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501A - 현미녹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미녹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501A
KR20180100501A KR1020180097761A KR20180097761A KR20180100501A KR 20180100501 A KR20180100501 A KR 20180100501A KR 1020180097761 A KR1020180097761 A KR 1020180097761A KR 20180097761 A KR20180097761 A KR 20180097761A KR 20180100501 A KR20180100501 A KR 20180100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brown rice
hours
tea
glutinou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식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신경식
임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식, 임효빈 filed Critical 신경식
Priority to KR102018009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0501A/ko
Publication of KR2018010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를 건조 분쇄하고, 현미와 찹쌀을 준비한 후 현미, 찹쌀을 상온의 물에 넣어 12시간 침지한 후 이를 분쇄하고, 40℃-60℃의 물에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를 넣고 잘 저어준 후 준비된 녹차 분말과 현미 찹쌀 혼합분말에 살수하면서 40℃-60℃의 챔버 안에서 2시간 가열하고, 40℃-60℃의 물에 프로테아제을 넣고 잘 저어준 후 준비된 녹차 분말과 현미 찹쌀 혼합분말에 살수하면서 40℃-60℃의 챔버 안에서 2시간 가열한 후 온도100℃의 챔버 안에서 2시간 증숙한 다음 건조, 분말화 하여 현미와 찹쌀의 건강 기능성분과 녹차의 당류성분이 잘 소화 흡수 될 수 있는, 냉수에도 간단히 음용할 수 있는 녹차 분말 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에 의하여 현미와 찹쌀의 녹말성분은 당 성분으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변하여 소화 흡수가 용이하며, 현미찹쌀과 녹차의 혼합 증숙 과정에서 현미찹쌀의 아미노산과 녹차의 당류 성분이 만나 마일라드 반응을 일으켜 녹차 고유의 떫은맛이 개선될 뿐 아니라 현미와 찹쌀의 구수한 맛이 더해져 구수함과 개운한 맛의 녹차 분말차가 되고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아져 상품성과 시장 경쟁력이 높은 고기능성 건강식품이 될 수 있다. 특히, 녹차의 덖음 과정이 생략되어 과정의 간소화는 물론, 녹차 잎을 그대로 음용하여 다양한 기능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현미녹차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whole rice, grean tea}
본 발명은 현미와 찹쌀과 녹차를 이용한 분말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과 영양에 의한 과체중으로 고혈압,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과 암에 노출되어 있다. 과 영양인 반면 불균형에서 오는 질병 또한 심각한 것이어서 적절한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을 권장하나 치열한 경쟁의 사회구조에서는 쉽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어 건강음료의 출시 또한 봇물을 이루고 있으나 일반 음료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인다. 고유의 성분 함량에 크게 떨어져 이름뿐인 건강음료가 대다수인 현실에서 본 현미와 찹쌀과 녹차를 이용한 분말차는, 덖음 과정이 생략된 분쇄와 증숙 과정을 거치며 프로테아제,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를 첨가하여 소화 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항암 효과를 가진 건강식품 차다. 기존의 덖음 차나, 단순한 침지 차와는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고유 식품을 직접 복용할 수 있어 장복 시에 그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린푸드(green food)'로 지칭되는 녹색 음식을 먹으면 몸과 마음이 편안해진다. 녹색 음식은 시각적인 긴장은 물론이고 신경과 근육의 긴장까지도 완화시켜 준다. 녹차(綠茶, green tea)는 녹색음식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원산지가 중국으로 알려지고 있는 차(茶)나무는 후피향(厚皮香) 나무 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관목이다. 잎은 차로, 열매는 착유해서 기름으로, 줄기는 단추 감으로 이용된다.
기록상으로 볼 때 차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전래된 것은 신라 27대 선덕왕 때이며, 차 종자가 처음으로 파종된 것은 신라 42대 흥덕왕 3년(828년)이었다. 중국의 '소엽종'을 개량한 일본의 '야부키타종'이 1930년경에 우리나라에 들어 왔으며 이것이 현재 재배되는 차 종자이다. 우리나라는 차나무를 제주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등지에서 많이 심고 있다.
