하고,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코로네이트MX」)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4)을 얻었다.
(실시예 5 : 우레탄 수지 성형물(5)의 제작)
합성예 5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5) 100질량부와 가소제 BBP 25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5)을 얻었다.
(실시예 6 : 우레탄 수지 성형물(6)의 제작)
합성예 5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6) 100질량부와 가소제 BBP 25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6)을 얻었다.
(실시예 7 : 우레탄 수지 성형물(7)의 제작)
합성예 7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7) 100질량부와 가소제 BBP 25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7)을 얻었다.
(실시예 8 : 우레탄 수지 성형물(8)의 제작)
합성예 8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8)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8)을 얻었다.
(실시예 9 : 우레탄 수지 성형물(9)의 제작)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 80질량부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DIC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라이트OD-X-2195」) 20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9)을 얻었다.
(실시예 10 : 우레탄 수지 성형물(10)의 제작)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 60질량부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DIC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라이트OD-X-2195」) 40질량부를 혼합하고,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코로네이트MX」)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10)을 얻었다.
(실시예 11 : 우레탄 수지 성형물(11)의 제작)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1) 30질량부와 합성예 9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9) 70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11)을 얻었다.
(비교예 1:우레탄 수지 성형물(C1)의 제작)
폴리에스테르폴리올(DIC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라이트OD-X-2195」)과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코로네이트MX」)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C1)을 얻었다.
(비교예 2 : 우레탄 수지 성형물(C2)의 제작)
합성예 7에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7)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를 NCO/OH=1.00(몰비)의 배합 비율로 혼합 교반하고, 직경 4.0㎝×두께 1.2㎝의 원주 금형에 주입했다. 그들 금형을 120℃에서 2시간, 일차 경화시키고, 추가로 110℃에서 17시간, 이차 경화시켜,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C2)을 얻었다.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사용해서, 하기의 평가를 행했다.
[JIS-A 경도의 측정 방법]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시험체로 하고, JIS-K-6253에 규정된 경도 측정법으로 JIS-A 경도를 측정했다.
[내가수분해성의 평가 방법]
내가수분해성의 평가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의 경도 유지율로 판단했다.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시험체로 하고, 당해 시험체를 75℃, 습도 95%의 분위기 하에 28일간 양생하고, 양생 전후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의 JIS-A 경도를 하기 식에 대입하고, 경도 유지율을 산출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경도 유지율(%)=(양생 후의 JIS-A 경도/양생 전의 JIS-A 경도)×100
◎ : 경도 유지율이 70% 이상
○ : 경도 유지율이 50% 이상 70% 미만
× : 경도 유지율이 50% 미만
[내용제성의 평가 방법]
내용제성의 평가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용제에 침지시킨 전후의 질량 변화로 판단했다.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원주상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시험체로 하고, 당해 시험체를, 톨루엔, MEK에 각각 7일간 침지시키고, 침지 전후의 시험체의 질량을 하기 식에 대입해서 질량 변화율을 산출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질량 변화율(%)=((침지 후의 질량-침지 전의 질량)/(침지 전의 질량))×100
내용제성의 평가:
(내톨루엔성)
◎ : 질량 변화율이 10% 미만
○ : 질량 변화율이 10% 이상 30% 미만
△ : 질량 변화율이 30% 이상 50% 미만
× : 질량 변화율이 50% 이상
(내MEK성)
◎ : 질량 변화율이 60% 미만
○ : 질량 변화율이 60% 이상 70% 미만
△ : 질량 변화율이 70% 이상 80% 미만
× : 질량 변화율이 80% 이상
실시예 1∼11에서 제작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1)∼(11)의 조성, 및 평가 결과, 그리고 비교예 1∼2에서 제작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C1)∼(C2)의 조성, 및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4
표 1 및 2 중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DEG」 : 디에틸렌글리콜
「EG」 : 에틸렌글리콜
「TEG」 : 트리에틸렌글리콜
「TMP」 : 트리메틸올프로판
「BG」 : 부탄디올
「PEG200」「PEG400」 : 폴리에틸렌글리콜
「DPC」 : 디페닐카보네이트
「DEC」 : 디에틸카보네이트
「NCO-1」 :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미리오네이트MR-200」)
「NCO-2」 :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니혼폴리우레탄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코로네이트MX」)
표 2에 나타낸 평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된 우레탄 수지 성형물은, 우수한 내가수분해성 및 내용제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대신에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예지만, 내용제성은 우수하지만, 내가수분해성이 현저하게 불충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는, 본 발명의 범위 외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을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예이다. 내가수분해성은 우수하지만, 내용제성은 현저하게 불충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을 포함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의 반응물인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이,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화합물(c1)을 포함하는 히드록시 화합물(C)을 원료로서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5

    (일반식(1) 중의 n은, 1∼7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A)이, 또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 이외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a2)을 함유하는 것인 우레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A) 중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의 함유량이, 40질량% 이상인 우레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a1)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5000의 범위인 우레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 중의 상기 히드록시 화합물(c1)의 함유량이, 40질량% 이상인 우레탄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인쇄 롤 또는 코터 롤에 사용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 성형물이, 인쇄 롤 또는 코터 롤인 우레탄 수지 성형물.
