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759A -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759A
KR20180099759A KR1020187021339A KR20187021339A KR20180099759A KR 20180099759 A KR20180099759 A KR 20180099759A KR 1020187021339 A KR1020187021339 A KR 1020187021339A KR 20187021339 A KR20187021339 A KR 20187021339A KR 20180099759 A KR20180099759 A KR 2018009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ayer
layer
film
lamin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095B1 (ko
Inventor
야스유키 사사다
슈헤이 오쿠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0180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35059A1/ja
Publication of KR2018009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적어도, 편광층, 접착제층, 투명층 및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이 순서로 배치한 적층체로서,
상기 투명층의 막두께가 0.1~5.0μm이며,
상기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0~30%인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필수 부재이다. 일반적인 편광판은 폴리바이닐알코올(PVA)계 수지에 아이오딘 착체 등의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막의 편면, 혹은 양면에 광학 필름을 첩합시킨 구성을 갖는다.
최근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박형화나 대형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표시면에 광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가 표면화되어 왔다.
액정 표시 장치의 필수 부재인 편광판에 있어서도 박형화 및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편광판의 변형이 패널의 표시 고장을 일으키기 쉬운 상황이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광판이 신축한 경우에, 편광판에 첩합된 액정 패널이 휘어지며, 이것과는 별도로 백라이트 부재 등도 변형되어, 패널과 백라이트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광 불균일이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탄성 계수가 작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방식(특허문헌 1) 등이 제안되고 있다.
또, 아크릴계 수지 및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여 광탄성 계수가 작고 리타데이션이 큰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특허문헌 2)이나,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여 리타데이션이 큰 위상차 필름(특허문헌 3) 등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편광판과 유리 기판의 접착 등에 사용되고, 정전기에 의한 액정 패널의 고장 억제에 유효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한 점착제(특허문헌 4)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266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46003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85659호 특허문헌 4: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1-504537호
예의 검토한 결과,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아크릴계 필름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아크릴·스타이렌계 필름은 편광층("편광막", "편광자"라고도 함)과의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아, 가공할 때에 에지면에 박리나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된 편광판의 에지면으로부터 부스러기가 발생하기 쉬워, 생산 적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스타이렌계 필름은 취성(脆性)이 낮아,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막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리타데이션을 낮게 하는 것이 곤란하여, 표시 성능을 열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막에 직접 접촉시킨 적층체는,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의 성능은 우수하지만, 고온 고습에서 보관한 경우의 편광도 변화량이 커, 신뢰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우수하고,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를 양호한 수율로 제공하는 것이다.
적층체의 신뢰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편광층과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의 사이에, 특정 막두께이며, 대전 방지제의 투과 계수가 낮은 투명층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투명층의 대전 방지제의 투과 계수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과 투습도를 특정의 관계성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층을 특정의 평형 흡습률로 제어하거나, 특정의 투습도로 제어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 이는 대전 방지제의 투명층에 대한 용해 현상이나, 투명층 중에서의 확산 현상의 제어에 의하여, 대전 방지제의 투과 계수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대전 방지제의 투과 계수를 저하시키면, 투명층의 소수성이 높아져, 편광층과 투명층을 접착제로 적층하는 경우에, 적층체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투명층의 투습도를 특정값 이상으로 제어해 둠으로써, 적층체의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어, 대전 방지제의 투과 계수의 억제와 양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인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적어도, 편광층, 접착제층, 투명층 및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이 순서로 배치한 적층체로서,
상기 투명층의 막두께가 0.1~10μm이며,
상기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0~30%인 적층체.
<2>
상기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0.01~30%인 <1>에 기재된 적층체.
<3>
상기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이 2.0질량%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체.
<4>
상기 투명층의 5μm 환산한 투습도가 200~5000g/m2/day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5>
상기 투명층이 불소계 화합물, 및/또는 규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6>
상기 투명층이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7>
상기 투명층의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가 0~20nm이며, 또한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가 -25~25nm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8>
상기 투명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층인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9>
상기 대전 방지제가 유기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10>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의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질량%인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11>
상기 편광층이 아이오딘-폴리바이닐알코올 착체를 포함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12>
액정 셀과,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상기 투명층이, 상기 편광층과 상기 액정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1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4>
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적층체가 백라이트 측에 배치된 <12> 또는 <1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5>
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적층체가 시인 측에 배치된 <12> 또는 <1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6>
상기 액정 셀이 IPS 방식인 <12>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7>
적어도, 편광층, 접착제층, 투명층 및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이 순서로 배치한 적층체로서,
상기 투명층의 막두께가 0.1~10μm이고,
상기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이 2.0질량% 이하이며, 또한 5μm 환산한 투습도가 200~5000g/m2/day이고,
상기 대전 방지제가 유기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층체.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이 우수하고,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를 양호한 수율로 제공 가능해졌다. 또, 이 적층체를 이용한, 광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고, 신뢰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양호한 수율로 제공 가능해졌다.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투명층)
투명층은, 가시광(파장 380~780nm)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
본 발명의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에 포함되는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의 투명층과 반대면 측에 두께 1mm의 무알칼리 유리를 인접시킨 시험편을 제작하여, 85℃·상대 습도 85%의 환경에서 3일간 유지한 후에, 25℃·상대 습도 60%의 환경에서 24시간 유지한다. 그 후, 적층체를 취출하여, 마이크로톰으로 적층체의 단면편시료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TOF-SIMS로 단면편시료의 대전 방지제량의 단면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투명층보다 편광막 측으로 이행한 대전 방지제량의 적분값 (A2)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의 적분값 (A1)의 비(A2/A1×100)로 산출할 수 있다. 또, 대전 방지제, 및 대전 방지제를 갖는 층을 팽윤 내지 용해하는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된 대전 방지제량 (B2)와, 습열 처리 전의 대전 방지제량 (B1)의 비(B2/B1×100)로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산출법 중, 전자의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을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로 했다.
본 발명의 대전 방지제의 이행률은 0~30%이며, 0.01~30%가 바람직하고, 0.1~25%가 보다 바람직하며, 0.5~20%가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편광층의 내구성과, 편광층과 투명층의 접착성을 양립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과 편광층과 투명층의 접착성 확보를 위해서는,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과, 투습도를 평형 흡습률로 나눈 값의 관계성을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
<평형 흡습률>
본 발명의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은, 대전 방지제의 투과 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막두께의 여하에 상관없이,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흡습률이, 0~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0.5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평형 흡습률이 2.0질량% 이하이면, 대전 방지제의 투명층에 대한 용해 현상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은, 필요에 따라 막두께를 두껍게 한 시료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시료를 24시간 이상 습도 조절한 후에, 수분 측정기, 시료 건조 장치 "CA-03" 및 "VA-05"{모두 미쓰비시 가가쿠(주)제}로 칼 피셔법에 따라 측정했다. 수분량(g)을 시료 질량(g)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투습도>
본 발명의 투명층의 투습도는, JIS Z-0208을 근거로, 40℃, 90%RH의 조건에 있어서 측정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층의 투습도는, 필요에 따라 자기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막두께를 두껍게 한 필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얻어진 투습도를 이용하여, 측정에 이용한 필름의 두께(단위; μm)로 나누고, 5를 곱하여 산출된 값을 5μm 환산한 투습도로 했다.
본 발명의 투명층의 투습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μm 환산한 투습도가 200~5000g/m2/day인 것이 바람직하다. 500~3000g/m2/day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2000g/m2/day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투습도가 이 범위이면, 편광판 가공성과, 습도 혹은 습열에 대한 편광판의 내구성을 양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필름의 제작이 곤란한 경우에는, 투습도가 이미 알려진 적절한 지지체 상에 본 발명의 투명층을 형성시켜, 투습도 변화로부터 구할 수도 있다.
<투습도를 평형 흡습률로 나눈 값>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과, 편광층과 투명층의 접착성 확보를 위해서는, 상기 평형 흡습률의 범위에서, 또한 5μm 환산한 투습도를 평형 흡습률로 나눈 값이, 5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00~35,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편광판 가공성과, 습도 혹은 습열에 대한 편광판의 내구성을 양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광탄성 계수>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은,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이 2×10-12Pa-1 이상이 바람직하고, 2×10-12Pa-1~100×10-12Pa-1이 보다 바람직하며, 4×10-12Pa-1~15×10-12Pa-1이 더 바람직하고, 5×10-12Pa-1~12×10-12Pa-1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명층의 광탄성 계수의 절댓값을 2×10-12Pa-1 이상으로 함으로써, 변형 고장의 억제나 편광층과의 접착성의 확보가 가능해지고, 100×10-12Pa-1 이하로 함으로써 응력 복굴절에 의한 리타데이션 변화를, 표시 특성을 저해하지 않고 배향 복굴절로 상쇄시켜, 적층체 상태의 리타데이션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탄성 계수는, 재료를 적절히 선정하고,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재료를 병용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투명층은, 면내의 임의의 적어도 한 방향에 있어서, 광탄성 계수의 절댓값이 상기의 범위를 충족시키면 된다.
그리고, 광탄성 유래의 응력 복굴절과 후술하는 투명층의 배향 복굴절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내부 응력 기인의 광학 편차를 저감시키게 된다고 예측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층의 광탄성 계수는, 필요에 따라 자기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막두께를 두껍게 한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필름의 광탄성 계수는, 측정 방향이 필름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필름을 5cm×1cm 사이즈로 잘라내어, 25℃, 상대 습도 60%에 있어서 2시간 습도 조절하고, 동 환경하에서 분광 엘립소미터(M-220, 니혼 분코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샘플에 응력(0~500gf)을 가하면서 파장 633nm에서, 필름 면내의 리타데이션(Re)을 측정하여, 응력과 Re의 기울기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1gf=0.00980665N이다.
