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606B1 - 헤어 퍼프 - Google Patents

헤어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06B1
KR102274606B1 KR1020190108723A KR20190108723A KR102274606B1 KR 102274606 B1 KR102274606 B1 KR 102274606B1 KR 1020190108723 A KR1020190108723 A KR 1020190108723A KR 20190108723 A KR20190108723 A KR 20190108723A KR 102274606 B1 KR102274606 B1 KR 10227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ir
puff
fitting
fing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814A (ko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월드 filed Critical (주)제이엠월드
Priority to KR102019010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2019/0033Processes for treating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와 모발에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바르기 위한 헤어전용의 헤어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일단의 일부분에 부착 고정되어 사용자의 특정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일단의 일부분에 부착 고정되되,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면이 두피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상기 두피에 심어져 있는 머리카락을 끼워서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끼워진 머리카락에 골고루 바르기 위하여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인 모발 수용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 퍼프{A Hair Puff}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의 일종인 파운데이션(Foundation) 퍼프(Puff)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발이나 두피에 파운데이션을 골고루 바를 수 있는 헤어 퍼프(A Hair Puff)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은 큐티클 층 (cuticle layer)과 피질(cortex) 및 수질(medulla)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큐티클 층은 최외각에 존재하는 층으로, 피질을 둘러싸서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건강모발의 손상되지 않은 큐티클은 표면이 매끄러우며, 빛을 굴절시키고, 머리카락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모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으며, 구체적으로 차고 건조한 바람, 실내 난방 및 무리한 빗질, 스트레스, 영양부족, 수면부족 등의 요인으로 인해 모발은 손상된다. 또한, 최근 현대인들이 모발 또한 하나의 패션으로 인식하면서 염색, 퍼머, 탈색 등의 헤어 시술을 자주 받거나 헤어 미용 제품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헤어드라이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모발의 손상은 빈번하게 발생한다.
다양한 물리, 화학적 또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모발이 손상되는 경우 모발의 큐티클 층의 손실을 유발하며 모발 내부의 단백질 및 지질이 용출되어 모발이 거칠어지고 윤기를 잃으며 마찰력이 증가하여 쉽게 엉키며 모발이 쉽게 절단되거나 끝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탄력 상실로 인해 모발이 쳐지면서 볼륨감이 없어지거나 모발이 가늘어지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이에 더해서, 손상된 모발은 다시 수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평소에 세심하게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윤기 있고 탄력 있는 모발을 유지할 수 있는 컨디셔닝제(모발 상태 개선)나 헤어 스타일링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와 선호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헤어 컨디셔닝제나 헤어 스타일링제는 모발 표면에 도포되어 모발을 윤기 있고, 탄력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물리적 세팅 방법이다. 이러한 헤어 스타일링제로는 대표적으로 헤어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오일, 헤어 젤, 헤어 왁스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헤어 스타일링제는 사용성과 휴대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메이크업 베이스로 사용되는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료는, 색조 분말원료에 고착제(binder), 유화제(emulsifier)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고 일정온도에서 용융, 냉각시킨 뒤 내용물을 파운데이션 케이스와 같은 화장품 용기에 담아 완제품으로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얼굴 내지 노출된 피부)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puff)이다.
일반적으로, 퍼프(puff, 분첩)라 함은 기초화장을 위해 분말상태의 파우더 등을 얼굴에 바르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도구의 일종으로서, 주로 통기성이 있는 재질의 발포 스폰지나 NBR라텍스 또는 NR라텍스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퍼프는 화장품 종류 및 용기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통상적으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사각판 또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을 끼워 퍼프 상면에 대응하도록 밴드 형태의 손잡이를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전형적인 화장용 퍼프(1)가 되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퍼프(1)는 본체와 손잡이띠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손가락 두개를 손잡이띠에 삽입한 상태에서 퍼프의 본체면을 파운더에 접촉하여 화장료를 본체면에 묻힌 상태로 얼굴 등의 피부에 상기 본체 밑면을 접촉시켜 화장료를 얼굴에 전달시켜 화장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퍼프(1)의 형상을 개선하여 기능을 향상시킨 여러가지 형태의 퍼프들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을 통해 공개되었다.
