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415A -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415A
KR20180097415A KR1020170024407A KR20170024407A KR20180097415A KR 20180097415 A KR20180097415 A KR 20180097415A KR 1020170024407 A KR1020170024407 A KR 1020170024407A KR 20170024407 A KR20170024407 A KR 20170024407A KR 20180097415 A KR20180097415 A KR 2018009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ndow
optical laminate
optical
laminat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065B1 (ko
Inventor
장소은
김고은
김동휘
임거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65B1/ko
Priority to TW107105766A priority patent/TWI704476B/zh
Priority to PCT/KR2018/002223 priority patent/WO2018155940A1/ko
Priority to JP2019546022A priority patent/JP2020512575A/ja
Priority to CN201880013103.8A priority patent/CN110325885A/zh
Publication of KR2018009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415A/ko
Priority to US16/547,864 priority patent/US2019038397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및 윈도우의 어느 일면 상에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광학 적층체는 향상된 유연성 및 기계적 신뢰성을 가지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OPTICAL STACK STRUCTURE INTEGRATED WITH POLARIZER AN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 플라즈마 표시(plasma display panel: PDP) 장치 및 전계 방출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FED) device) 장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LCD 패널 및 OLED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 상부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며,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상기 윈도우 기판으로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는 편광판, 터치 스크린 패널과 같은 표시 장치의 추가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의 전극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외광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사용자의 명령을 화면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기 편광판, 터치 스크린 패널, 윈도우 기판 등의 복수의 층들 또는 구조물들이 적층됨에 따라, 플렉시블 특성 향상, 박형화와 같은 최근의 표시 장치에서의 요구 사항들이 충분히 구현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층들 또는 구조물들이 적층됨에 따라, 기계적 강도 및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충분한 유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6026호에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투명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6026호(2012.07.09)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기계적 신뢰성 및 플렉시블 특성이 향상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기계적 신뢰성 및 플렉시블 특성이 향상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어느 일면 상에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일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타면은 시인측으로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
3. 위 1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수학식 1]
300 MPa% ≤ 수정 인성
(수학식 1 중, 수정 인성은 윈도우 적층체의 응력-변형도 커브(stress-strain curve)의 파괴점에서 응력(Mpa)과 변형도(%)의 곱임).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인성은 400 MPa% 이상인, 광학 적층체.
5. 위 3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인성은 1,000 MPa% 이하인, 광학 적층체.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재질의 광학 기재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광학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하드코팅 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8. 위 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광학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기능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9. 위 8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자외선 차단층, 비산 방지층 또는 지문 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의 외곽부 상에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1. 위 10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편광층 또는 상기 터치 센서층과 동일 레벨에 위치하는, 광학 적층체.
12.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수정 인성은 10,000 Mpa% 이상인, 광학 적층체.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380nm 자외선 파장에 대하여 15%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 광학 적층체.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1kg 하중에서 3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갖는, 광학 적층체.
15.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마르텐스 경도는 10mN 하중에서 200N/mm2 이상인, 광학 적층체.
16.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수학식 2]
(마찰계수/수접촉각)*1,000 ≤2.5/degree(o)
17.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연신형 또는 코팅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8. 위 17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상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9. 위 18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0. 위 19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편광자의 양 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상기 위상차 필름인, 광학 적층체.
21. 위 17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2. 위 21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윈도우와 접촉하는, 광학 적층체.
23. 위 21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4. 위 21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상기 액정층 상에 오버 코트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5.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편광도는 42% 이상인, 광학 적층체.
26.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광투과율은 95% 이상인, 광학 적층체.
27.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수축력은 1.5N 이하인, 광학 적층체.
28.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전극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9. 위 28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기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기재 상면에 형성된, 광학 적층체.
30. 위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윈도우 또는 상기 편광층 상에 직접 형성된, 광학 적층체.
31. 위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32. 위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편광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편광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
33. 위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500 Ω/□이하의 면저항을 갖는, 광학 적층체.
34. 위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1.5nm 이하의 표면조도를 갖는, 광학 적층체.
35. 위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굴절률은 1.3 내지 2.5인, 광학 적층체.
36.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의 광 투과율은 85% 이상인, 광학 적층체.
37.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광학 적층체.
38.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 및 상기 편광층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광학 적층체.
