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746A -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746A
KR20180098746A KR1020170025234A KR20170025234A KR20180098746A KR 20180098746 A KR20180098746 A KR 20180098746A KR 1020170025234 A KR1020170025234 A KR 1020170025234A KR 20170025234 A KR20170025234 A KR 20170025234A KR 20180098746 A KR20180098746 A KR 20180098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worm
brown rice
workpiece
processed material
crab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윤
Original Assignee
장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윤 filed Critical 장병윤
Priority to KR102017002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746A/ko
Publication of KR2018009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은,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된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게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게껍질 가공물을 생성하는 제1-1 단계와, 건조된 지네 1kg에 에탄올,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용매 10리터를 투입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한 다음 진공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상기 지네 가공물을 생성하는 제1-2 단계와, 75℃에서 1시간을 볶은 후 끓이지 않은 물 2리터와 함께 유리 용기에 넣고 6시간을 우려내어 생성된 현미 진액을 생성하고, 상기 현미 진액의 생성 과정에서 나온 현미 찌꺼기를 건조시켜 현미 분말을 생성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CHICKEN FEED INCLUDING CRAB-SHELL, EARTHWORM, CENTIPEDE, BROWN RICE, VEGET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닭 사료 및 닭 사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달걀 생산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일종으로 달걀의 맛과 영양을 증대시키기 위한 닭 사료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두부, 두유 및 대두유 등의 식품가공 폐기물인 비지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는 monacolin K 함량을, 쌀을 이용한 기존의 홍국에 비하여 280%나 높은 함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발효법을 이용하여 발효된 비지홍국을 기존의 닭 사료에 5-20% 혼합하여 닭고기와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1/2∼1/3로 낮출 수 있는 사료의 제조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6977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영양가가 풍부하며, 비린내가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소한 맛을 내기 위한 달걀을 생성하기 위한 닭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은,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된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게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게껍질 가공물을 생성하는 제1-1 단계와, 건조된 지네 1kg에 에탄올,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용매 10리터를 투입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한 다음 진공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상기 지네 가공물을 생성하는 제1-2 단계와, 75℃에서 1시간을 볶은 후 끓이지 않은 물 2리터와 함께 유리 용기에 넣고 6시간을 우려내어 생성된 현미 진액을 생성하고, 상기 현미 진액의 생성 과정에서 나온 현미 찌꺼기를 건조시켜 현미 분말을 생성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렁이 가공물은 채집한 지렁이로부터 추출된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이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을 생성하는 제1-4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지렁이를 온도가 13±7℃이고, 습도가 90±10% 환경인 밀폐된 암실에 3~4일 방치하여 상기 지렁이 체내에 있는 변을 배설시키는 제1-4a 단계; 변이 배설된 상기 지렁이를 원기 회복 공간에 넣고 5~20℃의 공기를 2~10분간 30~60분 간격으로 1~3일간 공급하여 지렁이의 원기를 회복시키는 제1-4b 단계; 원기가 회복된 상기 지렁이를 물이 담겨진 용기에 넣고 20~60분간 침지시켜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추출하는 제1-4c 단계; 거름망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포함된 지렁이 및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분리시키는 제1-4d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등액만을 취하여 지렁이 점액을 채취하는 제1-4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제1-4d 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지렁이를 pH2~5로 조정된 유기산 속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침지시키는 제1-4f 단계; 침지된 상기 지렁이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한 물로 세척하는 제1-4g 단계; 세척된 상기 지렁이를 파쇄한 후, -18℃~35℃에서 20~240시간 동결 건조시키는 제1-4h 단계; 및 상기 제1-4h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110℃~130℃에서 가열처리하여 지렁이 분말을 생성하는 제1-4i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는, 분말 형태의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분말, 지네 분말, 현미 분말 및 채소 분말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생성한 후, 상기 분말 혼합체에 상기 지렁이 점액질과 현미 진액을 부어 반죽한 후 이를 압출 성형하여 작은 고형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에 대한 것으로써, 상기 게껍질 가공물은 게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생성되고, 상기 지네 가공물은 건조된 지네 1kg에 에탄올,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용매 10리터를 투입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한 다음 진공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생성되고, 상기 현미 가공물은 75℃에서 1시간을 볶은 후 끓이지 않은 물 2리터와 함께 유리 용기에 넣고 6시간을 우려내어 생성된 현미 진액 및 상기 현미 진액의 생성 과정에서 나온 현미 찌꺼기를 건조시켜 생성된 현미 분말이고, 상기 지렁이 가공물은 채집한 지렁이로부터 추출된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이고, 상기 게껍질 가공물, 상기 지네 가공물, 상기 현미 진액, 상기 현미 분말, 상기 지렁이 점액질 및 상기 지렁이 분말을 혼합하여 생성된다.
