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729A -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 Google Patents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729A
KR20180097729A KR1020187021538A KR20187021538A KR20180097729A KR 20180097729 A KR20180097729 A KR 20180097729A KR 1020187021538 A KR1020187021538 A KR 1020187021538A KR 20187021538 A KR20187021538 A KR 20187021538A KR 20180097729 A KR20180097729 A KR 2018009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bolt
housing
handle
hub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517B1 (ko
Inventor
울리히 폴
Original Assignee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9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컨테이너들을 위한 배출 탭(10)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를 위한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의 출구 넥크 또는 출구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 탭은, 출구 튜브(13)의 유동 단면을 개폐하기 위해 핸들(12)을 이용하여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밸브 본체가 배치된 탭 하우징(11), 및 샤프트 끝단(21)을 가진 밸브 샤프트(20)를 장착하기 위해 출구 튜브에 형성되어 있고 출구 튜브 밖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돔(dome)(23)을 구비한다. 핸들은 토크에 견디는 방식으로 밸브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허브 파트(18)와 함께 샤프트 끝단 상에 배치되어 있고, 허브 파트에는 밸브 본체의 차단(shut-off) 위치를 구획하기 위한 핸들 스탑(stop)(25)이 마련되고, 하우징 돔에는 하우징 스탑(27)이 마련된다. 핸들 스탑과 하우징 스탑은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16)를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고정 디바이스(16)는 허브 파트(18)에 배치된 안내(guiding) 디바이스에 유지되고 안내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록킹 위치와 언록킹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 방식으로 밸브축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스탑 볼트(1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본 발명은 액체 컨테이너들을 위한 배출 탭(discharge ta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를 위한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의 출구 넥크 또는 출구 개구에 연결하기 위한 배출 탭에 관한 것이다.
배출 탭은, 출구 튜브의 유동 단면을 개폐하기 위해 핸들에 의해 밸브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밸브 본체가 배치된 탭 하우징, 및 밸브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해 출구 튜브에 형성되어 있고 출구 튜브 밖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돔(dome)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토크에 견디는 방식으로 밸브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허브 파트와 함께 샤프트 끝단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 파트에는 밸브 본체의 차단(shut-off) 위치를 구획하기 위한 핸들 스탑(stop)이 마련되고, 하우징 돔에는 하우징 스탑이 마련되고, 핸들 스탑과 하우징 스탑은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를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밸브 본체로서 밸브 플랩(flap)을 구비하는 버터플라이(butterfly) 밸브로서 형성된 배출 탭은 특허 문헌 EP 1 106 565 A1으로부터 알려져 있고, 이러한 배출 탭은 핸들로서 형성된 핸들 스탑과 탭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스탑 사이의 상대적인 배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씨일(seal)을 구비하고, 이러한 씨일은 동시에 부정 조작 방지(tamper-proof) 씨일로서 기능한다.
특허 문헌 EP 1 547 967 A1에는 의도하지 않거나 악의적인 핸들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디바이스의 제공이 제안되었고, 고정 디바이스는 씨일 또는 기계적 락(lock)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찢김 방지(tear proof) 고정 링이 마련되어 있다.
