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786A - 신호 선택 회로 및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선택 회로 및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3786A KR20180093786A KR1020170164385A KR20170164385A KR20180093786A KR 20180093786 A KR20180093786 A KR 20180093786A KR 1020170164385 A KR1020170164385 A KR 1020170164385A KR 20170164385 A KR20170164385 A KR 20170164385A KR 20180093786 A KR20180093786 A KR 201800937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verter
- signal
- input terminal
- output terminal
- control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206—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8—DC amplifiers with modulator at input and demodulator at output; Modulators or demod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ch amplifiers
- H03F3/387—DC amplifiers with modulator at input and demodulator at output; Modulators or demod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ch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393—DC amplifiers with modulator at input and demodulator at output; Modulators or demod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ch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4—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 H03F3/343—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345—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상승 하강의 동작이 고속인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회로를 구비한 신호 선택 회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입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에 정귀환 회로를 구비했다.
[해결 수단] 입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에 정귀환 회로를 구비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위치부를 구동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신호 선택 회로 및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크 홀드 회로나 초핑(chopping) 방식의 제로 드리프트 앰프에서는, 입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신호 선택 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신호 선택 회로(500)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신호 선택 회로(500)는, 입력 단자(IA)와 입력 단자(IB)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를, 클록 단자(CLK)에 입력된 클록 신호에 의해 스위치(511)~스위치(514)를 제어해, 출력 단자(OA)와 출력 단자(OB)로 전환하여 출력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도 3, 도 4 참조).
예를 들어, 클록 단자(CLK)가 로우 레벨일 때에는, 스위치(511, 514)가 온하고 스위치(512, 513)가 오프하므로, 출력 단자(OA)에는 입력 단자(IA)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OB)에는 입력 단자(IB)의 신호가 출력된다. 클록 단자(CLK)가 하이 레벨일 때에는, 스위치(511, 514)가 오프하고 스위치(512, 513)가 온하므로, 출력 단자(OA)에는 입력 단자(IB)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OB)에는 입력 단자(IA)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신호 선택 회로(500)에 있어서, 클록 신호로 구동되는 스위치(511, 514)와, 클록 신호를 반전기(503)로 반전한 구동 신호(Φx)로 구동되는 스위치(512, 513)는, 클록 신호의 상승, 하강이 완만하면, 단시간이나 양방 동시에 온이 된다.
본 발명은, 간편한 회로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신호를 선택하는 전환 스위치가 동시에 온하는 시간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선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 선택 회로는, 제1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스위치와, 제2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스위치와,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3 스위치와, 제2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4 스위치와, 클록 입력 단자로부터 클록 신호가 입력되고, 제1 스위치와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제2 스위치와 제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제어 회로는 클록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제1 반전기와, 제1 반전기의 양단에 접속된 정귀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호 선택 회로에 의하면, 정귀환 회로를 구비한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신호는 상승 하강이 고속으로 되기 때문에, 신호 선택 회로의 스위치가 동시에 온하는 시간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품질이 좋은 신호 선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를 구비한 신호 선택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신호 선택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신호 선택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를 구비한 신호 선택 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신호 선택 회로(100)는, 입력된 클록 신호를 받아 스위치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120)와, 입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111~11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120)는, 반전기(101, 102, 103)와, NMOS 트랜지스터(104, 105)를 구비한다.
반전기(103)는, 입력 단자가 클록 단자(CLK)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가 NMOS 트랜지스터(105)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반전기(101, 102)는, 서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104)는, 게이트가 클록 단자(CLK)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반전기(101)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며, 소스가 접지 단자(VSS)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105)는, 드레인이 반전기(102)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접지 단자(VSS)에 접속된다. 반전기(101)는, 출력 단자로부터 구동 신호(Φ)를 출력한다. 반전기(102)는, 출력 단자로부터 구동 신호(Φx)를 출력한다.
스위치(111)는, 입력 단자(IA)와 출력 단자(OA)의 사이에 접속되고, 구동 신호(Φ)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112)는, 입력 단자(IB)와 출력 단자(OA)의 사이에 접속되고, 구동 신호(Φx)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113)는, 입력 단자(IA)와 출력 단자(OB)의 사이에 접속되고, 구동 신호(Φx)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114)는, 입력 단자(IB)와 출력 단자(OB)의 사이에 접속되고, 구동 신호(Φ)에 의해 제어된다.
반전기(101)와 반전기(102)는, 정귀환 루프를 구성하는 정귀환 회로이다. 정귀환 회로는, 구동 신호(Φ, 및 Φx)의 상승 하강의 동작을 고속으로 하도록 작용한다.
