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682A - 연소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682A
KR20180097682A KR1020187020950A KR20187020950A KR20180097682A KR 20180097682 A KR20180097682 A KR 20180097682A KR 1020187020950 A KR1020187020950 A KR 1020187020950A KR 20187020950 A KR20187020950 A KR 20187020950A KR 20180097682 A KR20180097682 A KR 20180097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late
flange portion
burn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190B1 (ko
Inventor
다카히로 오노
다카시 오지로
히데오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8Cooling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23D14/145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combustion being stabilised at a screen or a perforated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23D14/36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in which the compressor and burner form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01Sealing or support of burner plate bo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27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0Technologies for a more efficient combustion or heat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 Burners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버너 몸체(11)와 금속판제의 연소판(12)을 가지는 버너와, 버너 몸체의 둘레 가장자리의 몸체 플랜지부(112)에 체결되는 접합 플랜지부(22)를 가지는 연소 하우징을 구비하는 연소 장치로서, 연소 하우징에 그 냉각수단으로서 수로(51, 52)가 설치되고, 더욱이, 연소판 둘레 가장자리의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연소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과 중첩되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연소판 플랜지부에 대한 단열재의 위치 정밀도 및 단열재용의 고정판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또한, 고정판의 부착 비용도 저감시키도록 한다.
(해결 수단)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단열재용의 고정판(9)이 부착된다. 고정판(9)에, 단열재(81, 82)를 고정판(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누르는 누름 발톱(921, 922)이 설치된다. 그리고, 누름 발톱(921, 922)에 접촉하도록 수로(51, 52)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연소 장치
본 발명은, 내부에 혼합기가 공급되는 버너 몸체와, 버너 몸체의 개방면을 덮는, 혼합기 분출부를 가지는 금속판제의 연소판으로 이루어지는 버너와, 버너 몸체의 개방면을 둘러싸는 몸체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일단이 접합 플랜지부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기를 수납한 연소 하우징을 구비하는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연소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의해, 연소 하우징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버너와 열교환기와의 사이의 연소 하우징의 부분에 연소 하우징을 냉각하는 냉각 수단으로서 열교환기에 직렬로 접속시킨 수로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이것에서는, 연소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연소판 플랜지부와 몸체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패킹을 개재시켜, 연소판 플랜지부와 몸체 플랜지부와의 사이의 밀봉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버너 연소시, 연소판 플랜지부의 연소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에는 상당한 열량이 전달된다. 그리고, 연소판 플랜지부가 과열되면, 연소판 플랜지부로부터의 열전달로 버너 몸체의 온도가 상당히 높아져 버린다. 그 결과, 버너 몸체의 부속품, 예를 들면, 버너 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에 열에 의한 악영향이 미치게 된다.
때문에, 특허문헌 1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연소 하우징(2)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과 중첩되는 단열재(8)를 설치하여,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것에서는, 버너와 열교환기와의 사이의 연소 하우징(2)의 부분에 설치한 수로(5)에 단열재용 고정판(9)을 부착시키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에서는, 몸체 플랜지부(112)와 연소판 플랜지부(122)와의 사이에 제1 패킹(71)을 개재시키는 동시에, 연소판 플랜지부(122)와 접합 플랜지부(22)와의 사이에 제2 패킹(72)을 개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연소 하우징(2)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에 제2 패킹(72)을 끼워둔 상태로 단열재(8)를 중첩시키고 있다.
여기서, 수로(5)에 단열재용 고정판(9)을 부착시키는 것은, 고정판(9)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수로(5)는 중공이기 때문에, 고정판(9)을 수로(5)에 스폿 용접이 아니라 번거롭게 납땜으로 부착시킬 수밖에 없다. 그 결과, 고정판(9)의 부착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더욱이, 단열재(8)가 고정판(9) 및 수로(5)를 통하여 연소 하우징(2)에 고정되게 된다. 그 때문에, 버너를 연소 하우징(2)에 조립할 때에,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대한 단열재(8)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켜, 단열 효과가 불균일해지기 쉽다.