알려진 고정 디바이스들은 버터플라이 밸브의 차단 위치에 상응하는 상대적인 배열로 버터플라이 밸브의 핸들을 밸브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디바이스들 각각은 일회 사용에만 적합하기 때문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일차적으로 개방시킨 후에는 새로운 고정 디바이스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액체 컨테이너의 후속 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된 액체 컨테이너의 추가적인 이송을 위한 폐쇄 위치를 보장하기 위하여, 고정 디바이스를 제거 또는 파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것은, 한편으로 컨테이너의 사용자가 상응하는 교체 디바이스를 대기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 버터플라이 밸브에 고정 디바이스의 새로운 장착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노력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추가적인 노력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서 배출 탭을 고정할 필요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된 액체 컨테이너를 이송하게 되면 위험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개선된 고정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배출 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출 탭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디바이스는, 허브 파트(hub part)에 배치된 안내 디바이스에 유지되고, 안내(guiding)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밸브축의 방향으로 병진 운동 방식으로 록킹 위치와 언록킹(unlocking)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스탑 볼트(bolt)를 구비하고,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탑 볼트는 제1 볼트 스탑과 제2 볼트 스탑과 함께 결합 배열로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는, 록킹 위치 및 언록킹 위치에서 안내 디바이스에 유지되는 스탑 볼트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가 차단 위치로 이동된 후 스탑 볼트가 다시 록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개방 위치에서 밸브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후속되는 언록킹 과정에서 스탑 볼트를 재사용하기 위해, 스탑 볼트는 언록킹 위치일 때 방출 탭에 또한 남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탭을 작동시킨 후 고정 디바이스를 교체할 필요도 없고, 방출 탭을 작동시킨 후 고정 디바이스 또는 그 부품들을 새롭게 장착할 필요도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내 디바이스는 허브 파트의 둘레 벽의 일체로 형성된 안내 웹(web)으로서 마련되고, 관통 개구는 스탑 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안내 웹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허브 파트의 바닥 벽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배출 탭에 있는 고정 디바이스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 언록킹 위치에 있을 때 허브 파트의 바닥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톱 볼트의 배열이 고정 디바이스의 언록킹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시각적인 표지(optical mark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탑 볼트는 볼트 스탑들에 록킹되도록 구성된 볼트 레그, 볼트 레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스탑 볼트를 취급할 수 있는 작동 레그, 및 서로 인접하는 끝단들에서 볼트 레그와 작동 레그를 연결하는 스탑 베이스를 구비한다. 스탑 베이스는 안내 웹의 상단에 의해 형성된 관통 개구의 개구 에지 상에 놓여 있다. 작동 레그는 볼트 레그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실제적인 록킹 기능을 수행하고, 스탑 볼트가 록킹 위치 또는 언록킹 위치 중 어디에 있는지와 무관하게 스탑 볼트의 간단한 조작 및 스탑 볼트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스탑 베이스가 스탑 볼트의 록킹 위치에서 허브 파트의 바닥 벽의 볼 수 있는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표면을 포함하면, 허프 파트의 바닥 벽의 볼 수 있는 표면과 스탑 베이스의 표면 사이의 전이 표면은 페이퍼 스트립 또는 포일 스트립으로서 형성된 부정 조작 방지 씨일을 부가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부정 조작 방지 씨일은, 스탑 볼트를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킬 때, 파괴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볼트 레그는 볼트 스탑을 구비하고, 볼트 스탑은 언록킹 위치에서 볼트 스탑의 이동을 제한하고 유지(retaining)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허브 파트와 상호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탑 볼트의 작동 레그는 부정 조작 방지 씨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디바이스는 관통 개구로서 형성되고, 특히, 관통 개구는 작동 레그의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취급 웹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의 하우징 스탑을 통해 형성되고, 제2 볼트 스탑은 핸들 스탑을 통해 형성되며, 하우징 스탑은 핸들 스탑과 스탑 볼트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만약, 하우징 스탑이 하우징 돔의 외측에 배치된 스탑 탭(tap)을 통해 형성되면, 하우징 스탑은 특히, 덩어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에 형성된 하우징 스탑을 통해 형성되고, 제2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에 형성된 제2 하우징 스탑을 통해 형성되며, 스탑 볼트는 하우징 스탑들 사이에 수납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2개의 볼트 스탑들이 하우징 돔에 구현될 수 있게 한다.
만약, 제1 스탑 볼트가 하우징 돔의 상부 에지의 테두리에 형성된 에지 웹의 제1 축 끝단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볼트 스탑이 제1 축 끝단에 반대되게 배치된 에지 웹의 제2 축 끝단에 의해 형성되면, 특히, 고정 디바이스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출 탭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록킹 위치에 있는 고정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차단 위치에 있는 배출 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언록킹 위치에 있는 고정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차단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배출 탭을 도시한다.
도 3은 고정 디바이스의 스탑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탑 볼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탑 볼트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배출 탭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Ⅶ-Ⅶ 선을 따라 절단한 배출 탭의 부분 단면도이다. 탭
도 8은 언록킹 위치에서 고정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개방 위치에 있는 배출 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출 탭의 탭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언록킹 위치에서 고정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차단 위치에 있는 도 10에 도시된 배출 탭을 도시한다.
