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772A -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772A
KR20180103772A KR1020180028243A KR20180028243A KR20180103772A KR 20180103772 A KR20180103772 A KR 20180103772A KR 1020180028243 A KR1020180028243 A KR 1020180028243A KR 20180028243 A KR20180028243 A KR 20180028243A KR 20180103772 A KR20180103772 A KR 2018010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composition
complex
strain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807B1 (ko
Inventor
조미라
박성환
양철우
이선영
전주연
서현범
권지예
유준걸
조근형
최정원
류재윤
김은경
정경아
이승훈
이아름
나현식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0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및 이의 다양한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또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가장 효과적인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in vitro 또는 in vivo 상에서 종래 항염증제와 비교하였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및 연골 파괴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골 보호인자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대시키며, 면역 질환 동물모델에서 연골 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는 바, 관련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mixture of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및 이의 다양한 적용에 관한 것이다.
면역질환은 포유류 면역계의 구성성분들이 포유류의 병리상태를 야기하거나, 매개하거나 또는 기타 공헌하는 질환으로서, 특히 염증성 장애는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염증은 일반적으로 외부 물질 또는 해로운 자극에 의한 숙주 침입에 대해 신체 조직의 국소화된 보호 반응이다. 염증의 원인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원인; 화상 또는 방사선 조사와 같은 물리적 원인; 독소, 약물 또는 산업적 제제와 같은 화학약품;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 반응과 같은 면역적 반응, 또는 산화성 스트레스와 연관된 상태일 수 있다.
염증은 통증, 적화현상, 부기, 열 및 감염된 영역의 궁극적인 기능 손실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들 증상은 면역계의 세포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세포의 반응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여러 그룹의 염증 매개자의 상호작용 네트워크가 생성된다: 단백질(예를 들면, 사이토카인, 효소(예를 들면 프로테아제, 퍼옥시다제), 주요 염기성 단백질, 점착 분자(ICAM, VCAM), 지질 매개자(예를 들면, 에이코사노이드,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라이엔,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 반응성 산소 종(예를 들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산화질소(NO) 등). 그러나 염증의 이들 매개자중 대부분은 또한 정상적인 세포 활성의 조절자이다. 따라서 염증 반응의 결핍으로 인해 숙주가 제어되지 않으면서 손상(즉, 감염)되고, 따라서 만성 염증으로 인해 부분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매개자중 여럿이 과다 생성됨으로써 매개되는 염증성 질환이 야기된다. 또한, 면역질환 중 하나인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 체계가 그 자신의 기관을 공격하여 자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반응들은 T 림프구에 의한 자가항원(auto-antigen)의 인식에 기인하며, 이로 인하여 체액상(자가항원 생성) 및 세포상 (림프구 및 대식세포 세포독성 활성 증가) 면역 반응이 유발된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는 사람의 장내에서 우세균으로 분포하고 체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생균활성제로써, 인체의 소화계에 공생하면서 섬유질 및 복합 단백질을 분해하여 중요한 영양 성분으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장내 pH를 산성으로 유지시켜 대장균이나 Chlostridum sp.와 같은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하며 비타민 합성,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역할을 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특히 장의 점막과 상피 세포에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정장 작용에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는 대식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대식세포(macrophage)의 장내 유해 세균에 대한 인지능력, 살균능력을 강화시킨다.
이에 본 발명자는 프로바이오틱스 중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 균주에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중 식물 추출물, 조효소 또는 미량원소를 혼합한 결과, 면역 관련 물질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 증강을 유도하므로 관련된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또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가장 효과적인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in vitro 또는 in vivo 상에서 종래 항염증제와 비교하였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및 연골 파괴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골 보호인자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대시키며, Th17 및 Treg 세포를 동시에 조절하는 효과가 있어, 관련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에 따른 말초단핵구 세포에서 IL-17, IL-10 및 IFN-r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에 따른 말초단핵구 세포에서 Th17 조절능에 따른 IL-17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처리에 따른 비장세포에서 IL-10, IL-17 및 TNF-a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4a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셀레콕시브(celecoxib) 처리에 따른 인간 유래 관절세포에서 TNF-α 및 IL-6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4b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셀레콕시브(celecoxib) 처리에 따른 인간 유래 관절세포에서 MMP3 및 TIMP3의 mRNA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통증 경감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셀레콕시브(celecoxib) 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연골 파괴 및 연골 볼륨을 비교한 도이다.
도 7은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셀레콕시브(celecoxib) 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연골 손상을 비교한 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셀레콕시브(celecoxib) 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셀레콕시브(celecoxib) 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MMP3 및 TIMP3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도 10은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에 따른 류머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1은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에 따른 강직성 척주염 동물 모델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2는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에 따른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마우스 비장 세포에서 IL-17, IL-10 및 IFN-r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4a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관절염 지수 및 발병율을 확인한 도이고, 도 14b는 IgG, IgG1, IgG2a 면역글로불린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5a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관절 조직 내의 파괴를 확인한 도이고, 도 15b는 염증 세포의 침윤, 뼈의 손상 정도 및 연골 손상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도 16a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관절 조직을 IHC 염색한 도이고, 도 16b는 TNF-α, IL-17, IL-6, IL-1β, VEGF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세포를 확인한 도이다.