39.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편광층 사이,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센서층 사이 또는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점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40. 위 1 내지 39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층이 일체로 결합되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각 층의 기계적 물성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파단, 크랙 등의 발생이 억제되며 바람직한 유연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용이하게 고신뢰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학 적층체는 특정 수치 이상의 파괴점에서의 응력과 변형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수정 인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굽힘, 폴딩 등의 동작의 반복 시에도 층간 박리, 크랙, 찢김 등의 불량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 층이 일체화됨에 따라 박형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8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층의 전극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수정 인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어느 일면 상에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가 제공된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이 일체화되며, 예를 들면, 특정 문턱 값 이상의 수정 인성을 가지며 향상된 유연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광학 적층체>
도 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표시 장치의 윈도의 적층체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100), 및 윈도우(100)의 일 면 상에 배치된 편광층(110) 및 터치 센서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윈도우 필름 또는 광학 기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기재는 예를 들면, LCD 장치, OLED 장치, 터치 스크린 패널(TSP) 등에 적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기재는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분자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광학 적층체가 적용된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 기재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일면(100b) 및 타면(100a)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면(100b) 및 타면(100a)은 각각 윈도우(100)의 상면 및 하면에 해당될 수 있다.
윈도우(100)의 타면(100a)은 상기 광학 적층체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100)의 타면(100a) 측으로 사용자에게 화상이 구현되며, 사용자의 명령(예를 들면, 터치를 통해)이 입력될 수 있다. 윈도우(100)의 일면(100b)은 예를 들면 표시 패널과 대향하며, 일면(100b) 상으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추가 막들 및/또는 구조물들이 적층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00)의 일면(100b) 상에 편광층(110)이 배치되며, 편광층(110) 상에 터치 센서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110)은 연신형 또는 코팅형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110) 상에는 터치 센서층(130)이 접합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30)은 윈도우(100)의 타면(100a)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극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30)의 보다 상세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후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층(110) 및 윈도우(100) 사이, 또는 터치 센서층(130) 및 편광층(11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점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되는 용어 "점접착층"은 점착층 및 접착층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점접착층은 감압성 점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조성물 또는 광학 투명 점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층(110) 및 윈도우(100) 사이에 제1 점접착층(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접착층(120a)을 윈도우(100)의 일면(100b) 상에 형성한 후, 편광층(110)을 제1 점접착층(120a)을 통해 윈도우(100)와 접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층(110) 상에 제1 점접착층(120a)을 형성한 후, 윈도우(100)와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층(130)은 제2 점접착층(120b)을 통해 편광층(110)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점접착층은 상기 광학 적층체에 굴곡 발생시 박리, 기포 등이 초래되지 않도록 적절한 점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가능한 점탄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술한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점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 계열 PSA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SA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가교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상용되는 것 중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교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디알데히드류, 메틸올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수지 조성물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톡시 알코올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등), 아세테이트계(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톡시 아세테이트 등), 셀로솔브계(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프로필 셀로솔브 등), 탄화수소계(노말 헥산, 노말 헵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의 용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윈도우(100)는 하드코팅 층(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100)는 상술한 광학 기재(102) 및 하드코팅 층(104)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기재(102)는 일면(102b) 및 타면(102a)을 포함하며, 하드 코팅층(104)은 광학 기재(102)의 타면(102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시인측으로 하드 코팅층(104)의 표면이 노출될 수도 있다. 편광층(110) 및 터치 센서층(130)은 광학 기재(102)의 일면(102b)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104)은 광경화성 화합물,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윈도우(100)의 우수한 유연성, 내마모성, 표면 경도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실록산 계열 화합물, 아크릴레이트 계열 화합물, (메타)아크릴로일기를 또는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계열 화합물의 예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계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계열 화합물은 글리시딜기와 같은 에폭시기를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조사에 의해 에폭시 개환을 통한 가교 또는 경화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계열 화합물의 예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옥시에틸렌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N-비닐 화합물, 비닐-치환 방향족화물, 비닐 에테르 및 비닐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예를 들면,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또는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이온, 루이스 산 또는 라디칼을 발생시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광 개시제의 예로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아세트페논류 화합물, 벤조인류 화합물, 벤조페논류 화합물, 티옥산톤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PSA 조성물에서 사용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약 380nm 이하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족사지논(benzoxazinone)계 화합물,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또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드 코팅층(104)에 의해 자외선 투과율이 감소되어 상기 광학 적층체의 광학 특성, 가시광선 투과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00)로서 광학 기재(102)의 단일 층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하드 코팅층(104) 및 광학 기재(102)의 복층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윈도우(100)는 광학 기재(102)의 일면(102b) 상에 형성된 추가적인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윈도우(100)는 제1 하드 코팅층-기재 필름-제2 하드 코팅층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윈도우(100)는 