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203A -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203A
KR20180104203A KR1020187026629A KR20187026629A KR20180104203A KR 20180104203 A KR20180104203 A KR 20180104203A KR 1020187026629 A KR1020187026629 A KR 1020187026629A KR 20187026629 A KR20187026629 A KR 20187026629A KR 20180104203 A KR20180104203 A KR 2018010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ransistor
swb
swa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900B1 (ko
Inventor
아츠시 고마이
요시유키 와타나베
오사무 사루와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80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56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84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173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843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56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3775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1340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18010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9Control of the dynamic rang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storable in the pixel, e.g. modification of the charge conversion ratio of the floating node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01L27/14612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involving a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6Interconnec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41Electronic components shared by two or more pixel-elements, e.g. one amplifier shared by two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6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combining or binning 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5/347
    • H04N5/355
    • H04N5/37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8Readout circuits for addressed sensors, e.g. output amplifiers or A/D converters

Abstract

고체 촬상 소자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의 전하를 축적하는 전하 축적부를 갖는 복수의 화소와, 이웃하는 2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갖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SOLID-STATE IMAGING ELEMENT, AND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는, 복수의 화소로서 적어도 2 개의 화소가 각각 (a) 포토디텍터, (b) 플로팅 용량부를 이루는 전하 전압 변환 영역 및 (c) 증폭기로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전하 전압 변환 영역끼리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스위치를 구비한 고체 촬상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46313호
상기 종래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치를 온하여 상기 전하 전압 변환 영역끼리를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전체의 전하 전압 변환 영역에서의 포화 전자수가 확대되기 때문에,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종래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치를 오프하여 상기 전하 전압 변환 영역을 다른 전하 전압 변환 영역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이 작아져 그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가 높아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상기 연결 스위치를 오프로 해도,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그다지 높게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이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고체 촬상 소자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의 전하를 축적하는 전하 축적부를 갖는 복수의 화소와, 이웃하는 2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갖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접속부는, 복수의 스위치와 접속 영역을 구비하고,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전하 축적부와 접속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2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에는, 연결부 1 개당 2 개 이상의 스위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2 또는 3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 중 온 상태의 스위치가, 이웃하는 2 개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1 동작 모드와, 복수의 스위치 중 1 개 이상의 소정수의 온 상태의 스위치가,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2 또는 3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중 3 개 이상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가, 복수의 스위치의 2 세트 이상에 의해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제 5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 중 온 상태의 스위치가,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1 동작 모드와, 복수의 스위치 중 1 개 이상의 소정수의 온 상태의 스위치가,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제 2 ∼ 6 중 어느 일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의 각각으로부터 접속 영역에 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의하면, 제 7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전송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스위치 중 1 개의 전송 스위치의 소스 또는 드레인이 되는 확산 영역, 및, 복수의 전송 스위치 중 다른 1 개의 전송 스위치의 소스 또는 드레인이 되는 확산 영역이, 복수의 광전 변환부 중 1 개의 광전 변환부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 중 다른 1 개의 광전 변환부의 사이에 형성된 1 개의 확산 영역에서 겸용되고,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있어서, 1 개의 전송 스위치의 게이트 전극은, 1 개의 확산 영역의, 1 개의 광전 변환부의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있어서, 다른 1 개의 전송 스위치의 게이트 전극은, 1 개의 확산 영역의, 다른 1 개의 광전 변환부의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의하면, 제 7 또는 8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광전 변환부의 수 및 복수의 전송 스위치의 수가 각각 2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의하면, 제 9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에는, 연결부 1 개당 2 개의 스위치가 포함되고, 2 개의 스위치 중 1 개의 스위치와 다른 1 개의 스위치의 소정 방향의 위치 어긋남량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의 소정 방향의 피치보다 크고 또한 피치의 2 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에 의하면, 제 2 ∼ 10 중 어느 일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에는, 연결부 1 개당 2 개의 스위치가 포함되고, 2 개의 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의 2 개의 스위치 사이의 접속 영역과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의 값은, 2 개의 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의 전하 축적부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의 값에 대해 ±20 % 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에 의하면, 제 2 ∼ 11 중 어느 일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에는, 연결부 1 개당 2 개의 스위치가 포함되고, 2 개의 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의 2 개의 스위치 사이의 접속 영역을 구성하는 배선의 적어도 일부의 폭이 화소 내의 다른 배선의 폭보다 넓은 것, 접속 영역에 MOS 용량이 접속되어 있는 것, 및, 복수의 스위치를 구성하지 않는 확산 용량이 접속 영역에 접속되어 있는 것 중 어느 1 개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접속부는 복수의 스위치와 접속 영역을 구비하고, 복수의 스위치는, 전하 축적부와 접속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와, 접속 영역과 다른 접속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에 의하면, 제 13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 2 스위치는, 복수의 접속 영역을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에 의하면, 제 13 또는 14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스위치 중 p 개 (p 는 1 이상의 정수) 의 온 상태의 제 1 스위치 및 복수의 제 2 스위치 중 q 개 (q 는 p 보다 큰 정수) 의 온 상태의 제 2 스위치가, 복수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에 의하면, 제 15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p 가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7 양태에 의하면, 제 13 ∼ 16 중 어느 일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오프하도록, 복수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제 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8 양태에 의하면, 제 13 ∼ 17 중 어느 일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의 각각으로부터 접속 영역에 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9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접속부는, 복수의 스위치와 접속 영역을 구비하고, 화소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를 갖고, 리셋 스위치는, 접속 영역을 통해서 복수의 스위치 중 1 개의 스위치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0 양태에 의하면, 제 19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는, 전하 축적부와 접속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와, 접속 영역과 다른 접속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1 개의 스위치는 제 1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1 양태에 의하면, 제 20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의 각각으로부터 접속 영역에 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2 양태에 의하면, 제 20 또는 21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2 개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만 일단 온하고, 또한,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 적어도 온하도록, 제 1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3 양태에 의하면, 제 22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어부는,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온하고, 제 2 스위치가 오프하고, 또한,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만 온하도록,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4 양태에 의하면, 제 22 또는 23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어부는,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온하고, 제 2 스위치가 온하고, 또한,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만 온하도록,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3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5 양태에 의하면, 제 20 또는 21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는, 복수의 화소 중 3 개 이상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들 3 개 이상의 전하 축적부에 각각 대응하는 3 개 이상의 접속 영역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3 개 이상의 제 1 스위치를 포함하고, 3 개 이상의 접속 영역이 복수의 제 2 스위치에 의해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되고, 3 개 이상의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3 개 이상의 리셋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6 양태에 의하면, 제 25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만 일단 온하고, 또한,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 적어도 온하도록, 제 1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7 양태에 의하면, 제 22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어부는,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온하고, 제 2 스위치가 오프하고, 또한,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만 온하도록,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8 양태에 의하면, 제 26 또는 27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어부는,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절단하는 제 1 스위치가 온하고, 제 2 스위치가 온하고, 또한,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을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3 개 이상의 화소 중 1 개의 화소의 전하 축적부의 전위의 리셋시에만 온하도록,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3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9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접속부는, 복수의 스위치와 접속 영역을 구비하고, 화소는, 접속 영역과 기생 용량을 발생하는 더미 배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0 양태에 의하면, 제 29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화소의 전하 축적부를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를 구비하고, 더미 배선은, 연결부를 구성하는 배선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일단이 리셋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1 양태에 의하면, 제 29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화소의 전하 축적부를 기준 전압으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를 구비하고, 화소의 전하 축적부를 기준 전압으로 리셋할 때, 리셋 스위치와 전하 축적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1 개의 스위치를 일시적으로 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2 양태에 의하면, 고체 촬상 소자는, 1 개의 광전 변환부, 노드, 및, 1 개의 광전 변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광전 변환부로부터 노드에 전하를 전송하는 1 개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복수의 화소 블록과, 1 개의 화소 블록의 노드와 다른 1 개의 화소 블록의 노드의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인 접속부와, 접속부 중에 형성된 화소 블록 1 개당 복수의 연결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3 양태에 의하면, 고체 촬상 소자는, 복수의 광전 변환부, 노드, 및,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광전 변환부로부터 노드에 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복수의 화소 블록과, 인접하는 2 개의 화소 블록의 노드간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4 양태에 의하면, 고체 촬상 소자는, 1 개의 광전 변환부, 제 1 노드, 및, 1 개의 광전 변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광전 변환부로부터 제 1 노드에 전하를 전송하는 1 개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복수의 화소 블록과,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 및 다른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2 개의 제 2 노드와,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 및 다른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와 2 개의 제 2 노드의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2 개의 제 1 스위치부와, 2 개의 제 2 노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5 양태에 의하면, 고체 촬상 소자는, 1 개의 광전 변환부, 제 1 노드, 및, 1 개의 광전 변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광전 변환부로부터 제 1 노드에 전하를 전송하는 1 개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복수의 화소 블록과, 3 개 이상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3 개 이상의 제 2 노드와, 3 개 이상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와 3 개 이상의 제 2 노드의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3 개 이상의 제 1 스위치부와, 3 개 이상의 제 2 노드를 접속하고, 각각이 2 개의 제 2 노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6 양태에 의하면, 고체 촬상 소자는, 1 개의 광전 변환부, 제 1 노드, 및, 1 개의 광전 변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광전 변환부로부터 제 1 노드에 전하를 전송하는 1 개의 전송 스위치를 갖는 복수의 화소 블록과,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 및 다른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2 개의 제 2 노드와,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 및 다른 1 개의 화소 블록의 제 1 노드와 2 개의 제 2 노드의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2 개의 제 1 스위치부와, 2 개의 제 2 노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부와, 2 개의 제 2 노드에 각각 소정 전위를 공급하는 2 개의 제 3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7 양태에 의하면, 촬상 장치는, 제 1 ∼ 36 중 어느 일 양태의 고체 촬상 소자를 구비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중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2 중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중의 1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소정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 은, 도 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 은, 도 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 는, 비교예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중의 4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6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소정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9 는,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2 는, 도 1 중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3 은, 도 1 중의 4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4 는,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소정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5 는,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6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7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8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0 은, 도 1 중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1 은, 도 1 중의 4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2 는, 도 31 중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3 은, 도 32 중의 1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4 는,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소정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5 는,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6 은,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7 은,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8 은,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의 또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9 는, 비교예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0 은, 도 37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1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2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3 은, 도 42 중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4 는, 노드 (P(n)) 의 전위를 리셋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5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6 은, 도 45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7 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8 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 2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9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 2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0 은, 노드 (P(n)) 의 전위를 리셋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 (1)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 (1) 는, 예를 들어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메라로서 구성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콤팩트 카메라 등의 다른 전자 카메라나, 휴대 전화에 탑재된 전자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상하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카메라 등의 각종 촬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카메라 (1) 에는, 촬영 렌즈 (2) 가 장착된다. 이 촬영 렌즈 (2) 는, 렌즈 제어부 (3) 에 의해 포커스나 조리개가 구동된다. 이 촬영 렌즈 (2) 의 이미지 공간에는, 고체 촬상 소자 (4) 의 촬상면이 배치된다.
고체 촬상 소자 (4) 는, 촬상 제어부 (5) 의 지령에 의해 구동되고, 디지털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통상적인 본 촬영시 (정지 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촬상 제어부 (5) 는, 예를 들어, 전체 화소를 동시에 리셋하는 소위 글로벌 리셋 후에, 도시하지 않는 메커니컬 셔터로 노광한 후에, 소정의 판독 동작을 실시하도록 고체 촬상 소자 (4) 를 제어한다. 또, 전자 뷰파인더 모드시나 동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촬상 제어부 (5) 는, 예를 들어 소위 롤링 전자 셔터를 실시하면서 소정의 판독 동작을 실시하도록 고체 촬상 소자 (4) 를 제어한다. 이러한 때에, 촬상 제어부 (5)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SO 감도의 설정값에 따라서,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의 판독 동작을 실시하도록, 고체 촬상 소자 (4) 를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는, 고체 촬상 소자 (4) 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화상 신호에 대해, 디지털 증폭, 색 보간 처리, 화이트 밸런스 처리 등의 화상 처리 등을 실시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에 의한 처리 후의 화상 신호는, 메모리 (7) 에 일단 축적된다. 메모리 (7) 는, 버스 (8) 에 접속되어 있다. 버스 (8) 에는, 렌즈 제어부 (3), 촬상 제어부 (5), CPU (9),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표시부 (10), 기록부 (11), 화상 압축부 (12) 및 화상 처리부 (13) 등도 접속된다. CPU (9) 에는, 릴리스 버튼 등의 조작부 (14) 가 접속된다. 조작부 (14) 에 의해 ISO 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록부 (11) 에는 기록 매체 (11a) 가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전자 카메라 (1) 내의 CPU (9) 는, 조작부 (14) 의 조작에 의해 전자 뷰파인더 모드나 동영상 촬영이나 통상적인 본 촬영 (정지 영상 촬영) 등이 지시되면, 그것에 맞추어 촬상 제어부 (5) 를 구동한다. 이 때, 렌즈 제어부 (3) 에 의해, 포커스나 조리개가 적절히 조정된다. 고체 촬상 소자 (4) 는, 촬상 제어부 (5) 의 지령에 의해 구동되고, 디지털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고체 촬상 소자 (4) 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에서 처리된 후에, 메모리 (7) 에 축적된다. CPU (9) 는, 전자 뷰파인더 모드시에는 그 화상 신호를 표시부 (10) 에 화상 표시시키고, 동영상 촬영시에는 그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 (11a) 에 기록한다. 통상적인 본 촬영시 (정지 영상 촬영시) 등의 경우에는, CPU (9) 는, 고체 촬상 소자 (4) 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에서 처리되어 메모리 (7) 에 축적된 후에, 조작부 (14) 의 지령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화상 처리부 (13) 나 화상 압축부 (12) 에서 원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기록부 (11) 에 처리 후의 신호를 출력시키고 기록 매체 (11a) 에 기록한다.
도 2 는, 도 1 중의 고체 촬상 소자 (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2 중의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중의 1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 (4) 는, CMOS 형의 고체 촬상 소자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른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로서 구성해도 된다.