도 17a은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Th17 및 Treg 세포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확인한 도이고, 도 17b는 Th17 세포, Treg 세포 및 pSTAT3 705 세포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8은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이를 구성하는 각 단독 균주(Acidophilus, rhamnosus 및 paracasei) 처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에 따른 IL-10 발현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Th17 및 Th1 세포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1은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Treg 및 Th2 세포 증가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2는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Th17와 Treg 조절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3은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통증 경감을 확인한 도이다.
도 24는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처리에 따른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연골 파괴 인자 제어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로사빈(Rosavin)은 홍경천(Genus Rhodiola)에서 추출한 것으로, 스트레스 호르몬 억제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하기와 같은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홍경천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백두산, 낭림산, 티벳 등의 해발 2000m이상 고산지대 바위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주로 이 식물의 뿌리를 건강기능식품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호모형과 헤테로형의 2가지 유형이 있으며, 병원성인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부취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카테나포메(Lactobacillus catenaforme), 락토바실러스 셀로비오서스(Lactobacillus cellobiosus),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터스(Lactobacillus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러스 델뷔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i), 락토바실러스 젠세니(Lactobacillus jensenii), 락토바실러스 레취마니(Lactobacillus leichmanii), 락토바실러스 미누터스(Lactobacillus minutus), 락토바실러스 프라타넘(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로고새(Lactobacillus rogosae),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및 이의 혼합균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트렙토코쿠스 속 균주는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ous thermophil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는 배양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액, 농축 발효액, 발효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 여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예로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은 미생물을 적당히 인공적으로 조절한 환경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균주는 통상의 배지에서 생육 가능하며, 특정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대상 즉 배양체가 되는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이 추가로 첨가되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지는 배양기 또는 배양액이라고도 하며, 천연배지, 합성배지 또는 선택배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즈 및 자일로즈의 혼합당을 주 탄소원으로 사용하며 이외에 수크로즈, 락토즈, 프락토즈,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초산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안모늄, 및 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질소원;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과 같은 아미노산 및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등 유기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인원으로서 인산 제1칼륨, 인산 제2칼륨 및 대응되는 소듐-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된다. 또한, 무기화합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철,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및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질에 더하여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 유가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량원소는 아연, 구리, 크롬, 셀레늄, 철, 붕소, 몰리브덴, 염소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생육이나 활성 촉진하여 면역 증강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치커리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흑미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면역 증강을 위한 식물 추출물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 메탄, 헥산, 에테르, 벤젠,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시클로헥산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저급 알코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효소는 코엔자임 M(Coenzyme M), 코엔자임 Q(Coenzyme Q) 또는 코엔자임 B(Coenzyme B) 바람직하게는 코엔자임 큐텐(Q10)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량원소, 조효소 및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에서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대장 내 유용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미생물의 생육이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숙주 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비소화성 식품성분을 의미한다. 식품성분이 프리바이오틱스의 조건을 갖추려면 위장관의 상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지 않아야 하고 대장 내 미생물 중 비피도박테리아와 같은 유용 세균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병원균 등의 유해균은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속(genus)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산균 만을 혼합한 것을 "유산균 혼합물"로 명명하였으며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방법에 따라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혼합물에 프리바이오틱스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미량원소, 식물 추출물 및 조효소를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로 명명하였으며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방법에 따라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 P)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는 제1조성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제2조성물인 유산균 12종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표1). 또한, 상기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 P)는 상기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에 제3조성물인 산화아연, 구리, 치커리 추출물, 감초추출물, 흑미강 추출물 및 홍경천 추출물(로사빈)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표 2).
상기 제2조성물은 제2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8 중량%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6~12 중량%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17~23 중량%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5~11 중량%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14~21 중량%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3~9 중량%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1~6 중량%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2~8 중량%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1~7 중량%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9~15 중량~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2~8 중량%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3~9 중량%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는 제2조성물인 유산균 12종으로 구성되며,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는 상기 제2조성물에 제4조성물인 아연 및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표 3).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과, 아연 및 코엔자임 Q10는 1:3~7:8~12의 비율로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5:10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면역 증강 및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표 4).
상기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은 제5조성물인 유산균 3종으로 구성되며(표 5,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는 상기 제5조성물에 제6조성물인 아연 및 홍경천 추출물 유래 로사빈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표 6). 이의 혼합 비율은 면역 증강 및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면역질환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가면역질환"은 자기항원에 대한 생체의 무반응을 면역학적 무반응성(immunologic unresponsiveness) 또는 관용(tolerance)이라 하며, 이러한 자기관용을 유도하거나 계속 유지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자기항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증성 질환"이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루코트리엔(luecotriene) 또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면역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척추관절병증, 염증성 장질환, 건선관절염, 통풍, 세균성 관절염, 소아기 류마티스관절염, 루푸스, 경피증, 다발성 경화증, 섬유근통,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베체트병, 라이터 증후군, 라임 관절염, 유착 관절낭염, 오십견, 힘줄 활막염, 팔꿈치머리 주머니염, 드쿼베인 힘줄윤활막염, 재발류마티스, 류마티스 다발근육통증, 성인형 스틸병, 자가면역 혈구감소증, 자가면역 심근염, 아토피피부염, 천식, 일차성간경변, 굿파이처 증후군, 자가면역 뇌수막염, 쇼그렌 증후군, 애디슨병, 원형 탈모증,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이하선염, 크론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부고환염, 사구체 신염,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병, 용혈성 빈혈,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심상천포창, 건선, 류마티스열, 유육종증, 피부 경화증, 척추관절증, 갑상선염, 혈관염, 백반증, 점액수종, 악성빈혈, 미토콘드리아 관련 증후군 및 궤양성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연골 조직 파괴 인자인 MMP3(matrix metalloproteinase 3)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연골 재생 인자인 TIMP3(Metalloproteinase inhibitor 3)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질환의 "치료" 또는 "치료요법 "은 하기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면역 질환의 성장을 저해함, 즉, 그 발달을 저지시킴,
(2) 면역 질환의 확산을 예방함, 즉, 전이를 예방함,
(3) 면역 질환을 경감시킴.