자외선 차단층, 비산 방지층, 지문 방지층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적어도 1종의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기재(100)의 타면(102a) 상에 도 2a에 도시된 하드 코팅층(104) 및 기능층(104a)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층은 코팅형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층은 액정층(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액정층(110a)은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윈도우(100)의 일면(100b) 상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층(110a)은 윈도우(1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코팅용 조성물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 RM), 및 중합가능 말단관능기를 포함하며 열 또는 광에 의한 가교반응 후 액정상을 갖는 단량체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광 또는 열의 의해 의해 중합되면 액정 배열이 유지되면서 고분자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활용함으로써 액정의 광학 이방성이나 유전율 특성이 유지되면서 기계적,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 박막 형태의 편광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액정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분자의 장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갖는다. 상기 이색성 염료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 및 상기 이색성 염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를 더 포함하며,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메틸에틸케톤(MEK), 자일렌 및 클로로포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 코팅용 조성물은 코팅막의 편광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레벨링제, 중합 개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편광층(110)은 액정층(110a) 및 배향막(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층(110a)은 배향막(11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100) 상에 배향성 고분자,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배향막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상기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상기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배향막(110b) 및 액정층(110a)을 포함하는 편광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향성 고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믹산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신나메이트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편광층(110)은 오버코트 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버 코트층(111)은 액정층(110a)의 상면에 형성되며, 배향막(110b)과 마주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 코트층(111) 상에 보호 필름(113)이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층(110)은 배향막-액정층-오버코트 층-보호 필름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며,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내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오버코트 층(111)은 실질적으로 보호 필름(113) 접합을 위한 점접착층으로 함께 기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코트 층(111) 및 보호 필름(113) 사이에 점접착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113)은 광학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기능층의 예로서 위상차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액정층 (110a)를 통과한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기능층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 연신 수지 필름, 액정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면, λ/4 필름 및 λ/2 필름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113)은 상에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층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층(110)은 연신형 편광자(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층(110)은 제1 보호필름(112) 및 연신형 편광자(114)를 포함하며, 편광층(110)은 실질적으로 연신형 편광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보호필름(112)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환형 올레핀계 고분자(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신형 편광자(114)는 예를 들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일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층(110)의 제1 보호필름(112) 상에 제1 점접착층(120a)이 형성되고, 제1 점접착층(120a)을 통해 편광층(110)이 기재 필름(100)으로 접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편광층(110)은 연신형 편광자(114)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보호필름(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층(110)은 제1 및 제2 보호필름(112, 116), 및 이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연신형 편광자(114)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보호필름(116)은 제1 보호필름(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보호필름(116)은 광학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기능층의 예로서 상술한 위상차 필름을 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보호 필름(116)은 제1 보호 필름(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을 포함하며, 제2 보호 필름(116) 상에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층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도 8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층의 전극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130)은 제2 점접착층(120b)을 통해 편광층(110)과 접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130)은 기재(200), 및 기재(200) 상에 배치된 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들(220)을 덮는 절연층(230)이 기재(20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재(200)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연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들(220)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센싱 전극, 및 신호 전달을 위한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220)은 금속, 금속 와이어(예를 들면, 금속 나노 와이어) 또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은(Ag),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크롬(Cr), 티타늄(Ti), 텅스텐(W), 니오븀(Nb), 탄탈륨(Ta), 바나듐(V), 철(Fe), 망간(Mn), 코발트(Co), 니켈(Ni), 아연(Zn),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성 산화물의 예로서,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220)은 투명 금속 산화물-금속 와이어, 또는 투명 금속 산화물-금속(또는 금속 와이어)-투명 금속 산화물과 같은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상호 정전 용량(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싱 전극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예를 들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센싱 전극들 및 제2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싱 전극들은 단위 패턴들이 서로 연결되어 센싱 라인이 정의되고, 복수의 상기 센싱 라인들이 배열될 수 있다. 제2 센싱 전극들은 각각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된 단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센싱 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제2 센싱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전극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층(230)은 상기 브릿지 전극의 지지 패턴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극들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220)은 각각 물리적으로 이격된 단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패턴들은 각각 트레이스 또는 배선 라인을 통해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패턴들은 예를 들면, 메쉬 금속 전극을 다각형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230)은 기재(200) 상에서 전극들(220)을 덮을 수 있다. 