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14A - 화장용 핑거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핑거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14A
KR20180094214A KR1020170020245A KR20170020245A KR20180094214A KR 20180094214 A KR20180094214 A KR 20180094214A KR 1020170020245 A KR1020170020245 A KR 1020170020245A KR 20170020245 A KR20170020245 A KR 20170020245A KR 20180094214 A KR20180094214 A KR 2018009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
makeup
finger
m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승인
Original Assignee
도승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승인 filed Critical 도승인
Priority to KR102017002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4214A/ko
Publication of KR2018009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손가락 끝단측 마디부위로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콘 형상으로 끼움공(110)이 형성되고, 화장부위를 넓게 펼쳐 화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퍼프바디(100)와; 첨두 아치(뾰족 아치;Pointed Arch)형의 돔 형상으로 상기 퍼프바디(100)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퍼프헤드(200);로 형성되어 종래 평면적 화장에 유리한 화장용 퍼프의 문제점을 벗어나 사용자 얼굴과 같은 입체적 형상의 화장이 용이하고, 사용시 손으로 변형하여 잡거나 밴드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손가락 마디에 끼움 결합하여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화장이 가능하며, 360도 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고, 오목한 부위나 집중적으로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를 주변의 번짐 없이 화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분말형태에서 액상형태에 이르기까지 화장품의 형태와 상관없이 범용 사용이 가능하고, 화장과정에서 손가락에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아 화장 후 손가락을 별도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핑거퍼프{FINGER PUFF FOR MAKE-UP}
본 발명은 화장용 핑거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마디에 끼움결합하여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퍼프의 사용이 가능하고, 360도 방향으로 퍼프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핑거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프(puff, 분첩)라 함은 기초화장을 위해 분말상태의 파우더 등을 얼굴에 바르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도구의 일종으로서, 주로 통기성이 있는 재질의 발포 스폰지나 NBR라텍스 또는 NR라텍스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퍼프는 화장품 종류 및 용기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통상적으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사각판 또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을 끼워 퍼프 상면에 대응하도록 밴드 형태의 손잡이를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보다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용기에 씌워져 결합하는 캡 형태의 퍼프가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화장용 퍼프는 일반적으로 퍼프부재가 니트릴 부타딘엔 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스티렌 부타딘엔 러버(Styrene Butadie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후로킹스폰지, Rubycell(습식 URETHANE), 폴리우레탄, 코튼 벨루어(Cotton Velour),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니트릴 부타딘엔 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라텍스 스폰지(LATEX SPONGE)는 내유성이 강하여 유분이 많은 화장에 적합하고, 내마모성과 내수성이 강하여 세탁시나 장기 사용시 체적변화와 셀 균열이 없고 탄성 복원력이 뛰어나며, 색상, 모양, 밀도,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트윈케익, 스킨커버, 리퀴드 화운데이션, 클렌징용으로서 권장된다.
또한 스티렌 부타딘엔 러버(Styrene Butadiene Rubber)는 부드럽고 터치감이 좋으며, 라텍스 스폰지(LATEX SPONGE)에 라벨을 부착하여 화장품을 다루기 용이하다. 상기한 천연고무는 화장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일회용이나 여행용으로 사용되고, 어떠한 모양이나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후로킹 스폰지는 터치감이 뛰어나고 밀입자 화장에 용이하며, 라벨이나 가죽 또는 천을 부착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모양과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트윈케익, 파우더용으로서 권장되며, 습식 우레탄은 터치감이 좋고 내유성이 강하며, 고른 셀 분포로 매끄러움이 뛰어나고, 어떠한 형태나 크기로 가장자리 연마나 실링이 가능하며, 스킨커버, 트윈케익, 리퀴드 화운데이션, 눈화장용(applicator)으로서 권장된다.
