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568A -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 Google Patents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568A
KR20080087568A KR1020070030016A KR20070030016A KR20080087568A KR 20080087568 A KR20080087568 A KR 20080087568A KR 1020070030016 A KR1020070030016 A KR 1020070030016A KR 20070030016 A KR20070030016 A KR 20070030016A KR 20080087568 A KR20080087568 A KR 2008008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strain
vibrio
probiotics
culture superna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075B1 (ko
Inventor
장영효
정민영
박인순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0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 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브리오속 병원성 균주 및 여러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능력을 가지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위산 및 담즙산에 내성을 가지며, 장내 세포의 흡착 능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비브리오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성장 억제 활성 효과를 가지므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비브리오, 내산성, 내담즙성, 항균력, 장내 정착성, 생균제

Description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 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Novel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sp. SM1 showes high cell adhe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신균주의 16S rRNA 서열을 분석하여 나타낸 분자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균주의 배양상등액을 이용하여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KCTC 2715)를 대상으로 실시한 항균력 조사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균주와 비교균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와의 장내 정착능 비교 결과이다.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 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브리오속 균주 및 여러 병원 균주에 항균력을 가지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 이의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이다.
비브리오과(Vibrionaceae family)로 분류되는 비브리오(Vibrio) 속(genus)에는 12가지 종(species)이 보고되었다. 특히 인체 병원균으로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는 1979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와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커스(Vibrio parahaemolyticus)는 급성 설사 질환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를 포함하는 비브리오균은 해수, 갯벌, 해양 생물 등에 기생하는 호염성(halophilic)의 운동성이 있는 그람 음성 간균이다(Hollis D.G, et al . J Clin Microbiol 3:425-431, 1976). 비브리오균은 매일 술을 마시는 사람, 당뇨병이나 간경화 등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해산물을 날 것으로 먹거나, 피부 상처가 바닷물에 노출되거나 낚시 중 또는 어패류를 손질하다 상처를 입었을 경우 감염된다(Blake P.A, et al . N Engl J Med 300:1-5, 1979). 이러한 비브리오속 병원균의 감염에는 효과적인 백신이 없으며, 발병 시 치명적인 질환으로 분류되므로 예방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병원성 균에 대한 백신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위하여 생균제, 프로바이오틱스, 효소제, 올리고당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균제(Probiotics)는 일반적으로 건강에 유익한 생균 식품 첨가제(live microbial food ingredients)로 정의되었으나(Liilly and Stillwell, Science 147:747-748, 1965), 최근 들어 Salminen 등(Int . J. Food Microbiol. 44:93-106, 1998)에 의해 인체나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식품 및 사료 또는 식이첨가제에 들어있는 살아있는 미생물제제라고 정의되었다. 생균제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세균은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이다. 락토바실러스 속 중에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 등이 있으며, 스트렙토코쿠스속 중에서는 스트렙토코쿠스 페슘(Streptococcus faecium ),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쿠스 디에시티락티스(Streptococcus diacetilactis)가 주요 균종이다. 생균제 유산균은 장내에 정착하여 증식 및 서식할 수 있을 때 가장 효율적이다. 장내 세포벽에의 정착성은 인체 장관에 서식하기 위한 중요한 선결 조건으로서 생균제 유산균은 장내 세포 표면에 정착함으로서 장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Donohue et al , Asia pacific J. Clin . Nutr . 5:25-28, 1996). 정착성은 생균제 유산균이 인체 장관에 서식하고 또한 장내 조건에서 생육할 수 있는 잠재력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유산균이 사람의 장내에서 그 기능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구강과 위의 효소, 위액의 낮은 pH, 소장내의 담즙 및 점액 등에 대해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Havenaar et al ., Probiotics : the Scientific Basis (Fuller, R., ed.), pp. 209-224, 1992).
