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18A -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718A
KR20180092718A KR1020170018820A KR20170018820A KR20180092718A KR 20180092718 A KR20180092718 A KR 20180092718A KR 1020170018820 A KR1020170018820 A KR 1020170018820A KR 20170018820 A KR20170018820 A KR 20170018820A KR 20180092718 A KR20180092718 A KR 2018009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switch
state
solenoid valve
cut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섭
박덕우
박준홍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718A/ko
Priority to PCT/KR2018/001843 priority patent/WO2018147704A1/ko
Priority to KR1020197023652A priority patent/KR102221165B1/ko
Priority to US16/485,185 priority patent/US11377821B2/en
Priority to CN201880011250.1A priority patent/CN110291253B/zh
Priority to EP18750672.0A priority patent/EP3578721A4/en
Publication of KR2018009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02F9/223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5Circuits providing pilot pressure to pilot pressure-controlled fluid circuit elements
    • F15B2211/6355Circuits providing pilot pressure to pilot pressure-controlled fluid circuit elements having val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는,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는 키 스위치; 압유가 파킹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파킹 스위치; 전진(F), 중립(N) 및 후진(R)을 선택하는 FNR 스위치; 및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 또는 상기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를 통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함으로써 건설기계의 시동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STARTING SAFE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WHEEL-DRIVEN CONSTUCTION EQUIPMENT}
본 명세서는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휠 굴삭기의 시동을 거는 순간에 작업자의 의도 없이 장비가 급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 굴삭기와 같은 휠 기종 건설기계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하여 시동이 걸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조건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파킹 스위치(20)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전진(F), 중립(N) 및 후진(R)을 선택하는 FNR 스위치가 중립(N) 모드로 선택되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는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가 되어 엔진의 시동이 가능했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에서 차량 제어 장치(10)는 파킹 스위치(20) 및 FNR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의해서만 엔진의 시동 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휠 기종 건설 기계에서는 파킹 스위치(20)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파일럿 컷 오프가 온 상태 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장치를 누르거나 당긴 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작업자의 의도 없이 장비가 급 동작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조건에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를 추가하고,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를 통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함으로써 휠 굴삭기의 시동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는,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는 키 스위치; 압유가 파킹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파킹 스위치; 전진(F), 중립(N) 및 후진(R)을 선택하는 FNR 스위치; 및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 또는 상기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로 선택되며,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고,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조작 신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고,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는 서로 연결되는 레버 및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및 스탠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레버 및 상기 스탠드는 서로 연결이 차단되며,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또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도 작동하지 않아 상기 건설기계의 조작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은, 키 스위치, 파킹 스위치, FNR 스위치,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 및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키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장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 및 상기 FNR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로 선택되며,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가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동작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조작 신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고,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는 서로 연결되는 레버 및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및 스탠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레버 및 상기 스탠드는 서로 연결이 차단되며,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또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도 작동하지 않아 상기 건설기계의 조작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를 통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함으로써 시동을 거는 순간에 작업자의 의도 없이 장비가 급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비의 급 동작으로 인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조건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는,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는 키 스위치와, 압유가 파킹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파킹 스위치(20)와, 전진(F), 중립(N) 및 후진(R)을 선택하는 FNR 스위치(미도시)와, 상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휠 기종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와, 상기 파킹 스위치(20),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와,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 또는 상기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와,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파킹 스위치(20)는 건설기계의 파킹(parking)을 위한 스위치로, 파킹 스위치가 동작(High) 모드인 경우에는 건설기계가 작업 또는 주행을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작업/주행 선택 스위치(30)는 상기 파킹 스위치(20)가 온(On)된 상태에서 작업 모드 또는 주행 모드로 절환된다.
