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981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2981A KR20180102981A KR1020170122563A KR20170122563A KR20180102981A KR 20180102981 A KR20180102981 A KR 20180102981A KR 1020170122563 A KR1020170122563 A KR 1020170122563A KR 20170122563 A KR20170122563 A KR 20170122563A KR 20180102981 A KR20180102981 A KR 201801029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wheel
- grip portion
- grip
- vehicle
- rotation ax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8—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non-mechanical, e.g. following a line or other known markers
- B62D1/286—Systems for interrupting non-mechanical steering due to driver interven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차량에는 고정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50)는 스티어링 휠(15)의 근방에 배치되는 그립부(51R, 51L)를 갖고 있다.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15)은 고정 부재(5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차량에 의하면, 운전자가 수동 운전 모드에의 이행에 즉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운전 모드와 수동 운전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갖고 있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운전 모드와 수동 운전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갖고 있는 차량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61356호 공보의 차량에서는 운전석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그랩바가 배치되어 있다. 자동 운전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운전자는 이 그랩바를 쥠으로써 바디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고, 쾌적한 주행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613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그랩바는 자동 운전 모드로부터 수동 운전 모드로 스위칭된 순간에 스티어링 휠을 즉시 쥐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자동 운전 모드와 수동 운전 모드를 갖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수동 운전 모드로의 이행에 바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차량은, 전륜 및 후륜과,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운전자가 상기 전륜을 조타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과, 액추에이터로 상기 전륜을 조타하는 자동 운전 모드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륜을 조타하는 수동 운전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갖고 있는 제어 장치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근방에 위치하는 그립부를 갖고 있는 고정 부재를 갖는다.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고정 부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그립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보았을 때에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 차량에 의하면, 운전자는 그립부를 쥐고 있는 손을 스무스하게 스티어링 휠로 이동시켜 스티어링 휠을 쥘 수 있으므로, 수동 운전 모드로의 이행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2)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을 따라 만곡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운전자는 그립부를 쥐고 있는 손을 보다 스무스하게 스티어링 휠로 이동시켜 스티어링 휠을 쥘 수 있다.
(3)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보았을 때에 상기 스티어링 휠보다 반경 방향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는 용이하게 그립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그립부를 스무스하게 쥘 수 있다.
(4)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그립부의 위치는 차체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보다 상기 전륜 쪽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수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그립부가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수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그립부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홀더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 부재의 이 설치 구조에 의하면, 고정 부재의 위치가 운전자의 다리로부터 멀어지므로 고정 부재가 운전자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그립부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보다 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우측 그립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좌측 그립부를 갖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우측 그립부의 하단부와 상기 좌측 그립부의 하단부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운전자에 대하여 그립부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1)에 기재된 차량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에 인접하고 있는 지지 기구로 지지되고, 상기 지지 기구로부터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보았을 때에 상기 조작 레버와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운전자가 조작 레버를 조작할 때에 그립부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전륜의 조타에 따라 회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자동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중에 운전자는 그립부를 쥠으로써 운전자 자신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의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스티어링 휠이 배치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스티어링 휠과 고정 부재를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향하는 도이다.
도 5는 스티어링 휠과 고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스티어링 휠과 고정 부재의 하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 부재가 갖고 있는 그립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고정 부재가 갖고 있는 그립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고정 부재가 갖고 있는 그립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스티어링 휠이 배치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스티어링 휠과 고정 부재를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향하는 도이다.
