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480A -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 Google Patents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480A
KR20180103480A KR1020170030493A KR20170030493A KR20180103480A KR 20180103480 A KR20180103480 A KR 20180103480A KR 1020170030493 A KR1020170030493 A KR 1020170030493A KR 20170030493 A KR20170030493 A KR 20170030493A KR 20180103480 A KR20180103480 A KR 2018010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composition
bees
molded artic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275B1 (ko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17003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27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꿀벌들이 직접 채취하여 제조하는 영양분인 자연화분과 가장 유사하여 꿀벌에게는 기호도가 높으면서 영양가 또한 뛰어남은 물론 경제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자연화분을 롤링기에서 압착하는 단계; 상기 압착된 자연화분과,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진 주원료와, 발효액, 설탕 및 물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성형과 동시에 절단하여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성형물의 중량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성형물을 비닐 포장하는 단계; 상기 비닐 포장된 성형물을 소정 갯 수로 단위포장 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갯 수로 포장된 성형물을 온장고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꿀벌이나 유충 등이 부족함 없이 원활하게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양봉 농가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Description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How to make pollen cake for honey bee feed and its pollen cake}
본 발명은 유밀기에 많은 꿀을 채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꿀벌들이 직접 채취하여 제조하는 영양분인 자연화분과 가장 유사하여 꿀벌에게는 기호도가 높으면서 영양가 또한 뛰어남은 물론 경제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을 함에 있어, 특히 꿀이 많이 채집되는 유밀기에는 꿀벌의 활동이 왕성함에 따라 그에 따른 많은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하여 줄 뿐만 아니라 특히 유충에게도 많은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렇게, 꿀벌이나 유충에게 제공되는 영양분은 통상 자연 그대로의 영양분, 즉 벌통 내에 꿀벌이 꿀을 모아 저장하고, 그 저장된 꿀에 화분을 섞어서 화분방에 저장하여 자연발효된 영양분인 화분을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꿀벌들에 의해 모여지는 화분 양과 꿀의 채집에는 한계가 있어, 대부분이 농가에서는 인공적으로 제조한 사료용 화분 떡을 공급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즉, 인위적으로 화분을 포함한 물과 설탕 등 여러 물질을 혼합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으나, 꿀벌들에게는 그리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분을 구매함에 있어, 최근 들어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 됨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히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꿀벌의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화분 떡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409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발효기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화흡수율이 개선되어 꿀벌의 증식속도와 벌꿀의 생산속도를 촉진할 수 있는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떡사료의 제조방법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491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꿀벌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면서도,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주고, 장기간 사용해도 꿀벌 체내에 내성 및 부작용이 생성되지 않는 유산균이 함유된 양봉 사료 및 양봉사료의 제조방법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950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꿀벌의 기호성이 우수하며 꿀벌의 체중 및 개체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벌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꿀벌용 사료 조성물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06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꿀벌에서 채집한 천연 꿀벌화분을 꿀벌화분의 보관과정에서 변질 및 곰팡이가 발생하는 곰팡이균으로부터 최대한 변질 및 곰팡이균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보관 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키는 천연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일회용 스틱형 꿀벌화분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40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49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950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068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및 선행기술문헌 2는 투입된 과다한 양의 효소와 미생물로 인한 꿀벌들에게 기호도가 낮은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그 제조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을 가지며, 선행기술문헌 4는 많은 제조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해결과제는 꿀벌들이 직접 채취하여 제조하는 영양분인 자연화분과 가장 유사하여 꿀벌에게는 기호도가 높으면서 영양가 또한 뛰어남은 물론 경제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물류가 편리하면서 정량으로의 공급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자연화분을 롤링기에서 압착하는 단계; 상기 압착된 자연화분과,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진 주원료와, 발효액, 설탕 및 물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성형과 동시에 절단하여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성형물의 중량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성형물을 비닐 포장하는 단계; 상기 비닐 포장된 성형물을 소정 갯 수로 단위포장 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갯 수로 포장된 성형물을 온장고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지는 주원료는 땅콩 박, 비유전자변형 황두(학명 - Glycine max MERR.) 박, 밀배아, 당근가루, 비유전자변형 옥수수 단백, 맥주용 건조효모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배합은 자연화분 20~25%, 주원료 20~24%, 발효액 8~13%, 설탕 36~42%, 물 10~16%이다.
