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399B1 -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399B1
KR102156399B1 KR1020190042731A KR20190042731A KR102156399B1 KR 102156399 B1 KR102156399 B1 KR 102156399B1 KR 1020190042731 A KR1020190042731 A KR 1020190042731A KR 20190042731 A KR20190042731 A KR 20190042731A KR 102156399 B1 KR102156399 B1 KR 10215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adipocytes
culture solution
obesity
bifidobacterium lon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985A (ko
Inventor
김용식
박두상
손미영
기수진
김지선
오현우
이유리
전준형
정선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11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 각각의 처리는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화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베이지 지방세포 및 갈색 지방세포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이 비처리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 비만마우스 실험 결과 각 균주는 음성대조군 대비 현저한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마우스의 백색지방세포에서 발열 특이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각각은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의 현대화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지방과 당분의 섭취는 늘고 섬유질의 섭취는 줄어드는 새로운 식사 문화, 특히 외식 문화의 정착으로 고단백 위주의 식단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에 반하여 육체적인 활동이 거의 없는 현대인의 생활 습관으로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고열량 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섬유질 섭취가 줄어들면서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이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비만은 지방조직이 과잉 증가한 상태를 말하며 비만에 의한 체중의 증가는 대부분 지방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이다. 비만에 달하는 메카니즘은 당질을 과잉 섭취함으로써 음식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당질이 소화되어 단당이 되고 소장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며, 혈당이 상승하여 그 자극으로 분비되는 인슐린이 지방세포에 작용해서 혈액 중의 단당을 지방세포가 받아들이게 되어 지방으로 바꾸는 것이다.
비만의 유해성은 비만 그 자체로 지방조직에 의한 복부의 압박으로 인하여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해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많은 성인병들의 위험요소가 된다는데 문제가 있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및 암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알려져 있으며 WHO에서는 21세기 만성질환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 성인의 유병률은 2030년에 50% 이상까지 급증하리라 예상하고 있으며 따라서 국가 및 개인적 경제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국내외에서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연구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우스 지방세포 3T3-L1은 백색지방세포로만 성숙되도록 이미 분화가 다 일어난 세포로서 비만연구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세포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방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산균 배양액의 갈색지방화(Browning: 에너지를 저장하는 백색지방세포가 에너지를 소비하여 발열반응, 열 항상성을 유지하는 갈색지방세포로 변화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에서 갈색지방세포인자 및 베이지 지방세포인자 특이적 유전자 발현 양상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밝힌 것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778734호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KACC 91563으로부터 분리된 ESBP 및 이를 이용한 항알레르기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401530호에서는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베이지색 지방세포 및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여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백색 지방세포의 수를 줄이는 측면에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는 일반적인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미 분화가 다 일어난 비만연구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백색 지방세포로 성숙되는 전구지방세포 3T3-L1을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 균주 배양액 각각의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 3T3-L1의 갈색지방화(Browning: 에너지를 저장하는 백색지방세포가 에너지를 소비하여 발열반응, 열 항상성을 유지하는 갈색지방세포로 변화하는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 균주 배양액 각각의 처리는 백색지방세포 3T3-L1의 베이지 지방세포 및 갈색지방세포 특이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켰다. 또한,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의 베이지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들의 발현 및 갈색지방세포 특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균주 또는 배양액을, 고지방식이를 통해 유도한 비만 마우스에 투여하여 비만의 억제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음성대조군 대비 현저한 체중 증가의 억제 효과, 마우스 백색지방세포에서 발열 특이적 유전자 또는 갈색지방세포/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량 유도,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의 저하 효과를 확인하여, 이는 비만 마우스의 지질대사 프로파일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사실을 통하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체내 지방을 산화시키고 또한 체내 지방세포 산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활성을 통하여 지방 대사 및 체내 지방 축적 감소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를 투여한 동물에서 지질대사 프로파일이 개선되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 각각의 처리는 백색 지방세포만으로 성숙되어야 하는 3T3-L1의 갈색지방화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백색 지방세포 3T3-L1 및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의 베이지 지방세포 및 갈색 지방세포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이 비처리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또는 배양액을 개체에 투여하는 경우, 고지방식이의 섭취에 따른 체중 증가가 억제되고 발열 관련 유전자, 갈색지방/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며, 콜레스테롤, LDL 등 지질 성분의 양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각각은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의 예방이나 치료, 지질대사의 개선을 위한 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도 1a는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를 이용하여 55종의 유산균으로부터 항비만 효능이 있는 균주를 선별해내기 위한 선택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TG (Triglyceride)의 정량화를 이용한 유산균 배양액의 1차 1, 5, 10 ㎕로 처리 후의 선별 결과이다. A, 유산균 배양액 1 ㎕ 처리군; B, 유산균 배양액 5 ㎕ 처리군; C, 유산균 배양액 10 ㎕ 처리군; t, 세포독성(cytotoxicity)으로 2차 선별에서 배제함. PA; Pre-adipocyte로써 MDI 분화배지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MDI (M: methyl-isobutyl-xanthine D: dexamethasone, I: insulin) 지방세포 분화 배지 처리 대조군; 양성 대조군, Rosi(Rosiglitazone) 처리. Rosi는 PPAR 감마 작용자(agonist)임.
도 2a는 선별된 균주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의 대조군 대비 트리글리세라이드(TG)의 상대적인 축적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PA, MDI 및 Rosi는 도 1b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2b는 3T3-L1 세포에 선별된 균주 배양액을 처리하여 TEM을 통해 관찰한 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다(5,000X magnification). 흰색 화살표는 지질 방울(LD, lipid droplets)를 가리킨다.