도 5는 스티어링 휠과 고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스티어링 휠과 고정 부재의 하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 부재가 갖고 있는 그립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고정 부재가 갖고 있는 그립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고정 부재가 갖고 있는 그립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차량(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차량(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스티어링 휠(15)이 배치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스티어링 휠(15)과 후술하는 고정 부재(50)를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향하는 도이다. 도 5는 스티어링 휠(15)과 고정 부재(5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스티어링 휠(15)과 고정 부재(50)의 하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Y1, Y2의 방향을 각각 전방,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X1, X2의 방향을 우측 방향, 좌측 방향이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조타륜인 좌우의 전륜(2)과, 구동륜인 좌우의 후륜(3)을 갖고 있다. 차량(1)은 후륜(3)을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 차량 구동 모터(4)를 갖고 있다. 차량(1)의 예 대신에, 구동원은 엔진이어도 좋다. 차량(1)은 배터리(29)와 제어 장치(30)와 구동 제어 회로(32)를 갖고 있다. 차량(1)의 주행시, 구동 제어 회로(32)는 배터리(29)의 전력을 받고, 제어 장치(30)로부터 받은 지령값에 따른 전력을 차량 구동 모터(4)에 공급한다. 차량(1)은 운전자가 차량의 구동원을 제어하기 위한 액셀 페달(9)을 갖고 있다. 또한, 차량(1)은 액셀 스위치(9a)와 액셀 포지션 센서(9b)를 갖고 있다. 액셀 스위치(9a)는 액셀 페달(9)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 즉 액셀 페달(9)이 운전자에게 밟혔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ON/OFF 신호를 출력한다. 액셀 포지션 센서(9b)는 액셀 페달(9)의 조작량(밟기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30)는 그 제어 모드로서, 수동 운전 모드와 자동 운전 모드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30)는 수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액셀 포지션 센서(9b)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 구동 모터(4)를 제어한다.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30)는 차속이 목표 차속에 일치하도록 차량 구동 모터(4)를 제어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가 전륜(2)을 조타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5)을 갖고 있다. 스티어링 휠(15)은 스티어링 휠(15)로부터 신장되어 있는 회전축(18) 및 타이로드(19)를 통해서 전륜(2)에 연결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15)의 회전 위치와 전륜(2)의 방향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수동 운전 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15)의 조작에 따라 전륜(2)은 조타된다. 차량(1)은 전륜(2)을 조타하기 위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와,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에 그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스티어링 드라이버(35)를 갖고 있다. 자동 운전 모드에서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는 제어 장치(30)에 의해 제어되고, 전륜(2)은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에 의해 조타된다.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는 제어 장치(30)로부터 스티어링 드라이버(35)에 출력되는 지령값에 따른 속도로 구동한다.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주행 코스의 지면에 메워져 있는 유도선을 따라 차량(1)이 주행하도록, 제어 장치(30)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를 제어한다. 주행 코스는, 예를 들면 공공도로나 골프장 등에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좌우 방향으로서 늘어선 복수의 유도선 센서(16R, 16C, 16L)를 갖고 있다. 각 유도선 센서(16R, 16C, 16L)는 차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도선 센서(16R, 16C, 16L)와 유도선의 상대 위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30)는 차량(1)이 주행 코스로부터 일탈하지 않도록, 유도선 센서(16R, 16C, 16L)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를 제어한다. 차량(1)은 반드시 유도선이 부설된 주행 코스를 주행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차량(1)은 그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센서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차량(1)이 그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에 추종하도록, 제어 장치(30)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를 제어해도 좋다. 또 다른 예에서는, 차량(1)은 공공도로의 차선을 검지하는 센서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차량(1)이 차선을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 장치(30)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를 제어해도 좋다.
차량(1)은 스티어링 센서(28)를 갖고 있다. 스티어링 센서(28)는 스티어링 휠(15)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티어링 센서(28)는, 예를 들면 회전축(18)에 작용하는 토크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이다. 스티어링 센서(28)는 반드시 토크 센서가 아니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프론트 시트(41)와 리어 시트(43)를 갖고 있다. 스티어링 휠(15)은 프론트 시트(4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은 상방 또한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5)은 회전축(18)의 최상부에 고정되어 회전축(18)과 일체로 회전한다. 차량(1)의 예에서는 프론트 시트(41)의 전방에 대시보드(42)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18)의 상부는 대시보드(42)로부터 상방 또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은 좌측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회전축(18)의 배치는 적당히 변경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회전축(18)은 반드시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 있지 않아도 좋다.