도 11은 록킹 위치에 있는 고정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차단 위치에 이TSms 도 10에 도시된 배출 탭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XⅡ-XⅡ 선을 따라 절단한 도 11에 도시된 배출 탭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출 탭(10)은 탭 하우징(11) 및 탭 하우징(11)에 배치된 핸들(12)을 구비다. 핸들(12)은 출구 튜브(13) 내에 배치된 밸브 본체(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밸브 본체는, 핸들(12)을 이용하여 출구 튜브(13)의 유동 단면(25:도 6 및 도 7 참조)을 개폐하기 위해 개방 위치와 차단 위치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출 탭(10)의 출구 튜브(13)는 출구 끝단(14)에 록킹 캡(15)이 마련된다. 그렇게 하면서, 도 1의 구성은 배출 탭(10)이 마련된 액체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동안의 배출 탭(10)의 상태에 상응한다.
고정 디바이스(16)는 밸브 본체의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배출 탭에 마련된다. 고정 디바이스(16)는 핸들(12)에 유지된 스탑 볼트(17)를 구비하고, 안내 웹(33:도 6 및 도 7 참조)으로서 형성된 안내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탑 볼트(17)는 핸들(12)의 허브 파트(18)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파트(18)는 캡 처럼 형성되고, 밸브 샤프트(20)의 상부 샤프트 끝단(21) 상에 배치되어 있다. 허브 파트(18)의 하단에는 밸브 본체가 위치되고, 핸들(12)로부터의 회전 모멘트를 밸브 샤프트(20)까지 전달하기 위한 허브 슬리브(19)를 포함한다. 밸브 샤프트(20)는 탭 하우징(11)에 형성된 하우징 돔(dome)(23) 안에 마운팅 칼라(mounting collar)(22)와 함께 장착된다. 또한, 밸브 샤프트(20)는 마운팅 칼라(22)에 배치된 밀봉 링들(24)의 도움으로 출구 튜브(13)의 유동 단면(25:도 6 참조)에 대해 밀봉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탭(10)의 핸들(12)의 허브 파트(18)는 허브 파트(18)의 둘레 벽(32)에 각각 형성된 좌측 핸들 스탑(25)과 우측 핸들 스탑(26)을 구비한다. 이러한 핸들 스탑들(25,26)은 밸브 샤프트(20)에 의한 회동축(37)을 기준으로 하는 핸들(12)의 회전 운동을 제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배출 탭(10)은 차단 위치에서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의 좌측 핸들 스탑(25)은, 탭 하우징(11)에 있는 스탑 탭(81)에 형성된 하우징 스탑(27)에 맞대인 멈춤 위치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의 우측 핸들 스탑(26)은 스탑 탭(81)에 형성된 하우징 스탑(38)에 맞대인 멈춤 위치에서 밸브 본체의 개방 위치를 한정한다. 또한, 우측 핸들 스탑(26)은 허브 파트(18)의 둘레 벽(32) 내의 리세스(28)를 통해 좌측 핸들 스탑(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리세스(28) 내부에는 조절 간격(S)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탑 볼트(17)는 볼트 레그(29), 볼트 레그(29)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스탑 볼트(17)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 레그(30) 및 볼트 레그(29)를 작동 레그(30)에 연결하는 스탑 베이스(31)를 구비한다.