특허문헌 1: 유럽 특허출원공개 제2811141호 명세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연소판 플랜지부에 대한 단열재의 위치 정밀도 및 단열재용 고정판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또한, 고정판의 부착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혼합기가 공급되는 버너 몸체와, 버너 몸체의 개방면을 덮는, 혼합기 분출부를 가지는 금속판제의 연소판으로 이루어지는 버너와, 버너 몸체의 개방면을 둘러싸는 몸체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일단이 접합 플랜지부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기를 수납한 연소 하우징을 구비하는 연소 장치로서, 연소 하우징의 버너와 열교환기와의 사이의 부분에, 연소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으로서, 열교환기에 직렬로 접속되는 수로가 설치되고, 더욱이, 연소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연소판 플랜지부와 몸체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패킹이 개재되는 동시에, 연소판 플랜지부의 연소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과 중첩되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연소판 플랜지부에 단열재용 고정판이 부착되고, 고정판에, 단열재를 고정판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누르는 누름 발톱이 설치되고, 누름 발톱에 접촉하도록 수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재용 고정판을 연소판 플랜지부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연소판 플랜지부에 대한 단열재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판 플랜지부의 단열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 고정판을 부착시키는 것은, 종래와 같은 중공의 수로가 아니기 때문에, 고정판의 부착을 납땜에 비해 현저하게 간편한 스폿 용접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의 부착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고정판은, 단열재로 덮이기 때문에, 고정판의 과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발톱은, 단열재로 덮이지 않지만, 수로가 누름 발톱과 접촉하기 때문에, 수로로의 열전달로 누름 발톱의 과열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수로의 누름 발톱 측의 외부면은 평면부를 가지며, 이 평면부가 누름 발톱에 면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누름 발톱으로부터 수로에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여, 누름 발톱의 과열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과는 반대쪽에서 본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5의 (a)는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다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6의 (a)는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연소판의 단열재를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연소판의 단열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예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는, 내부에 혼합기(연료 가스와 일차 공기와의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버너 몸체(11)와, 버너 몸체(11)의 아래로 향한 개방면(111)을 덮는 금속판제의 연소판(12)으로 이루어지는 버너(1)와, 버너 몸체(11)의 개방면(111)을 둘러싸는 몸체 플랜지부(112)에 나사(21)로 체결되는 상단의 접합 플랜지부(22)를 가지는 연소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연소 하우징(2)의 내부에는, 급탕용의 열교환기(3)가 수납되어 있다.
버너 몸체(11)에는, 혼합기를 공급하는 팬(4)이 접속되는 유입구(113)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113)에는, 팬(4)의 정지시에 버너 몸체(11) 내에 잔류하는 혼합기가 팬(4)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는 체크 밸브(13)가 장착되어 있다. 체크 밸브(13)는, 유입구(113)에 끼워지는 수지제의 밸브 하우징(131)과, 버너 몸체(11) 내를 향하는 밸브 하우징(131)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수지제의 밸브판(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판(12)은, 중앙부에 큰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이 개구부에 내열섬유의 직물(121a)을 장착함과 함께 그 위에 다수의 분포구멍을 형성한 분포판(121b)을 중첩시키고, 직물(121a)과 분포판(121b)에 의해 혼합기 분출부(121)를 구성하고 있다. 팬(4)으로부터 버너 몸체(11) 내에 공급된 혼합기는 혼합기 분출부(121)로부터 분출하여 전부 일차연소(全一次燃燒)한다. 