상기 코튼 벨루어(Cotton Velour)는 가루분을 다루기가 용이하며, 라벨 및 천을 부착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콤펙트, 파우더용으로서 권장된다. 상기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은 수분을 잘 흡수하여 세안용, 화장제거용, 청소용으로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퍼프부재를 이용한 종래의 화장용 퍼프는 대부분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퍼프가 대부분이고,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의 판상으로 단일 퍼프부재로 형성된 구성의 경우는 사용자가 퍼프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화장과정에서 화장품이 손에 묻는 등으로 인해 주변 환경의 오염원으로서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판상의 퍼프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과정에서 퍼프를 변형시켜야만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퍼프의 손상과 화장품이 퍼프에 잘 묻지 않아 화장시간의 증대와 화장품의 사용량 증대 등의 문제와 더불어 사용자 손놀림이 부자연스러워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원형 또는 사각의 판상의 화장용 퍼프에 밴드를 부착한 경우에는 퍼프를 변형시키지 않고 밴드와 퍼프 사이로 손가락을 끼워 밴드가 손가락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퍼프의 바닥면 측으로 화장품을 묻혀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 편의성이 일부 개선되긴 하였으나 이 역시 퍼프의 일면만의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손놀림에 따른 퍼프의 사용 어려움이 있으며, 밴드와 퍼프 사이에 끼워진 손가락과의 공간으로 인해 퍼프가 손가락 사이에서 노는 형상으로 파지되어 손가락 놀림에 따른 화장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손가락으로 터치하며 화장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어려움이 따르고, 특정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화장을 하고자 할 경우에도 전체 면적이 넓어 화장품이 특정부위 이외 다른 부위로 넓게 퍼져 화장이 되는 문제로 인해 다시 화장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 등으로 인한 화장시간의 증대와 화장의 불편함이 따른다.
다음으로, 캡형태의 퍼프의 경우 캡에 의해 손에 화장품이 묻어나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지만 캡에 의한 퍼프의 변형이 방지되어 퍼프의 변형되면서 화장해야 하는 부위에는 화장의 어려움이 따르고, 캡 결합을 위한 공정 및 비용이 상승하여 소비자가 경제적 부담을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퍼프 모두 일반적인 평면적인 화장용 퍼프에 해당되어 다분이 2차원적인 화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즉, 평면상에 화장품을 터치하여 바르는 형태의 화장만이 가능하고, 오목하거나 볼록한 입체적 부분에는 화장을 하기가 상당히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최근 점액타입의 화장품과 같은 액상형은 손가락을 놀리면서 피부에 접촉하여 화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게 되면 퍼프에 화장품이 다량 흡수되거나 적정 사용량만으로 화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분이 평면적 화장만이 가능했던 종래의 화장용 퍼프는 화장의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코와 볼 사이의 오목한 부분이나 입술과 턱사이, 미간과 눈사이, 코의 측면 등과 같은 입체적 형상을 하고 있는 부위에는 종래의 평면적 화장을 위한 화장용 퍼프로는 화장의 한계가 있어 브러쉬나 때에 따라서는 손가락으로 직접 문질러 화장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얼굴과 같은 입체적 굴곡이 형성된 부위의 화장을 위해서는 보다 입체적 화장이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화장용 퍼프로 화장을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입체적 화장을 위한 화장용 퍼프가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2002-0012992호, 출원일자 2002년4월29일.