(4) 면역 질환의 재발을 예방함, 및
(5) 면역 질환의 증상을 완화함(palliating).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성별,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에 0.01 ~ 5,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01 ㎍/ml 미만일 경우에는 약학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00 ㎍/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의약품의 제조에서 수행되는 코팅을 이용할 수 있으며 코팅기제의 용해성 및 코팅성을 고려하여 혼합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캅셀제를 제조하면 유산균이 체액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장내에 안전하게 장착되기 위한 장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산성을 가져야하는 장용성 코팅의 경우, 일반적인 건강기능식품의 내산성 조건인 pH 1.2에서 2시간동안 캡슐의 붕괴(인습) 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코팅의 조건 및 코팅량 등의 조건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붕해에 대한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유산균수의 감소 및 잔류 용매의 잔존이 없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 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으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 발효 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쌀가루, 밀가루, 보리가루, 및 옥수수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두류는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의 제조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각 유산균은 ㈜ CTC바이오에서 구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은 제1조성물(유산균 1종)로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와, 제2조성물(유산균 12종)로서 락토바실러스 속(genus)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 균주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표 1).
또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는 상기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에 제3조성물로서 산화아연 30 mg, 구리(황산동) 2 mg,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 150 mg, 감초(Genus Glycyrrhiza) 추출물 100 mg, 흑미강(표고분사)(Black Rice Bran) 추출물 90 mg 및 홍경천(Genus Rhodiola)에서 추출한 로사빈(Rosavin) 200 m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표 2).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균주명 중량% 비율
제1조성물(유산균 1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
제2조성물(유산균 12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5 1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20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17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3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1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5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6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8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6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5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ous thermophilus) 4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균주명/성분 중량(%)
제1조성물(유산균 1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20.472
제2조성물(유산균 12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20.472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ous thermophilus)
제3조성물 산화아연 4.167
구리(황산동) 0.889
치커리추출물 15
감초추출물 10
흑미강 추출물 9
홍경천 추출물(로사빈) 20
실시예 1. 인간 말초 혈액 단핵구 세포에서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1-1. 말초단핵구 세포에서 IL-17, IL-10 및 IFN-r의 발현 확인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 및 IFN-r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인간의 말초 혈액 단핵구 세포에서 CD4 T 세포를 분리한 후 antiCD3 자극 조건(0.5 ug/ml) 하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를 각각 10 ug/ml 처리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ELISA를 실시하였다. 1차 Capture ab(anti-mouse IL-6, IL-10, TNF-a)를 이용하여 96-well plate에 coating을 상온에서 2시간 진행한 후, blocking buffer를 이용하여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시켰다. Blocking 과정 후에 Standard와 샘플을 plate에 넣고 두 시간 반응 후에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Standard(recombinant:anti-mouse IL-6, IL-10, TNF-α)와 Sample을 넣어주고 2시간 반응 후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 후 detection ab(anti-mouse IL-17, IL-10, IFN-r)를 넣고 2시간 반응 후 세척하고 발색을 진행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 모두 antiCD3 자극조건 하에서 IL-17 및 IFN-r가 유의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 모두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보다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에서 발현이 더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1-2. 말초단핵구 세포에서 Th17 조절능에 따른 IL-17의 발현 확인
또한, Th17 세포(T helper 17 cell)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을 유도하는 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에 따른 Th17 세포 및 이에 따른 IL-17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건강한 인간의 말초단핵구 세포에서 CD4 T 세포를 분리한 후 antiCD3 자극 조건(0.5 ug/ml) 하에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를 10 ug/ml 처리하였다. 3일 배양한 상기 세포를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하여 Th17 세포 및 이에 따른 IL-17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Th17 세포의 수가 감소됨에 따라 IL-17 발현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비장세포에서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정상 마우스(c57bl/6, 수컷, 9주령,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입수)를 희생하여 비장을 수득하였다.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비장을 갈아 준 후 ACK 버퍼를 이용하여 RBC를 제거한 후에 비장 세포를 얻었다. 비장세포에 anti-CD3 자극 단독 조건과 동시에 다양한 농도(10 ng/㎖ 및 100 ng/㎖)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을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3일간 배양 후에 sup(supernatant)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sup에 IL-17과 IL-10에 대해 ELISA를 진행하였다.