차량(1)은 고정 부재(50)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50)는 스티어링 휠(15)의 근방에 배치되는 그립부(51R, 51L)를 갖고 있다. 그립부(51R, 51L)는 봉 형상의 부분이다.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18)에 따른 방향(D1)(도 5 참조)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이하에서는 회전축(18)에 따른 방향(D1)을 회전축의 방향이라고 함). 바꿔 말하면, 그립부(51R, 51L)의 일방의 단부는 스티어링 휠(15)의 하단(15a)을 지나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직선(L1) 쪽에 위치하고, 그립부(51R, 51L)는 그 단부로부터 스티어링 휠(15)의 상단(15b)을 지나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직선(L2)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더 바꿔 말하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의 상단(51c)이 그립부(51R, 51L)의 하단(51a)보다 직선(L2) 쪽에 배치되고, 그립부(51R, 51L)의 하단(51a)이 그립부(51R, 51L)의 상단(51c)보다 직선(L1) 쪽에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5)은 고정 부재(5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즉, 고정 부재(50)는 스티어링 휠(15)과는 일체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량(1)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을 지지하는 회전축 홀더(21)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중 전륜(2)은 스티어링 액추에이터(17)를 지나서 제어 장치(30)에 의해 조타된다. 이 때, 회전축(18)과 스티어링 휠(15)은 전륜(2)의 조타에 따라 회전한다. 한편, 고정 부재(5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자동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중 고정 부재(50)의 그립부(51R, 51L)를 쥠으로써 운전자 자신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의 근방에 위치하고,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운전자는 그립부(51R, 51L)를 쥐고 있는 손을 스무스하게 스티어링 휠로 이동시켜 스티어링 휠을 쥘 수 있으므로, 자동 운전 모드로부터 수동 운전 모드으로의 이행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액셀 페달(9)이 밟힌 것을 액셀 스위치(9a)에 의해 검지했을 때, 수동 운전 모드에 의한 주행을 개시한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5)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것을 스티어링 센서(28)에 의해 검지했을 때에, 수동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개시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우측 그립부(51R)와 좌측 그립부(51L)를 갖고 있다. 우측 그립부(51R)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보다 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좌측 그립부(51L)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자는 좌우의 손으로 좌측 그립부(51L)와 우측 그립부(51R)를 각각 쥘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회전축(18)의 중심(C1)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L4)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따라서, 우측 그립부(51R)와 좌측 그립부(51L)는 직선(L4)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의 방향(D1)에 있어서의 그립부(51R, 51L)의 위치는 차체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5)의 위치보다 전륜(2) 쪽이다. 바꿔 말하면,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의 방향(D1)에 있어서의 그립부(51R, 51L)의 위치는 스티어링 휠(15)보다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의 하단(18a) 쪽이다. 이것에 의해, 수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그립부(51R, 51L)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의 측면시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스티어링 휠(15)은 그 측면시에 있어서, 전방 또한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립부(51R, 51L)도 전방 또한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는 그립부(51R, 51L)를 쥐고 있는 손을 스티어링 휠(15)에 더욱 스무스하게 이동시키고 스티어링 휠을 쥘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의 측면시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5)과 평행하다. 또한, 「그립부(51R, 51L)가 스티어링 휠(15)의 측면시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란 그립부(51R, 51L)가 스티어링 휠(15)과 마찬가지로 전방 또한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지만, 스티어링 휠(15)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형태도 포함한다. 따라서, 그립부(51R, 51L)가 스티어링 휠(15)과 반드시 평행하지 않아도 좋다.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수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그립부(51R, 51L)가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의 방향(D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5)로부터 떨어져 있다. 즉, 스티어링 휠(15)의 측면시에 있어서, 그립부(51R, 51L)와 스티어링 휠(15) 사이에 간극(S2)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1)의 예 대신에, 스티어링 휠(15)의 측면시에 있어서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과 겹쳐 있어도 좋다. 한편,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와 스티어링 휠(1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수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그립부(51R, 51L)가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5)은 원형이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운전자는 그립부(51R, 51L)를 쥐고 있는 손을 더욱 스무스하게 스티어링 휠(15)로 이동시켜 스티어링 휠을 쥘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의 일부를 따라 만곡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의 하반부(15d)를 따라 만곡하고 있다(「하반부(15d)」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 중심(C1)을 지나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직선(L3)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임).
