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613A -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 Google Patents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613A
KR20210123613A KR1020200040978A KR20200040978A KR20210123613A KR 20210123613 A KR20210123613 A KR 20210123613A KR 1020200040978 A KR1020200040978 A KR 1020200040978A KR 20200040978 A KR20200040978 A KR 20200040978A KR 20210123613 A KR20210123613 A KR 2021012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lamper
wall construction
construction block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329B1 (ko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신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수 filed Critical 신동수
Priority to KR102020004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되고 양생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을 수직으로 전환함으로서 적재 및 운반과정에서 동일한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적재시 파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파레트를 수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고 파레트 파손으로 야기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옹벽축조블록을 만들어 파레트에 위치시키는 성형파트와, 옹벽축조블록을 이송기에 의하여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양생기로 공급되고, 양생 완료된 옹벽축보블록은 출고라인으로 공급되어지는 옹벽축조블록의 생산라인에 적용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을 눕혀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파레트 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출고라인에 직립장치를 더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직립장치는, 출고라인의 양측에 설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다리의 상측부 내측에 출고라인으로 공급되는 옹벽축조블록을 견도하게 잡을 수 있게 설치하는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에 설치하여 클램핑된 옹벽축조블록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키는 전환기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수단에 의하여 출고라인의 폭방향으로 클램퍼를 왕복시키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하여 클램퍼와 수평이동수단을 출고라인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수직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UPRIGHT DEVICE FOR RETAINING WALL BLOCK}
본 발명은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되고 양생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을 직립상태로 전환하여 적재와 운송의 효율성을 높여 동일공간에 많은 수의 블록을 적재하고 운송할 수 있도록 하면서 파레트회수 불가로 야기될 수 있는 제반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직립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옹벽축조블록은 하천의 호안, 절토, 복토된 부지확보, 복토된 도로 등,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을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종래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하여 여러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옹벽축조블록의 선행기술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블록본체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결합돌기의 후방에 배치되면서 블록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되어 이웃하는 옹벽블록의 결합돌기와 상호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수직면 상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수직 옹벽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에 있어서, 수직 옹벽의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에 제1토사채움공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1토사채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토사채움공의 양측 상면에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토사채움공과 제1토사채움홀 사이의 양측 측면에 제1조립고정홈이 형성된 제1블록;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에 제2식재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2토사채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토사채움공의 양측 상면에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식재홈과 제2토사채움공 사이의 양측 측면에 제2조립고정홈이 형성된 제2블록;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에 전면이 개방되어 제3식재연장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3토사채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토사채움공의 양측 상면에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식재연장홈과 제3토사채움홈 사이의 양측 측면에 제3조립고정홈이 형성된 제3블록; 전면 형상이 반구 형상을 가지며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에 상기 제2식재홈보다 돌출된 위치로 시공되는 제4식재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4토사채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4토사채움공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2블록의 제2조립고정홈 또는 상기 제3블록의 제3조립고정홈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립고정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되어 조립고정돌기가 형성된 제4블록; 및 상기 제1블록의 상부를 덮으면서 저면의 전방으로부터 후향 일정거리 떨어져 양측으로 길게 상향 함몰되어 상기 제1블록의 제1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제5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출원 제 10 - 2018 - 0097729 호 특허 제 10 - 1598148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특허문헌에서는 옹벽축조블록의 구성에 대하여서 언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옹벽축조블록을 성형한 후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야적하여 보관하거나 시공할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성형과정에서는 옹벽축조블록이 눕혀진 상태로 성형되어 양생과정을 거치고 야적되는 과정 또는 축조현장으로 이송되는 과정 및 축조현장에서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모두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옹벽축조블록이 눕혀진 상태로 생산, 양생, 운반 및 보관될 때에는 옹벽축조블록을 파레트로 안치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데, 이는 중량체의 옹벽축조블록을 눕혀서 성형하기 때문에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하역할 때 파레트가 없을 경우에는 지게차의 포크날이 