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168A -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168A
KR20190022168A KR1020170108129A KR20170108129A KR20190022168A KR 20190022168 A KR20190022168 A KR 20190022168A KR 1020170108129 A KR1020170108129 A KR 1020170108129A KR 20170108129 A KR20170108129 A KR 20170108129A KR 20190022168 A KR20190022168 A KR 2019002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kdb009
cholesterol
obesit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867B1 (ko
Inventor
김지희
김유일
김병국
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10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8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 A23Y2220/73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신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는 체내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기본 성질인 내산성, 내담즙성을 보유하고, 우레아제(Urease) 및 젤라티나아제(gelatinase)와 같은 장내 유해효소를 생산하지 않아 용혈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내 환경에 대한 우수한 안전성을 갖는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는, 우수한 저감화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며, 세포 독성이 없으며,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peroxi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PPARγ) 및 adipocyte binding protein(aP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는, 체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백색 지방세포조직 내 지질생성을 억제하며 지방세포 크기를 줄임으로써, 신체질량지수(BMI)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이, 비만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와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감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 having anti-obesity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and uses thereof}
아래의 실시예들은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유산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와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대사성 질환이며,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치료해야 할 질병의 대상이라고 선언되었다.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비만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칼로리가 높거나 지방을 많이 함유한 음식의 섭취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나 체내 지방이 축적되는 현상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습관뿐만 아니라 신경 내분비 계통의 이상이나 약물과 유전적 원인 및 생화학적 이상 반응에 의해서도 비만이 초래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 내 지방을 생성하는 지방전구세포는 수년간 3T3-L1 세포와 3T3-F442A 세포의 지방분화에 관해 in vitro 상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3T3-L1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의 일종인 C/EBP-β와 C/EBPδ를 중심으로 조절되는 초기분화와 peroximal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PPARγ)와 C/EBPα를 중심으로 조절되는 후기분화로 나누어진다. 특히, PPARγ와 C/EBPα는 지방생성을 조절하는 핵심전사인자로서 이들 중 PPARγ은 'lipid sensing' peroxisome proliferator-ctivated receptors의 일종으로, C/EBPα에 의하여 발현이 촉진된 후 지방세포관련 유전자를 발현시키고, 지방의 축적을 유도한다. 이러한 전사인자들 및 지방세포 조절 인자들에 의해 지방세포의 분화가 촉진되고, aP2(adipocyte protein 2, or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4)와 같은 지방세포 특이적 단백질 및 지방 대사 효소의 발현량 등이 증가한다.
한편, 현재 비만과 비만으로부터 야기되는 다양한 합병증의 위험성들이 증가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확실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비만 치료제는 미미한 상태이다. 더욱이, 이러한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은 입 마름, 감각이상, 변비, 불면, 메스꺼움, 현기증, 불면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인체 친화성이 높은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비만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질로써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장내 미생물 균총과 비만의 상관관계에 관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으며, 몇몇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들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는 다수의 문헌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가 항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은 공액리놀레산 즉, CLA(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등을 생산하거나, 갈색지방의 열발산(thermogenesis)을 향상, 혈중 식욕관련 호르몬인 leptin의 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지방흡수 자체를 억제하거나, 식욕의 중추의 활동을 변화시키거나, 하나의 fasting-induced adipose factor(FIAF)로 작용하여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들은 담즙산 및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섭취한 외부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하시키거나 자체 생산되는 담즙산 분해 효소에 의해 탈접합을 통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역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균주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 기작은 배출된 담즙산이 락토바실러스 균주에 의해 탈접합(deconjugation)된 결과 간으로 재흡수 되지 못하게 되어, 결국 담즙산 생합성 원료인 콜레스테롤의 소모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이 감소하게 되는 원리이다.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항비만 효과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에 대해 국내 공개 특허 제 2010-0109661호에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균주가 개시되어 있으나, 측정한 바이오마커 수가 제한적이고 그 효과가 만족스러운 수준에 이르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개선된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을 보유하며,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및 항산화능과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1종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 균주를 확보하였고, 상기 균주에 대한 세포 실험을 통해 세포독성이 없으며, 세포 내 지방함량을 줄이고, Aipogenesis 전사인자 mRNA 발현을 억제하는 점과 동물 실험을 통해 체중 및 체지방량, 간과 혈중 지질함량을 감소시키며, 비만관련 단백질의 mRNA 발현량을 억제하고, 지질 대사 관련 단백질의 mRNA 발현량을 증가시키며, 조직학적으로 지방세포의 크기를 줄이는 개선된 항비만 효능을 갖는 점을 확인 및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항비만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저하 및 비만 예방, 개선 효능을 갖는 유산균으로서, 16s rRNA로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 균주(기탁번호: KCTC13249BP)를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생아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기본 성질인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고, 우레아제(Urease), 젤라티나아제(gelatinase)와 같은 장내 유해효소를 생산하지 않으며,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발명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PPARγ), adipocyte binding protein(aP2)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 및 지방세포 자체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체중을 감소시키고, 신체질량지수(BMI)를 감소시키며, 백색지방조직의 중량 및 백색지방조직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내 콜레스테롤 함량 및 간 조직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며, 백색 지방 조직 내 지방분해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백색 지방 조직 내 지질생성(adipogenesis)관련 인자를 감소시키며, 지방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 간 조직 및 백색 지방조직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혼합하여 생균제 형태로 제조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본 발명은 배양액을 원심 분리한 다음, -60 냉동고에서 급속 동결하고, 0-45 온도 조건에서 동결건조를 실시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유산균을 배양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얻는 방식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내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장내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으며, 