<배향 복굴절>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은, 배향 복굴절의 부호가 광탄성 계수의 부호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 상태에서 발생하는 응력 복굴절과 배향 복굴절을 상쇄시켜 환경 변화에 따른 리타데이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 복굴절의 부호는,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고,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재료를 병용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응력 복굴절을 상쇄하여, 표시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향 복굴절(후술하는 리타데이션)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층과 편광층을 적층하는 전후로, 예를 들면 가열이나 연신 등의 배향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향 복굴절의 부호는, 필요에 따라 자기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막두께를 두껍게 한 필름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유리 전이 온도에 있어서, 자유단 1축 연신했을 때의 지상축(遲相軸) 방향에서 구할 수 있고, 지상축이 연신 방향과 평행이면 정(正)의 복굴절성이며, 직교이면 부(負)의 복굴절성이다.
<두께>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막두께는, 0.1~10μm이며, 0.5~7.0μm가 바람직하고, 1.0~5.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5~4.0μm가 더 바람직하다. 막두께를 0.1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판의 가공 적성이나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10μm 이하로 함으로써 바람직한 리타데이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을 저감시키는 효과나, 온습 변화에 따른 액정 패널의 휨을 작게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
본 발명에 있어서, Re 및 Rth는 각각,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Re 및 Rth는 AxoScan OPMF-1(옵토사이언스사제)에 있어서, 파장 590nm에서 측정한 값이다. AxoScan으로 평균 굴절률((nx+ny+nz)/3)과 막두께(d)를 입력함으로써,
지상축 방향(°)
Re=(nx-ny)×d
Rth=((nx+ny)/2-nz)×d
가 산출된다. nx는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진상축(進相軸)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리타데이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Re는 0~20nm가 바람직하고, 0~1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0~5nm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Rth는 -25~25nm가 바람직하고, -20~5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nm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Re 및 Rth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누출이 보다 개량되어,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타데이션의 습도 의존성>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Re의 습도 의존성(ΔRe)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20nm가 바람직하고, -10~1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5~5nm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Rth의 습도 의존성(ΔRth)은, 절댓값이 20nm 이하인 것(-20~2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5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0~10nm가 더 바람직하고, -5~5nm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ΔRe와 ΔRth는, 상대 습도가 H(단위; %)일 때의 면내 방향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 Re(H%) 및 Rth(H%)로부터, 하기 식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ΔRe=Re(30%)-Re(80%)
ΔRth=Rth(30%)-Rth(80%)
식 중, Re(H%) 및 Rth(H%)는, 투명층을 25℃, 상대 습도(H%)에서 24시간 습도 조절 후, 상술한 리타데이션 측정 방법에 준하여, 상대 습도 H%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 값을 측정, 산출한 것이다. 또한, 상대 습도를 명기하지 않고 단지 Re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는, 상대 습도 60%에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값으로 한다.
<탄성률>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3.5GPa가 바람직하고, 1.5~3.3GPa가 보다 바람직하며, 2.0~3.0GPa가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층의 탄성률(인장 탄성률)은, 필요에 따라 자기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막두께를 두껍게 한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필름의 탄성률은, 측정 방향이 필름 길이 방향이 되며, 측정 부분이 10cm×1cm의 사이즈가 되도록 필름을 잘라내어, 25℃, 상대 습도 60%에 있어서 24시간 습도 조절하고, 도요 볼드윈(주)제 만능 인장 시험기 "STM T50BP"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10%/분으로 0.1% 신장과 0.5% 신장에 있어서의 응력을 측정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탄성률을 산출한다.
<습도 팽창 계수>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습도 팽창 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5ppm/%RH 이하가 바람직하고, 0~40ppm/%RH가 보다 바람직하며, 0~30ppm/%RH가 더 바람직하다. 투명층의 습도 팽창 계수와 편광층의 습도 팽창 계수가 가까우면 응력 복굴절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람직한 범위는, 편광층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
습도 팽창 계수는, 측정 방향이 필름 길이 방향 또는 필름 폭 방향이 되도록 필름을 12cm×5cm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펀치로 10cm 간격의 핀 구멍을 뚫어, 25℃, 상대 습도 10%에 있어서 24시간 습도 조절하여, 핀 구멍의 간격을 한 쌍의 핀을 구비한 측장기로 측정한다(측정값을 L0으로 한다). 이어서,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 24시간 습도 조절하여, 동일하게 측정한다(측정값을 L1로 한다). 이들 측정값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하여 습도 팽창 계수를 산출한다.
습도 팽창 계수[ppm/%RH]={(L1-L0)/L0}/70×106
상기 70은 측정한 습도의 차(%)이다.
<유리 전이 온도(Tg)>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이나 투명층에 이용하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g는, 예를 들면 25℃, 상대 습도 10%에 있어서 24시간 습도 조절한 후, 측정 팬에 샘플을 봉입하고, 세이코 인스트루먼츠(주)제 시차 주사 열량계 "DSC6200"을 이용하여, 20℃/분으로 승온시켜 얻어진 서모그램으로부터, 베이스라인과 변곡점에서의 접선의 교점 온도로서 구할 수 있다.
<그 외 특성>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상술 이외의 특성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공지의 편광판 보호 필름과 동등한 성능을 적절히 실장할 수 있고, 편광층과 액정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른바 이너 필름에 요구되는 성능을 적절히 실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특성값으로서는, 표시 특성에 관련된 헤이즈, 광선투과율, 분광 특성, 리타데이션의 습열 내구성 등을 들 수 있고, 역학 특성이나 가공 적성에 관련된 습열 열처리에 따른 치수 변화율, 유리 전이 온도, 평형 흡습률, 투습도, 접촉각 등을 들 수 있다.
<층 구성>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며, 기능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은, 기능층 이외의 것이 상기의 특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층의 조성>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바람직한 범위에 들어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머 수지, 또는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 조성물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폴리머 수지-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을 구성하는 폴리머 수지는, 광탄성 계수가 바람직한 범위에 들어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성 및 탄성률 개량의 관점에서 폴리머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을 강하게 하는 것과 같은, 예를 들면 극성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셀룰로스에터 수지 등),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이외의 바이닐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취성 개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또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며,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가 더 바람직하다.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란, 적어도 방향환을 포함하는 바이닐계 수지이며, 스타이렌계 수지, 다이바이닐벤젠계 수지, 1,1-다이페닐스타이렌계 수지, 바이닐나프탈렌계 수지, 바이닐안트라센계 수지, N,N-다이에틸-p-아미노에틸스타이렌계 수지, 바이닐피리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적절히, 바이닐피리딘 유닛, 바이닐피롤리돈 유닛, 무수 말레산 유닛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중에서도, 광탄성 계수 및 흡습성의 제어의 관점에서, 스타이렌계 수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머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스타이렌계 수지의 예로서는, 스타이렌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수지를 말한다. 여기에서, 스타이렌계 단량체란, 그 구조 중에 스타이렌 골격을 갖는 단량체를 말한다.
스타이렌계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스타이렌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스타이렌 유도체란, 스타이렌에 다른 기가 결합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o-메틸스타이렌, m-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2,4-다이메틸스타이렌, o-에틸스타이렌, p-에틸스타이렌과 같은 알킬스타이렌이나, 하이드록시스타이렌, tert-뷰톡시스타이렌, 바이닐벤조산, o-클로로스타이렌, p-클로로스타이렌과 같은, 스타이렌의 벤젠 핵에 수산기, 알콕시기, 카복실기, 할로젠 등이 도입된 치환 스타이렌 등을 들 수 있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 또는 그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이 외에 스타이렌계 단량체 성분에 다른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한 것도 포함된다.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뷰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에스터 단량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신남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에틸말레산, 메틸이타콘산, 클로로말레산 등의 무수물인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불포화 나이트릴 단량체; 1,3-뷰타다이엔, 2-메틸-1,3-뷰타다이엔(아이소프렌), 2,3-다이메틸-1,3-뷰타다이엔, 1,3-펜타다이엔, 1,3-헥사다이엔 등의 공액 다이엔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2종 이상을 공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 유도체와, 아크릴로나이트릴, 무수 말레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1,3-뷰타다이엔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타이렌의 단독 중합체인 범용 폴리스타이렌(GPPS)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스타이렌계 단량체만을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공중합체; 스타이렌-다이엔계 공중합체; 스타이렌-중합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과 합성 고무(예를 들면, 폴리뷰타다이엔이나 폴리아이소프렌 등)의 혼합물, 합성 고무에 스타이렌을 그래프트 중합시킨 폴리스타이렌 등의 내충격성 폴리스타이렌(HIPS); 스타이렌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예를 들면,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연속상 중에 고무 형상 탄성체를 분산시키고, 고무 형상 탄성체에 상기 공중합체를 그래프트 중합시킨 폴리스타이렌(그래프트 타입 내충격성 폴리스타이렌 "그래프트 HIPS"라고 함);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수소 첨가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여도 된다. 상기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BS나 SIS에 수소를 첨가한 수지인 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나 수소 첨가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 등의 수소 첨가된 스타이렌-다이엔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극성기가 도입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에는, 극성기가 도입된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가 포함된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를 주쇄 골격으로 하여, 극성기가 도입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이다. 상기 극성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무수물기, 카복실산기, 카복실산 에스터기, 카복실산 염화물기, 카복실산 아마이드기, 카복실산 염기, 설폰산기, 설폰산 에스터기, 설폰산 염화물기, 설폰산 아마이드기, 설폰산 염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옥사졸린기,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무수물기, 카복실산기, 카복실산 에스터기, 에폭시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기, 에폭시기이다. 상기 극성기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폴리에스터계 수지와 친화성이 높거나 또는 반응 가능한 극성기를 갖고, 또한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와 상용 가능함으로써,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예를 들면, 표면층이나 B층 등)이나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예를 들면, 다른 A층 등)과의 상온에서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상기 극성기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변성체, 수소 첨가 스타이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의 변성체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무수물 변성 SEBS, 산무수물 변성 SEPS, 에폭시 변성 SEBS, 에폭시 변성 SEPS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산 변성 SEBS, 무수 말레산 변성 SEPS, 에폭시 변성 SEBS, 에폭시 변성 SEPS이다. 상기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타이렌계 수지는, 내열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이다.