또한, 「우측 그립부(51R)가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란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우측 그립부(51R)가 만곡하면서 상방 또한 우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그립부(51L)가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란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좌측 그립부(51L)가 만곡하면서 상방 또한 좌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과 같은 중심(C1)을 갖는 원호가 아니어도 좋다. 또한, 그립부(51R, 51L)는 반드시 그 전체가 만곡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우측 그립부(51R)의 일부가 직선적으로 신장하고, 다른 일부가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만곡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좌측 그립부(51L)의 일부가 직선적으로 신장하고, 다른 일부가 스티어링 휠(15)을 따라 만곡해도 좋다. 또한, 그립부(51R, 51L)는 그 도중의 위치에서 굴곡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보다 반경 방향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운전자는 용이하게 그립부(51R, 51L)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그립부(51R, 51L)를 스무스하게 쥘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그립부(51R, 51L)의 내측 부분(도 4에 있어서 파선 부분)은 스티어링 휠(15)과 겹쳐 있고, 그립부(51R, 51L)의 외측 부분(51b)은 스티어링 휠(15)보다 반경 방향의 외방에 위치하고 있다. 차량(1)의 예 대신에, 그립부(51R, 51L)의 전체가 스티어링 휠(15)보다 반경 방향의 외방에 위치해도 좋다. 즉,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과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아도 좋다. 바꿔 말하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51R, 51L)와 스티어링 휠(1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그립부(51R)와 좌측 그립부(51L)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다.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 그립부(51R)의 하단부(51a)와 좌측 그립부(51L)의 하단부(51a) 사이에 스페이스(S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시트(41)에 앉아 있는 운전자에 대하여 그립부(51R, 51L)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스티어링 휠(15)은 회전축(18)의 최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원반 형상의 중심부(15e)를 갖고 있다. 우측 그립부(51R)의 하단부(51a)는 중심부(15e)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좌측 그립부(51L)의 하단부(51a)는 중심부(15e)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차량(1)의 예 대신에, 그립부(51R, 51L)의 하단부(51a)는 중심부(15e)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회전축(18)의 회전중심(C1) 쪽에 위치해도 좋다. 또 다른 예에서는 우측 그립부(51R)의 하단부(51a)와 좌측 그립부(51L)의 하단부(51a)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즉, 그립부(51)는 스티어링 휠(15)의 하부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우측 그립부(51R)와 좌측 그립부(51L)를 연결시키는 부분을 가져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예에서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은 원형이다. 차량(1)의 예 대신에, 스티어링 휠(15)은 그 일부에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15)의 하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직선적으로 신장되어도 좋다(「하부」란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 그립부(51R)의 하단부(51a)와 좌측 그립부(51L)의 하단부(51a)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레버(44)를 갖고 있다. 조작 레버(44)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에 인접하고 있는 지지 기구(44a)(도 5 참조)로 지지되고, 지지 기구(44a)로부터 스티어링 휠(15)의 반경 방향의 외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조작 레버(44)는, 예를 들면 플래셔(46)(도 1 참조)를 점멸시키거나 소등하기 위한 레버이다.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조작 레버(44)와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에 의한 조작 레버(44)의 조작에 대하여 그립부(51R, 51L)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조작 레버(44)는 좌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 그립부(51L)는 조작 레버(44)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좌측 그립부(51L)는 조작 레버(44)보다 직선(L1) 쪽에 위치하고 있다. 차량(1)은 우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조작 레버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우측 그립부(51R)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이 조작 레버보다 직선(L1) 쪽에 위치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홀더(21)를 갖고 있다. 