소화액 내성, 항산화능, 콜레스테롤 저감화능이 우수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고 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유전자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중 및 체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혈중 LDL 콜레스테롤의 함량 감소, 비만 및 지질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백색 지방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중 콜레스테롤 및 기능성 식품으로서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중성지방 함량을 대조구 대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 처리 시 3T3-L1 세포를 염색하여 대조구 및 처리구 별 지방구의 크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를 용해시켜 흡광도 확인을 통해 정량화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 처리 시 3T3-L1 세포 내에서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mRNA 중 PPARγ, C/EBPα, aP2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의 섭취가 체중, 체중증가율(%) 및 BMI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동물의 백색지방 조직의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혈청 내 총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VLDL-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간 조직 내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백색 지방 조직 내 지방분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백색지방 조직 내 지방분화 세포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백색지방 조직 내 열발산 관련 유전자인 UCP-1과 UCP-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간 조직에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인자인 CYP7A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간 조직에서의 지방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 섭취가 백색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내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신생아 분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유산균을 분리하고, 분리된 유산균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안전성,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항산화능, 세포독성,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지방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의 mRNA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분리한 유산균이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보이며, 안전성을 보유하고, 우수한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고, 세포 내 지방함량을 줄이고, mRNA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여, 16s rRNA로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상기 분리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로 명명하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3249B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는 D-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D-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만노오스, L-소르보오스, 람노오스, 덜시톨, 만니톨, 소르비톨, α-메틸-D-글루코사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 알부틴,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멜레지토오스, β-겐티오비오스, D-타가토오스, L-푸코오스 및 글루코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당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보유하고, 우레아제(Urease) 및 젤라티나아제(gelatin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내 유해효소를 생산하지 않고, 용혈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내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는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및 항산화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는 세포 독성이 없고,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peroxi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PPARγ) 및 adipocyte binding protein(aP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는 체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백색 지방세포조직 내 지질생성을 억제하며 지방세포 크기를 줄임으로써,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는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장내 유해효소를 생산하지 않아 용혈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내 환경에 대한 우수한 안전성을 가짐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형과 방법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산제(powder),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정제(tablet), 캡슐(capsule), 시럽(syrup), 현탁제(suspension) 또는 과립제(granule)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예를 들어,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투여 용량은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배설속도, 피투여자의 연령, 성별, 축종, 상태 및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분말제, 액제, 정제, 연질캅셀제, 과립제, 티백차, 인스턴트 차 또는 드링크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의 함량은 그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형화된 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 식품은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인 경우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성분으로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를 함유하며, 그 밖의 음료 제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및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 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처리량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처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패치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Ⅰ.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실시예 1. 유산균 분리
본 발명에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는 신생아 분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리하였다. 신생아 분변에서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멸균 혐기수에 현탁하고 십진희석 후 MRS(ManRogosaSharpe)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및 락토코커스, 루코노스톡 및 패디오코커스 종으로 동정된 135개의 균주를 확보하였고,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서의 소화액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산성 및 내담즙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의 동정 및 특성 확인
<2-1> 미생물 동정(당 이용성 분석 및 16s rRNA 동정)
1) 당 이용성 분석
상기와 같이 선별된 유산균에 대하여 API CHL50 키트를 이용하여 당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D-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D-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만노오스, L-소르보오스, 람노오스, 덜시톨, 만니톨, 소르비톨, α-메틸-D-글루코사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 알부틴,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멜레지토오스, β-겐티오비오스, D-타가토오스, L-푸코오스, 글루코네이트의 당을 이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의 당 이용성
기질 반응 기질 반응
Blank - 에스쿨린 -
글리세롤 - 살리신 +
에리트리톨 - 셀로비오스 +
D-아라비노오스 w 말토오스 +
L-아라비노오스 - 락토오스 +
리보오스 + 멜리비오스 -
D-자일로스 - 사카로오스 w
L-자일로스 - 트레할로오스 +
안도니톨 - 이눌린 -
β-메틸-자일로사이드 - 멜레지토오스 +
D-갈락토오스 + D-라피노오스 -
D-글루코오스 + 아미돈 -
D-프럭토오스 + 글리코겐 -
D-만노오스 + 자일리톨 -
L-소르보오스 + β-겐티오비오스 +
람노오스 w D-투라노오스 -
덜시톨 + D-릭소오스 -
이노시톨 - D-타가토오스 +
만니톨 + D-푸코오스 -
소르비톨 + L-푸코오스 +
α-메틸-D-만노사이드 - D-아라비톨 -
α-메틸-D-글루코사이드 + L-아라비톨 -
N-아세틸 글루코사민 + 글루코네이트 w
아미그달린 + 2-케토-글루코네이트 -
알부틴 + 5-케토-글루코네이트 -
2) 16s rRNA 동정
MRS 배지에서 자란 집락(colony)을 채취하여 이중가닥 DNA 시퀀싱(Solgent, Korea)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서열은 BLAST로 검색하여 스트레인을 동정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와 100%의 상동성을 보여,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종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rRNA 시퀀싱 결과는 아래와 같다.