생균제 락토바실러스에 관한 특허로는 돼지의 장관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CLW-011(대한민국 특허 제 446148호), 닭의 맹장에서 분리한 락토바실 러스 퍼맨텀 YL-3(대한민국 특허 제 351177호)와 인체의 분변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30SC(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070689호) 등이 있으나, 어류의 장관에서 분리한 유산균 미생물은 전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우 장관에서 분리동정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SM1 균주가 비브리오속 균주 및 여러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억제 효과를 가지며,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내 정착성의 우수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및 이들이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의 배양상득액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의 배양상등액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 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산균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유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한 안면도 인근 바다에서 채취한 대하(Penaus orientalis KISHINOUYE)의 내장에서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비브리오 균주에 다한 항균력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SM1 균주를 분리하였다. 본 균주는 그람 양성 및 간균이었다. 또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결정 및 분석법을 통해 본 발명의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97% 상동성을 가지는 신균주로 동정되었다(도 1 참조). 이후 본 발명의 신균주의 당 발효패턴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글리세롤(glycero), D-리보스(D-Ribose), D-갈락토오스(D-Galactose), D-프락토오스(D-Fractose), D-만노스(D-Mannose), D-만니톨(D-Mannitol),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아미그달린(Amygdalin), 알부틴(Arbutin), 에스쿨린 구연산철(Esculin ferric citrate), 살리신(Salicin), D-델리바이오스(D-Delbiose), D-말토스(D-Maltose), 젠티오바이오스(Gentiobiose), 포타슘 글루코네이트(Potassium Gluconate), 포타슘 2-케토글루코네이트(Potassium 2-Ketogluconate)의 특성을 나타내었다(표 1 참조). 상기 신균주는 2006 년 12월 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Lactobacillus sp. SM1"으로 기탁하였다(KCTC 11043BP). 이후 본 발명의 신균주를 대상으로 인공 위액 상에서 생존율을 조사하여 내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신균주인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인공위액 상에서 30분 동안 지났을 때 67%의 생존율을 보였다(표 2 참조). 또한 내담즙성을 조사한 결과, 3% 담즙산을 첨가한 MRS 플레이트 상에서 성장을 보여 담즙산에 강한 내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표 3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신균주는 병원성 비브리오속 균주 및 여러 병원성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의 배양상득액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에 정착 및 서식할 수 있을 때 그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직장 선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장내 정착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균주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장내 정착 능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SM1 균주가 비교 균주보다 높은 장내 정착 능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 이의 배양상등액은 프로바이오틱스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식품 또는 동물 사료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동물 의약품 및 의약품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의 배양상등액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그의 배양상등액을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로 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 2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비브리오속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인 것이 바람지가며, 상기 비브리오속 미생물은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커스(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안귈라룸(Vibrio anguilarum),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arae) 및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예르시니아 루케리(Yersinia garvieae), 아이로모나스 살모니카다 아종 살모니카다(Aeromonas salmonicida subsp . salmonicida), 에드와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및 레우코트리키릭스 무코르(Leucothrix muc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환으로는 급성 설사, 장염, 위장관염, 변비, 복통, 복부팽만, 콜레라 및 식중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주성분인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i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M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병원성 미생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 없으며, 음료, 파우더, 캅셀, 연질캅셀, 정제, 껌, 점착 타 입 액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탕제, 환제, 정제, 산제, 과립제 등의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보조성분으로 비타민 B, C, E나 베타카로틴, Ca, Mg, Zn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또는 말톨, 올리고당, 