차량(1)의 예에서는 회전축 홀더(21)은 통 형상이고, 그 내측에 회전축(18)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50)는 회전축 홀더(21)에 부착되고, 고정 부재(5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50)의 이 부착 구조에 의하면, 고정 부재(50)의 위치가 운전자의 다리로부터 멀어지므로 고정 부재(50)가 운전자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그립부(51R, 51L)보다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18) 쪽에 위치하는 부착부(53)를 갖고 있다. 부착부(53)는 회전축 홀더(21)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15)과 회전축(18)의 측면시에 있어서는 부착부(53)는 회전축 홀더(21)의 하측에 위치하고, 회전축 홀더(21)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21a)(도 5 참조)에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고정 부재(50)의 부착 구조는 차량(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착부(53)는 스티어링 휠(15)과 회전축(18)의 측면에 있어서는 부착부(53)는 회전축 홀더(21)의 상측에 위치하고, 회전축 홀더(21)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 다른 예에서는 부착부(53)는 회전축 홀더(21)의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하여 회전축 홀더(21)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 다른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회전축 홀더(21)와는 다른 부재(예를 들면, 대시보드(42))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 다른 예에서는 고정 부재(50)의 위치는 조정 가능해도 좋다. 즉, 고정 부재(50)의 위치는 미리 규정된 범위만 움질일 수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50)의 위치는 스티어링 휠(15)의 회전축의 방향(D1)이나 스티어링 휠(1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조정 가능해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좌우의 그립부(51R, 51L)의 하단부(51a)로부터 회전축(18)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제 1 연신부(54R, 54L)와, 제 1 연신부(54R, 54L)에 대하여 굴곡하여 제 1 연신부(54R, 54L)로부터 회전축(18)을 따라 신장되어 있는 제 2 연신부(55R, 55L)를 갖고 있다. 부착부(53)는 좌우의 제 2 연신부(55R, 55L)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50)의 이 형상에 의하면, 연신부(54R, 54L, 55R, 55L) 및 부착부(53)가 운전자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우측 그립부(51R)와 우측의 연신부(54R, 55R)란, 예를 들면 1개의 파이프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좌측 그립부(51L)와 좌측의 연신부(54L, 55L)란, 예를 들면 1개의 파이프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 부재(50)의 구조는 차량(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우측 그립부(51R)와, 우측의 제 1 연신부(54R)와, 우측의 제 2 연신부(55R)는 복수의 부재를 용접이나 고정구(예를 들면, 나사나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좌측 그립부(51L)와, 좌측의 제 1 연신부(54L)와, 좌측의 제 2 연신부(55L)는 복수의 부재를 용접이나 고정구(예를 들면, 나사나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도 좋다. 또 다른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제 2 연신부(55R, 55L)를 갖지 않아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는 스티어링 휠(15)의 근방에 배치되는 그립부(51R, 51L)를 갖고 있다. 그립부(51R, 51L)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도 5 참조)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15)은 고정 부재(5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즉, 고정 부재(50)는 스티어링 휠(15)과는 일체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하면, 운전자는 자동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중, 고정 부재(50)의 그립부(51R, 51L)를 쥠으로써 운전자 자신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운전자는 그립부(51R, 51L)를 쥐고 있는 손을 스무스하게 스티어링 휠로 이동시켜 스티어링 휠을 쥘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1)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져도 좋다.
도 7, 도 8 및 도 9는 그립부(51R, 51L)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변형예로서 그립부(151R, 151L)를 나타내고, 도 8은 변형예로서 그립부(251)를 나타내고, 도 9는 변형예로서 그립부(351)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변형예에 대해서 그립부(51R, 51L)와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설명이 없는 사항은 그립부(51R, 51L)와 동일하다.