또한, 비장세포에 LPS 자극 단독 조건과 동시에 100 ng/㎖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을 처리한 후 3일간 배양 후에 sup을 얻었다. 얻은 sup을 이용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1차 Capture ab(anti-mouse IL-6, IL-10, TNF-a)를 이용하여 96 well plate에 coating을 상온에서 2시간 진행한 후, blocking buffer를 이용하여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시켰다. Blocking 과정 후에 Standard와 샘플을 plate에 넣고 두시간 반응 후에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Standard(recombinant:anti-mouse IL-6, IL-10, TNF-α)와 Sample을 넣어주고 2시간 반응 후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 후 detection ab(anti-mouse IL-6, IL-10, TNF-a)를 넣고 2시간 반응 후 wash 후에 발색을 진행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ntiCD3 자극조건과 LPS 조건 모두에서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 및 TNF-a은 유의적으로 감소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인간 유래 관절세포에서 관절 조직 파괴 및 재생 인자 조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시험관내 실험으로 인간 유래 Chondrocyte를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세포안정화를 시킨 후 IL-1b를 자극하여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와 셀레콕시브(Celecoxib)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로부터 RNA를 수득하고 연골 조직 파괴 인자인 MMP3(matrix metalloproteinase 3), 연골 재생 인자인 TIMP3(Metalloproteinase inhibitor 3)의 mRNA의 발현 정도를 Real 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및 IL-6의 발현은 대조군 및 셀레콕시브(celecoxib)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 재생 인자인 TIMP3의 mRNA 발현이 대조군 및 셀레콕시브(celecoxib)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는 in vitro 상에서, 셀레콕시브와 비교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및 연골 파괴 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연골 보호인자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대시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치료 효과
4-1.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한 골관절염 치료 효과
Monosodium Iodoacetate (MIA, I2512, Sigma, Poole, UK)를 주사용 saline에 60mg/ml 농도로 용해하여 실험개시 당일 (day 0) 조제하였다. 실험개시일에 랫(Wistar rat, 6주령, 180g~220g)에 Isoflurane을 이용하여 호흡 마취를 한 후, MIA를 gauge 0.5 inch needle(model 750 ; Hamiltion Companym, Reno, NV)을 사용하여 우측 슬관절강내로 infrapatellar ligament를 경유하여 50ul (MIA 3mg/body)를 주사하여 골관절염(MIA)을 유도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는 MIA 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50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랫의 통증 측정을 위하여, Dynamic planter esthesiometer(UgoBasile, Comerio, Itaily)를 사용하였다. Stimulator를 랫 아래쪽에 놓고, 0.5mm 두께의 플라스틱 자극 침(Stimulating microfilament)을 뒷다리 쪽에 위치되도록 조정하고 기계를 작동시키면 자극침이 일정한 속도와 힘으로 뒤쪽 발바닥(Procimal metatasal)을 누르면서, 점차로 누르는 힘을 증가시켜 랫이 자극을 견디지 못하고 발을 뗄 때까지의 시간(sec)과 가해진 힘(g)을 측정하였다. 각 3회 측정하여 평균을 냈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도 5의 A, B, D 및 E).
랫의 Weight bearing 측정하기 위해서 Incapacitance Meter(IITC, Victory Blvd Woodland Hills, CA, USA)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도 5의 C 및 F).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증과 Weight bearing 모두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군에서 좀더 효과가 좋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2.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과 종래 치료제의 연골 파괴 및 연골 볼륨 비교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종래 항염증제로 사용되고 있는 셀레콕시브(celecoxib)의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연골 파괴 및 연골 볼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1의 방법으로 MIA-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또는 셀레콕시브를 MIA-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50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랫의 대퇴골(Femur) 및 경골(Tibia)을 채취하여 인디아 잉크(india ink) 염색 후 미세 컴퓨터단층촬영(micro-CT image)으로 연골의 파괴 정도 및 연골 볼륨을 분석하였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MIA-유도된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연골 파괴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셀레콕시브와 비교하였을 때 연골 파괴를 더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의 볼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및 셀레콕시브와 비교하였을 때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연골의 볼륨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4-3.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과 종래 치료제의 연골 손상 비교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종래 항염증제로 사용되고 있는 셀레콕시브(celecoxib)의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연골 손상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1의 방법으로 MIA-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셀레콕시브 또는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를 MIA-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500 mg/rat을 경구 투여하였다. 각 처리군의 연골 손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H&E 염색을 수행하였으며, 각 군의 총 Mankin score, OARSI score 및 structure를 확인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및 셀레콕시브(celecoxib)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가 Mankin score, OARSI score 및 structure의 지수가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여, 연골 파괴가 억제되고 연골을 보호함을 확인하였다.
4-4.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종래 치료제의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비교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종래 항염증제로 사용되고 있는 셀레콕시브(celecoxib)의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관절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 및 IL-6의 발현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1의 방법으로 MIA-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또는 셀레콕시브를 MIA-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500 mg/rat을 경구 투여하였다. 그 후, 각 처리군을 IHC 염색하여 TNF-a, IL-6 및 IL-10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a 및 IL-6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셀레콕시브와도 비교하였을 때 TNF-a 및 IL-6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4-5.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종래 치료제의 연골 보호인자 또는 연골 파괴 인자의 발현 비교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와 종래 항염증제로 사용되고 있는 셀레콕시브(celecoxib)의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관절 조직에서 연골 조직 파괴 인자인 MMP3와 연골 재생 인자인 TIMP3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1의 방법으로 MIA-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또는 셀레콕시브를 MIA-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50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그 후, 각 처리군을 IHC 염색하여 MMP3 및 TIMP3의 발현을 Real 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는 대조군 및 셀레콕시브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연골 조직 파괴 인자인 MMP3를 억제시키고, 연골 재생 인자인 TIMP3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는 in vivo 상에서 통증 경감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래 항염증제인 셀레콕시브와 비교하여 연골 파괴 및 손상을 저해하고 연골 볼륨을 증가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및 연골 파괴 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연골 보호인자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대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가 골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5.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치료 효과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의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정상 DBA1/J 마우스에 type II collagen을 1, 2차 주입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하였다. 군 분리는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 후 21일에 관절염 지수 평균으로 분리하였다.