상기 지렁이 점액질은, 상기 지렁이를 온도가 13±7℃이고, 습도가 90±10% 환경인 밀폐된 암실에 3~4일 방치하여 상기 지렁이 체내에 있는 변을 배설시키고, 변이 배설된 상기 지렁이를 원기 회복 공간에 넣고 5~20℃의 공기를 2~10분간 30~60분 간격으로 1~3일간 공급하여 지렁이의 원기를 회복시키고, 원기가 회복된 상기 지렁이를 물이 담겨진 용기에 넣고 20~60분간 침지시켜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추출하고, 거름망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포함된 지렁이 및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기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등액만을 취하여 채취되고, 상기 지렁이 분말은 분리된 상기 지렁이를 pH2~5로 조정된 유기산 속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된 상기 지렁이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상기 지렁이를 파쇄한 후, -18℃~35℃에서 20~240시간 동결 건조시켜 얻어진 건조물을 110℃~130℃에서 가열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은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위생적이며, 영양이 풍부한 동시에 비린내가 제거되어 고소한 맛이 향상될 수 있는 달걀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지렁이 가공물 생성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은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크게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껍질 등의 갑각류 껍데기에는 키틴키토산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키틴키토산은 키틴과 키토산의 혼합물로 고분자 생리활성물질이다.
이러한 키틴키토산은 체내에 과잉된 유해 콜레스테롤을 흡착, 배설하는 역할, 즉 탈콜레스테롤 작용을 하고,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되는 염화물 이온을 흡착, 장에서의 흡수를 억제한 뒤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혈압 상승 억제 작용 및 장내의 유효 세균을 증식시키고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그 밖에도 혈당 조절과 간 기능 개선 작용, 체내 중금속 및 오염 물질 배출 등의 효과가 있다.
지렁이는 일명 토룡, 지룡 또는 백경구인으로 불리우는 빈모류의 환형동물로한 몸에 자성기관과 웅성기관을 가지고 있는 자웅동체이면서 각지의 비옥한 습지대의 토양속에서 부시된 유기물을 섭취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지렁이는 세계적으로 약 2700여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약 6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 등의 의학서에 의하면 지렁이는 약용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용혈, 해열 등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내 기생충의 살충, 해열작용, 발광, 황달, 계절성전염병, 인후염 등에 효과적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의약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지렁이 추출물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약리효과와 이외에도 지렁이 점액(체내 추출물이나 점액 분비물 등)에는 프로테아제(Protease)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서 프로테아제는 파파인, 트립신 등의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갖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총칭이다.
이들 프로테아제 물질이 피부의 표피에 적용될 경우 박리된 표피의 각질을 이루는 케라틴 등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유도단백질의 일종으로 소화 흡수가 용이한 영양성분인 펩톤을 생성하는 등의 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그에 따라 표피 신진대사의 원활화를 기하고 피부 기능의 정상화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습 첨가제로서 탁월한 수분조절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지네(centipede)는 순각강(脣脚綱)에서 그리마류를 제외한 절지동물의 총칭으로 다지류에 속하며 몸길이 0.5∼15cm로 머리와 몸통으로 나뉜다.
