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018A -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 Google Patents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018A
KR20180095018A KR1020187020325A KR20187020325A KR20180095018A KR 20180095018 A KR20180095018 A KR 20180095018A KR 1020187020325 A KR1020187020325 A KR 1020187020325A KR 20187020325 A KR20187020325 A KR 20187020325A KR 20180095018 A KR20180095018 A KR 20180095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ascara
eyelashes
projection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구루 키노시타
모토키 타카타
미야코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889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15825A1/ja
Publication of KR2018009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에 안구나 눈꺼풀에 닿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경감하면서도 양호한 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눈 화장용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축(20)과, 당해 지지축에 지지되는 몸통부(19)와, 몸통부에 형성되며 몸통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돌기(13)를 포함하는 눈화장용 도포구(40)로서, 돌기(13)는 몸통부(19)의 안쪽면(11)에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기(13)는 몸통부(19)의 외주 가장자리(1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본 발명은, 눈 화장용 도포구로서, 특히, 마스카라액, 속눈썹용 육모제, 초벌 마스카라, 속눈썹 코팅제, 속눈썹 연장용 코팅제 등의 화장료(化粧料)를 도포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당해 눈 화장용 도포구가 적용되는 눈 화장 용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할 때에 사용하는 화장 용구로서 많은 종류의 것이 있으나, 그 중 한 가지로서, 마스카라(액)를 도포할 때에 사용하는 마스카라 도포구가 있다. 마스카라는 마스카라액을 도포함으로써 속눈썹을 짙고 길게 컬(curl)시키는 것이다.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에 속눈썹을 짙게 하여 예쁘게 보이도록 위해서는, 속눈썹이 난 곳(뿌리 부분)으로부터 속눈썹의 끝부분까지 마스카라액을 제대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마스카라 도포구로서, 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브러시가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13-538065호
그러나, 마스카라 도포구로서 브러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러시의 끝부분이 길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마스카라 브러시의 끝부분이 눈꺼풀이나 안구에 닿지 않을까 불안하게 된다.
또한,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구를 접촉시키는 경우, 브러시나 빗의 끝부분이 속눈썹의 틈새를 통해 눈꺼풀에 닿아 눈꺼풀에 마스카라액이 부착하는 것을 회피하려는 잠재 의식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카라 도포구로는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마스카라액(화장료)을 확실하게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에 안구나 눈꺼풀에 닿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경감하면서도 양호한 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눈 화장용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축과, 당해 지지축에 지지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로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통부의 안쪽면에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몸통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에 안구나 눈꺼풀에 닿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경감하면서도 양호한 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눈화장용 도포구) 및 당해 마스카라 도포구를 적용하는 눈 화장 용구로서, 마스카라 도포구를 마스카라 용기에 장착한 상태의 반(半)단면도이다.
[도 1b]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눈화장용 도포구) 및 당해 마스카라 도포구를 적용하는 눈 화장 용구로서, 마스카라 도포구를 마스카라 용기로부터 탈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도로서 정면도이다.
[도 2b]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도로서 평면도이다.
[도 2c]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도로서 하면도이다.
[도 3a] 본 발명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 설명도로서 사시도이다.
[도 3b] 본 발명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 설명도로서, 도 3a에서의 1-1`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 본 발명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 설명도로서, 도 3a에서의 2-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비교예인 마스카라 도포체의 설명도로서, 비교예인 마스카라에 있어 도 3a에서의 P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b] 비교예인 마스카라 도포체의 설명도로서, 비교예인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화장할 때의 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체의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에 있어 도 3a에서의 P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b]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체의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화장할 때의 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윗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의 정면도이다.
[도 6b]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윗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의 정면도이다.
[도 6c]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윗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의 측면도이다.
[도 6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윗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중앙부~선단부에 도포할 때의 측면도이다.
[도 6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윗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속눈썹 중앙부의 속눈썹을 손질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6f]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윗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눈꼬리 부근의 속눈썹을 손질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7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아래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로서, 바깥쪽을 위로 향하게 한 사용예의 정면도이다.
[도 7b]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아래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로서, [도 7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7c]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아래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로서, 안쪽을 위로 향하게 한 사용예의 정면도이다.
[도 7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마스카라가 아래속눈썹에 사용되는 양태의 예로서, [도 7c]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8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아이 라이너가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아이 라인을 얇게 그리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8b]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 아이 라이너가 사용되는 양태의 예를 나타내며, 아이 라인을 두껍게 그리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9a]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b]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c]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d]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e]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f]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g]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a]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b]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c]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d]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e]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f]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a]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b]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c]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d]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e]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f]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g] 본 발명에 따른 안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a]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b]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c]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d]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e]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f]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g]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h]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i]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j]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k]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3a]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3b]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3c]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3d]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돌기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4a] 본 발명에 따른 도포체의 선단부의 변형예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도이다.
[도 14b] 본 발명에 따른 도포체의 선단부의 변형예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도포구의 도포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눈화장 용구>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눈화장용 도포구, 어플리케이터) 및 당해 마스카라 도포구를 적용하는 눈화장 용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마스카라 도포구를 마스카라 용기에 장착한 상태의 반단면도이고, 도 1b는 마스카라 도포구가 마스카라 용기로부터 탈거된 상태의 외관도이다.
우선,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마스카라 툴(1, 눈화장 용구)에 대해 설명한다. 마스카라 툴(1)은 마스카라 도포구(40)와 마스카라 용기(50)를 포함한다.
마스카라 용기(50, 화장료 용기)는 내부에 화장료(M, 마스카라액 등)가 충진되는(수용되는) 용기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화장료(M)는, 마스카라(마스카라액)에 한정되지 않으며, 속눈썹용 육모제, 초벌 마스카라, 속눈썹 코팅제, 속눈썹 연장용 코팅제, 아이라이너액 및 마스카라와 아이 라이너 겸용 화장료 조성물 등 복수 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등일 수도 있다.
마스카라 도포구(40)는 도포체(10), 지지축(20), 파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원기둥 형상의 파지부(30,분리부/뚜껑부)에는 지지축(2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0)의 선단에는 마스카라액의 도포체(10)가 설치되어 있다. 도포체(10)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스카라 용기(50)는 대략 통 형상체이며, 화장료(M)를 꺼내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에는 수나사(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51)에는 마스카라 도포구(40)의 파지부(30)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31)가 나사 결합한다.
마스카라 용기(50)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는, 지지축(20)에 구비된 도포체(10)는 마스카라 용기(50) 내의 화장료(M)에 침지된다.
또한, 마스카라 용기(50)의 개구부 근방에는 털음 부재(52)가 구비되어 있다. 털음 부재(52)는 탄성체로 구성되며, 마스카라 용기(50)를 마스카라 도포구(40)로부터 탈거할 때에 도포체(10)에 접촉함으로써, 도포체(10)에 과잉 부착된 마스카라를 털어낸다. 이러한 털음 부재(52)에 의해 도포체(10)에 포함시킬 마스카라의 양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카라 용기(50)의 개구부 근방에는 용기측 맞닿음부(5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20)에는 파지측 맞닿음부(21)가 구비되어 있다. 파지측 맞닿음부(21)는, 용기측 맞닿음부(53)에 화장료(M)가 쌓인 경우에, 그 화장료를 용기 안으로 밀어 되돌리는 작용을 한다.
지지축(20)은 파지부(30)로부터 탈거 가능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탈거 가능한 경우에는, 결합부(22,돌기부)가 파지부(30)의 내벽(32)이나 결합부(미도시)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2a 내지 도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0)는 몸통부(9), 돌기(13,14) 및 지지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체(10)는 지지축(20)으로부터 탈거 가능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탈거 가능한 경우에는, 지지부(17)에 접속된 연결부(17J)가 지지축(20)의 내벽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도포체(10)가 지지축(20)으로 접속된다.
또한, 몸통부(19), 돌기(13,14) 및 지지부(17)는 표면이 플로키(16,가는털)로 덮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포체>
이어서, 도2a 내지 도3c을 이용하여 도포체(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40)의 도포체(10)의 확대도이다.