먼저,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8-0003314 호)은 도 2와 같은 형상을 갖는 화장용 퍼프(10)를 제안한다. 특허문헌 1의 퍼프(10)는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중공부(12)가 형성된 본체부(11); 및 상기 중공부(12) 내주면의 하측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를 포함한다. 이렇게 퍼프(10)를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골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파지가 용이하고, 피부에 닿는 부분의 형태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8-0094214 호)는 도 3과 같은 형상의 화장용 핑거퍼프(20)를 제안한다. 특허문헌 2의 핑거퍼프(20)는 사용자 손가락 끝단측 마디부위로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콘 형상으로 끼움공(23)이 형성되고, 화장부위를 넓게 펼쳐 화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퍼프바디(22)와; 첨두 아치(뾰족 아치;Pointed Arch)형의 돔 형상으로 상기 퍼프바디(22)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퍼프헤드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얼굴과 같은 입체적 형상의 화장이 용이하고, 사용시 손으로 변형하여 잡거나 밴드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손가락 마디에 끼움 결합하여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화장이 가능하며, 360도 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고, 오목한 부위나 집중적으로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를 주변의 번짐 없이 화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분말형태에서 액상형태에 이르기까지 화장품의 형태와 상관없이 범용 사용이 가능하고, 화장과정에서 손가락에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아 화장 후 손가락을 별도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특허문헌 3(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7-0111611 호)은 도 4와 같은 형상의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30)를 제안한다. 특허문헌 3의 화장도구(30)는 길게 연장된 제1면(31a)과; 상기 제1면(31a)과 마주하며, 상기 제1면(31a)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31b)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손가락 구별 공간을 형성하는 제3면(3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2개의 손가락(검지와 중지)을 화장도구(30)에 삽입하고, 화장도구(30)의 외면(31)에 화장료를 흡수시키고 얼굴 등에 화장도구를 밀착시켜 화장료를 배출하면서 화장을 실시하게 된다. 이렇게 손가락에 화장도구를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직접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으로 화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퍼프들은 얼굴에 화장료를 고르게 바르는데에는 적합하지만, 모발과 두피에 파운더 형태의 헤어 스타일링제나 헤어 컨디셔닝제와 같은 모발 관리용 제형을 고르고 균일하게 바르는데는 부적합하다.
이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기존의 얼굴 화장용 퍼프는 넓은 면적의 얼굴에 화장료를 골고루 바를 수 있도록 화장료를 담지해서 얼굴과 접촉하는 퍼프의 밑면이 하나의 단일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기존의 얼굴 화장용 퍼프는 파운더나 왁스 또는 젤 등을 두피와 모발에 골고루 바르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로서 모발 관리를 위한 헤어 퍼프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헤어 컨디셔닝제나 헤어 스타일링제를 파운더나 왁스 또는 젤 등의 형태로 제조하여 콤팩트와 같은 화장도구에 수납하여 사용할 경우 이렇게 콤팩트에 수납된 파운더나 왁스 또는 젤 등을 두피나 모발에 골고루 바르기 위한 모발 전용의 헤어 퍼프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KR 20-2018-0003314 U KR 10-2018-0094214 A KR 10-2017-0111611 A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헤어 스타일링제나 헤어 컨디셔닝제와 같은 헤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을 폼, 무스, 스프레이, 오일, 젤, 왁스 등의 형태가 아닌 파운데이션 형태(foundation type)로 콤팩트(compact)에 수납할 경우 사용이 좀더 편리하고, 휴대성이 증진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렇게 콤팩트에 수납된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헤어 전용의 퍼프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에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얼굴 화장용의 퍼프만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콤팩트에 수납된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두피나 모발에 쉽고, 편리하게 골고루 바를 수 있는 헤어 전용의 퍼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헤어 케어시에 가루나 고체 형태의 헤어 케어 파운데이션을 모발과 동시에 두피에도 한번에 골고루 바를 수 있는 헤어 전용의 퍼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두피와 모발에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바르기 위한 헤어전용 퍼프(Puff)로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일단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특정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제 1 손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일단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면이 두피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상기 두피에 심어져 있는 머리카락을 끼워서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끼워진 머리카락에 골고루 바르기 위하여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인 모발 수용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의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는 중공을 가진 가늘고 긴 