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013A -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013A
KR20180104013A KR1020187023559A KR20187023559A KR20180104013A KR 20180104013 A KR20180104013 A KR 20180104013A KR 1020187023559 A KR1020187023559 A KR 1020187023559A KR 20187023559 A KR20187023559 A KR 20187023559A KR 20180104013 A KR20180104013 A KR 2018010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tainless steel
martensitic stainless
l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022B1 (ko
Inventor
타쿠야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filed Critical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Publication of KR2018010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foils which present special problems, e.g. because of thin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02Roll dimensions
    • B21B2267/06Roll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극히 얇고, 형상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두께가 35㎛ 이하이며, 650㎜ 길이에 있어서의 급준도가 0.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바람직하게는 단면의 금속 조직은 탄화물이 분산되어 있는 페라이트 조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질량%로 C: 0.25~1.5%, Cr: 10~18%, Si: 1.0%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n: 1.5%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o: 3.0% 이하(0%를 포함한다),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극히 얇은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경도이며, 내마모성이나 내식성이 우수한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베어링, 밸브, 정밀 스프링, 커터 등에 사용되어 있다. 이들 제품 중에는 고정밀도화·복잡화가 진행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그에 따라 재료가 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도 극박판화(예를 들면, 0.1㎜ 미만)가 요망되어 있다. 이 극박판화 기술에 관해서 특허문헌 1에는 커터 등에 사용되는 액체 급랭법으로 제작되어 두께가 0.04㎜(40㎛)인 결정립 미세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발명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급랭 응고법으로 제작되어 조직 중에 점유하는 비정질 조직이 체적률로 30% 이상이며, 재료 두께가 30㎛~100㎛인 체도용 날재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31361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94409호 공보
한편, 용제법에 의해 강편을 제작하여 단조, 열간·냉간 압연하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한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극박판화는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도 액체 급랭법 등의 특수한 제법을 사용해서 금속 조직을 아모퍼스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극박판화를 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40㎛ 이하의 강박을 냉간 압연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 표면 피부의 조정이나 소망의 금속 조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간 압연으로 종래보다 얇은 35㎛ 이하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두께가 35㎛ 이하이며, 650㎜ 길이에 있어서의 급준도(急峻度)가 0.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이다.
그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단면의 금속 조직은 탄화물이 분산되어 있는 페라이트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질량%로 C: 0.25~1.5%, Cr: 10~18%, Si: 1.0%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n: 1.5%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o: 3.0% 이하(0%를 포함한다), 잔부는 실질적으로 Fe로 이루어지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압연 속도는 40~120m/min이며,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의 중간 패스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은 50㎜ 이하이며,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의 최종 패스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은 중간 패스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제조 방법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얇고, 형상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표면 현미경 사진이다(도 1(a) 50배, 도 1(b) 500배).
도 2는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판폭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급준도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들뜸 높이 측정 결과이다.
<두께가 35㎛ 이하>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이하, 간단히 「강박」이라고도 기재한다)은 두께가 35㎛ 이하인 것이 제 1 특징이다. 바람직한 두께는 30㎛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프레스, 절단성은 처음부터 에칭에 의한 관통 가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 가공이나 고정밀도인 가공이 요구되는 제품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조 한계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란 담금질에 의해 강대의 금속 조직이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변태하여 강대의 경도가 단단해지는 스테인리스 강을 말한다.