도포체(10)는, 지지축(20)의 선단에 접속되는 지지부(17)와, 지지부(17)에 지지되는 몸통부(19)와, 당해 몸통부(19)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벽 모양 돌기(13,1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벽 모양 돌기(13,14)는 단면이 직사각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인 각기둥 형상의 돌기이다. 한편, 지지부(17)를 구비하지 않고, 몸통부(19)와 지지축(20)을 직접 연결 접속시킬 수도 있다.
이 도포체(10)는 수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수지 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테이트,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몸통부(19)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 L(몸통부(19) 중앙부의 만곡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폭 방향(짧은쪽 방향) S를 가지며 세로가 길도록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다. 몸통부(19)는 안쪽면(마스카라액을 주로 도포하는 쪽의 도포면,11), 바깥쪽면(속눈썹 손질면,12) 및 침상(針狀) 선단(15)을 포함한다.
몸통부(19)는 높이 방향(H) 및 폭방향(S)에 있어 선단을 향할수록 점점 가늘게(폭이 좁게) 되어 있다. 몸통부(19)는 안쪽면(11) 및 당해 안쪽면(11)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바깥쪽면(12)을 가지며 대략 판 형상을 하고 있다.
몸통부(19)는, 지지축(20)이 연장되는 축방향 A에 대해 안쪽면(11) 쪽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아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안쪽면(11)은 오목 형상 만곡면(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함께 몸통부(19)는, 당해 몸통부(19)의 폭 방향 S에 대해서도, 도 2a 및 도 3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 쪽으로 오목하게 약간 만곡되어 있다.
도 2a에서, 원 B로 나타내는 부분은, 마스카라를 속눈썹 중앙부로부터 선단부로 도포하는 데에 사용되며, 원 C로 나타내는 부분은,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속눈썹을 빗는 데에 사용되며, 원 D로 나타내는 부분은, 아이 라인을 그릴 때 및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에 뭉친 것을 분리해 내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도 2b에서, 원 E로 나타내는 부분은, 마스카라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 및 전체로 도포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a로부터 알 수 있듯이, 몸통부(19)에 있어 지지축(2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선단은, 접속되는 지지축(20)의 축 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도포체(10)의 몸통부(19)는 지지축(20)의 축A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져 있다. 일 예로서 몸통부(19)에 있어, 지지축(20)에 대한 경사 각도는 5~10?정도이면 바람직하다 (몸통부(19)의 축A로부터의 경사 각도를 도 2a에 화살표 ?로 표시).
도포체(10)의 몸통부(19)가 지지축(20)에 대해 경사져 있음으로 인해, 마스카라 용기(50)를 마스카라 도포구(40)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도포체(10)가 털음 부재(52)를 통과할 때에, 안쪽면(11) 및 안쪽면 돌기(13)를 갖는 안쪽에 화장료를 많이 부착시킬 수 있고, 바깥쪽면(12) 및 바깥쪽면 돌기(14)를 갖는 바깥쪽에서는 화장료가 털어내어진다. 따라서, 안쪽은 도포에 적합하고, 바깥쪽은 손질 효과를 가진다.
몸통부(19)는 길이 방향(L)에 대해 안쪽면(11) 쪽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아치 모양으로 되어 있다. 즉, 길이 방향(L)에 대해 안쪽면(11)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며, 바깥쪽면(12)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안쪽면(11)은 몸통부(19)의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내측(오목 형상 만곡면)에 위치하고, 바깥쪽면(12)은 상기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외측(볼록 형상 만곡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몸통부(19)의 안쪽면(11)의 만곡 곡률 반경 R1은 속눈썹이 난 눈꺼풀의 만곡(눈의 곡선) R(도3a, 도6a 참조)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19)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 바깥쪽면(12)의 만곡 반경 R2가 안쪽면(11)의 만곡 반경 R1보다 크다. 즉, 바깥쪽면(12)의 곡률이 작고(굽어지는 정도가 완만), 안쪽면(11)의 곡률이 크다(굽어지는 정도가 가파름) (도 3a 참조). 따라서, 몸통부(19)의 높이 방향(H)에 있어 지지축(20)에서 멀어짐에 따라 안쪽면(11)과 바깥쪽면(12) 간 거리(두께)가 점점 짧아진다(얇아진다). 예를 들어, 도 2a의 측면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아 형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몸통부(19) 중 안쪽면(11)의 길이 방향(L) 길이가 15㎜~40㎜, 특히 16㎜~28㎜인 것이, 눈구석에서 눈꼬리에 이르는 속눈썹 전체를 한번에 커버할 수 있으면서 조작성을 겸비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몸통부(19)는 몸통부(19)의 짧은쪽 방향인 폭방향(S)의 길이가 가장 넓은 부분에서 3㎜~8㎜, 특히 3.5㎜~4.5㎜인 것이, 속눈썹의 뿌리 부분부터 선단에 이르는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면서 조작성을 겸비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몸통부(19)의 안쪽면(11)의 만곡된 정도(즉, 만곡 곡률)는 곡률 반경 R1으로 나타내는데, 20㎜ 이상, 특히 30㎜ 이상인 것이, 눈꺼풀의 만곡(도6a 참조)에 맞추어 속눈썹을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몸통부(19)의 바깥쪽면(12)의 길이 방향(L)에 따른 만곡 곡률은 곡률 반경 R2로 나타내는데, 30㎜ 이상, 특히 40㎜ 이상인 것이, 면으로 접하면서 속눈썹 하나 하나를 나눌 수 있다(빗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의 만곡 방향(A)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단면은, 횡단면(몸통부의 짧은쪽 방향인 폭방향 S)에서 적어도 일부가 직선인 형상이다. 이 때 단면에 있어 대략 직선 형상이란, 약간의 오목 곡선, 볼록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도 9a 내지 도 11g 참조).
한편, 몸통부(19)의 바깥쪽면(12) 쪽은 그 폭방향(S)에 있어 바깥쪽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바깥쪽면(12)의 폭방향 만곡에 있어, 이들 바깥쪽면(12)의 곡률 반경 R3~R3`(도3b 및 도3c)은 0.5㎜~8㎜, 특히 1.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 S에 대해, 지지부(17)에 가까운 부분(도3c)에서의 바깥쪽면(12)의 곡률 반경(R3`)과 침상 선단(15)에 가까운 부분(도3b)에 서의 바깥쪽면(12)의 곡률 반경(R3)은 같은데, 이 예에서는 2.0㎜이다. 또는, 선단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곡률 반경(R3)이 지지부(17)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곡률 반경(R3`)보다 작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가장 폭이 넓은 부분(지지부(17) 쪽)에서의 곡률 반경이 1.5㎜~2.5㎜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선단에 가까운 부분은 더 얇을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곡률 반경이 1.0㎜일 수도 있다.
또한, 바깥쪽면 돌기(14)의 선단의 곡률 반경에 대해, 도3a~도3c의 예에서는 0.7㎜~2.1㎜이면 바람직하다. 이 때 폭방향 S에 있어, 지지부(17)에 가까운 부분(도3c)의 바깥쪽면 돌기(14)의 곡률 반경(R4`, 예를 들어 2.0㎜)보다 침상 선단(15)에 가까운 부분(도3b)의 바깥쪽면 돌기(14)의 곡률 반경(R4, 예를 들어 0.7㎜)이 작다. 또는, 선단에 가까운 부분의 바깥쪽면 돌기(14)의 선단의 곡률 반경(R4)과 지지부(17)에 가까운 부분의 곡률 반경(R4`)이 같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2b 및 도 2c로부터 알 수 있듯이, 몸통부(19)는, 몸통부(19)의 폭방향에 있어서도, 지지축(20)에서 멀어짐에 따라 가늘어지는 피침(披針) 형상(대나무잎 형상)인 나뭇잎 형상(F로 둘러싼 부분)이다. 여기에서, 피침 형상에는, 넓은 피침 형상, 삼각형에 있어 지지부(17) 쪽 이외의 2변이 바깥쪽으로 부풀도록 만곡되어 있는 형상, 삼각형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형상이 가늘게 됨으로 인해, 눈의 곡선 단부인 눈구석이나 눈꼬리의 짧은 속눈썹과 도포체(10)가 접촉하기 쉬워지고, 화장료를 눈구석이나 눈꼬리로 도포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2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침 형상의 선단에 침상 선단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피침 형상의 선단을 잘라낸 절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돌기(벽 모양 돌기:13,14)에 대해 설명한다.