아미노산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비타민 C, E나 베타카로틴, 말톨 등 중에서 2 내지 3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생체 활성 효과를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Flovonoid)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 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비브리오속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인 것이 바람지가며, 상기 비브리오속 미생물은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커스(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안귈라 룸(Vibrio anguilarum),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arae) 및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예르시니아 루케리(Yersinia garvieae), 아이로모나스 살모니카다 아종 살모니카다(Aeromonas salmonicida subsp . salmonicida), 에드와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및 레우코트리키릭스 무코르(Leucothrix muc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환으로는 급성 설사, 장염, 위장관염, 변비, 복통, 복부팽만, 콜레라 및 식중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의 간 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참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 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무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는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산균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제제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업계의 당업자가 제조시 중량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는 발효유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업계의 당업자가 제조시 중량부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과정을 제공한: 1)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배양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가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수득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신균주의 분리 및 동정
유산균주의 개발을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바다에서 채취한 새우 내장을 희석하여 MRS(Difco, USA) 배지에서 30℃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전형적인 유산균의 형태로 광택이 흐르는 유백색을 지닌 수십 개의 집락(colony)을 선별 분리하였다. 선별된 집락은 3차에 걸쳐 새로운 배지에 옮겨 배양하는 방법으로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배양된 미생물은 20% 글리세롤이 첨가된 배양배지에 담아 영하 80℃에서 보존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비브리오(Vibrio) 균주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SM1 균 주를 최종 선발하여 동정 분석하였다. 균주의 동정은 생리 생화학적 방법과 분자계통분류학적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형태적인 특징으로는 그람양성이며 간균임을 확인하였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결정 및 분석법을 통하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97%의 상동성을 가지는 신규한 미생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의 분석된 16S rR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으며, 분자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계통 발생적 분지도(phylogenetic tree)는 도 1과 같다. 염기서열결정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DNA의 분리는 배양한 균체를 모아 STES 버퍼[0.4 M NaCl, 0.2 M Tris-HCl(pH 7.6), 0.01 M EDTA, 1% SDS] 100 ㎕에 현탁시켰다. 시료에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첨가하여 5분간 TOMY(micro tube mixer MT-360)로 파쇄하여 세포질을 용출시켰다. 세포 용출액을 TE 버퍼(pH 8.0) 200 ㎕, 페놀/클로로포름(phenol/chloroform) 200 ㎕에 현탁하여 12,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한 후, 상층액을 RNase A 5 ㎕로 처리한 다음 37℃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12,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이후 원심분리한 시료의 상등액을 에탄올로 2회 세척한 후 건조(vacuum dry: SpeedVac)시켰다. 최종적으로 회수한 DNA는 멸균 증류수에 용해 보존하였다. 16S rDNA의 PCR 증폭에는 PCR premix(바이오니아, 대한민국)와 유니버셜 프라이머(universal primer)를 사용하였으며, 정방향 프라이머(5' -GA GTT TGA TCC TGG CTC AG -3':서열번호 2)와 역방향 프라이머(5' -GGT TAC CTT GTT ACG ACT T -3':서열번호 3)를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PCR 증폭시 총 반응액 20 ㎕로 맞추어 PCR을 수행하였다. DNA 변성을 위해 94℃에서 1분, 프라이머의 결합을 위해 50℃에서 1분, DNA 가닥의 합성을 위해 72℃에서 1분 50초 과정을 30회 반복하였다. 증폭된 DNA의 염기서열결정 및 계통분류학적 분석은 장 등(Chang et al., Int . J. Syst . Evol . Microbiol. 52: 377-381, 2002)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정된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에 위치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06년 12월 4일자로 “Lactobacillus sp. SM1”으로 기탁하였다(KCTC 11043BP).
<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속 ( Lactobacillus sp .) SM1 균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조사
신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API 50CHL system(BioMrieux, Marcy I'Etolite, France)를 이용 37℃에서 24,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균주의 당 발효패턴을 분석하였다(표 1).