<급준도>
본 발명의 강박은 압연 방향의 650㎜ 길이에 있어서의 급준도가 0.75% 이하인 것이 제 2 특징이다. 보다 바람직한 급준도는 0.50% 이하이다. 상기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복잡 또는 정밀하게 가공 가능한 강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강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코일상으로 권취할 때에 강박에 발생하는 주름이나 절단 시의 횡굽힘 등의 형상 불량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급준도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지만 완전히 평탄한 형상(급준도 0.00%)은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급준도의 측정은 예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강박을 일정 길이(예를 들면, 압연 방향의 길이 650㎜)로 절단하여 수평 정반 상에 두고, 레이저 변위계 등을 사용하여 강박의 들뜸 높이를 측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급준도의 측정에서는 폭은 320㎜의 것을 사용했지만 폭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다. 압연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의 급준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폭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이때 강박의 폭 및 길이 방향에서 일정 길이마다 들뜸 높이를 매트릭스상으로 기록한 데이터로부터 급준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정밀도 좋게 급준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어느 정도의 시료의 길이가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650㎜ 이상의 박판의 길이가 있으면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급준도를 측정하는 길이를 650㎜로 설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강박은 극박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롤 압연기를 사용한 냉간 압연으로 극박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통판 속도와 압연 유량 등을 조정하여 높은 압하율로 압연해서 강박을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강박의 표면을 여러 가지의 표면 거칠기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막과의 밀착성을 높이거나 강박과 레지스트 등의 수지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0.08㎛ 이하, 최대 높이 Rz를 1㎛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Ra의 상한은 0.06㎛이며, 보다 바람직한 Rz의 상한은 0.5㎛이다. 여기에서 강박 표면에는 압연 롤로부터 전사된 스트라이프 조흔(條痕)이나 압연유의 맞물림에 의해 형성된 오일 피트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적당한 스트라이프 조흔은 압연유의 퇴로가 되어 오일 피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양호한 표면형상을 갖는 강판을 얻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 압연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측정한 표면 거칠기는 압연 방향으로 측정한 표면 거칠기보다 거칠게 조정해도 좋다. 또한, 압연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측정한 표면 거칠기는 압연 방향으로 측정한 표면 거칠기보다 Ra에서 0.005㎛ 이상 거칠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성분은, 예를 들면 JIS-G-4303에 나타내어지는 것 외에 이들의 개량강 등이나 종래 제안되어 온 조성의 것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고강도인 강박을 얻기 위해서 질량%로 C: 0.25~1.5%, Cr: 10~18%, Si: 1.0%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n: 1.5%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o: 3.0% 이하(0%를 포함한다),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성에 의해 탄화물이 형성되고, 또한 열처리에 의해 탄화물의 사이즈나 금속 조직을 변화시킬 수 있어 용도에 따라 경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박의 금속 조직은 페라이트 조직 중에 탄화물이 분산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화물의 밀도나 입자 지름을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면 담금질하고 조질 후의 강박의 경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박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냉간 압연 후의 폭을 1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광폭으로 함으로써 후에 소망의 제품 폭으로 하여 슬릿할 수 있고, 에칭을 행할 때에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양호한 급준도를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냉간 압연 후의 폭을 4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이것은 35㎛ 이하의 강박을 냉간 압연으로 제조할 경우, 사용하는 압연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압연 중에 워크롤이 접촉하는 소위 키스 롤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폭이 넓어질수록 냉간 압연에서의 롤 벤딩 제어 등에서 양호한 급준도를 얻는 것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강박의 경도는, 예를 들면 비커스 경도에서 270~370HV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도는, 예를 들면 두께 0.1㎛ 이상인 종래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대와 거의 동등한 경도이기 때문에 굽힘 가공·스로틀 가공성이 우수하다. 보다 바람직한 경도의 하한은 290HV이며, 보다 바람직한 경도의 상한은 350HV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강박의 인장 강도는 880~1050N/㎟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장 강도는, 예를 들면 두께 0.1㎛ 이상인 종래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대와 거의 동등한 인장 강도이다. 