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746A -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746A
KR20180099746A KR1020187020977A KR20187020977A KR20180099746A KR 20180099746 A KR20180099746 A KR 20180099746A KR 1020187020977 A KR1020187020977 A KR 1020187020977A KR 20187020977 A KR20187020977 A KR 20187020977A KR 20180099746 A KR20180099746 A KR 2018009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melt adhesive
hot melt
new hot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466B1 (ko
Inventor
주오샹 젱
싱췐 마
저룽 리
Original Assignee
쿤산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이스트 차이나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상하이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이스트 차이나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상하이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쿤산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 acids,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8L23/286Chlorinated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9J2201/6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7/00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93/00Presence of natural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95/00Presence of bitu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 물질과 PVC 플라스틱을 접합하는 열용융 접착제가 개시된다. 우선, 소정 원료와 이들의 비율을 구성하여, 상기 소정의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고, 금속에 대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의 양호한 접합 특성과 PVC에 대한 퍼클로로에틸렌 수지의 양호한 접합 특성을 결합하여, 관련 보조제의 상승 작용하에 더블 스크류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와 퍼클로로에틸렌 수지에 충분히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는 금속과 PVC 양자에 대해 양호한 접착 특성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hot-melt adhesive)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 물질과 PVC 플라스틱을 접합하기 위한 열용융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는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전세계 PVC 생산량은 연간 5천만 톤이고 매년 생기는 PVC 폐기물은 천만 톤에 달할 수 있다. 어떻게 이러한 PVC를 리사이클하는가는 경제적 문제일 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이기도 하다. PVC 폐기물과 금속 시트를 접합하여 상기 금속을 패널로 이용하여 형성되는 플라스틱-금속 복합 물질은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친환경 열용융 접착제이면, 앞서 언급한 PVC 폐기물 관련 두 가지 문제는 동시에 해결될 수 있고, 이는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현재, 플라스틱과 금속은 주로 에폭시 접착제와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같은 액체 접착제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상기 액체 접착제는 쉽게 환경을 오염시키고 제조 공정에도 편리하지 않은 휘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열용융 접착제는 용매가 없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에도 편리하고 공장의 대규모 신속한 작업에도 유리하다.
특허 CN101792641A는 신속히 경화되는 접착제로서, 알루미늄 합금과 PVC 필름을 위한 접착제를 개시한다. 상기 접착제의 용매 건조 과정 시간이 짧지만 접착제의 저장 기간이 짧아 실제 적용하기에는 불편하다. 특허 CN103059792B는 극성 폴리머와 금속 물질을 접합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열용융 접착제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열용융 접착제는 PVC에는 접착성이 낮고 방수가 취약하다. 특허 CN103756577A는 PVC/금속 접합 열용융 접착 필름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열용융 접착제는 금속에는 접합 및 부착 효과가 미흡하고, 금속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박리 강도가 약하다. 특허 CN103045111B는 코폴리에스테르 열용융 접착제(copolyester-based hot-melt adhesive)를 개시한다. 이는 금속과 극성 물질을 접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명백한 결함이 있다. 이 발명에 개시된 상기 열용융 접착제의 적용 온도가 138°C이지만 PVC의 열 저항성이 낮고 138°C의 온도에서 접합하면 PVC의 변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음을 실시예들에서 알 수 있다.