TGGTTCAGGATGAACGCGGGCGGCGTCCTTAATACATGCAAGTCGAAGGAGTTCTGATTA
TTGAAAGGTGCTTGCATCTTGATTTAATTTTGAACGAGTGGCGGACGGGTGAGTAACACG
TGGGTAACCTGCCCTTAAGTGGGGGATAACATTTGGAAACAGATGCTAATACCGCATAAA
TCCAAGAACCGCATGGTTCTTGGCTGAAAGATGGCGTAAGCTATCGCTTTTGGATGGACC
CGCGGCGTATTAGCTAGTTGGTGAGGTAACGGCTCACCAAGGCAATGATACGTAGCCGAA
CTGAGAGGT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
CAGTAGGGAATCTTCCACAATGGACGC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
AGGCTTTCGGGTCGTAAAACTCTGTTGTTGGAGAAGAATGGTCGGCAGAGTAACTGTTGT
CGGCGTGACGGTATCC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
ACGTAGGTGGCAAGCGTTA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TTT
AAGTCTGATGTGAAAGCCCTCGGCTTAACCGAGGAAGTGCATCGGAAACTGGGAAACTTG
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
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ATGG
GT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TGCCGTAAACGATGAATGCTAGGTGTT
GGAGGGTTTCCGCCCTTCAGTGCC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
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
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TTTTGATCACCTGAG
AGATCAGGTTTCCCCTTCGGGGGCAAAA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
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ACTAGTTGCCAGCA
TTTAGTTGGGCACTCTAGTA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
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ATGGTACAACGA
GTTGCGAGACCGCGAGGTCAAGCTAATCTCTTAAAGCCATTCTCAGTTCGGACTGTAGCT
GCAACTCGCCTACAC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
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
<2-2> 미생물 특성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균의 형태
MRS 한천평판 배지에서 37℃, 48시간 배양 시 균의 형태
①세포의 형태: 간균
②운동성: 없음
③포자형성능: 없음
④그람(Gram) 염색: 양성
2) 균락(colony)의 형태
MRS 한천평판 배지에서 37℃, 48시간 배양 시 균락의 형태
①형상: 원형
②융기: 볼록
③표면: 매끄러움(smooth)
④색깔: 유백색
3) 생리적 성질
①생육온도
생장가능 생육온도: 15~40℃
최적 생장온도: 36~38℃
②생육 pH
생장가능 생육 pH: 4.6~7.5
최적 pH: 6.0~7.0
③산소에 대한 영향: 통성혐기성
4) 카탈라제: 음성
5) 가스생성여부: 음성
6) 인돌생산: 음성
7) 젖산생산: 양성
8) 생체아민 생산: 음성
상기 미생물 동정 결과 및 균의 특성을 토대로 신생아 분변에서 분리한 신규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로 명명하였고, 2017년 04월 12일 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탁번호: KCTC13249BP)에 기탁하였다.
Ⅱ. 신규한 유산균의 특성
실시예 3. 소화액 내성
<3-1> 내산성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를 포함한 유산균들의 내산성을 확인하였다. 염산을 이용하여 pH 2.5로 조절한 MRS 액체배지를 멸균한 후 pepsin을 1,000units/mL 의 농도로 첨가하여 내산배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균주들을 상기 배지에 1%씩 접종한 후 초기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혐기희석액(pH 6.2)으로 십진 희석한 후 1 ml 분주하고 MRS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pouring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균주를 접종한 pH 2.5인 MRS 액체배지를 37℃ 수조에서 3시간 동안 정치배양 한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MRS 고체배지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나타난 집락(colony)을 계수하여 pH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였다. 내산성의 평가는 3시간 이후의 내산용액으로부터의 생존수를 log값으로 변환 시켰을 때 0.5 log 이하로 균수가 감소하거나 원래의 균수에 비하여 성장을 보인 경우 내산능력을 보인 균주로 선별하였다.
실험 결과, pH 2.5에서 135종의 유산균들 중 60개의 균주가 높은 내산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도 높은 내산성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3-2> 내담즙성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를 포함한 내산성이 확인된 60주의 유산균에 대하여 내담즙성을 확인하였다. 내담즙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Gilliland와 Walker(1990)의 방법을 이용하여 MRS 액체배지에 0.3% 옥스갈(Sigma, USA)을 첨가하여 2차 계대배양이 끝난 유산균을 1% 접종하였다. 내담즙성은 내산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시간, 24시간 생균수를 측정한다. 평가방법 또한 24시간 이후의 내담용액으로부터의 생존수를 log값으로 변환 시켰을 때 0.5log 이하로 균수가 감소하거나 원래의 균수에 비하여 성장을 보인 경우 내담즙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내산성이 높은 60종의 유산균들이 전체적으로 내담즙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의 내담즙성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내산성 및 내담즙성 우수 균주목록
균주 번호 Species 균주 번호 Species
7 Le. mesenteroides 153 L. rhamnosus
12 P. pentosaceus 158 L. gasseri
18 L. rhamnosus 161 L. gasseri
19 L. reuteri 162 L. reuteri
21 L. rhamnosus 163 L. rhamnosus
28 L. rhamnosus 164 L. gasseri
29 L. reuteri 169 L. reuteri
31 L. reuteri 174 L. rhamnosus
32 L. rhamnosus 178 L. rhamnosus
34 L. reuteri 183 L. rhamnosus
35 L. rhamnosus 193 Le. mesenteroides
36 L. reuteri 197 Le. mesenteroides
39 L. plantarum 203 L. plantarum
40 L. plantarum 215 L. plantarum
51 L. reuteri 218 L. rhamnosus
57 L. rhamnosus 228 L. plantarum
58 P. pentosaceus 241 L. plantarum
62 Lc. lactis 244 L. paracasei
64 L.sakei 260 L. fermentum
70 L. casei 263 L. rhamnosus
71 Le. paramesenteroides 267 L. gasseri
81 L. rhamnosus 275 P. pentosaceus
82 L. rhamnosus 279 P. pentosaceus
83 L. reuteri 289 L. plantarum
86 L. rhamnosus (CKDB009) 296 P. pentosaceus
91 L. rhamnosus 337 L. casei
93 L. plantarum 344 L. plantarum
105 L. sakei 345 Lc. lactis
106 L. gasseri 346 Lc. lactis
123 L. rhamnosus 347 Lc. lactis
실시예 4. 안전성 확인
소화액 내성이 확인된 상기 유산균들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용혈 현상 검사, 젤라티나아제(gelatinase), 우레아제(urease)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비병원성 균임을 확인하기 위한 용혈 현상 검사는 혈액 한천 배지에 분리된 상기 60개의 균주를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균락 주위에 나타나는 용혈환을 관찰하였다. 젤라티나아제 생성 여부는 0.3g 육분, 0.5g 펩톤, 12g 젤라틴 및 100ml의 MRS 배지를 포함하는 젤라틴 영양 배지를 준비하여, 60개의 균주를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젤라틴 영양배지를 4℃에 약 4시간 동안 냉장 방치하여 배지의 응고 여부를 확인하였다. 배지가 응고되지 않으면 액화 반응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우레아제 생성 여부는 우레아(urea)와 지시성분인 페놀레드를 포함하는 한천배지를 제조하여 균주 접종 후 암모니아 생성에 대한 지시성분의 색 변화를 통해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특허기탁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를 포함한 60종의 유산균들이 젤라티나아제와 우레아제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in vitro test
<5-1>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확인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상업용 균주인 Lactobacillus rhamnosus GG(LGG)를 포함한 안전성까지 확인된 유산균 60종 중 몇몇의 중복되는 균주를 제외한 48종의 유산균에 대해 콜레스테롤 저감 및 항비만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서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test를 진행하였다. MRS에 0.2% sodium thioglycolate와 0.3% oxgall을 첨가 후 멸균하고, 상기 MRS-THIO broth 9ml에 cholesterol micelle(cholesterol 0.091mg/ml in 0.4mM sucrose solution)을 1ml 첨가하여 MRS-THIO 배지를 제조하였다. 선별된 균주를 1%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등액에서 cholesterol양을 정량함으로써 cholesterol 감소능을 확인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균을 접종하지 않은 MRS-THIO 배지를 사용하였다. 콜레스테롤 저감화능의 확인을 위하여 선별된 균주를 MRS-THIO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11,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2mL에 95~97% ethanol 3mL과 50% KOH 2mL을 첨가하여 water bath(60℃)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상온에서 냉각한 후, hexane 5mL을 첨가하여 15분 정치하였다. 4mL의 hexane층을 분리하고 질소가스로 건조된 튜브에 o-phtalaldehyde(0.55mg/acetic acid 1mL) 4mL을 첨가하여 10분 반응 후 황산 2mL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50nm에서 흡 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로부터 cholesterol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cholesterol 양을 정량하였고, 콜레스테롤의 저감화 정도는 % reduction rate로 계산하였으며 계산식 1은 아래와 같다.