탄수화물(Carbohydrates)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배양시간(hr)
24 48
글리세롤( Glycerol) + +
D-리보스(D-Ribose) + +
D-갈락토오스(D-Galactose) + +
D-글루코오스(D-Glucose) + +
D-프락토오스(D-Fractose) + +
D-만노스(D-Mannose) + +
D-만니톨(D-Mannitol) + +
N-아세틸글루코사민 (N-Acetylglucosamine) + +
아미그달린(Amygdalin) + +
알부틴(Arbutin) w +
에스큘린 구연산철 (Esculin ferric citrate) + +
살리신(Salicin) w +
D-델리바이오스(D-Delibiose) + +
D-말토스(D-Maltose) + +
젠티오바이오스(Gentiobiose) + +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Potassium Gluconate) - w
포타슘 2-케토글루코네이트 (Potassium 2-Ketogluconate) - w
+,양성; -,음성; w,약한 양성
<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내산성 조사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산에 대한 내성을 규명하기 위해 1 N HCl 버퍼를 사용하여 pH 2.5로 적정한 10 ㎖ 인공 위액[synthetic gastric juice: D-glucose 3.5 g, NaCl 2.05 g, KH2PO4 0.6 g, CaCl2 0.11 g, KCl 0.37 g, Bile extract porcine(B8631, Sigma, USA) 0.05 g, lysozyme 0.1 g 및 pepsin 13.3 mg을 증류수 1 ℓ에 용해시킴]에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를 37℃ 조건에서 0, 30 및 120분 동안 처리한 후, MRS 아가(Difco, USA)에 도말하여 생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인공위액에 30분 동안 스트레스를 주었을 때 67%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2시간 처리 후에는 10%의 생존율을 보였다.
신균주 CFU ml-1 (% 생존율)
0 분 30 분 120 분
락토바실러스속 SM1 1.2×108 (100) 8.0 ×105 (0.67) 1.2 ×105 (0.1)
<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내담즙성 조사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담즙산에 대한 내성 특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담즙산(porcine bile extract, Sigma)을 0, 0.3, 1, 3 및 5%(w/v)씩 첨가한 MRS 아가 플레이트에 균주를 도말하여 37℃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SM1 균주의 생육 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5% 담즙산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성장을 보이지 않았으나, 3% 담즙산 첨가한 실험군까지 성장을 보여 담즙산에 강한 내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신균주 담즙산 농도(%)
0 0.3 1 3 5
락토바실러스속 SM1 T T T W NG
T, bile tolerance ; W, weak growth ; NG , no growth
< 실시예 5> 병원성균 성장 억제 특성 조사
병원성 세균 길항 작용을 실험하기 위해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10 ㎖ MRS 브로스(broth)에 접종한 후 37℃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0.22 ㎕ 입자 크기의 필터(Sartorius, Palaisequ, France)를 사용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상등액만을 수득하였다. 병원성 비브리오 균주는 마린 아가(Marine Agar: Difco,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에드와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아이로모나스 살모니카다 아종 살모니카다(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레우코트리키릭스 무코르(Leucothrix mucor),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아이(Streptococcus iniae), 락토코쿠스 가비에(Lactococcus garvieae)는 TSA(Tryptic Soy Agar: Difco, USA)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여 농도를 106~ 7으로 조정하여 배지에 도말하였다. 병원성 세균이 도말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상등액 60 ㎕을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6 mm, Yoyo Roshi Kaisha, Japan)에 적하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억제환의 직경(mm)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균을 배양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비브리오속 병원체 균주 및 여러 병원성 미생물에 성장 억제 능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2).