결국, 금속과 PVC 플라스틱을 접합하기 위한 기본의 열용융 접착제들의 접합 성질은 실제 응용 측면에서의 수요를 충복시킬 수 없다. 특별히 금속과 PVC 플라스틱을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개발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 공개특허공보 CN101792641A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로 금속과 PVC 플라스틱의 접합을 위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기술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를 제공하되, 상기 열용융 접착제의 원료는 중량비로, 63% 내지 70%의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nylon-type copolyamide), 15% 내지 20%의 퍼클로로에틸렌 수지(perchloroethylene resin), 13% 내지 17%의 점착부여제(tackifier), 0.3% 내지 1%의 실레인 커플링 에이전트(silane coupling agent) 및 0.5% 내지 1%의 가소제(plasticizer)를 포함한다.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는, 적정량의 물과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의 작용하에 카프로락탐(caprolactam), 나일론 66염(헥사메틸렌디아민 아디페이트(hexamethylenediamine adipate)), 나일론 612염(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칸아미드(polyhexamethylene dodecanamide)) 및 나일론 1010염(데카메틸렌 디아민 세바케이트(decamethylene diamine sebacate)을 포함하는 네 가지 주요 원료에 혼성중합(copolymerization)을 실시하여 제조한다. 상기 네 가지 주요 원료는 각각 33% 내지 40%, 32% 내지 38%, 15% 내지 20% 및 12% 내지 16%의 몰비를 가지며, 상기 카프로락탐에 대한 상기 스테아르산의 몰비는 0.02:1 내지 0.03:1이다.
상기 퍼클로로에틸렌 수지는 61% 내지 65%의 염소 성분(chlorine content)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rosin),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 그리고 수소화 석유 수지(hydrogenated petroleum res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실레인 커플링 에이전트는 비닐트리메톡시실레인(vin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레인(vinyltriethoxysilane),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레인(N-(β-aminoethyl)-γ-aminopropyltriethoxysilane) 그리고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γ-aminopropyltrimethoxysila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와 디옥틸 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중 하나이다.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원료 중량비에 따라 원료를 선택하는 단계;
2)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조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 퍼클로로에틸렌 수지, 점착부여제, 실레인 커플링 에이전트 및 가소제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기에 첨가하는 단계; 및
4) 상기 혼합물을 더블 스크류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에 첨가하고, 100°C 내지 130°C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을 실시하여,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를 얻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4)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는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열용융 접착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단계는 캐스팅(casting)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에 캐스팅을 실시하거나 열용융 코팅기(coater)를 사용하여 코팅을 하여, 새로운 열용융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 필름은 0.1mm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2) 단계에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순차적으로,
2a) 카프로락탐, 나일론 66염, 나일론 612염 및 나일론 1010염을 비례적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고압 반응 케틀(kettle)에 첨가하는 단계;
2b) 상기 고압 반응 케틀에 스테아르산과 물을 첨가하고, 질소 치환과 진공화를 실시하여 상기 반응 케틀내의 모든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2c) 고순도의 질소를 주입하고, 230°C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반응을 위해 1.0MPa 내지 1.2MPa의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상기 압력을 상압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압력을 0.05MPa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1시간 동안 탈수하는 단계; 및
2d) 배출하여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얻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조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는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스트립, 과립, 파우더 등과 같은 다른 유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 제조방법의 단계들에서, 2b) 단계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카프로락탐의 가수분해와 개환(ring opening)이 실행되는 한에서는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자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혁신성은, 우선 소정 원료와 이들의 비율을 구성하여 상기 소정의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고, 금속에 대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의 양호한 접합 특성과 PVC에 대한 퍼클로로에틸렌 수지의 양호한 접합 특성을 결합하여, 관련 보조제의 상승 작용하에 더블 스크류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와 퍼클로로에틸렌 수지에 충분히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는 금속과 PVC 양자에 대해 양호한 접착 특성을 가지게 됨에 있다. 