골무(thimbl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는, 상기 모발 수용갭의 폭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간의 좌우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신축부(flexible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의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축성 있는 재질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1 마감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2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와 제 2 마감부는 본체부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1 마감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2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와 제 2 마감부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부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됨으로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제 2 손가락 끼움부에 상하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의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에는 사용자의 검지가 끼워지고,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에는 사용자의 중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의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의 내부면 하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따른 헤어 퍼프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제 2 손가락 끼움부에 끼워지는 2개의 손가락을 본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손가락 고정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퍼프는 고체 파우더나 점성이 높은 액상 물질로 이루어지는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사용자의 두피와 머리카락에 동시에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퍼프는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를 삽입한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 사이에 존재하는 모발 수용갭에 머리카락을 끼워서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두피 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에도 손쉽게 골고루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퍼프는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를 삽입한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 사이에 좌우 방향의 자유도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헤어 트리트먼트를 입체 역학적으로 돕는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형적인 얼굴 화장용 퍼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특허문헌 1의 화장용 실리콘 퍼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특허문헌 2의 화장용 핑거 퍼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특허문헌 3의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다른 헤어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hair puff)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퍼프(100)는 본체부(130)와 이 본체부(130)의 일단(A)에 부착 고정되어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는 2개의 손가락 끼움부(110, 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30)는 서로 마주보는 제1면(131)과 제2면(1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방향(155) 및 제2방향(156)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는다. 본체부(130)의 일단(A)에는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고, 타단(B)은 넓은 도포면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30)의 제2면(132)에 고체 분말이나 점성이 높은 액상 물질의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이션을 담지한 후 이 제2면(132)을 두피나 머리카락에 접촉시켜 상기 제2면(132)에 담지되어 있는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두피나 머리카락에 골고루 전달하여 바르게 된다.
상기 손가락 끼움부(110, 120)는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가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그 사이에 모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는 사용자의 각각 서로 다른 손가락이 끼워지는데, 예를 들어,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에는 검지가 끼워지고,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는 중지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는 각각 손가락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끼움 공간(111, 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 공간(111, 121)의 내부면 하측에는 돌기가 다수 형성되어 끼워진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의 길이는 손가락의 두 마디 정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적당한데, 예를 들어, 제 1 손가락 끼움부(110)는 검지의 두 마디 정도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가 적당하고, 제 2 손가락 끼움부(120)는 중지의 두 마디 정도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가 적당하다. 따라서,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 사이에는 케어할 모발을 끼워서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끼워진 모발에 골고루 바르기 위한 틈새 공간으로서 모발 수용갭(140)이 형성된다. 