진입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항상 파레트에 안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옹벽축조블록을 항상 파레트에 안치한 상태에서 성형, 양생 및 적재하기 때문에 옹벽축조블록의 크기보다 파레트가 더 크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필요로하게 되므로 보관을 위한 공간이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운반을 위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할 때에도 파레트에 안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적재하는 데, 파레트의 크기 때문에 적재함에 다열로 적재하는 것이 힘들어 많은 양을 운반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는 적재함의 폭 방향으로 파레트 없이는 3열 적재가 가능하나 파레트가 있을 경우에는 2열적재만 가능하기 때문에 1열만큼 적재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운반에 많은 차량 또는 여러번 운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운송비용을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현장에서 옹벽축조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후에는 사용된 파레트를 회수하여 생산현장으로 공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게 취급되지 못하여 파레트가 대부분 파손되어 회수되지 않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는 새로운 파레트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원료를 몰드에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옹벽축조블록(B)을 만들어 파레트에 위치시키는 성형파트(101)와, 상기 성형파트(101)에 의하여 성형된 옹벽축조블록(B)은 이송기(102)에 의하여 엘리베이터(103)를 통하여 양생기(104)로 공급되고, 양생 완료된 옹벽축보블록(B)은 이송기(102)에 의하여 인출되어 엘리베이터(103)를 경유하여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어지는 옹벽축조블록(B)의 생산라인(100)에 적용되어 양생기(104)로부터 인출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B)을 눕혀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파레트 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출고라인(105)에 직립장치(110)를 더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직립장치(110)는, 출고라인(105)의 양측에 세워지는 지지다리(111)의 상측에 상판(112)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장치프레임(113)과;
상기 장치프레임(113)을 구성하는 지지다리(111)의 상측부 내측에는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는 옹벽축조블록(B)을 견도하게 잡을 수 있게 설치하는 클램퍼(120)와;
상기 클램퍼(120)에 설치하여 클램핑된 옹벽축조블록(B)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키는 전환기(140)와;
상기 상판(1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수단(160)에 의하여 출고라인(105)의 폭방향으로 클램퍼(120)를 왕복시키는 수평이동수단(160)과;
상기 상판(112)의 상부에 설치하여 클램퍼(120)와 수평이동수단(160)을 출고라인(105)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수직이동수단(180)을 포함하여;
성형되고 양생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을 수직으로 전환함으로서 적재 및 운반과정에서 파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 않지 않아 동일한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 이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적재시 파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파레트를 수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고 파레트 파손으로 야기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옹벽축조블록을 생산하여 양생하는 과정에서는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양생이 완료된 후 출고되는 시점에 직립장치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로 전환되어 야적, 운반 및 현장에서 보관되도록 함으로서 동일한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옥벽축조블록의 적재가 가능하면서 동일한 적재함에 많은 양의 옹벽축조블록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운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출고를 위한 적재와 운반과정 및 현장에서의 보관 과정에 파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파레트 회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현장에서 파레트를 보충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전체적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대외적인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옹벽축조블록의 생산라인을 도시한 레이아웃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수직이동수단을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수평이동수단을 발췌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수평이동수단을 발췌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직립수단을 발췌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직립수단을 발췌한 측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옹벽축조블록의 생산라인을 도시한 레이아웃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수직이동수단을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수평이동수단을 발췌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수평이동수단을 발췌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직립수단을 발췌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의 직립수단을 발췌한 측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옹벽축조블록(B)의 생산라인(100)은 원료인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을 혼합하여 몰드에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옹벽축조블록(B)을 만들어 파레트 위에 안치되도록 하는 성형파트(101)가 설치된다.
상기 성형파트(101)에 의하여 성형된 옹벽축조블록(B)은 이송기(102)에 의하여 엘리베이터(103)를 통하여 양생기(104)로 공급하여 소정시간동안 양생을 거치고, 양생이 완료된 옹벽축보블록(B)은 다시 이송기(102)에 의하여 인출되어 엘리베이터(103)를 경유하여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고라인(105)에 양생기(104)로부터 인출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B)을 눕혀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파레트 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직립장치(11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립장치(110)는, 출고라인(105)의 양측에 세워지는 지지다리(111)의 상측에 상판(112)으로 연결하여 개략 ∩형상의 장치프레임(113)을 구성하고, 상기 장치프레임(113)을 구성하는 지지다리(111)의 상측부 내측에는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는 옹벽축조블록(B)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는 클램퍼(120)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퍼(120)에는 클램핑된 옹벽축조블록(B)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기(140)를 설치한다.