상기 발효액은 사양 꿀과 매실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10일 이상 발효시킨 후 추출한 액상이다.
상기 성형물 계량시 설정한 무게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다시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로 성형물을 되돌려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정 갯 수로 포장된 성형물의 온장고에서의 숙성은 25~35℃의 온도로 70~74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꿀벌들이 직접 채취하여 제조하는 영양분인 자연화분과 가장 유사하여 꿀벌에게는 기호도가 높으면서 영양가 또한 뛰어남은 물론 경제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꿀벌이나 유충 등이 부족함 없이 원활하게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양봉 농가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한, 물류가 편리하면서 정량으로의 공급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 및 취급 등이 편리하면서 꿀벌에게도 적정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꿀벌 사료용 화분 떡은 유밀기에 많은 양의 꿀을 채집할 수 있도록 꿀벌들에게 공급되는 영양분으로, 특히 꿀벌들뿐만 아니라 유충에게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한 중요한 영양성분이다.
본 발명은 꿀벌들이 직접 채취하여 제조하는 영양분인 자연화분과 가장 유사하여 꿀벌에게는 기호도가 높으면서 영양가 또한 뛰어남은 물론 경제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 사료용 화분 떡의 제조방법은 먼저, 벌들에 의해 채집된 자연화분을 통상적인 롤링기에서 압착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벌들에 의해 채집된 자연화분은 통상 좁쌀 등과 같은 동글동글 한 구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이를 후술하는 물과 혼합시 잘 풀어짐과 아울러 다른 성분과 배합시 배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롤링기에서 압착에 의해 분말 형태로 분쇄하거나 또는 얇은 두께를 갖도록 납작하게 형성한다. 이때, 자연화분은 꿀벌의 육아와 번식을 위해 반듯이 필요로 하는 단백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압착된 화분과,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진 주원료와, 발효액, 설탕 및 물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S2)를 행한다.
즉, 조성물은 꿀벌이나 유충이 섭취하는 중요한 영양분으로, 높은 기호도와 많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백질은 성충벌의 근육이나 조직의 발달에 필요하며 왕유를 분비하여 유충을 키위기 이한 필수성분이다.
다시 말해서, 꿀벌은 원래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곤충으로, 유전자 변형이 되지 않고 동물성 단백질(카제인, 탈지분유, 건조 난황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된 성분이 식물성 단백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지는 주원료는 꿀벌의 필수 아미노산 조성비율과 맞춰서 단백질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식물성인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한 땅콩 박, 불포화 지방산과 풍부한 리놀렌산과 레시틴이 함유되어 꿀벌의 체력 축적에 유용한 비유전자변형 황두(학명 - Glycine max MERR.) 박, 풍부한 비타민을 함유한 밀배아를 포함한다. 또,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고 당분을 가지는 당근가루, 천연색소, 아미노산, 생장 촉진인자와 유충을 구성하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풍부하여 지질대사 촉진을 유발하는 비유전자변형 옥수수 단백, 균체 비타민, 균체 단백질의 복합체이면서 완전한 B그룹 비타민과 광물질 등이 함유됨과 아울러 펩타이드, 생장을 촉진하는 인자가 풍부한 맥주용 건조효모를 포함한다. 