병원균 억제 (diameter, mm, mean±SD)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커스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2729) 10.0±1.0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 (V. fluvialis KCTC 2473) 9.5±1.5
비브리오 안귈라룸 (V. anguilarum) 14.0±0.0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 (V. alginolyticus KCTC 2472) 9.8±1.2
비브리오 콜레라 (V. cholarae KCTC 2715) 15.0±0.3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V. vulnificus KCTC 2959) 11.0±0.0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우스 (Streptococcus parauberis KCTC 3651) 0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아이 (S. iniae KCTC 3657) 0
락토코쿠스 가비에 (Lactococcus garvieae KCTC 3772) 0
예르시니아 루케리 (Yersinia ruckeri KCTC 12265) 9.5±1.5
아이로모나스 살모니카다 아종 살모니카다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KCTC 12266) 8.0±1.0
에드와드시엘라 타르다 (Edwardsiella tarda KCTC 12267) 11.6±0.4
레우코트리키릭스 무코르 (Leucothrix mucor KCTC 12450) 15.0±0.2
< 실시예 6>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장내 정착성 조사
장내 세포에 정착력 정도에 대한 실험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인간 직장 선암 세포주(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인 HT-29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와 비교 균주로서 기존의 장내 정착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 GG 균주를 사용하였다. HT-29 세포주는 10%(v/v)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Gibco BRL, USA)에 배양하면서 세포 증식시켰다. MRS 브로스에서 잘 자란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혈청을 첨가하지 않은 RPMI 1640 배지에 첨가하여 준비하였다. 배양된 HT-29 세포주는 16-웰(well) 세포배양 플레이트(BD science, USA)에 분주하여 단일층이 형성되도록 배양한 후, 준비된 락토바실러스속 SM1(109 CFU/㎖) 균주를 첨가하여 5% CO2를 포함하는 37℃ 세포배양기 내에서 배양시켰다. 배양 2시간 후, HT-29 세포주에 부착하지 못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PBS로 세척하고, 0.1% 트리톤(triton) X-100으로 부착된 균주는 떼어낸 다음 MRS 아가(Difco, USA)를 이용하여 37℃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자란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수를 세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도 HT-29 세포주를 대상으로 장내 정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장내 정착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비교 균주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정착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
< 제제예 1>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 이의 배양상등액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조리용 양념 100 중량부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 8 ~ 12 중량부로 혼합하여 간 기능 개선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 8 ~ 12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0.1 ~ 4 중량부, 갈근 추출물 0.1 ~ 3 중량부, 진피 추출물 0.1 ~ 3 중량부, 창출 추출물 0.1 ~ 3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 3 중량부, 홍삼 추출물 0.01 ~ 3.24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간 기능 개선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 8 ~ 12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0.1 ~ 4 중량부, 갈근 추출물 0.1 ~ 3 중량부, 진피 추출물 0.1 ~ 3 중량부, 창출 추출물 0.1 ~ 3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 3 중량부, 홍삼 추출물 0.1 ~ 3.24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은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을 진공 농축기에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은콩 8 중량부, 검은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배양상등액의 건조분말(10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2>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중량부, 구연산 0.05 ~ 0.3 중량부, 카라멜 0.005 ~ 0.02 중량부, 비타민 C 0.1 ~ 1 중량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 10 중량부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 중량부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95 ~ 98℃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중량부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기능성 음료의 제조
비타민 C 0.1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백설탕 3.8 중량부, 구연산 0.12 중량부, 사과산 0.03 중량부, 구연산나타륨 0.04 중량부 및 치자청색소 0.02 중량부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계량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음료를 총량이 1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된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3.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 0.5 중량부, 올리고당 2 중량부, 설탕 2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물 75 중량부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배양상등액 10 중량부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4.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배양상등액의 진공건조물 10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5.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배양상등액의 진공건조물 10 g, 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발효유의 제조
