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376A -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376A
KR20180093376A KR1020170019375A KR20170019375A KR20180093376A KR 20180093376 A KR20180093376 A KR 20180093376A KR 1020170019375 A KR1020170019375 A KR 1020170019375A KR 20170019375 A KR20170019375 A KR 20170019375A KR 20180093376 A KR20180093376 A KR 20180093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unit
illuminance
charging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597B1 (ko
Inventor
오민기
박형진
전누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597B1/ko
Priority to US15/617,540 priority patent/US10118550B2/en
Priority to CN201710569238.XA priority patent/CN108422863B/zh
Publication of KR2018009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01R31/3606
    • G01R31/368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9Remaining operating distance or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9Adjustment of bright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40Hardware adaptations for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48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모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조명부; 제1 기준조도와 제1기준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 조도의 조도 정보를 저장하며 제1, 2 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밝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조도에 대응하는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Light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위를 이동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차량은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
여기서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하는 EV(Electric Vehicle) 모드로 주행하거나, 엔진의 동력과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 모드로 주행할 수 있으며, 제동 시나 관성에 의한 타력 운전(coasting) 시 제동 및 관성에너지를 모터의 발전동작을 통해 회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생 모드(Regenerative Braking)를 수행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의 자체 동력에 의해 시동발전기가 발전기로 동작되도록 하거나, 에너지 회생 조건에서 엔진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시동 발전기가 발전기로 동작되도록 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은 친환경 차량은, 주차장 또는 충전소에 배치된 충전기의 유선 플러그가 차량의 배터리 플러그에 연결되면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기존에는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일 측면은 충전부와 대시 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조명부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와 외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는, 조명부의 조명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마련된 조도 검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제1 기준조도와, 제1기준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 조도의 조도 정보를 저장하고, 제1, 2 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밝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조도의 정보에 대응하는 밝기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전력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의 저장부의 밝기 정보는, 제1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제1목표 밝기, 제2기준조도 미만에 대응하는 제2목표 밝기, 제1기준 조도 미만이고 제2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기준 밝기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명부가 더 밝게 점등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충전 실패이면 조명부가 더 밝게 점등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예약 모드이면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전에 조명부가 더 밝게 점등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모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조명부; 제1 기준조도와 제1기준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 조도의 조도 정보를 저장하며 제1, 2 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밝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조도에 대응하는 밝기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량을 검출하는 충전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조명부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저장부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램프의 점등 수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저장부의 밝기 정보는, 제1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제1목표 밝기, 제2기준조도 미만에 대응하는 제2목표 밝기, 제1기준 조도 미만이고 제2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기준 밝기를 포함한다.
차량은 스마트 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면 제1목표 밝기에 제1일정 밝기만큼 높이고, 제2목표 밝기를 제1일정 밝기만큼 높이고, 기준 밝기를 제1일정 밝기만큼 높여서 검출된 조도에 의해 설정된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검출된 조도에 의해 설정된 밝기를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재조정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실패이면 조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재조정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실패이면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예약 모드이면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인지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이면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면 조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재조정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조명부는 대시 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조명부는 외부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충전부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은 충전부에 마련되는 충전캡; 충전캡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개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고, 충전 캡이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명부의 소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배터리와 모터가 마련된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제1기준조도, 제1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조도, 제1기준조도 및 제2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명부의 밝기 정보를 확인하고, 검출된 조도와, 제1기준조도, 제2기준 조도 및 설정된 조명부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한다.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검출된 조도가 제1기준 조도 이상이면 제1목표 밝기로 조정하고, 검출된 조도가 제2기준조도 미만이면 제2목표 밝기로 조절하고, 검출된 조도가 제1기준 조도 미만이고 제2기준 조도 이상이면 기준 밝기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목표 밝기는 기준 밝기와 제2목표 밝기보다 밝은 밝기이고, 제2목표 밝기는 기준 밝기보다 어두운 밝기이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면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된 밝기보다 제1일정 밝기만큼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충전 모드를 확인하고, 충전 모드가 예약 모드이면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인지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이면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충전 실패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 실패이면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은, 충전부에 마련된 제1조명부의 복수 개의 제1램프와 대시보드에 마련된 제2조명부의 복수 개의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고, 조정된 밝기로 조명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조절된 밝기로 조명부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위치한 장소의 조도 등, 차량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충전 상태 표시를 위한 조명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의 주위에 위치하면 조명부의 밝기를 높이고, 사용자가 차량의 주위에 없을 때는 조명부의 밝기를 낮춤으로써 차량의 전력 소비 감소와 빛 공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모드,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충전 모드와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드웨어의 추가 및 변경없이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장치를 가지는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충전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대시보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설정 순서도로, 조도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하는 순성도이다.