또,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투명성이 높고, 사용 중에 상분리를 일으켜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특히, 아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 메틸을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 비율은 1~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범위는 1~30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1~25질량%이다.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 비율이 1~40질량%인 경우,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비율은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40질량%이며, 더 바람직한 범위는 0.1~30질량%이다. 공중합체 중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비율이 0.1질량% 이상이면 내열성이 우수하고, 50질량% 이하의 범위이면 투명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비율은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40질량%이며, 더 바람직한 범위는 0.1~30질량%이다. 공중합체 중의 무수 말레산 함량이 0.1질량% 이상이면 내열성이 우수하고, 50질량% 이하의 범위이면 투명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스타이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타이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스타이렌계 수지로서, 조성, 분자량 등이 다른 복수 종류의 것을 병용할 수 있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공지의 음이온, 괴상, 현탁, 유화 또는 용액 중합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또, 스타이렌계 수지에 있어서는, 공액 다이엔이나 스타이렌계 단량체의 벤젠환의 불포화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수소 첨가율은 핵자기 공명 장치(NMR)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덴키 가가쿠 고교(주)제 "클리어렌 530L", "클리어렌 730L", 아사히 가세이(주)제 "터프프렌 126S", "아사프렌 T411", 크레이튼 폴리머 재팬(주)제 "크레이튼 D1102A", "크레이튼 D1116A", 스티롤루션사제 "스티로 룩스 S", "스티로 룩스 T",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아사플렉스 840", "아사플렉스 860"(이상, SBS), PS 재팬(주)제 "679", "HF77", "SGP10", DIC(주)제 "딕 스타이렌 XC-515", "딕 스타이렌 XC-535"(이상, GPPS), PS 재팬(주)제 "475D", "H0103", "HT478", DIC(주)제 "딕 스타이렌 GH-8300-5"(이상, HIPS)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터프텍 H 시리즈", 셸 재팬(주)제 "크레이튼 G 시리즈"(이상, SEBS), JSR(주)제 "다이나론"(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 랜덤 공중합체), (주)구라레제 "셉톤"(SEPS) 등을 들 수 있다. 또, 변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터프텍 M 시리즈", (주)다이셀제 "에포프랜드", JSR(주)제 "극성기 변성 다이나론", 도아 고세이(주)제 "레제다"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노보넨이나 다환 노보넨계 모노머와 같은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이며, 열가소성 환상 올레핀계 수지라고도 불린다. 이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환상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나 2종 이상의 환상 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어도 되고,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이나, 바이닐기와 같은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의 부가 중합체여도 된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에는,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및/또는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이 이용되고, 또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핵알킬 치환 스타이렌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이 5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5~50몰% 정도가 된다. 특히,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삼원 공중합체를 보호 필름으로 하는 경우,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삼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통상 5~80몰%, 바이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통상 5~80몰%이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적절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독일의 TOPAS ADVANCED POLYMERS GmbH에서 생산되고, 일본에서는 폴리플라스틱스(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TOPAS", JSR(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닛폰 제온(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아"(ZEONOR) 및 "제오넥스"(ZEONEX), 미쓰이 가가쿠(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펠"(이상, 모두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예로서는,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뷰틸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가 플루오렌 변성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가 1,3-사이클로헥실리덴 변성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닐 방향족계 수지 이외의 바이닐계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염화 바이닐리덴,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0~8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6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000~400,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조건으로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Mn)를 측정했다. 또한, Mn은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이다.
GPC: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프 장치(도소(주)제 HLC-8220 GPC, 칼럼; 도소(주)제 가드 칼럼 HXL-H, TSK gel G7000HXL, TSK gel GMHXL 2개, TSK gel G2000HXL을 순차 연결,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유속; 1mL/min, 샘플 농도; 0.7~0.8질량%, 샘플 주입량; 70μL, 측정 온도; 40℃, 검출기; 시차 굴절(RI)계(40℃), 표준 물질; 도소(주)제 TSK 스탠다드 폴리스타이렌)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을 구성하는 폴리머 수지는,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투명층이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층의 폴리머 수지는 달라도 된다.
투명층에 있어서, 폴리머 수지의 함유율은, 투명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99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층을 구성하는 주성분의 폴리머 수지에 관하여,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바람직한 범위에 들어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탄성 계수 및 흡습성의 제어의 관점에서,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층을 통한 편광층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적층체를 제작할 때에는, 접착제층에 접하는 층이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조성물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다른 양태로서 공지의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절히 상술한 폴리머 수지에 경화성 조성물을 혼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편광판의 내구성 향상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고, 에폭시계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모노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70130호의 단락 [0016]~[0044]에 기재된 환상 지방족 탄화 수소기와 불포화 이중 결합기를 갖는 화합물, 플루오렌환과 불포화 이중 결합기를 갖는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31955호의 단락 [0109]~[0133]에 기재된 다관능성 모노머 등에 기재가 있으며,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 편광막과의 수호(水糊)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WO2015/053359호에 기재된 보론산 모노머를 병용할 수도 있다.
·중합 개시제
상기의 경화성 조성물은, 하기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포스핀옥사이드류, 케탈류, 안트라퀴논류, 싸이오잔톤류, 아조 화합물, 과산화물류, 2,3-다이알킬다이온 화합물류, 다이설파이드 화합물류, 플루오로아민 화합물류, 방향족 설포늄류, 로핀 다이머류, 오늄염류, 보레이트염류, 활성 에스터류, 활성 할로젠류, 무기 착체, 쿠마린류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양태, 시판품 등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98658호의 단락 [0133]~[0151]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최신 UV 경화 기술"{(주)기주쓰 조호 교카이}(1991년), p. 159, 및 "자외선 경화 시스템" 가토 기요미 저(헤이세이 원년, 소고 기주쓰 센터 발행), p. 65~148에도 다양한 예가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유용하다.
시판 중인 광개열형의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BASF사제(구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주))제의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907", "이르가큐어 1870"(CGI-403/이르가큐어 184=7/3 혼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500", "이르가큐어 369", "이르가큐어 1173", "이르가큐어 2959", "이르가큐어 4265", "이르가큐어 4263", "이르가큐어 127", "OXE01" 등; 닛폰 가야쿠(주)제의 "카야큐어 DETX-S", "카야큐어 BP-100", "카야큐어 BDMK", "카야큐어 CTX", "카야큐어 BMS", "카야큐어 2-EAQ", "카야큐어 ABQ", "카야큐어 CPTX", "카야큐어 EPD", "카야큐어 ITX", "카야큐어 QTX", "카야큐어 BTC", "카야큐어 MCA"등; 사토머사제의 "Esacure(KIP100F, KB1, EB3, BP, X33, KTO46, KT37, KIP150, TZT)" 등, 및 그들의 조합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층 형성용 경화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 가능한 화합물(반응성 모노머)을 중합시키고, 또한 개시점이 너무 증가하지 않도록 설정한다는 이유에서,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5~8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에는,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히 혼합할 수 있다. 공지의 첨가제로서, 저분자 가소제, 레벨링제, 올리고머계 첨가제, 폴리에스터계 첨가제, 리타데이션 조정제, 매트제, 발수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박리 촉진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필러, 상용화제(相溶化劑) 등을 들 수 있다. 각 소재의 종류나 양은, 광탄성 계수가 바람직한 범위에 들어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투명층이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층의 첨가제의 종류나 양은 달라도 된다.
·매트제
투명층 표면에는, 슬라이딩성 부여나 블로킹 방지를 위하여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립자로서는, 소수기로 표면이 피복되고, 2차 입자의 양태를 취하고 있는 실리카(이산화 규소, SiO2)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미립자에는, 실리카와 함께, 혹은 실리카 대신에, 이산화 타이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탄산 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 칼슘, 수화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인산 칼슘 등의 미립자를 이용해도 된다. 시판 중인 상품으로서는, 상품명 R972, 또는 NX90S(모두 닛폰 에어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미립자는 이른바 매트제로서 기능하며, 미립자 첨가에 의하여 필름 표면에 미소(微小)한 요철이 형성되어 이 요철에 의하여 필름끼리가 중첩되어도 서로 첩부되지 않아, 필름끼리의 슬라이딩성이 확보된다. 이때의 필름 표면으로부터의 미립자가 돌출된 돌기에 의한 미소 요철은 높이 30nm 이상의 돌기가 1mm2당 104개/mm2 이상인 경우에 특히 슬라이딩성, 블로킹성의 개선 효과가 크다.
또, 투명층을 적층체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에 비누화 처리를 행하는데, 그때에 필름 표면의 돌기 높이가 낮아 밀도가 낮아지고, 또 친수화에 의하여 흡습되어 팽윤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첩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하여, 비누화 처리가 실시된 후(비누화 처리 후)여도 미립자가 돌출된 돌기에 의한 미소 요철 높이 30nm 이상의 돌기가 1mm2당 104개/mm2 이상을 갖는 것이 비누화 후의 슬라이딩성, 블로킹성 개선에 효과가 크다.
매트제 미립자는 특히 표층에 부여하는 것이, 블로킹성, 슬라이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표층에 미립자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중층 유연이나 도포 등에 의한 수단을 들 수 있다.