<식 1>
Figure pat00001
실험결과, 대표적인 상업용 비교균주인 Lactobacillus rhamnosus GG(LGG) 균주의 콜레스테롤 저감능은 6.442% 로 확인되었으며, 분리된 유산균 48종 중 상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의 콜레스테롤 저감화능은 45.890%로 현저히 우수한 수준의 콜레스테롤 저감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Cholesterol lowering activity 측정결과
균주 번호 Cholesterol lowering
activity(%)
균주 번호 Cholesterol lowering
activity(%)
LGG 6.442
CKDB009 45.890 70 10.682
93 41.945 279 10.097
203 41.194 29 9.983
64 36.328 296 8.464
36 35.843 71 7.748
163 34.870 241 6.968
346 30.017 62 6.327
161 29.663 275 5.946
123 27.582 51 5.737
39 27.333 12 5.083
158 27.138 58 4.895
105 24.183 40 4.591
83 22.224 197 4.526
260 19.586 35 4.108
263 17.432 344 3.862
164 15.058 228 3.389
267 14.517 32 3.122
244 12.691 183 1.949
193 12.198 82 1.519
18 12.000 81 1.468
106 11.754 347 1.437
289 11.145 345 1.228
57 11.093 7 0.458
19 10.792 337 0.356
<5-2> 항산화능 확인
상기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상업용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GG) 균주를 포함하여 신규 분리된 유산균 60종 중 몇몇의 중복되는 같은 종의 균주를 제외한 48종의 유산균에 대해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DPPH(2,2 Diphenyl 1 picrylhydrazyl)를 0.2mM의 농도가 되도록 methanol에 용해시킨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의 흡광도 값이 1.0-1.2이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DPPH 용액를 제조하였다. 유산균들을 MRS 배지에 접종하여 37℃,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Pellet)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체는 PBS에 현탁 후 흡광도를 1.0-1.2로 조정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샘플 800μl와 DPPH 용액 1ml을 혼합한 후, 암조건의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능 비교를 위한 양성대조구로서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0.2mM의 ascorbic acid 수용액(3.5229g/100mL)을 사용하였다. 대조구로 배양액 상등액과 동량의 PBS를 DPPH 용액과 반응시킨 후 scavenging activity(%)를 확인하였으며,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식 2>
Figure pat00002
실험결과, 상업용 비교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균주의 항산화능은 11.25% 로 확인되었으며, 분리된 유산균 48종 중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의 항산화능은 15.12%로 상업용 균주인 LGG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리된 총 유산균 중 항산화능이 상위 그룹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4).
Antioxidant activity 측정결과
균주 번호 Scavenging activity (%) 균주 번호 Scavenging activity (%)
LGG 11.25 Ascorbic acid 90
7 34.65 244 9.45
279 31.05 70 9
105 29.34 93 8.64
51 16.74 82 7.38
CKDB009 15.12 71 7.11
35 14.13 62 6.93
83 14.04 106 6.12
36 12.87 289 6.12
158 12.69 164 5.94
347 12.51 203 5.67
29 12.51 346 5.58
267 12.15 161 5.04
260 12.15 345 4.77
40 12.06 241 3.6
39 11.88 228 3.42
344 11.07 197 3.06
18 10.98 19 2.97
58 10.71 163 2.52
32 10.62 275 2.25
337 10.44 193 1.98
12 10.17 263 1.98
64 9.99 183 1.98
81 9.9 123 0.99
57 9.54 296 0.9
호흡과정과 식품섭취를 통해 체내로 들어온 산소는 여러 대사과정에서 사용되며, 이 때 생성된 활성산소는 체내 지질과 결합하여 과산화 지질을 생성하고 혈액을 타고 돌면서 동맹경화증, 뇌출혈, 심근경색, 비만 등을 유발한다. 때문에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작용은 비만·동맥경화 환자를 치료·예방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높은 항산화능 및 콜레스테롤 저감능을 보유하고 있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를 항비만용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실시예 6. in vitro 세포적용 실험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기존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확인된 특허균주 패디오코커스 팬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D7과 기탁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ATCC9595의 in vitro상에서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효능을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생균을 세포에 처리할 경우 균에 의해 세포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처리구의 모든 유산균은 사균체의 형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mouse 유래의 3T3-L1 세포(Pre-adipocyte cell,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의 대조구로써 이용하였다. 비만은 adipogenesis와 증가된 세포 내 triglyceride 축적에 의한 지방세포(adipocyte cell) 증가에 의해 되기 때문에 3T3-L1 세포의 adipogenesis gene과 lipid accumulation을 측정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였다.