상기 주원료의 배합은 땅콩 박 35~40%, 비유전자변형 황두 박 10-15%, 밀배아 35~40%, 당근가루 3~5%, 비유전자변형 옥수수 단백 15~20%, 매주용 건조효모 5~10%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의 배합은 자연화분 20~25%, 주원료 20~24%, 발효액 8~13%, 설탕 36~42%, 물 10~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화분은 꿀벌들이 원래 단백질을 얻기 위한 먹는 자연식품으로 사료용 화분 떡의 기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20% 이하일 경우에는 제조가 완료된 사료용 화분 떡을 먹는 속도가 줄어들어, 봄철 유충의 성장속도와 산란면적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25% 이상일 경우에는 벌들의 섭취량은 많아질 수 있으나, 자연화분의 가격이 급등하여 사료용 화분 떡을 제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그로 인해 상기 자연화분을 20~25%를 혼합함에 따라 벌들이 섭취는 적정량을 유지하면서 유충의 성장속도와 산란면적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경제적인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주원료는 곡물의 식물성 단백질로 대부분이 이루어짐에 따라 25% 이상 혼합될 경우에는 초봄 벌통 내부온도가 평균 24℃인 경우, 제조된 사료용 화분 떡 양끝에서부터 수분이 말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물을 흡수하는 곡물의 특성으로 인해, 즉 밥을 짓기 전에 쌀을 물에 불리듯 시간이 지나면 수분을 흡수하므로 25% 이상 혼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주원료는 식물성 단백질 함량이 대략 45% 정도인데, 자연화분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대략 25% 정도이므로 최대한 주원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꿀벌 체내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며 꿀벌이 필요로 하는 체내 단백질 60%를 충족하기 위해 적은 양의 사료용 화분 떡을 먹고도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또한 적은 양의 사료용 화분 떡으로 꿀벌을 양봉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양봉 농가들에게는 경제적일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그리고 주원료를 20% 미만으로 혼합하였을 때에는 단백질 함량이 적어 더욱더 많은 양을 제공해야 함으로 인한 중량 중가와 같은 잦은 공급 등과 같은 번거로움이 단점을 가짐은 물론 특히 꿀벌에게 충분한 식물성 단백질을 원활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주원료는 적정량으로 꿀벌에게 충분한 식물성 단백질을 제공하면서 경제성이 높은 조건을 가지는 20~24%가 적정하다 할 것이다.
발효액은 꿀벌의 기호도를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즉 원래 꿀벌은 화분을 꿀과 섞어 벌통 안 화분방에 저장하여 화분을 발효시킨 후 섭취한다. 하지만, 사료용 화분 떡을 제조시 꿀을 넣을 경우, 가격이 상당히 비싸지기 때문에 꿀 대신 설탕과 물을 섞어 만드는 것이다. 이때, 발효액을 넣어 줌에 따라 벌통 안의 화분방에서 발효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꿀벌이 화분을 모을 때는 꿀벌이 중장에 저장해놓은 꿀을 입으로 토해내어 꽃에 있는 화분과 섞어 꿀벌의 뒷다리에 모아 벌통으로 가져와 벌집에 저장한다. 이 꿀은 꿀벌이 꽃물(꽃의 단물)을 식도를 통해 중장으로 저장해 놓으면서 꿀벌의 타액과 섞여 벌통으로 돌아와 벌집의 꿀 저장소에 다시 꿀을 토해내어 25℃ 이상의 온도에서 발효를 시킨다. 이렇게 실제 꿀벌이 화분을 모을 때에 사용하는 꿀이 발효된 꽃물 당으로써, 이 꿀과 비슷한 성분인 발효액을 넣어 꿀벌의 기호도를 높이며 이 발효에 의해 소화 흡수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효액은 통상적인 사양 꿀과 매실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10일 이상 발효시킨 후 추출한 액상을 사용함에 따라 꿀이 발효된 꽃물 당과 가장 유사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발효액을 8% 미만 넣었을 때에는 기호도가 저조하여 섭취량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또, 13% 이상 넣었을 때에는 발효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오히려 벌들의 섭취에 지장을 초래하는 관계로, 발효액은 8~13%가 적정하다 할 것이다.