·불소계 화합물, 및/또는 규소계 화합물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에는, 공지의 발수성을 발현하는 화합물(발수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불소계 화합물, 및/또는 규소계 화합물(예를 들면 실리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 함유 실레인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실레인 화합물로서는, 불소 결합기를 가짐과 함께 말단에는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실레인 커플링제이며, 실레인 커플링 반응을 거쳐, 실란올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그 화합물(실레인 커플링제) 중에서도, 화합물 중의 플루오로알킬기가, Si 원자 1개에 대하여, 1개 이하의 비율로 Si 원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가수분해성기 혹은 실록세인 결합기인 불소 함유 실레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수분해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콕시기 등이며, 가수분해에 의하여 하이드록실기가 되고, 그에 따라 불소 함유 실레인 화합물은 중축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발수제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되고, 합성품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불소 함유 실레인 화합물을, 실온~100℃의 범위에서 부생하는 알코올을 증류 제거하면서, 물과 (필요하면 산촉매의 존재하)반응시킨다. 이로써, 알콕시실레인은 (부분적으로)가수분해되어, 일부 축합 반응이 일어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가수분해물로서 얻을 수 있다. 가수분해, 축합의 정도는, 반응시키는 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소 함유 실레인 화합물 용액에 적극적으로는 물을 첨가하지 않고, 조제 후, 주로 건조 시에, 공기 중의 수분 등에 의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용액의 고형분 농도를 얇게 희석시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CF3(CH2)2Si(OCH3)3, CF3(CH2)2Si(OC2H5)3, CF3(CH2)2Si(OC3H7)3, CF3(CH2)2Si(OC4H9)3, CF3(CF2)5(CH2)2Si(OCH3)3, CF3(CF2)5(CH2)2Si(OC2H5)3, CF3(CF2)5(CH2)2Si(OC3H7)3, CF3(CF2)7(CH2)2Si(OCH3)3, CF3(CF2)7(CH2)2Si(OC2H5)3, CF3(CF2)7(CH2)2Si(OC3H7)3, CF3(CF2)7(CH2)2Si(OCH3)(OC3H7)2, CF3(CF2)7(CH2)2Si(OCH3)2OC3H7, CF3(CF2)7(CH2)2SiCH3(OCH3)2, CF3(CF2)7(CH2)2SiCH3(OC2H5)2, CF3(CF2)7(CH2)2SiCH3(OC3H7)2, (CF3)2CF(CF2)8(CH2)2Si(OCH3)3, C7F15CONH(CH2)3Si(OC2H5)3, C8F17SO2NH(CH2)3Si(OC2H5)3, C8F17(CH2)2OCONH(CH2)3Si(OCH3)3, CF3(CF2)7(CH2)2Si(CH3)(OCH3)2, CF3(CF2)7(CH2)2Si(CH3)(OC2H5)2, CF3(CF2)7(CH2)2Si(CH3)(OC3H7)2, CF3(CF2)7(CH2)2Si(C2H5)(OCH3)2, CF3(CF2)7(CH2)2Si(C2H5)(OC3H7)2, CF3(CH2)2Si(CH3)(OCH3)2, CF3(CH2)2Si(CH3)(OC2H5)2, CF3(CH2)2Si(CH3)(OC3H7)2, CF3(CF2)5(CH2)2Si(CH3)(OCH3)2, CF3(CF2)5(CH2)2Si(CH3)(OC3H7)2, CF3(CF2)2O(CF2)3(CH2)2Si(OC3H7), C7F15CH2O(CH2)3Si(OC2H5)3, C8F17SO2O(CH2)3Si(OC2H5)3, C8F17(CH2)2OCHO(CH2)3Si(OCH3)3, CF3(CF2)7CH2CH2SiCl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알콕시기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실레인(신에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BM-7803(화학식은 CF3(CF2)7CH2CH2Si(OCH3)3)), 염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실레인(도시바 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제: TSL8232(화학식은 CF3(CF2)7CH2CH2SiCl3), 옵툴 시리즈(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FG-5020(가부시키가이샤 플루오로 테크놀로지제) 등을, 시판품의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발수제는, 단독으로도 또한 2종 이상 조합해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CF3(CF2)7CH2CH2SiCl3, CF3(CH2)2Si(OCH3)3, CF3(CF2)7(CH2)2Si(OCH3)3이 바람직하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90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732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4082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소수성 미립자를, 적절히 함유시킬 수도 있다.
·레벨링제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에는, 공지의 레벨링제(계면활성제)를 적절히 혼합할 수 있다. 레벨링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함불소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30725호 중의 단락 번호 [0028]~[005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에는, 공지의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를 적절히 혼합할 수 있다. 투명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리 필름(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용융 압출법이나 코팅법에 의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들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표면 에너지차가 작아지는 화합물이나, 박리 필름에 대한 침투성이 있는 화합물을 투명층에 첨가하면,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박리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투명층의 분자 배향을 저하시키고, 또한 굴절률 이방성이 작은 화합물을 첨가하면, 리타데이션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프탈산과 같은 비교적 강직한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첨가하면, 투명층의 경도를 높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폴리에스터계 첨가제로서는,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98674호의 단락 [0027]~[0034]에 기재되는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질량%인 것 보다 바람직하며, 3~1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의 제작에 이용하는 박리 필름이 폴리에스터계 필름인 경우에는, 특히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올리고머를 포함함)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화합물에 대하여, 하기에 기재한다.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은,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와 다이올 유래의 반복 단위를 갖고, 상기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 중,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의 몰비를 m,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의 몰비를 n으로 했을 때 m:n이 0:10~5:5이다.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유닛 비율을 높임으로써 소재 유래의 경도가 증대하여, 투명층의 경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Mn)은, 6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10000이 보다 바람직하며, 700~5000이 더 바람직하고, 750~3000이 가장 바람직하다.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이면 건조나 연신 공정에서의 휘발성이 낮아져,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과 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필름의 연신 시의 고온 조건하에 있어서의 휘산에 의한 고장이나 공정 오염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30000 이하이면 투명층의 재료와의 상용성이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져,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하여 측정, 평가할 수 있다.
또한, GPC의 측정 조건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은, 탄소수 2~10의 다이올과 탄소수 4~10의 다이카복실산으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방법으로서는, 다이카복실산과 다이올의 탈수 축합 반응, 또는 글라이콜에 대한 무수 다이카복실산의 부가 및 탈수 축합 반응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이카복실산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란, 카복실산기(COOH)에 포함되는 탄소수를 포함하는 수이다.
여기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은, 다이카복실산인 방향족 다이카복실산과 다이올의 합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합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이카복실산 및 다이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카복실산-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및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고, 박리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터계 필름을 이용한 경우의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밀착 제어, 투명층의 경도, 본 발명의 적층체의 내구성(편광판 내구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투명층의 리타데이션을 낮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프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을 병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병용을 들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중에서도 프탈산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에 포함되는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 중, 프탈산 유래의 반복 단위의 비율은 7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비율(몰비)은, 투명층의 Rth를 제어하는 관점에서 변경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Rth를 저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5: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7:3~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세바스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석신산 및 아디프산이 바람직하고, 아디프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다이카복실산의 탄소수는, 4~10인 것이 바람직하고, 4~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2종 이상의 다이카복실산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되고, 이 경우, 2종 이상의 다이카복실산의 평균 탄소수가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카복실산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이면, 투명층의 재료와의 상용성이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며,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리드 아웃을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카복실산과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을 병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아디프산과 프탈산의 병용, 아디프산과 테레프탈산의 병용, 석신산과 프탈산의 병용, 석신산과 테레프탈산의 병용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이카복실산과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을 병용하는 경우, 양자의 비율(몰비)은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의 몰비를 m,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유래의 반복 단위의 몰비를 n으로 했을 때 m:n이 0:10~3:7이며, 0:10~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이올-
다이올로서는, 지방족 다이올 및 방향족 다이올을 들 수 있고, 지방족 다이올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올로서는, 알킬다이올 또는 지환식 다이올류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1,2-프로페인다이올, 1,3-프로페인다이올, 1,2-뷰테인다이올, 1,3-뷰테인다이올, 2-메틸-1,3-프로페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1,5-펜테인다이올, 2,2-다이메틸-1,3-프로페인다이올(네오펜틸글라이콜), 2,2-다이에틸-1,3-프로페인다이올(3,3-다이메틸올펜테인), 2-n-뷰틸-2-에틸-1,3-프로페인다이올(3,3-다이메틸올헵테인), 3-메틸-1,5-펜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2,2,4-트라이메틸-1,3-펜테인다이올, 2-에틸-1,3-헥세인다이올, 2-메틸-1,8-옥테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1,10-데케인다이올, 다이에틸렌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지방족 다이올로서는, 에틸렌글라이콜, 1,2-프로페인다이올, 및 1,3-프로페인다이올 중 적어도 1종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라이콜 및 1,2-프로페인다이올 중 적어도 1종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라이콜이다. 2종을 이용하는 경우는, 에틸렌글라이콜 및 1,2-프로페인다이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올의 탄소수는,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4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다이올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2종 이상의 평균 탄소수가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올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이면, 투명층의 재료와의 상용성이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리드 아웃을 발생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밀봉-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양 말단은 밀봉, 미밀봉을 불문하지만,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분자량이 낮은, 이른바 올리고머인 경우에는 특히 말단이 알킬기 혹은 방향족기로 밀봉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말단을 소수성 관능기로 보호함으로써,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편광판 내구성의 개선에 유효하고, 에스터기의 가수분해를 지연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양 말단이 카복실산이나 OH기가 되지 않도록, 모노알코올 잔기나 모노카복실산 잔기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수산기값이 10mgKOH/g 이하인 것이 편광자 내구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5mg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mgKOH/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양 말단이 밀봉되어 있는 경우, 모노카복실산과 반응시켜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양 말단은 모노카복실산 잔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잔기란,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부분 구조이며,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을 형성하고 있는 단량체의 특징을 갖는 부분 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모노카복실산 R-COOH로 형성되는 모노카복실산 잔기는 R-CO-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잔기이며, 모노카복실산 잔기가 탄소수 2~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잔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3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잔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탄소수 2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잔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노카복실산 잔기(R-CO-)에 있어서의 탄소수란, R 중의 탄소뿐만 아니라, -CO- 중의 탄소를 포함시킨 탄소수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양 말단의 모노카복실산 잔기의 탄소수가 3 이하이면, 휘발성이 저하되어,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가열에 의한 감량이 커지지 않고, 공정 오염의 발생이나 면 형상 고장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밀봉에 이용하는 모노카복실산류로서는 제조 적성 및 면 형상 품질의 관점에서 방향족 모노카복실산보다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모노카복실산이 탄소수 2~22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3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탄소수 2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잔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뷰탄산 및 그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또는 프로피온산이 보다 바람직하며, 아세트산(말단이 아세틸기가 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밀봉에 이용하는 모노카복실산은 2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양 말단을 밀봉한 경우는 상온에서의 상태가 고체 형상이 되기 어려워, 핸들링이 양호해질 수도 있다. 또, 습도 안정성, 편광판 내구성이 우수한 투명층을 얻을 수 있다.