<6-1>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D7 그리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ATCC9595 의 열처리 사균체(105 CFU/mL)를 이용하여 3T3-L1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ethod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MTT method는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tetrazolium이 세포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인 mitochondrial succinate dehydrogenase 작용에 의해 보라색을 띄는 비수용성 formazan으로 환원되는 것을 이용하여 세포의 viability를 측정하는 colorimetric assay이다.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 m bromide)를 멸균증류수를 12mM 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0.2μm filter로 여과하여 MTT stock solution을 제조한 다음 빛을 차단하여 보관하면서 MTT assay를 진행하였다. 먼저, 100 mm2 cell culture dish에서 세포가 자라면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떼어 낸 후 한곳에 모아 1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1.0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세포를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37℃, 5% C02). 이 때 medium은 maintain medium인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a, high glucose)에는 10%의 열처리된 소혈청(Heat- inactivated Bovine Serum, BS)과 1% 항생제(Penicillin, Streptomycin)를 첨가하여 maintain medium 혼합액으로 사용하였다. 24시간 후 well 바닥에 세포부착을 확인한 후 11종의 heat killed cell(105 CFU/mL in medium)과 maintain medium 혼합액으로, well의 medium을 교체한 후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37℃, 5% C02). 각각 24시간, 48시간 배양 후, medium을 제거하고 10μl MTT stock solution과 100μl phenol red free DMEM의 혼합액으로 교체한 다음, 암소상태에서 4시간 배양(37℃, 5% C02)한 후 medium을 제거하였다. 그 후 각 well에 50μl DMSO solution 넣고 암소상태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3종 모두 흡광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흡광도의 감소는 cell viability의 감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3종의 Heat-killed cell이 3T3-L1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2>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확인
상기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D7 그리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ATCC9595 의 열처리 사균체(108 CFU/mL)를 이용하여 3T3-L1 cell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Day 8 분화 완료 후 중성지방(TG) 함량을 측정하고, Oil red O stain 염색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TG 함량은 대조구의 TG함량을 100으로 하여 % 비율로 계산하여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 ATCC9595와 CKDB009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세포 내 TG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KID7 처리구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Day 8 분화완료 후 3T3-L1 세포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서 다량의 지방방울이 붉게 염색된 것을 보아 지방세포분화가 잘 유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KDB009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붉게 염색된 지방방울이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
현미경 관찰 후, 지방 축적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100% isopropanol에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켜 O.D 값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CKDB009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6-3> 지방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의 mRNA 발현량 확인
상기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D7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ATCC9595 의 열처리 사균체(108 CFU/mL)를 3T3-L1 cell에 처리하였을 때, adipogenesis와 관련된 단백질인 PPARγ, C/EBPα, aP2 유전자의 mRNA 발현 정도를 각 처리구에서 비교하였다.
Adipogenesis transcription factors는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전사인자 중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 alpha(C/EBPα), peroxi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PPARγ), adipocyte binding protein(aP2)는 지방세포 분화에 작용하는 중요한 전사인자이기 때문에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비만을 유도하거나 억제하는 연구에서 생화학적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PPARγ의 발현은 CKDB009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EBPα의 발현은 ATCC9595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P2의 발현은 CKDB009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CKDB009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지방전구세포 전사인자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도 4).
Ⅲ. 비만 유도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
실시예 7. 유산균 분말 제조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콜레스테롤 저감화능이 검증된 특허균주 패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D7을 대상으로 하여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두 가지 균주들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각 균주에 적합한 액상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활성화된 균은 원심분리하여 회수 후 세척하였고, 회수된 균체는 -60℃에서 급속 동결하고, 0-45℃ 온도 조건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냉장(4℃) 보관하였다. 상기 2종의 유산균들은 신선한 상태로 경구투여 하기 위해서, 투여 전 PBS에 1010CFU/100μl 농도가 되도록 현탁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실험동물 및 실험설계
<8-1> 재료 및 시약
상기 신규 유산균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분말화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와 패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D7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유도는 식이를 통해 조절하였다.
<8-2> 실험동물 및 처치
실험군은 총 4군으로 정상대조군(Normal Diet, ND group), 음성대조군(High fat Diet, HD group), 패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D7 단일 유산균 투여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단일 유산균 투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실험군의 조건 및 약어는 하기의 표 5의 내용과 같다. 각 실험군 별 개체수는 8마리로, 4주령의 C57BL/6 mouse 수컷 56마리를 샘타코 바이오 코리아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조절하고 온도는 23± 2℃, 습도는 50~60%로 유지하였다. 사료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동물의 초기 평균무게는 4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일주일간 정상 식이 환경에 적응 후 각각 실험처리를 실시하였다.
항비만 효과 검증 model 실험 그룹
Diet Treatment
Group 1 (ND) Normal diet -
Group 2 (HD) High fat, high CHO diet -
Group 3 (KID7) High fat, high CHO diet P. pentosaceus KID7 1×1010 CFU/day
Group 4 (CKDB009) High fat, high CHO diet L. rhamnosus CKDB009 1×1010 CFU/day
실험사료의 경우 정상 식이는 Research Diets의 D12450B(10kcal % fat),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는 Research Diets의 D08062402(45kal % fat, 1.25% cholesterol)를 샘타코 바이오 코리아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사용한 식이 조성은 아래 표와 같다(표 6). 실험 기간은 총 12주로 진행하였고, 유산균 처리구는 총 실험기간 동안 하루에 한번 동일 시간에 유산균 분말을 PBS 에 현탁하여 경구투여 후 희생하였다.