도 2c는 선별된 균주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의 ORO 염색(Oil Red O dye)을 나타낸다. 1st, 유산균 배양액 1 ㎕ 처리군; 2nd, 유산균 배양액 5 ㎕ 처리군; 3rd, 유산균 배양액 10 ㎕ 처리군; (-), MDI 분화배지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 MDI 분화배지를 처리한 군; 양성 대조군, Rosi(Rosiglitazone) 처리. Rosi는 PPAR 감마 작용자(agonist)임. 30 및 51은 선발된 유산균의 배양액 처리.
도 3a는 선별된 유산균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이 마우스의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서의 갈색지방세포 특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의 발현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b는 선별된 유산균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이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에서의 갈색지방세포 특이 발현 유전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의 발현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MDI (M: methyl-isobutyl-xanthine, D: dexamethasone, I: insulin) 지방세포 분화 배지 처리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 Rosi(Rosiglitazone) 처리. Rosi는 PPAR 감마 작용자(agonist)임. 30 및 51은 선발된 유산균의 배양액 처리.
도 4a는 선별된 유산균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이 마우스의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서의 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의 발현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선별된 유산균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이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에서의 베이지 지방세포 특이 발현 유전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의 발현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MDI (M: methyl-isobutyl-xanthine, D: dexamethasone, I: insulin) 지방세포 분화 배지 처리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 Rosi(Rosiglitazone) 처리. Rosi는 PPAR 감마 작용자(agonist)임. 30 및 51은 선발된 유산균의 배양액 처리.
도 5a는 3T3-L1 세포에서 선별된 유산균 배양액(30번, 51번 균주)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분해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상대적인 mRNA의 양으로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지질의 β-산화(β-oxidation)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상대적인 mRNA의 양으로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3T3-L1 세포에 30번, 51번 균주의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하였을 때의 PKA 신호전달의 활성화 여부에 대해 확인한 것이다. A는 PKA의 인산화 여부를 확인한 것이고, B는 PKA 인산화 저해제인 H89를 처리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는 H89 처리에 의한 발열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상대적인 mRNA의 양으로 측정한 그래프이고, D 내지 F는 siPKA cat a1을 이용하여 발열 관련 유전자 및 지방세포의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mRNA의 양과 단백질의 양으로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3T3-L1 세포에 30번, 51번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하여, 지방분해효소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고(왼쪽 그림, HSL S-660과 HSL S-563은 각각 HSL의 Ser563, Ser660에 인산화된 것), AMPK의 인산화 및 전사조절인자 CREB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가운데 그림), PKA 저해제인 H89 처리에 따른 상기 지방분해효소 관련 유전자 및 CREB 인산화 여부의 변화를 확인한 것(오른쪽 그림)이다.
도 8은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 유산균 균주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후, 측정한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G1, 고지방식이 무처리군; G2, 고지방식이 투여군; G3, 고지방식이와 미생물배지 투여군; G4, 고지방식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균체 투여군; G5, 고지방식이와 30 균주 배양액 투여군; G6, 고지방식이와 51 균주 배양액 투여군; G7, 고지방식이와 30 균체 투여군; G8, 고지방식이와 51 균체 투여군. 이하, 동일)
도 9는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 유산균 균주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후, 측정한 마우스의 백색지방의 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 유산균 균주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후, 측정한 마우스의 혈액 내 포도당(Glucose), 총 콜레스테롤(T-chol), 고밀도 지방단백질(HDL) 및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의 수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은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 유산균 균주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후 마우스의 백색지방세포(WAT), 생식샘 백색지방세포(Gonadal WAT), 복막 백색지방세포(Peritoneal WAT) 및 장간막 백색지방세포(Mesenteric WAT)에서 발열특이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a는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 유산균 균주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후 마우스의 M1 마크로파지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을 포함한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b는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 유산균 균주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후 마우스의 M2 마크로파지 특이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가 KCTC13505BP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가 KCTC13505BP로 2018년 03월 26일자로 기탁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가 KCTC13504BP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가 KCTC13504BP로 2018년 03월 26일자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에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및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여 항비만 효과를 유발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3T3-L1 지방세포와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 C3H10T1/2에서 특이적으로 열발생 관련 유전자와 갈색지방세포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및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Ucp1(uncoupling protein 1), Pgc1a(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Prdm16(PR/SET domain 16), Pparg(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CD137, Fgf21(fibroblast growth factor 21), P2RX5(purinergic receptor P2X 5) 및 Tbx1(T-box 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및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3T3-L1 지방세포와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 C3H10T1/2에서 특이적으로 열발생 관련 유전자 Ucp1, Pgc1a, Prdm16와 갈색지방세포와 관련된 CD137, Fgf2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및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CD137 유전자는 TNFRSF9(TNF receptor superfamily member 9)라고도 불려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처리함에 따라, 백색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인 Past1, Resistin 또는 Sarpina3k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이미 분화되어 만들어진 백색지방세포에서 갈색지방세포 또는 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상기 백색지방세포를 갈색지방세포 또는 베이지색 지방세포로 변화시킬 수 있다. 