-합성 방법-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화합물의 합성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을 포함하는 다이카복실산과, 다이올과, 필요에 따라 말단 밀봉용 모노카복실산 또는 모노알코올의 폴리에스터화 반응 또는 에스터 교환 반응에 의한 열 용융 축합법이거나, 혹은 이들 산의 산 클로라이드와 글라이콜류의 계면 축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는 것이다.
시판 중인 폴리에스터계 화합물로서는, 니혼 고세이제 에스터계 수지 폴리에스터(예를 들면, LP050, TP290, LP035, LP033, TP217, TP220), 도요보제 에스터계 수지 바이론(예를 들면, 바이론 245, 바이론 GK890, 바이론 103, 바이론 200, GK880)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층의 제작>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은, 공지의 용액 제막법, 용융 압출법, 또는 박리 필름(기재 필름) 상에 공지의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코팅법)으로 제작할 수 있고, 적절히 연신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용융 압출법, 또는 코팅법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용액 제막법은, 투명층의 재료를 유기 용매 또는 물에 용해한 용액을 조제하고, 농축 공정이나 여과 공정 등을 적절히 실시한 후에, 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한다. 다음으로, 덜 건조된 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적절히 웨브의 양단을 클립 등으로 파지하여 건조 존에서 용매를 건조시킨다. 또, 연신은, 필름의 건조 중이나 건조가 종료된 후에 별도 실시할 수도 있다.
용융 압출법은, 투명층의 재료를 열로 용융하고, 여과 공정 등을 적절히 실시한 후에, 지지체 상에 균일 유연한다. 다음으로, 냉각되어 고화된 필름을 박리하여, 적절히 연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층의 주재료가 열가소성 폴리머 수지인 경우, 박리 필름의 주재료도 열가소성 폴리머 수지를 선정하고, 용융 상태로 한 폴리머 수지를 공지의 공압출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이때,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폴리머 종류나 각층에 혼합되는 첨가제를 조정하거나, 공압출한 필름의 연신 온도, 연신 속도, 연신 배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접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공압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압출 T 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래미네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공압출 T 다이법이 바람직하다. 공압출 T 다이법에는 피드 블록 방식 및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 있다. 그 중에서도, 두께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점에서,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압출 T 다이법을 채용하는 경우, T 다이를 갖는 압출기에 있어서의 수지의 용융 온도는, 각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보다, 80℃ 높은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높은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 180℃ 높은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 높은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기에서의 수지의 용융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의 유동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통상, 다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시트 형상의 용융 수지는, 냉각 드럼에 밀착시키도록 한다. 용융 수지를 냉각 드럼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방식, 배큐엄 박스 방식, 정전 밀착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냉각 드럼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2개 이상이다. 또, 냉각 드럼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선형, Z형, L형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의 냉각 드럼으로의 통과 방식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냉각 드럼의 온도에 따라, 압출된 시트 형상의 수지의 냉각 드럼에 대한 밀착 상태가 변화한다. 냉각 드럼의 온도를 높이면 밀착은 양호해지지만, 온도를 너무 높이면 시트 형상의 수지가 냉각 드럼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아, 드럼에 감길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하여, 냉각 드럼 온도는, 다이스로부터 압출하는 수지 중 드럼에 접촉하는 층의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Tg+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Tg-5)℃~(Tg-45)℃의 범위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딩이나 흠집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신 전 필름 중의 잔류 용제의 함유량은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1) 원료가 되는 수지의 잔류 용제를 줄이거나; (2) 연신 전 필름을 성형하기 전에 수지를 예비 건조시키는; 등의 수단을 들 수 있다. 예비 건조는, 예를 들면 수지를 펠릿 등의 형태로 하여, 열풍 건조기 등에서 행해진다. 건조 온도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건조 시간은 2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다. 예비 건조를 행함으로써, 연신 전 필름 중의 잔류 용제를 저감시킬 수 있어, 압출된 시트 형상의 수지의 발포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코팅법은, 기재인 필름에 투명층의 재료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기재 표면에는, 코팅층과의 접착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적절히 이형제 등을 미리 도포해 두어도 된다. 코팅층은, 후공정으로 접착제나 점착제를 통하여 편광층과 적층시킨 후,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 필름에 폴리머 용액 또는 코팅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적절히 박리 필름마다 연신하여, 광학 특성이나 역학 물성을 조정할 수 있다.
투명층 재료의 용액에 이용되는 용매는, 투명층 재료를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것, 도포 공정, 건조 공정에 있어서 균일한 면 형상이 되기 쉬운 것, 액 보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 적당한 포화 증기압을 갖는 것 등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투명층에는 공지의 글로 방전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알칼리 비누화 처리 등에 의하여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로나 방전 처리가 가장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94915호, 또는 동 6-118232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 등을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열처리 공정, 과열 수증기 접촉 공정, 유기 용매 접촉 공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하드 코트 필름, 방현 필름,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박리 필름)
투명층을, 코팅법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박리 필름은, 막두께가 5~1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75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5~55μm가 더 바람직하다. 막두께가 5μm 이상이면, 충분한 기계 강도를 확보하기 쉬워, 컬, 주름, 좌굴(座屈) 등의 고장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막두께가 100μm 이하이면, 본 발명의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복층 필름을, 예를 들면 장척의 롤 형태로 보관하는 경우에, 복층 필름에 가하는 면압을 적정한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 접착의 고장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필름의 표면 에너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층의 재료나 코팅 용액의 표면 에너지와, 박리 필름의 투명층을 형성시키는 측의 표면의 표면 에너지의 관계성을 조정함으로써,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표면 에너지차를 작게 하면, 접착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표면 에너지차를 크게 하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물 및 아이오딘화 메틸렌의 접촉각값으로부터 Owens의 방법을 이용하여, 박리 필름의 표면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접촉각의 측정에는, 예를 들면 DM901(교와 가이멘 가가쿠(주)제, 접촉각계)을 이용할 수 있다.
박리 필름의 투명층을 형성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는, 41.0~48.0mN/m인 것이 바람직하고, 42.0~48.0m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에너지가 41.0mN/m 이상이면, 투명층의 두께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48.0mN/m 이하이면, 투명층을 박리 필름과의 박리력을 적절한 범위로 제어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박리 필름의 표면 요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층 표면의 표면 에너지, 경도, 표면 요철과, 박리 필름의 투명층을 형성시키는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표면 에너지, 경도와의 관계성에 따라, 예를 들면 투명층과 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필름을 장척의 롤 형태로 보관하는 경우의 접착 고장을 방지할 목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표면 요철을 크게 하면, 접착 고장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고, 표면 요철을 작게 하면, 투명층의 표면 요철이 감소되어, 투명층의 헤이즈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리 필름으로서는, 공지의 소재나 필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올레핀계 폴리머, 사이클로올레핀계 폴리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스계 폴리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박리 필름의 표면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적절히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면 에너지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상온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을 행할 수 있고, 표면 에너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콘 처리, 불소 처리, 올레핀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박리력)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투명층을, 코팅법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투명층과 박리 필름의 사이의 박리력은, 상기 투명층의 재료, 박리 필름의 재료, 투명층의 내부 왜곡 등을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박리력은, 예를 들면 박리 필름을 90° 방향으로 박리하는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300mm/분의 속도로 측정했을 때의 박리력이, 0.001~5N/25mm가 바람직하고, 0.01~3N/25mm가 보다 바람직하며, 0.1~1N/25mm가 더 바람직하고, 0.15~0.8N/25mm가 가장 바람직하다. 0.001N/25mm 이상이면, 박리 필름의 박리 공정 이외에서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고, 5N/25mm 이하이면, 박리 공정에 있어서의 박리 불량(예를 들면, 지핑이나, 투명층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층)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편광층으로서는, 아이오딘-폴리바이닐알코올 착체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을 아이오딘 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
이와 같은 편광층을 이용하는 경우,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상술한 투명층의 표면 처리면을 직접 첩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폴리바이닐알코올 또는 폴리바이닐아세탈(예를 들면, 폴리바이닐뷰티랄)의 수용액이나, 바이닐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뷰틸아크릴레이트)의 라텍스, UV 접착제(에폭시계나 아크릴계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적층체의 변형 고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용액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완전 비누화 폴리바이닐알코올의 수용액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투명층과 편광층의 밀착성 개선의 관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87744호에 기재된 에폭시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1094호에 기재된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고, 편광층의 흡수축과, 상기 투명층의 음파 전파 속도가 최대가 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이 평행이거나, 또는 직교하도록 첩합하여 제작된다.