절연층(23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기재(200) 측으로 제2 점접착층(120b)을 통해 편광층(110)과 접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절연층(130) 측으로 편광층(110)과 접합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130)은 분리층(205), 중간층(210), 전극(220) 및 절연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층(205)은 고분자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계 고분자, 폴리아믹산계 고분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폴리노보넨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조벤젠계 고분자,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고분자, 폴리아릴레이트계 고분자, 신나메이트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등의 고분자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분리층(205)은 글래스 기판과 같은 캐리어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되며, 전극(220) 및 절연층(230) 형성 후,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의 박리 공정을 촉진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210)은 터치 센서층(130)의 전극들(220)의 보호 및 전극들(220)과의 굴절률 정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층(21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고분자 계열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분리층(205) 또는 중간층(21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130) 상에는 점접착층(120)이 형성되고, 점접착층(120) 상에 보호 필름(24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240) 부착 후, 상기 캐리어 기판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보호 필름(240)을 제거 한 후, 터치 센서층(130)을 점접착층(120)을 이용하여 편광층(110) 상에 적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240)과 함께 점접착층(120)이 제거될 수도 있으며, 절연층(230) 상에 광학 적층체로 일체화를 위한 점접착층이 다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기판 박리 후 기재가 추가적으로 분리층(205) 측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실질적으로 무기재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들(220)은 편광층(110)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분리층(205) 및/또는 중간층(210)이 실질적으로 기재로 기능하며, 광학 적층체로 일체화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에 포함된 전극들은 편광층(110)의 상면 및 하면에 분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층(110)의 상기 상면 상에 제1 전극들(220a)이 배열되며, 편광층(110)의 상기 하면 상에 제2 전극들(220b)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들(220a)은 행 방향(예를 들면, x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센싱 라인을 형성하는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들(220b)은 열 방향(예를 들면, y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센싱 라인을 형성하는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20a) 및 제2 전극(220b)이 서로 다른 평면 또는 레벨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들(220a, 220b)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브릿지 전극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편광층(110)이 실질적으로 터치 센서층(130)의 기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윈도우(100)의 일면(100b)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터치 센서층(130) 및 편광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100)는 광학 기재 및 하드코팅층, 또는 광학 기재 및 기능층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층(130)이 사용자의 시인 측 또는 터치 입력면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및 신호 전달의 감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윈도우-터치 센서층-편광층 구조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제1 점접착층(120a)을 통해 윈도우(100)와 접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층(130)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30)은 실질적으로 무기재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들은 윈도우(10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층(205) 및 중간층(210)이 실질적으로 기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층(130)의 전극들은 편광층(110)의 상면 및 하면 상에 분포될 수 있다.
편광층(110)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코팅형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 및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층(110)은 액정층 상에 형성된 오버 코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130) 및 편광층(110) 사이에 제2 점접착층(120b)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층(110)은 제1 보호 필름(112) 및 연신형 편광자(114)를 포함하는 연신형 편광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층(110)은 연신형 편광자(114) 상에 접합된 제2 보호 필름(11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보호 필름(116)은 예를 들면,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기능층은 제2 보호 필름(116) 상에 추가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면, 도 15 내지 도 17은 차광 패턴이 포함된 광학 적층체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광 패턴(107)은 윈도우(100)의 일면(100b)의 외곽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패턴(107)은 광학 적층체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베젤(bezel)로 제공될 수 있다.
차광 패턴(107)은 화이트 패턴, 블랙 패턴과 같은 컬러 패턴을 포함하며, 상이한 컬러의 복층의 패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광 패턴(107)은 컬러 구현을 위한 안료 및/또는 염료가 혼합된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silicone) 등과 같은 수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점접착층(120a)은 차광 패턴(107)의 표면 및 윈도우(100)의 일면(10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제1 점접착층(120a)의 상면이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점접착층(120a)은 차광 패턴(107)의 표면 및 윈도우(100)의 일 면(100b)을 따라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편광층(110)이 제1 보호필름(112) 측으로 제1 점접착층(120a)과 접합될 수 있으며, 편광층(110) 상에는 제2 점접착층(120b)을 통해 터치 센서층(130)이 적층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광 패턴(107)은 편광층(110)과 수평적으로 중접되거나, 편광층(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층(110)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코팅형 편광자일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107)의 표면 및 윈도우(100)의 일면(100b)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층(110)은 차광 패턴(107)의 측벽 및 윈도우(100)의 일면(100b) 상에 형성되며, 차광 패턴(107)의 상면 상으로는 연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차광 패턴(107)은 터치 센서층(130)과 수평적으로 중첩되거나, 터치 센서층(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층(110) 상에 차광 패턴(107)이 배치되고, 차광 패턴(107) 및 편광층(110) 상에 점접착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30)은 제1 점접착층(130)을 통해 예를 들면, 차광 패턴(107)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편광층(11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코팅형 편광자를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연신형 편광판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130)에 포함된 패드, 트레이스, 또는 배선들은 차광 패턴(107)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편광자 및 터치 센서가 윈도우 또는 광학 기재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적층체가 예를 들면, 플렉시블 OLED 장치와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시 필요한 유연성, 신뢰성, 내구성 확보를 위한 기계적 특성을 적층체 단위로 일괄적으로 제어 또는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각 개별 구조물들의 물성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바람직한 유연성, 경도, 내박리성 등의 특성들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로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 전체의 수정 인성(amended touchness)이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학 적층체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킬 수 있다.
[수학식 1]
300 MPa% ≤ 수정 인성
상기 수학식 1에서, "수정 인성"은 광학 적층체의 응력-변형도 커브(stress-strain curve)의 파괴점에서 응력(Mpa)과 변형도(%)의 곱을 의미한다.