몸통부(19)에서의 안쪽면(11)에는 복수 개의 벽 모양 안쪽면 돌기(13, 벽 모양 돌기, 돌기라고도 함)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안쪽면 돌기(13)는 안쪽면(11)의 폭방향 대략 전체에 연장되어 있는 벽 모양 돌기이다. 복수 개의 안쪽면 돌기(13)는 안쪽면(11)에, 대략 평행하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안쪽면 돌기(13)를 설치함으로써 안쪽면(11)에서의 마스카라액 손질이 향상된다.
또한, 도 2a, 도 3a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벽 모양 안쪽면 돌기(벽 모양 돌기,13)는, 안쪽면(11)으로부터 안쪽면(11)의 앞방향으로서 단면이 직선인 부분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안쪽면(11) 및 안쪽면 돌기(13)는 지지축(20)으로부터 경사져 있어서, 지지축(20)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지지축(20)으로부터 경사져 있음으로 인하여,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에, 굴곡진 눈 쪽으로의 밀착도를 조정하기가 편해진다. 또한, 안쪽면 돌기(13)에 있어 지지부(17)로부터 먼 부분은, 몸통부(19)의 폭방향(S)의 안쪽 가장자리(111)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돌기 선단, 능선: 131)의 형상은 평면 또는 만곡면이다. 또한, 안쪽면 돌기(13) 전체에서 각각의 안쪽면 돌기(13)가 안쪽면(11)으로부터 복수 개 돌출되는 높이는 대략 같은 높이이므로, 복수 개의 안쪽면 돌기(13)가 나란히 구비됨으로 인해, 복수 개의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이 축방향(A)에 대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나란히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안쪽면 돌기(13)는,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 돌출의 뿌리 부분과 상기 돌출의 선단면(131)이 대략 같은 폭(Wc)을 갖는다. 따라서, 속눈썹과의 맞닿음면이 면 형상이고 뾰족한 형상이 아니므로,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에 도포체(10)가 눈에 접근함에 따른 불안감이 경감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쪽면 돌기(13)의 폭(Wc)은, 0.1㎜ 이상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8㎜ 이하, 예를 들어, 0.5㎜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또한, 안쪽면 돌기(13)의 간격(Ic)은, 0.3㎜ 이상 2.0㎜ 이하, 1.2㎜ 전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여기에서 기재한 간격의 수치는 안쪽면 돌기(13)의 가장 높은 부분끼리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옆 가장자리(111)와 돌출부(132)에 의해 폭방향(S)에 대해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술하는 도 5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시에 {간격(Ic)-폭(Wc)}으로써 형성되는 돌기(안쪽면(11)에 대한 안쪽면 돌기(13) 및 옆 가장자리(바깥 가장자리,111)에 대한 돌출부(132)) 간 공간(간극){간격(Ic)-폭(Wc)=간극(Gap)Gc}(도 2a 참조)으로 속눈썹이 들어옴으로 인해, 화장료(M)가 속눈썹에 도포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불안감이 경감되면서 속눈썹이 돌기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접촉면(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 또는 돌출부(132)의 측단(133))의 폭(Wc) : 간극의 폭(Gc)}의 비율이 1:4 이상 1:0.8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안쪽면 돌기(13)의 높이(Tc)는 0.1㎜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0㎜ 이하, 예를 들어, 0.9㎜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상세하게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이 위를 향한 상태로 도포체(10)를 눈에 접근시킬 때에, {안쪽면 돌기(13)의 높이(Tc)} (도 2a 참조) x {안쪽면 돌기의 폭(Wc)}가 최초로 속눈썹에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된다.
그리하여, 눈꺼풀로 근접시킬 때에 불안감을 제거하기 위해, {안쪽면 돌기(13)의 높이(Tc)} x {안쪽면 돌기의 폭(Wc)}으로 규정되는 돌출부(132) 측단(옆 가장자리, 선단부:133)의 접촉 면적(선단 면적)이 0.2㎟ 이상 2.0㎟ 이하, 예를 들어, 0.5㎟ 이하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여기에서 안쪽면 돌기(13)에 있어 폭방향(S)으로의 돌출 길이(Lp : 도2b 참조)는, 0.1㎜ 이상 2.5㎜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한데, 나아가 0.5㎜ 이상 1.8㎜ 이하, 예를 들어 1㎜ 정도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또한, 안쪽면 돌기(13)의 길이(Lc)는 몸통부(19)의 폭방향(S)과 거의 같은데, 특히, 가장 넓은 부분에 있어 3.0㎜~8.0㎜ 정도, 특히 3.5㎜~4.5㎜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상세하게는,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이 속눈썹에 대향하는 상태로 도포체(10)를 눈에 접근시킬 때에, {안쪽면 돌기(13)의 길이(Lc)} x {안쪽면 돌기의 폭(Wc)}가 속눈썹에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된다. 그리하여, 눈꺼풀로 근접시킬 때의 불안감을 제거하기 위해, {안쪽면 돌기(13)의 길이(Lc)}(도 2b 참조) x {안쪽면 돌기의 폭(Wc)}(도 2a 참조)으로 규정되는 안쪽면 돌기(13) 선단면(131)의 접촉 면적(선단 면적)이 0.6㎟ 이상 6.0㎟ 이하, 예를 들어, 2.0㎟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이와 같이, 대략 판 모양인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은, 몸통부(19)의 길이 방향(L)에 대해 소정의 폭(Wc)을 가지며, 몸통부(19)의 폭방향(S)으로 상기 소정의 폭(Wc)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도2a 내지 도2c에서는 안쪽면(11)의 전체면)로써 연장되어 있는 면 형상이다. 또한, 인접하는 안쪽면 돌기(13)는 대략 등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안쪽면 돌기(13)의 사이는 안쪽면(11)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 속눈썹은 면 형상인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 또는 안쪽면(11)에 면 접촉한다. 그리하여, 속눈썹을 들어 올리기 편하게 되며, 도포체(10)가 안구나 속눈썹에 접근함에 따른 불안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7) 근처의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 일부는, 모서리부를 깎아내어 가장 높은 부분을 타원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서리부를 줄여서, 속눈썹의 뿌리 부분으로 압접할 때에 안쪽면 돌기(13)의 모서리 부분이 주위의 속눈썹에 접촉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에 구비되는 안쪽면 돌기(13)의 돌출부(132)는, 안쪽면(11)의 옆 가장자리(111,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132)가 옆 가장자리(1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카라 도포구(40)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서부터 중앙부로 이동시킬 때에 속눈썹을 빗기 편하게 된다.