전세계적으로 약 3,000종이 있으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한자어로 오공(蜈蚣), 토충(土蟲), 백족(百足)이라고 하며, 1489년 조선조 성종이 허종 등에게 명하여 쉽고 간단하게 약방문(藥方文)을 짓게 한 것으로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에 지네를 오공이라고 한 기록이 있다.
한방에서 지네를 대나무 막대기에 머리와 꼬리를 묶어서 말린 것을 오공(蜈蚣)이라 하며 거풍(祛風), 진경(鎭痙), 소종(消腫),청혈(淸血)의 효능이 있어 중풍, 경간(驚癎), 관절염, 림프선염, 암종(癌腫) 등에 처방한다.
현미는 도정 과정에서 껍질을 덜 깎은 쌀로써, 쌀눈을 그대로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쌀껍질과 쌀눈으로부터 기인하는 효과가 발휘되는데, 구체적으로 비타민 B1, B2, B6, 엽산이 풍부하고 E는 백미보다 4배나 많고, 항동맥 경화 작용을 하는 토코트리에놀이 들어있으며,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고, 옥타코사놀이 많이 함유, 혈액 내 산소 운반기능을 향상시켜 심폐 지구력과 근력, 근지구력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미네랄인 철분, 인, 아연, 칼슘, 효소와 섬유소도 풍부해 변비, 비만에 좋고, 항산화 효소가 풍부하여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고, 불포화 지방산이 소량 함유되어 있으며, 중금속을 해독하는 피치산이 들어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효능을 갖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비린내가 줄어드는 동시에 고소한 맛을 높일 수 있는 달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도 1의 지렁이 가공물 생성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0)와, 제1 단계(S100)에서 준비된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 가공물을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제2 단계(S200)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1 단계(S1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껍질 가공물 생성 단계(S110), 지네 가공물 생성 단계(S120), 현미 가공물 생성 단계(S130), 지렁이 가공물 생성 단계(S140) 및 채소 준비 단계(S150)로 구성된다.
게껍질 가공물 생성 단계인 제1-1 단계(S110)는 구체적으로 게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게껍질 가공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지네 가공물 생성 단계인 제1-2 단계(S120)는 건조된 지네 1kg에 에탄올,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용매 10리터를 투입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한 다음 진공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상기 지네 가공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현미 가공물 생성 단계인 제1-3 단계(S130)는 현미를 75℃에서 1시간을 볶은 후 끓이지 않은 물 2리터와 함께 유리 용기에 넣고 6시간을 우려내어 생성된 현미 진액을 생성하고, 상기 현미 진액의 생성 과정에서 나온 현미 찌꺼기를 건조시켜 현미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지렁이 가공물 생성 단계인 제1-4단계(S140)는 채집한 지렁이로부터 지렁이 가공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여기에서 지렁이 가공물은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을 포함한다.
지렁이 가공물 생성 단계(S140)를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먼저 지렁이 체내에 있는 변을 배설시키는 제1-4a(S141) 단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제1-4a 단계(S141)는 지렁이가 소화기관의 분변토를 모두 배설하는 동안 점액질의 분비를 억제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빛과 바람이 없는 밀폐된 암실에 방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밀폐된 암실은 습도가 90±10% 환경인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의 경우 6℃ 미만인 경우에는 지렁이의 활동성이 떨어져 분변토의 배설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21℃ 이상인 경우에는 지렁이 자체의 체열이 높아지므로 지렁이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밀폐된 암실의 온도는 13±7℃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4a 단계(S141)를 거친 지렁이는 기력을 잃고 몸이 매우 쇠약한 상태가 되므로, 제1-4a 단계(S141)이후에는 지렁이의 원기를 회복시키는 제1-4b 단계(S142)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변이 배설된 상기 지렁이를 원기 회복 공간에 넣고 5~20℃의 공기를 2~10분간 30~60분 간격으로 1~3일간 공급하여 지렁이의 원기를 회복시키는데, 이러한 제1-4b 단계(S142)를 거치면 지렁이의 호흡활동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원기 회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4a 단계(S141)와 제1-4b 단계(S142) 사이에는 지렁이를 물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4b 단계(S142) 이후에는 원기가 회복된 상기 지렁이를 물이 담겨진 용기에 넣고 침지시켜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추출하는 제1-4c 단계(S143)가 수행된다.