갈색지방세포 및 베이지색 지방세포는 에너지 생성을 위해 지방의 분해하는 작용을 촉진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비만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지방의 분해 작용에 관련된 유전자인 Atgl, HSL, Plin1 또는 Plin5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키거나, 지질의 β-산화(β-oxidation)와 관련된 유전자인 LCAD, MCAD, LCPT 또는 Abhd5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 분해 관련 유전자나 β-산화 관련 유전자는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작용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지방의 축적량을 감소시키고 체중의 증가를 저제하여 비만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PKA 신호전달을 활성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KA 신호전달 과정을 활성화시켜 인산화된 PKA, 인산화된 AMPK, 인산화된 전사조절인자 CREB의 양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발열 관련 유전자나 지방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인 Ucp1, Pgc1a, Pparg 또는 Ceba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화 유도를 통해 비만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비만인 상태의 개체에 투여하였을 때 지질대사의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비만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질대사의 프로파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균주 또는 배양액을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 투여하여 변화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상기 균주 및 배양액은 체중의 증가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마우스의 백색지방세포에서 발열 관련 유전자나 갈색지방세포, 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개체의 백색지방세포를 갈색지방세포 또는 베이지색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을 촉진하여 비만을 억제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 또는 배양액을 투여한 개체의 콜레스테롤, LDL 등 지질 성분의 양을 감소시켜 지질대사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균주 또는 배양액을 비만인 상태의 개체에 투여하여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개체의 백색지방세포에서 염증-촉진 M1 마크로파지 마커인 CD11c, CD68, IL-1b, Mcp1, TNF-a 유전자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항-염증 M2 마크로파지 마커인 Arg1, CD206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비만인 개체에 투여하는 경우, M1 마크로파지의 양이 감소하고 M2 마크로파지의 양은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균주 또는 배양액을 비만인 개체에 투여하는 경우 비만이 억제되거나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산균은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를 포함한다.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담체,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또는 동결건조제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기 첨가제로 분산제, 안정화제 또는 동결 보호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결건조제의 경우, 상기 균주를 동결 보호제와 함께 동결건조하여 분말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동결 보호제는 탈지분유, 말토덱스트린, 덱스트린, 트레할로스, 말토오스, 유당, 만니톨,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세롤 및/또는 꿀일 수 있다. 또한, 보존 담체와 혼합하여 흡착시킨 후 건조시켜 고체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존 담체는 규조토, 활성탄 및/또는 탈지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첨가제 중 어느 하나와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균주, 담체, 부형제 및 첨가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첨가제로 동결 보호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균주와 동결 보호제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5 ℃ 내지 -30 ℃에서 동결하는 과정을 거친 후, 30 ℃ 내지 40 ℃에서 건조하여 믹서기로 갈아 동결건조된 분말 형태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결하는 과정은 -45 ℃ 내지 -30 ℃의 온도 조건, 5 내지 50 mTorr의 압력 조건에서 65 내지 75 시간 동안 진공동결하는 과정일 수 있다.
3.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의약품, 식품 또는 사료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일 경우,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이 식품일 경우,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사료일 경우,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이 포함하는 상기 균주는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에 운반될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레밍턴의 약학적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비만의 억제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치료, 호르몬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피부 노화 개선을 위한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1일당 환자 체중 1 ㎏ 당 약 0.0001 ㎍ 내지 500 mg, 예컨대 0.01 ㎍ 내지 100 mg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수회, 예컨대 하루 2회 내지 3회 분할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상은 사람 또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일 수 있으며, 비만이 아닌 상태이거나 비만인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대상이 비만이 아닌 상태인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만큼 투여하여 비만을 예방할 수 있고, 상기 대상이 비만인 상태인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만큼 투여하여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 투여 방법, 투여량 및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체중의 증가 또는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비만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첨가제 조성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사용 시약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IBMX(isobutyl-1-metylxanthine), 인슐린(insulin),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 Rosi), Oil Red O dye,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및 4%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는 시그마 알드리치(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DMEM(Dulbecco Modified Eagle's Media), 신생 송아지 혈청 (NBCS) 및 재조합 인간 BMP4를 Gibco사(Grand Island, NY, USA)로부터 구매하였다. 소 태아 혈청을 아틀라스 바이오록지컬사(Fort Collins, CO, USA)로부터 구매하였다.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을 Hyclone Laboratories, Inc.사(South Logan, NY, USA)로부터 구매하였다.