상기 클램퍼(120)는 상판(112)의 저면에 설치되는 수평이동수단(160)에 의하여 출고라인(105)의 폭방향으로 클램퍼(120)를 왕복시키면서 옹벽축조블록(B)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판(112)의 상부에는 수직이동수단(180)을 설치하여 클램퍼(120)와 수평이동수단(140)을 출고라인(105)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램퍼(120)는, 수평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바유지구(121)에 한 쌍의 가이드바(122)를 유지하고, 상기 가이드바(122)에는 가이드블록(123)을 결합한 클램퍼바디(124)를 하향 돌출시킨다.
상기 클램퍼바디(124)의 하단 내측에는 수평상태로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는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과 같이 경사를 가지는 클램핑핑거(125)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핑핑거(125)의 내측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교환가능한 스파이크(126)를 장착한다.
상기 클램핑핑거(125)는 클램퍼바디(124)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전환축(127)과 연결하고, 상기 전환축(127)은 클램퍼바디(124)의 하단 외측에 설치되는 전환기(140)에 의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환기(140)는, 전환축(127)의 외측단에 피니언(141)을 장착하고, 상기 피니언(141)의 상측에는 랙(142)을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랙(142)은 클램퍼바디(124)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환브라켓(143)에 장착되는 전환실린더(145)와 연결하여 전환실린더(145)의 신장과 수축작동에 의하여 전환축(127)을 움직여 옹벽축조블록(B)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평이동수단(160)은, 상판(112)의 하방에 상부플레이트(16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61)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하부플레이트(162)로 구성되는 수평이동판(163)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61)의 저면 중앙에는 작동실린더(165)를 장착한다.
상기 작동실린더(165)의 로드(166)는 우측(도 3에서 보았을 때)의 클램퍼바디(124)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167)과 연결하여 우측의 클램퍼바디(124)를 가이드바(122)를 따라 수평왕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과 양측의 클램퍼바디(124)에는 연동수단(170)을 설치하여 양측의 클램퍼바디(124)가 가이드바(122)를 따라 수평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작동실린더(165)의 로드(166)를 우측의 클램퍼바디(124)와 연결하지 않고 좌측의 클램퍼바디(124)와 연결하여 왕복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연동수단(170)은,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중앙에 연동체인기어(171)를 설치하고, 상기 연동체인기어(171)를 구성하는 우체인기어(172)에는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우측에 설치되는 우가이드체인기어(173)와 우측의 클램퍼바디(124)와 우체인(174)으로 연결한다.
상기 연동체인기어(171)를 구성하는 좌체인기어(175)에는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좌측에 설치되는 좌가이드체인기어(176)와 좌측의 클램퍼바디(124)와 좌체인(177)으로 연결하여 작동실린더(165)가 신장하면 양측의 클램퍼바디(124)가 벌어지고 수축하면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우체인(174)과 좌체인(177)의 경우에는 별도의 체인가이드를 구비하여 작동과정에서 구부러지는 현상을 없도록 하여도 될 것이나, 실제로는 작동실린더(165)가 신장할 때 클램퍼바디(124)를 벌어지게 할 때에는 큰 힘이 들지 않고 작동실린더(165)가 수축할 때에는 클램퍼바디(124)를 오므려 실제로 옹벽축조블록(B)를 견고하게 잡을 수 있게 힘을 쓰기 때문에 지장이 없게 된다.
상기 수직이동수단(180)은, 상판(112)의 상부 중앙에 수직실린더(18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실린더(181)의 로더(182)는 수평이동수단(160)의 상부플레이트(161)와 연결하여 수평이동수단(160)과 클램퍼(120)를 출고라인(105)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실린더(181)의 양측에는 상부플레이트(161)와 연결되는 수직가이드(183)와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을 배제하면서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110)에 의하여 옹벽축조블럭(B)이 수평상태에서 직립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형되어 양생과정을 거친 후 파레트에 안치되어 출고라인(105)으로 옹벽축조블록(B)이 이송되면서 직립장치(110) 위치에서 이송이 일시 정지된 후 직립장치(110)에 의하여 옹벽축조블록(B)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면 다시 출고라인(105)이 작동하여 수직으로 전환된 옹벽축조블럭(B)은 적재위치로 이송되고 파레트는 다시 성형파트(101)로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직립장치(1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양생기(104)에 출고라인(105)으로 이송되는 옹벽축조블록(B)이 직립장치(110)에 도달하여 일시 정지되면, 수직이동수단(180)을 구성하는 수직실린더(181)가 작동하여 수평이동수단(160)의 수평이동판(163)을 하강시킨다.