도 7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조정 및 조명부의 점등 제어 순서도로, 스마트 키의 인식 정보,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 및 충전캡의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설정 및 조명부의 점등 제어 순서도로, 충전 모드 및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하고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충전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대시보드의 예시도이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와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으로, 전기 차량 또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Plug0in Hybrid Electric Vehicle)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 100)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외장 램프(117)를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충전부(118)의 충전캡(118a)을 더 포함한다.
충전부(118)는 수용 공간을 갖고, 충전 캡(118a)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118b)와, 수용부(118b)에 배치되고 외부의 플러그가 삽입 연결되는 충전구(118c)를 포함한다.
아울러 충전구는 플러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118)에는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출력하는 조명부(140: 140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 배터리의 충전 모드, 배터리의 완충 상태 정보, 충전 실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40: 140a)는 복수 개의 램프(141)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램프는 LED일 수 있다.
조명부(140: 140a)의 복수 개의 램프는 점등, 소등, 점멸될 수 있고,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40: 140a)는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밝기로 점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외장 램프의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유닛(125)과,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시동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부(126)를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각종 정보의 정보 제공 효율을 높이기 위한 표시부(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3a)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클러스터(123)의 표시부(123a)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시동부(126)는 가압 또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시동 버튼 또는 키가 삽입되는 키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25)에는 배터리의 충전 모드,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시트의 열선 등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27)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8)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127)는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27)는 버튼 또는 조그 다이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122)에는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출력하는 조명부(140: 140b)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 배터리의 충전 모드, 배터리의 완충 상태 정보, 충전 실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40: 140b)는 복수 개의 램프(1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램프는 LED일 수 있다.
조명부(140: 140b)의 복수 개의 램프는 점등, 소등, 점멸될 수 있고,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조명부(140: 140b)는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밝기로 점등될 수 있다.
대시보드에 마련된 조명부(140: 140b)는 사용자가 차량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조명부(140: 140a, 140b)는 LCD를 이용하여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의 차대(130)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차대에는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131)과, 전후좌우의 차륜(131)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131)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현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장치는 동력 발생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 장치는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 장치는 배터리, 모터, 엔진, 연료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고압의 전류를 생성하여 차량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일 수 있다.
모터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차량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모터를 동작시키고 모터의 동작을 통해 엔진을 구동시킨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일 수 있다.
전기 차량인 경우, 차량은 시동 버튼(또는 부팅 버튼)이 온 되면 모터에 최대 전류를 공급하여 최대 토크가 발생되도록 한다.
동력 전달 장치는 클러치, 변속기, 종감속 장치, 차동 장치, 차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132)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33)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34)을 포함할 수 있다(도1, 2 참조).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은 입력부(127), 표시부(128), 조명부(140), 검출부(150), 조명 제어 장치(160), 제2제어부(170), 통신부(180),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은 스마트 키(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7)는 배터리의 충전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모드는 현재 충전 수행을 지시하는 일반 모드, 예약된 시간에 충전을 수행하는 예약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8)는 배터리의 충전 모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상태는 충전 진입 상태, 충전 진행 상태, 충전 완료 상태, 충전 실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40)는 충전부(118)에 마련된 제1조명부(140a)와, 대시보드(122)에 마련된 제2조명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명부(140a)는 복수 개의 제1램프(141)를 포함하고 제2조명부(140b)는 복수 개의 제2램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램프(141)는 서로 동일한 색상의 램프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램프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램프(142)는 서로 동일한 색상의 램프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램프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2램프(141, 142)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40)의 각 램프는 조명 제어 장치(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검출부(1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부(150)는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151)와, 충전캡(118a)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152)와, 배터리의 충전량을 검출하는 충전량 검출부(153)를 포함한다.