이 모발 수용갭(140)은 상기 본체부(130)의 제2면(132)이 두피와 접촉되거나 마주한 상태에서 해당 두피에 심어져 있는 머리카락이 통과되는 부분으로 사용자는 모발 수용갭(140)에 머리카락을 끼운 상태에서 헤어 퍼프(100)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의 하면과 측면에 담지되어 있는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상기 머리카락에 전달하여 바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발 수용갭(140)의 길이는 대략 중지의 한마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폭은 성인 여성의 검지와 중지를 벌렸을 때 검지와 중지간 이격 거리의 절반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 사이에는 상기 모발 수용갭(140)과 더불어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간의 거리를 탄력있게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신축부(flexible part)(150)가 존재한다. 상기 신축부(150)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 사이에 존재하는 본체부(130)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된다. 이 신축부(150)는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가 각각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발 수용갭(140)을 늘이거나 줄이기 쉽도록 신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축부(150)는 탄력성 높은 재질을 적용하여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 좌우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축부(150)는 본체부(130)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좀더 신축성 있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본체부(130)의 일단(A)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1 마감부(113)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와 본체부(130)의 일단(A)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2 마감부(123)는 완전히 부착, 고정되거나 도 7과 같이 일부가 본체부(130)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 1 마감부(113)와 상기 제 2 마감부(123)의 일부만 본체부(130)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가 본체부(130)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 좌우 방향의 자유도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점에서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 상하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마감부(113)와 상기 제 2 마감부(123)의 일부에 신축부를 개재하는 등 다른 수단들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부(130)와 상기 손가락 끼임부(110, 120)는 천재질 및/또는 고분자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천 재질로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재질로는 다공성 재질, 특히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5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서 예를 들어,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0)와 상기 손가락 끼임부(110, 120) 및 상기 신축부(150)의 재질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에도 다양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가변되는 형태일 수 있고, 일례로 원판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면이 원이거나 타원, 삼각형, 직사각형, 별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본체부(130)는 일측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타측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0)의 두께는, 사용자가 본체부(130)의 제2면(132)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찍어 피부에 도포할 때, 적당한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치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130)의 제1면(131)과 제2면(132)은 다층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끼움부(110, 120)의 손가락과 접하는 내층은 화장료가 침투하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고분자 필름, 고분자 필름은 손가락과의 밀착성을 위해 송진을 포함할 수 있다)로 이루어지고 외층은 천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층은 천재질 외에 또는 천재질과 함께 다공성 재질, 특히 발포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30)의 제1면(131)과 제2면(132)은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131)과 제2면(132)은 표면 거칠기, 표면 특성(친수성/소수성 등) 및/또는 파운데이션 흡수도가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표면 특성은 제1면(131)과 제2면(132)의 외면 재질을 다르게 하거나, 표면처리를 달리하여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다른 헤어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200)는 본체부(230)와 이 본체부(230)의 일단(A)에 형성되어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는 2개의 손가락 끼움부(210, 2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제1면(231)과 제2면(2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방향(255) 및 제2방향(256)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는다. 본체부(230)의 일단(A)에는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고, 타단(B)은 넓은 도포면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230)의 제2면(232)에 고체 분말이나 점성이 높은 액상 물질의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이션을 담지한 후 이 제2면(232)을 두피나 머리카락에 접촉시켜 상기 제2면(232)에 담지되어 있는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두피나 머리카락에 골고루 전달하여 바르게 된다.