차의 종류는 찻잎의 발효(醱酵) 여부에 따라 녹차, 오룡차, 홍차 등으로 구분된다. 녹차는 채취한 신선한 찻잎을 고온 가열하여 잎 속의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시킨 후 비비고 말리고 정제하는 등의 가공을 거쳐 만든다. 홍차(紅茶)는 탄닌을 85% 이상 발효시킨 완전 발효차다. 찻잎을 시들게 한 후 비비고 발효시키고 정제하는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치는 동안 카페인이나 탄닌의 성분이 줄어든다.
차는 제조과정에서의 발효 여부에 따라 녹차·홍차·우롱차로 나뉜다. 새로 돋은 가지에서 딴 어린잎을 차 제조용으로 사용하며, 대개 5·7·8월의 3차례에 걸쳐 잎을 따는데, 5월에 딴 것이 가장 좋은 차가 된다. 차나무는 상록수로 비교적 따뜻하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잘 자란다.
녹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딴 잎을 즉시 가열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켜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잎을 흐늘흐늘하게 말기 좋은 상태로 말린다. 예전에는 사람이 가마솥에서 직접 잎을 손으로 비벼 말렸다. 그 후 가열을 계속하여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어느정도 바삭바삭하게 만든다. 근래에 와서는 증열기·조유기·유염기·재건기·정유기·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차를 제조한다.
차를 자주 마실 경우 혈전 형성을 막아주고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녹차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있다. 녹차의 특징인 쌉싸름한 맛은 카테킨(catechin)이라 불리는 탄닌 성분 때문이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의 한 종류인 카테킨은 녹차 한 잔에 대략 100㎎이 들어 있으며, 그중 가장 강력한 성분인 'EGCG'는 비타민 C보다 항산화 효능이 20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테킨 성분은 항암 효과와 혈관 건강을 지키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카테킨은 위암, 폐암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혈압을 낮추어주며 심장으로의 혈류를 늘리는 효과도 있다. 소화기관 내에서의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고 지질의 체내 침착을 억제한다. 이에 혈압을 떨어뜨리고, 심장을 강화하며, 지방간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 감기 바이러스의 활동을 저지시키고 체내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다.
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은 카페인(3%), 탄닌, 테아닌, 세키세놀, 비타민 C(150∼500㎎), 비타민 B1, B2, 나이아신, 펜토텐산, 이노시톨, 루틴 등이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먹고 차를 마시면 개운하고 강한 알칼리성이므로 위산 과다에도 좋다. 최근 미국 예일 대학교 연구팀은 높은 흡연율에도 한국인 · 일본인의 동맥경화, 폐암 유병률이 서구인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녹차 소비량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이들은 이 같은 '아시안 패러독스'의 비결로 녹차의 카테킨을 지목했다. 녹차의 카테킨 등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테아닌'은 심신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학습능력을 높여준다. 차나무에서 첫 번째로 따는 잎으로 만든 '우전'에 테아닌이 풍부하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진한 세작(4월에 나오는 차)보다 중작(5월에 나오는 차)을 마시는 것이 좋다.
차의 탄닌이 철의 체내 흡수를 방해하므로 빈혈이 있는 사람은 차와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철이 함유된 빈혈약이나 금속 성분이 든 위장약을 복용할 때는 30∼60분 간격을 두고 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또한 차는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을 하며 염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대뇌피질을 각성시키고 기분을 고조시킨다. 녹차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 주며 모공을 줄이고 주름을 펴주므로 녹차 우린 물에 세수를 하면 좋다. 마시고 남은 녹차 티백을 5개쯤 넣어 우려낸 물로 반신욕을 하면 피로 회복에도 좋다. 아울러 녹차는 구취 해소에도 도움이 되며, 충치균에 의한 치아 부식을 방지하고 항균 작용이 있어 식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다.
녹차는 찻잎을 그대로 섭취하는 요리로 응용하면 차로 마실 때보다 영양소를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가루녹차를 국수, 떡, 케이크, 아이스크림 등에 섞기도 하고, 찻잎을 그대로 튀각, 김치, 전, 나물, 비빔밥 등의 재료로 이용하면 은은한 향과 함께 쌉싸래한 맛이 일품인 요리가 탄생한다.