기존의 용매형 또는 반응형 액체 접착제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는 라미네이팅 장치(laminating machine)나 열간 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금속과 PVC 플라스틱을 신속히 접합함으로써, 간단한 기술과 빠른 접합 속도라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실제 적용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는 80°C 정도의 온도에서 효과적으로 접합을 하기 때문에, 적용 온도가 더 낮아 실시가 편하고 PVC 금속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통해 하기에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nylon-type copolyamide)의 제조는, 카프로락탐(caprolactam) 90.44g, 나일론 66염(nylon 66 salt) 199.35g, 나일론 612염(nylon 612 salt) 103.89g 및 나일론 1010염(nylon 1010 salt) 97.32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기, 온도 조절기와 압력계를 구비한 2L 고압 반응 케틀(kettle)에 첨가하는 단계; 스테아르산(stearic acid) 4.836g과 탈이온수 70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케틀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과 진공화를 실시하는 단계; 0.2MPa의 고순도 질소를 주입하고, 230°C의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하며, 반응을 위해 1.0MPa 내지 1.2MPa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상기 압력을 상압이 될 때까지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압력을 0.05MPa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1시간 동안 탈수하는 단계; 및 배출 및 입자화하여 과립형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1)를 얻는 단계를 구비한다. 국가 표준 GB/T3682-2000에 따라, PA-1의 DSC 최종 용융점은 88°C이고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는 48g/10min/160°C/2.16kg으로 검출된다.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제조는,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1) 400g, 퍼클로로에틸렌 수지(perchloroethylene resin) 117.46g, 로진(rosin) 107.94g, 비닐트리메톡시실레인(vinyltrimethocysilane) 6.35g 및 디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3.17g을 고속 혼합기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TE35 더블 스크류 압출기(TE35 double screw extruder)에 첨가하고, 상기 압출기의 제 1 영역의 온도를 100°C로, 제 2 영역의 온도를 110°C로, 제 3 영역 내지 제 5 영역의 온도를 120°C로, 제 6 영역의 온도를 115°C로, 다이(die) 온도를 100°C로, 스크류 회전 속도(screw speed)를 30r/min으로 제어하고, 캐스팅(casting) 및 냉각을 실시하여 0.10mm 열용융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 표본을 A1으로 표시한다.
실시예 2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의 제조는, 카프로락탐 106.4g, 나일론 66염 170.5g, 나일론 612염 107.35g 및 나일론 1010염 89.83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기, 온도 조절기와 압력계를 구비한 2L 고압 반응 케틀에 첨가하는 단계; 스테아르산 4.552g과 탈이온수 80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케틀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과 진공화를 실시하는 단계; 0.2MPa의 고순도 질소를 주입하고, 230°C의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하며, 반응을 위해 1.0MPa 내지 1.2MPa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상기 압력을 상압이 될 때까지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압력을 0.05MPa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1시간 동안 탈수하는 단계; 및 배출 및 입자화하여 과립형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2)를 얻는 단계를 구비한다. 국가 표준 GB/T3682-2000에 따라, PA-2의 DSC 최종 용융점은 91°C이고 용융 흐름 속도는 43.8g/10min/160°C/2.16kg으로 검출된다.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제조는,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2) 400g, 퍼클로로에틸렌 수지 88.24g,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 94.12g, 비닐트리에톡시실레인(vinyltriethoxysilane) 2.94g 및 디옥틸 아디페이트 2.94g을 고속 혼합기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TE35 더블 스크류 압출기에 첨가하고,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을 실시하는 단계; 및 배출하여 캐스팅 및 냉각을 실시하여 0.10mm 열용융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 표본을 A2로 표시한다.
실시예 3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의 제조는, 카프로락탐 87.78g, 나일론 66염 173.12g, 나일론 612염 138.52g 및 나일론 1010염 104.8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기, 온도 조절기와 압력계를 구비한 2L 고압 반응 케틀에 첨가하는 단계; 스테아르산 5.633g과 탈이온수 60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케틀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과 진공화를 실시하는 단계; 0.2MPa의 고순도 질소를 주입하고, 230°C의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하며, 반응을 위해 1.0MPa 내지 1.2MPa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상기 압력을 상압이 될 때까지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압력을 0.05MPa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1시간 동안 탈수하는 단계; 및 배출 및 입자화하여 과립형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3)를 얻는 단계를 구비한다. 국가 표준 GB/T3682-2000에 따라, PA-3의 DSC 최종 용융점은 85°C이고 용융 흐름 속도는 43.8g/10min/160°C/2.16kg으로 검출된다.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제조는,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3) 400g, 퍼클로로에틸렌 수지 89.71g, 테르펜 수지 74.29g,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1.71g 및 디옥틸 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5.71g을 고속 혼합기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TE35 더블 스크류 압출기에 첨가하고, 용융 블렌딩을 실시하는 단계; 및 배출하여 캐스팅 및 냉각을 실시하여 0.10mm 열용융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 표본을 A3로 표시한다.