응력-변형도 커브(stress-strain curve)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인장실험을 통하여, 상기 적층체에 가해진 응력(stress)과, 상기 응력에 대응하여 나타난 적층체의 변형도(strain)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응력-변형도 커브는 고분자 재료의 변형도의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응력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라 할 수 있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수정 인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x축은 변형도(%)를 나타내며, y축은 변형도에 따른 응력(Mpa)을 나타낸다. 도 18의 그래프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상기 적층체의 변형 증가에 따라 파단 또는 찢김이 발생하는 파괴점(fracture point)에 해당한다. 상기 수학식 1의 수정 인성은 상기 파괴점에서의 x값(변형도) 및 y값(응력)의 곱으로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직사각형의 넓이에 해당한다. 도 18은 수정인성이 389.7 Mpa%인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학 적층체의 수정 인성을 약 300 Mpa% 이상으로 설계함으로써, 고경도와 함께 반복되는 굴곡 피로에 대한 내성, 내크랙성, 내박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수정 인성이 약 300 Mpa% 미만인 경우 충분한 유연성이 확보되지 못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시 층간 박리,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수정 인성은 약 400 Mpa% 이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향상된 유연성 확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정 인성이 높을수록 유연성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제적인 이유로 1,000 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MPa%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학 적층체의 각 층 또는 각 구조물은 아래와 같은 광학적, 기계적, 전기적 물성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윈도우(100)는 자체적으로 약 10,000 Mpa%이상의 수정 인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되는 용어"윈도우"는 예를 들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광학 기재, 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로 설명한 광학 기재(102), 하드 코팅층(104) 및/또는 기능층(104a)의 적층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는 광학 기재의 일면 및 타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하드 코팅층 및 제2 하드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화상 표시 장치의 외표면 보호를 위해 1kg 하중에서 3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수접촉각은 약 105도(o)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윈도우 필름의 내습성, 방오성, 안티 블로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충격력은 동일 두께의 유리 기판 대비 약 70%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력이 향상되며, 외부 충격에 대한 깨짐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향상된 내찰상성을 가지며 다음의 수학식 2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마찰계수/수접촉각)*1,000 ≤2.5/degree(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하기의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마르텐스 경도(HM) ≥ 200 N/mm2
수학식 3에서, 마르텐스 경도는 10mN 하중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수학식 2 및 3을 함께 만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표면 경도가 향상되면서 적절한 슬립성이 확보되어 내찰상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약 380nm 자외선 파장에 대해 약 15% 이하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380nm 자외선 파장"은 정확히 380nm 파장뿐만 아니라 380 내지 390 nm 미만의 자외선 파장을 포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104)에 포함되는 자외선 흡수제 또는 자외선 차단층을 포함하는 기능층(104a)을 통해 상기 범위의 자외선 투과율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편광층의 내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약 4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편광층(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형 편광자 또는 연신형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편광도(Py)는 약 95% 이상일 수 있으며, 광투과율은 4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층이 연신형 편광판인 경우, 편광층의 수축력은 약 1.5N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치수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원하는 편광 특성을 갖는 고품질의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축력은 폭 2mm x 길이 50mm(MD방향)의 샘플에 대해, 80℃조건에서 2시간 방치시켰을 때 수축하려는 힘의 절대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축력은 TA-Instrument사의 Q800등과 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두께는 약 100㎛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층(130)의 전극(220)의 면저항은 약 500 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의 표면 조도는 약 1.5nm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향상된 센싱 감도 및 신호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의 광투과율은 약 8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89%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층의 전극(220)의 굴절률은 약 1.3 내지 2.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센서층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광학 특성 또는 투과율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전극(220)의 시인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적층체는 일 이상의 점점착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점점착층의 두께는 약 5 내지 10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학 적층체의 총 두께는 600㎛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OLED 장치, LCD 장치 등에 포함된 표시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에 배열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및 상기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부 또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광학 적층체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적층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접힘, 굽힘 등의 동작 시에도 상기 광학 적층체의 향상된 유연성 및 내구성 특성에 의해 크랙, 박리, 파단 등의 기계적 불량 또는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험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특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험예에 포함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비교예들이 반드시 본원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로 포함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1) 하드코팅 조성물의 제조
광경화형 수지로서 6관능 아크릴레이트(PU620D, 미원스페셜티 케미컬) 35중량부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7 중량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2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BYK-UV3570(BYK) 0.3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어 혼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윈도우 제조
상기에 제조된 하드코팅 조성물을 80㎛ 두께의 광학용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경화 후 두께가 10㎛이 되도록 코팅하고, 80℃에서 1분 동안 건조한 후 고압 수은램프에서 300mJ/㎠의 광량으로 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3) 윈도우-편광판 적층체 제조