상기 손가락 끼움부(210, 220)는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가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그 사이에 모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는 사용자의 각각 서로 다른 손가락이 끼워지는데, 예를 들어,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에는 검지의 끝마디가 끼워지고, 제 2 손가락 끼움부(220)에는 중지의 끝마디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에는 각각 손가락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끼움 공간(111, 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의 길이는 손가락의 한 마디나 그 절반 정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적당한데, 예를 들어, 제 1 손가락 끼움부(210)는 검지의 한 마디 정도를 끼울 수 있는 길이가 적당하고, 제 2 손가락 끼움부(220)는 중지의 한 마디 정도를 끼울 수 있는 길이가 적당하다. 따라서,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는 본체부(230)의 일단(A)의 일부를 일정한 길이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 사이에는 케어할 모발을 끼워서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끼워진 모발에 골고루 바르기 위한 틈새 공간으로서 모발 수용갭(240)이 형성된다. 이 모발 수용갭(240)은 상기 본체부(230)의 제2면(232)이 두피와 접촉되거나 마주한 상태에서 해당 두피에 심어져 있는 머리카락이 통과되는 부분으로 사용자는 모발 수용갭(240)에 머리카락을 끼운 상태에서 헤어 퍼프(200)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의 하면과 측면에 담지되어 있는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상기 머리카락에 전달하여 바르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30)의 일단(A)과 타단(B)의 경계부위에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에 끼워지는 2개의 손가락을 본체부(230)에 고정하기 위한 손가락 고정띠(260)가 배치된다. 이 손가락 고정띠(260)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에 검지의 한마디와 중지의 한마디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중에 검지와 중지가 제 1 손가락 끼움부(2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22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손가락을 본체부(2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가락 끼임부(210, 220)는 상기 본체부(23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 끼움부(210, 220)와 본체부는 동일한 재질인 천재질 및/또는 고분자 재질로 만들어진다. 천 재질로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재질로는 다공성 재질, 특히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230)와 상기 손가락 끼임부(210, 220)의 재질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에도 다양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3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가변되는 형태일 수 있고, 일례로 원판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면이 원이거나 타원, 삼각형, 직사각형, 별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본체부(230)는 일측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타측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30)의 두께는, 사용자가 본체부(230)의 제2면(232)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찍어 피부에 도포할 때, 적당한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치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230)의 제1면(231)과 제2면(232)은 다층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30)의 제1면(231)과 제2면(232)은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231)과 제2면(232)은 표면 거칠기, 표면 특성(친수성/소수성 등) 및/또는 파운데이션 흡수도가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표면 특성은 제1면(231)과 제2면(232)의 외면 재질을 다르게 하거나, 표면처리를 달리하여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100)를 이용하여 두피와 모발에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골고루 바르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200) 역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사용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200)의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100)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퍼프(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퍼프(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헤어 퍼프(100)의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의 제 1 끼움공간(111)에 검지를 끼워넣기 위해 제 1 끼움공(112)을 통해 손가락의 검지를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에 삽입한다. 이어서, 손가락의 중지를 제 2 끼움공간(121)에 끼워넣기 위해 제 2 끼움공(122)을 통해 제 2 손가락 끼움부(110)에 삽입한다.
이렇게 검지와 중지가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미도시된 콤팩트에 수납되어 있는 고체 분말이나 점성이 높은 액상 물질의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본체부(130)의 제2면(132)과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의 하면과 마주보는 안쪽 측면에 충분히 묻혀서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헤어 퍼프(100)의 표면에 담지한다.
이렇게 헤어 퍼프(100)에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담지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케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헤어 퍼프(100)을 근접시켜서 본체부(130)의 제2면(132)은 사용자의 두피에 닿고,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 사이의 모발 수용갭(140)에는 두피에 심어져 있는 머리카락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모발 수용갭(140)에 머리카락을 손쉽게 수용하기 위해서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를 상기 신축부(150)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 1 마감부(113)와 제 2 마감부(123)의 일부분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렇게 본체부(130)의 제2면(132)이 사용자의 두피에 닿은 상태에서 두피를 톡톡치거나 문지르는 것에 의해 제2면(132)의 표면에 담지되어 있는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두피 표면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 사이의 상기 모발 수용갭(140)에 머리카락을 끼운상태로 헤어 퍼프(100)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110)와 제 2 손가락 끼움부(120)의 하면과 측면에 담지되어 있는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상기 모발 수용갭(140)에 끼워져 있는 머리카락에 골고루 묻혀 전달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퍼프를 이용하여 콤팩트에 수납되어 있는 고체 분말 또는 점성이 높은 액체 물질의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사용자의 두피와 머리카락에 골고루 바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헤어를 스타일링하거나 볼륨업 등을 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200 : 헤어 퍼프, 110,210 : 제 1 손가락 끼움부, 120,220 : 제 2 손가락 끼움부, 111,211 : 제 1 끼움공간, 112,212 : 제 1 끼움공, 121,221 : 제 2 끼움공간, 122 : 제 2 끼움공, 130,230 : 본체부, 131,231 : 제 1 면, 132,232 : 제 2 면, 113 : 제 1 마감부, 123 : 제 2 마감부, 140,240 : 모발 수용갭, 150 : 신축부