목적한 위치로 하강이 완료되면 수직이동수단(180)의 작동은 정지되고 수평이동수단(160)이 작동하여 클램퍼(120)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옹벽축조블록(B)의 양측면을 클램핑하고, 전환기(140)가 작동하여 수평상태의 옹벽축조블록(B)을 수직상태로 전환하고, 전환이 완료되면 수평이동수단(160)이 작동하여 클램퍼(120)을 양측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수직이동수단(180)이 작동하여 클램퍼(120)와 수평이동수단(160)을 상승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동작으로 완료된다.
상기 수평이동수단(16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부플레이트(161)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 작동실린더(165)가 초기에는 신장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와 연결된 클램퍼바디(124)는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에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165)가 작동하여 수축되면 우측의 클램퍼바디(124)를 중앙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에 설치되는 연동수단(170)이 작동하여 양측의 클램퍼바디(124)를 중앙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클램퍼바디(124)의 하단 내측에 장착된 클램퍼핑거(125)가 수평상태의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을 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수단(170)에 의하여 양측의 클램프바디(124)가 중앙으로 집중되고,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은, 작동실린더(165)가 수축하면 좌우측의 클램퍼바디(124)와 연동체인기어(171)의 우,좌체인기어(171,175)를 경유하여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양측에 장착된 우,좌가이드체인기어(173,176)와 우,좌체인(174,177)로 연결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동실린더(165)가 신장 및 수축하면 우,좌체인기어(171,175)가 정,역회전하게 되는 데, 수축하면 연동체인기어(171)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과 좌측의 클램핑바디(124)를 중앙으로 당기는 형태가 되고 이 때 작동실린더(165)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클램핑핑거(125)가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작동실린더(165)를 신장시키면 연동체인기어(171)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과 좌측의 클램핑바디(124)를 양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데, 이 때에는 옹벽축보블록(B)을 잡지 않고 단순 이동만하면 되므로 큰 힘이 필요치 않게 되어 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는 클램퍼바디(124)에 결합된 가이드블록(123)이 가이드바(122)와 결합되어 원활하게 움직이는 데 일조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퍼바디(125)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클램퍼핑거(125)의 내측에 장착된 스파이크(126)에 의하여 미끄러지는 현상 없이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을 견고하게 잡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이동수단(180)의 수직실린더(181)가 신장 상태에서 수축상태로 전환하여 클램퍼(120)와 수평이동장치(160)를 상승시켜 옹벽축조블록(B)을 출고라인(105)과 이격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클램퍼바디(125)의 외측에 장착되는 전환기(140)가 작동하여 수평상태의 옹벽축조블록(B)을 수직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즉, 전환실린더(145)가 작동하면 전환실린더(145)의 로드와 연결된 랙(142)이 전진하고, 상기 랙(142)과 맞물린 피니언(141)이 회전(90도)하게 되므로 옹벽축조블록(B)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클램퍼핑거(125)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클램퍼바디(124) 하단에 전환축(127)으로 유지되어 있고, 이 전환축(127)의 외측단에 피니언(141)을 장착하고 있으므로 90도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옹벽축보블록(B)이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되면 다시 수직이동수단(180)의 수직실린더(181)가 작동하여 클램퍼(120)와 수평이동수단(160)을 하강시켜 수직으로 전환된 옹벽축조블록(B)이 출고라인(105)에 안치되도록 한다.