KR1020187025548A 2016-02-25 2017-02-23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 KR102172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4328 2016-02-25
JP2016034328 2016-02-25
PCT/JP2017/006770 WO2017146134A1 (ja) 2016-02-25 2017-02-23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ウレタン樹脂成形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24A true KR20180104324A (ko) 2018-09-20
KR102172756B1 KR102172756B1 (ko) 2020-11-02

Family

ID=5968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548A KR102172756B1 (ko) 2016-02-25 2017-02-23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우레탄 수지 성형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48125A1 (ko)
EP (1) EP3421515A4 (ko)
JP (2) JP6233552B1 (ko)
KR (1) KR102172756B1 (ko)
CN (2) CN108699205A (ko)
TW (1) TWI794159B (ko)
WO (1) WO2017146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9922B1 (ja) * 2017-05-11 2018-09-12 株式会社金陽社 カレンダー加工用樹脂ロール
JP7451072B2 (ja) * 2017-08-30 2024-03-18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積層体
JP7451071B2 (ja) * 2017-08-30 2024-03-18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又は成形体
JP2019044003A (ja) * 2017-08-30 2019-03-22 Dic株式会社 二液硬化型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成形品
JP7172684B2 (ja) * 2019-02-07 2022-11-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1080A (ja) * 1985-07-01 1987-04-30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 ポリ(アルキレン カ−ボネ−ト)ポリオ−ルの分子量を高くするための方法
JPH05301335A (ja) 1992-04-24 1993-11-16 Isamu Sekimoto 印刷機用ポリウレタンローラの製造方法
JPH07126221A (ja) * 1993-10-28 1995-05-16 Nippon Paint Co Ltd 水酸基を有する脂肪族カーボネート
JP2000302835A (ja) * 1999-04-22 2000-10-3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US20040087754A1 (en) * 2002-10-31 2004-05-06 Paul Foley Polyurethane compound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KR20090082246A (ko) * 2006-12-26 2009-07-29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인쇄판용 수지 조성물
JP2010184957A (ja) * 2009-02-10 2010-08-26 Sanyo Chem Ind Ltd ポリエーテル系ポリマ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7895A (en) * 1955-10-17 1960-06-15 Hudson Foam Plastics Corp Diisocyanate modified polycarbonates
US3312653A (en) * 1964-11-09 1967-04-04 Goodyear Tire & Rubber Solution of the reaction product of a linear polycarbonate, an organic diisocyanate and water
DE2221751C3 (de) * 1972-05-04 1978-08-10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urethanharnstoff elastomere
DE2252280C3 (de) * 1972-10-25 1981-03-19 Bayer Ag, 5090 Leverkusen Textilbeschichtungen und Syntheseleder aus Polycarbonat-Polyharnstoff-Elastomeren
JPS58157814A (ja) * 1982-03-16 1983-09-20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GB2121813B (en) * 1982-05-01 1985-09-18 Belzona Molecular Metalife Polyurethane composition
JPS6013324A (ja) * 1983-07-02 1985-01-2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US4861909A (en) * 1986-04-11 1989-08-29 The Dow Chemical Company Isocyanate-modified poly(alkylene carbonate) polyahls
DE3736652A1 (de) * 1987-10-29 1989-05-1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en
DE4125454A1 (de) * 1991-08-01 1993-02-04 Bayer Ag Beschichtungsmittel und ihre verwendung zur erzeugung wasserdampfdurchlaessiger beschichtungen
DE4236569A1 (de) * 1992-10-29 1994-05-05 Bayer Ag Wäßrige Beschichtungsmittel und ihre Verwendung zur Erzeugung wasserdampfdurchlässiger Beschichtungen
JP4096742B2 (ja) * 2003-01-17 2008-06-04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印刷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02039A (zh) * 2007-07-12 2010-08-11 陶氏环球技术公司 弹性体的预聚物和聚合物
JP5111159B2 (ja) * 2008-02-28 2012-12-26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印刷原版に適したポリマーと印刷原版