고체 촬상 소자 (4) 는,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 행 M 열에 2 차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2 개의 화소 (PX (PXA, PXB)) 를 갖는 화소 블록 (BL) 과, 화소 블록 (BL) 의 1 개당 복수의 연결 스위치로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와, 수직 주사 회로 (21) 와, 화소 블록 (BL) 의 행마다 형성된 제어선 (22 ∼ 27) 과, 화소 (PX) 의 열마다 (화소 블록 (BL) 의 열마다) 형성되고 대응하는 열의 화소 (PX) (화소 블록 (BL)) 로부터의 신호를 수취하는 복수의 (M 개의) 수직 신호선 (28) 과, 각 수직 신호선 (28) 에 형성된 정전류원 (29) 과, 각 수직 신호선 (28) 에 대응하여 형성된 칼럼 앰프 (30), CDS 회로 (상관 2 중 샘플링 회로) (31) 및 A/D 변환기 (32) 와, 수평 판독 회로 (33) 를 갖고 있다.
또한, 칼럼 앰프 (30) 로서, 아날로그 증폭기를 사용해도 되고, 소위 스위치드 커패시터 앰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 칼럼 앰프 (30) 는, 반드시 형성하지는 않아도 된다.
도면 표기의 편의상, 도 2 에서는 M=2 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열수 (M) 는 실제로는 보다 많은 임의의 수가 된다. 또, 행수 (N) 도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구별하는 경우, j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은 부호 BL(j) 로 나타낸다. 이 점은, 다른 요소나 후술하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 및 도 3 에는, 3 행에 걸치는 n-1 행째 내지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 BL(n+1)) 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화소 블록 (BL) 중 도 2 및 도 3 중 하측의 화소의 부호를 PXA 로 하고, 도 2 및 도 3 중 상측의 화소의 부호를 PX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PX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서는, 화소 (PXA) 의 포토다이오드의 부호를 PDA 로 하고, 화소 (PXB) 의 포토다이오드의 부호를 PD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PD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PXA) 의 전송 트랜지스터의 부호를 TXA 로 하고, 화소 (PXB) 의 전송 트랜지스터의 부호를 TX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TX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는, 2N 행 M 열에 2 차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는, 입사광에 따른 신호 전하를 생성하고 축적하는 광전 변환부로서의 포토다이오드 (PD) 와, 포토다이오드 (PD) 로부터 노드 (P) 에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스위치로서의 전송 트랜지스터 (TX)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화소 (PX) 는, 포토다이오드 (PD) 가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2 개의 화소 (PX (PXA, PXB)) 마다 화소 블록 (BL) 을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 블록 (BL) 마다, 당해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노드 (P),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다. 노드 (P) 에는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이 형성되고, 그 용량에 의해, 노드 (P) 에 전송되어 온 전하가 전압으로 변환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 는, 노드 (P) 의 전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성하고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 는, 노드 (P) 의 전위를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 는, 당해 화소 블록 (BL) 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구성하고 있다. 포토다이오드 (PD)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 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에서 공유되는 일 없이, 화소 (PX) 마다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1 행째의 화소 (PX (PXA)) 와 2 행째의 화소 (PX (PXB)) 에 의해 1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이 구성되고, 3 행째의 화소 (PX (PXA)) 와 4 행째의 화소 (PX (PXB)) 에 의해 2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PD) 가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3 개 이상의 화소 (PX) 마다 화소 블록 (BL) 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광 입사측에는, 각각이 상이한 색 성분의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 종류의 컬러 필터가, 소정의 색 배열 (예를 들어, 베이어 배열) 로 배치되어 있다. 화소 (PX) 는, 컬러 필터에 의한 색 분해에 의해 각 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각 화소 블록 (BL) 중 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각 2 개의 화소 블록 (BL) 에 대해, 일방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와 타방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의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인 접속로 (접속부) 로서 그 사이에 고유의 접속로 (접속부) 중에, 2 개의 연결 스위치로서의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가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이상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가, 복수의 상기 접속로 (접속부) 에 의해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들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연결 트랜지스터 (SWa) 는, 도 2 및 도 3 중의 하측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측에 배치된 것이고, 연결 트랜지스터 (SWb) 는, 도 2 및 도 3 중의 상측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의 측에 배치된 것이다.
예를 들어,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노드 (P(n)) 와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n+1)) 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로로서 그 사이에 고유의 접속로 중에,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는 화소 블록 (BL(n)) 의 영역 내에 형성되는 한편, 연결 트랜지스터 (SWb(n)) 는 화소 블록 (BL(n+1)) 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에는, 동일한 고유의 접속로 중에 직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부호의 말미에 동일한 (n) 을 붙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고유의 접속로 중에 3 개 이상의 연결 스위치를 직렬로 형성해도 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각 고유의 접속로 중에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를 직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 VDD 는 전원 전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 (TXA, TXB, AMP, RST, SEL, SWa, SWb) 는, 모두 nMOS 트랜지스터이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6)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TX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5)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TX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4)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RST)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3)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EL)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연결 트랜지스터 (SW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2)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7)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TXA(n)) 가 공급되고,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TXB(n)) 가 공급되고,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RST(n)) 가 공급되고, 선택 트랜지스터 (SEL(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EL(n)) 가 공급되고,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Wa(n)) 가 공급되고,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Wb(n)) 가 공급된다.
각 트랜지스터 (TXA, TXB, RST, SEL, SWa, SWb) 는, 대응하는 제어 신호 (φTXA, φTXB, φRST, φSEL, φSWa, φSWb) 가 하이 레벨 (H) 일 때에 온하고, 로 레벨 (L) 일 때에 오프한다.
수직 주사 회로 (21) 는,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화소 블록 (BL) 의 행마다, 제어 신호 (φTXA, φTXB, φRST, φSEL, φSWa, φSWb) 를 각각 출력하고, 화소 블록 (BL),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를 제어하고, 정지 영상 판독 동작이나 동영상 판독 동작 등을 실현한다. 이 제어에 있어서,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에 따라,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의 판독 동작이 실시된다. 이 제어에 의해, 각 수직 신호선 (28) 에는, 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 (PX) 의 신호 (아날로그 신호) 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 주사 회로 (21) 는,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를,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로부터의 지령 (제어 신호) 에 따라 전환하여 실시하는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직 신호선 (28) 에 판독된 신호는, 각 열마다,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되고 또한 CDS 회로 (31) 에서 광 신호 (화소 (PX) 로 광전 변환된 광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와 암신호 (광 신호로부터 빼야 할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는 차분용 신호) 의 차분을 얻는 처리가 실시된 후에, A/D 변환기 (32)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 디지털 신호는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신호 형식으로 변환되어,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또한, CDS 회로 (31) 는,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타이밍 발생 회로 (도시 생략) 로부터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를 받고, φDARKC 가 하이 레벨 (H) 인 경우에 칼럼 앰프 (30) 의 출력 신호를 암신호로서 샘플링함과 함께,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를 받고, φSIGC 가 H 인 경우에 칼럼 앰프 (30) 의 출력 신호를 광 신호로서 샘플링한다. 그리고, CDS 회로 (31) 는, 상기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의 클럭이나 펄스에 기초하여, 샘플링한 암신호와 광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CDS 회로 (31) 의 구성으로는, 공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화소 블록 (BL) 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제로는, 포토다이오드 (PD) 의 상부에는 컬러 필터나 마이크로 렌즈 등이 배치되지만, 도 4 및 도 5 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전원선, 그라운드선 및 제어선 (22 ∼ 27) 등의 레이아웃은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 형 실리콘 기판 (도시 생략) 상에 P 형 웰 (도시 생략) 이 형성되고, 상기 P 형 웰 중에 포토다이오드 (PD) 등의 화소 블록 (BL) 에 있어서의 각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 있어서, 부호 41 ∼ 49 는, 전술한 각 트랜지스터의 일부가 되어 있는 N 형 불순물 확산 영역이다. 부호 61 ∼ 67 은, 폴리실리콘에 의한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다. 또한, 확산 영역 (42, 45) 은, 도시하지 않는 전원선에 의해 전원 전압 (VDD) 이 인가되는 영역이다.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는, 상기 P 형 웰 중에 형성된 N 형의 전하 축적층 (도시 생략) 과 그 표면측에 배치된 P 형의 공핍화 (空乏化) 방지층 (도시 생략) 으로 이루어지는 매립형 포토다이오드이다.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하고, 발생한 전하를 그 전하 축적층에 축적한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n)) 는, 포토다이오드 (PDA(n)) 의 전하 축적층을 소스, 확산 영역 (41)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1)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n)) 는, 포토다이오드 (PDB(n)) 의 전하 축적층을 소스, 확산 영역 (41)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2)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확산 영역 (41) 은, 포토다이오드 (PDA(n)) 와 포토다이오드 (PDB(n))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확산 영역 (41)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드레인이 되는 확산 영역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드레인이 되는 확산 영역으로서 겸용되고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게이트 전극 (61) 은, 확산 영역 (41) 의 포토다이오드 (PDA(n))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게이트 전극 (62) 은, 확산 영역 (41) 의 포토다이오드 (PDB(n))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는, 확산 영역 (42)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3)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3)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는, 확산 영역 (43)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4)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4)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확산 영역 (44) 은, 수직 신호선 (28) 에 접속되어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는, 확산 영역 (45)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6)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5)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는, 확산 영역 (46) 을 소스, 확산 영역 (47)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6)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는, 확산 영역 (48)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9)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7)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화소 블록 (BL(n)) 의 게이트 전극 (63) 및 확산 영역 (41, 46) 그리고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확산 영역 (48) 사이가, 배선 (71(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드 (P(n)) 는, 배선 (71(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n 행째 이외의 화소 블록 (BL) 의 구조도, 전술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구조와 동일하다.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이외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의 구조도, 전술한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구조와 동일하다.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이외의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구조도, 전술한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각 고유의 접속로 중에 직렬로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에 대해, 연결 트랜지스터 (SWa) 의 확산 영역 (47) 과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확산 영역 (49) 의 사이가, 배선 (72)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의 확산 영역 (47) 과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확산 영역 (49) 의 사이가, 배선 (72(n-1))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 (72(n-1))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SWb(n-1)) 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SWb(n-1)) 사이의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다.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확산 영역 (47) 과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의 확산 영역 (49) 의 사이가, 배선 (72(n))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 (72(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사이의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고유의 접속로 중에 직렬로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사이의 열 방향의 위치 어긋남량을 Ls 로 하고, 포토다이오드 (PD) 의 열 방향의 피치를 Pg 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치 (Pg) 와 위치 어긋남량 (Ls) 의 관계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용량 (CA) 의 용량값 (Cfd1) 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Pg<Ls<2×P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근방에 배치되고, 위치 어긋남량 (Ls) 이 2×Pg 를 약간 하회할 정도로 설정되어, 배선 (71(n)) 의 길이가 극력 짧게 되고, 후술하는 용량 (CA(n)) 의 용량값 (Cfd1) 이 극력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 에 있어서, CA(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1))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노드 (P(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A(n)) 의 용량값을 Cfd1 로 한다. CB(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배선 (72(n)) 과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용량 (CB(n)) 의 용량값을 Cfd2 로 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량 (CA(n))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1) 의 용량과,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 (46) 의 용량과,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 (46) 의 용량과,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8) 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 (63) 의 용량과, 배선 (71(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A(n)) 의 용량값 (Cfd1) 이 된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연결 트랜지스터 (SWa)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 및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을, 양방 모두 Csw 로 한다. 통상적으로, 용량값 (Csw) 은, 용량값 (Cfd1, Cfd2) 에 대해 작은 값이다.
지금,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1)) 가 양방 모두 오프하면 (즉,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고,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로가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노드 (P(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A(n)) 이 된다. 따라서,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6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면,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이외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SWb(n)) 가 오프이면), 노드 (P(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A(n)) 에 대해, 용량 (CB(n)) 및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7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양방 모두 온하면,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이외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SWa(n+1)) 가 오프이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A(n)) 에 대해, 용량 (CB(n)),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의 온시의 채널 용량 및 용량 (CA(n+1)) 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Cfd2+2×Csw≒2×Cfd1+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8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없으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의 수를 1 개 이상의 원하는 수로 늘려 가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원하는 값으로 크게 할 수 있고, 큰 신호 전하량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포화 전자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상, 화소 블록 (BL(n)) 의 노드 (P(n))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6 은, 도 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4) 의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1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 (당해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이 최소인 상태) 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체 화소 (PXA, PXB) 의 신호를 판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소 행을 솎아내어 판독하는 솎아내기 판독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7 및 도 8 에 각각 나타내는 각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6 은,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행의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도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간 (T2) 의 개시 전에 이미, 소정의 노광 기간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의 노광이 종료되어 있다. 이 노광은, 통상적인 본 촬영시 (정지 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전체 화소를 동시에 리셋하는 소위 글로벌 리셋 후에 메커니컬 셔터 (도시 생략) 에 의해 실시되고, 전자 뷰파인더 모드시나 동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소위 롤링 전자 셔터 동작에 의해 실시된다. 기간 (T2) 의 개시 직전에는, 모든 트랜지스터 (SEL, RST, TXA, TXB, SWa, SWb) 는 오프하고 있다.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φSEL(n) 이 H 가 되고,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선택 트랜지스터 (SEL(n)) 가 온이 되고,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된다.
또,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φSWb(n-1) 이 L 이 되고,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1))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되고, 최소가 된다.
기간 (T2) 의 개시 직후부터 일정 기간만, φRST(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일단 온이 되고, 노드 (P(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1)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가 H 가 되어, 노드 (P(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암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2)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TXA(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포토다이오드 (PDA(n)) 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 전하가,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으로 전송된다. 노드 (P(n)) 의 전위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면, 이 신호 전하의 양과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역수에 비례한 값이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3) 에 있어서,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가 H 가 되어, 노드 (P(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광 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그 후에 φSIGC 가 L 이 된 시점 후에, CDS 회로 (31) 는, 시점 (t1)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에서 샘플링한 암신호와 시점 (t3) 으로부터의 일정 시간에서 샘플링한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 (32) 는, 이 차분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디지털 신호 화상 신호로서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그리고, 기간 (T2) 중의 시점 (t4)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RST(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일단 온이 되고, 노드 (P(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5)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가 H 가 되어, 노드 (P(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암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6)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TXB(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전송 트랜지스터 (TXB(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포토다이오드 (PDB(n)) 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 전하가,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으로 전송된다. 노드 (P(n)) 의 전위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면, 이 신호 전하의 양과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역수에 비례한 값이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7) 에 있어서,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가 H 가 되어, 노드 (P(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광 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그 후에 φSIGC 가 L 이 된 시점 후에, CDS 회로 (31) 는, 시점 (t5)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에서 샘플링한 암신호와 시점 (t7) 으로부터의 일정 시간에서 샘플링한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 (32) 는, 이 차분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디지털 신호 화상 신호로서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없기 때문에,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1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7 은, 도 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4) 의 제 2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2A 동작 모드는, 제 2 동작 모드 중 1 개의 동작 모드이다. 이 제 2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 이상의 소정수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상기 제 2A 동작 모드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를 1 개로 한 동작의 예이다.