마우스 당 100 mg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를 각각 접종하고, 첫번째 접종을 시작점으로 하여 실험의 내용을 알고 있지 않은 관찰자 세명이 일주일에 두번씩 관절염증의 위중도를 평가하여 관찰하였다. 관절염 평가는 마리당 아래의 척도에 따라 매긴 점수를 합산한 값을 관찰자간의 평균치로 하였으며, 관절염 평가에 따른 점수와 기준은 하기와 같다.
0점: 부종이나 종창이 없다.
1점: 발 또는 발목관절에 국한된 경한 부종과 발적
2점: 발목관절에서 족근골(metatarsal)에 걸친 경한 부종과 발적
3점: 발목관절에서 족근골에 걸친 중등도의 부종과 발적
4점: 발목에서 다리 전체에 걸쳐 부종과 발적이 있는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절염 지수와 incidence 모두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개선된 효과를 보였으며,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에서 좀 더 효과가 좋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6.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AS) 치료 효과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의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정상 SKG 마우스에 Curdlan을 경구로 3mg/kg 투여하고 복강으로 6mg/k로 투여하고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는 강직성 척추염 유도 후 1주일 후에 마우스에게 매일 10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AS Scoring 지수는 마우스의 발가락 하나 부을 때마다 0.1 점이고 발목이 부으면 1점 총 6점 만점으로 점수를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강직성 척추염 지수가 완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강직성 척추염이 거의 완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마우스의 혈청에서 면역글로불린을 조사하고자 혈청에서 IgG를 ELISA 기법을 이용해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다. IgG 역시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IgG를 억제 효과가 유의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서 특히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치료 효과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성 장질환 유도를 위해서 마우스에게 3% DSS를 4일간 자유 급여시키고 5일째 일반수로 교체하였으며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를 3일째부터 실험 종료까지 매일 200ul(100 mg/mice)씩 구강 투여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매일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하고, 실험 종료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 모두에서 초기에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중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해 체중 감소 효과가 완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 길이에서도 유산균 혼합물 1(complex 1)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긴 장 길이를 보이며, 특히,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1(complex 1P) 처리군에 정상 마우스(wild type)와 거의 유사한 장 길이를 유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의 제조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각 유산균은 ㈜ CTC바이오에서 구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은 제2조성물(유산균 12종)로서 락토바실러스 속(genus)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 균주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표 3).
또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는 상기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에 제4조성물로서 아연 및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과, 아연 및 코엔자임 Q10는 1:5: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표 4).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균주명 중량%
제2조성물(유산균 12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5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20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17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3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1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5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6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8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6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5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ous thermophilus) 4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균주명 중량% 비율
제2조성물(유산균 12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5 1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20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17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3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1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5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6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8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6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5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ous thermophilus) 4
제4조성물 아연   5
코엔자임 Q10   50
실시예 8. 마우스 비장 세포에서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8-1. IL-17, IL-6, IFN-r 및 IL-10의 발현 확인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 IL-6 및 IFN-r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 발현을 확인하였다.
정상 마우스 비장에서 CD4 T 세포를 분리한 후 anti-CD3 자극 조건(0.5 ug/ml) 하에서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10 ug/ml)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유산균 혼합물 2 100ug/ml, 아연 50uM, 코엔자임 Q10 10uM)을 각각 처리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분리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ELISA를 실시하였다. 1차 Capture ab(anti-mouse IL-17, IL-6, IFN-r 및 IL-10)를 이용하여 96well plate에 coating을 상온에서 2시간 진행한 후, blocking buffer를 이용하여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시켰다. Blocking 과정 후에 Standard와 샘플을 plate에 넣고 두시간 반응 후에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Standard(recombinant: IL-17, IL-6, IFN-r 및 IL-10)와 Sample을 넣어주고 2시간 반응 후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 후 detection ab(anti-mouse IL-17, IL-6, IFN-r 및 IL-10)를 넣고 2시간 반응 후 세척하고 발색을 진행하였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 IFN-r 및 IL-6의 발현이 감소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더 유의적으로 상기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조절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의 관절염 치료효과 확인