본 명세서 중, 2개의 직선이 평행이란,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인 경우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 허용되는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직선이 평행이란,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2개의 직선이 직교한다(수직)란,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 허용되는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직선이 직교한다(수직)란,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층에 투명층이 첩합된 면의 반대면에는, 투명층을 추가로 첩합해도 되고, 종래 알려져 있는 광학 필름을 첩합해도 된다. 상기 반대면에도 박막의 투명층을 첩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적층체를 액정 패널에 첩합한 경우에, 연필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반대면에 첩합하는 투명층은, 가교성의 재료나 고경도의 미립자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편광층의 두께, 및 본 발명의 적층체를 액정 패널에 첩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점착제의 두께를 얇게 하면, 패널에 첩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적층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실 사용 형태에서의 연필 경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한 종래 알려져 있는 광학 필름에 대해서는, 광학 특성 및 재료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셀룰로스에스터 수지, 아크릴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혹은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필름을 이용해도 되고, 광학적으로 이방성의 위상차 필름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의 종래 알려져 있는 광학 필름에 대하여, 셀룰로스에스터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후지탁 TD40UC(후지필름(주)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종래 알려져 있는 광학 필름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일본 특허공보 제4570042호에 기재된 스타이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일본 특허공보 제5041532호에 기재된 글루타르이미드환 구조를 주쇄에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2664호에 기재된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9754호에 기재된 글루타르산 무수물 단위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종래 알려져 있는 광학 필름에 대하여, 환상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37376호의 단락 [0029] 이후에 기재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일본 특허공보 제48818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63536호에 기재된 Rth를 저감시키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환상 올레핀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투명층의 박리 필름의 박리)
본 발명의 투명층의 제작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용융 압출법, 또는 코팅법의 경우, 상술한 편광층과 투명층을 첩합하는 공정 후, 투명층 상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형성시키는 공정 전의 단계에 있어서, 투명층과 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필름에 포함되는 박리 필름을 박리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다. 박리 필름의 박리 제거는, 통상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에서 행해지는 세퍼레이터(박리 필름)의 박리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할 수 있다. 박리 필름의 박리는, 본 발명의 투명층과 편광층을 접착제로 적층하고, 건조시키는 공정 후, 그대로 바로 박리해도 되며, 건조 공정 후, 일단 롤 형상으로 권취하고, 그 후의 공정에서 별도 박리해도 된다.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호한 대전 방지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층의 탄성률이 1GP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G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G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인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를 함유하고,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유레테인계 점착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는, 특히, 점착 특성의 제어가 쉬운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실기, 및 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점착 특성이 우수한 점착제 설계가 가능해지고, 또,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점착 특성의 제어가 용이하게 가능해져,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또, 상기 하이드록실기, 및 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하이드록실기가, 가교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상기 카복실기가, 전단력을 향상시키거나, 경시에 따른 점착력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특히, 상기 하이드록실기, 및 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전단력이 향상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점착제를 피착체에 첩부함으로써, 피착체에 근거하는 컬을 억제할 수 있고, 점착제와 피착체의 사이(계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이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로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를 함유하는데,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질량% 중,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가 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란, 아크릴계 폴리머 및/또는 메타크릴계 폴리머를 말하며, 또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만~500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만~400만, 더 바람직하게는 30만~300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40만~70만이다. Mw가 10만보다 작은 경우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작아짐으로써 잔여 접착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한편, Mw가 500만을 초과하는 경우는, 폴리머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피착체(예를 들면, 광학 부재인 편광판 등)에 대한 습윤성이 불충분해져, 피착체와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점착제 조성물층)의 사이에 발생하는 블리스터(blister)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Mw는, 젤·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법(GPC)에 의하여 측정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GPC의 측정 조건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또,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예를 들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Tg가 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통상 -100℃ 이상). Tg가 0℃보다 높은 경우, 폴리머가 유동하기 어렵고, 예를 들면 피착체(예를 들면, 광학 부재인 편광판 등)에 대한 습윤성이 불충분해져, 피착체와 점착제층(점착제 조성물층)의 사이에 발생하는 블리스터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 Tg를 0℃ 이하로 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과 경박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폴리머(예를 들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Tg는, 이용하는 모노머 성분이나 조성비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는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어 있어도 되고, 적절히, 공지의 가교 촉매나 가교 지연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후술하는 대전 방지제는, 광학 시트 또는 보호 필름 등의 기재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점착층이, 예를 들면 약 1×108~1×1011Ω/cm2의 표면 저항값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 폴리머에 첨가된다.
·대전 방지제
대전 방지제는 유기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이용되는 베이스 폴리머 및 유기 용매와의 상용성을 갖도록, 동시에, 이온성 화합물을 베이스 폴리머에 첨가한 경우에 점착제 조성물의 투명성을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다른 광학층과 적층된 상태에서의 점착제 조성물의 표면 저항값이 1×1011Ω/cm2 이하가 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이미다졸륨염, 피리디늄염, 알킬암모늄염, 알킬피롤리디늄염, 및 알킬포스포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륨염의 예로서는, 1,3-다이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뷰틸-2,3-다이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메테인설포네이트, 1-뷰틸-1-(3,3,4,4,5,5,6,6,7,7,8,8,8-트라이데카플루오로옥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아이오다이드, 1-에틸-2,3-다이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2,3-트라이메틸이미다졸륨메틸설페이트, 1-메틸-3-(3,3,4,4,5,5,6,6,7,7,8,8,8-트라이데카플루오로옥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아릴-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벤질-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벤질-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벤질-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리디늄염의 예로서, 1-뷰틸-3-메틸피리디늄 브로마이드, 1-뷰틸-4-메틸피리디늄 브로마이드, 1-뷰틸-4-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1-뷰틸피리디늄 브로마이드, 1-뷰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1-뷰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에틸피리디늄 브로마이드, 1-에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암모늄염의 예로서, 사이클로헥실트라이메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이미드, 테트라-n-뷰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트라이뷰틸메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테트라뷰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이미드, 테트라에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테트라뷰틸암모늄벤조에이트, 테트라뷰틸암모늄메테인설페이트, 테트라뷰틸암모늄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포네이트, 테트라-n-뷰틸암모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뷰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테트라헥실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테트라헥실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헥실암모늄아이오다이드, 테트라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헵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펜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헥사데실트라이메틸암모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피롤리디늄염의 예로서, 1-뷰틸-3-메틸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 1-뷰틸-1-메틸피롤리디늄 클로라이드, 1-뷰틸-1-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포스포늄염의 예로서, 테트라뷰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뷰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뷰틸포스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테트라뷰틸포스포늄메테인설포네이트, 테트라뷰틸포스포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라이뷰틸헥사데실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에 관해서는, 함질소 오늄염, 함황 오늄염, 또는 함인 오늄염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 1-뷰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뷰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뷰틸-3-메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뷰틸-3-메틸피리디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1-뷰틸-3-메틸피리디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1-뷰틸-3-메틸피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테인설폰일)이미드, 1-헥실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메틸-1-피롤린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2-페닐인돌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2-다이메틸인돌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카바졸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헵타플루오로뷰티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뷰테인설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다이사이안아마이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펜타플루오로에테인설폰일)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헵타플루오로뷰티레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뷰테인설포네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2,3-다이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2-다이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1-메틸피라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3-메틸피라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테트라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다이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N,N-다이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테인설폰일)이미드, 글리시딜트라이메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 글리시딜트라이메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글리시딜트라이메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테인설폰일)이미드, 1-뷰틸피리디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1-뷰틸-3-메틸피리디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글리시딜트라이메틸암모늄(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N,N-다이메틸-N-에틸-N-프로필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에틸-N-뷰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에틸-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에틸-N-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에틸-N-헵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에틸-N-노닐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N-다이프로필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프로필-N-뷰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프로필-N-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프로필-N-헵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뷰틸-N-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뷰틸-N-헵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펜틸-N-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메틸-N,N-다이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트라이메틸헵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에틸-N-메틸-N-프로필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에틸-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에틸-N-메틸-N-헵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트라이에틸프로필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트라이에틸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트라이에틸헵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프로필-N-메틸-N-에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프로필-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프로필-N-뷰틸-N-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프로필-N,N-다이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뷰틸-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N,N-다이뷰틸-N-메틸-N-헥실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트라이옥틸메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및 N-메틸-N-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첨가량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2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대전 방지 성능과 비착체 오염성을 양립할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교제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수지, 아지리딘 유도체, 및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이용해도 되고, 특히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은,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또,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리타데이션의 습도 의존성>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적층체 상태의 투명층의 Rth 습도 의존성(ΔRth(pol))은, Axo Scan(Axometrics제)을 이용하여, 각층의 리타데이션을 분리하여 구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적층체 상태에서의 투명층의 Rth의 습도 변화(ΔRth(pol))는, -20~20nm가 바람직하고, -15~15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0~10nm가 더 바람직하고, -5~5nm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ΔRth(pol)는, 상대 습도가 H(단위; %)일 때의 면내 방향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 Re(H%) 및 Rth(H%)로부터, 하기 식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ΔRth(pol)=Rth(pol, 30%)-Rth(pol, 80%)
Rth(pol, H%)는, 적층체를 25℃, 각각의 상대 습도 H%에서 72시간 습도 조절 후, 상대 습도 H%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 값을 측정, 산출한 것이다. 또한, 상대 습도를 명기하지 않고 단지 Re(pol)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는, 상대 습도 60%에서 72시간 방치한 후의 동 환경에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값으로 한다.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본 발명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투명층을 편광층의 내측(즉 편광층과 액정 셀의 사이), 외측(즉 액정 셀측의 면과 반대 측의 면) 중 어떤 배치여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투명층이, 상기 편광층과 상기 액정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적층체가 상기 백라이트 측, 혹은 시인 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백라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백라이트 측 적층체, 액정 셀, 시인 측 적층체의 순서로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액정 표시 장치 중 어떤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방식(모드)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TN(Twisted Nematic) 방식의 액정 셀, 가로 전계 스위칭 IPS(In-Plane Switching) 방식의 액정 셀,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방식의 액정 셀, AFLC(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방식의 액정 셀, OCB(Optically Compensatory Bend) 방식의 액정 셀, STN(Supper Twisted Nematic) 방식의 액정 셀, VA(Vertically Aligned) 방식의 액정 셀 및 HAN(Hybrid Aligned Nematic) 방식의 액정 셀 등의 다양한 표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 셀은 IPS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액정 표시 장치 중 어떤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투명층의 제조와 평가
하기 소재를 사용했다.