또, 큰 개구부를 가지지 않는 연소판에 다수의 화염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화염구멍으로 혼합기 분출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교환기(3)는, 다수의 핀(31)과 이들 핀(31)을 관통하는 복수의 흡열관(32)을 구비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 하우징(2)의 횡방향 일측과 타측의 측판(23, 24)의 외부면에는, 이웃하는 2개의 흡열관(32, 32)의 접속로를 각 측판(23, 24)과의 사이에서 구획형성하는 접속덮개(33)가 복수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접속로에 의해, 모든 흡열관(32)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 하류 끝의 흡열관(32)에 접속되는 접속로를 횡방향 일측의 측판(23)과의 사이에서 구획형성하는 접속덮개(33)에는 물 입구(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 하우징(2)의 버너(1)와 열교환기(3) 사이의 부분에는, 연소 하우징(2)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으로서, 열교환기(3)에 직렬로 접속되는 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소 하우징(2)의 뒤쪽의 측판(25)의 열교환기(3)보다 위쪽 부분의 내측에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3개의 제1 수로(51)가 측판(25)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연소 하우징(2)의 앞쪽의 측판(26)의 열교환기(3)보다 위쪽 부분의 내측에도, 관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3개의 제3 수로(53)가 측판(26)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연소 하우징(2)의 횡방향 타측의 측판(24)의 외부면에는, 상하 3개의 제1 수로(51)와 연교환기(3)의 하류측의 흡열관(32)과의 접속로를 측판(24)과의 사이에서 구획형성하는 유입측 헤더 덮개(51)와, 상하 3개의 제3 수로(53)의 접속로를 측판(24)과의 사이에서 구획형성하는 유출측 헤더 덮개(52)가 부착되어 있다. 유출측 헤더 덮개(52)에는 온수 출구(53)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연소 하우징(2)의 횡방향 일측의 측판(23)에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의 상하 3개의 제1 수로(51)와 앞쪽의 상하 3개의 제3 수로(53)를 접속하는 상하 3개의 제2 수로(5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수로(52)는, 측판(23)에 형성한 횡방향 내측으로의 함몰부(52)와 이 함몰부(52)를 덮도록 측판(24)의 외부면에 부착된 덮개(5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 입구(34)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열교환기(3)에서 가열되고, 가열된 물이 유입측 헤더 덮개(51) 내의 접속로와 제1 수로(51)와 제2 수로(52)와 제3 수로(53)와 유출측 헤더 덮개(52) 내의 접속로를 통하여 온수 출구(53)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소 하우징(2)의 횡방향 타측의 측판(24)에는, 유출측 헤더 덮개(52) 내의 접속로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판(23)에 형성된 횡방향 안쪽으로의 함몰부(54)와 이 함몰부(54)를 덮는 유출측 헤더 덮개(52)에 일체의 덮개(54a)로 구성되는 제4 수로(5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내지 제4 수로(51 ~ 54)에서 유동하는 물에 의해 연소 하우징(2)의 각 측판(23 ~ 26)이 냉각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소 하우징(2)의 앞쪽 측판(26)에는, 위쪽으로부터 1번째와 2번째의 2개의 제3 수로(53, 53) 사이의 측판부분을 관통하여 연소 하우징(2) 내로 돌출하는 점화전극(61)과 접지전극(62)과 플레임 로드(63)를 가지는 전극부품(6)이 장착되어 있다. 또, 전극부품(6)에는, 연소 하우징(2) 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관찰 창(64)이 부설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판(1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혼합기 분출부(121)에 대해 위쪽으로 오프셋되는 연소판 플랜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소판 플랜지부(122)와 몸체 플랜지부(112)와의 사이에 패킹(7)을 개재시켜, 연소판 플랜지부(122)와 몸체 플랜지부(112)와의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외주 가장자리는, 몸체 플랜지부(112)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더욱이, 접합 플랜지부(22)는,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a)를 가지며, 패킹(7)도,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접합 플랜지부(22)의 연장부(22a)와 몸체 플랜지부(112)와의 사이에 패킹(7)의 연장부(7a)를 개재시켜, 접합 플랜지부(22)와 몸체 플랜지부(112)와의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접합 플랜지부(22)의 내주 가장자리는,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내주 가장자리와 외주 가장자리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접합 플랜지부(22)의 내주 가장자리보다 외측의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부분에 접합 플랜지부(22)를 직접 접촉시키고 있다.