한편, 모든 안쪽면 돌기(13)가 돌출부(132)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그 일부분이 돌출부(132)를 구비하면 된다. 또한, 돌출부(132)의 옆 가장자리(111)로부터의 돌출량은 다를 수도 균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침상 선단(15)에 가까운 안쪽면 돌기(13)일수록 돌출부(132)의 돌출량이 커진다. 그러므로, 몸통부(19)의 선단 부근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 3b에서는, 안쪽면 돌기(13)의 돌출부(132)가 옆 가장자리(111)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나, 몸통부(19)의 폭이 넓으며 지지부(17)에 가까운 부분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 3c에서는, 안쪽면 돌기(13)는 옆 가장자리(111)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19)에서의 바깥쪽면(12)에는 복수 개의 벽 모양 바깥쪽면 돌기(14)가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바깥쪽면 돌기(14)는 바깥쪽면(1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벽 모양 돌기이다. 각각의 바깥쪽면 돌기(14)는 몸통부(19)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깥쪽면 돌기(14)의 높이(Tv, 도 2a 참조) 중 가장 높은 곳은 0.1㎜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바깥쪽면 돌기(14)의 폭(Wv)은 0.1㎜ 이상 2.0㎜ 이하, 1.2㎜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바깥쪽면 돌기(14)의 길이(Lv, 도 2c 참조)는, 가장 넓은 부분에서 3.0㎜~8.0㎜ 정도, 특히, 3.5㎜~4.5㎜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며, 몸통부(19)가 폭방향(S)으로 바깥쪽 옆 가장자리(121)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는, 돌출량이 1.8㎜ 이하로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바깥쪽면 돌기(14)의 간격(Iv)은 0.3㎜ 이상 2.0㎜ 이하, 1.2㎜ 전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여기에서 기재한 간격의 수치는 바깥쪽면 돌기(14)의 가장 높은 부분 간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바깥쪽면 돌기(14)는 몸통부(19) (바깥쪽면(12))의 대략 길이 전체에 걸쳐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란히 구비된 바깥쪽면 돌기(14)는,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눈썹을 손질하는데에 이용된다. 바깥쪽면 돌기(14)의 돌기쪽 가장자리(14S)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체가 바깥쪽면(12)의 옆 가장자리(121)와 같은 위치 또는 옆 가장자리(121)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는, 바깥쪽면(12)의 옆 가장자리(121)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는, 돌출량이 1.8㎜ 이하로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면 돌기(14)는 연장되는 방향(높이 방향)에 있어 중앙부(14C)가 높고 그보다 양쪽 가장자리를 향해 점점 낮아지는 초승달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가장 높은 위치를 중앙 이외의 곳으로 할 수도 있으며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더라도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0)에 의해 화장료(M, 마스카라액)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으로 도포할 때에, 반대쪽 부분이 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접촉에 대한 불안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비교예의 구성을 이용하여 화장할 때에 눈과 도포구의 위치 관계>
도 4a는 비교예인 마스카라를 도 3a의 P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b는 비교예인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화장할 때의 눈의 단면 모식도이다.
여기에서는, 눈 화장으로서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에, 사용자는 거울에서 자신의 속눈썹(도면에서 위 속눈썹(UA), 아래 속눈썹(LA))의 뿌리 부분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시선을 아래쪽으로 하거나 얼굴을 위로 들거나 마스카라 도포구(40)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손가락으로 눈꺼풀(위 눈꺼풀(UI), 아래 눈꺼풀(LI))을 들어 올리거나 잡아 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예로서, 축부(91)에 대해 방사상의 브러시(92)를 구비하는 도포체를 구비하는 마스카라 도포구(90)에 대해 검토한다.
여기에서 마스카라 도포구(90)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들고 조작하는 파지부(30)와 동일 직선 상에 있으며 조작하는 힘이 직접 전달되는 축부(91)로부터, 브러시가 방사상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카라 도포구(90)를 이용하여, 속눈썹(UA)의 뿌리 부분에 브러시(92)를 접촉시켜 마스카라액을 도포하는 경우, 축부(91)로부터 돌출된 다른 방향의 브러시(92)의 선단이 안구에 접촉하거나, 속눈썹(UA)의 간극 사이로 브러시의 선단이 돌출하여 눈꺼풀(UI)에 닿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92)가 축부(91)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도면에서 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 속눈썹(UA)을 도포하려 하는 브러시(92a)에 대해 반대쪽으로 돌출된 브러시(92o)가 안구(EB)에 맞닿을 우려가 있다. 특히,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송곳 형상 브러시(92)를 구비하는 마스카라 도포구(90)에서는, 브러시(92) 선단의 접촉부는 점 형상이 되므로 안구(EB)에 맞닿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느끼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마스카라 도포구(90)를 눈꺼풀(UI)에 너무 접근시킨 경우, 도면에서 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눈썹(UA)에 도포하기 위해 맞닿도록 하는 브러시(92a)에 인접하는 브러시(92b)의 선단이 눈꺼풀(UI)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촉에 의해 눈꺼풀(UI)의 원치 않는 부분에 마스카라액이 부착되면, 그 부착된 것을 제거하는 수고가 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비교예의 마스카라 도포구(90)를 이용하여 화장할 때에는, 도포쪽과는 반대쪽의 브러시(92o)가 안구(EB)에 접촉하거나 도포측에 인접하는 브러시(92b)가 눈꺼풀(UI)에 접촉할 우려(불안감)이 있고, 또한, 눈꺼풀(UI)의 원치 않는 부분에 화장료가 부착된 경우에는 부착을 제거하는 번잡함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마스카라를 속눈썹(UA)의 뿌리 부분에 도포하기를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본원의 눈화장용 도포구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원의 구성을 이용하여 화장할 때에 눈과 도포구의 위치 관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40)를 도 3a에서의 P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40)를 이용하여 화장할 때의 눈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카라 도포구(40)를 사용할 때에, 안쪽면(11)을 윗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안쪽면 돌기(13) 및 옆 가장자리로부터의 돌출부(132)에서 속눈썹(UA)의 뿌리 부분으로 마스카라액을 도포하면, 반대쪽인 바깥쪽면(12)이 안구(EB)에 근접하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깥쪽면(12)의 바깥쪽면 돌기(14)는, 중앙부(14C)가 가장 높게 돌출되며 돌기 옆 가장자리(14S)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대략 초승달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바깥쪽면 돌기(14)의 돌기 옆 가장자리(14S)는 바깥쪽면(12)의 옆 가장자리(121)와 같은 위치 또는 바깥쪽면(12)의 옆 가장자리(121)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도 5a 참조). 또는, 돌기 옆 가장자리(14S)가 바깥쪽의 옆 가장자리(121)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는 돌출량이 1.8㎜이하로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눈썹(UA)에 도포하는 안쪽면(11)의 안쪽면 돌기(13)와는 반대쪽 방향인 도면상 원(?)의 위치에서는, 몸통부(19)로부터 바깥쪽면 돌기(14)가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도포체(10)가 안구(EB)에 닿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은 안쪽면(11)과 대략 상사(相似)형을 이루어 안쪽면(11)에 대략 평행하게 만곡되어 나란히 구비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속눈썹(UA)의 곡선(컬된 속눈썹)에 맞추기 편하다.
따라서, 도 5b의 원(?)의 위치에서 안쪽면 돌기(13)가 눈꺼풀(UI)에 접촉하지 않도록 조정하기 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안쪽면 돌기(13)의 옆 가장자리로부터의 돌출부(132)가 짧으므로(예를 들어, 1.8㎜ 이하임), 속눈썹(UA)의 뿌리 부분의 틈새로 넣었을 때에도 눈꺼풀(UI)에 접촉하기 어렵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32)의 선단면(측단 돌출면)은 안쪽면(11)으로부터 돌기(13)가 돌출하는 높이에 상당하며, 소정의 폭(예를 들어, 0.1㎜ 이상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8㎜ 이하, 예를 들어 0.5㎜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이러한 폭을 가지므로 돌기(13)의 선단이 뾰족하지 않아 눈꺼풀(UI)에 접근할 때의 불안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마스카라 도포구를 이용하여 속눈썹(위 속눈썹(UA), 아래 속눈썹(LA))의 뿌리 부분에 화장료(M)를 도포할 때에, 안구(EB)나 눈꺼풀(위 눈꺼풀(UI), 아래 눈꺼풀(LI))에 접촉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경감되므로, 사용자는 마스카라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다.
<사용 양태>
도6a 내지 도6f는 본 발명 일 실시형태의 눈 화장 용구인 마스카라의 위 속눈썹으로의 사용 양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마스카라액을 속눈썹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c는 마스카라액을 속눈썹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의 측면도이고, 도 6d는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의 중앙부~선단부에 도포할 때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6c 및 도 6d에서는, 기능 설명을 위해 사용자 눈의 측면도를 나타내나, 마스카라 도포구(40)는 횡단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a 내지 도6d에서 나타내는 도포 동작을 할 때에는, 몸통부(19)의 안쪽(안쪽면(11), 안쪽면 돌기(13))과 옆 가장자리 쪽(옆 가장자리(111,121), 돌출부(132))을 이용한다.