설탕 36~42%와 물 10~16%인 것은, 설탕과 물의 혼합은 꿀의 역할과 같으며, 꿀벌에게 탄수화물을 제공해 주면서 사료용 화분 떡을 제조시 기호도 또한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설탕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사료용 화분 떡의 전체 단백질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적정한 함량이 중요하다. 그리고 설탕과 물의 양에 의해 사료용 화분 떡의 건조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당한 비율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즉, 설탕을 36% 이하, 물 10% 이하로 넣을 경우, 1일 사료용 화분 떡을 섭취하는 양이 대략 50% 이상 줄어들며, 이는 꿀벌의 특성상 벌의 세력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벌의 세력이 약한 경우에는 오랜 기간(대략 20일 이상) 먹지 않아 사료용 화분 떡이 전부 말라 돌처럼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아울러, 설탕 42% 이상, 물 16% 이상 넣어 반죽할 경우, 단백질 함량이 10% 미만이 되며, 먹는 속도가 빨라 기호도는 올라갔으나, 단백질 함량이 낮아서 산란면적이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설탕 36~42%와 물 10~16%의 비율로 넣을 경우, 벌통 안에서 벌들이 사료용 화분 떡을 먹는 속도가 자연상태의 화분을 먹는 경우와 비슷하였으며, 산란면적은 오히려 자연상태의 화분을 먹을 때보다 1/2 증가하였다.
또한, 꿀벌이 모은 자연화분의 탄수화물은 36% 정도이나, 본 발명의 사료용 화분떡을 제조할 때, 설탕을 36~42% 정도를 넣으면 곡물에서 벌레가 생길 수 있어, 보관에 여러 문제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화분+주재료 : 설탕 = 50:50 비율 또는 40:60의 비율로 넣어 줬을 때에는 벌레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상기한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물은 사료용 화분 떡을 반죽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물의 양은 사료용 화분 떡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벌통 안에 넣을 때 높은 온도에도 흘러내지 않을 정도의 수분을 함유해야 하며, 양봉 농가가 벌통 안을 내검 할 때 사료용 화분 떡이 너무 질어서 소초광에 달라붙지 않을 정도의 수분이 필요한 것이다.
그로 인해 상기한 물의 함유량의 유지할 경우, 사료용 화분 떡은 꿀벌이 잘 먹술 수 있는 정도의 단단함과 흘러내지 않을 정도의 찰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합에 의한 조성물이 마련된 다음에는 상기 조성물을 통상적인 성형기에서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성형과 동시에 절단하여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즉, 조성물을 운반이나 취급이 편리하면서 벌통 안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적정 무게와 크기를 갖도록 성형한다. 이때, 성형물은 대략 1㎏ 정도의 중량을 가지면서 두께는 대략 2~3㎝ 정도의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무게와 두께는 벌통 안에 설치가 가장 이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는, 즉 소초광의 위에 올려놓을 때, 더 두꺼울 경우, 벌통 뚜껑과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두께가 적정하다 할 것이다. 또, 무게 또한 더 무거운 중량을 가질 경우, 취급이 불편함은 물론 꿀벌들의 섭취시간이 오래 소요됨에 따라 꿀벌들이 다 섭취하지 못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한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 적당하다 할 것이다.