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34466호, 출원일자 2012년11월26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종래 평면적 화장에 유리한 화장용 퍼프의 문제점을 벗어나 사용자 얼굴과 같은 입체적 형상의 화장이 용이하고, 사용시 손으로 변형하여 잡거나 밴드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손가락 마디에 끼움결합하여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화장이 가능하며, 360도 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고, 오목한 부위나 집중적으로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를 주변의 번짐없이 화장이 가능한 화장용 핑거퍼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말형태에서 액상형태에 이르기까지 화장품의 형태와 상관없이 범용 사용이 가능하고, 화장과정에서 손가락에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아 화장후 손가락을 별도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화장용 핑거퍼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핑거퍼프는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사용자 손가락 끝단측 마디부위로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콘 형상으로 끼움공(110)이 형성되고, 화장부위를 넓게 펼쳐 화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퍼프바디(100)와; 첨두 아치(뾰족 아치;Pointed Arch)형의 돔 형상으로 상기 퍼프바디(100)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퍼프헤드(2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퍼프헤드(200)는 첨두 아치 형의 돔 형상 상단 중심에 뾰족하게 형성되어 화장품을 묻혀 화장하고자 하는 대상부분의 시작을 하기 위해 형성되는 포인트부(210)와; 상기 포인트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퍼프바디(100)로 이어지는 볼록한 곡선면을 형성한 첨두 아치형의 돔 형상 둘레를 통해 화장품의 터치 또는 발림 작용을 하도록 형성된 화장발림부(2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볼록한 곡선면을 가지는 상기 화장발림부(220)의 상기 포인트부(210)로부터 퍼프바디(100)로 이어지는 경사각 θ는 15~6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퍼프바디(100)와 상기 퍼프헤드(200)는 니트릴 부타딘엔 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스티렌 부타딘엔 러버(Styrene Butadie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후로킹스폰지, Rubycell(습식 URETHANE), 폴리우레탄, 코튼 벨루어(Cotton Velour),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 평면적 화장에 유리한 화장용 퍼프의 문제점을 벗어나 사용자 얼굴과 같은 입체적 형상의 화장이 용이하고, 사용시 손으로 변형하여 잡거나 밴드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손가락 마디에 끼움 결합하여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화장이 가능하며, 360도 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고, 오목한 부위나 집중적으로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를 주변의 번짐 없이 화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분말형태에서 액상형태에 이르기까지 화장품의 형태와 상관없이 범용 사용이 가능하고, 화장과정에서 손가락에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아 화장후 손가락을 별도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는 종래 화장용 퍼프와 같이 손가락으로 퍼프를 변형시켜 파지하거나 퍼프에 형성된 밴드에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손가락 끝단 마디측에 끼움결합하여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일면만 사용하던 종래 퍼프와는 달리 360도 방향 모두를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화장시 미세한 터치와 화장이 힘든 오목한 입체적 형상 부위도 손가락의 놀림에 의해 용이하게 화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바디(100), 퍼프헤드(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퍼프바디(100)와 퍼프헤드(200)는 일체로 형성되고, 니트릴 부타딘엔 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스티렌 부타딘엔 러버(Styrene Butadie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후로킹스폰지, Rubycell(습식 URETHANE), 폴리우레탄, 코튼 벨루어(Cotton Velour),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퍼프바디(100)는 화장부위를 넓게 펼쳐 화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 손가락 끝단측 마디부위로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콘 형상으로 끼움공(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공(110)은 하측에서는 손가락을 끼우기 용이하도록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점차 상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사용자 손가락이 상기 끼움공(110)을 통해 끼움결합시 손가락 둘레를 가압하여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화장 중에 손가락으로부터 상기 퍼프바디(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시 손가락의 놀림을 보다 자유롭게 하면서 손가락의 놀림을 따라 퍼프바디(100)가 자유롭게 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퍼프헤드(200)는 전술한 상기 퍼프바디(100)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퍼프헤드(200)는 단면상으로는 첨두 아치(뾰족 아치;Pointed Arch; 스펀(지점간의 거리)의 반보다 긴 반경으로 두개의 원호(円弧)로 만들 수 있는 선단이 뾰족한 아치. 