도 6e는 속눈썹 중앙부의 속눈썹을 손질할 때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f는 눈꼬리 부근의 속눈썹을 손질할 때의 사시도이다.
우선, 마스카라액을 속눈썹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에,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의 만곡(R)을 눈의 곡선(R)에 대응시키도록 눈(정면 방향)에 대해 위치시킨다(끼워 넣는다). 이 때, 측면에서는, 도 6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눈썹을 갈라 나누도록 돌출부(132)를 속눈썹에 접촉시키면서 마스카라 도포구(40)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맞닿게 한다.
도 6b의 정면도 및 도 6c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카라 도포구(40)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접촉시키려고 할 때에, 돌출부(132)와 옆 가장자리(111)의 단차에 의해 속눈썹을 손질하면서(갈라 나누면서), 돌출부(132)는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속눈썹의 뿌리 부분은 돌출부(132) 또는 옆 가장자리(111)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이 상측을 향하는 사용 양태(도 6b)는 다음의 도포 동작으로 이행시키기 편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도포를 개시할 때에 어떤 옆 가장자리 쪽이더라도, 돌출부(132)와 옆 가장자리(111)에 의한 단차가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맞닿아 있으면 되므로, 안쪽이 안구쪽을 향하는 사용 양태 또는 안쪽이 하측을 향하는 사용 양태 모두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 실시형태에서는, 도 6c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돌기(13,14)가 안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스카라 도포구(40)가 안구에 접촉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32)가 속눈썹의 뿌리 부분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쉬운 형상(길이)이므로, 화장료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서부터 화장료를 제대로 도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132)가 속눈썹의 뿌리 부분으로 들어와 맞닿은 상태이다. 도 6b 및 도 6c의 상태에서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대고 가압한다. 그리고, 이렇게 가압한 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함으로써, 속눈썹의 뿌리 부분이 윗쪽을 향하도록 한다.
그 후, 마스카라액을 속눈썹 중앙부로부터 선단부로 도포하기 위해, 도 6d의 상태와 같이 도포체(10)의 안쪽(안쪽면(11), 안쪽면 돌기(13))을 속눈썹에 맞닿게 가압하면서 마스카라 도포구(40)를 속눈썹에 대해 윗쪽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은 평면 또는 만곡면(오목 형상, 볼록 형상)의 면 형상이고, 대략 등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인접하는 안쪽면 돌기(13) 간 간격의 홈은 안쪽면(11)에 상당하므로, 도 6d의 상태에서는 속눈썹과 마스카라 도포구(40)는 속눈썹이 자라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써 접촉한다. 그리하여, 속눈썹에 예쁜 컬(curl)이 부여되며 완성도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몸통부(19)의 안쪽면(11)의 곡률 반경(R1)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꺼풀의 곡선(만곡 형상의 곡률 반경) R에 대체로 합치하며, 안쪽면(11)은 만곡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합치하여 연장되고 있다. 또한,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131)은 눈꺼풀의 만곡 형상 중 적어도 일부에 합치하여 길이 방향(L)에 있어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눈구석부터 눈꼬리까지의 넓은 범위에 걸쳐 속눈썹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압하는 횟수를 1회 또는 최소한의 횟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도포할 때에 눈 곡선의 단부에 위치하는 눈구석이나 눈꼬리에서는 속눈썹이 짧으므로, 마스카라 도포구(40)가 두꺼우면 맞닿게 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눈구석이나 눈꼬리에 마스카라액을 도포할 때에, 마스카라 도포구(40)의 도포체(10)의 가는 부분을 눈구석이나 눈꼬리에 맞닿게 하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몸통부(19)는 높이 방향(H) 및 폭 방향(S) (도 2b 참조)에 있어, 도포체(10)의 침상 선단(15)을 향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므로, 도 6b의 눈구석쪽(I) 또는 눈꼬리쪽(T)과 같이, 마스카라 도포구(40)의 도포체(10)의 선단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화장료를 눈구석이나 눈꼬리 쪽의 짧은 속눈썹에도 도포하기 편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도6c⇒도6d, 눈(정면)에 대해 도6a⇒도6b와 같은 상대 위치에서 도포하는 조작에 의해,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도포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원하는 양의 마스카라액이 속눈썹에 도포될 때까지 상기 도포 조작을 반복할 수도 있다.
이 때 마스카라액이 도포된 속눈썹은, 마스카라액이 갖는 점성에 의해 복수 개가 뭉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뭉친 상태의 속눈썹을 하나 하나 분리시키기 위한 조작을 이어서 실행한다.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카라 도포구(40)의 안쪽과 바깥쪽을 상하 반전시켜서 몸통부(19)의 바깥쪽면(12)을 눈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바깥쪽면(12)에 구비된 바깥쪽면 돌기(14)에 의해 속눈썹을 뿌리 부분으로부터 선단 부분을 향해 빗어 올린다. 속눈썹은 바깥쪽면(12)에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면 돌기(14) 사이의 홈부로 안내되어 바깥쪽면 돌기(14)에 의해 빗어진다(세퍼레이트 효과). 한편, 도 6e에서는, 바깥쪽면(12) 및 바깥쪽면 돌기(14)를 이용하여 상측에서부터 속눈썹을 빗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바깥쪽면(12) 및 바깥쪽면 돌기(14)를 이용하여 하측에서부터 속눈썹을 빗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몸통부(19)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도포체(10)가 축에 대해 경사짐으로써, 마스카라 도포구(40)를 마스카라 용기(50)로부터 탈거할 때에 도포체(10)가 털음 부재(52)(도 1a 참조)를 통과할 때에, 안쪽(안쪽면(11), 안쪽면 돌기(13))은 부착된 화장료가 남지만, 바깥쪽(바깥쪽면(12), 바깥쪽면 돌기(14))은 화장료가 털어내어진다. 또한, 바깥쪽면(12)은 표면이 볼록 형상이므로, 마스카라액 중에 침지한 후, 털음 부재(52)를 통과할 때에 마스카라액이 바깥쪽면(12), 바깥쪽면 돌기(14)에는 남기 어렵다. 따라서, 도 6e에서와 같이, 바깥쪽면(12), 바깥쪽면 돌기(14)로 속눈썹을 손질할 때에 추가로 뭉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쪽면(11)의 돌출부(132)와 안쪽면 돌기(13)에 의한 화장료 도포와 바깥쪽면(12)과 바깥쪽면 돌기(14)에 의해 뭉친 속눈썹을 분리시키는 조작을, 원하는 횟수 만큼 반복하여 희망하는 완성도를 얻는다.
도 6e에 나타내는 조작으로도 복수 개의 속눈썹의 뭉침이 풀리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눈의 구조상 곡선의 종단이 되는 눈구석이나 눈꼬리 부근에서는 뭉침이 풀리지 않는 경우가 있으나, 도 6f와 같은 방법으로 뭉쳐진 속눈썹을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f에서는, 눈꼬리 부근의 속눈썹을 손질할 때로서, 몸통부(19)의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의 침상 선단(15) 또는 선단 부근의 돌출부(132)에서 뭉침을 갈라 나눔으로써 뭉친 속눈썹을 분리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체(10)의 여러 면을 구분해서 사용함으로써, 속눈썹을 뿌리 부분부터 시작하여 속눈썹 전체를 컬(curl)하여 볼륨감을 갖도록 하며, 뭉침과 불균일을 방지하여 양호한 완성도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마스카라 도포구로 마스카라를 도포함으로써,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닿더라도 불안하지 않으며, 메이크업의 효과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눈 화장용 도포구를 사용하여 화장료를 아래 속눈썹에 도포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눈 화장용 도포구의 마스칼라를 아래 속눈썹에 사용한 양태의 예이다. 도 7a는 바깥쪽을 위로 향하게 한 사용예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7c는 안쪽을 위로 향하게 한 사용예의 정면도이고, 도 7d는 도 7c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7b 및 도 7d에 나타내는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측면의 단차(옆 가장자리쪽의 돌출부(132)와 옆 가장자리(111,121))를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대고 선단 부분을 향해 빗어 내리도록 도포한다. 그리하여, 뭉침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속눈썹을 손질하면서 마스카라를 아래 속눈썹으로 균등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는, 도 6f와 같은 방향에서 도포체(10)의 침상 선단(15)을 이용하여 아래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본원의 눈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도 6a 내지 도 7d에서처럼 도포할 화장료(액체)가 마스카라 도포용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속눈썹용 육모제, 초벌 마스카라, 마스카라 연장용 코팅제, 속눈썹 연장용 미용액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눈 화장용 도포구는 아이 라이너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눈화장용 도포구인 아이 라이너의 사용 양태의 예를 나타내는데, 도 8a는 아이 라인을 얇게 그리는 경우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아이 라인을 두껍게 그리는 경우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 라이너를 사용할 때에는, 눈의 가장자리부에 마스카라 도포구(40)의 침상 선단(15)을 맞닿게 하거나, 옆 가장자리(111)로부터 연장되는 안쪽면 돌기(13)의 돌출부(132)를 맞닿게 하여 아이 라인을 그릴 수도 있다.