도 7 도, 도 6 과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제 2A 동작 모드가 도 6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제 2A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이 H 가 됨과 함께 φSWb(n-1) 이 L 이 되고,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온이 됨과 함께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 (여기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되고, 도 6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1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A 동작 모드에서는,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1 단계 커지고,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1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1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1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2A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8 은, 도 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4) 의 제 2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2B 동작 모드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 중 다른 1 개의 동작 모드이며, 상기 소정수를 2 개로 한 동작예이다.
도 8 도, 도 6 및 도 7 과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제 2B 동작 모드가 도 6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나 도 7 에 나타내는 제 2A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제 2B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φSWb(n) 이 H 가 됨과 함께 φSWb(n-1), φSWa(n+1) 이 L 이 되고,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온이 됨과 함께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SWa(n+1))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 (여기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Cfd2+2Csw≒2×Cfd1+Cfd2 가 되고, 도 6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2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B 동작 모드에서는,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2 단계 커지고,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2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2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2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2B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또한,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를 3 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 (4) 와 비교되는 비교예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이 비교예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 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 에 대응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 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5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 에 있어서, 확산 영역이나 게이트 전극에 부호를 붙이고 있지 않지만, 그들 부호는 도 5 와 동일하므로, 도 5 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비교예가 본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b) 가 제거되고, 배선 (71, 72) 을 포함하는 배선 (171) 에 의해, 제거된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지점이 단락 상태가 되어 있는 점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가 제거되고, 배선 (71(n), 72(n-1)) 을 포함하는 배선 (171(n)) 에 의해, 화소 블록 (BL(n)) 의 게이트 전극 (63) 및 확산 영역 (41, 46) 그리고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의 확산 영역 (47) 사이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 에 있어서, CAB(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a(n-1))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노드 (P(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AB(n)) 의 용량값을 Cfd 로 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량 (CAB(n))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1) 의 용량과,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 (46) 과,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 (46) 과,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7) 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 (63) 의 용량과, 배선 (171(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AB(n)) 의 용량값 (Cfd) 이 된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배선 (171(n)) 의 배선 용량은, 배선 (71(n)) 의 배선 용량 (부유 용량) 과 배선 (171(n)) 의 배선 용량의 합에 거의 동등하다. 따라서, 용량 (CAB(n)) 의 용량값 (Cfd)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술한 용량 (CA(n)) 의 용량값 (Cfd1) 과 용량 (CB(n)) 의 용량값 (Cfd2) 의 합에 거의 동등해져, Cfd≒Cfd1+Cfd2 가 된다.
이 비교예에서는,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a(n-1)) 가 양방 모두 오프하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AB(n)) 이 된다. 따라서,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 가 되어 비교예에 있어서의 최소가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비교예에 있어서의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이 비교예에서는,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중 1 개 이상의 소정수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하면, 그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의 수에 따라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커지고, 포화 전자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비교예에서는,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Cfd1+Cfd2 보다 작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비교예에 의하면, 전하 전압 변환 계수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어, 그다지 높은 SN 비로 판독할 수가 없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결 트랜지스터 (SWb) 가 추가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최소의 용량값을 Cfd1≒Cfd―Cfd2 로 할 수 있어, 상기 비교예에 비해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비교예에 비해,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 방향으로 순차 이웃하는 모든 2 개의 노드 (P) 사이에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q 개 (q 는 2 이상의 정수) 간격의 노드 (P) 와 당해 노드 (P)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노드 (P) 의 사이에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항상 개방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q 의 수가 작을수록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수의 최대수가 작아지고,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대 정도가 저하되지만, 상기 비교예에 비해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동작예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는 일 없이 판독하는 동작의 예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동색 (同色) 의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여 판독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SWb(n-1), SWa(n), SWb(n)) 를 온으로 하여 노드 (P(n-1), P(n), P(n+1)) 를 서로 연결하고, TXA(n-1), TXA(n), TXA(n+1) 을 동시에 온으로 하면, 베이어 배열 등을 전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동색의 3 개의 화소 (PXA(n-1), PXA(n), PXA(n-1)) 의 포토다이오드 (PDA(n-1), PDA(n), PDA(n-1)) 의 신호 전하가 서로 연결된 노드 (P(n-1), P(n), P(n+1)) 에서 평균화되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트랜지스터 (SWb(n-2), SWa(n+1)) 를 오프로 하고, 노드 (P(n-1), P(n), P(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의 수를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연결된 노드 (P(n-1), P(n), P(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최고의 SN 비로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SWb(n-1), SWa(n), SWb(n)) 외에, 1 개 이상의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노드 (P(n-1), P(n), P(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면, 그 수에 따라, 연결된 노드 (P(n-1), P(n), P(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커지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 에 대응하고 있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 에 대응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5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각 배선 (72) 에, 용량값 (Cfd3) 을 갖는 조정 용량 (CB') 이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용량 (CB(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배선 (72(n)) 과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므로, 조정 용량 (CB'(n)) 도 용량 (CB(n)) 에 포함되는 것이지만, 조정 용량 (CB')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량 (CB(n)) 의 용량값 (Cfd2) 을 이루는 구성에 대해, 용량값 (Cfd3) 을 추가하는 구성 요소인 것을 명시하기 위해서, 도 11 및 도 12 에 있어서 용량 (CB(n)) 과는 별개로 조정 용량 (CB') 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용량 (CB(n)) 의 용량값은 Cfd2 인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량 (CB(n)) 의 용량값은 Cfd2+Cfd3 이 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용량 (CB), 배선 (72), 조정 용량 (C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지는 것 외에, 조정 용량 (CB') 을 형성함으로써, 용량 (CB) 의 용량값을 임의의 원하는 용량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조정 용량 (CB') 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i) 배선 (72) 의 배선폭의 적어도 일부의 폭을 화소 블록 (BL) 내의 다른 배선의 배선폭보다 넓게 함으로써, 배선 (72) 의 면적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선 (72) 의 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 (ii) 배선 (72) 에 MOS 용량을 접속하는 것, (iii)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를 구성하지 않는 확산 용량을 접속하는 것, (iv) 연결 트랜지스터 (SWa)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7) 의 면적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레인 확산 영역 (47) 의 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 (v)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소스 확산 영역 (49) 의 면적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스 확산 영역 (49) 의 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 중 1 개 또는 2 개 이상을 조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 용량 (CB') 의 용량값 (Cfd3) 의 설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기준 용량값의 정수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조정 용량 (CB') 을 부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용량 (CA) 의 용량값 (Cfd1) 에 대해, 용량 (CB) 의 용량값 (Cfd2) 은 작아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기준 용량값의 2 배로 하기 위해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를 온으로 하여,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2×Cfd1+Cfd2+2×Csw 로 하여, 2 개의 화소 블록 (BL(n), BL(n+1)) 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정 용량 (CB') 의 용량값 (Cfd3) 이 Cfd1―Cfd2 가 되도록 조정 용량 (CB') 을 형성하면, 용량 (CB) 의 용량값이 cfd2+Cfd3=Cfd1 이 된다. 따라서,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기준 용량값의 2 배로 하기 위해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를 온하는 것만으로 되고, 1 개의 화소 블록 (BL(n)) 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더욱 큰 포화 전하량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연결하는 화소 블록 (BL) 의 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 용량 (CB') 의 용량값 (Cfd3) 의 설정례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노드 (P)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기준 용량값의 정수배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용량 (CB) 의 용량값은, 용량 (CA) 의 용량값에 대해 ±20 % 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량 (CA) 의 용량값에 대해 ±10 % 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8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2 에 대응하고 있다. 도 13 에 있어서, 도 2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화소 블록 (BL) 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B)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B) 가 제거되고, 각 화소 블록 (BL) 이 화소 (PXA) 가 되어 있는 점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의 2 배가 되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PDB) 전체의 열 방향의 밀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냄과 동시에, 화소 (PXA) 의 행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2 개의 화소 (PX (PXA, PXB)) 로 구성되어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1 개의 화소 (PX (PXA))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노드 (P),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본 실시형태에서는, PXA 만) 가, 각각 1 세트의 노드 (P),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은, 화소 블록 (BL) 을 화소 (PXA) 로 치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를 변형하여 본 실시형태를 얻은 것과 동일한 변형을,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적용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9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2 에 대응하고 있다. 도 15 는, 도 14 중의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4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 에 대응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 에 있어서, 도 2 및 도 3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 및 배선 (71, 72) 이 제거되고, 그 대신에, 제 1 노드 (Pa)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스위치부로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2 개의 제 2 노드 (P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부로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및, 배선 (97, 98) 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드 (P(n)) 에 상당하고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n)) 는, 포토다이오드 (PDA(n)) 로부터 제 1 노드 (Pa(n)) 에 전하를 전송하고, 전송 트랜지스터 (TXB(n)) 는 포토다이오드 (PDB(n)) 로부터 제 1 노드 (Pa(n)) 에 전하를 전송한다. 제 1 노드 (Pa(n)) 에는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이 형성되고, 그 용량에 의해, 제 1 노드 (Pa(n)) 에 전송되어 온 전하가 전압으로 변환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는, 제 1 노드 (Pa(n)) 의 전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는, 제 1 노드 (Pa(n)) 의 전위를 리셋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는, 제 1 노드 (Pa(n))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는, 각 화소 블록 (BL) 중 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각 2 개의 화소 블록 (BL) 에 대해, 일방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와 타방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도록 형성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이상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가, 복수의 상기 제 2 스위치부에 의해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트랜지스터 (SWB(n)) 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 와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의 제 1 노드 (Pa(n-1))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1))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점은,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화소 블록 (BL(n)) 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영역,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및,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사이가, 배선 (97(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제 1 노드 (Pa(n)) 는, 배선 (97(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사이가, 배선 (98(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제 2 노드 (Pb(n)) 는, 배선 (98(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95)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 2 트랜지스터 (SW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96)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도 14 및 도 15 에 있어서, CC(n) 은,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C(n)) 의 용량값을 Cfd1' 로 한다. CD(n) 은,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배선 (98(n)) 과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D(n)) 의 용량값을 Cfd2' 로 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량 (CC(n))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의 용량과, 배선 (97(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의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이 된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은 용량 (CC(n)) 의 구성 요소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은 작아진다. 이 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 (46) 의 용량 뿐만 아니라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8) 의 용량도 용량 (CB) 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용량 (CB) 의 용량값 (Cfd1) 은 커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량값 (Cfd1')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량값 (Cfd1) 보다, 트랜지스터 확산 용량 1 개분만큼 작아진다.
여기서,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을, 양방 모두 Csw 로 한다. 통상적으로, 용량값 (Csw) 은, 용량값 (Cfd1', Cfd2') 에 대해 작은 값이다.
지금,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면 (즉,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C(n)) 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16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및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17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B(n+1))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B(n), SWA(n+1), SWB(n+2))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및 트랜지스터 (SWA(n), SWB(n+1))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2×Cfd2'+2×Csw≒Cfd1'+2×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18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나아가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A(n+1), SWB(n+1))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용량 (CC(n+1)) 및 트랜지스터 (SWA(n), SWA(n+1), SWB(n+1))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2×Cfd2'+3×Csw≒2×Cfd1'+2×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C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19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B(n+1), SWB(n+2))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A(n+1), SWa(n+2), SWB(n), SWB(n+3))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용량 (CD(n+2)) 및 트랜지스터 (SWA(n), SWB(n+1), SWB(n+2))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3×Cfd2'+3×Csw≒Cfd1'+3×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C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20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으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의 용량값 (Cfd1') 이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용량값 (Cfd1') 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최소의 용량값 (Cfd1) 보다 트랜지스터 확산 용량 1 개분만큼 작아지므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도,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한층 커지고, 보다 한층 높은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의 수를 1 개 이상의 원하는 수로 늘려 가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원하는 값으로 크게 할 수 있고, 큰 신호 전하량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포화 전자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상,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6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94) 의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1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 (당해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이 최소인 상태) 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1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체 화소 (PXA, PXB) 의 신호를 판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소 행을 솎아내어 판독하는 솎아내기 판독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17 내지 도 20 에 각각 나타내는 각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도 16 에 나타내는 제 1 동작 모드의 동작은 분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94) 의 제 2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2A 동작 모드는, 제 2 동작 모드 중 1 개의 동작 모드이다. 이 제 2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 이상의 소정수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상기 제 2A 동작 모드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를 1 개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1 개) 로 한 동작의 예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도 17 에 나타내는 제 2A 동작 모드의 동작은 분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94) 의 제 2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2B 동작 모드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 중 다른 1 개의 동작 모드이며, 상기 소정수를 2 개 (제 1 트랜지스터 (SWA) 1 개와 제 2 트랜지스터 (SWB) 1 개) 로 한 동작예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도 18 에 나타내는 제 2B 동작 모드의 동작은 분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는,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94) 의 제 2C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2C 동작 모드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 중 또 다른 1 개의 동작 모드이며, 상기 소정수를 3 개 (제 1 트랜지스터 (SWA) 2 개와 제 2 트랜지스터 (SWB) 1 개) 로 한 동작예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도 19 에 나타내는 제 2C 동작 모드의 동작은 분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 은, 도 14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94) 의 제 2D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2D 동작 모드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 중 또 다른 1 개의 동작 모드이며, 상기 소정수를 3 개 (제 1 트랜지스터 (SWA) 1 개와 제 2 트랜지스터 (SWB) 2 개) 로 한 동작예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도 20 에 나타내는 제 2D 동작 모드의 동작은 분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비교예에 비해,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도,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한층 커지고, 보다 한층 높은 SN 비에 의한 고감도 판독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 방향으로 순차 이웃하는 모든 2 개의 제 2 노드 (Pb) 사이에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r 개 (r 은 2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항상 개방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r 의 수가 작을수록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수의 최대수가 작아지고,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대 정도가 저하되지만, 상기 비교예에 비해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s 개 (s 는 1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u 개 (u 는 1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만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는 한편으로,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u 개 간격 이외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선 (98) 에 조정 용량을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용량 (CD) 의 용량값을, 용량 (CC) 의 용량값에 대해 ±20 % 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되고, 용량 (CC) 의 용량값에 대해 ±10 % 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0 에 나타내는 각 동작예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는 일 없이 판독하는 동작의 예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동색의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여 판독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를 온으로 하여 제 1 노드 (Pa(n-1), Pa(n), Pa(n+1)) 를 서로 연결하고, TXA(n-1), TXA(n), TXA(n+1) 을 동시에 온으로 하면, 베이어 배열 등을 전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동색의 3 개의 화소 (PXA(n-1), PXA(n), PXA(n-1)) 의 포토다이오드 (PDA(n-1), PDA(n), PDA(n-1)) 의 신호 전하가 서로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서 평균화되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트랜지스터 (SWB(n-2), SWB(n+2)) 를 오프로 하고,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제 1 또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수를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최고의 SN 비로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외에,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 이상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면, 그 수에 따라,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커지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10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14 에 대응하고 있다. 도 21 에 있어서, 도 14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화소 블록 (BL) 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B)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B) 가 제거되고, 각 화소 블록 (BL) 이 화소 (PXA) 가 되어 있는 점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의 2 배가 되고,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PDB) 전체의 열 방향의 밀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냄과 동시에, 화소 (PXA) 의 행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2 개의 화소 (PX (PXA, PXB)) 로 구성되어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1 개의 화소 (PX (PXA))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본 실시형태에서는, PXA 만) 가, 각각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설명은, 화소 블록 (BL) 을 화소 (PXA) 로 치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제 6 실시형태]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60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3 은, 도 22 중의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4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 (604) 는, CMOS 형의 고체 촬상 소자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른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로서 구성해도 된다.