그런데, 버너 몸체(11) 내의 혼합기 유량이 적은 약연소시에는, 혼합기에 의한 냉각 작용이 저감하여 버너 몸체(11)에 열이 모이기 쉬워진다. 또, 금속판제의 연소판(12)은, 연소시에 상당히 고온이 된다. 그 때문에, 연소판(12)의 열이 버너 몸체(11)에 전달되면, 버너 몸체(11)의 온도가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버너 몸체(11)의 부속품인 체크 밸브(13)에 열에 의한 악영향이 미치게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접합 플랜지부(22)를 직접 접촉시키면, 수로(51 ~ 54)에 의한 냉열이 접합 플랜지부(22)를 통하여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전달되고, 연소판(12)으로부터 버너 몸체(11)로의 열전달을 어느 정도는 억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합 플랜지부(22)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부분, 즉,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연소 하우징(2)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에의 입열량이 많아지면,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과열로 버너 몸체(11)의 온도 상승을 충분히 억제시킬 수는 없게 된다.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연소 하우징(2)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과 중첩되는 단열재를 설치하여,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이 점에 관하여,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소판(12)의 윤곽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열재로서, 연소판(12)의 전후 각 변(장변)을 따른 연소판 플랜지부(1222)의 부분(122a)과 중첩되는 띠 형상의 제1 단열재(81)와, 연소판(12)의 횡방향 양측의 각 변(단변)을 따른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부분(122b)과 중첩되는 띠 형상의 제2 단열재(8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단열재를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외주전체에 걸쳐 액자 형상의 일체물(一體物)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단열재를 그 소재로부터 액자 형상으로 꿰뚫을 필요가 있어, 잘라낸 부분이 다량 발생하여 재료비가 비싸진다. 이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열재를 띠 형상의 제1 및 제2 단열재(81, 82)로 구성하면, 소재의 잘려나가는 부분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판(12)의 전후 각 변을 따른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부분(122a)에, 제1 단열재(81)를 고정하는 띠 형상의 고정판(9)을 부착시키고 있다. 고정판(9)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1 단열재(81)의 외측 가장자리에 맞닿는 제1 굴곡 가장자리부(911)와, 제1 단열재(81)를 고정판(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누르는, 제1 굴곡 가장자리부(911)로부터 연장되는 혀 형상의 복수의 제1 누름 발톱(9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굴곡 가장자리부(911)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제1 단열재(81)의 길이방향 단면에 맞닿는 굴곡부(93)가 굽힘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판(9)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에는, 제2 단열재(82)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맞닿는 제2 굴곡 가장자리부(912)와, 제2 단열재(82)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를 고정판(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누르는, 제2 굴곡 가장자리부(912)로부터 연장되는 혀 형상의 제2 누름 발톱(922)과, 제2 단열재(82)의 길이방향 단면에 맞닿는 굴곡부(94)가 설치되어 있다. 각 누름 발톱(921, 922)은, 고정판(9)에 제1 및 제2 각 단열재(81, 82)를 세팅한 후에 절곡되어, 각 단열재(81, 82)를 누른다.
여기서, 고정판(9)을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외주전체에 걸쳐 액자 형상의 일체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고정판을 그 소재로부터 액자 형상으로 꿰뚫을 필요가 있어, 잘라낸 부분이 다량 발생하여 재료비가 비싸진다. 이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판(9)을 띠 형상으로 하고, 또한, 제2 단열재(82) 전용의 고정판을 생략함으로써, 고정판(9)의 재료비를 가급적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을 도모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그런데, 단열재용 고정판을 수로(51 ~ 54)에 부착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고정판을 수로(51 ~ 54)에 번거롭게 납땜으로 부착시킬 수밖에 없어, 고정판의 부착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더욱이, 단열재가 고정판 및 수로(51 ~ 54)를 통하여 연소 하우징(2)에 고정되게 된다. 그 결과, 버너(1)를 연소 하우징(2)에 조립할 때에,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대한 단열재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켜, 단열 효과가 불균일해지기 쉽다.