이렇게, 성형물로 제작된 후에는 그 제작된 성형물의 중량을 계량하는 단계(S4)를 거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성형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이 가장 이상적으로 정확한 배급과 아울러 보급시나 판매시 항상 균일한 양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저울을 이용하여 1㎏의 정확한 양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성형물 계량시 설정한 1㎏ 무게의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다시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로 성형물을 통상적인 이송장치나 운반장치로 되돌려 보내는 단계(S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형물의 계량시 설정한 무게 보다 많거나 작을 경우, 원하는 적정량으로의 공급에 차질을 빚는 관계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구매자나 소비자에게 정확한 중량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벌통으로의 설치는 물론 꿀벌들이 섭취하기 용이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계량된 성형물을 통상적인 비닐 포장기에서 비닐 포장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이러한, 비닐 포장은 성형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다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취급 또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닐 포장된 성형물을 소정 갯 수로 단위포장 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즉, 보관이나 이송 등 물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닐 포장된 성형물을 대략 10개 단위 또는 20개 단위나 대량의 50개 이상 등의 필요로 하는 양만큼을 박스 등에 의해 포장함으로써, 물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소정 갯 수로 단위포장 된 성형물을 통상적인 온장고에서 숙성하는 단계(S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정 갯 수로 단위포장 된 성형물의 온장고에서의 숙성은 25~35℃의 온도로 70~74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숙성온도를 25℃ 이하와 70시간 이하로 숙성할 때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 35℃ 이상 74시간 이상일 때에는 과도한 숙성으로 인해 물성이 변질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한 조건이 적정하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꿀벌이 화분을 모을 때는 꿀벌이 뱃속에 저장해 놓은 꿀을 입으로 토해내어 꽃에 있는 화분과 섞어 꿀벌의 뒷다리에 모아 집으로 가져와 벌집에 저장한다. 실제로 벌통 안 평균 온도가 겨울철에도 21℃ 정도를 유지하며 날씨가 따뜻한 활동기에는 봉구 중심에는 36℃ 정도와 수분 95% 정도를 유지한다. 그래서 저장된 화분은 자연발효가 되며 자연발효 된 화분을 먹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숙성 단계는 벌통 내에서와 같은 조건에 의해 숙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정한 온도와 시간을 유지함에 따라 자연발효 된 화분과 극히 유사한 상태로 숙성이 이루어짐으로써, 꿀벌의 기호도가 올라가 영양가가 좋은 원료를 잘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소한의 간단한 과정과 저렴한 비용으로 꿀벌들에게 높은 기호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섭취 또한 거부감 없이 원활하게 섭취가 이루어지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물류 또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한 조건을 가진다.
또한, 최소한의 제조원가로 인해 구매자로 하여금 경제적으로부터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Claims (7)

  1. 자연화분을 롤링기에서 압착하는 단계;
    상기 압착된 자연화분과,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진 주원료와, 발효액, 설탕 및 물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성형과 동시에 절단하여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성형물의 중량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성형물을 비닐 포장하는 단계;
    상기 비닐 포장된 성형물을 소정 갯 수로 단위포장 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갯 수로 포장된 성형물을 온장고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과 균사체 배합사료로 이루어지는 주원료는 땅콩 박, 비유전자변형 황두(학명 - Glycine max MERR.) 박, 밀배아, 당근가루, 비유전자변형 옥수수 단백, 맥주용 건조효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배합은 자연화분 20~25%, 주원료 20~24%, 발효액 8~13%, 설탕 36~42%, 물 10~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은 사양 꿀과 매실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10일 이상 발효시킨 후 추출한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 계량시 설정한 무게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다시 성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로 성형물을 되돌려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갯 수로 포장된 성형물의 온장고에서의 숙성은 25~35℃의 온도로 70~7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꿀벌 사료용 화분 떡.