실시예 4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의 제조는, 카프로락탐 97.09g, 나일론 66염 167.87g, 나일론 612염 107.35g 및 나일론 1010염 119.78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기, 온도 조절기와 압력계를 구비한 2L 고압 반응 케틀에 첨가하는 단계; 스테아르산 4.776g과 탈이온수 70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케틀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과 진공화를 실시하는 단계; 0.2MPa의 고순도 질소를 주입하고, 230°C의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하며, 반응을 위해 1.0MPa 내지 1.2MPa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상기 압력을 상압이 될 때까지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압력을 0.05MPa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1시간 동안 탈수하는 단계; 및 배출 및 입자화하여 과립형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4)를 얻는 단계를 구비한다. 국가 표준 GB/T3682-2000에 따라, PA-4의 DSC 최종 용융점은 83°C이고 용융 흐름 속도는 53.2g/10min/160°C/2.16kg으로 검출된다.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제조는,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PA-4) 400g, 퍼클로로에틸렌 수지 125g, 수소화 석유 수지(hydrogenated petroleum resin) 90g,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레인(N-(β-aminoethyl)-γ-aminopropyltriethoxysilane) 6.25g 및 디옥틸 세바케이트 3.75g을 고속 혼합기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TE35 더블 스크류 압출기에 첨가하고, 용융 블렌딩을 실시하는 단계; 및 배출하여 캐스팅 및 냉각을 실시하여 0.10mm 열용융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 표본을 A4로 표시한다.
성능 실험
각각의 접착 필름 표본을 80°C와 0.3MPa의 조건에서 20초 동안 열간 가압(hot pressing)하여 PVC/알루미늄과 PVC/스테인레스 스틸을 접합한 후 각 접착 필름 표본의 180°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실험 방법에 대해서 GB/T2790-1995를 참조하고, 실험 결과에 대해서 표 1을 참조한다.
PVC/금속에 대한 각 실시예에서 얻은 열용융 접착 필름의 접합 강도
실시예 박리 강도 (N/25mm)
PVC/알루미늄 PVC/스테인레스 스틸
실시예 1 89 97
실시예 2 90 99
실시예 3 101 108
실시예 4 94 101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는 금속과 PVC에 대해 양호한 접합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적용시, 상기 열간 가압 온도는 더 낮아(80°C) PVC 금속을 손상시킬 수 없으며, 상기 열간 가압 시간은 더 짧아(20초), 구성 및 동작에 편리하다.