고체 촬상 소자 (604) 는,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 행 M 열에 2 차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2 개의 화소 (PX (PXA, PXB)) 를 갖는 화소 블록 (BL) 과, 후술하는 제 1 노드 (Pa)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스위치부로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와, 2 개의 제 2 노드 (P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부로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와, 수직 주사 회로 (21) 와, 화소 블록 (BL) 의 행마다 형성된 제어선 (22 ∼ 27) 과, 화소 (PX) 의 열마다 (화소 블록 (BL) 의 열마다) 형성되어 대응하는 열의 화소 (PX) (화소 블록 (BL)) 로부터의 신호를 수취하는 복수의 (M 개의) 수직 신호선 (28) 과, 각 수직 신호선 (28) 에 형성된 정전류원 (29) 과, 각 수직 신호선 (28) 에 대응하여 형성된 칼럼 앰프 (30), CDS 회로 (상관 2 중 샘플링 회로) (31) 및 A/D 변환기 (32) 와, 수평 판독 회로 (33) 를 갖고 있다.
또한, 칼럼 앰프 (30) 로서, 아날로그 증폭기를 사용해도 되고, 소위 스위치드 커패시터 앰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 칼럼 앰프 (30) 는, 반드시 형성하지는 않아도 된다.
도면 표기의 편의상, 도 22 에서는 M=2 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열수 (M) 는 실제로는 보다 많은 임의의 수가 된다. 또, 행수 (N) 도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구별하는 경우, j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은 부호 BL(j) 로 나타낸다. 이 점은, 다른 요소나 후술하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2 및 도 23 에는, 4 행에 걸치는 n-1 행째 내지 n+2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 BL(n+2)) 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화소 블록 (BL) 중 도 22 및 도 23 중 하측의 화소의 부호를 PXA 로 하고, 도 22 및 도 23 중 상측의 화소의 부호를 PX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PX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서는, 화소 (PXA) 의 포토다이오드의 부호를 PDA 로 하고, 화소 (PXB) 의 포토다이오드의 부호를 PD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PD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PXA) 의 전송 트랜지스터의 부호를 TXA 로 하고, 화소 (PXB) 의 전송 트랜지스터의 부호를 TX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TX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는, 2N 행 M 열에 2 차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는, 입사광에 따른 신호 전하를 생성하고 축적하는 광전 변환부로서의 포토다이오드 (PD) 와, 포토다이오드 (PD) 로부터 제 1 노드 (Pa) 에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스위치로서의 전송 트랜지스터 (TX)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화소 (PX) 는, 포토다이오드 (PD) 가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2 개의 화소 (PX (PXA, PXB)) 마다 화소 블록 (BL) 을 이루고 있다.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 블록 (BL) 마다, 당해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다. 제 1 노드 (Pa) 에는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이 형성되고, 그 용량에 의해, 제 1 노드 (Pa) 에 전송되어 온 전하가 전압으로 변환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 는, 제 1 노드 (Pa) 의 전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성하고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 는, 제 1 노드 (Pa) 의 전위를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 는, 당해 화소 블록 (BL) 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구성하고 있다. 포토다이오드 (PD)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 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에서 공유되는 일 없이, 화소 (PX) 마다 형성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 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1 행째의 화소 (PX (PXA)) 와 2 행째의 화소 (PX (PXB)) 에 의해 1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이 구성되고, 3 행째의 화소 (PX (PXA)) 와 4 행째의 화소 (PX (PXB)) 에 의해 2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소 블록 (BL(n))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n)) 는, 포토다이오드 (PDA(n)) 로부터 제 1 노드 (Pa(n)) 에 전하를 전송하고, 전송 트랜지스터 (TXB(n)) 는 포토다이오드 (PDB(n)) 로부터 제 1 노드 (Pa(n)) 에 전하를 전송한다. 제 1 노드 (Pa(n)) 에는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이 형성되고, 그 용량에 의해, 제 1 노드 (Pa(n)) 에 전송되어 온 전하가 전압으로 변환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는, 제 1 노드 (Pa(n)) 의 전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는, 제 1 노드 (Pa(n)) 의 전위를 리셋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PD) 가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3 개 이상의 화소 (PX) 마다 화소 블록 (BL) 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광 입사측에는, 각각이 상이한 색 성분의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 종류의 컬러 필터가, 소정의 색 배열 (예를 들어, 베이어 배열) 로 배치되어 있다. 화소 (PX) 는, 컬러 필터에 의한 색 분해에 의해 각 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는, 제 1 노드 (Pa(n))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는, 각 화소 블록 (BL) 중 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각 2 개의 화소 블록 (BL) 에 대해, 일방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와 타방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도록 형성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이상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가, 복수의 상기 제 2 스위치부에 의해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트랜지스터 (SWB(n)) 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 와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의 제 1 노드 (Pa(n-1))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1))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점은,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화소 블록 (BL(n)) 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영역,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및,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사이가, 배선 (71(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제 1 노드 (Pa(n)) 는, 배선 (71(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사이가, 배선 (72(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제 2 노드 (Pb(n)) 는, 배선 (72(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2 및 도 23 에 있어서, VDD 는 전원 전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 (TXA, TXB, AMP, RST, SEL, SWA, SWB) 는, 모두 nMOS 트랜지스터이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6)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TX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5)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TX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4)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RST)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3)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EL)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2)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 2 트랜지스터 (SW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7)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TXA(n)) 가 공급되고,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TXB(n)) 가 공급되고,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RST(n)) 가 공급되고, 선택 트랜지스터 (SEL(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EL(n)) 가 공급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WA(n)) 가 공급되고,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WB(n)) 가 공급된다.
각 트랜지스터 (TXA, TXB, RST, SEL, SWA, SWB) 는, 대응하는 제어 신호 (φTXA, φTXB, φRST, φSEL, φSWA, φSWB) 가 하이 레벨 (H) 일 때에 온하고, 로 레벨 (L) 일 때에 오프한다.
수직 주사 회로 (21) 는,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화소 블록 (BL) 의 행마다, 제어 신호 (φTXA, φTXB, φRST, φSEL, φSWA, φSWB) 를 각각 출력하고, 화소 블록 (BL), 제 1 트랜지스터 (SWA),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제어하고, 정지 영상 판독 동작이나 동영상 판독 동작 등을 실현한다. 이 제어에 있어서,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에 따라,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의 판독 동작이 실시된다. 이 제어에 의해, 각 수직 신호선 (28) 에는, 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 (PX) 의 신호 (아날로그 신호) 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 주사 회로 (21) 는,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를, 도 22 중의 촬상 제어부 (5) 로부터의 지령 (제어 신호) 에 따라 전환하여 실시하는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직 신호선 (28) 에 판독된 신호는, 각 열마다,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되고 또한 CDS 회로 (31) 에서 광 신호 (화소 (PX) 로 광전 변환된 광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와 암신호 (광 신호로부터 빼야 할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는 차분용 신호) 의 차분을 얻는 처리가 실시된 후에, A/D 변환기 (32)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 디지털 신호는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신호 형식으로 변환되어, 외부 (도 22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또한, CDS 회로 (31) 는,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타이밍 발생 회로 (도시 생략) 로부터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를 받고, φDARKC 가 하이 레벨 (H) 인 경우에 칼럼 앰프 (30) 의 출력 신호를 암신호로서 샘플링함과 함께,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를 받고, φSIGC 가 H 인 경우에 칼럼 앰프 (30) 의 출력 신호를 광 신호로서 샘플링한다. 그리고, CDS 회로 (31) 는, 상기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의 클럭이나 펄스에 기초하여, 샘플링한 암신호와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CDS 회로 (31) 의 구성으로는, 공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 에 있어서, CC(n) 은,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C(n)) 의 용량값을 Cfd1 로 한다. CD(n) 은,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제 2 노드 (Pb(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D(n)) 의 용량값을 Cfd2 로 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량 (CD(n)) 은, 배선 (72(n)) 의 배선 용량과,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2 트랜지스터 (SWB(n+1))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으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의 소스 확산 영역이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은, 가해지는 전압이 변화하면, 공핍층의 치수가 변화하므로, CD(n) 에 가해지는 전압이 변화하면, CD(n) 의 용량값 (Cfd2) 은 변화한다. 그러나,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2 트랜지스터 (SWB(n+1))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은, 배선 (72(n)) 의 배선 용량에 대해 작기 때문에, CD(n) 에 가해지는 전압이 변화했을 때의 CD(n) 의 용량값 (Cfd2) 의 변화량은 무시 가능하다. 따라서, CD(n) 의 용량값 (Cfd2) 의 전압 의존성은 무시 가능하다.
용량 (CC(n))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의 용량과, 배선 (71(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이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이나 게이트 전극의 용량은, 가해지는 전압이 변화하면, 공핍층의 치수가 변화하기 때문에,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에는 전압 의존성이 있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은 용량 (CC(n)) 의 구성 요소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은 작아진다.
여기서,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을, 양방 모두 Csw 로 한다. 통상적으로, 용량값 (Csw) 은, 용량값 (Cfd1, Cfd2) 에 대해 작은 값이다.
지금,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면 (즉,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C(n)) 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24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및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26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B(n+1))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B(n), SWA(n+1), SWB(n+2))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및 트랜지스터 (SWA(n), SWB(n+1))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2×Cfd2+2×Csw≒Cfd1+2×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3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27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나아가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A(n+1), SWB(n+1))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용량 (CC(n+1)) 및 트랜지스터 (SWA(n), SWA(n+1), SWB(n+1))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2×Cfd2+3×Csw≒2×Cfd1+2×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4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27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B(n+1), SWB(n+2))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A(n+1), SWA(n+2), SWB(n), SWB(n+3))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용량 (CD(n+2)) 및 트랜지스터 (SWA(n), SWB(n+1), SWB(n+2))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3×Cfd2+3×Csw≒Cfd1+3×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5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28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으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의 용량값 (Cfd1) 이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의 수를 1 개 이상의 원하는 수로 늘려 가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원하는 값으로 크게 할 수 있고, 큰 신호 전하량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포화 전자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상,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4 는,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604) 의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1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 (당해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이 최소인 상태) 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2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체 화소 (PXA, PXB) 의 신호를 판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소 행을 솎아내어 판독하는 솎아내기 판독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25 내지 도 28 에 각각 나타내는 각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4 는,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행의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도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간 (T2) 의 개시 전에 이미, 소정의 노광 기간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의 노광이 종료되어 있다. 이 노광은, 통상적인 본 촬영시 (정지 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전체 화소를 동시에 리셋하는 소위 글로벌 리셋 후에 메커니컬 셔터 (도시 생략) 에 의해 실시되고, 전자 뷰파인더 모드시나 동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소위 롤링 전자 셔터 동작에 의해 실시된다. 기간 (T2) 의 개시 직전에는, 모든 트랜지스터 (SEL, RST, TXA, TXB, SWA, SWB) 는 오프하고 있다.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φSEL(n) 이 H 가 되고,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선택 트랜지스터 (SEL(n)) 가 온이 되고,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된다.
또,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이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되고, 최소가 된다.