스탑 볼트(17)를 핸들(12)의 허브 파트(18)에 연결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웹(33)은 허브 파트(18)의 둘레 벽(32)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탑 볼트(17)는 관통 개구(35: 도 2 참조)를 통해 안내 웹(33)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통 개구(35)는 안내 웹(33)에 인접하는 허브 파트(18)의 바닥 벽(34)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은 언록킹 위치에 있는 스탑 볼트(17)를 도시한다. 이 상태의 스탑 볼트(17)는 볼트 레그(29)가 허브 파트(18)의 바닥 벽(34) 속으로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만 삽입되어 있다. 즉, 이러한 상태는, 볼트 레그(29)와 하우징 스탑(27) 사이에 아직 덮개가 형성되지 않고, 다시 말해서, 핸들(12)이 회동축(37)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으므로, 핸들(12)이 조절 간격(S) 사이에서 회동할 때 우측 핸들 스탑(26)은 밸브 본체를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하우징 스탑(27)에 맞대인 스탑 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탑 볼트(17)는 작동 레그(30)에 마련된 조작 웹(handling web)(45)을 포함한다. 조작 웹(45)은 관통 개구(46)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통 개구(46)는, 록킹 캡(15)의 둘레 에지에 마련된 제2 관통 개구(50)와 관련하여, 씰링 와이어로서 형성되는 부정 조작 방지 씨일을 배출 탭(10)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씰링 와이어가 전술한 관통 개구들(45,46)을 통과하도록 배출 탭(10)에 설치되면, 도 2에 도시된 언록킹 위치에서 스탑 볼트(17)의 이동은 씰링 와이어를 끊은 후에만 가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언록킹 위치로부터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록킹 위치로 스탑 볼트(17)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탑 베이스(31)가 안내 웹(33)의 상부 끝단에 의해 형성된 관통 개구(35)의 개구 에지(39)에 접촉되어 놓여질 때까지, 회동축(37)에 평행한 관통 개구(35) 속으로 스탑 볼트(17)를 더 삽입한다. 록킹 위치에서,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스탑(27)과 볼트 레그(29) 사이에는 덮개가 구현된다. 이러한 덮개의 구현은, 스탑 탭(81)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스탑(27)이 핸들 스탑(25)과 도 1에 도시된 차단 위치에서 스탑 볼트(17)의 볼트 레그(29) 사이에 수납되고, 스탑 볼트(17)가 핸들 스탑(25) 및 하우징 스탑(27)과 함께 고정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개방 위치에서 회동축(37)에 대한 핸들(12)이 회동이 더 이상 불가능한 그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탑 베이스의 표면(31)은 록킹 위치에서 핸들(12)의 허브 파트(18)의 볼 수 있는 표면(42)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됨으로써, 표면(41)로부터 볼 수 있는 표면(42)까지 편평한 씨일 표면(43)이 형성되고, 씨일 표면(43)은 씨일 포일 또는 씨일 스트립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의 개략적 표현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정의된 언록킹 위치까지 스탑 볼트(17)의 이동을 도시한다. 이러한 스탑 볼트(17)의 이동은 안내 웹(33)에 의해 형성된 안내 디바이스로부터 스탑 볼트(17)가 풀리지 않고서도 구현될 수 있다. 언록킹 위치를 구획할 뿐만 아니라 핸들(12)의 허브 파트(18)에 스탑 볼트(17)를 단단하게 배치시키기 위해 보유(retaining)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보유 디바이스는 볼트 레그(29)에 형성된 볼트 스탑(47)을 포함하고, 볼트 스탑(47)은 허브 파트(18)의 하부 사이드(49)에 맞대어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탭(51)을 도시한다. 이러한 배출 탭(51)은 핸들(52)을 구비하는 탭 하우징(80)을 포함하고, 핸들(52)은 하우징 돔(53) 상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의 허브 슬리브(19)가 밸브 샤프트(20)의 마운팅 칼라(2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핸들(12)이 배출 탭(10)의 하우징 돔(23)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돔(53)에 대한 핸들(52)의 고정은, 록킹 러그들(lugs)(57)이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하여 핸들(52)의 허브 파트(56)의 둘레 벽(55)의 하부 에지에서 정반대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회동축(37)의 방향으로 핸들(52)을 장착하기 위한 축 접합 공정에서, 록킹 러그들(57)은 하우징 돔(53)의 상부 에지(59)에 형성된 에지 웹(60:도 9 참조) 뒤쪽에 결합되고, 밸브 샤프트(미도시)는 핸들(52)의 바닥 벽(58)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2)과 밸브 샤프트는 배출 탭(51)에서 일체적인 마운팅 유니트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돔(53)은 서로 정반대로 마주보도록 배친된 2개의 하우징 스탑들(61,62)을 구비한다. 2개의 하우징 스탑들(61,62)은 상부 에지(59) 위로 돌출한다. 에지 웹(60)은 볼트 스탑들을 형성하고, 에지 웹(60)의 끝단들(67,72)은 에지 웹 리세스(66)를 통해 축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탭(51)의 차단 위치는 하우징 스탑(61)에 맞대이는 핸들 스탑(69)의 멈춤 및 하우징 스탑(62)에 맞대이는 핸들 스탑(70)의 멈춤을 통해 정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배출 탭(51)의 차단 위치에서, 핸들(52)에는 스탑 볼트(7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스탑 볼트(71)는 전술한 실시예의 스탑 볼트(17)에 상응하고, 핸들(52)의 둘레 벽(55)에 있는 안내 웹(33)(도 7 참조)에 유지된다. 스탑 볼트(71)는 볼트 레그(74), 작동 레그(75) 및 스탑 베이스(73)를 구비한다. 언록킹 위치에서, 스탑 베이스(73)는 핸들(52)의 허브 파트(56)의 바닥 벽(58) 위에 배치된다.