FNR 스위치(미도시)는 전진(F), 중립(N) 및 후진(R)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 FNR 스위치가 중립(N)인 경우에는 건설기계가 주행을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는 건설기계의 운전석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레버(40) 및 스탠드(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원을 인가 받아 휠 기종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한다. 예컨대, 레버(40) 및 스탠드(50)는 운전자가 작업 또는 주행을 위하여 운전석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작업 또는 주행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작업 또는 주행을 위해서 운전석 내부에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동 안전 장치는 엔진의 시동 전에 파일럿 컷 오프의 상태를 알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에서부터 파일럿 컷 오프로 전원 신호를 바로 받도록 파킹 스위치(20)의 전단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가 연결되도록 배치하였고 이에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는 파킹 스위치(20), FNR 스위치 및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는 파킹 스위치(20)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N)로 선택되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에 해당하는 레버(40) 및 스탠드(50) 중 적어도 하나가 온 상태가 아닌 오프 상태이면, 레버(40)와 스탠드(50)의 연결이 차단되어 상기 조작 신호가 후술하는 차량제어장치(10)와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도 작동하지 않아 휠 기종 건설기계의 조작 장치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인 레버(40) 및 스탠드(50)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면, 조작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작업자의 의도 없이 장비가 급 동작하게 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는 파킹 스위치(20)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로 선택되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가 아닌 이외의 신호를 수신하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로 절환한다.
차량제어장치(10)는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를 통해서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차량제어장치(10)는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즉, 차량제어장치(10)는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엔진의 시동을 결정한다.
또한, 차량제어장치(10)는 파킹 스위치(20)의 신호 입력 단자, FNR 스위치의 입력 단자, 파일럿 컷 오프 신호 입력 단자로 디지털 동작 입력(Digital High Input, DHI) 단자 또는 디지털 제한 입력(Digital Low Input, DLI) 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동작 입력(Digital High Input, DHI) 단자를 사용하는 차량제어장치(1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 스위치(20)의 신호 입력 단자에 동작(high) 신호가 입력되고, FNR 스위치의 입력 단자에 중립(N) 신호가 인가되며, 파일럿 컷 오프 신호 입력 단자에 제한(low) 신호가 인가되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제어장치(10)는 상기 입력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타터 릴레이(Starter relay)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터 릴레이(Starter relay)는 단자 중 디지털 동작 출력(Digital High Output, DHO) 또는 디지털 제한 출력(Digital Low Output, DLO) 중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의 키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장비에 전원을 인가한다(S210).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는 휠 기종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 파킹 스위치(20) 및 FNR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S220).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는 단계 S220에서 파킹 스위치(20), FNR 스위치 및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선택적으로 절환한다(S230). 이때,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는 기 설정된 조건인 파킹 스위치(20)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N)로 선택되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온 상태로 절환하고 과정은 단계 S240으로 진행한다.
만약, 단계 S230에서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가 파킹 스위치(20), FNR 스위치 및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오프 상태로 절환한다. 이때, 차량제어장치(10)는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고 과정을 단계 S220으로 진행한다.
이후, 차량제어장치(10)는 상술한 단계 S230에서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온 상태로 절환된 것을 확인하면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과정은 종료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제어장치(10)는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60)가 파킹 스위치(20)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FNR 스위치가 중립(N) 모드로 선택되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온 상태로 절환함에 따라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40, 50)가 온 상태에서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 장치를 누르거나 당긴 상태에서 시동이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차량제어장치
20 : 파킹 스위치
30 : 작업/주행 선택 스위치
40 : 레버
50 : 스탠드
60 :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
70 :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8)

  1.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는 키 스위치; 압유가 파킹 브레이크로 공급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파킹 스위치; 전진(F), 중립(N) 및 후진(R)을 선택하는 FNR 스위치; 및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 또는 상기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로 선택되며,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고,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조작 신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고,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는 서로 연결되는 레버 및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및 스탠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레버 및 상기 스탠드는 서로 연결이 차단되며,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또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도 작동하지 않아 상기 건설기계의 조작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5. 키 스위치, 파킹 스위치, FNR 스위치,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 및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키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장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건설기계의 작업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 및 상기 FNR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 상기 FNR 스위치 및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파킹 스위치가 동작(High) 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FNR 스위치가 중립 모드로 선택되며,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선택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가 파일럿 라인을 푸는 온 상태로 절환하는 동작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컷 오프 릴레이는 상기 조작 신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파일럿 라인을 잠그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고, 이때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의 시동 제어 방법.