여기에서 아이 라인을 그릴 때에는, 거울로 자신의 속눈썹의 뿌리 부분이 잘 보이도록 그리고 아이 라인을 그리기 편하도록, 손가락으로 눈꺼풀을 들어 올리거나, 눈꺼풀을 횡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아랫쪽을 향해 눈꺼풀을 반 정도 열 수도 있다.
눈꺼풀의 아이 라인을 그리는 영역을 눈꼬리부, 중앙부, 눈구석부로 분할하고, 그 순서로 아이 라인을 그리면 예쁘게 완성될 수 있으나(각 부위 내에서는 눈구석부터 눈꼬리의 방향으로 손을 움직여 라인을 그림), 사용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아이 라이너로서의 용도를 고려하여, 본원의 눈 화장용 도포구는 적어도 선단부(침상 선단, 15)에 플로키(16)가 부여(플로키 처리 : 표면을 정전 식모(植毛) 처리)되어 있으면, 피부 감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몸통부의 변형예>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몸통부(19)의 여러 변형예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g는 돌기(13,14)를 제거한 몸통부(19)에 대한 복수 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19)는, 폭 방향에서 절단된 단면에 있어, 안쪽면(11)은 평면 형상이고 바깥쪽면(12)은 바깥쪽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몸통부(19)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여러 가지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 내지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의 형상이 다를 수도 있다. 도 9b는 바깥쪽면(12a)의 만곡이 도 9a에 비해 크게 되어 있다. 도 9c는 안쪽면(11)이 오목하게 만곡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오목한 부분의 곡률은 안쪽보다 바깥쪽이 크게 되어 있다. 도 9d는 안쪽면(11b)이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e 내지 도 9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과 바깥쪽면(12) 사이에 측면(1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도 9a 내지 도 9d와 마찬가지로, 면의 형상에 대해 적절히 변형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a)이 오목 형상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도 9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b)이 볼록 형상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어느 경우의 형태이든, 도포체(10)가 안구에 접촉하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회피하기 위해, 바깥쪽면(12)은 바깥쪽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돌기의 변형예>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안쪽면 돌기의 여러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a, 도 10c 내지 도 10f는 마스카라 도포구(40)(도포체(10))의 횡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3a의 P방향에서 본(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도 10a의 도포체(10)의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안쪽면 돌기(13)의 선단면(능선)(131)은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었다. 그러나, 안쪽면 돌기의 형상은 평면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선단면(131)을 곡면 등 여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a)의 선단면(131a)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면으로 할 수도 있다. 안쪽면 돌기(13a)의 선단면(131a)을 만곡면으로 한 경우에도, 몸통부(19)로부터 돌출되는 높이(Tc) 및 돌출부(132a)의 길이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짧으므로 눈꺼풀에 접촉하기 어렵다.
또한, 도 10b는 도 10a의 구성을 화살표 P방향에서 본 도면이다(도 10b에서는 바깥쪽면 돌기(14)가 조금 크게 되어 있다). 안쪽면 돌기(13a)에서 선단면(131a)이 만곡되어 있다 하더라도, 폭방향에 있어 돌기의 뿌리 부분과 상기 돌기의 선단면(131a)은 대략 같은 폭(Wc)을 가진다. 그리하여, 속눈썹과의 맞닿음면은 완만한 곡면 형상이 되어 뾰족한 형상은 아니므로,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에 도포체(10)가 눈에 접근함에 따른 불안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b)의 폭방향 전체를 볼록 형상의 만곡면 형상(대략 반타원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c)의 전체가 타원의 일부를 절단하여 절단면을 안쪽면(11)에 연결 접속시킨 형상일 수도 있다.
또는, 도 10e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곡면을 안쪽면 돌기(13d)의 측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e)의 선단면(131e)을 오목한 만곡면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들에서는, 안쪽면 돌기(13: 13a,13b,13c,13d,13e)에 있어 몸통부(19)로부터 안쪽면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인 높이(Tc)는 짧고, 또한 옆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32)의 돌출 방향 길이(Lp)가 짧으므로, 눈꺼풀과 접촉하기 어렵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의 안쪽면 돌기의 여러 변형예를 더 나타낸다. 상기 도 10a 내지 도 10f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돌기의 형상이 좌우 대칭이었다.. 그러나, 도 11a 내지 도 1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의 형상은 좌우 대칭 뿐 아니라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1a, 도 11c 내지 도 11g는 마스카라 도포구(40)(도포체(10))의 횡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3a의 P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안쪽면(11)으로부터 돌출된 안쪽면 돌기(벽 모양 돌기,13f)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해 높이가 점차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안쪽면 돌기(13f)의 선단면(상면,131f)은 경사면으로 된다. 또한, 안쪽면 돌기(13f)는 그 일단(측면,133f)이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안쪽면 돌기(13f)의 일단(133f)이 안쪽면(11)의 옆 가장자리(111)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나, 타단은 안쪽면(11)의 옆 가장자리(111)와 일치하여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인접하는 안쪽면 돌기(13f) 간의 이격 거리는 등간격으로 되어 있으며, 안쪽면 돌기(13f)의 선단면(131)은 평면이므로 속눈썹 또는 속눈썹이 난 곳과 안쪽면 돌기(13f)는 면 접촉한다.
한편, 도 11a에 나타내는 안쪽면 돌기(13f)에서는 그 일단(133f)을 평면으로 하였으나,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g)의 일단(133g)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내는 안쪽면 돌기(13f)에서는 상면을 평면 형상으로 하였으나,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h)의 상면을 볼록한 만곡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하는 면은 안쪽면(11)의 전체면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e에 나타내는 안쪽면 돌기(13i)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몸통부(19)의 안쪽면 중 안쪽면 돌기(13i)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 몸통부(19)의 안쪽면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안쪽면 돌기는 2열로 구비될 수도 있다. 2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1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j)가 연결 접속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 돌기(13k)가 이격되어 (2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몸통부(19)의 안쪽면 중 안쪽면 돌기(13k)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 몸통부(19)의 안쪽면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깥쪽면 돌기의 변형예>
도 12a 내지 도 12k는 본 발명에 따른 바깥쪽면 돌기의 여러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a는 전술한 실시형태(예를 들어, 도2a~도3c, 도6a~도6f 등)에 대응하는 바깥쪽면 돌기(14)를 구비하는 마스카라 도포체(1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에서는 돌기(14)가 선대칭의 초승달 형상이었다. 그러나, 바깥쪽면 돌기(14)의 돌출 개시 위치는 바깥쪽면의 가장자리부에 커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깥쪽면 돌기(14)의 돌출은 바깥쪽면(12)의 옆 가장자리(외주 가장자리, 121)를 넘어갈 수도 있다.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안쪽면 돌기(13)의 측단(133)과 같은 위치로부터 바깥쪽면 돌기(14a,14b)가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원호 형상은 몸통부(19)에 대해 대칭 형상이 아닐 수도 있어서 비대칭으로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19)의 폭방향 중앙부 부근에 바깥쪽면 돌기(14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몸통부(19)의 바깥쪽면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부(12G)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바깥쪽면 돌기(14)의 꼭대기면(선단면)은 모든 부분이 만곡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 복수 개의 정점을 구비하는 사각 형상일 수도 있다.