상기 윈도우의, 하드코팅 층이 형성된 면의 타면에 두께 25㎛의 제1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보호필름으로서 80㎛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에 두께 20㎛의 폴리비닐알콜(PVA) 편광자를 부착하였고,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상기 보호필름 및 편광자 순서로 배치되도록 접합하여,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광경화형 수지로서 6관능 아크릴레이트(PU620D, 미원스페셜티 케미컬) 35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분산 15nm 반응성 실리카졸(고형분 40%) 10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7 중량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2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BYK-UV3570(BYK) 0.3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어 혼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 및 (3)에 기재된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광경화형 수지로서 6관능 아크릴레이트(PU620D, 미원스페셜티 케미컬) 25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분산 15nm 반응성 실리카졸 (고형분 40%) 20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7 중량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2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BYK-UV3570(BYK) 0.3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어 혼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 및 (3)에 기재된 공정과 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보호필름으로서 80㎛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보호필름으로서 50㎛ 시클로올레핀계(COP)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2)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을 경화 후 두께가 20㎛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과 공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광경화형 수지로서 6관능 아크릴레이트(PU620D, 미원스페셜티 케미컬) 15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분산 15nm 반응성 실리카졸 (고형분 40%) 30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7 중량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2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BYK-UV3570(BYK) 0.3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어 혼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 및 (3)에 기재된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광경화형 수지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분산 15nm 반응성 실리카졸 (고형분 40%) 30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7 중량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2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BYK-UV3570(BYK) 0.3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어 혼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 및 (3)에 기재된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윈도우-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윈도우-편광판 적층체의 편광자 상에 전극으로서 45nm의 ITO 패턴, 및 상기 전극을 덮는 실리콘 산화물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을 전사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학적층체를 이용하여 길이 50㎜ × 폭 5㎜의 시편을 제조한 후, SHIMAZHU사의 AUTOGRAPH AG-X 1KN 기기를 활용하여 수정인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편을 길이방향으로 4mm/min의 일정한 인장속도로 당기고, 파괴시까지의 변형도에 따른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파괴점에서의 응력 및 변형도를 얻을 수 있다. 이 후,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력-변형도 커브를 통해 상기 [수학식 1]의 수정인성을 계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적층체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유연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유연성 평가
지름 3mm의 봉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적층체의 폭의 중심 상(하드코팅층 측)에 놓고, 광학 적층체의 길이 방향 양 모서리가 닿을때까지 접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필름이 파단 나기 전까지의 횟수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S: 20만회까지 파단 미발생
A: 10만회 이상 20만회 미만에서 파단 발생
B: 5만회 이상 10만회 미만에서 파단 발생
C: 5만회 미만에서 파단 발생
구분 파괴점 응력
(Mpa)
파괴점 변형도
(%)
수정인성
(MPa%)
유연성 평가 결과
실시예 1 66.1 7.2 475.9 S
실시예 2 65.3 6.3 411.4 S
실시예 3 64.9 6.0 389.4 A
실시예 4 61.2 5.5 336.6 A
실시예 5 59.8 5.3 316.9 A
비교예 1 56.4 5.2 293.3 B
비교예 2 55.5 4.8 266.4 C
비교예 3 53.8 4.5 242.1 C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있어 광학 적층체의 수정인성이 약 300 Mpa%를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파단 발생 없이 향상된 유연성이 확보되었으며, 약 400 Mpa%를 초과하는 경우, 보다 향상된 유연성이 구현되었다.
비교예들의 경우, 수정 인성이 약 300 Mpa%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파단 현상이 증가되었으며, 수정 인성이 더 감소될수록 유연성 특성은 더 열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0: 윈도우 102: 광학 기재
104: 하드 코팅층 104a: 기능층
107: 차광 패턴 110: 편광층
110a: 액정층 110b: 배향막
112: 제1 보호필름 114: 연신형 편광자
116: 제2 보호필름 120: 점접착층
120a: 제1 점접착층 120b: 제2 점접착층
130: 터치 센서층 200: 기재
205: 분리층 210: 중간층
220: 전극 220a: 제1 전극
220b: 제2 전극 230: 절연층
240: 보호 필름

Claims (40)

  1.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어느 일면 상에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일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타면은 시인측으로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수학식 1]
    300 MPa% ≤ 수정 인성
    (수학식 1 중, 수정 인성은 윈도우 적층체의 응력-변형도 커브(stress-strain curve)의 파괴점에서 응력(Mpa)과 변형도(%)의 곱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인성은 400 MPa% 이상인, 광학 적층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인성은 1,000 MPa% 이하인, 광학 적층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재질의 광학 기재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광학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하드코팅 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광학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기능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자외선 차단층, 비산 방지층 또는 지문 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의 외곽부 상에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편광층 또는 상기 터치 센서층과 동일 레벨에 위치하는, 광학 적층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수정 인성은 10,000 Mpa% 이상인, 광학 적층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380nm 자외선 파장에 대하여 15%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 광학 적층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1kg 하중에서 3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갖는, 광학 적층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마르텐스 경도는 10mN 하중에서 200N/mm2 이상인, 광학 적층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수학식 2]
    (마찰계수/수접촉각)*1,000 ≤2.5/degree(o)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연신형 또는 코팅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상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편광자의 양 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상기 위상차 필름인, 광학 적층체.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윈도우와 접촉하는, 광학 적층체.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상기 액정층 상에 오버코트 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편광도는 95% 이상인, 광학 적층체.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광투과율은 42% 이상인, 광학 적층체.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수축력은 1.5N 이하인, 광학 적층체.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전극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기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기재 상면에 형성된, 광학 적층체.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윈도우 또는 상기 편광층 상에 직접 형성된, 광학 적층체.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편광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편광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
  33.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500 Ω/□이하의 면저항을 갖는, 광학 적층체.