기간 (T2) 의 개시 직후부터 일정 기간만, φRST(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일단 온이 되고, 제 1 노드 (Pa(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1)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암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2)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TXA(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포토다이오드 (PDA(n)) 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 전하가,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으로 전송된다. 제 1 노드 (Pa(n)) 의 전위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면, 이 신호 전하의 양과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역수에 비례한 값이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3) 에 있어서,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광 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그 후에 φSIGC 가 L 이 된 시점 후에, CDS 회로 (31) 는, 시점 (t1)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에서 샘플링한 암신호와 시점 (t3) 으로부터의 일정 시간에서 샘플링한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 (32) 는, 이 차분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디지털 신호 화상 신호로서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그리고, 기간 (T2) 중의 시점 (t4)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RST(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일단 온이 되고, 제 1 노드 (Pa(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5)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암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6)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TXB(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전송 트랜지스터 (TXB(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포토다이오드 (PDB(n)) 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 전하가,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으로 전송된다. 제 1 노드 (Pa(n)) 의 전위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면, 이 신호 전하의 양과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역수에 비례한 값이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7) 에 있어서,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광 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그 후에 φSIGC 가 L 이 된 시점 후에, CDS 회로 (31) 는, 시점 (t5)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에서 샘플링한 암신호와 시점 (t7) 으로부터의 일정 시간에서 샘플링한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 (32) 는, 이 차분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디지털 신호 화상 신호로서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기 때문에,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1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25 는,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604) 의 제 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2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 (SWA)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25 도, 도 2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 에 나타내는 제 2 동작 모드가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25 에 나타내는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이 H 가 됨과 함께 φSWB(n), φSWB(n+1) 이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2 트랜지스터 (SWB(n), φSWB(n+1))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되고,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1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1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1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1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1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2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26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604) 의 제 3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3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26 도, 도 2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 에 나타내는 제 3 동작 모드가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26 에 나타내는 제 3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및 φSWB(n+1) 이 H 가 됨과 함께 φSWA(n+1), φSWB(n), φSWB(n+2) 가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1 트랜지스터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여기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2×Cfd2+Csw≒Cfd1+2×Cfd2 가 되고,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2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2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2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2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2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3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27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604) 의 제 4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4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27 도, 도 2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 에 나타내는 제 4 동작 모드가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27 에 나타내는 제 4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φSWA(n+1) 및 φSWB(n+1) 이 H 가 됨과 함께 φSWB(n), φSWB(n+2) 가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여기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2×Cfd2+3×Csw≒2×Cfd1+2×Cfd2 가 되고,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3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4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3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3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4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28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604) 의 제 5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5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28 도, 도 2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8 에 나타내는 제 5 동작 모드가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28 에 나타내는 제 5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및 φSWB(n+1), φSWB(n+2) 가 H 가 됨과 함께 φSWA(n+1), φSWA(n+2), φSWB(n), φSWB(n+3) 이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2))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3))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여기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3×Cfd2+3×Csw≒Cfd1+3×Cfd2 가 되고, 도 2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3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5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3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3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5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여기서, 도 27 에 나타내는 제 4 동작 모드와 상기 도 28 에 나타내는 제 5 동작 모드를 비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4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2×Cfd2+3×Csw≒2×Cfd1+2×Cfd2 가 된다. 한편, 상기 제 5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3×Cfd2+3×Csw≒Cfd1+3×Cfd2 가 된다.
따라서, 용량 (CC) 의 용량값 (Cfd1) 과 용량 (CD) 의 용량값 (Cfd2) 이 동일하면, 상기 제 4 동작 모드 및 상기 제 5 동작 모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용량값은 동일해지고, 다이나믹 레인지를 동일한 정도 확대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용량값 (Cfd1) 에는 전압 의존성이 있는 한편으로, 용량값 (Cfd2) 의 전압 의존성은 무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 5 동작 모드에 있어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전압 의존성은, 1 개의 용량 (CC) 의 용량값 (Cfd1) 의 전압 의존성의 분만큼, 상기 제 4 동작 모드에 있어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전압 의존성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 5 동작 모드에 의하면, 상기 제 4 동작 모드에 비해,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시의 용량의 전압 의존성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전 변환의 선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5 동작 모드는,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중 p 개 (p 는 1 이상의 정수) 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q 개 (q 는 p 보다 큰 정수) 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1 개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도록,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제어되는 동작 모드의 일례이며, p=1 또한 q=2 로 한 예이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동작 모드에서는, p+q 의 값이 3 이상의 임의의 소정값일 때, q≤p 로 한 동작 모드 (그 동작 모드의 일례로서 p=2 또한 q=1 로 한 것이 상기 제 4 동작 모드이다.) 에 비해,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시의 용량의 전압 의존성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p 는 1 이상의 정수이면 되는데, p+q 의 값이 동일하면, 상기 p 가 작을수록 용량의 전압 의존성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p=1 로 하면, 용량의 전압 의존성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 방향으로 순차 이웃하는 모든 2 개의 제 2 노드 (Pb) 사이에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r 개 (r 은 2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항상 개방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r 의 수가 작을수록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대 정도가 저하되지만,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s 개 (s 는 4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배선 (72) 의 폭 등을 조정함으로써, 용량 (CD) 의 용량값을, 용량 (CC) 의 용량값에 대해 ±20 % 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되고, 용량 (CC) 의 용량값에 대해 ±10 % 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8 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동작예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는 일 없이 판독하는 동작의 예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동색의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여 판독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를 온으로 하여 제 1 노드 (Pa(n-1), Pa(n), Pa(n+1)) 를 서로 연결하고, TXA(n-1), TXA(n), TXA(n+1) 을 동시에 온으로 하면, 베이어 배열 등을 전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동색의 3 개의 화소 (PXA(n-1), PXA(n), PXA(n-1)) 의 포토다이오드 (PDA(n-1), PDA(n), PDA(n-1)) 의 신호 전하가 서로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서 평균화되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트랜지스터 (SWB(n-2), SWB(n+2)) 를 오프로 하고,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제 1 또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수를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최고의 SN 비로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외에,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 이상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면, 그 수에 따라,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커지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70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22 에 대응하고 있다. 도 29 에 있어서, 도 22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6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화소 블록 (BL) 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B)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B) 가 제거되고, 각 화소 블록 (BL) 이 화소 (PXA) 가 되어 있는 점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는,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의 2 배가 되고,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PDB) 전체의 열 방향의 밀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냄과 동시에, 화소 (PXA) 의 행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2 개의 화소 (PX (PXA, PXB)) 로 구성되어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1 개의 화소 (PX (PXA))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본 실시형태에서는, PXA 만) 가, 각각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설명은, 화소 블록 (BL) 을 화소 (PXA) 로 치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제 8 실시형태]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80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1 은, 도 30 중의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4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2 는, 도 31 중의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3 은, 도 32 중의 1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 (804) 는, CMOS 형의 고체 촬상 소자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른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로서 구성해도 된다.
고체 촬상 소자 (804) 는, 도 30 내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 행 M 열에 2 차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2 개의 화소 (PX (PXA, PXB)) 를 갖는 화소 블록 (BL) 과, 후술하는 제 1 노드 (Pa)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스위치부로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와, 2 개의 제 2 노드 (P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2 스위치부로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와, 제 2 노드 (Pb) 에 소정 전위로서의 전원 전압 (VDD) 을 공급하는 제 3 스위치부로서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 와, 수직 주사 회로 (21) 와, 화소 블록 (BL) 의 행마다 형성된 제어선 (22 ∼ 27) 과, 화소 (PX) 의 열마다 (화소 블록 (BL) 의 열마다) 형성되고 대응하는 열의 화소 (PX) (화소 블록 (BL)) 로부터의 신호를 수취하는 복수의 (M 개의) 수직 신호선 (28) 과, 각 수직 신호선 (28) 에 형성된 정전류원 (29) 과, 각 수직 신호선 (28) 에 대응하여 형성된 칼럼 앰프 (30), CDS 회로 (상관 2 중 샘플링 회로) (31) 및 A/D 변환기 (32) 와, 수평 판독 회로 (33) 를 갖고 있다.
또한, 칼럼 앰프 (30) 로서, 아날로그 증폭기를 사용해도 되고, 소위 스위치드 커패시터 앰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 칼럼 앰프 (30) 는, 반드시 형성하지는 않아도 된다.
도면 표기의 편의상, 도 30 에서는 M=2 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열수 (M) 는 실제로는 보다 많은 임의의 수가 된다. 또, 행수 (N) 도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구별하는 경우, j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은 부호 BL(j) 로 나타낸다. 이 점은, 다른 요소나 후술하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30 및 도 31 에는, 4 행에 걸치는 n-1 행째 내지 n+2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 BL(n+2)) 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화소 블록 (BL) 중 도 30 및 도 31 중 하측의 화소의 부호를 PXA 로 하고, 도 30 및 도 31 중 상측의 화소의 부호를 PX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PX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서는, 화소 (PXA) 의 포토다이오드의 부호를 PDA 로 하고, 화소 (PXB) 의 포토다이오드의 부호를 PD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PD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PXA) 의 전송 트랜지스터의 부호를 TXA 로 하고, 화소 (PXB) 의 전송 트랜지스터의 부호를 TXB 로 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만,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때에는 양자에 부호 TX 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는, 2N 행 M 열에 2 차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는, 입사광에 따른 신호 전하를 생성하고 축적하는 광전 변환부로서의 포토다이오드 (PD) 와, 포토다이오드 (PD) 로부터 제 1 노드 (Pa) 에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스위치로서의 전송 트랜지스터 (TX)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화소 (PX) 는, 포토다이오드 (PD) 가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2 개의 화소 (PX (PXA, PXB)) 마다 화소 블록 (BL) 을 이루고 있다. 도 30 및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 블록 (BL) 마다, 당해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다. 제 1 노드 (Pa) 에는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이 형성되고, 그 용량에 의해, 제 1 노드 (Pa) 에 전송되어 온 전하가 전압으로 변환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 는, 제 1 노드 (Pa) 의 전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성하고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 는, 당해 화소 블록 (BL) 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구성하고 있다. 포토다이오드 (PD)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 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에서 공유되는 일 없이, 화소 (PX) 마다 형성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 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1 행째의 화소 (PX (PXA)) 와 2 행째의 화소 (PX (PXB)) 에 의해 1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이 구성되고, 3 행째의 화소 (PX (PXA)) 와 4 행째의 화소 (PX (PXB)) 에 의해 2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소 블록 (BL(n))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n)) 는, 포토다이오드 (PDA(n)) 로부터 제 1 노드 (Pa(n)) 에 전하를 전송하고, 전송 트랜지스터 (TXB(n)) 는 포토다이오드 (PDB(n)) 로부터 제 1 노드 (Pa(n)) 에 전하를 전송한다. 제 1 노드 (Pa(n)) 에는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이 형성되고, 그 용량에 의해, 제 1 노드 (Pa(n)) 에 전송되어 온 전하가 전압으로 변환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는, 제 1 노드 (Pa(n)) 의 전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PD) 가 열 방향으로 순차 늘어선 3 개 이상의 화소 (PX) 마다 화소 블록 (BL) 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광 입사측에는, 각각이 상이한 색 성분의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 종류의 컬러 필터가, 소정의 색 배열 (예를 들어, 베이어 배열) 로 배치되어 있다. 화소 (PX) 는, 컬러 필터에 의한 색 분해에 의해 각 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는, 제 1 노드 (Pa(n))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는, 각 화소 블록 (BL) 중 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각 2 개의 화소 블록 (BL) 에 대해, 일방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와 타방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도록 형성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이상의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가, 복수의 상기 제 2 스위치부에 의해 염주가 이어진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트랜지스터 (SWB(n)) 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 와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의 제 1 노드 (Pa(n-1))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n-1))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점은,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는, 제 2 노드 (Pb(n)) 에 소정 전위로서의 전원 전압 (VDD) 을 공급하는 제 3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3 스위치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은, 다른 리셋 트랜지스터 (RST)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30 및 도 31 에 있어서, VDD 는 전원 전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 (TXA, TXB, AMP, RST, SEL, SWA, SWB) 는, 모두 nMOS 트랜지스터이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6)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TX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5)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TX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4)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RST)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3)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EL)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2)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A)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 2 트랜지스터 (SWB)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7)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B)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TXA(n)) 가 공급되고,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TXB(n)) 가 공급되고,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RST(n)) 가 공급되고, 선택 트랜지스터 (SEL(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EL(n)) 가 공급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WA(n)) 가 공급되고,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φSWB(n)) 가 공급된다.
각 트랜지스터 (TXA, TXB, RST, SEL, SWA, SWB) 는, 대응하는 제어 신호 (φTXA, φTXB, φRST, φSEL, φSWA, φSWB) 가 하이 레벨 (H) 일 때에 온하고, 로 레벨 (L) 일 때에 오프한다.
수직 주사 회로 (21) 는,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화소 블록 (BL) 의 행마다, 제어 신호 (φTXA, φTXB, φRST, φSEL, φSWA, φSWB) 를 각각 출력하고, 화소 블록 (BL), 제 1 트랜지스터 (SWA),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제어하고, 정지 영상 판독 동작이나 동영상 판독 동작 등을 실현한다. 이 제어에 있어서,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에 따라,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의 판독 동작이 실시된다. 이 제어에 의해, 각 수직 신호선 (28) 에는, 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 (PX) 의 신호 (아날로그 신호) 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 주사 회로 (21) 는,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를,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로부터의 지령 (제어 신호) 에 따라 전환하여 실시하는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직 신호선 (28) 에 판독된 신호는, 각 열마다,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되고 또한 CDS 회로 (31) 에서 광 신호 (화소 (PX) 로 광전 변환된 광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와 암신호 (광 신호로부터 빼야 할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는 차분용 신호) 의 차분을 얻는 처리가 실시된 후에, A/D 변환기 (32)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 디지털 신호는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신호 형식으로 변환되어,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또한, CDS 회로 (31) 는,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타이밍 발생 회로 (도시 생략) 로부터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를 받고, φDARKC 가 하이 레벨 (H) 인 경우에 칼럼 앰프 (30) 의 출력 신호를 암신호로서 샘플링함과 함께, 도 1 중의 촬상 제어부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를 받고, φSIGC 가 H 인 경우에 칼럼 앰프 (30) 의 출력 신호를 광 신호로서 샘플링한다. 그리고, CDS 회로 (31) 는, 상기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의 클럭이나 펄스에 기초하여, 샘플링한 암신호와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CDS 회로 (31) 의 구성으로는, 공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2 및 도 33 을 참조하여, 화소 블록 (BL) 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제로는, 포토다이오드 (PD) 의 상부에는 컬러 필터나 마이크로 렌즈등이 배치되지만, 도 32 및 도 33 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32 및 도 33 에 있어서, 전원선, 그라운드선 및 제어선 (22 ∼ 27) 등의 레이아웃은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 형 실리콘 기판 (도시 생략) 상에 P 형 웰 (도시 생략) 이 형성되고, 상기 P 형 웰 중에 포토다이오드 (PD) 등의 화소 블록 (BL) 에 있어서의 각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도 33 에 있어서, 부호 41 ∼ 50 은, 전술한 각 트랜지스터의 일부가 되어 있는 N 형 불순물 확산 영역이다. 부호 61 ∼ 67 은, 폴리실리콘에 의한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다. 또한, 확산 영역 (42, 50) 은, 도시하지 않는 전원선에 의해 전원 전압 (VDD) 이 인가되는 영역이다.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는, 상기 P 형 웰 중에 형성된 N 형의 전하 축적층 (도시 생략) 과 그 표면 측에 배치된 P 형의 공핍화 방지층 (도시 생략) 으로 이루어지는 매립형 포토다이오드이다.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하고, 발생한 전하를 그 전하 축적층에 축적한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n)) 는, 포토다이오드 (PDA(n)) 의 전하 축적층을 소스, 확산 영역 (41)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1)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n)) 는, 포토다이오드 (PDB(n)) 의 전하 축적층을 소스, 확산 영역 (41)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2) 를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확산 영역 (41) 은, 포토다이오드 (PDA(n)) 와 포토다이오드 (PDB(n))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확산 영역 (41)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드레인이 되는 확산 영역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드레인이 되는 확산 영역으로서 겸용되고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 (TXA(n)) 의 게이트 전극 (61) 은, 확산 영역 (41) 의 포토다이오드 (PDA(n))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 (TXB(n)) 의 게이트 전극 (62) 은, 확산 영역 (41) 의 포토다이오드 (PDB(n))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는, 확산 영역 (42)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3)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3)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는, 확산 영역 (43)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4)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4)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확산 영역 (44) 은, 수직 신호선 (28)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는, 확산 영역 (45) 을 소스, 확산 영역 (46)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5)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제 2 트랜지스터 (SWB(n)) 는, 확산 영역 (47) 을 드레인, 확산 영역 (48) 을 소스, 게이트 전극 (66)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는, 확산 영역 (49) 을 소스, 확산 영역 (50) 을 드레인, 게이트 전극 (67) 을 게이트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화소 블록 (BL(n)) 의 게이트 전극 (63) 및 확산 영역 (41, 45) 사이가, 배선 (71(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노드 (Pa(n)) 는, 배선 (71(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6),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7),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 (49)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의 소스 확산 영역 (48) 의 사이가, 배선 (72(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제 2 노드 (Pb(n)) 는, 배선 (72(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및 다른 리셋 트랜지스터 (RST)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n 행째 이외의 화소 블록 (BL) 의 구조도, 전술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이외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구조도, 전술한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이외의 연결 트랜지스터 (SWb) 의 구조도, 전술한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의 구조와 동일하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이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 의 구조도, 전술한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30 내지 도 33 에 있어서, CC(n) 은,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C(n)) 의 용량값을 Cfd1 로 한다. CD(n) 은, 제 1 트랜지스터 (SWA(n)),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및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배선 (72(n)) 과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D(n)) 의 용량값을 Cfd2 로 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제 1 트랜지스터 (SWA), 다른 제 2 트랜지스터 (SWB) 및 다른 리셋 트랜지스터 (RST)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량 (CC(n))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1) 의 용량과,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 (63) 의 용량과, 배선 (71(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의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이 된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 (SW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7) 및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 (49) 은 용량 (CC(n)) 의 구성 요소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은 작아진다.