배출 탭(51)의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스탑 볼트(71)는 도 10에 도시된 언록킹 위치로부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볼트 레그(74)는 하우징 돔(53)과 핸들(52)의 허브 파트(56)의 둘레 벽(55) 사이에 형성된 사이 공간(76) 속으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스탑 볼트(71)의 볼트 레그(74)는 도 12에 도시된 록킹 위치에서 볼트 스탑들을 형성하는 에지 웹(60)의 축 끝단들(67,72)과 함께 고정 디바이스(77)를 형성한다. 고정 디바이스(77)는 회동축(37) 주위에서 핸들(52)의 양 방향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11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볼트 레그(74)와 작동 레그(75)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즉, 볼트 레그(74)는 허브 파트(56) 또는 허브 파트(56)의 둘레 벽(55)의 하부 에지(54)로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아서 비교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스탑들은 에지 오버랩(60)의 축 끝단들(67,72)로서 볼트 레그(74)와 상호 작용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탭(51)의 하우징 돔(53) 뿐만 아니라 핸들(52)의 허브 파트(56) 각각은 서로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대적인 배치를 하고 있고 배출 탭(52)의 차단 위치에서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아래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디스플레이 탭(78,79)이 마련된다. 이렇게 하여, 디스플레이 탭들(78,79)은 우선적으로 외측에서 배출 탭의 차단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하고 특히, 실시예를 복잡하게 만들지 않는다.
그들의 상대적인 덩어리의 실시예 덕분에, 디스플레이 탭들(78,79)은 하우징 스탑들(61,62)과 핸들 스탑들(69,70)에 손상을 유발할 수도 있는 과도한 힘을 이용하여 핸들(52)이 도 11에 도시된 차단 위치를 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계적인 블록을 여전히 구현할 수 있다.
10...배출 탭 11...탭 하우징
12...핸들 13...출구 튜브
14...출구 끝단 16...고정 디바이스
17...스탑 볼트 18...허브 파트
20...밸브 샤프트 21...샤프트 끝단
22...마운팅 칼라 23...하우징 돔
25,26...핸들 스탑 27...하우징 스탑
28...리세스 29...볼트 레그
30...작동 레그 31...스탑 베이스
33...안내 웹 35...관통 개구
45...조작 웹 46...관통 개구
50...제2 관통 개구 81...스탑 탭

Claims (12)

  1. 출구 튜브(13)의 유동 단면을 개폐하기 위해 핸들(12,52)을 이용하여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밸브 본체가 배치된 탭 하우징(11,80), 및 샤프트 끝단(21)을 가진 밸브 샤프트(20)를 장착하기 위해 출구 튜브에 형성되어 있고 출구 튜브 밖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돔(dome)(23,53)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토크에 견디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허브 파트(18,56)와 함께 상기 샤프트 끝단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허브 파트에는 상기 밸브 본체의 차단(shut-off) 위치를 구획하기 위한 핸들 스탑(stop)(25,69)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돔에는 하우징 스탑(27,61)이 마련되며, 상기 핸들 스탑과 상기 하우징 스탑은 상기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16,77)를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록킹될 수 있고, 액체를 위한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의 출구 넥크 또는 출구 개구에 연결될 수 있는,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10,5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16,77)는 상기 허브 파트(18,56)에 배치된 안내(guiding) 디바이스에 유지되고 상기 안내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록킹 위치와 언록킹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 방식으로 밸브축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스탑 볼트(17,71)을 포함하고,
    상기 스탑 볼트(17,71)는, 상기 록킹 위치일 때, 상기 차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1 볼트 스탑과 제2 볼트 스탑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는, 배출 탭.