도 7에 나타내는 고정 부재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는 우측 그립부(151R)와 좌측 그립부(151L)를 포함한다. 그립부(151R, 151L)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의 회전 중심(C1)을 지나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직선(L3)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그립부(151R, 151L)는 직선(L3)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과, 직선(L3)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를 갖고 있다. 이 그립부(151R, 151L)에 의하면, 그립부(151R, 151L)의 길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운전자가 그립부를 쥐는 위치에 대해서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그립부(151R, 151L)는 그립부(51R, 51L)와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즉, 그립부(151R, 151L)는 스티어링 휠(15)의 하단(15a)를 지나는 직선(L1) 쪽의 단부(151a)로부터, 스티어링 휠(15)의 상단(15b)을 지나는 직선(L2)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더 바꿔 말하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151R, 151L)의 상단(151c)이 그립부(151R, 151L)의 하단(151a)보다 직선(L2) 쪽에 배치되고, 그립부(151R, 151L)의 하단(151a)이 그립부(151R, 151L)의 상단(151c)보다 직선(L1)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립부(151R, 151L)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251)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의 상부(15f)를 따라 만곡하고 있다. 그립부(251)의 이 배치에 의하면, 그립부(251)와 운전자의 다리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그립부(251)가 운전자에 대하여 방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그립부(251)는 그립부(51R, 51L)와는 달리, 그 우측부와 좌측부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운전자는 그립부(251)의 최상부(251b)를 쥘 수 있다. 또한, 그립부(251)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조작 레버(44)와 교차하지 않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고정 부재(50)를 회전축 홀더(21)에 부착하는 부착부(53)는 스티어링 휠(15)과 회전축(18)의 측면시에 있어서, 회전축 홀더(21)의 상측에 위치해도 좋다. 그립부(251)는 스티어링 휠(15)의 하단(15a)를 지나는 직선(L1) 쪽의 단부(251a)로부터, 스티어링 휠(15)의 상단(15b)을 지나는 직선(L2)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그립부(251)는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더 바꿔 말하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251)의 상단(251b)이 그립부(251)의 하단(251a)보다 직선(L2) 쪽에 배치되고, 그립부(251)의 하단(251a)이 그립부(251)의 상단(251b)보다 직선(L1) 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351)는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휠(15)의 회전 중심(C1)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즉, 그립부(351)는 환 형상이다. 그립부(351)의 이 형상에 의하면, 운전자가 그립부를 쥐는 위치에 대해서 자유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립부(351)도, 스티어링 휠(15)의 하단(15a)를 지나는 직선(L1) 쪽의 단부(351a)로부터, 스티어링 휠(15)의 상단(15b)을 지나는 직선(L2)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그립부(351)는 스티어링 휠(1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더 바꿔 말하면, 스티어링 휠(15)을 그 회전축의 방향(D1)에서 보았을 때에, 그립부(351)의 상단(351c)이 그립부(351)의 하단(351a)보다 직선(L2) 쪽에 배치되고, 그립부(351)의 하단(351a)이 그립부(351)의 상단(351c)보다 직선(L1) 쪽에 배치되어 있다.
4 차량 구동 모터,
15 스티어링 휠,
15a 하단, 15b 상단,
15b 하반부, 18 회전축,
18a 하단, 21 회전축 홀더,
30 제어 장치, 44 조작 레버,
44a 지지 기구, 50 고정 부재,
51L 좌측 그립부, 51R 우측 그립부,
51a 하단부, 53 부착부,
D1 회전축의 방향, 151R 우측 그립부,
151L 좌측 그립부, 251 그립부,
351 그립부.
15a 하단, 15b 상단,
15b 하반부, 18 회전축,
18a 하단, 21 회전축 홀더,
30 제어 장치, 44 조작 레버,
44a 지지 기구, 50 고정 부재,
51L 좌측 그립부, 51R 우측 그립부,
51a 하단부, 53 부착부,
D1 회전축의 방향, 151R 우측 그립부,
151L 좌측 그립부, 251 그립부,
351 그립부.