  34.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1.5nm 이하의 표면조도를 갖는, 광학 적층체.
  35.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굴절률은 1.3 내지 2.5인, 광학 적층체.

  3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의 광 투과율은 85% 이상인, 광학 적층체.
  3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광학 적층체.
  3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 및 상기 편광층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광학 적층체.
  3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편광층 사이,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센서층 사이, 또는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점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40. 청구항 1 내지 39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70024407A 2017-02-23 2017-02-23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5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07A KR102057065B1 (ko) 2017-02-23 2017-02-23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W107105766A TWI704476B (zh) 2017-02-23 2018-02-21 整合有偏光層及觸控感測器之光學堆疊結構以及包含該光學堆疊結構之影像顯示裝置
PCT/KR2018/002223 WO2018155940A1 (ko) 2017-02-23 2018-02-23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19546022A JP2020512575A (ja) 2017-02-23 2018-02-23 偏光層及びタッチセンサ一体型光学積層体、並びに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CN201880013103.8A CN110325885A (zh) 2017-02-23 2018-02-23 集成有偏光层和触摸传感器的光学堆叠结构以及包括该光学堆叠结构的图像显示设备
US16/547,864 US20190383973A1 (en) 2017-02-23 2019-08-22 Optical stack structure integrated with polarizing layer and touch senso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07A KR102057065B1 (ko) 2017-02-23 2017-02-23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231A Division KR20190139193A (ko) 2019-12-11 2019-12-11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415A true KR20180097415A (ko) 2018-08-31
KR102057065B1 KR102057065B1 (ko) 2019-12-18

Family

ID=6325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07A KR102057065B1 (ko) 2017-02-23 2017-02-23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83973A1 (ko)
JP (1) JP2020512575A (ko)
KR (1) KR102057065B1 (ko)
CN (1) CN110325885A (ko)
TW (1) TWI704476B (ko)
WO (1) WO201815594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496A (ko) * 2019-03-08 2020-09-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WO2023287090A1 (ko) * 2021-07-13 2023-01-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이를 적용한 자동차 및 건물용 창호
WO2023048446A1 (ko) * 2021-09-27 2023-03-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이를 적용한 자동차 및 건물용 창호
WO2023211056A1 (ko) * 2022-04-28 2023-11-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478A (ko) 2017-10-27 2023-12-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커버 렌즈 막들
KR20190098876A (ko) * 2018-02-14 2019-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편광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30043240A (ko) 2018-05-10 2023-03-3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교체가능한 커버 렌즈
WO2020036693A1 (en) * 2018-08-14 2020-02-20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KR102225528B1 (ko) * 2019-01-22 2021-03-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162657B1 (ko) * 2019-01-28 2020-10-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6945586B2 (ja) * 2019-04-17 2021-10-06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312013B2 (ja) * 2019-05-15 2023-07-2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KR102616107B1 (ko) 2019-06-26 2023-12-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폴더블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플렉서블 다층 커버 렌즈 스택들
CN112447792A (zh) * 2019-09-02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N110531897A (zh) * 2019-09-09 2019-12-0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盖板组件、其制备方法、触控面板及显示装置
CN114616531A (zh) * 2019-10-31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印刷显示器堆叠件
JP6792736B1 (ja) * 2019-11-20 2020-11-2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6792735B1 (ja) * 2019-11-20 2020-11-2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2987955A (zh) * 2019-12-17 2021-06-18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柔性触控显示面板
JP2021117334A (ja) * 2020-01-24 2021-08-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KR20210109952A (ko) * 2020-02-28 2021-09-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연성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748608B (zh) * 2020-08-24 2021-12-0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具圖案的指紋感應模組及其製造方法
WO2022202141A1 (ja) * 2021-03-22 2022-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11556197B1 (en) * 2021-10-28 2023-01-17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026A (ko) 2010-12-29 2012-07-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842B2 (ja) * 1998-07-07 2006-07-26 住友化学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上部透明電極板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JP4269510B2 (ja) * 2000-07-31 2009-05-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438270B2 (ja) * 2001-05-30 2010-03-2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光学補償シート、楕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04029673A (ja) * 2002-06-28 2004-01-2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フィルタ、ディスプレーユニット及び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JP4121030B2 (ja) * 2004-08-19 2008-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位相差板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光学素材