바깥쪽면 돌기(14)가 사각 형상인 예로서, 도 12d, 도 12e 및 도 12f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도 있다. 이 때 안전성을 고려하여, 바깥쪽면 돌기(14c,14d,14e)의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각 형상 또는 전술한 원호 형상은 몸통부(19)에 대해 대칭 형상이 아닐 수도 있으며, 도 1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대칭으로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바깥쪽면 돌기(14)의 측단은 안쪽면 돌기(13)의 측단보다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대칭의 사각 형상인 바깥쪽면 돌기(14f)에 있어 pd1 부분이 안쪽면 돌기(13)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한, 바깥쪽면 돌기(14)의 측단이 안쪽면 돌기(13)의 측단보다 돌출되어 있는 경우 양단 쪽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2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의 바깥쪽면 돌기(14g)에 있어 양단의 pd2 부분이 안쪽면 돌기(13)의 측단(1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는, 바깥쪽면 돌기(14)를 안쪽면 돌기(13)의 측단보다 돌출시키도록, 도 12i, 도 12j, 도 12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바깥쪽면 돌기(14i,14h:14k,14j:14l,14m)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2g 내지 도 12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면 돌기(14)의 측단이 안쪽면 돌기(13)의 측단(133)보다 돌출되어 있는 경우, 바깥쪽면 돌기(14)를 도 6c에 나타내는 속눈썹 뿌리 부분에 대한 개시 동작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2g 내지 도 12k에 나타내는 구성에서, 안쪽면 돌기의 측단과 바깥쪽 돌기의 측단 간 거리(단차)가 너무 크면(너무 길면), 눈꺼풀에 접촉하기 쉬워져 버린다. 그러므로, 바깥쪽면 돌기(14)의 측단과, 안쪽면 돌기(13)의 측단(133)과 안쪽면(11)의 옆 가장자리(111) 중 짧은 쪽과의 거리(pd1,pd2,pd3,pd4,pd5)가 1.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측면 돌기의 변형예>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돌기의 여러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전술한 도 9e 내지 도 9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면(11)과 바깥쪽면(12)의 사이에 측면(18)이 있는 경우, 측면(18)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면 돌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의 예에서는, 도 9e의 구조에 대해 측면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 돌기를 구비하는 경우,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대한 개시 동작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안쪽면(11)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적절하다.
측면 돌기는, 예를 들어 도 13a의 측면 돌기(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면(안쪽)을 직선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도 13b의 측면 돌기(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면이 곡면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측면 돌기는, 도 13c에 나타내는 측면 돌기(18c,18d)와 같이 양쪽 측면(18)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때 측면 돌기를 구비하는 경우에, 측면 돌기의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d는 도 13a의 구성을 도 3a의 P방향에서 보아 간략화시킨 도면이다. 측면 돌기(18)에서 폭방향에 있어 돌기의 뿌리 부분과 선단면은 대략 같은 폭(Wx)을 가진다. 따라서, 속눈썹과의 맞닿음면은 면 형상, 곡면 형상 또는 둥근 모서리부이며, 뾰족한 형상은 아니므로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에 도포체(10)가 눈에 접근함에 따른 불안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d의 횡단면에 있어서, 안쪽면 돌기(13)와 바깥쪽면 돌기(14)를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측면 돌기를 구비하는 경우에, 안쪽면 돌기(13) 및/또는 바깥쪽면 돌기(14)와 함께 구비할 수도 있고, 안쪽면 돌기(13)와 바깥쪽면 돌기(14) 중 어느 하나 대신에 측면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안쪽면 돌기(13)와 바깥쪽면 돌기(14)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몸통부(19)에 있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변형예들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카라 도포구(40)와 마찬가지로, 이들 복수 개의 변형예에 따른 마스카라 도포구를 사용하여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때에, 안구나 눈꺼풀에 접촉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경감시켜서 마스카라를 주저 없이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속눈썹을 뿌리 부분부터 시작하여 컬(curl)시켜서 볼륨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뭉침, 불균일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완성도를 실현할 수 있다.
<선단부의 변형예>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선단부의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포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체는, 선단부가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됨으로써 2개의 침상 선단(15A,15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도포체(10A)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도 6f에 나타내는 속눈썹 손질시에, 2개의 선단부(침상 선단(15A,15B))와 홈을 이용하여 손질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체(10, 도2 참조)와 비교하여 폭이 넓으므로, 용도와 크기에 따라 구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카라 도포구에서는 폭이 넓으므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카라 도포구(40)보다도 속눈썹을 더욱 컬(curl)시켜 볼륨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2개의 선단부에 의해 뭉침, 불균일 등을 더욱 방지하여 양호한 완성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12월 28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2015-257289호 및 2016년 12월 27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2016-25328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특원2015-257289호 및 특원2016-253284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마스카라 툴(눈화장 용구)
10,10A 도포체
11,11a,11b 안쪽면
111 안쪽면의 옆 가장자리(외주 가장자리)
12,12a 바깥쪽면
121 바깥쪽면의 옆 가장자리(외주 가장자리)
13,13a,13b,13c,13d,13e,13f,13g,13h,13i,13j,13k 안쪽면 돌기(돌기)
131,131a,131f 선단면
132 안쪽면 돌기의 측방 연장부(돌출부)
133,133f,133g 안쪽면 돌기의 측단
14 바깥쪽면 돌기
15 침상 선단
15A,15B 침상 선단(침상 선단부)
16 플로키
17 지지부
17J 연결부
18 측면
19 몸통부
20 지지축
30 파지부
40 마스카라 도포구(눈화장용 도포구, 어플리케이터)
50 마스카라 용기(화장료 용기)
51 털음 부재
A 축방향
L 몸통부의 길이 방향
S 몸통부의 폭방향
H 몸통부의 높이 방향
D 몸통부의 선단과 축 간 거리
M 화장료(마스카라액)
Wc 안쪽면 돌기의 폭
Wv 바깥쪽면 돌기의 폭
Tc 안쪽면 돌기의 높이
Ic 안쪽면 돌기의 간격
Gc 안쪽면 돌기의 간극

Claims (16)

  1. 지지축과,
    당해 지지축에 지지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로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통부의 안쪽면에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몸통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폭 방향에서의 횡단면은 상기 안쪽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대략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두께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얇아지고,
    상기 몸통부의 폭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좁아지며, 상기 안쪽면은 피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피침 형상의 선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침상 선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눈 화장용 도포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일부에 플로키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있어 상기 안쪽면에 대향하는 바깥쪽면은, 길이 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 만곡면이며,
    상기 안쪽면은 길이 방향에 대해 오목한 오목 형상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면에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기의 선단부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폭이 가장 넓은 곳에서 0.5㎜ 이상 1.3㎜ 이하의 폭을 갖는, 평면 또는 길이 방향에 대해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연장 방향 길이」×「상기 돌기의 폭」으로 구해지는 상기 돌기의 상기 선단부의 선단 면적이 0.6㎟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돌기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 오목한 만곡 형상으로 나란히 구비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돌기가 병설되어 있고,
    상기 돌기의 상기 선단부의 폭과 인접하는 돌기 간 간극의 폭의 비율이 1:4 이상 1: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주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가, 0.5㎜ 이상 1.3㎜ 이하의 폭을 갖는 평면 또는 만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높이」×「상기 돌기의 폭」으로 구해지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의 선단 면적이 0.2㎟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길게 돌출되도록 병설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의 폭과 인접하는 돌출부 간 간극의 폭의 비율이 1:4 이상 1: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통부의 안쪽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상기 안쪽면에 대향하는 바깥쪽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바깥쪽면 돌기를 더 포함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면에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바깥쪽면 돌기는, 상기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 중앙부가 높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주 가장자리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낮아지는 대략 초승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용 도포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 화장용 도포구와,
    상기 눈 화장용 도포구의 상기 지지축에 접속 가능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장착 가능하며 화장료를 수용하는 화장료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화장 용구.