KR1020170030493A 2017-03-10 2017-03-10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KR10200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93A KR102000275B1 (ko) 2017-03-10 2017-03-10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93A KR102000275B1 (ko) 2017-03-10 2017-03-10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80A true KR20180103480A (ko) 2018-09-19
KR102000275B1 KR102000275B1 (ko) 2019-07-16

Family

ID=6371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93A KR102000275B1 (ko) 2017-03-10 2017-03-10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9144A (zh) * 2019-12-05 2020-03-06 灵石县飞翔蜂业专业合作社 一种便捷式蜂粮饲喂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883B1 (ko) * 2019-12-26 2021-06-30 현정호 양봉 먹이용 떡사료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양봉 먹이용 떡사료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151A (ja) * 1984-10-01 1986-04-30 Nippon Haigou Shiryo Kk 蜜蜂用飼料およびその製造法
US20060148378A1 (en) * 2004-12-30 2006-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rtificial diets for honey bees
WO2006080019A1 (en) * 2005-01-31 2006-08-03 Tzuf Globus Ltd. Bee-food, honey made by bees fed with it, and uses of such honey
KR20080058551A (ko) * 2006-12-22 2008-06-26 경상북도예천군 뒤영벌의 먹이 바 제조장치
KR100946592B1 (ko) * 2009-09-11 2010-03-09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초액이 함유된 꿀벌용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8623A (ko) * 2009-08-18 2011-02-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함유 벌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벌꿀
KR20120040487A (ko) * 2010-10-19 2012-04-27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4099B1 (ko) 2010-10-19 2013-10-0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떡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915B1 (ko) 2012-03-05 2014-04-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이 함유된 양봉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9500B1 (ko) 2012-10-09 2014-07-1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미강이 함유된 꿀벌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8068A (ko) 2014-02-19 2015-08-27 원웅희 천연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꿀벌화분 및 제조방법
WO2016004312A1 (en) * 2014-07-03 2016-01-07 Adm Alliance Nutrition, Inc Insect feeds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151A (ja) * 1984-10-01 1986-04-30 Nippon Haigou Shiryo Kk 蜜蜂用飼料およびその製造法
US20060148378A1 (en) * 2004-12-30 2006-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rtificial diets for honey bees
WO2006080019A1 (en) * 2005-01-31 2006-08-03 Tzuf Globus Ltd. Bee-food, honey made by bees fed with it, and uses of such honey
KR20080058551A (ko) * 2006-12-22 2008-06-26 경상북도예천군 뒤영벌의 먹이 바 제조장치
KR20110018623A (ko) * 2009-08-18 2011-02-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함유 벌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벌꿀
KR100946592B1 (ko) * 2009-09-11 2010-03-09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초액이 함유된 꿀벌용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0487A (ko) * 2010-10-19 2012-04-27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4099B1 (ko) 2010-10-19 2013-10-0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떡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915B1 (ko) 2012-03-05 2014-04-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이 함유된 양봉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9500B1 (ko) 2012-10-09 2014-07-1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미강이 함유된 꿀벌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8068A (ko) 2014-02-19 2015-08-27 원웅희 천연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꿀벌화분 및 제조방법
WO2016004312A1 (en) * 2014-07-03 2016-01-07 Adm Alliance Nutrition, Inc Insect fee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9144A (zh) * 2019-12-05 2020-03-06 灵石县飞翔蜂业专业合作社 一种便捷式蜂粮饲喂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275B1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1764A (zh) 工业化节能低碳培育北虫草的方法
CN103804098A (zh) 一种草菇培养基及其栽培草菇方法
CN103229898A (zh) 一种奶牛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62995A (ko) 비지박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KR101190274B1 (ko) 꽃무지류의 대량사육방법
CN105061100A (zh) 一种袖珍菇栽培基
KR20180104894A (ko) 잎새버섯 폐배지로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는 방법
KR102000275B1 (ko) 꿀벌 사료용 화분 떡 제조방법 및 그 화분 떡
CN101971915B (zh) 生物发酵软质饲料及其生产方法
CN101433278A (zh) 一种生物与化学制剂相结合的青贮技术
KR101314099B1 (ko)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떡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18550A (zh) 新型反刍动物饲料
CN109020743A (zh) 一种玉木耳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
CN109221682A (zh) 一种高效青贮饲料的制备方法
CN109496992A (zh) 一种超级富硒黄粉虫的生产方法
CN101999551A (zh) 大豆秸秆为原料的奶牛后备牛tmr发酵饲料及其制备
CN108013209A (zh) 一种用于饲养红脉穗螟幼虫的人工发酵饲料
JPH035785B2 (ko)
CN107373079A (zh) 一种蜂群春繁期发酵饲料
CN109430549A (zh) 利用食用菌的消化作用制备饲料的方法
KR20110130054A (ko) 칡성분을 첨가한 사료용 여물의 제조방법
CN107787788B (zh) 一种富硒营养嫩玉米蓉粳的加工及其生产方法
JPH11169098A (ja) 養蜂用飼料
CN102775210A (zh) 一种黄金菇配养料
CN104756734B (zh) 一种玉米盆栽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