유산균 분리
다양한 유산균의 분리는 절대혐기적 조건에서 MRS 배지를 사용하였고, 혐기조건을 위해 N2 가스를 이용하여 배지 내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시킨 후 멸균하였다. 채취한 분변 시료 0.1 그램을 10 ml MRS 배지에 현탁한 후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 또는 혈액 아가 배지에 100㎕씩 도말하여 37℃에서 2일간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단일 콜로니를 계대배양하여 순수분리하고 장기보존하며 사용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의 동정
분리된 유산균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하여 16S rRNA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는 유니버셜 프라이머인 27F (5'-AGA GTT TGA TCM TGG CTC A-3': 서열번호 3)와 1492R (5'-TAC GGY TAC CTT GTT ACG ACT T-3': 서열번호 4)을 사용하였고,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하여 얻은 염기 서열들은 EZbiocloud (http://www.ezbiocloud.net/)에서 동정검색을 통해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항비만 활성조사
항비만 활성 조사를 위하여 3T3-L1 세포를 DMEM 글루타맥스에 10% NBC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섞어 5% CO2 배양기에 37℃상태로 배양하였다. 3T3-L1 세포의 세포농도가 70-80% 될 때, 48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세포의 농도가 100% 될 때, 지방세포 분화배지 MDI (Insulin, Dexamethasone, Isobutyl-1-methylxanthine (IBMX))로 바꿔주었다. Day 2에는 인슐린, 인슐린과 ROSI, 인슐린과 시료(균주 배양액)를 처리하였고, Day 4에는 인슐린만 처리하였다. 그리고 day 6에는 시료 처리 없이 세포를 고정하였다. 이때 유산균 액의 항비만 효과를 위해 시료는 배지에 Day 0, 2에 각각 1, 5, 그리고 10 ㎕ 첨가하였다. 이 MDI는 세포 분화동안 2일에 한 번씩 바꿔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세포 농도가 100% 되는 날을 Day 0라고 지정하였으며, Day 0에는 MDI, ROSI와 MDI, 시료와 MDI 이렇게 구성하여 처리하였다. 본 실험은 각각의 시료에 대해 3번의 독립적 반복실험을 시행하였다. 세포의 관찰을 위하여 3T3-L1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6일 동안 배양한 후 고정, Oil Red O(ORO) 염색시약을 이용하여 염색을 진행하였다. 간단하게 본 실험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1X PBS로 세포를 한번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으로 1시간 동안 세포를 상온에서 고정시켜 주었다. 그리고 0.3% ORO 용액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0분 동안 염색하고 증류수로 4번 세척하였다. 세척 후 Axiovert-25 microscope을 통해 변화된 표현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찍었다. 이 후, 염색된 세포를 100% 이소프로판올에 녹여 VictorTMX3에서 520 nm의 흡광도로 ORO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C3H10T1/2 마우스 중간엽 줄기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 (Korean Cell Line Bank) (KCLB-10226)으로부터 구입하여, 10% NBC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고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5% CO2 배양기에 37℃ 상태로 배양하였다. 분화 유도(commitment)하기 위하여, 세포농도 20~30%의 C3H10T1/2 세포를 접종하였다.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위해 세포의 농도가 100% 될 때까지 50 ng/mL의 인간 재조합 BMP4를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후 배지를 2 ~ 3일에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였다. 세포의 농도가 100%된 48시간 후를 0일이라 하고 지정된 농도의 로시글리타존(Rosi) 또는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한 조건에서 배지를 10% FBS, 0.5mM IBMX, 1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10㎍/ml 인슐린 (MDI)을 포함하는 DMEM으로 변경함으로써 분화를 유도하였다. 열 발생 프로그램을 자극하기 위하여 분화된 세포들을 4시간 동안 500μM dibutyryl-cAMP에 노출시켰다.
qRT-PCR 분석
유산균 배양액이 처리된 세포로부터 유전자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총 RNA를 RNA 추출 키트 (Valencia, CA, USA, Qiagen사)를 제조자 설명서에 따라 사용하여 추출하고, Scandrop Analytik jena AG 분광계 (Jena, Germany)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1㎍의 RNA를 Maxime RT PreMix 키트 (Intron Biotechnology, Seoul, Korea)로 cDNA를 합성하고, PCR 반응을 Veriti 96-웰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 Applied Biosystems, Singapore)에서 수행하였다. 정량적 실시간 PCR을 iQTM SYBR Green Supermix 키트 (Bio-Rad, Singapore)를 이용하여 CFX96TM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 (Bio-Rad, Singapore) 상에서 수행하였다. 프라이머에 대한 서열을 표 1에 열거하였다. 발현 양을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로 정량하였다(Yoon D, Imran KM, Kim YS. 2018 Toxicol Appl Pharmacol. Feb 1;340:9-20).
본 실험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
Gene Name Forward (5' → 3')(서열번호) Reverse (5' → 3')(서열번호)
Ucp1 GGCATTCAGAGGCAAATCAGCT(5) CAATGAACACTGCCACACCTC(6)
Pgc1a ACAGCTTTCTGGGTGGATT(7) TGAGGACCGCTAGCAAGTTT(8)
Prdm16 CAGCACGGTGAAGCCATTC(9) GCGTGCATCCGCTTGTG(10)
Tbx1 GGCAGGCAGACGAATGTTC(11) TTGTCATCTACGGGCACAAAG(12)
Fgf21 AGATCAGGGAGGATGGAACA(13) TCAAAGTGAGGCGATCCATA(14)
CD137 CGTGCAGAACTCCTGTGATAAC(15) GTCCACCTATGCTGGAGAAGG(16)
Cox2 GACTGGGCCATGGAGTGG(17) CACCTCTCCACCAATGACC(18)
P2RX5 CTGCAGCTCACCATCCTGT(19) CACTCTGCAGGGAAGTGTCA(20)
Gapdh GACATGCCGCCTGGAGAAAC(21) AGCCCAGGATGCCCTTTAGT(22)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마우스 투여에 의한 항비만 효능 조사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켜 비만모델을 유도시키면서, 장내 미생물 배양액 또는 균체를 12주간 마우스에게 투여하여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마우스는 C57BL/6, SPF 수컷마우스로서 3주령을 입수하여 사용하였으며 입수 후 7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쳐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고지방식이는 45% kcal high fat diet, D12451 (Research Diet)를 이용하여 12주간 급이시켜 Diets induced obesity (DIO) 비만 모델을 확립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군 구성은 하기 표 2에서 예시하였으며 투여한 유산균은 109 cell/kg으로 하였고 배양액은 마리당 1 ml 배양액을 동결건조 한 다음 150 μl의 증류수로 녹여서 매일 1회 투여하였다.