Claims (9)

  1.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hot-melt adhesive)에 있어서, 원료는 중량비로,
    63% 내지 70%의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nylon-type copolyamide);
    15% 내지 20%의 퍼클로로에틸렌 수지(perchloroethylene resin);
    13% 내지 17%의 점착부여제(tackifier);
    0.3% 내지 1%의 실레인 커플링 에이전트(silane coupling agent); 및
    0.5% 내지 1%의 가소제(plasticizer)를 포함하되,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는, 적정량의 물과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의 작용하에 카프로락탐(caprolactam), 나일론 66염, 나일론 612염 및 나일론 1010염을 포함하는 네 가지 주요 원료에 혼성중합(copolymerization)을 실시하여 제조하고, 상기 네 가지 주요 원료는 각각 33% 내지 40%, 32% 내지 38%, 15% 내지 20% 및 12% 내지 16%의 몰비를 가지며, 상기 카프로락탐에 대한 상기 스테아르산의 몰비는 0.02:1 내지 0.03:1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클로로에틸렌 수지는 61% 내지 65%의 염소 성분(chlorine content)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rosin),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 그리고 수소화 석유 수지(hydrogenated petroleum res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레인 커플링 에이전트는 비닐트리메톡시실레인(vin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레인(vinyltriethoxysilane),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레인(N-(β-aminoethyl)-γ-aminopropyltriethoxysilane) 그리고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γ-aminopropyltrimethoxysila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와 디옥틸 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의 원료 중량비에 따라 원료를 선택하는 단계;
    2)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조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 퍼클로로에틸렌 수지, 점착부여제, 실레인 커플링 에이전트 및 가소제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기에 첨가하는 단계; 및
    4) 상기 혼합물을 더블 스크류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에 첨가하고, 100°C 내지 130°C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을 실시하여,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를 얻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순차적으로,
    2a) 카프로락탐, 나일론 66염, 나일론 612염 및 나일론 1010염을 비례적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고압 반응 케틀(kettle)에 첨가하는 단계;
    2b) 상기 고압 반응 케틀에 스테아르산과 물을 첨가하고, 질소 치환과 진공화를 실시하여 상기 반응 케틀내의 모든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2c) 고순도의 질소를 주입하고, 230°C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반응을 위해 1.0MPa 내지 1.2MPa의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상기 압력을 상압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압력을 0.05MPa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1시간 동안 탈수하는 단계; 및
    2d) 배출하여 상기 나일론계 코폴리아미드를 얻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5) 캐스팅(casting)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에 캐스팅을 실시하거나 열용융 코팅기(coater)를 사용하여 코팅을 하여, 새로운 열용융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제조 방법.
  9. 제 8 항의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열용융 접착 필름은 0.1mm의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열용융 접착 필름.
KR1020187020977A 2015-12-21 2016-12-16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KR102176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60198.2 2015-12-21
CN201510960198.2A CN105349088B (zh) 2015-12-21 2015-12-21 一种热熔胶及其制备方法
PCT/CN2016/110282 WO2017107859A1 (zh) 2015-12-21 2016-12-16 一种新型热熔胶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746A true KR20180099746A (ko) 2018-09-05
KR102176466B1 KR102176466B1 (ko) 2020-11-09

Family

ID=5532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77A KR102176466B1 (ko) 2015-12-21 2016-12-16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3938B2 (ko)
KR (1) KR102176466B1 (ko)
CN (1) CN105349088B (ko)
CH (1) CH713470B1 (ko)
DE (1) DE112016005861T5 (ko)
WO (1) WO2017107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9088B (zh) 2015-12-21 2018-02-27 上海天洋热熔粘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5733495B (zh) * 2016-04-28 2019-03-15 上海天洋热熔粘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5860917B (zh) * 2016-04-28 2018-11-30 上海天洋热熔粘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7815284A (zh) * 2017-11-09 2018-03-20 山东凯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溶剂型共混聚酰胺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10055030A (zh) * 2019-04-02 2019-07-26 佛山精展科技有限公司 一种热熔胶的制备方法
CN112251909A (zh) * 2020-09-21 2021-01-22 江苏惠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低温一体成型热熔网膜的制造工艺