9-1.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관절염 지수, 발병율 및 면역글로불린 확인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관절염 지수(arthritis score)(%) 및 incidence(%)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 DBA1/J 마우스에 type II collagen 100ug/CFA (Complete Freund's Adjuvant )를 마우스의 꼬리 피하에 주입하고 (Day 0), 유도 2주 후 type II collagen 100ug/IFA (incomplete Freund's Adjuvant)을 꼬리 피하에 재 주입하였다 (Day 14). 관절염 유발 1주일 후부터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유산균 혼합물 2 50mg/kg, 아연1mg/kg, CoQ10 5mg/kg)를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그 후, 0 내지 56일 동안 관절염 지수 및 발병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면역글로불린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절염 발병 후 56일 각 군의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혈청에서 IgG, IgG1, IgG2a 면역글로불린을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 Capture ab (anti-mouse IgG, IgG1, IgG2a)를 이용하여 96-well plate에 coating을 상온에서 2시간 진행한 후, blocking buffer를 이용하여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시켰다. Bloicking 과정 후에 Standard와 샘플을 plate에 넣고 두시간 반응 후에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Standard (recombinant: IgG, IgG1, IgG2a)와 Sample을 넣어주고 1시간 반응 후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 후 detection ab (anti-mouse IgG, IgG1, IgG2a)를 넣고 1시간 반응 후 세척하고 발색을 진행하였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절염 지수 및 발병율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관절염 지수 및 발병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IgG, IgG1, IgG2a 면역글로불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발현이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의 관절염 파괴 및 염증세포의 침윤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9의 관절염 유도 후 56일에 각 마우스 군의 뒷발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키고 뼈에서 석회질을 제거한 후 파라핀으로 블록을 제조하였다. 이로부터 관절 절편(7um)을 준비하고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관절 절편을 염색하였다. 또한, 연골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톨루이딘 블루(Toluidin blue)와 사프라닌 O (Safranin O) 염색을 하였다. 관절 조직 내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 세포의 침윤 정도, 뼈의 손상 정도 및 연골 손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관절 조직 내의 파괴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염증 세포의 침윤이 억제되고, 뼈의 손상 정도 및 연골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효과 확인
관절염 유도 후 56일에 각 마우스 군의 뒷발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키고 뼈에서 석회질을 제거한 후 파라핀으로 블록을 제조하였다. 이로부터 관절 절편(7um)을 준비하고 관절조직내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IH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NF-α, IL-17, IL-6, IL-1β, VEGF의 각 항체로 각 사이토카인 발현 세포를 분석하였다.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군에서 TNF-α, IL-17, IL-6, IL-1β, VEGF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세포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의 Th17 및 Treg 세포 동시 조절능 확인
마우스 비장 조직에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에 따른 Th17 및 Treg 세포 동시 조절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Th17 세포 조절능 확인을 위하여, CD4 FITC 및 IL-17 PE로 분석하였다. 또한, Treg 세포 조절능은 CD4 Pe, Foxp3 FITC 및 CD25 APC 로 분석하였다. 이 후, 각 Th17 세포와 Treg 세포의 발현양을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17a 및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2(complex 2P) 처리한 비장 절편조직에서 에서 pSTAT3 705 세포를 감소시키고 Th17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Treg 세포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h17/Treg 세포 동시 조절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2(complex 2)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2(complex 2P)는 in vitro 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바, 면역 증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2(complex 2P)는 in vivo 상에서 관절염 지수, 발병율 및 면역글로불린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염증 세포 침윤 저하, 뼈 및 연골 손상 저하를 유도한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고 Th17/Treg 세포 동시 조절능이 존재하여, 관련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제조예 3.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제조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각 유산균은 ㈜ CTC바이오에서 구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2)은 제5조성물(유산균 3종)으로서 락토바실러스 속(genus) 균주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표 5).
또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는 상기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에 제6조성물로서 아연 및 홍경천 추출물 유래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표 6).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균주명 비율
제5조성물(유산균 3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1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균주명/성분
제5조성물(유산균 3종)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ug/ml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10ug/ml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10ug/ml  
제6조성물 아연 10uM
홍경천 추출물 유래 로사빈 20ug/ml  
실시예 13.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또는 각 단독 균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 rhamnos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 paracasei)의 처리에 따른 IL-17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인간의 말초혈액단핵구 세포(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huPBMC)에서 antiCD3 자극 조건(0.5 ug/ml) 하에서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과,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 rhamnos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 paracasei) 각각을 각각 10 ug/ml 처리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ELISA를 실시하였다. 1차 Capture ab(anti-mouse IL-17)를 이용하여 96-well plate에 coating을 상온에서 2시간 진행한 후, blocking buffer를 이용하여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시켰다. Blocking 과정 후에 Standard와 샘플을 plate에 넣고 두 시간 반응 후에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Standard(recombinant:anti-mouse IL-17)와 Sample을 넣어주고 2시간 반응 후 wash buffer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 후 detection ab(anti-mouse IL-17)를 넣고 2시간 반응 후 세척하고 발색을 진행하였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을 구성하는 각 단독 균주와 비교하여,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는 유의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건강한 인간의 말초혈액단핵구 세포 및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의 말초혈액단핵구 세포는 상기 실시예 11의 조건으로 준비하였다. 또한, 마우스의 비장세포는 정상 마우스(c57bl/6, 수컷, 9주령,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입수)를 희생하여 비장을 수득하였다.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비장을 갈아 준 후 ACK 버퍼를 이용하여 RBC를 제거한 후에 비장 세포를 얻었다.