지렁이를 물이 담겨진 용기에 넣고 침지시키면, 지렁이는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다량의 점액을 배출하게 되며, 이때 지렁이와 물의 비율은 대략 1:1.5 전후의 비율로 넣으면 충분하다.
지렁이는 물에 오래 담가둘수록 많은 양의 점액이 배출되게 되나, 일정시간 이상 물에 지렁이를 침지하게 되면 지렁이는 표피호흡을 하는 관계로 죽게 된다.
따라서 지렁이의 침지시간은 60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60분간 침지시키는 것이 좋다. 아울러 물의 온도는 지렁이가 생육에 적합한 온도범위 즉, 10∼30℃의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제1-4c 단계(S143) 이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용기에 포함된 지렁이와 지럼이 점액질 용액을 분리시키는 제1-4d 단계(S144)가 수행된다.
이때 점액질 용액은 거름망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송되며, 지렁이는 거름망으로 걸러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블로워(Blower) 등을 이용하여 거름망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주게 되면, 지렁이의 표면에 묻은 점액질도 쉽게 떨어져 나가면서 용이하게 하부로 이송되게 된다.
제1-4d 단계(S144) 이후에는 거름망에 의하여 추출된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등액만을 취하여 지렁이 점액을 채취하는 제1-4e 단계(S145)가 수행된다.
제1-4e 단계(S145) 이후에는 제1-4c 단계(S143)에서 분리된 지렁이를 유기산 속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침지시키는 제1-4f 단계(S146)가 수행된다.
이는 지렁이의 체액, 구체적으로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나 인체에 대해 유독 성분인 비소를 함유하는 체액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렁이를 불쾌생활환경에 배치함으로써 지렁이로 하여금 자기보존본능에 의하여 체액을 위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불쾌생활환경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생지렁이를 유기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산의 접촉은, 생지렁이 위에 유기산 분말을 그대로 뿌려도 되고, 농후한 유기산 수용액으로 처리해서 뿌려도 되며, 이때 이용하는 유기산으로서는 아세트산, 사과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불쾌생활환경을 형성시키는 경우, 생지렁이를 장시간 유기산 분말이나 농후한 유기산 수용액과 접촉하게 두면 사멸하거나, 생활기능을 소실해서, 소화관 내의 소화물을 배설하지 않게 되므로, 가급적 신속히, 통상은 30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20초 이내에 유기산을 물에 희석해서, pH를 2~5의 범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제1-4f 단계(S146) 이후, 지렁이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한 물로 세척하는 제1-4g 단계(S147)이 수행된다.
이는 지렁이에 뭍은 유기산을 희석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면, 지렁이에 의한 체액의 배출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유기산 분말이나 농후한 유기산 수용액에 접촉한 후, 가급적 신속히 희석하는 대신에, 미리 pH2~5로 조정된 유기산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 속에 침지해서 실행해도 되며, 유기산 수용액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시킨 것을 이용해도 된다.
지렁이의 조직의 65%는 수분이므로, 이 보신(保身)기능이 작용하는 시간으로서는, 어느 정도 여유는 있지만, 생지렁이가 사멸되면, 모두 없어지므로, 불쾌생활환경 하에 방치하는 시간은 3~18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1-4f 단계(S146) 및 제1-4g 단계(S147)에서 세척된 지렁이를 파쇄한 후 동결 건조시키는 제1-4h 단계(S148)가 수행된다.