Group Animal number Sex Treat Dose concent. (Vol)
G1 (Saline, Non-45% kcal HFD) 6 male 150 μl/Head
G2 (Saline, 45%kcal HFD) 6 150 μl/Head
G3 (MRS broth, 45%kcal HFD) 6 150 μl/Head
G4 (LGG, 45%kcal HFD) 6 150 μl/Head
G5 (30번 균주 배양액, 45%kcal HFD) 6 150 μl/Head
G6 (51번 균주 배양액, 45%kcal HFD) 6 150 μl/Head
G7 (30번 균주 cell, 45%kcal HFD) 6 150 μl/Head
G8 (51번 균주 cell, 45%kcal HFD) 6 150 μl/Head
모든 동물에 대하여 부검일까지 매일 1회 일반증상을 관찰하고 체중특정과 식이량은 시검기간 중 주 5회 측정하였다. 시험기간 종료 후 호흡마취를 이용하여 마취하고 심장채혈을 통하여 혈액을 채집하고, 군당 2수씩 지방부위를 적출하여 4% Paraformaldehyde 용액에 담거나 RNA Storage solution (ThermoFisher)에 보관하였다. 혈구분석은 혈구분석장비(Beckman coulter)를 이용하였으며 혈구분석을 마친 검체는 원심분리 후 혈장을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 HDL, LDL, glucose 분석을 수행하였다. 4% PFA 용액에 담긴 지방조직은 파라핀 블록 제조에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
이 실험의 모든 데이터는 3회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표준 편차(SD)로 표현되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MDI 처리된 시료 군을 사용하여, 대조군에 비해 변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였다. 대조군과 다른 처리군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스튜던트 t-검정(Student 's t-tes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P = 0.05, **P ≤= 0.01, ***P ≤= 0.001. 0.05 미만의 P 값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
실시예 1. 항비만 활성 균주의 탐색
55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베이지 및 갈색지방세포로의 전환 가능성 관찰을 위해 각 유산균 균주를 MRS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상등액은 동결건조한 다음 최초 부피의 1/10 부피의 멸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각 1, 5, 10 ㎕로 3T3-L1 세포에 처리하여 Oil Red O 염색을 통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축적 양을 정량화하였다. 이에 따라 유산균 배양액의 갈색지방세포화 및 베이지 지방세포화를 활성화하는 활성 후보군(녹색 막대)을 선별하였다. 또한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후보군을 선별하였다(붉은색 막대)(도 1b).
갈색지방세포화를 위해서는 대조군인 Rosi를 처리한 것과 같이 유산균 농축액을 개별적으로 1, 5, 10 ㎕로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증식을 10 ~ 20% 증가시키는 것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10 ㎕ 처리한 군에서 1차적으로 선별하였다. 지방세포 형성의 억제효과를 보이는 51번의 경우에도 3번의 개별 농도 실험에서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10 ㎕ 처리한 군에서 선별하였다. 상기와 같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축적량으로 1차 선별한 이후, 선별된 후보군들을 다시 갈색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 중 하나인 ucp1의 발현 여부의 확인 실험을 통해 2 ~ 3차 선별 과정을 거쳐 4개 선별하였고 이중에 30, 51번 유산균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30, 51번에 대해 개별적으로 1, 5, 10 ㎕ 처리하여 지방세포생성에 영향을 알아보고자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을 Oil red O 염색을 통해 조사하고, 지방세포 내에 존재하는 지질 방울(LD, lipid droplets)을 확인하였다(도 2a 내지 도 2c). 그 결과, 30, 51번 유산균 균주를 처리하는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축적량이 증가하여 나타나고, 지질 방울이 합쳐지지 않은 형태로 더 작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선별된 30, 51은 3T3-L1 세포의 백색지방세포로의 성숙을 저해하고 갈색지방세포로의 전환을 높이는 효과가 예상되는 균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유산균 배양액이 마우스 지방세포인 갈색지방세포 및 베이지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백색지방조직에서 발현이 되지 않는 UCP1(Uncoupling protein 1)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을 베이지 지방세포라고 한다. 이 유전자가 백색지방세포에서 발현한다는 것은 백색지방세포가 베이지 지방세포 또는 갈색지방세포로의 이형변화(Transdifferentiation)가 일어났음을 시사하고 이러한 세포의 이형변화는 섭식이나 외부환경에 따라서 가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선별균주 배양액이 베이지 지방세포 및 갈색지방세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산균 배양액이 마우스 지방세포인 갈색지방세포 및 베이지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 3a와 같이, 30번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한 3T3-L1 지방세포에서 열발생(thermogenesis) 관련 유전자 및 갈색지방세포 특이 유전자로 알려진 Ucp1(Uncoupling protein 1)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다른 갈색지방 특이 유전자인 Pgc1a(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과 Prdm16(PR/SET domain 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Pparg(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51번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에는 갈색지방세포 특이 유전자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키지는 않았으나 Prdm16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의 효과를 다시 한번 검증하기 위해 균주배양액을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에서 처리하여 열발생 및 특이 갈색지방세포 인자인 Ucp1, Pgc1a, 그리고 Prdm16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30번, 51번 유산균의 배양액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갈색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이어 30번의 백색지방세포에서 베이지색 지방세포로의 이형전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한 3T3-L1 지방세포에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21(Fgf21), Tbx1, P2RX5, CD137, 시트크롬 c 산화 효소 서브 유닛 II(Cox2)와 같은 여러 베이지 지방 세포의 특이 마커들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51번 균주 배양액을 처리한 세포에서도 베이지 지방세포의 발현에 중요한 유전자인 CD137Fgf21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a).