Claims (9)

  1. 두피와 모발에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바르기 위한 헤어전용 퍼프(Puff)로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일단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특정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일단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면이 두피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상기 두피에 심어져 있는 머리카락을 끼워서 상기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을 끼워진 머리카락에 골고루 바르기 위하여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인 모발 수용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는 중공을 가진 가늘고 긴 골무(thimbl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수용갭의 폭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간의 좌우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신축부(flexible pa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제 2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축성 있는 재질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1 마감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2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와 제 2 마감부는 본체부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1 마감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이 맞닿아 접촉하는 제 2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와 제 2 마감부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부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됨으로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제 2 손가락 끼움부에 상하 방향의 자유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의 내부면 하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와 제 2 손가락 끼움부에 끼워지는 2개의 손가락을 본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손가락 고정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9.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끼움부에는 사용자의 검지가 끼워지고, 상기 제 2 손가락 끼움부에는 사용자의 중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퍼프.
KR1020190108723A 2019-09-03 2019-09-03 헤어 퍼프 KR10227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723A KR102274606B1 (ko) 2019-09-03 2019-09-03 헤어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723A KR102274606B1 (ko) 2019-09-03 2019-09-03 헤어 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14A KR20210027814A (ko) 2021-03-11
KR102274606B1 true KR102274606B1 (ko) 2021-07-07

Family

ID=7514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723A KR102274606B1 (ko) 2019-09-03 2019-09-03 헤어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5200A1 (en) * 2016-11-08 2018-05-10 Debi Byrnes Applicator
KR101947728B1 (ko) * 2017-10-31 2019-02-13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을 가지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748B1 (en) * 2011-09-27 2013-07-09 Gursel Satir Hair styling accessory
KR20170111611A (ko) 2016-03-29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KR20180094214A (ko) 2017-02-15 2018-08-23 도승인 화장용 핑거퍼프
KR20180003314U (ko)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화장용 실리콘 퍼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5200A1 (en) * 2016-11-08 2018-05-10 Debi Byrnes Applicator
KR101947728B1 (ko) * 2017-10-31 2019-02-13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을 가지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14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4078B2 (ja) アプリケータとその収容ユニット
JP3249106B2 (ja) 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塗布具、及び皮膚表面に製品を塗る際のその使用
US20060162735A1 (en) Applicator for make-up remover
KR102631043B1 (ko)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완드, 어플리케이터 완드 및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도포를 위한 어셈블리 및 화장용 제제를 도포하기 위한 방법
JP2013056213A (ja) パッケージ及びアプリケータ具
KR20180095018A (ko)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KR100960949B1 (ko) 피부 터치용 스폰지 브러쉬
AU2017101882A4 (en) Cosmetic applicator tool and container system
CN112543604A (zh) 化妆工具和涂抹器
KR102274606B1 (ko) 헤어 퍼프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JP3809463B1 (ja) 持ち手部分の構造
KR102038832B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용기
JPH10192045A (ja) ペン型唇用化粧料塗布容器及びリップペン
US11925250B2 (en) Cosmetic applicator
JP2008114058A (ja) マスカラ塗布具
JP6868949B2 (ja) 化粧料塗布具
JP5801942B2 (ja) 化粧料塗布具
KR101684050B1 (ko) 화장용 도구
WO2015098686A1 (ja) 化粧料塗布具
TWI633857B (zh) Cosmetic coating tool
KR101982762B1 (ko) 이중 도포스타일을 갖는 화장용 퍼프
KR101918479B1 (ko) 기름종이가 내장된 퍼프
KR101947717B1 (ko) 복합적 도포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US3255481A (en) Epidermal pad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