가정에서도 녹차를 활용한 여러 가지 요리가 가능하다. 우선 생선을 요리할 때 우린 찻물을 식혔다가 생선에 뿌리면 생선 특유의 비린내와 미끈거림이 사라지고 생선살이 단단해져 요리 중에 살이 부서지지 않는다. 삼겹살에도 잎 녹차를 뿌려 하루 정도 재어주면 노린내가 사라지고 부드러운 육질의 고기를 맛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초밥, 고등어조림, 멸치볶음과 같은 요리에 잎 녹차를 잘게 부수어 넣으면 비린내 대신 향긋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특허10-0507409의 떫은맛이 제거된 기호성이 있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 특허10-021383의 녹차 분말차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녹차의 가공 분말차를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으면서 고기능성인 제품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녹차 분말 차의 제조방법은
ⅰ) 녹차를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하여 이를 분쇄하는 단계:,
ⅱ) 현미와 찹쌀을 준비한 후 물에 넣어 12시간 침지한 후 이를 분쇄하는 단계:,
ⅲ) 분쇄한 녹차와 분쇄한 현미, 찹쌀을 섞어 효소반응기(챔버)에 넣고 온도 40℃-60℃의 물에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를 넣어 잘 저어 섞은 물을 살수하면서 온도 40℃- 6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온도 40℃-60℃의 물에 프로테아제를 넣어 잘 저어 섞은 물을 살수하면서 온도 40℃-60℃에서 2시간 가열한 후 온도 80℃-100℃에서 2시간 증숙하는 단계:,
ⅳ) 증숙된 현미, 찹쌀 녹차를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현미 찹쌀 녹차를 분쇄하는 단계:, 분말차를 티백 또는 병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미 찹쌀 녹차 분말 차 제조 방법에 의하면 카테킨(폴리페놀성분) 함량이 높은 녹차와 현미와 찹쌀의 건강 기능성분이 잘 조화되고, 소화 흡수가 잘 될 수 있는 냉수에 타서도 간단히 음용할 수 있는 녹차분말 차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행 기술문헌인 특허10-021383의 “녹차 분말차의 제조방법”에서는 녹차 생엽을 채취하여 100℃에서 30내지 50초 동안 증기로 증숙하여 냉각한 후 또는 250℃에서 덖은 후 3내지 5회 비비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녹차 잎을 제조하거나 발효하여 떫은맛이 없는 녹차 잎으로 가공하였으며,
선행 기술문헌인 특허 10-0507409의 “떫은맛이 제거된 기호성이 있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에서는 원적외선 발생재질의 건조로에서 60∼10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건조한 녹차 잎을 제조용 맷돌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분말차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공정을 단순화하고, 100℃ 이하에서 마일라드 반응을 일으켜 선행특허의 품질 이상의 쓴맛이 개선된 구수한 맛의 녹차 혼합차를 제조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생 녹차 잎을 간단 공정으로 건조하여 분쇄하고 현미, 찹쌀과 함께 효소발효, 마일라드 반응공정으로 녹차의 고유 성분은 잘 유지되면서, 쓴맛은 저감되고, 구수한 맛이 첨가되는 새로운 맛과 소화 흡수가 용이한 현미찹쌀 녹차를 개발하여 다양한 맛의 차 제품의 등장 및 커피 제품의 등장으로 소비자의 시선 밖으로 점점 밀려 나고 있는 녹차를 소비자가 우선 선호할 수 있는 신제품으로 개발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차분말 차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대표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찰 녹차분말 차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찰 녹차분말 차의 제조방법은 대표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차 잎을 깨끗이 세척 후 건조, 분쇄단계(S10), 현미, 찹쌀분말 준비교반 단계(S20), 녹차와 분쇄 현미 찹쌀 혼합 발효마일라드 반응 증숙 단계(S30), 증숙 현미, 찹쌀 녹차 건조 단계(S40), 건조 현미, 찹쌀 녹차 분쇄 단계(S50) 및 병입(포장)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녹차 잎 건조 분쇄 단계(S10)는 깨끗한 물에 세척하고,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하여 로라식 믹서로 분쇄하여 분말을 만드는 공정이다.