탈지분유를 이용하여 무지유 고형분 함량을 8 ~ 20 중량부로 조정한 원료유룰 72 ~ 75℃에서 15초간 살균하였다. 살균된 원료유를 일정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를 106 cfu/㎖의 농도로 접종하여 pH 4~5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원료 후 배양액을 냉각시켰다. 과즙농축액 0.1 ~ 50 중량부, 식이섬유 0.1 ~ 20 중량부, 포도당 0.5 ~ 30 중량부, 올리고당 0.1 ~ 15 중량부, 칼슘 0.001 ~ 10 중량부, 비타민 0.0001 ~ 5 중량부 등을 녹여 시럽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시럽을 살균한 후 냉각하여 사기 배양액과 일정비율로 혼합, 교반하여 균질화시킨 용기에 포장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유산균 균말의 제조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를 MRS 브로스에 106 cfu/㎖의 농도로 접종하여 37℃에서 18 ~ 24 시간 동안 pH-조절 발효(pH-control fermentation)를 실시하였다. 배양완료 후 4℃에서 10,000 ×g로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균체는 5% 스킴 밀크(skim milk)에 2.5% 유장(whey), 5% 수크로오스(sucrose)가 함유된 보호제와 동량으로 혼합된 후 동결건조기를 통해 분말화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건조분말은 모두 1 ×1011 cfu/g 이상의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 제제예 5> 유산균 제제의 제조
제제예 4에서 제조한 유산균 균말을 이용하여 유산균 식품, 정장제 등의 유산균 제제를 제조하였다.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의 건조 분말 20 중량부에 올리고당 10 중량부, 무수포도당 20 중량부, 결정과당 5 중량부, 비타민 C 2 중량부, 과일분말향 5 중량부, 알로에 5 중량부, 식이섬유 15 중량부, 차전자피 18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틱 또는 병에 일정량 분주하여 포자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유산균 제제는 5 ×108 cfu/g 이상의 생균수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는 위산 및 담즙산에 내성을 가지며, 장내 세포의 흡착 능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비브리오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성장 억제 활성 효과를 가지므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Novel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sp. SM1 showes high cell adherence <130> 6p-12-45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3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RNA of Lactobacillus sp. SM1 <400> 1 tggcggacgg gtgagtaaca cgtgggtaac ctgccctaaa gtgggggata acatttggaa 60 acagatgcta ataccgcata aatcttggaa cctcatggtt ccaagctgaa agatggcgta 120 agctatcgct tttggatgga cccgcggcgt attagctagt tggtgaggta aaggctcacc 180 aaggcgatga tacgtagccg acctgagagg gtg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240 cccaa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aa agtctgatgg 300 agcaacgccg cgtgagtgaa gaaggttttc ggatcgtaaa actctgttgt tggagaagaa 360 cgtacgtgag agtaactgtt cacgtagtga cggtatccaa ccagaaagcc acggctaact 420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atccggattt attgggcgta 480 aagcgagcgc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ctcggctcaa ccgaggaagt 540 gcatcggaaa ctgggaaact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600 gg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660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g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720 taaacgatga atactaa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tgcag ctaacgcatt 780 aagtattccg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840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900 tgacatcttc tgctattcta agagattaga agttcccttc ggggacagaa tgacaggtgg 960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1020 cccttatgac tagttgccag cattaagttg ggcactctaa tcagactgcc ggtgacaaac 1080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1140 gctacaatgg atggtacaac gagtcgcaaa accgcgaggt taagctaatc tcttaaagcc 1200 attctcagtc cggactgtag gctgcaactc gcctacacga agtcggaatc gctagtaatc 1260 gcggatcagc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1320 atgagagttt gtaacacccg aagccggt 1348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 gagtttgatc ctggctcag 19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 ggttaccttg ttacgact 18

Claims (14)

  1. 비브리오(Vibrio) 세균 및 병원균을 억제하는 하기의 균학적 특징을 갖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속) SM1 균주:
    1) 그람 염색시 양성을 나타내는 간균;
    2) 글리세롤(glycerol), D-리보스(D-Ribose), D-갈락토오스(D-glactose), D-글루코오스(D-glucose), D-프락토오스(D-Fractose), D-만노스(D-Mannose), D-만니톨(D-Mannitol),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아미그달린(Amygdalin), 알부틴(Arbutin), 에스큘린 구연산철(Esculin ferric citrate), 살리신(Salicin), D-델리바이오스(D-Delibiose), D-말토스(D-Maltose), 겐티오바이오스(Gentiobiose), 포타슘 글루코네이트(Potassium Gluconate), 포타슘-2-케토클루코네이트(Potassium 2-Ketogluconate)를 탄소원으로 이용.