KR1020170018820A 2017-02-10 2017-02-10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80092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20A KR20180092718A (ko) 2017-02-10 2017-02-10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PCT/KR2018/001843 WO2018147704A1 (ko) 2017-02-10 2018-02-12 건설기계의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0197023652A KR102221165B1 (ko) 2017-02-10 2018-02-12 건설기계의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US16/485,185 US11377821B2 (en) 2017-02-10 2018-02-12 Construction machine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CN201880011250.1A CN110291253B (zh) 2017-02-10 2018-02-12 工程机械的安全装置及控制方法
EP18750672.0A EP3578721A4 (en) 2017-02-10 2018-02-12 CONSTRUCTION MACHINE SAFETY APPARATUS AND CONTROL PROCED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20A KR20180092718A (ko) 2017-02-10 2017-02-10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18A true KR20180092718A (ko) 2018-08-20

Family

ID=631069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820A KR20180092718A (ko) 2017-02-10 2017-02-10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0197023652A KR102221165B1 (ko) 2017-02-10 2018-02-12 건설기계의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52A KR102221165B1 (ko) 2017-02-10 2018-02-12 건설기계의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77821B2 (ko)
EP (1) EP3578721A4 (ko)
KR (2) KR20180092718A (ko)
CN (1) CN110291253B (ko)
WO (1) WO2018147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6937A (zh) * 2019-05-14 2019-08-09 三一重机有限公司 低油耗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334B1 (ja) * 2016-11-15 2017-11-01 マツダ株式会社 スイッチ回路、その故障検出方法、及び制御装置
US20230128144A1 (en) * 2020-03-19 2023-04-27 Doosan Infracore Co., Ltd. Construction machine
KR20230000302A (ko) * 2021-06-24 2023-01-02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 및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6495B2 (ja) * 1991-01-31 1999-09-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車両の安全ロック解除システム
JP3154632B2 (ja) 1994-12-09 2001-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車両用エンジンの遠隔始動装置
JP2000104291A (ja) 1998-09-29 2000-04-11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誤動作防止装置
JP3650100B2 (ja) * 2001-01-19 2005-05-18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モータの故障検出装置
DE60140090D1 (de) 2001-01-19 2009-11-1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Hydraulikmotor-Störungsdetektor und hydraulisch angetriebenes Fahrzeug
KR100792855B1 (ko) * 2001-07-06 2008-01-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유압회로 컷오프제어장치
KR100621979B1 (ko) * 2004-03-22 2006-09-1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조작레버 오작동 방지 시스템
JP2005307491A (ja) 2004-04-20 2005-11-04 Yanmar Co Ltd 作業車用誤操作防止装置
KR101293314B1 (ko) * 2006-09-04 2013-08-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기종 건설 기계의 주행 안정화 장치
US7552705B2 (en) * 2007-03-07 2009-06-30 The Gates Corporation Vehicle stop/start system with regenerative braking
KR101906599B1 (ko) * 2012-01-26 2018-10-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CN203270659U (zh) * 2013-05-13 2013-11-06 福田雷沃国际重工股份有限公司 挖掘机的安全起动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6937A (zh) * 2019-05-14 2019-08-09 三一重机有限公司 低油耗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1253A (zh) 2019-09-27
EP3578721A4 (en) 2020-11-04
US20190368163A1 (en) 2019-12-05
EP3578721A1 (en) 2019-12-11
KR102221165B1 (ko) 2021-02-26
CN110291253B (zh) 2021-11-16
US11377821B2 (en) 2022-07-05
KR20190104208A (ko) 2019-09-06
WO2018147704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2718A (ko) 휠 기종 건설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199058B1 (ko) Isg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322179A (zh) 线控换档控制系统
JP5523368B2 (ja) 作業機械の電源制御回路
KR20050116351A (ko) Abs와 복합제어 되는 유압식 주차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및제어방법
CN103534479A (zh) 车辆用远程控制装置
WO1998058188A1 (fr) Dispositif permettant d'embrayer et de desembrayer un embrayage
CN110662676A (zh) 车辆的自动泊车控制方法和自动泊车控制装置
KR10117230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57120A (ko) Sbw 차량의 제어방법
JP2007276770A (ja) 自動車の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5569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2468384B1 (ko) 충전 인렛 잠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118433A (zh) 用于机动车的速度调节系统
WO2018180262A1 (ja) 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動方法
JP2011255757A (ja) 遠隔運転及び手動運転併用車
RU2711883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тояночного тормоза
KR20130142813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1906599B1 (ko) 건설 기계의 시동 안전 장치
KR100221598B1 (ko) 유압식 건설기계의 자동 주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283189A (ja) オートクラッチ車両
JPH0427694Y2 (ko)
KR100365212B1 (ko)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JP7106219B2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170070466A (ko) 차량용 주차 제어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