상기 현미, 찹쌀분말 준비단계(S20)는 현미와 찹쌀을 깨끗이 씻어 준비한 후 물에 넣어 12시간 침지한 후 이를 로라식 믹서로 분쇄하여 분말을 만드는 공정이다.
상기 분쇄 녹차와 분쇄 현미 찹쌀 혼합 증숙 단계(S30)는 분쇄한 녹차와 현미, 찹쌀을 고루 섞어 효소반응기(챔버)에 넣고, 알파아밀라제, 베타아밀라제 0.3-0.5%를 온도 40℃-60℃의 물에 넣어 충분히 저어 준비한 물을 살수하면서 온도 40℃-60℃에서 2시간 가열하고, 프로테아제 0.3-0.5%를 온도 40℃-60℃의 물에 넣어 충분히 저어 준비한 물을 살수하면서 온도 40℃-60℃에서 2시간 가열한 후, 온도 80℃-100℃에서 2시간 증숙한다. 혼합 증숙 공정 중에 현미 찹쌀의 아미노산은 녹차의 당류와 만나서 마일라드 반응을 일으켜 녹차 고유의 쓴 맛을 개선하게 되고, 현미와 찹쌀의 구수한 맛과 포도당으로 변한 당분의 단맛으로 소비자의 기호도가 향상된다.
상기 증숙 현미, 찹쌀 녹차 건조 단계(S40)는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건조 현미, 찹쌀 녹차 분쇄 단계(S50)는 건조된 현미 찹쌀 녹차를 로라식 믹서와 맷돌식 믹서로 곱게 분쇄하여 분말을 만드는 공정이다. 카터밀로 1차 분쇄하고, 로라식 분쇄기로 2차 분쇄한 후 맷돌식 분쇄기로 300메쉬로 3차 분쇄한다.
분말 가루의 크기는 300메쉬로 냉수에 타서 음용이 가능한 수준의 분말차이다.
상기 병입(포장) 단계(S60)는 현미, 찹쌀, 녹차 분말을 티백 또는 병에 포장하는 공정이다.
<실시 예 1>
녹차 잎 10㎏을 준비하여 세척한다.
녹차를 다음과 같이 건조한다.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다.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한다.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한다. 건조된 녹차를 분쇄한다.
현미 5㎏, 찹쌀 5㎏을 준비하여 세척한다. 물 10ℓ를 준비하고 준비된 현미 5㎏, 찹쌀 5㎏을 물에 넣어 12시간 침지한다. 침지된 현미 5㎏, 찹쌀 5㎏을 분쇄한다.
분쇄한 녹차와 분쇄한 현미, 찹쌀을 섞고 효소반응기(챔버)에 넣는다. 온도 40℃내지 60℃의 물에 알파아밀라제 30g, 베타아밀라제 30g을 넣고 잘 섞이도록 충분히 저어준 후 섞은 녹차와 현미, 찹쌀위에 살수하면서 온도 40℃내지 60℃로 2시간 가열한다. 온도 40℃내지 60℃의 물에 프로테아제 30g을 넣고 잘 섞이도록 충분히 저어준 후 섞은 녹차와 현미, 찹쌀위에 살수하면서 온도 40℃내지 60℃로 2시간 가열한다. 다시 온도 80℃내지 100℃로 2시간 정도 증숙(증기찜)한다.
찐 녹차, 현미, 찹쌀을 다음과 같이 건조한다.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다.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한다.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한다.
건조된 녹차, 현미 찹쌀을 분쇄한다.
카터밀로 1차 분쇄한다. 로라식 분쇄기로 2차 분쇄한다. 맷돌식 분쇄기로 300 메쉬로 3차 분쇄한다.