1) 수지
·수지 1:
시판 중인 폴리스타이렌(PS 재팬제, SGP-10, Tg 100℃)을 구입하여, 그대로 이용했다.
·수지 2:
시판 중인 폴리스타이렌(PS 재팬제, 679)을 구입하여, 그대로 이용했다.
·수지 3:
시판 중인 환상 올레핀계 수지(JSR제, 아톤 RX4500)를 110℃에서 가열하여, 상온으로 되돌린 후 이용했다.
·수지 4:
치환도가 2.86인 셀룰로스아세테이트의 분체를 이용했다. 수지 4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300, 6위의 아세틸기 치환도는 0.89, 아세톤 추출분은 7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비는 2.3, 함수율은 0.2질량%, 6질량% 다이클로로메테인 용액 중의 점도는 305mPa·s, 잔존 아세트산 양은 0.1질량% 이하, Ca 함유량은 65ppm, Mg 함유량은 26ppm, 철 함유량은 0.8ppm, 황산 이온 함유량은 18ppm, 옐로 인덱스는 1.9, 유리 아세트산 양은 47ppm이었다. 분체의 평균 입자 사이즈는 1.5mm, 표준 편차는 0.5mm였다.
2) 첨가제
·첨가제 1:
에테인다이올/1,2-프로페인다이올/아디프산(5/5/10몰비)과의 축합물, 수평균 분자량 1000, 수산기값 112mgKOH/g
·첨가제 2:
에테인다이올/프탈산(1/1 몰비)의 축합체의 양 말단의 아세트산 에스터체, 수평균 분자량 1000, 수산기값 0mgKOH/g
·대전 방지제 1:
1-뷰틸-3-메틸피리디늄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계면활성제 1: 하기 구조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3) 박리 필름
·기재 1:
편면은 매트 처리, 다른 편면은 표면 처리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막두께 38μm)을 제작하여, 기재 1로서 이용했다.
·기재 2:
시판 중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루미러(R) S105(막두께 38μm, 도레이제)를 기재 2로서 이용했다.
·기재 3:
시판 중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루미러(R) S10(막두께 25μm, 도레이제)을 기재 3으로서 이용했다.
<투명층 1>
(수지 용액의 조제)
20질량부의 수지 1을 흡습률이 0.2질량% 이하인 아세트산 에틸 용매와 함께 믹싱 탱크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9질량%의 수지 용액을 얻었다.
또한, 이하의 투명층 2~9에 있어서 이용하는 용매는, 모두 흡습률이 0.2질량% 이하이다.
계속해서, 얻어진 용액을 절대 여과 정밀도 10μm의 여과지(#63, 도요 로시(주)제)로 여과하고, 또한 절대 여과 정밀도 2.5μm의 금속 소결 필터(FH025, 폴사제)로 여과하여 수지 용액 1을 얻었다.
(투명층의 제작)
상기 수지 용액 1을, 기재 1의 표면 처리되어 있지 않은 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표 1에 기재된 막두께가 되도록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연속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시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에 투명층 1을 형성시켰다.
<투명층 2>
20질량부의 수지 1 대신에 하기 소재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수지 1 17질량부
수지 2 3질량부
<투명층 3>
수지 1을 수지 3에, 아세트산 에틸 용매를 톨루엔 용매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투명층 4>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투명층 3의, 기재 1에 접하고 있지 않은 면 상에, 2μm 두께의 투명층 1을, 상기 방법으로 형성시켜, 적층체를 얻었다. 투명층 3과 투명층 1의 적층체를 투명층 4로 한다.
<투명층 5>
20질량부의 수지 1 대신에 하기 소재군을 사용하고, 아세트산 에틸 용매를 다이클로로메테인 용매로, 고형분 농도 9질량%를 5질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수지 4 20질량부
첨가제 1 3질량부
<투명층 6>
20질량부의 수지 1 대신에 하기 소재군을 사용하며, 건조 후의 막두께가 표 1에 기재된 막두께가 되도록 하고, 건조 온도를 110℃로 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수지 1 20질량부
계면활성제 1 0.02질량부
<투명층 7>
20질량부의 수지 1 대신에 하기 소재군을 사용하고, 건조 후의 막두께가 표 1에 기재된 막두께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수지 1 18질량부
첨가제 2 2질량부
<투명층 8>
기재 1을 기재 2로 변경하고, 건조 후의 막두께가 표 1에 기재된 막두께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투명층 9>
기재 1을 기재 3으로 변경하고, 건조 후의 막두께가 표 1에 기재된 막두께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투명층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투명층 10>
20질량부의 수지 1 대신에 하기 소재군을 사용하고, 수지 용액을, 기재 1의 표면 처리되어 있지 않은 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표 1에 기재된 막두께가 되도록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연속 도포하고, 60℃에서 건조시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에 도막을 형성시킨 후, 질소 퍼지하 산소 농도 약 0.01체적%로 160W/cm의 공랭 메탈할라이드 램프(아이 그래픽스(주)제)를 이용하여, 조도 200mW/cm2, 조사량 1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투명층 10을 추가로 형성시켰다.
셀록사이드 2021P[다이셀(주)제] 48질량부
CPI 100P[산아프로(주)제] 2질량부
<필름 1>
시판 중인 편면에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막두께 80μm, 후지필름(주)제)을 그대로 사용했다.
(투명층의 평가)
상기에서 제작한 투명층을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pct00002
《2》 적층체의 제작과 평가
(적층체의 제작)
1) 투명층 1~5 및 필름 1의 표면 처리
투명층 1~5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여, 표면 처리한 투명층 1~5를 제작했다. 또, 필름 1에 대하여, 이접착층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여, 표면 처리한 필름 1을 제작했다.
또한, 투명층 6~10은 코로나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했다.
또,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후지필름제, 후지탁 TG40)을 37℃로 온도 조절한 1.5mol/L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비누화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필름을 수세하고, 그 후, 0.05mol/L의 황산 수용액에 30초 침지시킨 후, 또한 수세욕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에어 나이프에 의한 탈수를 3회 반복하고, 물을 떨어뜨린 후에 70℃의 건조 존에 15초간 체류시켜 건조시켜,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제작했다.
2) 편광층의 제작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1926호의 실시예 1에 따라, 두 쌍의 닙롤 사이에 주속차를 부여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여, 두께 12μm의 편광층을 제작했다.
3) 첩합
표면 처리한 투명층 1~5, 표면 처리한 필름 1, 투명층 6~10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편광층의 한쪽 면에 갖고, 상기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을 편광층의 다른 쪽 면에 갖는 적층체를 제작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 2에 나타낸 표면 처리한 투명층 1~5, 표면 처리한 필름 1, 투명층 6~10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와, 상기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이하, 이들을 "보호 필름"이라고도 부름)으로 상술한 편광층을 협지한 후, 표 2에 기재된 하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층의 흡수축과 보호 필름의 길이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롤 투 롤로 적층했다.
여기에서, 편광층에 보호 필름을 첩합할 때에는, 표면 처리한 투명층 1~5, 표면 처리한 필름 1에 대해서는, 코로나 처리면이 편광층 측이 되도록 하고, 투명층 6~10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이 편광층 측이 되도록 했다.
·접착제 1:
폴리바이닐알코올(구라레제, PVA-117H) 3% 수용액을 접착제로서 이용했다.
·접착제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94502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접착제 A에 준하여 접착제를 조제했다.
계속해서, 70℃에서 건조시킨 후, 투명층 1~10의 기재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세퍼레이터의 박리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 박리했다. 이때, 투명층 7은, 다른 투명층과 비교하여, 박리에 필요로 하는 힘이 적절히 높아, 안정적으로 박리 필름을 박리할 수 있었다.
계속해서, 대전 방지제 1을 2질량% 포함하고, 베이스 폴리머가 뷰틸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를 투명층 상 또는 필름 1 상에 도공하여 적층체 1~11을 제작했다.
한쪽의 보호 필름으로서 투명층 6을 이용하고 다른 쪽의 보호 필름으로서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이용한 적층체 7의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필름을 투명층 6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편광층의 양면에 투명층 6이 형성된 적층체 12를 제작했다. 이 적층체의 초기 편광도는 99.9% 이상인 것을 확인했다.
(적층체의 평가)
상기 적층체를 40mm×40mm의 톰슨 블레이드로 펀칭하여, 두께 1mm의 50mm×50mm 사이즈의 무알칼리 유리판에 점착제면을 통하여 첩합했다.
1) 초기 편광도
상기 유리판에 첩합한 적층체의 편광도를 상술한 방법으로 산출한바, 모든 적층체의 편광도가 99.9% 이상이었다. 편광도의 측정에는, 니혼 분코(주)제 자동 편광 필름 측정 장치 VAP-7070을 이용했다.