개폐 검출부(152)는 마이크로 스위치, 리드 스위치,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 검출부(153)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량을 검출하기 위해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거나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한다.
즉 충전량 검출부(153)는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160)는 조명부의 점등, 소등 또는 점멸을 제어하고, 조명부의 점등 제어 시에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160)의 밝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밝기로 조명부(140)의 점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조명 제어 장치(160)는 인터페이스부(161), 제1제어부(162), 저장부(163) 및 구동부(164)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61)는 검출부(150)와 제1제어부(162)를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정보를 수신하여 제1제어부(162)에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61)는 제2제어부(170)와 제1제어부(162)를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제2제어부(17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1)는 검출부(150), 제2제어부(170)와 제1제어부(161) 사이에서 통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입력부와 표시부 사이에서 통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부(161)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다.
제1제어부(162)는 충전량 검출부(153)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충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정보는 배터리의 전압,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획득된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제1조명부(140a)의 복수 개의 제1 램프(141) 중 점등할 제1램프의 수를 결정하고, 제2조명부(140b)의 복수 개의 제2램프(142) 중 점등할 제2램프의 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62)는 개폐 검출부(152)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캡(118a)의 개폐 상태를 획득하고 충전캡(118a)이 폐쇄된 상태이면 제2조명부(140b)의 점등을 제어하고, 충전캡(118a)이 개방된 상태이면 제1조명부(140a)와 제2조명부(140b)의 점등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2)는 개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고, 충전 캡이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조명부의 소등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2)는 충전 실패이거나, 충전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 또는 충전 예약 시점으로부터 제2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이면 제1조명부(140a)와 제2조명부(140b)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점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제어부(162)는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실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제1조명부(140a)와 제2조명부(140b)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의 밝기 제어 시, 복수 개의 램프 중 점등할 램프의 개수를 조절하여 조명부의 전체 밝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 개의 램프에 각각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조명부의 전체 밝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전력은,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제1조명부(140a)와 제2조명부(140b)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의 점등 및 점멸 제어 시 미리 설정된 조명부의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로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한다.
여기서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하는 제1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제어부(162)는 검출된 조도를 확인하고, 검출된 조도, 제1기준 조도 및 제2기준 조도에 기초하여 제1, 2조명부의 밝기를 제1 목표 밝기, 제2목표 밝기 및 기준 밝기 중 어느 하나로 1차로 설정한다.
제1제어부(162)는 충전 진입 전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1차로 설정된 제1, 2조명부의 밝기를 제1일정 밝기만큼 더 밝게 조정하며 조정된 밝기를 제1, 2 조명부의 밝기로 2차로 설정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입력부(127)에 입력된 충전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모드와 스마트 키의 통신 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2조명부의 밝기에 제2일정밝기만큼 더 밝게 재조정하며 재조정된 밝기를 제1, 2 조명부의 밝기로 3차로 설정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검출된 조도,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 충전 모드에 기초하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밝기로 제1, 2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한다.
충전 모드는 현재 충전 수행을 지시하는 일반 모드와, 예약된 시간에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예약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배터리의 충전 모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2 조명부의 복수 램프를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상태는 충전 진입 상태, 충전 진행 상태, 충전 완료 상태, 충전 실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충전 상태의 정보를 제2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일반 모드와 예약 모드 시 제1, 2 조명부의 램프를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2)는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정보를 검출부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와 통신하여 스마트 키와의 통신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제어부(162)는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정보를 제2제어부(170)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의 통신 정보를 제2제어부(170)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63)는 스마트 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조도에 대응하는 제1, 2 기준 조도의 정보를 저장하며, 기준 밝기의 정보, 제1, 2 목표밝기의 정보, 제1, 2일정 밝기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1, 2 일정 밝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저장부(163)는 제1, 2 일정 시간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조도의 정보, 밝기의 정보, 시간의 정보는, 조도 데이터, 밝기 데이터, 시간 데이터로, 조도값, 밝기 값 및 시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3)는 배터리 충전량에 대응하는 램프의 점등 수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조명부의 밝기 정보에 대응하는 램프의 점등 수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조명부의 밝기 정보에 대응하는 램프의 전력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164)는 제1제어부(162)의 명령에 기초하여 제1조명부 및 제2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고, 동작되는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한다.