이때, 지렁이 생체에 함유되는 효소는, 생세포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죽은 세포에 대해서는 순식간에 작용해서 발열하고, 부패해서 강력한 부패성 가스를 발생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18℃ 내지 -35℃로 급냉해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한 후, 동결시키는 동결 진공건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렁이 본래의 약리작용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말화하기 위해서는, 신속히 동결할 필요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단시간에 동결시키면 지렁이 페이스트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함께 존재하는 불순물이 스폿형상의 부동결부분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과도하게 급속한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동결은 바람직하게는 -18℃에서 -35℃의 저온에서 20~24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70시간을 소요해서 실행한다.
다음에 동결 진공건조 시에는, 수분과 함께 불순물이 잔류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는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압력 50Pa이하, -6O℃ 내지 +90℃의 온도에서, 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10~60시간의 범위에서 제어해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1-4h 단계(S148)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가열처리하여 지렁이 분말을 생성하는 제1-4i 단계(S149)가 수행된다.
이때, 가열온도가 11O℃미만이면, 건조물의 살균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며, 130℃이상이면 지렁이 건조물에 함유되는 효소가 실활해 버려 활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가열온도는 11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풍을 가하는 방법, 가열재킷을 이용하는 방법, 트레이(tray) 등에 얹어 히터로 가열하는 방법, 정온항온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열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살균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며, 지나치게 길면 효소의 활성이 소실되기 때문에 가열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초~13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90분,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60분~90분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에서의 제1 단계(S100)는 채소를 준비하는 제1-5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때 채소는 파쇄하거나 분말 형태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채소의 종류로는 양배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단계(S100)에서 획득한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점액질, 지렁이 분말, 지네 가공물 현미 분말, 현미 진액 및 채소를 제2 단계(S200)에서는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말 형태의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분말, 지네 분말, 현미 분말 및 채소 분말을 혼합한 후, 별도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1 단계(S100)에서 획득한 지렁이 점액질과 현미 진액을 이용하여 반죽한 후 이를 압출 성형하여 작은 고형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닭 사료를 1일 3회 닭에게 급여하여 사육함으로써 생산된 계란은 게껍질, 지렁이, 지네 현미 및 양배추를 포함하는 채소에 함유된 영양 성분을 포함하게 되어 영양 성분이 높으며, 나아가 비린내가 줄어들고 고소한 맛이 증대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된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게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게껍질 가공물을 생성하는 제1-1 단계와,
    건조된 지네 1kg에 에탄올,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용매 10리터를 투입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한 다음 진공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상기 지네 가공물을 생성하는 제1-2 단계와,
    75℃에서 1시간을 볶은 후 끓이지 않은 물 2리터와 함께 유리 용기에 넣고 6시간을 우려내어 생성된 현미 진액을 생성하고, 상기 현미 진액의 생성 과정에서 나온 현미 찌꺼기를 건조시켜 현미 분말을 생성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하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 가공물은 채집한 지렁이로부터 추출된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이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을 생성하는 제1-4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지렁이를 온도가 13±7℃이고, 습도가 90±10% 환경인 밀폐된 암실에 3~4일 방치하여 상기 지렁이 체내에 있는 변을 배설시키는 제1-4a 단계;
    변이 배설된 상기 지렁이를 원기 회복 공간에 넣고 5~20℃의 공기를 2~10분간 30~60분 간격으로 1~3일간 공급하여 지렁이의 원기를 회복시키는 제1-4b 단계;
    원기가 회복된 상기 지렁이를 물이 담겨진 용기에 넣고 20~60분간 침지시켜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추출하는 제1-4c 단계;
    거름망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포함된 지렁이 및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분리시키는 제1-4d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등액만을 취하여 지렁이 점액을 채취하는 제1-4e 단계;
    를 포함하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제1-4d 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지렁이를 pH2~5로 조정된 유기산 속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침지시키는 제1-4f 단계;
    침지된 상기 지렁이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한 물로 세척하는 제1-4g 단계;
    세척된 상기 지렁이를 파쇄한 후, -18℃~35℃에서 20~240시간 동결 건조시키는 제1-4h 단계; 및
    상기 제1-4h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110℃~130℃에서 가열처리하여 지렁이 분말을 생성하는 제1-4i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닭 사료 제조 방법.