이번에도 선별된 유산균 균주배양액의 효과를 다시 한번 검증하기 위해 균주배양액을 마우스 중간엽 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에서 처리하여 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인 Fgf21, P2RX5, CD137 Tbx1(T-box 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30번, 51번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베이지색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b).
실시예 3. 유산균 배양액이 지방 분해, β-산화(β-oxidation)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및 PKA 신호전달 과정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액의 효과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세포를 대상으로 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하여 지방분해와 관련된 유전자인 Atgl, HSL, Plin1, Plin5의 발현량을 확인하고, 지질의 β-산화(β-oxidation)와 관련된 유전자인 LCAD, MCAD, LCPT, Abhd5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30번 51번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한 3T3-L1 세포에서는 Atgl, HSL, Plin1, Plin5 유전자와 LCAD, MCAD, LCPT, Abhd5 유전자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대체로 높게 측정되었으므로(도 5a 및 도5b), 지방을 분해하거나 지질 성분을 산화시킬 수 있는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지방의 축적과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액을 3T3-L1 세포에 처리한 다음 PKA 신호전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인산화된 PKA의 증가 여부를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확인하였고(도 6의 A), PKA 저해제인 H89를 10 mM 처리하여 인산화된 PKA를 다시 확인하여(도 6의 B), 본 발명의 30번, 51번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하는 경우 인산화된 PKA가 증가함을 관찰하여 PKA 신호전달 과정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PKA 저해제인 H89를 처리한 이후 발열 관련 유전자인 Ucp1Pgc1a 유전자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도 6의 C), H89 처리시에 Ucp1Pgc1a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함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PKA 활성화를 통해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액이 발열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를 유도한다는 점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i-PKA cat a1을 이용하여 발열 유전자, 지방세포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이들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Ucp1, Pgc1a, Pparg, Ceba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고 Ucp1, Pparg, Pgc1a 단백질의 양 역시 감소됨을 확인하여, PKA 활성화를 통해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액이 발열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를 유도한다는 점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도 6의 D 내지 F).
나아가, 본 발명의 30번, 51번 유산균을 3T3-L1 세포에 처리함에 따라 지방분해효소, AMPK 인산화 및 전자조절인자인 CREB의 인산화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PKA 저해제인 H89 처리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지방분해효소 및 CREB 인산화가 억제됨을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참고).
실시예 4.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마우스 투여에 의한 항비만 효능 조사
시험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일반적인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정상군 대비 고비방식이 마우스에서는 체중이 34.0%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30번 균주 배양액의 투여군(G5)과 51번 균주 세포의 투여군(G8)의 경우 음성대조군 (G2)과 비교하여 평균 체중의 차이가 각각 10.8%, 5.7% 감소로 나타나 두 개의 실험군에서 평균 체중의 감소가 발생하였다(도 8). 또한, 각 지방세포 조직의 H&E 병리를 분석한 결과 (면적 측정) 음성대조군(G2) 대비 G5와 G8 투여군에서 Gonadal fat (각각 19.6%, 18.9%), Peritoneal fat (각각 21.2%, 22.4%), Mesenteric fat (각각 33.9%, 24.4%), White adipose tissue (26.2%, 23.4%)의 차이를 나타내어(도 9), 본 발명의 30번, 51번 균주나 그 배양액은 지방의 축적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G5, G8군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총콜레스테롤과 LDL의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여(도 10), 본 발명의 균주와 배양액을 함께 동물에 투여할 경우 콜레스테롤과 LDL 성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지방조직에서 발열 또는 지방분해효소 관련 유전자인 Ucp1, Pgc1a, Prdm16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마우스의 4개 지방조직들에서 본 발명 균주나 배양액을 투여한 군에서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
나아가,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투여시킨 군의 마우스에서 백색지방의 염증관련 마크로파지 극성(macrophage polarization)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염증-촉진(pro-inflammatory) M1 마크로파지 마커인 CD11c, CD68, IL-1b, Mcp1, TNF-a 유전자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고(도 12a), 항-염증 M2 마크로파지 마커인 Arg1, CD206 유전자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였다(도 12b). 비만 상태인 개체의 지방세포에서는 염증반응이 촉진되고 M2 마크로파지로부터 M1 마크로파지로의 전환이 이루어져 마크로파지의 극성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비만의 억제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투여시킨 마우스의 경우, M1 마크로파지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은 감소되고, M2 마크로파지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은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30번, 51번 균주나 그 배양액이 비만을 억제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선별 균주의 동정
1차 스크리닝 결과 우수한 항 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2개의 균주(30번, 51번)를 선별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서열번호 1 및 2)을 실시한 결과 각각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p. longum)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로 동정이 되었으며, 각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 (B. longum JCM1217T와 99.86% 16S rRNA 상동성)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L. rhamnosus JCM 1136T와 100% 상동성)로 명명하였다. 각 균주는 각각 기탁번호 KCTC13505BP 및 KCTC13504BP로 특허 기탁되었다. 