클록 단자(CLK)에 입력되는 클록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면, NMOS 트랜지스터(104)가 온 제어되므로, 구동 신호(Φx)는 로우로 변화하려고 한다. 이때, 반전기(101)의 입력 단자가 로우로 변화하려고 하기 때문에, 반전기(101)의 출력 단자, 즉 구동 신호(Φ)는 하이로 변화하려고 한다. 그리고, 반전기(102)의 입력 단자도 하이로 변화하려고 하므로, 반전기(102)의 출력 단자, 즉 구동 신호(Φx)는 더욱 로우로 변화하려고 한다.
클록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되면, NMOS 트랜지스터(105)가 온 제어되므로, 구동 신호(Φ)는 로우로 변화하려고 한다. 이때, 반전기(102)의 입력 단자가 로우로 변화하려고 하기 때문에, 반전기(102)의 출력 단자, 즉 구동 신호(Φx)는 하이로 변화하려고 한다. 그리고, 반전기(101)의 입력 단자도 하이로 변화하려고 하므로, 반전기(101)의 출력 단자, 즉 구동 신호(Φ)는 점점 더 로우로 변화하려고 한다.
이상과 같은 반전기(101, 및 102)로 구성한 정귀환 회로에 의해, 제어 회로(120)는, 상승 하강의 동작이 고속인 구동 신호(Φ, 및 Φx)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111~114)는, 상승 하강의 동작이 고속인 구동 신호(Φ, 및 Φx)로 구동되므로, 스위치(111 및 114)와 스위치(112 및 113)가 동시에 온하는 시간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를 구비한 신호 선택 회로에 의하면, 정귀환 회로를 구비한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신호는 상승 하강의 동작이 고속으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동시에 온하는 시간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품질이 좋은 신호 선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의 제어 회로(120)는, PMOS 트랜지스터(106, 107)와, NMOS 트랜지스터(104, 105)와, 반전기(103)를 구비한다. 즉, 도 2의 제어 회로(120)는, 도 1의 제어 회로(120)의 반전기(101, 102)를 PMOS 트랜지스터(106, 107)로 구성했다.
PMOS 트랜지스터(106)는, 게이트가 NMOS 트랜지스터(104)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NMOS 트랜지스터(105)의 소스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7)는, 게이트가 NMOS 트랜지스터(105)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NMOS 트랜지스터(104)의 소스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도 2의 제어 회로(120)는, PMOS 트랜지스터(106 및 107)가 정귀환 루프를 구성하는 정귀환 회로이다. 따라서, 도 1의 제어 회로(120)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104, 105)는, PMOS 트랜지스터(106, 107)보다 높은 구동 능력으로 함으로써, 구동 신호(Φ)와 구동 신호(Φx)가 스위치(111 및 114)와 스위치(112 및 113)를 동시에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보다 배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의 제어 회로(120)는, PMOS 트랜지스터(108, 109)와, 반전기(101, 102, 103)를 구비한다. 즉, 도 3의 제어 회로(120)는, 도 1의 제어 회로(120)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104, 105)를 PMOS 트랜지스터(108, 109)로 바꾼 구성이다.
PMOS 트랜지스터(108)는, 게이트가 클록 단자(CLK)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반전기(101)의 입력 단자와 반전기(10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9)는, 게이트가 반전기(103)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반전기(101)의 출력 단자와 반전기(102)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도 3의 제어 회로(120)는, 반전기(101)와 반전기(102)로 정귀환 루프를 구성하는 것은 도 1의 제어 회로(120)와 같으며, 그 효과도 같은 것은 분명하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의 제어 회로(120)는, NMOS 트랜지스터(201, 202)와, PMOS 트랜지스터(108, 109)와, 반전기(103)를 구비한다. 즉, 도 4의 제어 회로(120)는, 도 3의 제어 회로(120)의 반전기(101, 102)를 NMOS 트랜지스터(201, 202)로 구성했다.
PMOS 트랜지스터(108)는, 게이트가 클록 단자(CLK)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NMOS 트랜지스터(202)의 드레인과 NMOS 트랜지스터(201)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9)는, 게이트가 반전기(103)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NMOS 트랜지스터(202)의 게이트와 NMOS 트랜지스터(201)의 드레인에 접속되며, 소스가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201, 202)는, 소스가 접지 단자(VSS)에 접속된다.
도 4의 제어 회로(120)는, NMOS 트랜지스터(201 및 202)가 정귀환 루프를 구성한다. 따라서, 도 1의 제어 회로(120)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108, 109)는, NMOS 트랜지스터(201, 202)보다 높은 구동 능력으로 함으로써, 구동 신호(Φ)와 구동 신호(Φx)가 스위치(111 및 114)와 스위치(112 및 113)를 동시에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 회로를 구비한 신호 선택 회로에 의하면, 정귀환 회로를 구비한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신호는 상승 하강의 동작이 고속으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동시에 온하는 시간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품질이 좋은 신호 선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신호 선택 회로는, 피크 홀드 회로나 초핑 방식의 제로 드리프트 앰프 등의 신호 선택 회로에 적절하다.