동물실험 식이 조성
High-fat-high-cholesterol diet (HD, D08062402) Normal diet
(ND, D12450B)
gm(%) kcal(%) gm(%) kcal(%)
사료 내 주영양 성분비율 Protein 23.4 20 19.2 20
Carbohydrate 40.9 35 67.3 70
Fat 23.3 45 4.3 10
Ingredient gm kcal gm kcal
사료 조성 Casein 200 800 200 800
L-Cysteine 3 12 3 12
Corn starch 72.8 291 506.2 2024.8
Maltodextrin 100 400 125 500
Sucrose 172.8 691 68.8 275.2
Cellulose 50 0 50 0
Soybean oil 25 225 25 225
Lard 177.5 1598 20 180
Mineral mix 10 0 10 0
Dicalclium phosphate 13 0 13 0
Calcium carbonate 5.5 0 5.5 0
Potassium citrate 16.5 0 16.5 0
Vitamin mix 10 40 10 40
Choline bitartrate 2 0 2 0
Cholesterol 10.7 0 0 0
Total 868.85 4057 1055.05 4057
실시예 9. 체중에 미치는 영향
실험 동물은 처치 기간 동안 일주일에 한번 일정한 시간에 체중(Body weight)을 측정하였다. 증체율(Weight gain, %)은 0주차와 12주차에 해당하는 체중 값으로 아래의 식 3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3>
Figure pat00003
또한 실험 동물의 BMI는 희생직전 쥐의 체중과 body length를 코에서부터 꼬리 시작점까지 하여 측정한 후 아래의 식 4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4>
Figure pat00004
그 결과, 정상식이 그룹에 비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의 체중은 약 2.5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보아 비만 쥐 모델의 유도가 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CKDB009 또는 KID7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대조구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BMI(kg/m2)는 정상식이 그룹에 비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KDB009와 KID7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특히 CKDB009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정상식이 그룹과 같은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였다(도 5).
실시예 10. 지방 조직에 미치는 영향
<10-1> 백색 지방 조직의 중량
희생된 실험 동물의 백색지방 조직을 적출한 후 visceral white adipose tissue인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eWAT)와 subcutaneous white adipose tissue인 inguinal white adipose tissue(iWAT)을 분리하여 두 부분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Total white adipose tissue 중량은 eWAT와 iWAT의 중량을 합한 값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 eWAT, iWAT, total WAT 3가지 모두 정상식이 그룹에 비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서 증가하였다. 하지만, CKDB009, KID7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iWAT 중량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그 결과 total WAT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실시예 11. 혈청, 간 조직 내 지질함량
희생된 모든 실험 동물의 혈액을 심장 천공법(Cardiac puncture)으로 채취하였다. 혈액은 serum separate tube에 담아 3,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 다음, serum(상층액)을 tube로부터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11-1> 혈청 내 지질함량
혈청 내 지질 인자인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HDL-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및 LDL/VLDL-콜레스테롤(Low density cholesterol/Very low density cholesterol, LDL/VLDL-C)의 농도를 commercially available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G는 Triglyceride Quantification Colorimetric/Fluorometric Kit(Bio vision), TC는 Total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ase Quantification Colorimetric /Fluorometric Assay Kit(Bio vision), 그리고 HDL-C와 LDL/VLDL-C는 HDL and LDL/VLDL Quantification Colorimetric/Fluorometric Kit(Bio visi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액 내 지질대사를 알아보기 위해 혈청 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중성지방의 농도는 정상 식이 그룹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을 포함한 모든 그룹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정상 식이 그룹이 177.5 ± 5.6mg/dL,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이 316.3±12.1mg/dL로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 처리 그룹은 195.7±11.2mg/dL, KID7 처리그룹은 224.2±13.2mg/dL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HDL-콜레스테롤 수치의 농도는 정상 식이 그룹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 포함한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DL/VLDL-콜레스테롤 결과에서는 정상 식이 그룹이 26.8±1.9mg/dL,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이 51.9±3.6mg/dL로 혈중 LDL/VLDL-콜레스테롤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 처리그룹은 30.0±2.4mg/dL, KID7 처리 그룹은 34.3±3.6mg/dL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11-2> 간 조직 지질함량
간 조직 내 지질 인자인 중성지방(TG) 농도는 TG를 glycerol과 free fatty acid로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하고 방출된 glycerol을 colorimetric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간 조직에서 TG를 측정하기 위하여, 50mg 간 조직에 5% Tween 20 1mL을 넣고 micro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다음, 80-100℃ 조건의 water bath에서 2-5분 가열하고, 상온에 방치하여 온도를 내려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간 조직 내 모든 TG를 가용화하였다. 이후, 15,000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고, Triglyceride Quantification Colorimetric/Fluorometric Kit(Bio vision)를 이용하여 상층액의 TG 함량을 측정하였다. TG 함량은 간 조직 1mg에 함유되어있는 TG(μg)로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총 콜레스테롤(TC)을 분석하기 위하여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s를 colorimetri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50mg 간 조직에 cholesterol extraction buffer(Chloroform : Isopropanol : Tween 20 = 7 : 11 : 0.1) 1mL을 넣고 micro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다음, 15,000rpm에서 10분 원심분리하고 pellet을 제외한 모든 상층액(Organic phase)을 새로운 tube에 옮겼다. 그리고 chloroform을 제거하기 위하여 50℃에서 air dry하고, 추가로 남아있는 유기용매 제거하기 위하여 nitrogen gas drying한 다음, cholesterol assay buffer 1mL 넣고 sonication 하여 buffer가 뿌옇게 될 때까지 균질화하였다. Total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ase Quantification Colorimetric /Fluorometric Assay Kit(Bio vision)를 이용하여 균질액의 TC 함량을 측정하였다. TC 함량은 간 조직 1mg에 함유되어있는 TC(μg)로 나타내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간 조직 내 지방을 축적하여 지방간을 형성한다. 식이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에 대한 균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간 조직 내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여 도 8에 대조구와 함께 나타내었다. 중성지방의 농도는 정상 식이 그룹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을 포함한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정상 식이 그룹이 2.6±0.1μg/mg,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이 5.5±0.2μg/mg로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 처리 그룹은 4.3±0.2μg/mg, KID7 처리그룹은 4.1±0.3μg/mg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12. 지방분해 효소 활성
<12-1> 백색 지방 조직 내 지방분해 효소 활성
백색 지방 조직에서의 HSL(hormone sensitive lipase) 함량을 측정하였다. HSL은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효소로 지방 조직 내 저장된 triglyceride를 fatty acid로 가수분해한다. 따라서, HSL 인자 발현의 증가할 경우 지방 조직 내 지방을 분해하여 비만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산균 처리구에서 HSL 인자 발현의 증가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 확인하였다. 먼저, 백색 지방 조직에서 HSL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00mg 조직에 PBS 1mL을 넣고 micro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한다. 조직의 세포막을 파쇄하기 위하여 -20℃에서 overnight 한 후 상온에서 천천히 녹여준다. 다시 -20℃에서 overnight 한 후 상온에서 천천히 녹이는 것을 반복한 후 5,000g, 2~8℃ 조건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한다. Mouse Hormone-Sensitive Lipase(LIPE) ELISA Kit(CUSABIO)를 이용하여 상등액의 HSL 활성을 측정하였다. HSL 활성은 백색 지방 조직 1mg 당 HSL Unit(U)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HSL(hormone sensitive lipase) 활성은 CKDB009 처리구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도 9).