CN113046018B (zh) * 2021-03-19 2022-11-01 常州市贝美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热熔胶、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093825A (zh) * 2022-07-05 2022-09-23 广州市嘉雁粘合剂有限公司 一种免清洗书本装订用pur热熔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261A (ko) * 2000-05-12 2002-12-2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폴리올레핀/코폴리아미드 무선 주파 활성 접착 필름
KR20030077572A (ko) * 2001-01-12 2003-10-0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섬유 및 필름 제조용 열가소성 조성물
CN101792641A (zh) 2010-02-08 2010-08-04 胡云睿 铝合金与pvc薄膜快速粘接用环保粘合剂与制备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125B2 (ko) * 1972-09-13 1977-05-07
DE2445167A1 (de) * 1974-09-21 1976-04-01 Basf Ag Schmelzkleber auf basis von copolyamiden, insbesondere zum kaschieren von textilen materialien
US5268404A (en) * 1989-12-04 1993-12-07 Lord Corporation One-coat rubber-to-metal bonding adhesive
EP0442700B1 (en) 1990-02-14 1996-01-03 Union Camp Corporation Two-component curable hot-melt resin compositions
CN1094146C (zh) * 1998-12-03 2002-11-13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共聚酰胺热溶胶及其制备方法
CN1144853C (zh) 2001-10-30 2004-04-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控制聚酰胺热熔胶熔融指数的方法
CN1458215A (zh) 2002-05-15 2003-11-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聚酰胺热熔胶配方的确定方法
CN101463244B (zh) * 2009-01-15 2012-02-01 上海天洋热熔胶有限公司 一种基于聚酯改性的聚酰胺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3059792B (zh) 2012-12-25 2014-08-20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粘接极性聚合物和金属材料的聚酯弹性体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3045111B (zh) 2012-12-25 2014-05-07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极性聚合物与金属粘结的聚酯热熔胶
CN103756577B (zh) 2013-12-31 2015-08-19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vc/金属粘接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CN104893648B (zh) 2015-04-24 2017-11-07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对非极性材料粘接力强的聚酰胺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5349088B (zh) 2015-12-21 2018-02-27 上海天洋热熔粘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热熔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261A (ko) * 2000-05-12 2002-12-2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폴리올레핀/코폴리아미드 무선 주파 활성 접착 필름
KR20030077572A (ko) * 2001-01-12 2003-10-0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섬유 및 필름 제조용 열가소성 조성물
CN101792641A (zh) 2010-02-08 2010-08-04 胡云睿 铝合金与pvc薄膜快速粘接用环保粘合剂与制备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0363A1 (en) 2019-01-10
US10703938B2 (en) 2020-07-07
CN105349088A (zh) 2016-02-24
KR102176466B1 (ko) 2020-11-09
WO2017107859A1 (zh) 2017-06-29
CN105349088B (zh) 2018-02-27
DE112016005861T5 (de) 2018-09-06
CH713470B1 (de)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466B1 (ko) 새로운 열용융 접착제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US10472547B2 (en) Composite hot-melt adhesive net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N105647461B (zh) 一种热熔胶及其在木塑复合材料中应用
CN104804659B (zh) 一种用于粘接金属与非极性材料的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CN109049746B (zh) 铝塑板的生产工艺
CN105733495A (zh) 一种新型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5733494A (zh) 一种新型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6589867A (zh) 一种具有高拉伸强度的石墨烯3d打印材料
CN104140612A (zh) 一种聚氯乙烯复合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817105A (zh) 一种玻璃钢夹层用高粘结强度eva胶片的制备方法
CN114292598A (zh) 一种高粘着强度的tpu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CN103709479A (zh) 一种高刚性和高弯曲强度的铝塑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CN101766934A (zh) 高密度聚乙烯改性压滤板及制造方法
CN105860917B (zh) 一种热熔胶及其制备方法
KR20150005092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
CN107903465B (zh) 一种与vmpet非镀铝面具有高剥离强度的聚乙烯膜及其制备方法
CN102731726A (zh) 一种尼龙/pp共挤复合粘接层用材料的制备方法
WO1996007677A1 (en) Water dispersible ethylene ionomers
CN107057616A (zh) 铝塑复合板用粘合层树脂的制备方法
CN109852295A (zh) 一种高流动性pvc衬塑管用粘接剂及其制备方法
CN115322703B (zh) 一种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CN113999619B (zh) 一种热封胶带及其制备方法
CN103214987A (zh) 一种含有改性水溶性酚醛树脂的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16872419A (zh) 一种热压法生产橡胶膏剂的制备方法
JPS59126447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