스펀과 반경이 같은 것을 첨두아치)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돔 형상으로 상기 퍼프바디(100)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퍼프헤드(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두아치형의 돔 형상을 이루기 위해 포인트부(210), 화장발림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포인트부(210)는 화장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가 오목하여 퍼프의 터치가 어렵거나 화장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를 특정하여 집중 화장하고자 할 경우 내지는 화장시 세밀한 화장 터치가 필요로 한 경우, 화장을 시작하고자 하는 시작부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첨두 아치 형의 돔 형상 상단 중심에 뾰족하게 형성되어 화장품을 묻혀 화장하고자 하는 대상부분의 시작을 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포인트부(210)를 화장하고자 하는 시작 부위를 선택하여 주변을 후술되는 화장발림부(220)를 통해 넓게 화장하여 완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화장발람부(22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트부(210)를 통해 화장할 부위의 위치가 선정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볍게 놀리면서 화장부위를 터치하고, 이를 통해 화장품이 화장부위에 넓게 발림되어 펼쳐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포인트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퍼프바디(100)로 이어지는 볼록한 곡선면을 형성한 첨두 아치형의 돔 형상 둘레를 통해 화장품의 터치 또는 발림 작용을 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장발림부(220)는 볼록한 곡선면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화장할 부위에 화장품을 펼쳐 발림시 화장품이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화장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볼록한 곡선면을 가지는 상기 화장발림부(220)의 상기 포인트부(210)로부터 퍼프바디(100)로 이어지는 경사각 θ는 15~60°인 것이 바람직하다. ㅇ여기서, 경사각 θ가 15°보다 작을 경우에는 화장부위를 따라 손가락 놀림에 의한 터치가 어렵고, 집중적으로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나 오목한 부위의 주변 번짐 없이 화장이 사실상 어렵다. 한편, 60°보다 크게 경사각 θ가 형성되면 원통형의 퍼프바디(100)의 몸체와 동일면에 가까워져 퍼프바디의 역할인 화장품의 펼침작용과 큰 차이를 두지 못할 뿐더러 경사각 θ가 커질수록 포인트부(210)가 퍼프바디로부터 멀어져 손가락 놀림에 의한 포인트부(210)의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경사각 θ를 이룸으로써, 퍼프헤드(200)의 포인트부(210)가 손가락 놀림에 최적상태로 따라 이동하고, 사용자가 화장하고자 하는 다양한 입체적 부위로 예를 들면 코와 볼 사이의 오목부위, 볼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진 부위, 눈 밑이나 콧잔등과 같은 집중적인 화장이 필요한 부위 등의 화장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액상의 화장품도 포인트부(210)와 화장발림부(220)를 통해 손쉽게 화장품을 묻혀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를 앞서 상술한 사용상태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코와 볼 사이의 오목부위를 화장하고자 할 경우, 종래에는 둥근 원판상의 화장용 퍼프를 면적이 좁게 손가락으로 변형한 후, 화장품을 묻혀 화장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부(210)에서 일정부분까지의 화장발림부(220)를 코와 볼이 만나는 오목부위에 퍼프의 변형없이도 가볍게 터치하면서 화장이 가능하다.
또한, 두 번째 볼과 같은 넓은 면적의 가진 부위에 화장하고자 할 경우 종래의 화장용 퍼프는 둥근 판상의 바닥면에 화장품을 묻혀 넓게 펼쳐가면서 화장을 하지만 본원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발림부(220)에 묻은 화장품을 가볍게 손가락 놀림을 통해 발림하고, 원통형의 퍼프바디(100) 측으로 넓게 펼쳐 화장이 가능하다. 이때, 종래와의 다른 점으로 본원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360도 모든 방향으로 퍼프의 사용이 가능하여 퍼프 사용수명이나 사용편의성이 우수하다.
