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611A -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611A
KR20170111611A KR1020160037428A KR20160037428A KR20170111611A KR 20170111611 A KR20170111611 A KR 20170111611A KR 1020160037428 A KR1020160037428 A KR 1020160037428A KR 20160037428 A KR20160037428 A KR 20160037428A KR 20170111611 A KR20170111611 A KR 2017011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s
finger
space
user
makeup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3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611A/ko
Publication of KR2017011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길게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면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손가락 구별 공간을 형성하는 제3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Finger inserting cosmetic applicato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하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손가락과 같은 느낌의 화장도구를 선호하는데, 퍼프 또는 연필 형태의 화장도구는 손가락과 같은 느낌을 주는데 한계가 있다.
종래에 손가락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도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일본 실용 등록 제3192683호(2014년 8월 28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하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길게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면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손가락 구별 공간을 형성하는 제3면을 포함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삽입된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3면은, 손가락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손가락 삽입방향의 단부가 막혀있고, 사용자의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은 다른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외면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외면은 화장료 흡수도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1면의 내부면, 상기 제2면의 내부면 및 상기 제3면 중 적어도 일부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된 손가락에 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화장 시에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구별부를 포함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부는 화장료 흡수 특성이 상이한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손가락 삽입방향의 단부가 막혀있고, 사용자의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은 다른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하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는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다른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는 나타낸 것이다.
화장도구(1)는 본체부(10)와 구별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서로 마주보는 제1면(110)과 제2면(1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일단(A)은 막혀있으며, 타단(B)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구별부(20, 제3면)는 막혀있는 일단(A)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수용공간 내에서 제1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구별부(20)는 제1면(110)과 제2면(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별부(20)에 의해 일단(A)에 가까운 수용공간은 구별되어 제1구별공간과 제2구별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별부(20)의 위치는 손가락 단부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도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구별부(2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체부(10) 및 구별부(20)는 천재질 및/또는 고분자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천 재질로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재질로는 다공성 재질, 특히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면(110)과 제2면(120)은 다층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손가락과 접하는 내층은 화장료가 침투하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고분자 필름, 고분자 필름은 손가락과의 밀착성을 위해 송진을 포함할 수 있다)로 이루어지고 화장료 및 화장대상 피부에 접하는 외층은 천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층은 천재질 외에 또는 천재질과 함께 다공성 재질, 특히 발포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2개의 손가락을 수용공간에 삽입하며,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화장도구(1)를 사용한다. 2개 손가락 각각의 단부는 서로 구별된 제1구별공간과 제2구별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제1면(110)과 제2면(120)은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110)과 제2면(120)은 표면 거칠기, 표면 특성(친수성/소수성 등) 및/또는 화장료 흡수도가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표면 특성은 제1면(110)과 제2면(120)의 외면 재질을 다르게 하거나, 표면처리를 달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제1면(110)과 제2면(120) 중 적어도 하나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의 효과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2개의 손가락을 화장도구(1)에 삽입한다. 검지와 중지를 삽입하는 경우 검지의 단부는 제1구별공간에 위치하고 중지의 단부는 제2구별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장도구(1)의 외면에 화장료를 흡수시키고 얼굴 등에 화장도구(1)를 밀착시켜 화장료를 배출하면서 화장을 실시하게 된다.
손가락에 화장도구(1)를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직접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으로 화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과정에서 화장도구(1)에는 도 1의 제2방향으로의 힘, 즉 제1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만약 화장도구(1)가 손가락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방향으로 회전한다면, 화장료를 흡수한 위치가 변경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구별공간과 제2구별공간을 형성하는 구별부(20)가 화장도구(1)의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과 화장도구(1)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화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부(10)의 신축성으로 인해, 손가락 삽입상태에서 본체부(10)는 손가락과 밀착되어 화장도구(1)의 회전을 추가로 방지한다. 또한 본체부(10)와 손가락의 밀착으로 인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직접 사용하는 것과 더욱 가까운 느낌을 가지게 된다.
제1면(110)과 제2면(120)의 성질이 다른 경우,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제1면(110)과 제2면(120)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제1면(110)은 액상 화장료의 화장에 사용하고 도 6의 (b)와 같이 제2면(120)은 분말 화장료의 화장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면(120)을 사용하고자 할 때 도 6의 (b)와 같이 손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도 6의 (c)와 같이 손가락만 구부려 제2면(120)의 일부가 얼굴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1면(110)은 화장에 사용하고 제2면(120)은 화장료의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도포면이 도 6의 (a)와 같이 손바닥 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어느 한 면을 사용한 후, 다른 면을 사용할 때는 화장도구(1)를 뺐다가 도포면이 다시 손바닥 쪽을 향하도록 다시 착용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도구(1)의 회전이 방지되어 제1면(110)과 제2면(120)의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제1면(110)과 제2면(120)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단면도이다. 구별공간을 형성하는 제1면(110) 및 제2면(120) 표면에 돌기(111, 121)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11, 121)에 의해 손가락과 본체부(10)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화장도구(1)의 고정이 더욱 향상된다.