이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열재용 고정판(9)을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대한 단열재(81, 82)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단열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 고정판(9)의 부착을 납땜에 비해 현저하게 간편한 스폿 용접으로 행할 수 있어, 고정판(9)의 부착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판(9)의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 구멍(95)을 형성하고, 이 위치결정 구멍(95)에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형성된 볼록부(123)를 끼워맞추고, 고정판(9)을 연소판 플랜지부(122)에 대해 위치결정하고 있다. 더욱이, 굴곡 가장자리부(911, 912)에 연소 하우징(2)의 내벽면에 맞닿음 또는 근접 대향하는 위치결정용의 돌기부(96)를 설치하고, 연소판(12)에 대한 연소 하우징(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연소 하우징(2)에 부착시킨 전극부품(6)의 연소판(12)에 대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고정판(9)의 대부분은, 단열재(81, 82)로 덮이기 때문에,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누름 발톱(921, 922)은, 단열재(81, 82)로 덮이지 않기 때문에, 과열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명시되는 바와 같이, 연소판(12)의 뒤쪽 변을 따른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부분(122a)에 부착된 고정판(9)에 설치되는 제1 누름 발톱(921)에, 연소 하우징(2)의 뒤쪽 측판(25)에 설치되는 제1 수로(51) 중 최상위의 것을 접촉시키고, 더욱이, 연소판(12)의 앞쪽 변을 따른 연소판 플랜지부(122)의 부분(122a)에 부착시킨 고정판(9)에 설치되는 제1 누름 발톱(921)에, 연소 하우징(2)의 앞쪽 측판(26)에 설치되는 제3 수로(53) 중 최상위의 것을 접촉시키고 있다(도 4 참조). 또, 각 고정판(9)의 횡방향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누름 발톱(922)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하우징(2)의 횡방향 일측의 측판(23)에 설치되는 제2 수로(52) 중 최상위의 것을 접촉시키고, 더욱이, 각 고정판(9)의 횡방향 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누름 발톱(922)에, 연소 하우징(2)의 횡방향 타측의 측판(24)에 설치되는 제4 수로(54)를 접촉시키고 있다(도 3 참조). 이것에 의하면, 각 누름 발톱(921, 922)에 접촉하는 각 수로(51 ~ 54)로의 열전달로, 각 누름 발톱(921, 922)의 과열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수로(51 ~ 54)의 각 누름 발톱(921, 922) 측의 외부면, 즉, 상부면은 평면부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제1 및 제3 수로(51, 53)를 구성하는 관의 상부면에 평면부를 설치하고, 또한, 각각의 제2 및 제4 수로(52, 54)를 구성하는 각 측판(23, 24)의 함몰부(52a, 54a)의 상부면에 평면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평면부가 각 누름 발톱(921, 922)에 면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누름 발톱(921, 922)으로부터 각 수로(51 ~ 54)에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여, 각 누름 발톱(921, 922)의 과열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소 하우징(2)에 급탕용의 열교환기(3)를 수납하고 있지만, 난방용 등의 급탕 이외의 용도의 열교환기를 연소 하우징(2)에 수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버너 몸체(11)에 아래로 향한 개방면(111)을 형성하고 있지만, 개방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버너를 배치하는 연소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버너, 11…버너 몸체, 111…개방면, 112…몸체 플랜지부, 12…연소판, 121…혼합기 분출부, 122…연소판 플랜지부, 2…연소 하우징, 22…접합 플랜지부, 3…열교환기, 51 ~ 54…수로, 7…패킹, 81, 82…단열재, 9…고정판, 921, 922…누름 발톱.

Claims (2)

  1. 내부에 혼합기가 공급되는 버너 몸체와, 버너 몸체의 개방면을 덮는, 혼합기 분출부를 가지는 금속판제의 연소판으로 이루어지는 버너와, 버너 몸체의 개방면을 둘러싸는 몸체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일단이 접합 플랜지부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기를 수납한 연소 하우징을 구비하는 연소 장치로서,
    연소 하우징의 버너와 열교환기와의 사이의 부분에, 연소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으로서, 열교환기에 직렬로 접속되는 수로가 설치되고, 더욱이, 연소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연소판 플랜지부와 몸체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패킹이 개재되는 동시에, 연소판 플랜지부의 연소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과 중첩되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연소판 플랜지부에 단열재용 고정판이 부착되고, 고정판에, 단열재를 고정판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누르는 누름 발톱이 설치되고, 누름 발톱에 접촉하도록 수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상기 누름 발톱 측의 외부면은 평면부를 가지며, 이 평면부가 누름 발톱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KR1020187020950A 2015-12-22 2016-10-03 연소 장치 KR102514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0450A JP6538545B2 (ja) 2015-12-22 2015-12-22 燃焼装置
JPJP-P-2015-250450 2015-12-22
PCT/JP2016/004448 WO2017110019A1 (ja) 2015-12-22 2016-10-03 燃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682A true KR20180097682A (ko) 2018-08-31
KR102514190B1 KR102514190B1 (ko) 2023-03-27

Family

ID=5908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50A KR102514190B1 (ko) 2015-12-22 2016-10-03 연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2776B2 (ko)