유전체 분석 결과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DS0956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DS0508은 각각 하나의 염색체에 2.43Mbp, 3.01 Mbp의 유전체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플라스미드는 가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505BP 201803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504BP 20180326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the use thereof <130> 2019DPA3259 <150> KR 10-2018-0041917 <151> 2018-04-11 <160> 2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48 <212> DNA <213> Bifidobacterium longum <400> 1 gatgaacgct ggcggcgtgc ttaacacatg caagtcgaac gggatccatc aggctttgct 60 tggtggtgag agtggcgaac gggtgagtaa tgcgtgaccg acctgcccca tacaccggaa 120 tagctcctgg aaacgggtgg taatgccgga tgctccagtt gatcgcatgg tcttctggga 180 aagctttcgc ggtatgggat ggggtcgcgt cctatcagct tgacggcggg gtaacggccc 240 accgtggctt cgacgggtag ccggcctgag agggcgaccg gccacattgg gactgagata 300 cggcccagac tcctacggga ggcagcagtg gggaatattg cacaatgggc gcaagcctga 360 tgcagcgacg ccgcgtgagg gatggaggcc ttcgggttgt aaacctcttt tatcggggag 420 caagcgagag tgagtttacc cgttgaataa gcaccggcta actacgtgcc agcagccgcg 480 gtaatacgta gggtgcaagc gttatccgga attattgggc gtaaagggct cgtaggcggt 540 tcgtcgcgtc cggtgtgaaa gtccatcgct taacggtgga tccgcgccgg gtacgggcgg 600 gcttgagtgc ggtaggggag actggaattc ccggtgtaac ggtggaatgt gtagatatcg 660 ggaagaacac caatggcgaa ggcaggtctc tgggccgtta ctgacgctga ggagcgaaag 720 cgtggggagc g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gtaaacgg tggatgctgg 780 atgtggggcc cgttccacgg gttccgtgtc ggagctaacg cgttaagcat cccgcctggg 840 gagtacggcc gcaaggctaa aactcaaaga aattgacggg ggcccgcaca agcggcggag 900 catgcggatt aattcgatgc aacgcgaaga accttacctg ggcttgacat gttcccgacg 960 gtcgtagaga tacggcttcc cttcggggcg ggttcacagg tggtgcatgg tcgtcgtcag 1020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cgc cccgtgttgc 1080 cagcggatta tgccgggaac tcacggggga ccgccggggt taactcggag gaaggtgggg 1140 atgacgtcag atcatcatgc cccttacgtc cagggcttca cgcatgctac aatggccggt 1200 acaacgggat gcgacgcggc gacgcggagc ggatccctga aaaccggtct cagttcggat 1260 cgcagtctgc aactcgactg cgtgaaggcg gagtcgctag taatcgcgaa tcagcaacgt 1320 cgcggtgaat g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caagtcatga aagtgggcag 1380 cacccgaagc cggtggccta accccttgtg ggatggagcc gtctaaggtg aggctcgtga 1440 ttgggact 1448 <210> 2 <211> 1491 <212> DNA <213> Lactobacillus rhamnosus <400> 2 atgaacgctg gcggcgtgcc taatacatgc aagtcgaacg agttctgatt attgaaaggt 60 gcttgcatct tgatttaatt ttgaacgagt ggcggacggg tgagtaacac gtgggtaacc 120 tgcccttaag tgggggataa catttggaaa cagatgctaa taccgcataa atccaagaac 180 cgcatggttc ttggctgaaa gatggcgtaa gctatcgctt ttggatggac ccgcggcgta 240 ttagctagtt ggtgaggtaa cggctcacca aggcaatgat acgtagccga actgagaggt 300 tgatcggcca cattgggact gagacacggc ccaaactcct acgggaggca gcagtaggga 360 atcttccaca atggacgcaa gtctgatgga gcaacgccgc gtgagtgaag aaggctttcg 420 ggtcgtaaaa ctctgttgtt ggagaagaat ggtcggcaga gtaactgttg tcggcgtgac 480 ggtatccaac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540 gcaagcgtta tccggattta ttgggcgtaa agcgagcgca ggcggttttt taagtctgat 600 gtgaaagccc tcggcttaac cgaggaagtg catcggaaac tgggaaactt gagtgcagaa 660 gaggacagtg gaactccatg tgtagcggtg aaatgcgtag atatatggaa gaacaccagt 720 ggcgaaggcg gctgtctggt ctgtaactga cgctgaggct cgaaagcatg ggtagcgaac 780 aggattagat accctggtag tccatgccgt aaacgatgaa tgctaggtgt tggagggttt 840 ccgcccttca gtgccgcagc taacgcatta agcattccgc ctggggagta cgaccgcaag 900 gt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960 gaagcaacgc gaagaacctt accaggtctt gacatctttt gatcacctga gagatcaggt 1020 ttccccttcg ggggcaaaat g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1080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atgact agttgccagc atttagttgg 1140 gcactctagt aa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1200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tggtacaacg agttgcgaga 1260 ccgcgaggtc aagctaatct cttaaagcca ttctcagttc ggactgtagg ctgcaactcg 1320 cctacacgaa gtc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cgccgcggtg aatacgttcc 1380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tgagagtttg taacacccga agccggtggc 1440 gtaacccttt tagggagcga gccgtctaag gtgggacaaa tgattagggt g 1491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7F primer <400> 3 agagtttgat cmtggctca 19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492R primer <400> 4 tacggytacc ttgttacgac tt 22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cp1 forward primer <400> 5 ggcattcaga ggcaaatcag ct 22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cp1 reverse primer <400> 6 caatgaacac tgccacacct c 21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gc1a forward primer <400> 7 acagctttct gggtggatt 19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gc1a reverse primer <400> 8 tgaggaccgc tagcaagttt 20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dm16 forward primer <400> 9 cagcacggtg aagccattc 19 <210> 10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dm16 reverse primer <400> 10 gcgtgcatcc gcttgtg 17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bx1 forward primer <400> 11 ggcaggcaga cgaatgttc 19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bx1 reverse primer <400> 12 ttgtcatcta cgggcacaaa g 21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f21 forward primer <400> 13 agatcaggga ggatggaaca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f21 reverse primer <400> 14 tcaaagtgag gcgatccata 20 <210> 1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37 forward primer <400> 15 cgtgcagaac tcctgtgata ac 22 <210> 1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37 reverse primer <400> 16 gtccacctat gctggagaag g 21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forward primer <400> 17 gactgggcca tggagtgg 18 <210> 1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reverse primer <400> 18 cacctctcca ccaatgacc 19 <210> 1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RX5 forward primer <400> 19 ctgcagctca ccatcctgt 19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RX5 reverse primer <400> 20 cactctgcag ggaagtgtca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21 gacatgccgc ctggagaaac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22 agcccaggat gccctttagt 20

Claims (14)

  1. 기탁번호 KCTC13505BP로 기탁된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DS0956 균주.