그런 후에는 수직이동수단(180)과 수평이동수단(160) 및 전환기(140)가 작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동작 대기상태에 들어가고 직립된 옹벽축조블록(B)이 이동하면 다음 옹벽축조블록(B)을 수직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출고라인(105)을 통하여 직립되게 연속적으로 출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되고 양생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을 수직으로 전환함으로서 적재 및 운반과정에서 파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 않지 않아 동일한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 이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적재시 파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파레트를 수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고 파레트 파손으로 야기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생산라인 101; 성형파트
105; 출고라인 110; 직립장치
113; 장치프레임 120; 클램퍼
122; 가이드바 123; 가이드블록
124; 클램퍼바디 125; 클램퍼핑거
126; 스파이크 127; 전환축
140; 전환기 141; 피이언
142; 랙 145; 전환실린더
160; 수평이동수단 161; 상부플레이트
162; 하부플레이트 163; 수평이동판
165; 작동실린더 170; 연동수단
171; 연동체인기어 172; 우체인기어
174; 우체인 175; 좌체인기어
177; 좌체인 180; 수직이동수단
181; 수직실린더 182; 로더
183; 수직가이드

Claims (5)

  1. 원료를 몰드에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옹벽축조블록(B)을 만들어 파레트에 위치시키는 성형파트(101)와, 상기 성형파트(101)에 의하여 성형된 옹벽축조블록(B)은 이송기(102)에 의하여 엘리베이터(103)를 통하여 양생기(104)로 공급되고, 양생 완료된 옹벽축보블록(B)은 이송기(102)에 의하여 인출되어 엘리베이터(103)를 경유하여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어지는 옹벽축조블록(B)의 생산라인(100)에 적용되어 양생기(104)로부터 인출되어 출고되는 옹벽축조블록(B)을 눕혀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파레트 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출고라인(105)에 직립장치(110)를 더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직립장치(110)는, 출고라인(105)의 양측에 세워지는 지지다리(111)의 상측에 상판(112)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장치프레임(113)과;
    상기 장치프레임(113)을 구성하는 지지다리(111)의 상측부 내측에는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는 옹벽축조블록(B)을 견도하게 잡을 수 있게 설치하는 클램퍼(120)와;
    상기 클램퍼(120)에 설치하여 클램핑된 옹벽축조블록(B)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키는 전환기(140)와;
    상기 상판(1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수단(160)에 의하여 출고라인(105)의 폭방향으로 클램퍼(120)를 왕복시키는 수평이동수단(160)과;
    상기 상판(112)의 상부에 설치하여 클램퍼(120)와 수평이동수단(160)을 출고라인(105)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수직이동수단(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120)는, 수평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바유지구(121)에 유지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22)와;
    상기 가이드바(122)와 가이드블록(123)을 결합하여 하향 돌출시키는 클램퍼바디(124)와;
    상기 클램퍼바디(124)의 하단 내측에 수평상태로 출고라인(105)으로 공급되는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옹벽축조블록(B)의 측면과 같이 경사를 가지고 구비되는 클램핑핑거(125)와;
    상기 클램핑핑거(125)의 내측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파이크(126)와;
    상기 클램퍼바디(124)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클램핑핑거(125)를 연결하는 전환축(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140)는, 클램퍼바디(124) 하단부에 유지되는 전환축(127)의 외측단에 장착하는 피니언(141)과;
    상기 피니언(141)의 상측에 맞물리는 랙(142)과;
    상기 클램퍼바디(124)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환브라켓(143)에 장착되어 랙(142)과 연결하여 신장과 수축작동에 의하여 전환축(127)을 움직여 옹벽축조블록(B)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하는 전환실린더(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160)은, 상판(112)의 하방에 상부플레이트(16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61)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하부플레이트(162)로 구성되는 수평이동판(163)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61)의 저면 중앙에 장착하여 우측 클램퍼바디(124)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167)과 연결하여 우측 클램퍼바디(124)를 가이드바(122)를 따라 수평왕복시키는 작동실린더(16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과 양측의 클램퍼바디(124)에 설치하여 양측의 클램퍼바디(124)가 가이드바(122)를 따라 수평왕복할 수 있게하는 연동수단(170)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수단(170)은,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중앙에 설치하는 연동체인기어(171)와;
    상기 연동체인기어(171)를 구성하는 우체인기어(172)와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우측에 설치되는 우가이드체인기어(173) 및 우측 클램퍼바디(124)를 연결하는 우체인(174)과;