보다 바람직한 인장 강도의 하한은 900N/㎟이며, 보다 바람직한 인장 강도의 상한은 1000N/㎟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강박은 용도에 맞춰 냉간 압연율이나 열처리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강박의 경도 및 인장 강도를 적당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송 시의 주름이나 접힘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강박의 냉간 압연율을 올려서 보다 고경도로 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호한 가공성을 얻기 위해서는 냉간 압연율을 내려서 경도를 내리는 것으로 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을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박은, 예를 들면 3㎜ 이하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재에 냉간 압연과 열처리를 실시하는 냉간 압연 공정을 행함으로써 제작된다.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간 압연 후의 재료 표면에는 스케일이나 상처가 있기 때문에 후공정에서 제거할 목적으로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표면에 그들의 결함이 잔존하고 있으면, 35㎛ 이하의 강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압연 시의 파단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이유에 의해 이 냉간 압연 공정에서는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연마 공정이나 소재 단부의 크랙부 제거 및 형상 교정을 위한 에지 커팅 공정을 행해도 좋다. 이 냉간 압연 공정에 의해 강박 표면에는 압연 방향을 향한 스트라이프상의 압연흔이 확인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냉간 압연기에 대해서는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중간 롤이나 워크롤의 벤딩 기구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하면 판폭 방향에서의 압연 하중 분포를 조정함으로써 판폭 방향의 신장률을 제어하여 양호한 형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 공정 시에 사용하는 노(爐)도 종형로, 횡형로(수평로) 등 기존의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통판 중의 접힘 방지나, 보다 양호한 급준도를 얻기 위해서는 자중에 의한 휨이 발생하기 어려운 종형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냉간 압연 공정은 1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해서 0.1㎜ 정도의 두께까지 압연된 중간 냉연 소재에 복수회의 압연 패스에 의한 냉간 압연으로 두께 35㎛ 이하의 강박으로 마무리하는 마무리 냉간 압연 공정을 갖는다. 이 마무리 냉간 압연의 중간 압연 패스의 압하율은 35%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압하율로 설정함으로써 각 압연 패스에서의 압연 하중을 억제하고, 압연 시의 파단이나 재료 표면의 피부 거칠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각 압연 패스의 압하율은 3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 공정의 중간 패스에 사용하는 워크롤 지름을 50㎜ 이하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상기 워크롤 지름으로 설정함으로써 압연 하중을 억제하면서 판두께가 얇은 강박을 효율 좋게 압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의 중간 패스란 후술하는 최종 패스를 제외하는 마무리 냉간 압연 패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마무리 냉간 압연의 최종 패스에 사용하는 워크롤 지름을 중간 패스에 사용한 워크롤 지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크롤 지름으로 설정함으로써 롤의 강성을 높이고, 롤의 편평 변형 등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평탄한 형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마무리 냉간 압연의 최종 패스에 사용하는 워크롤 지름을 중간 패스에 사용한 워크롤 지름보다 크게 설정한다. 또한, 바람직한 최종 패스 시의 워크롤 지름은 6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이때의 최종 패스의 압하율은 25%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최종 패스 전에 연화 어닐링을 실시하여 최종 제품 경도를 소망의 경도로 조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마무리 냉간 압연 시의 압연 속도를 40~120m/min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 속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압연 하중이 증대하여 양호한 형상이 얻기 어려워 압연 효율도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압연 속도를 올림으로써 속도 효과를 이용하여 압연 하중을 억제해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압연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면 압연유의 지출(持出)이 많아져 권취되어 있는 재료에 텔레스코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 범위 내로 압연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양호한 형상을 얻으면서 재료 텔레스코프를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압연 속도의 하한은 50m/mi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min이다. 또한, 바람직한 압연 속도의 상한은 110m/mi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min이다.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은 소망의 사이즈를 얻기 위해서 냉간 압연 공정 후의 광폭인 강박을 복수 조로 절단하는 슬릿 공정을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강박은 양호한 급준도를 갖기 때문에 슬릿 후에도 횡굽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우수한 금속 스트립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강괴를 제작한 후 단조, 열간 압연을 행하여 두께 1.5㎜의 열간 압연재를 제작했다. 그 후, 표면 연마·조압연(粗壓延)을 실시하고, 에지 커팅 가공으로 소재 폭 방향의 양단부를 제거하여 냉간 압연용 소재를 준비했다. 계속해서 상술한 냉간압용 소재에 대하여 냉간 압연과 열처리를 반복해서 두께 약 0.1㎜의 중간 냉연 소재를 제작하고, 그 중간 냉연 소재에 마무리 냉간 압연을 행하여 두께 30㎛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을 제작해서 본 발명예 No.1로 했다. 본 발명예의 마무리 냉간 압연 공정은 워크롤 지름을 30㎜, 1패스당 압하율을 18~30%, 압연 속도를 40~110m/min으로 해서 4패스의 냉간 압연을 행하고(중간 패스), 연화 어닐링 후, 워크롤 지름을 80㎜로 변경해서 압하율 약 17%의 냉간 압연을 행했다(최종 패스). 비교예 No.11로서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강괴를 제작한 후, 본 발명예와 마찬가지의 공정으로 두께 약 0.11㎜의 중간 소재를 제작하고, 그 후 1패스의 마무리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0.1㎜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대를 작성했다. 비교예의 마무리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은 120㎜이며, 압연 속도는 약 180m/min이었다. 도 1에 본 발명예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표면 사진을, 도 2에 그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박 표면은 냉간 압연에 의해 가공을 함으로써 압연 방향을 향한 스트라이프상의 압연흔이 있는 윤기가 없는 압연 표면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금속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 얻어진 강박을 적층시켜 단면 방향에서 조직 관찰을 행했다. 도 2로부터 페라이트 조직 중에 탄화물이 분산되어 있는 금속 조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으로서 나타내는 부분이 1개의 강박이며, 그 상하는 다른 강박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며, 도 2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Figure pct00001