  2. 기탁번호 KCTC13505BP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DS0956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백색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또는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또는 동결건조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지방세포에서 Ucp1(uncoupling protein 1), Pgc1a(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Prdm16(PR/SET domain 16), Pparg(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CD137, Fgf21(fibroblast growth factor 21), P2RX5(purinergic receptor P2X 5) 및 Tbx1(T-box 1)의 발현을 증가시켜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또는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의 분해 또는 지질의 β-산화(β-oxidation)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만인 개체에서 콜레스테롤 또는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의 축적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기탁번호 KCTC13505BP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DS0956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백색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또는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기탁번호 KCTC13505BP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DS0956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백색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cyte) 또는 갈색 지방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사료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42731A 2018-04-11 2019-04-11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56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1917 2018-04-11
KR1020180041917 2018-04-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335A Division KR102206628B1 (ko) 2018-04-11 2020-05-29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985A KR20190118985A (ko) 2019-10-21
KR102156399B1 true KR102156399B1 (ko) 2020-09-16

Family

ID=681642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731A KR102156399B1 (ko) 2018-04-11 2019-04-11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200065335A KR102206628B1 (ko) 2018-04-11 2020-05-29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335A KR102206628B1 (ko) 2018-04-11 2020-05-29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156399B1 (ko)
CN (2) CN112672749A (ko)
WO (1) WO2019199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47B1 (ko) * 2017-09-06 2018-06-05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lm10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34006B1 (ko) * 2020-12-24 2022-08-19 서울우유협동조합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629635B1 (ko) * 2021-05-13 2024-01-30 주식회사 비티진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616412B1 (ko) * 2021-07-30 2023-12-21 주식회사 메디오젠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mg741 균주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466689B (zh) * 2022-02-09 2023-06-16 中国科学技术大学 用于预防和/或治疗代谢类疾病的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KR20230134354A (ko) 2022-03-14 2023-09-21 (주) 성운파마코피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57306B1 (ko) * 2022-04-14 2022-10-21 주식회사 루씨베이전씨 피부 개선 및 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631A (ja) * 2009-09-30 2013-02-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ロンガムatccbaa−999(bl999)及び体重コント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74734A1 (en) * 2007-03-28 2008-10-01 Nestec S.A. Probiotics for reduction of risk of obesity
KR20150118084A (ko) * 2012-09-20 2015-10-21 프로테라 인코포레이티드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및 방법
EP2917335B1 (en) * 2012-11-12 2018-04-04 Compagnie Gervais Danone Use of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for reducing weight gain and/or insulin resistance
KR101618116B1 (ko) * 2014-02-18 2016-05-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6275B1 (ko) 2014-04-04 2014-08-06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09246B1 (ko) * 2014-05-30 2017-02-22 일동후디스 주식회사 다시마 및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항비만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AU2016368527B2 (en) * 2015-12-11 2023-01-12 Precisionbiotics Group Limited Bifidobacterium longum for treating obesity and associated metabolic disor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631A (ja) * 2009-09-30 2013-02-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ロンガムatccbaa−999(bl999)及び体重コントロ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9094A1 (ko) 2019-10-17
CN117701424A (zh) 2024-03-15
KR102206628B1 (ko) 2021-01-22
CN112672749A (zh) 2021-04-16
KR20190118985A (ko) 2019-10-21
KR20200084817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628B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94279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EP2546330B1 (en) Lactic acid bacterium-containing preparation
KR20130046896A (ko) 대사질환 또는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920 및 이의 용도
KR101985792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8078A (ko)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5551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갖는 7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22168A (ko)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KR20230005057A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병용 요법을 이용한 항노화 조성물
KR102100122B1 (ko) 신장 질환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KR10177003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20930B1 (ko) 미립화된 유산균 사균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1484557B2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er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er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266328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에이치와이702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512998B1 (ko) 체지방 감소용 신규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 sko-001 및 이의 용도
KR101076223B1 (ko) 한약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2110113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KR20190078320A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 및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1833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cbt la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35928B1 (ko)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04912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hy7037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US20200069748A1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re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re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70122655A (ko) 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