즉 구동부(164)는 제1, 2조명부에 마련된 복수의 램프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한다.
아울러 구동부(164)는 제1, 2조명부에 마련된 복수의 램프에 각각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복수의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63)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63)는 제1제어부(162)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제어부(170)는 차량의 주행 제어,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제어, 외장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ECU)일 수 있다.
제2제어부(170)는 스마트 키(2)와 통신이 가능하면 스마트 키와의 통신 정보를 제1제어부(162)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170)는 입력부(127)에 입력된 정보가 조명 제어에 대응하는 정보이면 입력된 정보를 제1제어부(162)에 전송한다.
제2제어부(170)는 입력부(127)에 입력된 정보가 표시부(128)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제어부(162)로부터 전송된 배터리의 충전 정보가 표시부(128)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170)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의 정보를 제1제어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상태는 충전 진입 상태, 충전 진행 상태, 충전 완료 상태, 충전 실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부(170)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실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제어부(170)는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일 수 있고, 마이컴, CPU,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2제어부(162, 170)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80)는 스마트 키(2)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80)는 무선 통신 외에 유선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80)는 캔 통신, 적외선 통신, RFID 통신,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USB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91)를 포함하고 충전부(118)와 연결되며 외부의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한다.
즉 전원부(190)는 충전부(118)의 충전구에 주차장 또는 충전소에 배치된 외부의 충전기의 유선 플러그가 연결되면 배터리(191)의 충전을 수행한다.
배터리(191)는 재 충전이 가능하고,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재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191)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의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191)는 각종 장치에 구동 전력 공급 시 방전을 수행한다.
전원부(190)는 배터리(191)의 직류 전류를 모터 및 발전기 구동을 위해 교류 전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배터리(191)의 전력을 각종 구성부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배터리(191)의 전력을 외부의 장치의 구동 전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설정 및 조명부의 점등 제어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설정 순서도로, 조도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하는 순성도이다.
우선 조명 제어 장치는 조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도를 확인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검출된 조도와 제1기준 조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조도가 제1기준 조도 이상(202)이면 제1, 2조명부의 밝기를 제1목표 밝기(da)로 설정(203)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검출된 조도가 제1기준 조도 미만이면 검출된 조도와 제2기준 조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조도가 제2기준 조도 이상(204)인지 판단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검출된 조도가 제2기준 조도 이상이면 제1, 2조명부의 밝기를 기준 밝기(r)로 설정(205)하고, 검출된 조도가 제2기준 조도 미만이면 제1, 2조명부의 밝기를 제2목표 밝기(db)로 설정(206)한다.
여기서 제1기준 조도는 주간 시 외부 공간의 평균 조도일 수 있고, 제2기준 조도는 야간 시 또는 어두운 내부 공간의 평균 조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목표 밝기는 주간 시 외부 공간에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균 밝기이고, 제2목표 밝기는 야간 또는 어두운 내부 공간에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균 밝기일 수 있다.
즉 제1목표 밝기는 기준 밝기와 제2목표 밝기보다 밝은 밝기이고, 제2목표 밝기는 기준 밝기보다 어두운 밝기이다.