KR1020187020325A 2015-12-28 2016-12-27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KR20180095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7289 2015-12-28
JPJP-P-2015-257289 2015-12-28
JP2016253284A JP6157712B2 (ja) 2015-12-28 2016-12-27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PCT/JP2016/088994 WO2017115825A1 (ja) 2015-12-28 2016-12-27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JPJP-P-2016-253284 2016-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018A true KR20180095018A (ko) 2018-08-24

Family

ID=5927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325A KR20180095018A (ko) 2015-12-28 2016-12-27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80331B2 (ko)
EP (1) EP3398476B1 (ko)
JP (1) JP6157712B2 (ko)
KR (1) KR20180095018A (ko)
CN (1) CN108430258B (ko)
HK (1) HK1252246A1 (ko)
TW (1) TW2017283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522B1 (ko) * 2017-12-18 2021-01-12 (주)아모레퍼시픽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JP6823165B2 (ja) * 2018-09-18 2021-01-27 容淳 文岩 化粧用塗布具
JP2020044380A (ja) * 2019-12-16 2020-03-26 容淳 文岩 化粧用塗布具
FR3104920B1 (fr) * 2019-12-23 2021-12-24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étique, notamment du mascara, ensemble applicateur associ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applicateur
US20230165363A1 (en) * 2020-04-06 2023-06-01 L'oreal Cosmetic applicator for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to keratinous fibers such as eyelashes or eyebrows
FR3115446B1 (fr) * 2020-10-22 2023-02-17 Oreal Applicateur cosmétique avec embout applicateur flexible
FR3136639A1 (fr) 2022-06-15 2023-12-22 L'oreal Tête d'applicateur, dispositif applicateur et procédé cosmétiqu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575A (en) * 1981-09-14 1985-07-09 The Bridgeport Metal Goods Manufacturing Co. Contoured flocked cosmetics brush flexers
US4498490A (en) * 1982-07-23 1985-02-12 Max Factor & Co. Adjustable product applicator
JPS61199807A (ja) * 1985-03-01 1986-09-04 マツクスフアクタ−株式会社 繊維材入りマスカラ用容器
JPH0445621Y2 (ko) * 1988-02-22 1992-10-27
FR2749489B1 (fr) * 1996-06-07 1998-08-07 Oreal Brosse a profil plan-convexe
CN1170497A (zh) 1996-07-12 1998-01-21 朴鲁镇 播种机用种子移送装置
FR2753614B1 (fr) * 1996-09-26 1998-10-30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et dispositif de maquillage la comprenant
FR2796528B1 (fr) * 1999-07-21 2001-09-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31033B1 (fr) * 2001-10-23 2004-03-12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ou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et procede de maquillage
US7789094B2 (en) * 2002-03-05 2010-09-07 L'oreal S.A. Device for combing and/or brushing eyelashes and/or eyebrows, and/or for applying makeup thereto
JP4563667B2 (ja) * 2003-09-30 2010-10-13 株式会社コーセー マスカラ容器
JP2005192996A (ja) * 2003-12-09 2005-07-21 Shiseido Co Ltd 睫毛用塗布具
FR2868264B1 (fr) * 2004-04-02 2006-12-22 Techpack Int Sa Dispositif applicateur de produits pateux, typiquement de produits cosmetiques
US8127777B2 (en) * 2004-09-03 2012-03-06 L'oreal S.A. Applicator for applying a substance
US9649261B2 (en) * 2004-10-05 2017-05-16 L'oreal Method of applying makeup to a surface and a kit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JP4761922B2 (ja) * 2004-10-19 2011-08-31 花王株式会社 マスカラ付与方法及びマスカラ付与具
WO2006043544A1 (ja) * 2004-10-19 2006-04-27 Kao Corporation マスカラ剤、マスカラ付与具及びマスカラ付与方法
JP4782454B2 (ja) * 2005-03-28 2011-09-28 株式会社コーセー 塗布具
FR2886112B1 (fr) * 2005-05-24 2007-08-1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US8096306B2 (en) * 2006-07-12 2012-01-17 Albea Services Molded plastic mascara brush
US8245716B2 (en) * 2006-09-11 2012-08-21 Albea Services Flocked cosmetic applicato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dispensers including such applicators
JP2008114058A (ja) 2006-10-13 2008-05-22 Kao Corp マスカラ塗布具
JP5355868B2 (ja) * 2007-07-17 2013-11-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用塗布具
EP2225963B1 (en) 2007-12-27 2018-04-11 Shiseido Company, Ltd. Mascara applicator
FR2943512B1 (fr) * 2009-03-27 2011-05-27 Oreal Applicateur metallique.
CN101708085B (zh) * 2009-12-25 2012-01-04 藤兴工业有限公司 成品毛刷
CN201595356U (zh) * 2009-12-25 2010-10-06 藤兴工业有限公司 成品毛刷
KR200456833Y1 (ko) 2010-04-09 2011-11-23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 브러시
JP4840831B2 (ja) * 2010-04-27 2011-12-21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用塗布体
FR2962015B1 (fr) * 2010-07-01 2012-08-31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CN102648796B (zh) * 2011-02-28 2015-12-02 苏州洽兴塑胶有限公司 弯式睫毛刷头
FR2979525B1 (fr) * 2011-09-01 2013-09-27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ou sourcils.
JP5279886B2 (ja) * 2011-12-06 2013-09-04 株式会社 資生堂 マスカラ塗布具
FR3004905B1 (fr) * 2013-04-26 2016-02-12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JP6249272B2 (ja) 2013-09-02 2017-12-20 フィグラ株式会社 化粧料塗布体
FR3012021B1 (fr) * 2013-10-22 2015-11-06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etique et ensemble applicateur associe
FR3012022B1 (fr) * 2013-10-22 2016-06-24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etique et ensemble applicateur associe
FR3030204B1 (fr) * 2014-12-23 2017-01-27 Oreal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FR3035779B1 (fr) * 2015-05-06 2017-09-01 Oreal Applicateur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8476A4 (en) 2019-08-21
CN108430258B (zh) 2021-06-18
EP3398476A1 (en) 2018-11-07
JP6157712B2 (ja) 2017-07-05
TW201728354A (zh) 2017-08-16
EP3398476B1 (en) 2021-12-08
CN108430258A (zh) 2018-08-21
US20190281951A1 (en) 2019-09-19
JP2017119108A (ja) 2017-07-06
HK1252246A1 (zh) 2019-05-24
US10980331B2 (en)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018A (ko)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US6779532B2 (en) Cosmetic brush for applying eyeliner to the lashline
US6536445B2 (en) Rod member for an eyelash perm
KR102313932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JP6416127B2 (ja) 3次元プロファイルを備えたステム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WO2017115825A1 (ja)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US20030209251A1 (en) Hair separator and fluid applicator apparatus with improved fluid retention
US20230014623A1 (en) Applicator for applying makeup to human keratin fibres, in particular the eyebrows
JP4097450B2 (ja) まつ毛パーマ用ロッド
JP2002363815A (ja) 目元化粧用具
JP2008220742A (ja) マスカラ塗布具
JP3612322B2 (ja) まつ毛用ロット
TW202027646A (zh) 化妝部件
JP5740141B2 (ja) まつ毛用化粧料塗布具
JP2008114058A (ja) マスカラ塗布具
WO2001065965A1 (fr) Houppette a poudre
WO2017212539A1 (ja) 化粧用パフ
KR102121224B1 (ko) 속눈썹 성형기구
JP2016010678A (ja) 化粧料塗布具
US10588395B2 (en) Apparatus for proper application of makeup and nail polish and methods thereof
KR200378739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WO2022004176A1 (ja) 化粧料塗布体
KR102274606B1 (ko) 헤어 퍼프
KR200348013Y1 (ko) 눈썹 그리개
KR200281532Y1 (ko) 평거울과 볼록거울이 양면에 각기 부착된 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