KR20110023667A (ko) * 2009-08-31 2011-03-08 서병국 계천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
WO2012112475A1 (en) * 2011-02-15 2012-08-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temperature hydrocarbon resistant polyurethane articles
CN103467973B (zh) * 2013-09-29 2015-08-19 广州华工百川科技有限公司 一种耐溶剂聚氨酯胶辊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1080A (ja) * 1985-07-01 1987-04-30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 ポリ(アルキレン カ−ボネ−ト)ポリオ−ルの分子量を高くするための方法
JPH05301335A (ja) 1992-04-24 1993-11-16 Isamu Sekimoto 印刷機用ポリウレタンローラの製造方法
JPH07126221A (ja) * 1993-10-28 1995-05-16 Nippon Paint Co Ltd 水酸基を有する脂肪族カーボネート
JP2000302835A (ja) * 1999-04-22 2000-10-3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US20040087754A1 (en) * 2002-10-31 2004-05-06 Paul Foley Polyurethane compound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KR20050065658A (ko) * 2002-10-31 2005-06-2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폴리우레탄 배합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KR20090082246A (ko) * 2006-12-26 2009-07-29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인쇄판용 수지 조성물
JP2010184957A (ja) * 2009-02-10 2010-08-26 Sanyo Chem Ind Ltd ポリエーテル系ポリマ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1515A1 (en) 2019-01-02
JPWO2017146134A1 (ja) 2018-03-08
TW201741359A (zh) 2017-12-01
CN117467106A (zh) 2024-01-30
KR102172756B1 (ko) 2020-11-02
EP3421515A4 (en) 2019-09-04
JP2018048339A (ja) 2018-03-29
US20190048125A1 (en) 2019-02-14
JP6988369B2 (ja) 2022-01-05
WO2017146134A1 (ja) 2017-08-31
JP6233552B1 (ja) 2017-11-22
CN108699205A (zh) 2018-10-23
TWI794159B (zh)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8369B2 (ja)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ウレタン樹脂成形物
US11066508B2 (en) Polyester-modified polybutadienols for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s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KR100568492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디올 및 이로부터 수득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KR102110107B1 (ko)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제조 방법 및 폴리카보네이트디올 그리고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및 폴리우레탄
JP5019011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10191219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20190309121A1 (en) Biorenewable high performance polyester polyols
WO2015007731A1 (en) Isocyanate prepolym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polyurethane prepared therefrom
EP3960451A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elastomer
KR102271145B1 (ko)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JP2008037993A (ja)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JP6583024B2 (ja) 塗料用ウレタン樹脂組成物
CN114008101A (zh) 用于生产ndi预聚物的方法
JP5294032B2 (ja) ワンショット成形用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2019044003A (ja) 二液硬化型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成形品
KR101037493B1 (ko) 폴리우레탄 및 불포화폴리에스터수지, 불포화폴리우레탄 제조용 말레인산 폴리에스터 폴리올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3234184A (en) Polyurethanes from ring-polyhalogenated diisocyanate
JP7380676B2 (ja) ポリアルキレンエーテルグリコー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
CN113544189B (zh) 聚碳酸酯二醇及其用途
JP7035739B2 (ja) ウレタン樹脂組成物、熱硬化型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24068579A (ja) 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成形品
RU252379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уретанового термоэластопласта
JP202407361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ジオール組成物
JP2021055030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体及び靴底
JP2021147459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融紡糸法弾性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