여기서, 제 1 트랜지스터 (SWA)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의 값을, 양방 모두 Csw 로 한다. 통상적으로, 용량값 (Csw) 은, 용량값 (Cfd1, Cfd2) 에 대해 작은 값이다.
지금,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면 (즉,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C(n)) 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34 중의 기간 (T2) 중의 제 1 노드 (Pa(n)) 의 리셋시 이외의 상태 (도 34 중의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이 L 기간인 상태) 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및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35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B(n+1))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B(n), SWA(n+1), SWB(n+2))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및 트랜지스터 (SWA(n), SWB(n+1))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2×Cfd2+2×Csw≒Cfd1+2×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3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36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나아가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A(n+1), SWB(n+1))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용량 (CC(n+1)) 및 트랜지스터 (SWA(n), SWA(n+1), SWB(n+1))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2×Cfd2+3×Csw≒2×Cfd1+2×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3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37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또,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온하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트랜지스터 (SWA(n), SWB(n+1), SWB(n+2)) 이외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SWA(n+1), SWA(n+2), SWB(n), SWB(n+3)) 가 오프이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은, 용량 (CC(n)) 에 대해, 용량 (CD(n)), 용량 (CD(n+1)), 용량 (CD(n+2)) 및 트랜지스터 (SWA(n), SWB(n+1), SWB(n+2)) 의 온시의 채널 용량을 부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3×Cfd2+3×Csw≒Cfd1+3×Cfd2 가 된다. 이 상태는, 후술하는 제 3C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 38 중의 기간 (T2) 의 상태에 상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으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의 용량값 (Cfd1) 이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의 수를 1 개 이상의 원하는 수로 늘려 가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원하는 값으로 크게 할 수 있고, 큰 신호 전하량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포화 전자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상,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34 는,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804) 의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1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 (당해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이 최소인 상태) 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3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체 화소 (PXA, PXB) 의 신호를 판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소 행을 솎아내어 판독하는 솎아내기 판독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35 내지 도 38 에 각각 나타내는 각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34 는,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행의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도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간 (T2) 의 개시 전에 이미, 소정의 노광 기간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A(n), PDB(n)) 의 노광이 종료되어 있다. 이 노광은, 통상적인 본 촬영시 (정지 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전체 화소를 동시에 리셋하는 소위 글로벌 리셋 후에 메커니컬 셔터 (도시 생략) 에 의해 실시되고, 전자 뷰파인더 모드시나 동영상 촬영시 등에서는, 소위 롤링 전자 셔터 동작에 의해 실시된다. 기간 (T2) 의 개시 직전에는, 모든 트랜지스터 (SEL, RST, TXA, TXB, SWA, SWB) 는 오프하고 있다.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φSEL(n) 이 H 가 되고,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선택 트랜지스터 (SEL(n)) 가 온이 되고,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된다. 또,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φRST(n) 이 H 가 되고,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온이 된다. 무엇보다도,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는 반드시 기간 (T2) 의 전체에 걸쳐 온으로 할 필요는 없고, φRST(n) 은, 제 1 노드 (Pa(n)) 의 리셋시 (즉, 도 34 중의 φSWA(n) 의 H 기간) 만 H 로 해도 된다.
기간 (T2) 의 개시 직후부터 일정 기간 (제 1 노드 (Pa(n)) 의 리셋시) 만, φSWA(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일단 온이 된다. 이 때, φRST(n) 이 H 가 되어 있어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온하고 있기 때문에, 온 상태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및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를 경유하여, 제 1 노드 (Pa(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그 후,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가 되면,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되고, 최소가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1)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암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2)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TXA(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포토다이오드 (PDA(n)) 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 전하가,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으로 전송된다. 제 1 노드 (Pa(n)) 의 전위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면, 이 신호 전하의 양과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역수에 비례한 값이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3) 에 있어서,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광 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그 후에 φSIGC 가 L 이 된 시점 후에, CDS 회로 (31) 는, 시점 (t1)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에서 샘플링한 암신호와 시점 (t3) 으로부터의 일정 시간에서 샘플링한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 (32) 는, 이 차분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디지털 신호 화상 신호로서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그리고, 기간 (T2) 중의 시점 (t4) 으로부터 일정 기간 (제 1 노드 (Pa(n)) 의 리셋시) 만, φSWA(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일단 온이 된다. 이 때, φSEL(n) 이 H 가 되어 있어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온하고 있기 때문에, 온 상태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및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n)) 를 경유하여, 제 1 노드 (Pa(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그 후,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가 되면,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 이 되고, 최소가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5)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암신호 샘플링 신호 (φDARK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암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6) 으로부터 일정 기간만, φTXB(n) 이 H 가 되어 n 행째의 전송 트랜지스터 (TXB(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포토다이오드 (PDB(n)) 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 전하가,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으로 전송된다. 제 1 노드 (Pa(n)) 의 전위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면, 이 신호 전하의 양과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의 역수에 비례한 값이 된다.
기간 (T2) 중의 그 후의 시점 (t7) 에 있어서, 광 신호 샘플링 신호 (φSIGC) 가 H 가 되어, 제 1 노드 (Pa(n)) 에 나타나는 전위가 n 행째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에서 증폭된 후에 선택 트랜지스터 (SEL(n)) 및 수직 신호선 (28) 을 경유하고 또한 칼럼 앰프 (30) 에서 증폭된 신호가, 광 신호로서 CDS 회로 (31) 에 의해 샘플링된다.
그 후에 φSIGC 가 L 이 된 시점 후에, CDS 회로 (31) 는, 시점 (t5)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에서 샘플링한 암신호와 시점 (t7) 으로부터의 일정 시간에서 샘플링한 광 신호의 차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 (32) 는, 이 차분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 각 A/D 변환기 (32) 에 유지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수평 판독 회로 (33) 에 의해 수평 주사되고, 디지털 신호 화상 신호로서 외부 (도 1 중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없기 때문에,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1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35 는,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804) 의 제 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2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 (SWA)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35 도, 도 3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 에 나타내는 제 2 동작 모드가 도 3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35 에 나타내는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이 H 가 됨과 함께 φSWB(n), φSWB(n+1) 이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2 트랜지스터 (SWB(n), φSWB(n+1))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되고, 도 3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1 단계 커진다.
그리고, 도 35 에 나타내는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φSWA(n) 이 H 가 되어 있어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이 되어 있는 한편으로, 제 1 노드 (Pa(n)) 의 리셋시 (기간 (T2) 의 개시 직후부터 일정 기간 및 기간 (T2) 중의 시점 (t4)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 에만, φRST(n) 이 H 가 되어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제 1 노드 (Pa(n)) 의 전위의 리셋이 적절히 실시된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1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1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1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1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2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36 은,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804) 의 제 3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3A 동작 모드는, 제 3 동작 모드 중 1 개의 동작 모드이다. 이 제 3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하는 제 1 트랜지스터 (SWA) 가 온하고,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온하고, 또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응하는 제 2 노드 (Pb) 에 전원 전위 (VDD) 를 공급하는 리셋 트랜지스터 (RST)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리셋시만 온하는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상기 제 3A 동작 모드는, 상기 제 3 동작 모드에 있어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온 상태의 1 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온 상태의 1 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작의 예이다.
도 36 도, 도 3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36 에 나타내는 제 3A 동작 모드가 도 36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36 에 나타내는 제 3A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및 φSWB(n+1) 이 H 가 됨과 함께 φSWA(n+1), φSWB(n), φSWB(n+2) 가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1 트랜지스터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여기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Cfd2+Csw≒Cfd1+Cfd2 가 되고, 도 3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2 단계 커진다.
그리고, 도 36 에 나타내는 제 3A 동작 모드에서는, φSWA(n) 이 H 가 되어 있어 제 1 트랜지스터 (SWA(n)) 가 온이 되어 있는 한편으로, 제 1 노드 (Pa(n)) 의 리셋시 (기간 (T2) 의 개시 직후부터 일정 기간 및 기간 (T2) 중의 시점 (t4) 으로부터의 일정 기간) 에만, φRST(n) 이 H 가 되어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온이 된다. 이에 따라, 제 1 노드 (Pa(n)) 의 전위의 리셋이 적절히 실시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37 에 나타내는 제 3B 동작 모드 및 도 38 에 나타내는 제 3C 동작 모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2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2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2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2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3A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37 은,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804) 의 제 3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3B 동작 모드는, 상기 제 3 동작 모드에 있어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온 상태의 2 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온 상태의 1 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작의 예이다.
도 37 도, 도 32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 에 나타내는 제 3B 동작 모드가 도 32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37 에 나타내는 제 3B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φSWA(n+1) 및 φSWB(n+1) 이 H 가 됨과 함께 φSWB(n), φSWB(n+2) 가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2)) 가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SWA(n+1)))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여기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1)))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2×Cfd1+2×Cfd2+3×Csw≒2×Cfd1+2×Cfd2 가 되고, 도 34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3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B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2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1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3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3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3B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도 38 은, 도 30 에 나타내는 고체 촬상 소자 (804) 의 제 3C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제 3C 동작 모드는, 각 화소 블록 (BL) 을 행마다 순차 선택해 가고,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전송 트랜지스터 (TXA, TXB) 를 순차 선택적으로 온시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각 포토다이오드 (PDA, PDB) 의 신호를 행마다 순차 판독하는 동작의 예이다.
도 38 도, 도 34 와 마찬가지로, 기간 (T1)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고, 기간 (T2) 에 있어서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고, 기간 (T3) 에 있어서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n+1)) 이 선택되어 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38 에 나타내는 제 3C 동작 모드가 도 32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도 38 에 나타내는 제 3C 동작 모드에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있어서, φSWA(n) 및 φSWB(n+1), φSWB(n+2) 가 H 가 됨과 함께 φSWA(n+1), φSWA(n+2), φSWB(n), φSWB(n+3) 이 L 이 되고,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온이 됨과 함께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2))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3)) 이 오프가 된다. 이에 따라, 기간 (T2) 에 있어서,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여기서는, 제 1 트랜지스터 (SWA(n)))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여기서는, 제 2 트랜지스터 (SWB(n+1), SWB(n+2)))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n)) 의 제 1 노드 (Pa(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은, Cfd1+3×Cfd2+3×Csw≒Cfd1+3×Cfd2 가 되고, 도 32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비해서 말하자면 3 단계 커진다.