계속해서 본 발명의 강박의 급준도 및 비커스 경도를 측정했다. 급준도의 측정 방법은 우선,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으로부터 길이 650㎜, 폭 320㎜의 시험편을 잘라낸다. 이때 길이 방향은 압연 방향이다. 그리고 3차원 형상 측정기를 사용하여 그 시험편을 수평 정반에 둔 상태의 들뜸 높이로 평가했다. 비커스 경도는 JIS-Z2244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0.490N의 하중에 의해 강박의 폭 방향 양단부와 폭 방향 중앙부의 경도를 각각 5점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인장 강도는 강박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시험편은 JIS13호 B시험편을 5개 채취하고, JIS-Z2241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표면 거칠기는 접촉식 표면 조도계를 사용해서 4㎜의 길이를 측정하고, 산술 평균 거칠기 Ra 및 최대 높이 Rz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본 발명예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급준도 측정 결과를, 도 4에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들뜸 높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도 3, 및 도 4로부터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 스테인리스 강박은 수평 정반으로부터의 들뜸 높이가 0.5㎜ 이하, 급준도는 최대 0.3%로 매우 우수한 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은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급준도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지 않아 본 발명보다 두꺼운 비교예의 강대는 최대 들뜸 높이 및 최대 급준도의 값이 본 발명예보다 뒤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예의 강박의 경도와 인장 강도는 종래 예와 거의 동등한 값이며, 매우 평활한 표면을 갖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Claims (4)

  1. 두께가 35㎛ 이하이며,
    650㎜ 길이에 있어서의 급준도가 0.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면의 금속 조직은 탄화물이 분산되어 있는 페라이트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질량%로 C: 0.25~1.5%, Cr: 10~18%, Si: 1.0%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n: 1.5%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Mo: 3.0% 이하(0%를 포함한다),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4.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압연 속도는 40~120m/min이며,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의 중간 패스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은 50㎜ 이하이며,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의 최종 패스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은 중간 패스에 있어서의 워크롤 지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의 제조 방법.
KR1020187023559A 2016-03-09 2017-03-08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4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6217 2016-03-09
JPJP-P-2016-046217 2016-03-09
PCT/JP2017/009238 WO2017154981A1 (ja) 2016-03-09 2017-03-08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013A true KR20180104013A (ko) 2018-09-19
KR102114022B1 KR102114022B1 (ko) 2020-05-22

Family

ID=5978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559A KR102114022B1 (ko) 2016-03-09 2017-03-08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8393B2 (ko)
EP (1) EP3428298A4 (ko)
JP (1) JP6729679B2 (ko)
KR (1) KR102114022B1 (ko)
CN (1) CN108713067B (ko)
WO (1) WO2017154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7972B1 (ja) 2016-04-14 2017-11-29 凸版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用基材、蒸着マスク用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JP6319505B1 (ja) 2017-09-08 2018-05-09 凸版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用基材、蒸着マスク用基材の製造方法、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984529B2 (ja) * 2017-09-08 2021-12-22 凸版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用基材、蒸着マスク用基材の製造方法、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299921B1 (ja) 2017-10-13 2018-03-28 凸版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用基材、蒸着マスク用基材の製造方法、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347312B1 (ja) * 2017-10-30 2018-06-2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クラッド板
CN111676421B (zh) * 2020-05-20 2021-09-28 樟树市兴隆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马氏体气阀钢轧制坯的轧制方法
US20240150880A1 (en) * 2021-03-31 2024-05-09 Nippon Steel Chemical & Material Co., Ltd. Flexible stainless steel foil and flexible light emitt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206A (ja) * 1992-01-31 1993-08-20 Nisshin Steel Co Ltd 極薄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9271817A (ja) * 1996-04-01 1997-10-21 Nkk Corp 金属の圧延方法