상기 인간의 말초혈액단핵구 세포 및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anti-CD3 0.05ug/ml 자극 단독 조건과 동시에 각각 10ug/㎖의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유산균 각각은 10ug/ml, Rosavin 20ug/ml, 아연 10uM을 처리한 후 3일간 배양 후에 sup(supernatant)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sup에 IL-10에 대해 ELISA를 진행하였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이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두 세포 모두에서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IL-10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Th17 및 Th1 세포 억제 효과
건강한 인간의 혈액에서 말초혈액단핵구 세포를 분리하고, Th17 또는 Th1 분화조건으로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을 각각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그 후, Th17 및 Th1 세포 확인 위한 flow cytometry analysis 진행하였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Th17 및 Th1 세포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각 세포에서 유도되는 IL-17 및 IFN-r 또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6.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Treg 및 Th2 세포 증가 효과
건강한 인간의 말초혈액단핵구 세포에서 CD4+ T 세포를 분리하고, Treg 및 Th2 세포의 분화조건으로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을 각각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그 후, Treg 및 Th2 세포 확인 위한 flow cytometry analysis 진행하였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Treg 및 Th2 세포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7.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의 Th17와 Treg 조절 효과 확인
마우스 비장 세포에서 antiCD3 0.5ug/ml로 자극을 하고, 각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10ug/ml, Rosavin 20ug/ml, 아연 10uM을 각각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그 후, Th17 또는 Treg 세포 확인 위한 flow cytometry analysis 진행하였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Th17 세포가 감소되고, Treg 세포가 증가되는 바, Th17/Treg을 동시해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8.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치료 효과
18-1.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한 골관절염 치료 효과
Monosodium Iodoacetate (MIA, I2512, Sigma, Poole, UK)를 주사용 saline에 60mg/ml 농도로 용해하여 실험개시 당일 (day 0) 조제하였다. 실험개시일에 랫(Wistar rat, 6주령, 180g~220g)에 Isoflurane을 이용하여 호흡 마취를 한 후, MIA를 gauge 0.5 inch needle(model 750 ; Hamiltion Companym, Reno, NV)을 사용하여 우측 슬관절강내로 infrapatellar ligament를 경유하여 50ul (MIA 3mg/body)를 주사하여 골관절염(MIA)을 유도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는 MIA 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유산균 각각 125mg/rat(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125mg/rat(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25mg/rat(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를 경구 투여하였다.
랫의 통증 측정을 위하여, Dynamic planter esthesiometer(UgoBasile, Comerio, Itaily)를 사용하였다. Stimulator를 랫 아래쪽에 놓고, 0.5mm 두께의 플라스틱 자극 침(Stimulating microfilament)을 뒷다리 쪽에 위치되도록 조정하고 기계를 작동시키면 자극침이 일정한 속도와 힘으로 뒤쪽 발바닥(Procimal metatasal)을 누르면서, 점차로 누르는 힘을 증가시켜 랫이 자극을 견디지 못하고 발을 뗄 때까지의 시간(sec)과 가해진 힘(g)을 측정하였다. 각 3회 측정하여 평균을 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도 23의 A, B). 또한, 랫의 Weight bearing 측정하기 위해서 Incapacitance Meter(IITC, Victory Blvd Woodland Hills, CA, USA)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도 23의 C).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증과 Weight bearing 모두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군에서 좀더 효과가 좋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18-2.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연골 파괴 인자 제어 효과 확인
상기 18-1의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관절 조직에서 연골 조직 파괴 인자인 MMP1 및 MMP3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16-1의 방법으로 MIA-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를 MIA-유도 다음날부터 매일 랫 당 50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그 후, 각 처리군의 MMP1 및 MMP3의 mRNA 발현을 Real 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 처리군에서 매우 유의적으로 MMP1 및 MMP3의 mRNA 발현이 억제되어 이화작용과 관련된 연골 파괴 인자를 제어하여 관절을 보호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혼합물 3(complex 3) 및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3(complex 3P)는 in vitro 상에서 단독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와 비교하여, 또한, Treg 및 Th2 세포를 증가시키고, Th17 및 Th1 세포를 억제시키는 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Th17 및 Treg의 동시 조절능이 존재한다. 특히, 유산균 혼합물 플러스 3(complex 3P)는 in vivo 상에서 통증 경감 억제 및 연골 파괴 인자 제어 효과가 존재하여, 관련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Claims (16)

  1.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쿠스 속 균주는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ous thermophil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량원소는 아연, 구리, 크롬, 셀레늄, 철, 붕소, 몰리브덴, 염소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 감초(Genus Glycyrrhiza) 추출물 및 흑미강(Black Rice Bran)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효소는 코엔자임 큐텐(Q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척추관절병증, 염증성 장질환, 건선관절염, 통풍, 세균성 관절염, 소아기 류마티스관절염, 루푸스, 경피증, 다발성 경화증, 섬유근통,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베체트병, 라이터 증후군, 라임 관절염, 유착 관절낭염, 오십견, 힘줄 활막염, 팔꿈치머리 주머니염, 드쿼베인 힘줄윤활막염, 재발류마티스, 류마티스 다발근육통증, 성인형 스틸병, 자가면역 혈구감소증, 자가면역 심근염, 아토피피부염, 천식, 일차성간경변, 굿파이처 증후군, 자가면역 뇌수막염, 쇼그렌 증후군, 애디슨병, 원형 탈모증,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이하선염, 크론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부고환염, 사구체 신염,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병, 용혈성 빈혈,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심상천포창, 건선, 류마티스열, 유육종증, 피부 경화증, 척추관절증, 갑상선염, 혈관염, 백반증, 점액수종, 악성빈혈, 미토콘드리아 관련 증후군 및 궤양성 대장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골 조직 파괴 인자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 1) 및 MMP3(matrix metalloproteinase 3)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연골 재생 인자인 TIMP3(Metalloproteinase inhibitor 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h17 및 Treg 세포를 동시에 조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및 미량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3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5.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ous)균주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조효소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6.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 또는 미량 원소 및 로사빈(Rosavin)을 포함하는 제6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028243A 2017-03-09 2018-03-09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69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85 2017-03-09
KR20170029885 2017-03-09
KR20170031203 2017-03-13
KR1020170031203 2017-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772A true KR20180103772A (ko) 2018-09-19
KR102069807B1 KR102069807B1 (ko) 2020-01-28

Family

ID=6371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43A KR102069807B1 (ko) 2017-03-09 2018-03-09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807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445B1 (ko) * 2018-12-12 2020-02-06 주식회사 비피도 류마티스관절염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rapo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2676B1 (ko) * 2018-12-27 2020-02-28 조형준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20200057147A (ko) * 2018-11-15 2020-05-26 (주)비티엔 안정화 아미노산 미네랄 착화합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활성 증강용 식품, 약학 또는 사료용 조성물