여기서는,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이 선택되는 기간 (T2)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화소 블록 (BL) 이 선택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C 동작 모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SWA, SWB) 중 1 개의 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2 개의 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 (SWB) 가,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선택된 화소 블록 (BL) 의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말하자면 3 단계 커지고, 제 1 노드 (Pa)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서의 포화 전자수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3 단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감도의 설정값이 가장 높은 값에서 3 단계 작은 값인 경우에, 촬상 제어부 (5) 에 의해, 상기 제 2 동작 모드를 실시하도록 지령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 (804) 와 비교되는 비교예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 는, 이 비교예에 의한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1 에 대응하고 있다. 도 40 은, 도 39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32 및 도 33 에 대응하고 있다. 도 39 및 도 40 에 있어서, 도 31, 도 32 및 도 33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0 에 있어서, 확산 영역이나 게이트 전극에 부호를 붙이고 있지 않지만, 그들의 부호는 도 33 과 동일하므로, 필요에 따라 도 33 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 비교예가 본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이 비교예에서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A, SWB) 그리고 배선 (71, 72) 이 제거되고, 그 대신에,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 및 배선 (97, 98)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비교예에서는, 제 1 노드 (Pa) 에 상당하는 노드 (P) 는 존재하고 있지만, 제 2 노드 (Pb) 에 상당하는 노드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셋 트랜지스터 (RST) 의 소스는 제 1 노드 (Pa) 에 접속되지 않고 제 2 노드 (Pb) 에 접속되어 있는 데 반해, 이 비교예에서는, 리셋 트랜지스터 (RST) 의 소스는 노드 (P)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중 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각 2 개의 화소 블록 (BL) 에 대해, 일방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와 타방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 의 사이에,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 및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 가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n 행째의 화소 블록 (BL(n)) 의 노드 (P(n)) 와 n+1 행째의 화소 블록 (BL) 의 노드 (P(n+1)) 의 사이에,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및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n)) 가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화소 블록 (BL(n)) 의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드레인 확산 영역 및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간이, 배선 (97(n))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 노드 (P(n)) 는, 배선 (97(n)) 및 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는 지점 전체에 상당하고 있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이 비교예에서는, 각 2 개의 노드 (P) 사이에 직렬로 형성되어 있는 각 2 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사이가, 배선 (98)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드레인 확산 영역과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사이가, 배선 (98(n))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9 및 도 40 에 있어서, CA(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1))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노드 (P(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이다. 용량 (CA(n)) 의 용량값을 Cfd1' 로 한다. CB(n)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배선 (72(n)) 과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량 (CA(n)) 은,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1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의 용량과, 배선 (97(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의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A(n)) 의 용량값 (Cfd1') 이 된다. 이 점은, 다른 화소 블록 (BL) 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량 (CC(n))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트랜지스터 (TXA(n), TXB(n)) 의 드레인 확산 영역 (41) 의 용량과, 제 1 트랜지스터 (SWA(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과,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게이트 전극의 용량과, 배선 (71(n)) 의 배선 용량으로 구성되고, 그들의 용량값의 합계가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량 (CC(n)) 의 용량값 (Cfd1) 은, 이 비교예에 있어서의 용량 (CA(n)) 의 용량값 (Cfd1') 보다, 제 2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의 드레인 확산 영역의 용량 및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소스 확산 영역의 용량 분 (즉, 트랜지스터 확산 용량 2 개분), 작아진다.
이 비교예에서는,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1)) 가 양방 모두 오프하면, 노드 (P(n)) 와 기준 전위의 사이의 용량 (전하 전압 변환 용량) 은 용량 (CA(n)) 이 되고,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이 최소의 Cfd1' 가 되고, 그 전하 전압 변환 용량에 의한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최고의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또, 이 비교예에서는, 각 연결 트랜지스터 (SWa, SWb) 중 노드 (P(n))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연결 트랜지스터의 수를 1 개 이상의 원하는 수로 늘려 가면,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용량값을 원하는 값으로 크게 할 수 있고, 큰 신호 전하량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포화 전자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노드 (Pa(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최소의 용량값 (Cfd1) 은, 이 비교예에 있어서의 노드 (P(n)) 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의 최소의 용량값 (Cfd1') 보다, 트랜지스터 확산 용량 2 개분 작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비교예와 비교해도, 전하 전압 변환 계수가 한층 커지고, 보다 한층 높은 SN 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 방향으로 순차 이웃하는 모든 2 개의 제 2 노드 (Pb) 사이에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r 개 (r 은 2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항상 개방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r 의 수가 작을수록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수의 최대수가 작아지고,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대 정도가 저하되지만, 상기 비교예에 비해 고감도 판독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s 개 (s 는 1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는,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두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u 개 (u 는 1 이상의 정수) 간격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에만 제 2 트랜지스터 (SWB) 를 형성하는 한편으로, 열 방향으로 늘어서는 u 개 간격 이외의 제 2 노드 (Pb) 와 당해 제 2 노드 (Pb) 에 대해 도 중 하측에 이웃하는 제 2 노드 (Pb) 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선 (72) 에 조정 용량을 형성하는 등에 의해, 용량 (CD) 의 용량값을, 용량 (CC) 의 용량값에 대해 ±20 % 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되고, 용량 (CC) 의 용량값에 대해 ±10 % 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제 9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34 내지 도 38 에 나타내는 각 동작예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는 일 없이 판독하는 동작의 예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를, 동색의 다른 화소 (PX) 의 포토다이오드 (PD) 의 신호 전하와 혼합하여 판독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를 온으로 하여 제 1 노드 (Pa(n-1), Pa(n), Pa(n+1)) 를 서로 연결하고, TXA(n-1), TXA(n), TXA(n+1) 을 동시에 온으로 하면, 베이어 배열 등을 전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동색의 3 개의 화소 (PXA(n-1), PXA(n), PXA(n-1)) 의 포토다이오드 (PDA(n-1), PDA(n), PDA(n-1)) 의 신호 전하가 서로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서 평균화되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트랜지스터 (SWB(n-2), SWB(n+2)) 를 오프로 하고,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상태의 제 1 또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수를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최소가 되고, 최고의 SN 비로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트랜지스터 (SWA(n-1), SWA(n), SWA(n+1)) 및 제 2 트랜지스터 (SWB(n), SWB(n+1)) 외에, 각 제 1 트랜지스터 (SWA) 및 각 제 2 트랜지스터 (SWB) 중 1 개 이상의 온 상태의 트랜지스터가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면, 그 수에 따라, 연결된 제 1 노드 (Pa(n-1), Pa(n), Pa(n+1)) 에 있어서의 전하 전압 변환 용량값이 커지고, 동색 3 화소 혼합 판독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도 41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 (904)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0 에 대응하고 있다. 도 41 에 있어서, 도 30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8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화소 블록 (BL) 에 있어서, 포토다이오드 (PDB) 및 전송 트랜지스터 (TXB) 가 제거되고, 각 화소 블록 (BL) 이 화소 (PXA) 가 되어 있는 점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의 열 방향의 밀도의 2 배가 되고, 상기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토다이오드 (PDA, PDB) 전체의 열 방향의 밀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 은, 화소 블록 (BL) 의 행을 나타냄과 동시에, 화소 (PXA) 의 행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 8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2 개의 화소 (PX (PXA, PXB)) 로 구성되어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 은 1 개의 화소 (PX (PXA))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8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블록 (BL) 에 속하는 2 개의 화소 (PX (PXA, PXB)) 가,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공유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PX) (본 실시형태에서는, PXA 만) 가, 각각 1 세트의 제 1 노드 (Pa), 증폭 트랜지스터 (AMP), 리셋 트랜지스터 (RST) 및 선택 트랜지스터 (SEL) 를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 8 실시형태의 설명은, 화소 블록 (BL) 을 화소 (PXA) 로 치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제 10 실시형태]
도 42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 에 대응하고 있다. 도 43 은, 도 42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 에 대응하고 있다. 도 42 및 도 43 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5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3 에서는,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던 제어선 (24(n)) 을 명기하고 있지만, 제어선 (24(n)) 은 본 실시형태에서 새롭게 추가한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어선 (24(n)) 은 존재하고 있지만, 도시를 생략하고 있었다.
제어선 (24(n))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φRST(n)) 가 전송되는 제어선이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4(n))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RST(n))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선 (24(n)) 은 노드 (P(n)) 에 대해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어선 (24(n)) 과 노드 (P(n)) 의 사이에는 결합 용량 (CRSTA(n)) 이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결합 용량 (CRSTA(n)) 의 용량값을 Cra 로 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 블록 (BL(n)) 에 있어서, 배선 (72(n)) 과 대략 평행하게 더미 배선 (DP(n)) 을 배치하고 있다. 더미 배선 (DP(n)) 은, 제어선 (24(n)) 의 일부를 연장시킨 배선 패턴이다. 즉, 더미 배선 (DP(n)) 은, 일단이 제어선 (24(n)) 에 접속되어 있지만, 화소 블록 (BL) 의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타단은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아, 회로 제어에는 특별히 의미를 갖지 않는 더미의 배선 패턴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배선 (72(n)) 과 대략 평행하게 더미 배선 (DP(n)) 을 배치한 것에 의해, 배선 (72(n)) 과 더미 배선 (DP(n)) 의 사이에는, 도 42 및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용량 (CRSTB(n)) 이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결합 용량 (CRSTB(n)) 의 용량값을 Crb 로 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선 (24(n)) 과 배선 (72(n)) 은 거의 결합하고 있지 않고, Crb 는 매우 작은 것이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더미 배선 (DP(n)) 을 형성했으므로, Crb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큰 값을 취한다.
또한, 더미 배선 (DP(n)) 의 형상은, 상기 서술한 것과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배선 (72(n)) 과 평행한 부분만으로 하고, 화소 블록 (BL) 의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생략해도 된다. 또, 결합 용량 (CRSTB(n)) 을 크게 하기 위해서, 더미 배선 (DP(n)) 의 패턴은 가능한 한 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배선 (DP(n)) 을 형성하는 것과는 상이한 방법으로, 제어선 (24(n)) 과 배선 (72(n)) 의 결합 용량을 크게 해도 된다.
도 44 는, 노드 (P(n)) 의 전위를 리셋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시각 (t0) 에 있어서, 제어 신호 (φRST(n)) 가 H 가 되어 n 행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일단 온이 되고, 노드 (P(n)) 의 전위가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그 후, 제어 신호 (φRST(n)) 가 L 이 되면,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오프가 된다. 이 때, 노드 (P(n)) 의 전위는, 전원 전위 (VDD) 로부터 피드스루량 (ΔV) 만큼 저하되어, 전위 (VDARK) 가 된다.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SWb(n-1))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 피드스루량 (ΔV) 은, (Cra/Cfd1)×Vrst 가 된다. 여기서, Vrst 는 제어 신호 (φRST(n)) 의 진폭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Cfd1 은 용량 (CA(n)) 의 용량값이며, Cra 는 결합 용량 (CRSTA(n)) 의 용량값이다.
이에 대해,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고 있는 경우, 피드스루량 (ΔV) 은, ((Cra+Crb)/(Cfd1+Cfd2))×Vrst 가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Cfd2 는 용량 (CB(n)) 의 용량값이며, Crb 는 결합 용량 (CRSTB(n)) 의 용량값이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Crb 는 매우 작다. 만일 Crb 를 0 으로 하면,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고 있는 경우의 피드스루량 (ΔV) 은, (Cra/ (Cfd1+Cfd2)) 가 된다. 여기서, 용량값 Cra 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온 오프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드스루량 (ΔV) 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를 온하면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전위 (VDARK) 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높아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Crb 가 상기 제 1 실시형태보다 크다. 따라서, 피드스루량 (ΔV)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커지고, 전위 (VDARK) 를 낮게 할 수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로부터의 출력의 리니어리티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를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즉, 드레인·소스간 전압 (Vds) 을 포화 전압 (Vdsat) 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드레인·소스간 전압 (Vds) 은, 드레인 전압 (Vd) 과 소스 전압 (Vs) 의 차이며, Vd-Vs 로 표기된다. 여기서, 도 42 로부터, 드레인 전압 (Vd) 은 전원 전압 (VDD) 이다. 또, 소스 전압 (Vs) 은 Vg―Vth―√(2×Id/β) 이다. 또한, Vg 는 게이트 전압, Vth 는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임계값, Id 는 드레인 전류, β 는 소자 파라미터이다.
이로부터, 게이트 전압 (Vg) 이 높아지면, 소스 전압 (Vs) 이 상승하는, 즉 드레인·소스간 전압 (Vds) 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증폭 트랜지스터 (AMP(n)) 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드 (P(n)) 의 리셋 후의 전위 (VDARK) 를 낮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 노이즈 저감을 위해서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를 매립 채널형으로 하는 기술이 있지만,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하면 임계값 (Vth) 은 저하되므로, 소스 전압 (Vs) 은 더욱 상승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위 (VDARK) 를 낮게 억제하는 것은 보다 중요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트랜지스터 (SWa(n)) 가 온하고 있는 경우에도, 피드스루량 (ΔV) 을 크게 할 수 있고, 증폭 트랜지스터 (AMP(n)) 를 확실하게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증폭 트랜지스터 (AMP(n)) 의 출력의 리니어리티가 향상된다.
또, Cfd2, Crb 의 용량값은 조정 가능하고,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온 오프에 의하지 않고, 피드스루량 (ΔV) 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온 오프에 의하지 않고, 노드 (P(n)) 의 리셋 후의 전위 (VDARK) 를 대략 동일하게 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도 45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 에 대응하고 있다. 도 46 은, 도 45 에 나타내는 3 개의 화소 블록 (BL) 의 부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 에 대응하고 있다. 도 45 및 도 46 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5 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6 에서는,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던 3 개의 제어선 (22(n), 24(n), 27(n)) 을 명기하고 있지만, 이들 3 개의 제어선 (22(n), 24(n), 27(n)) 은 본 실시형태에서 새롭게 추가한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이들 3 개의 제어선 (22(n), 24(n), 27(n)) 은 존재하고 있지만, 도시를 생략하고 있었다.
제어선 (22(n))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φSWa(n)) 가 전송되는 제어선이다. 연결 트랜지스터 (SWa(n))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2(n))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a(n))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어선 (24(n))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φRST(n)) 가 전송되는 제어선이다. 리셋 트랜지스터 (RST(n))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4(n))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RST(n))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제어선 (27(n))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φSWb(n)) 가 전송되는 제어선이다. 연결 트랜지스터 (SWb(n)) 의 게이트는 행마다 제어선 (27(n)) 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거기에는, 제어 신호 (φSWb(n)) 가 수직 주사 회로 (21) 로부터 공급된다.