  4.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에 있어서,
    상기 게껍질 가공물은 게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생성되고,
    상기 지네 가공물은 건조된 지네 1kg에 에탄올,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용매 10리터를 투입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한 다음 진공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생성되고,
    상기 현미 가공물은 75℃에서 1시간을 볶은 후 끓이지 않은 물 2리터와 함께 유리 용기에 넣고 6시간을 우려내어 생성된 현미 진액 및 상기 현미 진액의 생성 과정에서 나온 현미 찌꺼기를 건조시켜 생성된 현미 분말이고,
    상기 지렁이 가공물은 채집한 지렁이로부터 추출된 지렁이 점액질 및 지렁이 분말이고,
    상기 게껍질 가공물, 상기 지네 가공물, 상기 현미 진액, 상기 현미 분말, 상기 지렁이 점액질 및 상기 지렁이 분말을 혼합하여 생성되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 점액질은, 상기 지렁이를 온도가 13±7℃이고, 습도가 90±10% 환경인 밀폐된 암실에 3~4일 방치하여 상기 지렁이 체내에 있는 변을 배설시키고, 변이 배설된 상기 지렁이를 원기 회복 공간에 넣고 5~20℃의 공기를 2~10분간 30~60분 간격으로 1~3일간 공급하여 지렁이의 원기를 회복시키고, 원기가 회복된 상기 지렁이를 물이 담겨진 용기에 넣고 20~60분간 침지시켜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추출하고, 거름망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포함된 지렁이 및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기 지렁이 점액질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등액만을 취하여 채취되고,
    상기 지렁이 분말은 분리된 상기 지렁이를 pH2~5로 조정된 유기산 속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된 상기 지렁이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함유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상기 지렁이를 파쇄한 후, -18℃~35℃에서 20~240시간 동결 건조시켜 얻어진 건조물을 110℃~130℃에서 가열처리하여 생성되는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KR1020170025234A 2017-02-27 2017-02-27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98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34A KR20180098746A (ko) 2017-02-27 2017-02-27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34A KR20180098746A (ko) 2017-02-27 2017-02-27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46A true KR20180098746A (ko) 2018-09-05

Family

ID=6359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234A KR20180098746A (ko) 2017-02-27 2017-02-27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7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97A (ko) * 2020-01-15 2021-07-23 이중신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75A (ko) 2001-05-11 2001-07-25 김순동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와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75A (ko) 2001-05-11 2001-07-25 김순동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와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97A (ko) * 2020-01-15 2021-07-23 이중신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9165B (zh) 一种刺梨复合维生素c片及其制备方法
JP4599426B2 (ja) ニンニクを主成分とす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
CN103789139A (zh) 一种黑酒的制作工艺
KR20140038117A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의 가공방법 및 그 누에가공물
KR20200028746A (ko)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환자용 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6458B1 (ko) 해삼 발효차의 제조방법
KR102185001B1 (ko) 반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 오징어
KR20180098746A (ko)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CN112352887B (zh) 一种鳜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104903B (zh) 含有紫甘蓝提取物的肉鸡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981280A (zh) 一种腌制的韭菜根的制作方法
JPH0851927A (ja) 複合ヨーグルトを製造する方法。
JP4339911B2 (ja) 大根及びカボチャの成分を含有するエキスの製造方法とそのエキスを用いた顆粒及び錠剤の製造方法
CN108347978A (zh) 乳酸菌发酵全大蒜制备方法
KR101932952B1 (ko) 해파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사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JP2004222501A (ja) 蟻とミミズを用いた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80769B1 (ko) 시스테아민 치오글라이콜산염을 이용한 손상모발 전용 산성펌제
KR20150095353A (ko) 유황을 함유하는 오리 사육방법
KR102004097B1 (ko) 이미 및 이취를 제거한 마늘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5598A (zh) 甲鱼浸提液的制备方法及利用甲鱼浸提液生产的营养保健食品
CN107744076A (zh) 中华绒螯蟹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736510A (zh) 鳙鱼饲料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