JP2002294409A (ja) 2001-01-26 2002-10-09 Hitachi Metals Ltd カミソリ用刃材およびカミソリ用刃
JP2003313612A (ja) 2002-04-23 2003-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結晶粒微細化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および同ステンレス鋼を用いた刃物
JP2015167953A (ja) * 2014-03-05 2015-09-28 日立金属株式会社 ステンレス箔の製造方法
JP6006749B2 (ja) * 2013-06-26 2016-10-12 キャンプ モバイ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動画マルチメディアを利用した着信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49B2 (ja) * 1985-06-28 1994-01-26 日新製鋼株式会社 形状の良好な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鋼帯の製造方法
DE69129130T2 (de) * 1990-04-12 1998-10-22 Nippon Steel Corp Verfahren zum Herstellen doppeltorientierter Elektrobleche mit hoher magnetischer Flussdichte
JPH10263615A (ja) * 1997-03-25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圧延方法
SE527385C2 (sv) 2003-11-04 2006-0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lagd bandprodukt av rostfrit stål för användning i lastbärande applikationer
SE527386C2 (sv) * 2003-12-23 2006-0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lagd rostfri stålbandsprodukt med dekorativt utseende
KR100837020B1 (ko) 2004-04-12 2008-06-1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산화물 함유기판과 그 제조법
DE102004048172A1 (de) * 2004-10-02 2006-04-06 Ina-Schaeffler Kg Spanlos hergestelltes dünnwandiges rostfreies Lagerbauteil insbesondere Wälzlagerbauteil
JP2009302203A (ja) * 2008-06-11 2009-12-24 Nippon Steel Materials Co Ltd 磁気シールド板
CN102242860A (zh) * 2010-05-14 2011-11-16 吴银森 具有防爆填料的民用石油液化气罐及制作方法
JP2012214866A (ja) * 2011-03-30 2012-11-08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鋼箔ストリップの連続式光輝熱処理方法および水平型連続光輝焼鈍炉
CN102430570B (zh) * 2011-11-08 2013-11-20 东北大学 一种热辊温轧金属薄带和极薄带的装置及方法
EP2982451B1 (en) * 2013-04-01 2018-02-28 Hitachi Metal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blad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206A (ja) * 1992-01-31 1993-08-20 Nisshin Steel Co Ltd 極薄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9271817A (ja) * 1996-04-01 1997-10-21 Nkk Corp 金属の圧延方法
JP2002294409A (ja) 2001-01-26 2002-10-09 Hitachi Metals Ltd カミソリ用刃材およびカミソリ用刃
JP2003313612A (ja) 2002-04-23 2003-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結晶粒微細化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および同ステンレス鋼を用いた刃物
JP6006749B2 (ja) * 2013-06-26 2016-10-12 キャンプ モバイ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動画マルチメディアを利用した着信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5167953A (ja) * 2014-03-05 2015-09-28 日立金属株式会社 ステンレス箔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8298A4 (en) 2019-10-16
US20190071758A1 (en) 2019-03-07
EP3428298A1 (en) 2019-01-16
JPWO2017154981A1 (ja) 2019-02-07
CN108713067A (zh) 2018-10-26
KR102114022B1 (ko) 2020-05-22
WO2017154981A1 (ja) 2017-09-14
CN108713067B (zh) 2020-11-20
US11098393B2 (en) 2021-08-24
JP6729679B2 (ja)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013A (ko)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JP5294072B2 (ja) エッチング加工用素材の製造方法及びエッチング加工用素材
CN106955892B (zh) Fe-Ni系合金薄板的制造方法
US11268171B2 (en) Aluminum alloy foil, and method for producing aluminum alloy foil
EP3862452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8240046A (ja) 熱間プレス時のスケール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78197A (ja) 無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0754A (ko) 메탈 마스크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8368562A (zh) 成形品的制造方法及成形品
JP2013542327A (ja) 電気化学的粗面化のためのリソグラフィー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14639A (ja)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
JP5464511B2 (ja) 液体噴射用オリフィス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7156279B2 (ja) メタルマスク用薄板の製造方法及びメタルマスク用薄板
JP2015193871A (ja) Fe−Ni系合金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4764A (ja) Fe−Ni系合金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642289B (zh) 金属掩模用原材料及其制造方法
JP5679580B2 (ja) 圧延銅箔
KR20150074690A (ko) 티타늄 판재의 제조 방법
JP5088002B2 (ja) 鋼帯の圧延方法および高張力冷延鋼帯の製造方法
JP6070616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CN110352101B (zh) Fe-Ni系合金薄板及其制造方法
JP5683432B2 (ja) 圧延銅箔
JP5060253B2 (ja) アルミニウム圧延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46294A (ja) 金属帯材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帯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