본 실시 예는 밝은 날 야외에서 충전 표시 램프의 밝기를 높이고, 어두운 실내에서 밝기를 낮춤으로써 충전 표시 램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조정 및 조명부의 점등 제어 순서도로, 스마트 키의 인식 정보,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 및 충전캡의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조명 제어 장치는 조도에 기초하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제1목표밝기(da), 제2목표 밝기(db) 또는 기준 밝기(r )로 설정(211)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스마트 키의 인식 여부를 판단(212)하고 스마트 키가 인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된 밝기(da, db 또는 r)로 유지(213)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키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 키가 인식되지 않았다는 것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제2조명부의 복수 개의 제2 램프를 설정된 밝기로 점등(214)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캡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215)되면 제1조명부의 제1램프를 설정된 밝기로 점등(216)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스마트 키가 인식되었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밝기에서 제1일정 밝기만큼 높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da1, db1 또는 r1)를 조정(219)한다.
여기서 스마트 키가 인식되었다는 것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제2조명부의 복수 개의 제2 램프를 점등(218)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캡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219)되면 제1조명부의 제1램프를 조정된 밝기로 점등(220)시킨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는 제1, 2조명부의 밝기가 제1목표 밝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스마트 키가 인식되면 제1목표 밝기보다 제1일정 밝기만큼 더 밝은 밝기로 제1, 2조명부의 제1, 2램프를 점등시킨다.
아울러 조명 제어 장치는 제1, 2조명부의 밝기가 제2목표 밝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스마트 키가 인식되면 제2목표 밝기보다 제1일정 밝기만큼 더 밝은 밝기로 제1, 2조명부의 제1, 2램프를 점등시킨다.
또한 조명 제어 장치는 제1, 2조명부의 밝기가 기준 밝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스마트 키가 인식되면 기준 밝기보다 제1일정 밝기만큼 더 밝은 밝기로 제1, 2조명부의 제1, 2램프를 점등시킨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차량의 주위에 위치하면 조명부의 밝기를 높이고, 사용자가 차량의 주위에 없을 때는 조명부의 밝기를 낮춤으로써 차량의 전력 소비 감소와 빛 공해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밝기 설정 및 조명부의 점등 제어 순서도로, 충전 모드 및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하고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조명 제어 장치는 조도에 기초하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제1목표밝기, 제2목표 밝기 또는 기준 밝기(da, db 또는 r)로 설정(231)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스마트 키의 인식 여부를 판단(232)하고 스마트 키가 인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된 밝기로 유지(233)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키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 키가 인식되지 않았다는 것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모드를 확인하고, 충전 모드가 현재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충전 모드(234)이면 설정된 밝기(da, db 또는 r)를 유지(235)시키고 설정된 밝기로 제1, 2 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점등(236)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밝은 밝기(da+, db+ 또는 r+)로 점등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설정된 밝기(da, db 또는 r)보다 밝은 밝기(da+, db+ 또는 r+)는 조정된 밝기(da1, db1 또는 r1)보다 어둡거나 조정된 밝기(da1, db1 또는 r1)와 동일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로 변경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 모드가 예약 모드이면 설정된 밝기에서 제2일정 밝기만큼 높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da1, db1 또는 r1)를 조정(237)하고, 현재 시간을 확인하며 현재 시간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제2일정 시간 이전의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조정된 밝기로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점등(238)시킨다.
즉 조명 제어 장치는 제1, 2조명부의 복수 개의 제1, 2 램프를 조정된 밝기(d1a, db1 또는 r1)로 점등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현재 시간이 예약 시간이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미리 설정된 밝기(da, db 또는 r)로 점등(238)시킨다.
아울러 조명 제어 장치는 예약 모드 시 충전을 수행할 때 충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밝기(da, db 또는 r)보다 밝은 밝기(da+, db+ 또는 r+)로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 상태가 충전 실패이면 설정된 밝기에서 제2일정 밝기만큼 높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조정하고, 조정된 밝기(da1, db1 또는r1)로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 제어 장치는 스마트 키가 인식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명부의 밝기를 설정된 밝기에서 제1일정 밝기만큼 높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da1, db1 또는 r1)를 조정(239)한다.