도 45 및 도 4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드 (P(n)) 와 제어선 (24(n)) 의 사이에는, 결합 용량 (CRSTA(n)) 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배선 (72(n)) 과 제어선 (22(n)) 의 사이에는, 결합 용량 (CSWa(n)) 이 형성되고, 배선 (72(n)) 과 제어선 (27(n)) 의 사이에는, 결합 용량 (CSWb(n)) 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체 촬상 소자의 회로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 화소 블록 (BL(n)) 에 주목하여,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 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7 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 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도 6 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는, 제어 신호 (φRST(n)) 를 H 로 하여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를 온으로 할 때, 대략 동시에 제어 신호 (φSWa(n)) 를 H 로 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를 온으로 하고 있는 점이다 (시각 t1 직전). 수직 주사 회로 (21) 는, 그 후에, 먼저 제어 신호 (φRST(n)) 를 L 로 하여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를 오프로 하고, 계속해서 제어 신호 (φSWa(n)) 를 L 로 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 를 오프로 한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8 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 2A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도 7 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는, 제어 신호 (φRST(n)) 를 H 로 하여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를 온으로 할 때, 대략 동시에, 제어 신호 (φSWb(n)) 를 H 로 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b(n)) 를 온으로 하고 있는 점이다 (시각 t1 직전). 수직 주사 회로 (21) 는, 그 후에, 먼저 제어 신호 (φRST(n)) 를 L 로 하여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를 오프로 하고, 계속해서 제어 신호 (φSWb(n)) 를 L 로 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b(n)) 를 오프로 한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9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 2B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도 8 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는, 제어 신호 (φRST(n)) 를 H 로 하여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를 온으로 할 때, 대략 동시에 제어 신호 (φSWa(n+1)) 를 H 로 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를 온으로 하고 있는 점이다 (시각 t1 직전). 수직 주사 회로 (21) 는, 그 후에, 먼저 제어 신호 (φRST(n)) 를 L 로 하여 리셋 트랜지스터 (RST(n)) 를 오프로 하고, 계속해서 제어 신호 (φSWa(n+1)) 를 L 로 하여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를 오프로 한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드 (P(n)) 의 리셋시에, 대략 동시에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를 (일시적으로) 온하고 있다. 여기서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란, 연결하는 화소 블록 (BL) 의 최외단에 위치하는 연결 트랜지스터이다. 예를 들어 화소 블록 (BL(n)) 을 연결하지 않는 경우,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란, 연결 트랜지스터 (SWa(n), SWb(n-1)) 중 어느 일방이다. 또, 화소 블록 (BL(n)) 과 화소 블록 (BL(n+1)) 을 연결하는 경우,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란, 연결 트랜지스터 (SWa(n+1), SWb(n-1)) 중 어느 일방이다.
도 50 은, 노드 (P(n)) 의 전위를 리셋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50 에 있어서, 제어 신호 (φSW) 는,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이다. 예를 들어,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연결 트랜지스터 (SWb(n-1)) 인 경우, 제어 신호 (φSW) 란, 제어 신호 (φSWb(n-1)) 이다.
시각 (t0) 에 있어서,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 (φSW) 와 제어 신호 (φRST(n)) 가 대략 동시에 H 가 된다. 이에 따라, n 행째의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일단 온이 됨과 함께, 화소 블록 (BL) 이 일단 연결된다. 이 때, 노드 (P(n)) 의 전위는, 일단 전원 전위 (VDD) 로 리셋된다. 그 후, 제어 신호 (φRST(n)) 가 L 이 되면, 리셋 트랜지스터 (RST(n)) 가 오프가 된다. 이 때, 노드 (P(n)) 의 전위는, 전원 전위 (VDD) 로부터, 제어선 (24(n)) 에 의한 결합 용량에 따른 피드스루량 (ΔV1) 만큼 저하된다. 계속해서, 제어 신호 (φSW) 가 L 이 되면, 최외단의 연결 트랜지스터가 오프가 된다. 이 때, 노드 (P(n)) 의 전위는, 또한 피드스루량 (ΔV2) 만큼 저하되고, 전위 (VDARK) 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드 (P(n)) 의 전위의 리셋시에 최외단의 연결 스위치를 온 오프함으로써, 이에 따른 피드스루량 (ΔV2) 만큼 노드 (P(n)) 의 전위를 더욱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전위 (VDARK) 를,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더욱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0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우선권 기초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삽입된다.
일본 특허출원 2013년 제238067호 (2013년 11월 18일 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3년 제238439호 (2013년 11월 19일 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3년 제238442호 (2013년 11월 19일 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4년 제137755호 (2014년 7월 3일 출원)
4 : 고체 촬상 소자
BL : 화소 블록
PX : 화소
PD : 포토다이오드
TXA, TXB : 전송 트랜지스터
P : 노드
AMP : 증폭 트랜지스터
SWa, SWb : 연결 트랜지스터

Claims (24)

  1. 제 1 용량을 갖고,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에 접속되는 노드부와,
    제 2 용량을 갖는 부재와,
    상기 노드부와 상기 부재 사이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노드부를 소정 전위로 하기 위한 리셋부를 구비하는 촬상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부재를 통하여 상기 노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상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노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상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어선에 접속되는 제 1 게이트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셋부는, 상기 제 1 제어선과는 상이한 제 2 제어선에 접속되는 제 2 게이트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선은, 상기 노드부와 상기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리셋부는, 상기 소정 전위가 공급되는 공급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제어선은, 상기 부재와 상기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촬상 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부에 접속되는 제 3 게이트를 갖고, 상기 노드부의 전위에 기초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트랜지스터와,
    제 4 게이트를 갖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신호선에 출력하기 위한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제 3 게이트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4 게이트에서 상기 제 3 게이트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배치되는 촬상 소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부에 접속되는 제 3 게이트를 갖고, 상기 노드부의 전위에 기초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노드부는,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전하가 전송되는 확산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확산 영역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3 게이트에서 상기 확산 영역까지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배치되는 촬상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부는, 상기 확산 영역과 상기 제 3 게이트를 접속하는 배선을 갖는 촬상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리셋부에 의해 상기 소정 전위로 되는 촬상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되는 제 5 트랜지스터를 갖는 촬상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 5 트랜지스터를 복수 갖는 촬상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부는, 복수의 상기 광전 변환부에 접속되는 촬상 소자.
  13.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제 1 광전 변환부와 접속되는 제 1 노드부와,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제 2 광전 변환부와 접속되는 제 2 노드부와,
    상기 제 2 노드부에 접속되는 부재와,
    상기 제 1 노드부와 상기 부재 사이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재와 소정 전위가 공급되는 공급부에 접속되는 리셋부를 구비하는 촬상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1 노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상 소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노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상 소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어선에 접속되는 제 1 게이트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셋부는, 상기 제 1 제어선과는 상이한 제 2 제어선에 접속되는 제 2 게이트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 2 노드부와 상기 제어부를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갖는 촬상 소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 2 노드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접속하는 제 1 배선을 갖는 촬상 소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접속하는 제 2 배선을 갖는 촬상 소자.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부는,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제 3 광전 변환부에 접속되는 촬상 소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부는, 상기 제 1 광전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하와, 상기 제 3 광전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하가 전송되는 확산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
  22.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제 1 광전 변환부와 접속되는 제 1 확산 영역과,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제 2 광전 변환부와 접속되는 제 2 확산 영역과,
    상기 제 1 확산 영역과 상기 제 2 확산 영역에 접속되는 부재 사이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재와 소정 전위가 공급되는 공급부에 접속되는 리셋부를 구비하는 촬상 소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 1 확산 영역과 상기 제 2 확산 영역과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갖는 촬상 소자.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20187026629A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15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8067A JP6375613B2 (ja) 2013-11-18 2013-11-18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JP-P-2013-238067 2013-11-18
JP2013238442A JP6217338B2 (ja) 2013-11-19 2013-11-19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JP-P-2013-238442 2013-11-19
JPJP-P-2013-238439 2013-11-19
JP2013238439A JP6375614B2 (ja) 2013-11-19 2013-11-19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JP-P-2014-137755 2014-07-03
JP2014137755A JP6413401B2 (ja) 2014-07-03 2014-07-03 固体撮像素子
PCT/JP2014/080533 WO2015072575A1 (ja) 2013-11-18 2014-11-18 固体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976A Division KR10190066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743A Division KR102146231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203A true KR20180104203A (ko) 2018-09-19
KR102015900B1 KR102015900B1 (ko) 2019-08-29

Family

ID=5305750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06A KR102211899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197024743A KR102146231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237022820A KR20230107410A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187026629A KR102015900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167013976A KR10190066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227013319A KR10255398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217002983A KR10239156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06A KR102211899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197024743A KR102146231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237022820A KR20230107410A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976A KR10190066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227013319A KR10255398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KR1020217002983A KR102391568B1 (ko) 2013-11-18 2014-11-18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638067B2 (ko)
EP (3) EP3073729B1 (ko)
KR (7) KR102211899B1 (ko)
CN (6) CN111885319B (ko)
WO (1) WO2015072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3763B2 (en) * 2014-11-12 2017-06-0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ower amplifier
US9961255B2 (en) * 2016-02-09 2018-05-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4710631A (zh) * 2016-02-29 2022-07-05 索尼公司 成像元件和电子设备
US20190110009A1 (en) * 2016-03-30 2019-04-11 Nikon Corporation Image sensor, image-captur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memory
JP6809543B2 (ja) 2017-01-31 2021-01-0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および電子カメラ
CN113923383A (zh) 2017-01-31 2022-01-11 株式会社尼康 摄像元件以及摄像装置
WO2018143307A1 (ja)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7074072B2 (ja) 2017-01-31 2022-05-24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および電子カメラ
EP3611918B1 (en) * 2017-04-12 2023-08-23 Brillnics Singapore Pte. Ltd. Solid-state imaging device, method for driv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477406B2 (en) 2018-01-24 2022-10-18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effective pixel signal reading
CN111936882A (zh) * 2018-03-28 2020-11-1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固体拍摄装置、固体拍摄系统、固体拍摄装置的驱动方法
JP7362651B2 (ja) * 2018-11-07 2023-10-17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2156633A (ja) * 2021-03-31 2022-10-1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139B2 (ja) * 1988-02-10 2000-08-14 ミノルタ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08104150A (ja) * 2006-09-20 2008-05-01 Sanyo Electric Co Ltd 光検出装置
JP2008546313A (ja) 2005-06-01 2008-12-1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選択的ビニング機構を備えたcmosイメージセンサの画素
JP2010193437A (ja) * 2009-01-21 2010-09-02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KR20100100694A (ko) * 2009-03-06 2010-09-15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47A (ja) * 1982-06-29 1984-01-09 Nissha Printing Co Ltd 透明な金属酸化物皮膜を有する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09033316A (ja) * 2007-07-25 2009-02-12 Nikon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カメラ
JP5262028B2 (ja) * 2007-09-10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制御方法
JP4582198B2 (ja) 2008-05-30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US7777171B2 (en) 2008-08-26 2010-08-17 Eastman Kodak Company In-pixel summing of charge generated by two or more pixels having two reset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JP2010087341A (ja) * 2008-10-01 2010-04-15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JP2010219437A (ja) 2009-03-18 2010-09-30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JP2010273095A (ja) 2009-05-21 2010-12-02 Renesas Electronics Corp 撮像装置
JP5251736B2 (ja) * 2009-06-05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440056B2 (ja) 2009-09-15 2014-03-12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素子
JP5564909B2 (ja) * 2009-11-30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126291B2 (ja) 2010-06-07 2013-01-23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素子
JP5511541B2 (ja) * 2010-06-24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5126305B2 (ja) 2010-07-02 2013-01-23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素子
JP2012129799A (ja) * 2010-12-15 2012-07-05 Sony Corp 固体撮像素子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5885403B2 (ja) * 2011-06-08 201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686765B2 (ja) 2011-07-21 2015-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915031B2 (ja) * 2011-08-31 2016-05-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13157883A (ja) 2012-01-31 2013-08-15 Sony Corp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9093351B2 (en) 2012-03-21 2015-07-28 Canon Kabushiki Kaisha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JP6000589B2 (ja) * 2012-03-21 2016-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851339B2 (ja) 2012-05-14 2016-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放射線モニタ
JP2013238442A (ja) 2012-05-14 2013-11-28 Oki Electric Ind Co Ltd 推定装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2960B2 (ja) 2012-05-16 2016-03-01 大成建設株式会社 釜場の構造
JP6094086B2 (ja) 2012-08-02 2017-03-1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6091218B2 (ja) 2013-01-08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14137755A (ja) 2013-01-17 2014-07-28 Ricoh Co Ltd プリント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設定方法
US9001250B2 (en) 2013-09-11 2015-04-07 Omni Vis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image data from an image sensor
JP2017004985A (ja) 2013-11-08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139B2 (ja) * 1988-02-10 2000-08-14 ミノルタ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08546313A (ja) 2005-06-01 2008-12-1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選択的ビニング機構を備えたcmosイメージセンサの画素
JP2008104150A (ja) * 2006-09-20 2008-05-01 Sanyo Electric Co Ltd 光検出装置
JP2010193437A (ja) * 2009-01-21 2010-09-02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KR20100100694A (ko) * 2009-03-06 2010-09-15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410A (ko) 2023-07-14
US20190394412A1 (en) 2019-12-26
US20160373668A1 (en) 2016-12-22
US10638067B2 (en) 2020-04-28
CN111885318B (zh) 2024-02-02
KR102391568B1 (ko) 2022-04-27
CN111885319A (zh) 2020-11-03
CN111866416B (zh) 2023-12-05
KR20200098731A (ko) 2020-08-20
EP3073729A4 (en) 2017-07-26
EP3627556B1 (en) 2024-01-03
EP3073729B1 (en) 2019-12-25
KR20210013778A (ko) 2021-02-05
CN111885317B (zh) 2023-12-08
US20210168311A1 (en) 2021-06-03
CN111885317A (zh) 2020-11-03
EP3627556A1 (en) 2020-03-25
US10958856B2 (en) 2021-03-23
KR20160077156A (ko) 2016-07-01
CN111866416A (zh) 2020-10-30
KR102015900B1 (ko) 2019-08-29
KR102146231B1 (ko) 2020-08-20
KR101900668B1 (ko) 2018-09-20
EP4311252A2 (en) 2024-01-24
US20230379597A1 (en) 2023-11-23
KR102211899B1 (ko) 2021-02-03
CN111885319B (zh) 2024-02-06
US11765473B2 (en) 2023-09-19
WO2015072575A1 (ja) 2015-05-21
CN105917644B (zh) 2020-08-18
KR20190103455A (ko) 2019-09-04
EP3073729A1 (en) 2016-09-28
CN111885318A (zh) 2020-11-03
CN105917644A (zh) 2016-08-31
EP4311252A3 (en) 2024-04-10
KR102553988B1 (ko) 2023-07-10
KR20220054898A (ko) 2022-05-03
CN111866415A (zh)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668B1 (ko) 고체 촬상 소자 및 촬상 장치
US10171760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method for driv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an amplifier and signal lines for low and high gain
JP6413401B2 (ja) 固体撮像素子
JP6825675B2 (ja)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6217338B2 (ja)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7160129B2 (ja)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6375613B2 (ja)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6760907B2 (ja)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2021073772A (ja)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