2) 경시 편광도
상기 초기 편광도를 측정한 시험편을 85℃·상대 습도 85%의 환경에서 3일간 유지한 후에, 25℃·상대 습도 60%의 환경에서 24시간 유지하고, 상기 방법으로 편광도를 측정했다. 이 편광도를 경시 편광도로 했다.
3) 대전 방지제의 이행률
상기 초기 편광도를 측정한 샘플을 85℃·상대 습도 85%의 환경에서 3일간 유지한 후에 25℃·상대 습도 60%의 환경에서 24시간 더 유지하고, 상술한 방법으로 대전 방지제의 이행률을 측정하여, 표 2에 기재했다.
4) 편광층 접착성
JIS-K-5600-5-6-1에 기재된 크로스 컷법으로 평가를 행했다. 제작한 적층체의 투명층 표면에 1mm 간격으로 100개의 바둑판눈을 넣어, 셀로판 테이프(등록 상표)(니치반(주)제)로 밀착 시험을 행했다. 새로운 셀로판 테이프를 붙인 후에 박리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A: 바둑판눈 중의 매스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음
B: 바둑판눈 중의 매스의 박리가 없는 것이 50% 이상 100% 미만
C: 바둑판눈 중의 매스의 박리가 없는 것이 50% 미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은 A, B의 기준이다. A의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실장 평가(IPS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실장)
IPS 모드의 액정 TV(슬림형 55형 액정 TV, 백라이트와 셀의 클리어런스가 0.5mm)의 리어 측 편광판 대신에, 상기 제작한 적층체를, 상기 제작한 투명층 측이 액정 셀 측에 배치되도록, 점착제를 통하여 액정 셀에 첩합했다. 얻어진 액정 TV를, 50℃·상대 습도 80%의 환경에서 3일간 유지한 후에, 25℃·상대 습도 60%의 환경으로 옮겨, 흑표시 상태로 계속 점등시키고, 48시간 후에 육안 관찰하여, 광 불균일을 평가했다.
(내구 시험 후의 정면 방향의 광 불균일 레벨)
장치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의 검은 표시 시의 광 불균일(바꿔 말하면, 휘도 불균일)을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A: 조도 20lx의 환경하에서 불균일이 거의 시인되지 않음
A: 조도 100lx의 환경하에서 불균일이 거의 시인되지 않음
B: 조도 100lx의 환경하에서 희미한 불균일이 시인됨
C: 조도 100lx의 환경하에서 명확한 불균일이 시인됨
D: 조도 300lx의 환경하에서 명확한 불균일이 시인됨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은 AA, A, B의 기준이지만, AA 및 A의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체 6을 이용한 비교예 2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전체면에 심한 광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어, 상술한 평가는 불가능했다. 또, 적층체의 주변 부분에 박리가 육안 관찰되었다.
[표 2]
Figure pct00003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적층체는, 습열 환경에서 유지된 경우의 신뢰성이 우수하고,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이 우수하고,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된 경우에 환경 변화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를 양호한 수율로 제공 가능해졌다. 또, 이 적층체를 이용한, 광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고, 신뢰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양호한 수율로 제공 가능해졌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6년 2월 5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6-020717), 2016년 5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6-108701), 및 2016년 12월 26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6-250983)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Claims (17)

  1. 적어도, 편광층, 접착제층, 투명층 및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이 순서로 배치한 적층체로서,
    상기 투명층의 막두께가 0.1~10μm이며,
    상기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0~30%인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의 습열 열처리 후의 이행률이 0.01~30%인 적층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이 2.0질량% 이하인 적층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5μm 환산한 투습도가 200~5000g/m2/day인 적층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불소계 화합물, 및/또는 규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적층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스타이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가 0~20nm이며, 또한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가 -25~25nm인 적층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층인 적층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가 유기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층체.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의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질량%인 적층체.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이 아이오딘-폴리바이닐알코올 착체를 포함하는 적층체.
  12. 액정 셀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상기 편광층과 상기 액정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적층체가 백라이트 측에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
  15.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적층체가 시인 측에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이 IPS 방식인 액정 표시 장치.
  17. 적어도, 편광층, 접착제층, 투명층 및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이 순서로 배치한 적층체로서,
    상기 투명층의 막두께가 0.1~10μm이고,
    상기 투명층의 평형 흡습률이 2.0질량% 이하이며, 또한 5μm 환산한 투습도가 200~5000g/m2/day이고,
    상기 대전 방지제가 유기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층체.
KR1020187021339A 2016-02-05 2017-01-19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091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0717 2016-02-05
JPJP-P-2016-020717 2016-02-05
JP2016108701 2016-05-31
JPJP-P-2016-108701 2016-05-31
JPJP-P-2016-250983 2016-12-26
JP2016250983A JP6600618B2 (ja) 2016-02-05 2016-12-26 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PCT/JP2017/001807 WO2017135059A1 (ja) 2016-02-05 2017-01-19 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687A Division KR102197903B1 (ko) 2016-02-05 2017-01-19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759A true KR20180099759A (ko) 2018-09-05
KR102091095B1 KR102091095B1 (ko) 2020-03-19

Family

ID=605756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39A KR102091095B1 (ko) 2016-02-05 2017-01-19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0207006687A KR102197903B1 (ko) 2016-02-05 2017-01-19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687A KR102197903B1 (ko) 2016-02-05 2017-01-19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321532A1 (ko)
JP (1) JP6600618B2 (ko)
KR (2) KR102091095B1 (ko)
CN (1) CN108603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9600B2 (ja) * 2015-09-30 2021-01-2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653292B2 (ja) * 2017-06-02 2020-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372824B2 (ja) * 2018-11-29 2023-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7301534B2 (ja) * 2018-12-19 2023-07-03 株式会社日本触媒 厚さ方向の位相差が抑えられた光学フィルム
KR102498697B1 (ko) 2018-12-26 2023-02-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JP7329628B2 (ja) 2020-01-29 2023-08-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003A (ja) 2006-09-14 2008-06-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樹脂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を含む位相差フィルム
JP2008185659A (ja) 2007-01-29 2008-08-14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スチレン系樹脂異方性フィルム
JP2009122663A (ja) 2007-10-22 2009-06-04 Nitto Denko Corp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504537A (ja) 2007-11-22 2011-02-10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シート
JP2011227450A (ja) *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3041163A (ja) * 2011-08-17 2013-02-28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積層体、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3146708A1 (ja) * 2012-03-27 2013-10-0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用成形体
JP2015078252A (ja) * 2013-10-15 2015-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2015161782A (ja) * 2014-02-27 2015-09-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WO2015182351A1 (ja) * 2014-05-30 2015-12-0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5194523A1 (ja) * 2014-06-18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163B1 (ko) * 1995-12-21 1998-08-01 김태구 분출가스 반력을 이용한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
US20070211334A1 (en) * 2004-05-11 2007-09-1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JP2006030962A (ja) * 2004-05-14 2006-02-02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用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200617446A (en) * 2004-06-22 2006-06-01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14000B2 (ja) * 2006-07-26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553468B2 (ja) * 2006-10-05 2014-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231181B2 (ja) * 2007-11-30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45782A (ja) * 2007-12-17 200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471249B2 (ja) * 2009-02-06 2014-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395727B2 (en) * 2009-11-30 2013-03-12 Fujifilm Corporation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6133117B2 (ja) * 2013-04-23 2017-05-2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表面保護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003A (ja) 2006-09-14 2008-06-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樹脂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を含む位相差フィルム
JP2008185659A (ja) 2007-01-29 2008-08-14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スチレン系樹脂異方性フィルム
JP2009122663A (ja) 2007-10-22 2009-06-04 Nitto Denko Corp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504537A (ja) 2007-11-22 2011-02-10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シート
JP2011227450A (ja) *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3041163A (ja) * 2011-08-17 2013-02-28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積層体、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3146708A1 (ja) * 2012-03-27 2013-10-0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用成形体
JP2015078252A (ja) * 2013-10-15 2015-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2015161782A (ja) * 2014-02-27 2015-09-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WO2015182351A1 (ja) * 2014-05-30 2015-12-0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5194523A1 (ja) * 2014-06-18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06A (ko) 2020-03-16
JP6600618B2 (ja) 2019-10-30
JP2017215562A (ja) 2017-12-07
US20180321532A1 (en) 2018-11-08
KR102197903B1 (ko) 2021-01-05
CN108603969A (zh) 2018-09-28
CN108603969B (zh) 2020-12-08
KR102091095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095B1 (ko)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JP5550153B2 (ja)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TWI597340B (zh) 光學積層體及液晶顯示裝置
CN107643558B (zh) 带层叠有隔膜的粘合剂层的光学膜
WO2013099844A1 (ja) 積層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784925B (zh) 附黏著劑層之光學構件
TWI782896B (zh) 黏著劑組成物、黏著劑層及附有黏著劑層之光學構件
JP2011519434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CN108107499B (zh) 偏振板、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KR101127914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180329256A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007874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00104519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액정표시 장치
WO2017135059A1 (ja) 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488242B2 (ja) 複層フィルムの積層物
JP2022039980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2005242171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2017078781A (ja)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7119245A1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073535B2 (ja) 積層体
TW202208493A (zh) 附相位差層及黏著劑層之偏光板、以及使用該附相位差層及黏著劑層之偏光板之影像顯示裝置
TW202208579A (zh) 黏著劑組成物及附黏著劑層的光學膜
KR101497182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TW202323484A (zh) 黏著劑組成物、黏著片、光學積層體及影像顯示裝置
CN115702372A (zh) 偏振膜、光学膜、及图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