50g 단위로 병입 포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미 찹쌀 녹차 분말 차 제조 방법을 제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대표 도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항 범위 내에서 당 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부호의 설명
S10 : 녹차 건조 분쇄단계
S20: 현미, 찹쌀분말 준비, 교반단계
S30 : 분쇄 녹차와 분쇄 현미 찹쌀 혼합 발효마일라드 반응 증숙 단계
S40 : 증숙 현미, 찹쌀 녹차 건조 단계

Claims (1)

  1. ⅰ) 녹차를 습도 85%-96%, 온도 60℃-8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하여 이를 분쇄하는 단계:
    ⅱ) 현미와 찹쌀을 준비한 후 물에 12시간 침지한 후 이를 분쇄 후 분쇄한 녹차와 교반 혼합하는 단계:

    ⅲ) 단계ⅰ)와 ⅱ)에서 분쇄한 녹차와 분쇄한 현미, 찹쌀을 섞어서 효소반응기(챔버) 투입 후 아밀라제 0.3%-0.5% 섞은 물을 살수하여 온도 40℃-60℃에서 2시간 효소 발효한 후, 다시 효소반응기(챔버)안에서 프로테아제 0.3%-0.5% 섞은 물을 살수하여 온도 40℃-60℃에서 2시간 효소발효 후 온도 80℃-100℃로 2시간 증숙하는 단계:

    ⅳ) 단계 ⅲ)에서 증숙된 현미, 찹쌀 녹차를 습도 85%-96%, 온도60℃-8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습도 30-40%, 온도 50℃-7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습도 1%-3%, 온도 30℃-50℃에서 8시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ⅳ)에서 건조된 녹차를 분쇄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현미, 찹쌀, 녹차분말 차 제조 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단계 ⅲ)의 알파 아밀라제와 베타 아밀라제, 프로테아제의 첨가 비율은 현미, 찹쌀, 녹차 중량 대비 1/1000내지 5/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찹쌀, 녹차 분말 차 제조 방법
KR1020180097761A 2018-08-22 2018-08-22 현미녹차 제조방법 KR20180100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61A KR20180100501A (ko) 2018-08-22 2018-08-22 현미녹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61A KR20180100501A (ko) 2018-08-22 2018-08-22 현미녹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501A true KR20180100501A (ko) 2018-09-11

Family

ID=6359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61A KR20180100501A (ko) 2018-08-22 2018-08-22 현미녹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0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9763A (zh) * 2019-02-25 2019-05-03 中国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提高绿茶栗香品质的方法及制备得到的栗香绿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83A (ja) 1996-07-05 1998-01-23 Canon Inc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および方法
KR100507409B1 (ko) 2003-04-15 2005-08-10 김영한 떫은 맛이 제거된 기호성이 있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83A (ja) 1996-07-05 1998-01-23 Canon Inc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および方法
KR100507409B1 (ko) 2003-04-15 2005-08-10 김영한 떫은 맛이 제거된 기호성이 있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9763A (zh) * 2019-02-25 2019-05-03 中国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提高绿茶栗香品质的方法及制备得到的栗香绿茶
CN109699763B (zh) * 2019-02-25 2022-01-04 中国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提高绿茶栗香品质的方法及制备得到的栗香绿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579B1 (ko) 수삼을 함유한 식물성 건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US6416807B1 (en) Mixed fine powder for beverage containing young barley leaves, alfalfa and/or kale
JP2003334046A (ja) 大麦若葉及び/又はケールを含有する粉末飲料並びに飲料
TWI307620B (ko)
CN101199359A (zh) 粉末状灯心草青汁
JP6029546B2 (ja) 飲料
KR101444718B1 (ko)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Algarni Utilization from date seeds as a by-product low-cost to prepare beverage cappuccino and the latte less caffeine
JP4776149B2 (ja) 糖質吸収抑制剤および食品
JPH07147903A (ja) 茶葉を含有してなる食品
KR20180100501A (ko) 현미녹차 제조방법
KR101384831B1 (ko) 밤 꽃,속껍질 및 밤 과실을 이용한 밤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밤 음료
KR101890042B1 (ko) 홍삼커피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JPH11221060A (ja) 大麦の若葉及び/又はアルファルファの微粉末含有飲料
KR101808406B1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380679B1 (ko) 누룽지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JP3592528B2 (ja) ケール含有飲料
JP2005137210A (ja) 茶類と長命草の調製物又は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0931352B1 (ko) 연잎국수의 제조방법
JPH02291229A (ja) 多種配合茶及びその抽出茶液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7611B1 (ko) 팥 음료 제조방법
KR102619236B1 (ko) 쌀메주와 한약재를 이용한 보리 된장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