    상기 연동체인기어(171)를 구성하는 좌체인기어(175)와 하부플레이트(162)의 저면 좌측에 설치되는 좌가이드체인기어(176) 및 좌측 클램퍼바디(124)와 연결하는 좌체인(177)을 포함하여 작동실린더(165)가 신장하면 양측의 클램퍼바디(124)가 벌어지고 수축하면 오므려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수단(180)은, 상판(112)의 상부 중앙에 설치하는 수직실린더(181)와;
    수평이동수단(160)의 상부플레이트(161)와 연결하여 수평이동수단(160)과 클램퍼(120)를 출고라인(105)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수직실린더(181)의 로더(182)와;
    상기 수직실린더(18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부플레이트(161)와 연결되는 수직가이드(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KR1020200040978A 2020-04-03 2020-04-03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KR10238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978A KR102381329B1 (ko) 2020-04-03 2020-04-03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978A KR102381329B1 (ko) 2020-04-03 2020-04-03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613A true KR20210123613A (ko) 2021-10-14
KR102381329B1 KR102381329B1 (ko) 2022-03-30

Family

ID=7815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978A KR102381329B1 (ko) 2020-04-03 2020-04-03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260B1 (ko) *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N117162134A (zh) * 2023-11-03 2023-12-05 睢宁县泰宁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砌块生产搬运机械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82Y1 (ko) * 2004-05-06 2004-08-11 주식회사 씨엠 호안블록 제조장치
KR20100042497A (ko) * 2008-10-16 2010-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용 행거 장치
KR101598148B1 (ko) 2014-03-14 2016-02-26 이해원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180097729A (ko) 2016-01-11 2018-08-31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KR20190093309A (ko) * 2018-02-01 2019-08-09 권용주 고중량 콘크리트 성형물 틸팅 반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82Y1 (ko) * 2004-05-06 2004-08-11 주식회사 씨엠 호안블록 제조장치
KR20100042497A (ko) * 2008-10-16 2010-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용 행거 장치
KR101598148B1 (ko) 2014-03-14 2016-02-26 이해원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180097729A (ko) 2016-01-11 2018-08-31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액체 컨테이너용 배출 탭
KR20190093309A (ko) * 2018-02-01 2019-08-09 권용주 고중량 콘크리트 성형물 틸팅 반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260B1 (ko) *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N117162134A (zh) * 2023-11-03 2023-12-05 睢宁县泰宁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砌块生产搬运机械手
CN117162134B (zh) * 2023-11-03 2024-01-26 睢宁县泰宁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砌块生产搬运机械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329B1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329B1 (ko) 옹벽축조블록 직립장치
DE60109721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 und Ausladen von Artikeln in und von einem Behälter
KR101605534B1 (ko) 적층양생식 pc구조물 생산장치
CN109665329A (zh) 一种免托盘离线码垛装置
KR20160127966A (ko)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CN207537980U (zh) 用于修筑排洪沟的模板施工机械
CN107780386A (zh) 用于修筑排洪沟的模板施工机械及其使用方法
CN213382182U (zh) 一种环形全自动生产线运输平台
CN213087436U (zh) 一种建筑用混凝土浇灌用固定夹板
CN107379236B (zh) 一种立式一次成型隔墙板生产线
CN113319998A (zh) 一种预制叠合板生产系统
CN112919077A (zh) 一种清理托盘的方法及托盘清理设备
JPS58501026A (ja) コンクリ−ト製品および類似物を成形する装置
CN117485792B (zh) 一种用于智慧梁场的钢材储存装置
JP2613516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養生室設備
ITMO20060356A1 (it) Cassone per trasporto e magazzino di apparecchiature elettriche od elettroniche da demolire
CN110878632A (zh) 装配式钢管混凝土机器人联合作业系统
KR101360946B1 (ko) 중량물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방법
CN219773553U (zh) 料仓作业平台
KR20110009317U (ko) 옹벽 블록 제조용 거푸집
CN211168972U (zh) 一种煤矿机电运输传动连接装置
CN109353829A (zh) 一种码垛设备
CN217971299U (zh) 一种多功能模板下料平台
CN217610135U (zh) 一种工程进度管理装置
CN214364998U (zh) 一种便于混凝土生产用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