실시예 13. 지방관련 단백질의 mRNA 발현
간, 갈색지방, 백색지방 조직은 적출한 후 액체질소에서 급속 냉동하여 분석을 위해 사용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조직은 5% Tween 20 용액에서 micro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GeneJET RNA purification kit(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다. Real-time PCR은 KAPA SYBR Fast qPCR kit(Kapabiosystem)을 사용하여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으로 수행하였다. GAPDH를 housekeeping gene으로 하여 target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정량하였으며 Target 유전자의 primer 서열은 표 7과 같다.
Real time PCR target 유전자 primer sequence
Primer Sequence Temperature
PPARγ Forward 5'-GGAAGACCACTCGCATTCCTT-3' 61.0℃
Reverse 5'-GTAATCAGCAACCATTGGGTCA-3'
C/EBPα Forward 5'-GCGGGAACGCAACAACATC-3' 61.0℃
Reverse 5'-GTCACTGGTCAACTCCAGCAC-3'
UCP-1 Forward 5'-CAAAAACAGAAGGATTGCCGAAA-3' 64.3℃
Reverse 5'-TCTTGGACTGAGTCGTAGAGG-3'
UCP-2 Forward 5'-ATGGTTGGTTTCAAGGCCACA-3' 59.5℃
Reverse 5'-TTGGCGGTATCCAGAGGGAA-3'
CYP7A1 Forward 5'-GAACCTCCTTTGGACAACGGG-3' 59.6℃
Reverse 5'-GGAGTTTGTGATGAAGTGGACAT-3'
GAPDH Forward 5‘-GTATGACTCCACTCACGGCAAA-3’ 58.5℃
Reverse 5‘-GGTCTCGCTCCTGGAAGATG-3’
<13-1> 백색지방 조직에서 adipogenesis, thermogenesis 관련 단백질의 mRNA 발현
백색지방 조직에서 adipogenesis와 thermogenesis와 관련된 단백질의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Adipogenesis 관련 유전자인 PPARγ, C/EBPα, thermogenesis관련 유전자인 UCP-1, UCP-2에 대하여 각각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여 각 그룹 간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C/EBPα)는 adipogenesis를 유발하는 전사인자로서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여 비만을 유발한다. 따라서 PPARγ, C/EBPα 발현의 감소는 비만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PARγ의 발현은 정상식이 그룹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 KID7 처리그룹은 정상식이 그룹과 같은 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C/EBPα의 경우 정상식이 그룹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서 발현량이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 처리그룹은 정상식이 그룹과 같은 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하지만, KID7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UCPs(Uncoupling proteins)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위치해있는 proton transporter family에 속한다. UCP family 중에 UCP-1은 미토콘드리아 내의 proton flow의 short-circulating을 통해 ATP 합성으로부터 uncoupling respiration함으로써 thermogenesis에 관여한다. UCP-2는 energy metabolism 및 ROS(reactive oxygen species) 조절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 UCP-1의 발현은 정상식이 그룹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나머지 처리 그룹에서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UCP-2의 경우 정상식이 그룹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 처리그룹은 정상식이 그룹과 같은 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하지만 KID7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11).
<13-2> 간 조직에서 지질대사와 관련된 단백질의 CYP7A1의 mRNA 발현
간 조직에서 지질대사와 관련한 단백질인 CYP7A1 유전자의 mRNA 발현 정도를 각 그룹 사이에서 비교하였다. CYPA1(Cholesterol 7 alpha-hydroxylase)은 간에서 분비되는 인자로 간 내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의 속도제한 효소로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한다. 즉, CYP7A1은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 배설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간에 축적된 콜레스테롤 함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비만 쥐 모델 간에서 CYP7A1의 발현에 대한 균주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정상식이 그룹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CKDB009 균주 처리구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KID7 처리그룹에서는 CYP7A1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도 12).
실시예 14.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
간 조직 및 백색지방 조직을 적출한 후 일부 Oil red O, H&E 염색을 위해 10% formaldehyde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14-1> 간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
본 실험에서 선발된 균주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병리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Oil red O 염색한 다음 병리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Mouse로부터 간 조직을 적출하여 20% sucrose solution으로 옮긴 다음 4℃에서 overnight 하였다. 이 후 동결절편 제조하여 slide glass에 cryosection을 올리고 10% formaldehyde in PBS 에 옮겨 23℃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그리고 물로 2번 세척 후 0.1% Oil red O 용액(in 75% isopropanol)에 옮겨 23℃에서 2시간 동안 정치하여 염색한 다음 물로 세척하여 염색되지 않은 염료를 제거하고, slide 건조 후 광학현미경으로 100배의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간 조직의 Oil red O 염색 결과, 정상 식이 그룹의 간에서는 적색으로 염색된 지방방울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 간에서는 적색으로 염색된 지방방울이 다량 관찰되었다. CKDB009와 KID7 처리 그룹들은 적색으로 염색된 지방방울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통해 지방 축적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
<14-2> 백색 지방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
본 실험에서 선발된 균주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증가된 지방세포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병리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H&E 염색을 진행하였다.