  2. 제 1항에 있어서, 수탁번호 KCTC 11043BP로 기재되는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3.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4.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상등액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5.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상등액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6.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제 4항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병원성 미생물은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커스(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안귈라룸(Vibrio anguilarum),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arae),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예르시니아 루케리(Yersinia garvieae), 아이로모나스 살모니카다 아종 살모니카 다(Aeromonas salmonicida subsp . salmonicida), 에드와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및 레우코트리키릭스 무코르(Leucothrix muc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질환은 급성 설사, 장염, 위장관염, 변비, 복통, 복부팽만, 콜레라 및 식중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9.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제 4항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병원성 미생물은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커스,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 비브리오 안귈라룸,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 비브리오 콜레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예르시니아 루케리, 아이로모나스 살모니카다 아종 살모니카다, 에드와드시엘라 타르다 및 레우코트리키릭스 무코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11. 제 9항에 있어서, 질환은 급성 설사, 장염, 위장관염, 변비, 복통, 복부팽만, 콜레라 및 식중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의 예방용 건강식품.
  12.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제 4항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산균 제제.
  13.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상등액 또는 제 4항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유.
  14. 1)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배양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가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를 생산하는 방법.
KR1020070030016A 2007-03-27 2007-03-27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086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16A KR100865075B1 (ko) 2007-03-27 2007-03-27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16A KR100865075B1 (ko) 2007-03-27 2007-03-27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68A true KR20080087568A (ko) 2008-10-01
KR100865075B1 KR100865075B1 (ko) 2008-10-24

Family

ID=4015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016A KR100865075B1 (ko) 2007-03-27 2007-03-27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819B1 (ko) * 2009-05-27 2012-05-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포로락토바실러스 비니에 sl15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US8334128B2 (en) 2009-07-17 2012-12-18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Probiotic spor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of Sporolactobacillus vineae strain KCTC 11493BP
CN103405479A (zh) * 2013-06-26 2013-11-2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用于防控养殖后期虾池弧菌的乳杆菌制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275B1 (ko) 2017-02-27 2018-10-01 (주)창조바이오텍 신규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159 또는 이를 포함하는 어류용 사료첨가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454B1 (ko) * 1997-03-04 1999-07-01 박원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100371503B1 (ko) * 2000-08-14 2003-02-06 주식회사 메디오젠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356672B1 (ko) * 2001-12-27 2002-10-19 주식회사 바이로박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그 용도
KR100642798B1 (ko) * 2004-08-26 2006-11-10 김익수 대나무 유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액 및 그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819B1 (ko) * 2009-05-27 2012-05-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포로락토바실러스 비니에 sl15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US8334128B2 (en) 2009-07-17 2012-12-18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Probiotic spor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of Sporolactobacillus vineae strain KCTC 11493BP
CN103405479A (zh) * 2013-06-26 2013-11-2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用于防控养殖后期虾池弧菌的乳杆菌制剂
CN103405479B (zh) * 2013-06-26 2016-02-2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用于防控养殖后期虾池弧菌的乳杆菌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075B1 (ko) 200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234B1 (ko) 장수마을 성인으로부터 분리한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KR102028744B1 (ko) 면역증강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화액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7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768678B1 (ko) 한국 장수마을에서 개발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bi9988
KR101638984B1 (ko) 나노형 김치 유산균
US20030157079A1 (en)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probiotics products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294445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g459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1109744B1 (ko) 균체외 다당을 생성하고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2001074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 조성물
KR101488770B1 (ko) 한국 장수마을의 장수인에게서 개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036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2294437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g4553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94442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g4555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64198B1 (ko)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in0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109746B1 (ko) 균체외 다당을 생성하고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R102230517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2780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면역증강 활성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
KR102479732B1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458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4456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10092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