Claims (9)
- 전륜 및 후륜과,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운전자가 상기 전륜을 조타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과,
액추에이터로 상기 전륜을 조타하는 자동 운전 모드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륜을 조타하는 수동 운전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갖고 있는 제어 장치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근방에 위치하는 그립부를 갖고 있는 고정 부재를 갖고,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고정 부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그립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보았을 때에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을 따라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보았을 때에 상기 스티어링 휠보다 반경 방향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그립부의 위치는 차체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보다 상기 전륜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홀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그립부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보다 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우측 그립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좌측 그립부를 갖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우측 그립부의 하단부와 상기 좌측 그립부의 하단부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에 인접하고 있는 지지 기구로 지지되고, 상기 지지 기구로부터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보았을 때에 상기 조작 레버와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전륜의 조타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44049 | 2017-03-08 | ||
JP2017044049A JP2018144741A (ja) | 2017-03-08 | 2017-03-08 | 車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981A true KR20180102981A (ko) | 2018-09-18 |
Family
ID=6344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2563A KR20180102981A (ko) | 2017-03-08 | 2017-09-22 | 차량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525862B2 (ko) |
JP (1) | JP2018144741A (ko) |
KR (1) | KR2018010298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45354B2 (ja) * | 2019-10-29 | 2022-03-3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操舵装置および移動体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68422A (en) * | 1965-10-22 | 1968-02-13 | Vincent J. Walter | Vehicle steering gear |
JPH0761356A (ja) | 1993-08-30 | 1995-03-07 | Yamaha Motor Co Ltd | 自動走行車の操向制御装置 |
DE19625966B4 (de) * | 1996-06-28 | 2008-04-10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Im Bereich des Lenkrades angeordnete Schalterbaugruppe |
JP5087001B2 (ja) * | 2005-10-12 | 2012-11-28 | ナルディ−パ−ソナル エッセピア | ステアリング装置 |
DE102008027330B3 (de) * | 2008-06-07 | 2010-01-07 | Michael Hoffmann | Lenkrad mit mindestens einem Griff-Element |
DE102010055589A1 (de) * | 2010-12-22 | 2012-06-28 | Daimler Ag | Lenkrad für ein Fahrzeug |
JP6308118B2 (ja) | 2014-12-03 | 2018-04-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操舵装置、車両用情報提示方法および車両用情報提示プログラム |
FR3043048B1 (fr) * | 2015-10-30 | 2018-10-12 | Akka Ingenierie Produit | Volant de direction ergonom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de commande de direction comportant un tel volant |
JP3204508U (ja) * | 2016-03-22 | 2016-06-02 | 中井 均 | ハンドレスト |
FR3066462B1 (fr) * | 2017-05-19 | 2019-07-19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deplacable entre une position deployee et une position retractee |
-
2017
- 2017-03-08 JP JP2017044049A patent/JP2018144741A/ja active Pending
- 2017-09-22 KR KR1020170122563A patent/KR20180102981A/ko unknown
-
2018
- 2018-01-11 US US15/868,936 patent/US1052586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144741A (ja) | 2018-09-20 |
US20180257691A1 (en) | 2018-09-13 |
US10525862B2 (en) | 2020-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11274B2 (ja) | 車両の自動操舵装置 | |
JP5784420B2 (ja) | シート装置 | |
JP5456654B2 (ja) | 電動車 | |
JP6898428B2 (ja) | 車両 | |
KR101470146B1 (ko) |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 |
JP2011078828A5 (ko) | ||
JP2021091261A (ja) | 車両制御システム | |
KR20180102981A (ko) | 차량 | |
JP2001114184A (ja) |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式電動二輪車 | |
JP2005255074A (ja) | スケータ型車両 | |
JP2017039488A (ja) | リーン車両 | |
JP2012106523A (ja) | 電動車両 | |
JP2020100231A (ja) | 作業車 | |
JP6650327B2 (ja) | 自動運転支援装置 | |
JP5992237B2 (ja) | 転舵アシスト制御装置 | |
JP4888451B2 (ja) | 同軸二輪車及びその制御方法 | |
KR20150035404A (ko) | 의료용 스쿠터의 선회속도 제한 장치 | |
JP3999982B2 (ja) | 誘導式車両 | |
JPH07309268A (ja) | 360度回転可能な自動車 | |
JP2004351999A (ja) | 車両の自動操舵装置 | |
JP2003256044A (ja) | 誘導式車両 | |
JP2018069871A (ja) | 電動車両 | |
JP3900602B2 (ja) | 車両の走行制御装置 | |
JP3224883B2 (ja) | 自動走行車両のセンサ取付装置 | |
JP2005041372A (ja) | 自動走行車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