  2. 청구항 1에서,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상기 허브 파트(18,56)의 둘레 벽(32,55)의 일체로서 형성된 안내 웹(33)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탑 볼트(17,71)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 웹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허브 파트의 바닥 벽(34,58)에 형성된 관통 개구(35)를 구비하는, 배출 탭.
  3. 청구항 2에서,
    상기 스탑 볼트(17,71)는 볼트 스탑들과 록킹하기 위한 볼트 레그(29,74), 상기 볼트 레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탑 볼트를 취급하기 위한 작동 레그(30,75), 및 상기 볼트 레그와 상기 작동 레그의 인접하는 끝단을 연결하는 스탑 베이스(31,73)를 포함하고,
    상기 스탑 베이스는 상기 안내 웹(33)의 상단에 의해 형성된 관통 개구(35)의 개구 에지 상에 놓여지는, 배출 탭.
  4. 청구항 3에서,
    상기 스탑 베이스(31,73)는, 상기 스탑 볼트(17,71)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허브 파트(18,56)의 바닥 벽(34,58)의 볼 수 있는 표면(42)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표면(41)을 구비하는, 배출 탭.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서,
    볼트 레그(29)는, 언록킹 위치로의 스탑 볼트(17)의 이동을 제한하고, 보유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허브 파트(18)와 상호작용하는 볼트 스탑(47)을 포함하는, 배출 탭.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서,
    스탑 볼트(17)의 작동 레그(30)는 부정 조작 방지(tamper-proof) 씨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배출 탭.
  7. 청구항 6에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는 관통 개구(46)로서 형성된, 배출 탭.
  8. 청구항 7에서,
    상기 관통 개구(46)는 작동 레그(30)의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취급 웹(45)에 형성된, 배출 탭.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의 하우징 스탑(27)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 스탑은 핸들 스탑(25)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스탑(27)은 상기 핸들 스탑(25)과 볼트 스탑(17) 사이에 수납되어 있는, 배출 탭.
  10. 청구항 9에서,
    상기 하우징 스탑(27)은 하우징 돔(23)의 외측 상에 배치된 스탑 탭(81)에 의해 형성된, 배출 탭.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53)에 형성된 제1 하우징 스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에 형성된 제2 하우징 스탑에 의해 형성되며,
    스탑 볼트(71)는 상기 제1 하우징 스탑과 상기 제2 하우징 스탑 사이에 수납되어 있는, 배출 탭.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1 볼트 스탑은 하우징 돔(53)의 상부 에지(59)의 원주에 형성된 에지 웹(60)의 제1 축 끝단(67)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 스탑은 상기 제1 축 끝단(67)의 반대편에 배치된 에지 웹(60)의 제2 축 끝단(72)에 의해 형성된, 배출 탭.