JP2006063189A (ja) * 2004-08-26 2006-03-09 Nitto Denko Corp 粘着剤付光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CN100552475C (zh) * 2005-08-03 2009-10-21 富士胶片株式会社 防反射膜、偏光板和图像显示装置
WO2007119560A1 (ja) * 2006-03-31 2007-10-25 Zeon Corporation 偏光板, 液晶表示装置, および, 保護フィルム
JP5444601B2 (ja) * 2006-11-17 2014-03-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080055059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JP2008181078A (ja) * 2006-12-27 2008-08-07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1828135A (zh) * 2007-10-19 2010-09-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偏振板及图像显示装置
JP2009283348A (ja) * 2008-05-23 2009-12-03 Toyobo Co Ltd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2009286910A (ja) * 2008-05-29 2009-12-10 Teijin Ltd 位相差フィルム用保護フィルム、及び積層位相差フィルム
KR20120029859A (ko) * 2010-09-17 2012-03-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입체 화상용 디스플레이
JP5978561B2 (ja) * 2010-09-21 2016-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用前面板、表示用前面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472806B1 (ko) * 2012-01-30 2014-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93333B1 (ko) * 2012-05-08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휨 감지 방법
JP6422942B2 (ja) 2013-04-05 2018-11-14 レッド.コム,エルエルシー カメラ用光学的フィルタリング
KR102142144B1 (ko) * 2013-05-13 2020-08-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과 터치 감지 전극 일체형 윈도우 필름
KR102257958B1 (ko) * 2013-05-16 2021-05-2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JP6244678B2 (ja) * 2013-06-12 2017-12-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4204133A1 (ko) * 2013-06-18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 그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0938B1 (ko) * 2013-09-30 2016-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5064433A1 (ja) * 2013-10-29 2015-05-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249820B2 (ja) * 2014-02-27 2017-12-2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5932097B2 (ja) * 2014-04-17 2016-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075424B2 (ja) * 2014-09-30 2017-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476788B2 (ja) 2014-11-21 2019-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60071796A (ko) * 2014-12-12 2016-06-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재
KR102356860B1 (ko) * 2014-12-26 2022-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및 표시장치
JP6382243B2 (ja) * 2015-02-04 2018-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74446B2 (ja) * 2015-02-10 2018-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光学フィルム積層体、長尺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ロール及びips液晶表示装置
TWI692514B (zh) * 2015-03-31 2020-05-0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附黏著劑層之光學膜及液晶顯示裝置
KR20160116900A (ko) * 2015-03-31 2016-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KR20160124372A (ko) * 2015-04-17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WO2016208785A1 (ko) * 2015-06-24 2016-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31556B1 (ko) * 2015-06-26 2019-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0696016B2 (en) * 2015-07-31 2020-06-30 Samsung Sdi Co., Ltd. Window film and flexible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5892743B (zh) * 2016-02-19 2018-10-23 纳智源科技(唐山)有限责任公司 具有触控及压力感应功能的偏光片及触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026A (ko) 2010-12-29 2012-07-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496A (ko) * 2019-03-08 2020-09-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WO2023287090A1 (ko) * 2021-07-13 2023-01-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이를 적용한 자동차 및 건물용 창호
KR20230011062A (ko) * 2021-07-13 2023-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WO2023048446A1 (ko) * 2021-09-27 2023-03-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이를 적용한 자동차 및 건물용 창호
KR20230044805A (ko) * 2021-09-27 2023-04-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WO2023211056A1 (ko) * 2022-04-28 2023-11-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5940A1 (ko) 2018-08-30
US20190383973A1 (en) 2019-12-19
TWI704476B (zh) 2020-09-11
KR102057065B1 (ko) 2019-12-18
CN110325885A (zh) 2019-10-11
TW201837671A (zh) 2018-10-16
JP2020512575A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065B1 (ko)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5900890B2 (ja)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
JP2012066477A (ja)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積層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積層フィルム
CN112592507B (zh) 硬质涂膜以及包含其的窗口和图像显示装置
TWI614660B (zh) 透明導電性薄膜及具有其之觸控面板以及顯示裝置
US20210382206A1 (en) Flexible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1923397A (zh) 圓偏光板及顯示裝置
US20190337273A1 (en) Transparent stack structure
CN111295604A (zh) 圆偏振板及显示装置
KR20150058028A (ko)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20210096281A1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US11822179B2 (en) Touch sensor panel and optical laminate
KR20190139193A (ko) 편광층 및 터치 센서 일체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08304090B (zh) 触摸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20210094266A1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US11613658B2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TW202105016A (zh) 光學積層體及其製造方法
KR101912583B1 (ko) 필름 터치 센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