셋째로, 눈 밑이나 콧잔등과 같은 집중적인 화장이 요할 경우에도 포인트부(210)가 집중적인 화장을 해야 할 부분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화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장이 시작될 부분에 포인트부(210)를 접촉한 후, 화장발림부(220)를 기울여 집중적으로 화장이 요하는 곳에 화장이 간편하게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화장용 핑거퍼프의 사용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바디(100)에 형성된 끼움공(110)에 손가락 끝단을 마디측으로 끼워 손가락의 놀림과 함께 퍼프가 놀림되도록 하여 마치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것과 같은 효과와 퍼프헤드(200)의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손가락 놀림에 보다 최적으로 화장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바디(100)와 퍼프헤드(200)는 원통형과 아치를 기준으로 형성하였지만 퍼프바디(100)와 퍼프헤드(200)를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포인트부(210)와 화장발림부(220)를 구성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퍼프바디 110 : 끼움공
200 : 퍼프헤드 210 : 포인트부
220 : 화장발림부

Claims (4)

  1.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사용자 손가락 끝단측 마디부위로 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에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콘 형상으로 끼움공(110)이 형성되고, 화장부위를 넓게 펼쳐 화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퍼프바디(100)와;
    첨두 아치(뾰족 아치;Pointed Arch)형의 돔 형상으로 상기 퍼프바디(100)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퍼프헤드(2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핑거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헤드(200)는 첨두 아치 형의 돔 형상 상단 중심에 뾰족하게 형성되어 화장품을 묻혀 화장하고자 하는 대상부분의 시작을 하기 위해 형성되는 포인트부(210)와;
    상기 포인트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퍼프바디(100)로 이어지는 볼록한 곡선면을 형성한 첨두 아치형의 돔 형상 둘레를 통해 화장품의 터치 또는 발림 작용을 하도록 형성된 화장발림부(2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핑거퍼프.
  3. 제 2항에 있어서,
    볼록한 곡선면을 가지는 상기 화장발림부(220)의 상기 포인트부(210)로부터 퍼프바디(100)로 이어지는 경사각 θ는 1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핑거퍼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바디(100)와 상기 퍼프헤드(200)는 니트릴 부타딘엔 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스티렌 부타딘엔 러버(Styrene Butadie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후로킹스폰지, Rubycell(습식 URETHANE), 폴리우레탄, 코튼 벨루어(Cotton Velour),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핑거퍼프.
KR1020170020245A 2017-02-15 2017-02-15 화장용 핑거퍼프 KR20180094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45A KR20180094214A (ko) 2017-02-15 2017-02-15 화장용 핑거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45A KR20180094214A (ko) 2017-02-15 2017-02-15 화장용 핑거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14A true KR20180094214A (ko) 2018-08-23

Family

ID=6345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245A KR20180094214A (ko) 2017-02-15 2017-02-15 화장용 핑거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4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14A (ko) 2019-09-03 2021-03-11 (주)제이엠월드 헤어 퍼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14A (ko) 2019-09-03 2021-03-11 (주)제이엠월드 헤어 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7411B2 (en) Ergonometric utility handle
US6601591B1 (en) Ergonomic cosmetic applicator
US5913318A (en) Product applicator and packaging unit comprising such applicator
US20070000566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US20090194126A1 (en) Article for precise application of makeup
US20070066919A1 (en) Massage device and method
US20140332026A1 (en) Hair highlighting applicator
US20190274409A1 (en) Makeup Tool
JP2018522616A (ja) 塗布およびマッサージデバイス
KR101249944B1 (ko) 진동 퍼프
JP2016123723A (ja) ヘアブラシ
KR20180094214A (ko) 화장용 핑거퍼프
CN112543604A (zh) 化妆工具和涂抹器
WO2012156740A1 (en) Skin priming device
JP6326587B2 (ja) 化粧料塗布具及び化粧料セット
KR200479285Y1 (ko) 회전 탈부착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855920B1 (ko) 브러시와 퍼프가 동시에 구비된 화장도구
KR200306866Y1 (ko) 화장용 양면 퍼프
JP2004033766A (ja) 指の先に固定可能な接着アプリケータ
KR102328183B1 (ko) 화장용 퍼프
KR200475208Y1 (ko)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KR20180070072A (ko) 브러시와 퍼프를 동시에 구비한 화장도구
KR200483714Y1 (ko) 화장 용구
KR100838237B1 (ko) 스티커형 퍼프
KR200387271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