돌기(111, 121)는 제1면(110) 및 제2면(120)과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구별부(20)에 추가로 형성되거나 구별부(2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 손가락과의 고정을 향상시키는 코팅층이 단독 또는 돌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단면도이다.
제1면(110)과 제2면(120)은 서로 구별되어 있으며, 접착제, 열융착 또는 박음질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110)과 제2면(120)의 외부면의 표면특성을 상이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서는 수용공간이 제1면(110)과 제2면(120)의 결합으로 제1구별공간과 제2구별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즉, 제4실시예에서 구별부(20)는 제1면(110)과 제2면(1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면(110)과 제2면(120)의 결합은 접착제, 열융착 또는 박음질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표시한 제5실시예에서는 일단(A)에서 손가락별로 수용공간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관만을 보고 검지는 제1구별공간에 중지는 제2구별공간에 넣어야 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손가락과 각 면(110, 120)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면(110)과 제2면(120)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면(110)과 제2면(120)을 구별하는 다른 표시가 없이도 사용자는 제1면(110)과 제2면(120)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제5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도구(1)과 손가락의 밀착이 더욱 향상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직접 사용하는 것과 더욱 가까운 느낌을 가지게 된다.
도 11에 표시한 제6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의 타단(B)에 가까운 부분에 별도의 추가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층(30)은 화장료가 침투하기 어려운 재질로 되어 있어, 화장에 있어 화장료가 화장도구(1)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여 손가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추가층(30)을 탄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화장도구(1)와 손가락과의 밀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에 표시한 제7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일단(A)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즉, 수용공간의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7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장도구(1)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노출된 자신의 손가락 단부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단부만이 노출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에 있어서,
    길게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면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손가락 구별 공간을 형성하는 제3면을 포함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삽입된 손가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은,
    손가락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손가락 삽입방향의 단부가 막혀있고,
    사용자의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은 다른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외면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외면은 화장료 흡수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1면의 내부면, 상기 제2면의 내부면 및 상기 제3면 중 적어도 일부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10.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에 있어서,
    복수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된 손가락에 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화장 시에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구별부를 포함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화장료 흡수 특성이 상이한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손가락 삽입방향의 단부가 막혀있고,
    사용자의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은 다른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KR1020160037428A 2016-03-29 2016-03-29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KR20170111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428A KR20170111611A (ko) 2016-03-29 2016-03-29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428A KR20170111611A (ko) 2016-03-29 2016-03-29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11A true KR20170111611A (ko) 2017-10-12

Family

ID=6014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428A KR20170111611A (ko) 2016-03-29 2016-03-29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14A (ko) 2019-09-03 2021-03-11 (주)제이엠월드 헤어 퍼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14A (ko) 2019-09-03 2021-03-11 (주)제이엠월드 헤어 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2119C2 (ru) Ручка бритвенного станка, содержащая элемент в ее полости, и бритвенный станок с такой ручкой
RU2566694C2 (ru) Удерживаемое в рук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ось вращения
EP2808061A1 (en) Double-sided anti-slip towel mat
JP2016507330A (ja) 剃刀用ハンドル
KR20180020294A (ko) 섬유 및 스크린 네트를 갖는 함침된 물품
CN105008100A (zh) 紧凑的手持式装置
US10653227B2 (en) Hollow unpressurized bouncy cosmetic applicator
US10449093B2 (en) Fingertip cleaning apparatus
US8529149B2 (en) Sponge type make-up brush
JP2012529928A (ja) グラウト清掃用具
KR20170111611A (ko)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KR20180094322A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EP2612602B1 (en) Touch perception sensitising glove
CN108698366B (zh) 传递性上升的化妆工具
KR20220101597A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TWI713717B (zh) 可維持已改變形狀的化妝品敷塗器
KR101947728B1 (ko)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을 가지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0454459Y1 (ko) 통기수단을 구비한 필기구
KR20160046020A (ko) 화장용 퍼프
JP2005177163A (ja) 化粧用パフ
KR20180003554U (ko) 화장용 퍼프
KR200331723Y1 (ko) 방수기능을 갖는 면장갑
KR20180003314U (ko) 화장용 실리콘 퍼프
KR200488181Y1 (ko) 화장 도구
KR102274606B1 (ko) 헤어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