KR1020187021538A 2016-01-11 2016-12-06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KR102210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0206.6A DE102016200206B4 (de) 2016-01-11 2016-01-11 Entnahmearmatu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DE102016200206.6 2016-01-11
PCT/EP2016/079910 WO2017121543A1 (de) 2016-01-11 2016-12-06 Entnahmearmatu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729A true KR20180097729A (ko) 2018-08-31
KR102210517B1 KR102210517B1 (ko) 2021-02-01

Family

ID=5771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538A KR102210517B1 (ko) 2016-01-11 2016-12-06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10982791B2 (ko)
EP (1) EP3402741B1 (ko)
JP (1) JP6790118B2 (ko)
KR (1) KR102210517B1 (ko)
CN (1) CN108698810B (ko)
AR (1) AR107322A1 (ko)
AU (1) AU2016386942B2 (ko)
BR (1) BR112018014085B1 (ko)
CA (1) CA3010322C (ko)
CL (1) CL2018001834A1 (ko)
CO (1) CO2018007813A2 (ko)
DE (1) DE102016200206B4 (ko)
DK (1) DK3402741T3 (ko)
ES (1) ES2770328T3 (ko)
IL (1) IL260288B (ko)
MA (1) MA43846B1 (ko)
MX (2) MX2018008276A (ko)
MY (1) MY191459A (ko)
PH (1) PH12018501407A1 (ko)
PL (1) PL3402741T3 (ko)
RU (1) RU2685852C1 (ko)
SA (1) SA518391972B1 (ko)
SG (1) SG11201805705YA (ko)
TW (1) TWI628383B (ko)
UA (1) UA120734C2 (ko)
WO (1) WO20171215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613A (ko) 2020-04-03 2021-10-14 신동수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0206B4 (de) * 2016-01-11 2020-08-13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DE102018102062A1 (de) * 2018-01-30 2019-08-01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US20220242720A1 (en) * 2019-07-09 2022-08-04 Protechna S.A. Valve shaft locking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7072A (en) * 1957-02-21 1961-06-06 Frank G Muller Butterfly valve and sealing means therefor
JP3023631U (ja) * 1995-10-09 1996-04-23 大洋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栓
CN1171027C (zh) * 1999-12-09 2004-10-13 普罗特克纳有限公司 用于液体容器和液体管路的通路阀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943A (en) * 1896-04-07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valves
US851338A (en) * 1905-02-08 1907-04-23 John G Bayne Safety-clutch for air-brake angle-cocks.
US1459686A (en) * 1922-06-24 1923-06-19 John T O'gorman Automatic lock cock
US1587091A (en) * 1924-01-25 1926-06-01 Anthony C Vanadia Safety gas-jet attachment
US1655473A (en) * 1926-07-12 1928-01-10 James J Lahey Latch for gas valves
US1689657A (en) * 1927-08-01 1928-10-30 Charles E Wise Locking valve for gas burners
US1935936A (en) * 1933-01-26 1933-11-21 Bodzioch Joseph Safety gas cock
DE1201146B (de) * 1962-12-11 1965-09-16 Thompson Brothers Bilston Ltd Ventil, Hahn oder dergleichen Absperrorgan
US3858843A (en) * 1973-03-29 1975-01-07 Chemetron Corp Ball valve and the like having locking handle
DE2836482A1 (de) * 1978-08-21 1980-03-06 Otto Dipl Ing Lachner Vorrichtung zum fuellen und entleeren von fuellgutbehaeltern mit gasfoermigen und/oder fluessigen stoffen
US4274445A (en) * 1979-04-10 1981-06-23 Pall Corporation Pressure balanced three-way transfer valve
FR2494383A1 (fr) * 1980-11-19 1982-05-21 Gachot Jean Vanne papillon
DE3522521A1 (de) 1985-06-24 1987-01-02 Sieger Kg Hch Entnahmevorrichtung
IT1217337B (it) * 1988-02-03 1990-03-22 Pettinaroli Spa Valvola a sfera con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la maniglia
US5058622A (en) * 1990-01-12 1991-10-22 Stockham Valves & Fittings, Inc. Valve lock assembly
US5188335A (en) * 1992-06-02 1993-02-23 Fratelli Pettinaroli S.P.A. Ball valve with lockable security device
JP3023631B2 (ja) 1992-12-09 2000-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停電電源装置
US5365759A (en) * 1993-02-22 1994-11-22 Rubinetierie Utensilerie Bonomi S.R.L. Locking device in the closing or opening position of a valve
CN2208133Y (zh) * 1994-11-10 1995-09-20 林少习 一种改良的水龙头止水结构
US5772177A (en) * 1997-04-14 1998-06-30 Parker & Harper Companies, Inc. Valve latching device for single handed operation
GB9718701D0 (en) * 1997-09-03 1997-11-12 Pegler Limited Valve handle lock
DE19815082A1 (de) 1998-04-06 1999-10-14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ZA200306098B (en) * 2002-08-13 2003-10-15 Protechna Sa Withdrawal valve of plastics material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ainer for liquids.
DE10344962B3 (de) * 2003-09-27 2005-04-07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aus Kunststoff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FR2864036B1 (fr) 2003-12-23 2006-02-10 Rehau Sa Robinet pour conteneur, a paroi d'inviolabilite moulee d'une seule piece avec le corps de robinet
FR2939776B1 (fr) * 2008-12-12 2013-07-05 Valois Sas Bague de fixation et distributeur comprenant une telle bague.