JP (1) JP6538545B2 (ko)
KR (1) KR102514190B1 (ko)
CN (1) CN108369001B (ko)
WO (1) WO20171100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55A (ko) * 2020-04-29 2021-1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단열재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US11585572B2 (en) 2018-06-05 2023-02-21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and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US11835262B2 (en) 2018-06-05 2023-12-05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4772B2 (ja) * 2017-05-22 2021-02-24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JP6875951B2 (ja) * 2017-07-31 2021-05-26 リンナイ株式会社 バーナ
JP7032120B2 (ja) * 2017-12-19 2022-03-08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JP6985919B2 (ja) * 2017-12-19 2021-12-22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JP7167501B2 (ja) * 2018-06-26 2022-11-09 株式会社ノーリツ 熱交換器および温水装置
WO2020170955A1 (ja) * 2019-02-21 2020-08-27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KR102546285B1 (ko) * 2019-12-30 2023-06-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유닛
JP7359739B2 (ja) 2020-05-08 2023-10-11 リンナイ株式会社 全一次燃焼式バーナ
JP2021179277A (ja) 2020-05-13 2021-11-18 リンナイ株式会社 全一次燃焼式バーナ
JP7464270B2 (ja) 2020-06-23 2024-04-09 株式会社パロマ 給湯器
KR102531836B1 (ko) 2020-07-27 2023-05-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로캡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실 조립체
US11953231B2 (en) * 2022-07-01 2024-04-09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Hea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8757U (ko) * 1987-04-24 1988-11-02
JPH09280549A (ja) * 1996-04-12 1997-10-31 Miura Co Ltd 熱機器
JP2811141B2 (ja) 1993-03-22 1998-10-15 南亜塑膠工業股▲ひん▼有限公司 ビーフンの製造方法
JP2008075901A (ja) * 2006-09-19 2008-04-03 Noritz Corp 温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757U (ko) 1986-04-16 1987-10-26
JP5479962B2 (ja) 2010-03-17 2014-04-23 リンナイ株式会社 ボイラ用プレート式バーナ
JP5771519B2 (ja) * 2011-12-26 2015-09-02 リンナイ株式会社 潜熱熱交換器、及び給湯装置
KR101393315B1 (ko) * 2012-01-30 2014-05-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냉각라인이 형성되는 잠열 열교환기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8757U (ko) * 1987-04-24 1988-11-02
JP2811141B2 (ja) 1993-03-22 1998-10-15 南亜塑膠工業股▲ひん▼有限公司 ビーフンの製造方法
JPH09280549A (ja) * 1996-04-12 1997-10-31 Miura Co Ltd 熱機器
JP2008075901A (ja) * 2006-09-19 2008-04-03 Noritz Corp 温水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5572B2 (en) 2018-06-05 2023-02-21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and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US11835262B2 (en) 2018-06-05 2023-12-05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US11835261B2 (en) 2018-06-05 2023-12-05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US11879666B2 (en) 2018-06-05 2024-01-23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KR20210133455A (ko) * 2020-04-29 2021-1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단열재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9001B (zh) 2019-08-20
JP2017116160A (ja) 2017-06-29
US20180372311A1 (en) 2018-12-27
KR102514190B1 (ko) 2023-03-27
JP6538545B2 (ja) 2019-07-03
US10612776B2 (en) 2020-04-07
WO2017110019A1 (ja) 2017-06-29
CN108369001A (zh)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682A (ko) 연소 장치
KR102514853B1 (ko) 연소 장치
CN109931691B (zh) 燃烧装置
KR102448142B1 (ko) 전1차 연소식 버너
US8015950B2 (en) Single can-type composite heat source machine
CN107461922B (zh) 热源机
CN109931692B (zh) 燃烧装置
KR20180073614A (ko) 연소 장치
KR20210139148A (ko) 전1차 연소식 버너
KR102298977B1 (ko) 열원기
KR20180097728A (ko) 연소 장치
JP6593584B2 (ja) バー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湯装置
CN107543200B (zh) 气体供给用歧管和具有该气体供给用歧管的气体燃烧装置
JP6834529B2 (ja)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湯装置
KR102318280B1 (ko) 열원기
JP6812782B2 (ja)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湯装置
KR101717093B1 (ko) 열교환기
US20240027063A1 (en) Combustion apparatus
JP2022134717A (ja) 燃焼装置
JP2020085293A (ja) 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