그리고 스마트 키가 인식되었다는 것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모드를 확인하고, 충전 모드가 현재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충전 모드(240)이면 조정된 밝기(da1, db1 또는 r1)를 유지(241)시키고 조정된 밝기로 제1, 2 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점등(242)시킨다.
즉 조명 제어 장치는 제1, 2조명부의 복수 개의 제1, 2 램프를 조정된 밝기(da1, db1 또는 r1)로 점등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밝은 밝기로 점등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로 변경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 모드가 예약 모드이면 조정된 밝기에서 제2일정 밝기만큼 높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재조정(243)하고, 현재 시간을 확인하며 현재 시간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제2일정 시간 이전의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재조정된 밝기(da2, db2 또는 r2)로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점등(244)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현재 시간이 예약 시간이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조정된 밝기로 점등(238)시킨다.
아울러 조명 제어 장치는 예약 모드 시 충전을 수행할 때 충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조정된 밝기로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는 충전 상태가 충전 실패이면 조정된 밝기에서 제2일정 밝기만큼 높여 제1, 2 조명부의 밝기를 조정하고, 재조정된 밝기(da2, db2 또는 r2)로 제1, 2조명부의 제1, 2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 실패, 예약 모드 중 충전 진입과 충전 시작 등을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는 충전 모드,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모드와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차량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차량 2: 스마트 키
160: 조명 제어 장치191: 배터리

Claims (23)

  1. 조명부의 조명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마련된 조도 검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제1 기준조도와, 상기 제1기준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 조도의 조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2 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밝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조도의 정보에 대응하는 밝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전력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밝기 정보는,
    상기 제1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제1목표 밝기, 상기 제2기준조도 미만에 대응하는 제2목표 밝기, 상기 제1기준 조도 미만이고 상기 제2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기준 밝기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명부가 더 밝게 점등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실패이면 상기 조명부가 더 밝게 점등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모드이면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조명부가 더 밝게 점등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6.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모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조명부;
    제1 기준조도와 상기 제1기준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 조도의 조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 2 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밝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조도에 대응하는 밝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검출하는 충전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램프의 점등 수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밝기 정보는,
    상기 제1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제1목표 밝기, 상기 제2기준조도 미만에 대응하는 제2목표 밝기, 상기 제1기준 조도 미만이고 상기 제2기준 조도 이상에 대응하는 기준 밝기를 포함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스마트 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제1목표 밝기에 제1일정 밝기만큼 높이고, 상기 제2목표 밝기를 상기 제1일정 밝기만큼 높이고, 상기 기준 밝기를 제1일정 밝기만큼 높여서 상기 검출된 조도에 의해 설정된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상기 상기 검출된 조도에 의해 설정된 밝기를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재조정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실패이면 상기 조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재조정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실패이면 상기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모드이면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인지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이면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조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재조정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설정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대시 보드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외부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충전부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마련되는 충전캡;
    상기 충전캡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고, 상기 충전 캡이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의 소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7. 배터리와 모터가 마련된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터리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제1기준조도, 상기 제1조도보다 낮은 제2기준조도, 상기 제1기준조도 및 제2기준조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명부의 밝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와, 상기 제1기준조도, 상기 제2기준 조도 및 상기 설정된 조명부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조도가 상기 제1기준 조도 이상이면 제1목표 밝기로 조정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가 상기 제2기준조도 미만이면 제2목표 밝기로 조절하고, 상기 검출된 조도가 상기 제1기준 조도 미만이고 상기 제2기준 조도 이상이면 기준 밝기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목표 밝기는 상기 기준 밝기와 상기 제2목표 밝기보다 밝은 밝기이고, 상기 제2목표 밝기는 상기 기준 밝기보다 어두운 밝기인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상기 조절된 밝기보다 제1일정 밝기만큼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충전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모드가 예약 모드이면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인지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예약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시점이면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상기 조절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충전 실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실패이면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상기 조절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은,