DE102009047075A1 (de) * 2009-11-24 2011-07-14 Protechna S.A. Rückschlagventil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S9377113B2 (en) * 2013-11-18 2016-06-28 Mikron Valve & Manufacturer, Inc. Spherical automatic flow emergency restrictor valve
DE102016200206B4 (de) * 2016-01-11 2020-08-13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US10114405B2 (en) * 2016-02-15 2018-10-3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afety control lockout knob
US9810344B2 (en) * 2016-02-18 2017-11-07 Nibco Inc. Valve with locking sl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7072A (en) * 1957-02-21 1961-06-06 Frank G Muller Butterfly valve and sealing means therefor
JP3023631U (ja) * 1995-10-09 1996-04-23 大洋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栓
CN1171027C (zh) * 1999-12-09 2004-10-13 普罗特克纳有限公司 用于液体容器和液体管路的通路阀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613A (ko) 2020-04-03 2021-10-14 신동수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12321A (es) 2021-02-09
AU2016386942A1 (en) 2018-08-09
KR102210517B1 (ko) 2021-02-01
DK3402741T3 (da) 2020-02-03
US20200300382A1 (en) 2020-09-24
CN108698810A (zh) 2018-10-23
MA43846B1 (fr) 2020-01-31
SG11201805705YA (en) 2018-08-30
PH12018501407A1 (en) 2019-03-25
IL260288A (en) 2018-07-31
UA120734C2 (uk) 2020-01-27
MX2018008276A (es) 2018-12-06
JP2019502887A (ja) 2019-01-31
SA518391972B1 (ar) 2021-09-08
WO2017121543A1 (de) 2017-07-20
BR112018014085A2 (pt) 2018-12-11
EP3402741B1 (de) 2019-10-30
CL2018001834A1 (es) 2018-08-10
CO2018007813A2 (es) 2018-08-10
AR107322A1 (es) 2018-04-18
DE102016200206A1 (de) 2017-07-13
PL3402741T3 (pl) 2020-08-10
IL260288B (en) 2020-06-30
MA43846A (fr) 2018-11-21
EP3402741A1 (de) 2018-11-21
CN108698810B (zh) 2020-04-28
BR112018014085B1 (pt) 2022-06-14
ES2770328T3 (es) 2020-07-01
CA3010322C (en) 2020-04-07
DE102016200206B4 (de) 2020-08-13
MY191459A (en) 2022-06-28
CA3010322A1 (en) 2017-07-20
AU2016386942B2 (en) 2019-10-31
US10982791B2 (en) 2021-04-20
TWI628383B (zh) 2018-07-01
JP6790118B2 (ja) 2020-11-25
RU2685852C1 (ru) 2019-04-23
US20190032813A1 (en) 2019-01-31
TW201727115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729A (ko)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US8528758B2 (en) Closure element for a container made of particularly sheet type material
JP2006507120A5 (ko)
US6431380B1 (en) Child-resistant flip top closure
JP5380329B2 (ja) 注出キャップ
JP2014534136A (ja) 開栓明示機能を有するクロージャ(atamper−evidentclosure)
JP6240702B2 (ja) 中大型容量の密閉用容器
JP2018122870A (ja) 二重容器
CN1732115B (zh) 包括安全密封件的桶
RU2359886C2 (ru) Тарный комплект
JP4730701B2 (ja) 容器キャップ
JP2014148328A (ja) 詰め替え容器
JP6078439B2 (ja) 詰め替え容器
WO2013139352A1 (en) Container with a dispensing closure and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JP4774296B2 (ja) 複合ヒンジキャップ
JP5481304B2 (ja) 容器
JP2019026360A (ja) 折り取りスパウト
JP2021054513A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744588Y2 (ja) 注出口栓
JP6290026B2 (ja) コック
KR20230170900A (ko) 폐쇄 가능한 통기 개구를 갖는 용기 뚜껑
JP2024509553A (ja) ヒンジとマウスピースを備える無菌容器クロージャー
TW202400505A (zh) 具有容器及顯示破壞保護裝置之配置
JPH0352682Y2 (ko)
JP2020169046A (ja) 注出口栓およ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