100: 신호 선택 회로
120: 제어 회로
Φ, Φx: 구동 신호 101, 102, 103: 반전기
Φ, Φx: 구동 신호 101, 102, 103: 반전기
Claims (3)
- 제1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스위치와,
제2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스위치와,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3 스위치와,
제2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4 스위치와,
클록 입력 단자로부터 클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클록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제1 반전기와, 상기 제1 반전기의 양단에 접속된 정귀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 회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귀환 회로는,
게이트가 상기 제1 반전기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제1 MOS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2 MOS 트랜지스터와,
입력 단자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가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2 반전기와,
입력 단자가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3 반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 회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신호 선택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23941A JP2018133607A (ja) | 2017-02-13 | 2017-02-13 | 信号選択回路及び半導体装置 |
JPJP-P-2017-023941 | 2017-02-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786A true KR20180093786A (ko) | 2018-08-22 |
Family
ID=6310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4385A KR20180093786A (ko) | 2017-02-13 | 2017-12-01 | 신호 선택 회로 및 반도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234087A1 (ko) |
JP (1) | JP2018133607A (ko) |
KR (1) | KR20180093786A (ko) |
CN (1) | CN108429550A (ko) |
TW (1) | TW20183086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1406A (ja) | 2008-12-09 | 2010-06-24 | Sanyo Electric Co Ltd | 差動増幅回路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31418A (ja) * | 1988-03-11 | 1989-09-14 | Hitachi Ltd | 入力バッファ回路 |
JP3194636B2 (ja) * | 1993-01-12 | 2001-07-30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レベル変換回路、レベル変換回路を内蔵したエミュレータ用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レベル変換回路を内蔵したピギーバック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レベル変換回路を内蔵したエミュレートシステム及びレベル変換回路を内蔵したlsiテストシステム |
JP2005353274A (ja) * | 1993-11-29 | 2005-12-22 | Renesas Technology Corp | 半導体回路 |
JP2001102916A (ja) * | 1999-09-30 | 2001-04-13 | Sony Corp | レベルシフト回路 |
JP4133371B2 (ja) * | 2002-06-10 | 2008-08-13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レベル変換回路 |
US8258863B2 (en) * | 2011-01-05 | 2012-09-04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input leakage in chopped amplifier during overload conditions |
JP5589853B2 (ja) * | 2011-01-05 | 2014-09-17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レベル変換回路及び半導体装置 |
JP5854673B2 (ja) * | 2011-07-12 | 2016-02-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 |
-
2017
- 2017-02-13 JP JP2017023941A patent/JP2018133607A/ja active Pending
- 2017-11-14 TW TW106139244A patent/TW201830864A/zh unknown
- 2017-11-28 CN CN201711212616.5A patent/CN108429550A/zh active Pending
- 2017-11-29 US US15/826,022 patent/US2018023408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2-01 KR KR1020170164385A patent/KR2018009378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1406A (ja) | 2008-12-09 | 2010-06-24 | Sanyo Electric Co Ltd | 差動増幅回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133607A (ja) | 2018-08-23 |
CN108429550A (zh) | 2018-08-21 |
TW201830864A (zh) | 2018-08-16 |
US20180234087A1 (en) | 2018-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1874B2 (en) | Level shift circuit | |
US7961013B2 (en) | Inverter circuit | |
KR102322658B1 (ko) | 레벨 시프트 회로 | |
US7250793B2 (en) |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driving apparatus | |
US9787310B2 (en) | Level-shifter circuit for low-input voltages | |
JP6871519B2 (ja) | 半導体集積回路 | |
KR20140084976A (ko) | 게이트 드라이버 | |
JP4724575B2 (ja) | レベル変換回路 | |
JP4640788B2 (ja) | レベル変換回路 | |
KR20180093786A (ko) | 신호 선택 회로 및 반도체 장치 | |
KR20110011988A (ko) | 레벨 시프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 |
US11476853B2 (en) | Level shift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4467959B2 (ja) | デジタルスイッチ、およびレベル変換デジタルスイッチ | |
US9685952B2 (en) | Transmitter | |
KR0159221B1 (ko) | 전류구동 능력이 큰 게이트 드라이버회로 | |
JP7361474B2 (ja) | 入力回路 | |
CN109951181B (zh) | 缓冲器电路 | |
KR20060045199A (ko) | 전압원 선택회로 | |
US10101760B1 (en) | Power-on control circuit and input/output control circuit | |
KR100714013B1 (ko) | 가변적인 입력 레벨을 갖는 입력버퍼 | |
KR100604899B1 (ko) | 누설 전류 감소를 위한 레벨 쉬프팅 회로 및 방법 | |
KR100274071B1 (ko) | 고속저전력의 반도체집적회로의 출력버퍼 | |
JP2013187712A (ja) | レベルシフタ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並びにレベルシフタ回路の制御方法 | |
JP2007228228A (ja) | 高速スイッチング回路 | |
KR19990005442A (ko) | 저전력-고속 스택틱 캐스코드 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