WO2020212528A1 (en) * 2019-04-16 2020-10-22 Probi Ab Probio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20231127A1 (ko) 2019-05-14 2020-11-19 한국식품연구원 간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00131739A (ko) 2019-05-14 2020-11-24 한국식품연구원 간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10049266A (ko) * 2019-10-25 2021-05-06 (주)비티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및 아미노산 미네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20210052367A (ko) 2019-10-30 2021-05-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산아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및 코엔자임 q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8730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SCFA(Short fatty chain acid)를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8719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엔자임큐텐, 징크, 마이크로바이옴 병용투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피부 면역질환 치료제 조성물
KR20210058729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08900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45513A1 (ko) * 2020-08-25 2022-03-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7875A (ko) * 2020-08-24 2022-04-19 바이헬스 컴퍼니 리미티드 비피도박테리움 브리브 207-1 및 이의 용도
WO2022163323A1 (ja) * 2021-01-26 2022-08-04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関節機能改善用組成物
CN115279385A (zh) * 2020-01-15 2022-11-01 佰欧波利斯有限公司 用作抗氧化剂的益生菌组合物
KR20230071706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래디안 피부 면역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470B1 (ko) 2020-03-19 2020-10-06 주식회사 비피도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튬 c-rapo (kctc13986b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att (kctc13474bp) 균주를 포함하는 쇼그렌증후군 억제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6B1 (ko) * 2008-03-25 2009-08-21 광주과학기술원 Th1-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15962A (ko) *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항염증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에이취와이704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6B1 (ko) * 2008-03-25 2009-08-21 광주과학기술원 Th1-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15962A (ko) *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항염증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에이취와이704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03. pp.836~844. (2007) *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147A (ko) * 2018-11-15 2020-05-26 (주)비티엔 안정화 아미노산 미네랄 착화합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활성 증강용 식품, 약학 또는 사료용 조성물
US11135254B2 (en) 2018-12-12 2021-10-05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ifidobacterium longum RAPO strain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rheumatoid arthritis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074445B1 (ko) * 2018-12-12 2020-02-06 주식회사 비피도 류마티스관절염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rapo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2676B1 (ko) * 2018-12-27 2020-02-28 조형준 모발 관리용 조성물
WO2020212528A1 (en) * 2019-04-16 2020-10-22 Probi Ab Probio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220211778A1 (en) * 2019-04-16 2022-07-07 Probi Ab Probio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200131739A (ko) 2019-05-14 2020-11-24 한국식품연구원 간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0231127A1 (ko) 2019-05-14 2020-11-19 한국식품연구원 간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10049266A (ko) * 2019-10-25 2021-05-06 (주)비티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및 아미노산 미네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20210052367A (ko) 2019-10-30 2021-05-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산아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및 코엔자임 q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8730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SCFA(Short fatty chain acid)를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8719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엔자임큐텐, 징크, 마이크로바이옴 병용투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피부 면역질환 치료제 조성물
KR20210058729A (ko) * 2019-11-14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5279385A (zh) * 2020-01-15 2022-11-01 佰欧波利斯有限公司 用作抗氧化剂的益生菌组合物
KR20210108900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7875A (ko) * 2020-08-24 2022-04-19 바이헬스 컴퍼니 리미티드 비피도박테리움 브리브 207-1 및 이의 용도
US11767503B2 (en) 2020-08-24 2023-09-26 BYHEALTH Co., Ltd. Bifidobacterium breve 207-1 and use thereof
WO2022045513A1 (ko) * 2020-08-25 2022-03-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63323A1 (ja) * 2021-01-26 2022-08-04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関節機能改善用組成物
KR20230071706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래디안 피부 면역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807B1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807B1 (ko)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21463B1 (ko)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KR102265538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bl396 균주 및 그 용도
JP5718917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JP7201837B2 (ja) ロイコノストック・シトレウムwikim0104を含む肥満または脂肪肝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9925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56399B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TW200944215A (en)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uses of the same
KR101807328B1 (ko) 경구용 dna 손상 수복 촉진제 및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제
KR101971546B1 (ko) 유산균,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TWI689585B (zh) 新穎乳酸菌株及包含新穎乳酸菌株之免疫賦活劑
CN113302279A (zh) 新乳酸菌及其用途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CN113508173A (zh) 包含赫伦魏斯氏菌WiKim0103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KR20180104544A (ko)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포함하는 관절염, 섬유증, 대장염 또는 이식거부 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8729A (ko)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WI627959B (zh) 羅伊氏乳桿菌GMNL-263 用於製備提升高油脂飲食者肝臟低密度脂蛋白受體與膽固醇7α-羥化酶基因表現之組合物之用途
KR102007144B1 (ko) 관절염의 개선 효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신규 균주, 이의 발효 우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1611829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bt sl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41263B1 (ko)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을 이용한 발효울금의 제조방법
KR102156829B1 (ko)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7732B1 (ko) 황백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골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4659B1 (ko) 발효 우슬 추출 복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78389B1 (ko)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