    충전부에 마련된 제1조명부의 복수 개의 제1램프와 대시보드에 마련된 제2조명부의 복수 개의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상기 조절된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밝기로 상기 조명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시키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절된 밝기로 조명부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70019375A 2017-02-13 2017-02-13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375A KR102263597B1 (ko) 2017-02-13 2017-02-13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5/617,540 US10118550B2 (en) 2017-02-13 2017-06-08 Light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ligh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201710569238.XA CN108422863B (zh) 2017-02-13 2017-07-06 光控制装置及其车辆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375A KR102263597B1 (ko) 2017-02-13 2017-02-13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376A true KR20180093376A (ko) 2018-08-22
KR102263597B1 KR102263597B1 (ko) 2021-06-10

Family

ID=6310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375A KR102263597B1 (ko) 2017-02-13 2017-02-13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8550B2 (ko)
KR (1) KR102263597B1 (ko)
CN (1) CN108422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1769B2 (ja) * 2019-08-09 2021-04-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04086B2 (ja) * 2020-02-28 2022-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室照明システム
JP7302580B2 (ja) * 2020-12-02 2023-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及び給電管理サーバ
CN114407775A (zh) * 2021-12-13 2022-04-29 北京罗克维尔斯科技有限公司 氛围灯控制方法、装置、系统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776A (ko) * 2010-02-17 2011-08-24 유길호 자동차의 라이트 자동 제어 장치
JP2012232623A (ja) * 2011-04-28 2012-11-29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両用点灯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424A (en) * 1973-10-12 1975-03-18 Goodyear Tire & Rubb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uxiliary signals on existing vehicle wiring
CN1249555A (zh) * 1998-09-30 2000-04-05 陈丽卿 电池充电装置
US7692401B2 (en) * 2005-03-22 2010-04-06 Ford Motor Company High voltage battery pack cycler for a vehicle
JP4179330B2 (ja) * 2006-03-31 2008-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電池情報表示装置
JP4894611B2 (ja) * 2007-05-11 2012-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7999665B2 (en) * 2009-08-18 2011-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ug-in vehicle having a recharging port with a state of charge indicator
US8193943B2 (en) * 2009-10-12 2012-06-05 Mattel, Inc. Handheld charge indicator assemblies for children's ride-on vehicles, and associated kits and methods
JP5653701B2 (ja) * 2010-09-28 2015-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表示装置
KR200462323Y1 (ko) * 2010-11-16 2012-09-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인디케이터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장치
JP5842419B2 (ja) * 2011-07-06 2016-01-13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03147B1 (ko) * 2013-07-08 2017-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밝기 조절 및 가시광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 후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US9956887B2 (en) * 2014-06-16 2018-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 capacity degradation indication
JP6436113B2 (ja) * 2016-02-15 2018-12-1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照明制御装置
US9789783B2 (en) * 2016-03-18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electric vehicle charge port door
US9963041B2 (en) * 2016-06-17 2018-05-08 Greatlink Electronics Taiwan Ltd. Charging apparatus with status ind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776A (ko) * 2010-02-17 2011-08-24 유길호 자동차의 라이트 자동 제어 장치
JP2012232623A (ja) * 2011-04-28 2012-11-29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両用点灯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18550B2 (en) 2018-11-06
KR102263597B1 (ko) 2021-06-10
CN108422863A (zh) 2018-08-21
CN108422863B (zh) 2022-05-13
US20180229653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09886U (zh) 具有状态显示器的环境灯及其装置
KR102263597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9747619B (zh) 车辆及该车辆的控制方法
KR10227834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0652B1 (ko) 차량용 충전장치
CN109466537B (zh) 车辆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102370145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967849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20827B2 (en)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US10435008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7524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3395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6635268A (zh) 用于运行车辆的环境照明设备的方法
KR10183739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7415810A (zh) 用于终端用户的后行李箱按钮定位
KR102548856B1 (ko)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680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110722A (ko) Led 주간주행등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상태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611203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88261A (ko) 자동차용 엠비언트 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8124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0435A (ko) 경사로 주행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100314525B1 (ko) 자동차의 블랙 페이스 미터 클러스터 조명장치
KR20220169478A (ko) 차량용 스마트키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자동차 센터페시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