Mouse로부터 백색지방을 적출하여 10% formaldehyde에 고정한 다음 ethanol에서 탈수하고 xylene에서 세척한 후 paraffin block을 제조하였다. 5 ㎛ 두께로 박절하고 slide glass에 올려 Harris' hematoxylin 에 2분 30초 동안 정치시키고, 물로 세척한 후 차례로 acid alcohol, ammonia water에서 2-3번 담근 다음, 물에 옮겨서 10분 동안 정치시켰다. 그리고 Eosin-phloxine으로 상온에서 2분 동안 염색한 다음, 염색된 slide를 95% alcohol 및 xylene에 차례로 옮겨서 염색되지 않은 염료를 제거하고, slide 건조 후 광학현미경으로 100배의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백색지방 조직의 H&E 염색 결과, 정상 식이 그룹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그룹의 지방세포크기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CKDB009와 KID7 처리그룹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그룹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4).
Ⅳ. 유산균 원말 제조
실시예 1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원말의 제조
상기 동물실험을 통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통해 유도된 비만을 억제시키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하는 건강기능성품 원말을 제조하였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에 최적화된 증균배지와 배양조건을 설정하여 배양하였다. 균체 회수 후 농축액 대비 말토덱스트린 5-50(부피/중량)% 또는 트레할로스 5-50(부피/중량)% 또는 셀룰로오스 5-50(부피/중량)%을 첨가하여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유산균 원말을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CKDB009 균주(기탁번호: KCTC13249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보유하고, 우레아제(Urease) 및 젤라티나아제(gelatin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내 유해효소를 생산하지 않아 용혈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장내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콜레스테롤 저감화능 및 항산화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세포 독성이 없고,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peroxi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PPARγ) 및 adipocyte binding protein(aP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체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백색 지방세포조직 내 지질생성을 억제하며 지방세포 크기를 줄임으로써,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KDB009 균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 조성물은 상기 균주를 동결건조하여 생균의 형태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균주를 동결건조하여 생균의 형태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108129A 2017-08-25 2017-08-25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KR10195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29A KR101956867B1 (ko) 2017-08-25 2017-08-25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29A KR101956867B1 (ko) 2017-08-25 2017-08-25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168A true KR20190022168A (ko) 2019-03-06
KR101956867B1 KR101956867B1 (ko) 2019-06-19

Family

ID=6576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129A KR101956867B1 (ko) 2017-08-25 2017-08-25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8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9850A (zh) * 2020-01-20 2020-06-12 吉林农业大学 一株具有高黏附能力及降血脂功效的戊糖片球菌pp04
CN111801413A (zh) * 2017-09-06 2020-10-20 韩国亿诺生物有限公司 鼠李糖乳杆菌lm1019菌株及包含其的用于预防及治疗肥胖或糖尿病的组合物
KR102294456B1 (ko) * 2021-02-17 2021-08-27 주식회사 메디오젠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220000773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메디오젠 체지방 감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CN117467586A (zh) * 2023-12-28 2024-01-30 潍坊康地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具有延缓慢性肾病进程功效的鼠李糖乳酪杆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391A (ko) * 2006-08-18 2008-02-21 이우정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00010015A (ko) * 2008-07-21 2010-01-29 신현길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존소니 hfi 108 균주
KR20100109661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에이취와이76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391A (ko) * 2006-08-18 2008-02-21 이우정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00010015A (ko) * 2008-07-21 2010-01-29 신현길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존소니 hfi 108 균주
KR20100109661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에이취와이76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unctional Foods, Vol.5, pp.1848-1853(Epub.2013.09.27.)*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1413A (zh) * 2017-09-06 2020-10-20 韩国亿诺生物有限公司 鼠李糖乳杆菌lm1019菌株及包含其的用于预防及治疗肥胖或糖尿病的组合物
CN111801413B (zh) * 2017-09-06 2023-11-03 韩国亿诺生物有限公司 鼠李糖乳杆菌lm1019菌株及包含其的用于预防及治疗肥胖或糖尿病的组合物
CN111269850A (zh) * 2020-01-20 2020-06-12 吉林农业大学 一株具有高黏附能力及降血脂功效的戊糖片球菌pp04
CN111269850B (zh) * 2020-01-20 2022-07-22 吉林农业大学 一株具有高黏附能力及降血脂功效的戊糖片球菌pp04
KR20220000773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메디오젠 체지방 감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2294456B1 (ko) * 2021-02-17 2021-08-27 주식회사 메디오젠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CN117467586A (zh) * 2023-12-28 2024-01-30 潍坊康地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具有延缓慢性肾病进程功效的鼠李糖乳酪杆菌
CN117467586B (zh) * 2023-12-28 2024-05-10 青岛蔚蓝生物集团有限公司 一株具有延缓慢性肾病进程功效的鼠李糖乳酪杆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867B1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867B1 (ko)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KR101981333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94279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077715B1 (ko)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6628B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US11738057B2 (en) Lactobacillus having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and antioxidant effect
AU2017337936B2 (en) Novel Lactobacillus Sakei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139687B1 (ko)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mg4288
KR101985792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26275B1 (ko)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US11278579B2 (en)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metho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using the same
KR102063757B1 (ko)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US11484557B2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er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er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266328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에이치와이702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080087568A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US20200069748A1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re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re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220057323A (ko) 락토바실러스 무단지앙엔시스 ckdb001 균주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4912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hy7037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0636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KR102296223B1 (ko) 혈당강하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프로바이오틱스의 대량배양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535077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hy81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