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212B1 -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212B1
KR100365212B1 KR1020000040793A KR20000040793A KR100365212B1 KR 100365212 B1 KR100365212 B1 KR 100365212B1 KR 1020000040793 A KR1020000040793 A KR 1020000040793A KR 20000040793 A KR20000040793 A KR 20000040793A KR 100365212 B1 KR100365212 B1 KR 10036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engine
state
dri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538A (ko
Inventor
양홍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2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키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1)와; 운전자가 파킹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파킹브레이크 상태 검출부(2)와; 운전자가 주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주브레이크 상태 검출부(3)와; 변속레버가 현재 어느 레인지에 있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변속레버 상태 검출부(4)와; 스로틀밸브의 개폐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상태 검출부(5)와; 키스위치와 별도로 운전석 주변에 설치한 비상시동 스위치가 운전자 등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비상시동 스위치 상태 검출부(6)와; 엔진의 현재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7)와; 자동차의 현재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8)와; 상기한 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소정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브레이크들이 작동되지 않고 스로틀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등에 의해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되면 엔진의 상태와 차속을 검출하여 엔진의 시동이 꺼져 있고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비상모드로 들어가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가 될 때 까지 록업피스톤(11)을 작동시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하는 제어부(9)와; 상기 제어부(9)의 제어를 받아 록업피스톤(11)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록업피스톤 구동부(10)와; 상기 제어부(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엔진회전수 제어부(12)로 구성하여 오토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자동차를 밀면서 비상시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즉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하여 고장수리에 따른 시간적 및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Emergency starting-up system for vehicle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오토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엔진시동 불량시 일시적으로 엔진의 시동을 걸어 비상운행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지 않으면 클러치의 유체매개에 의해 수동트랜스밋션 장착 자동차와 같이 차량 자체를 밀어서 엔진을 회전시켜 시동을 걸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떻한 원인으로 인해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지 않으면 자동차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어 고장현장에서 정비사를 부르거나 부품을 구매해와서 자동차를 수리하거나, 견인하여 정비공장으로 입고한 후 고장 수리를 실시해야만 되므로 자동차의 고장수리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필요하게 경비(예를들어 견인비 등)가 지불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오토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을시 비상시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록업클러치 부피스톤이 작동되어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엔진시동 불량으로 인한 시간적 손해 및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있는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키스위치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는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와; 파킹브레이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파킹브레이크 상태 검출부와; 주브레이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주브레이크 상태 검출부와; 변속레버가 어느 레인지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변속레버 상태 검출부와; 스로틀밸브의 상태를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상태 검출부와; 키스위치와 별도로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비상시동 스위치 상태 검출부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와; 상기한 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소정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브레이크들이 작동되지 않고 스로틀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되면 엔진의 상태와 차속을 검출하여 엔진의 시동이 꺼져 있고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비상모드로 들어가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가 될 때 까지 록업피스톤을 작동시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록업피스톤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록업피스톤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진회전수 제어부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비상시동 스위치를 작동시켜 즉시 엔진에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고장수리에 따른 시간적 및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 2 : 파킹브레이크 상태 검출부(2)
3 : 주브레이크 상태 검출부 4 : 변속레버 상태 검출부
5 : 스로틀밸브 상태 검출부 6 : 비상시동 스위치 상태 검출부
7 : 엔진회전수 검출부 8 : 주행속도 검출부
9 : 제어부 10 : 록업피스톤 구동부
11 : 록업피스톤 12 : 엔진회전수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의 키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1)와;
운전자가 파킹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파킹브레이크 상태 검출부(2)와;
운전자가 주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주브레이크 상태 검출부(3)와;
변속레버가 현재 어느 레인지에 있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변속레버 상태 검출부(4)와;
스로틀밸브의 개폐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상태 검출부(5)와;
키스위치와 별도로 운전석 주변에 설치한 비상시동 스위치가 운전자 등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비상시동 스위치 상태 검출부(6)와;
엔진의 현재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7)와;
자동차의 현재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8)와;
상기한 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소정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브레이크들이 작동되지 않고 스로틀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등에 의해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되면 엔진의 상태와 차속을 검출하여 엔진의 시동이 꺼져 있고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비상모드로 들어가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가 될 때 까지 록업피스톤(11)을 작동시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하는 제어부(9)와;
상기 제어부(9)의 제어를 받아 록업피스톤(11)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록업피스톤 구동부(10)와;
상기 제어부(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진회전수 제어부(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키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9)에서 파킹브레이크와 주브레이크가 작동상태에 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킹 및 주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았으면 변속레버가 중립레인지(N)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중립이 아니면 파킹레인지(P)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파킹도 아니면 시동불가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중립레인지에 있으면 스로틀밸브가 닫힌상태인지와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인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킹 및 주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이거나 변속레버가 파킹레인지에 있는 경우 또는 비상시동 스위치가 "오프"상태에 있으면 키스위치가 스타트 단자에접속되는 순간 정상시동모드로 전환하여 엔진을 아이들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엔진의 회전수가 "0"보다 큰지를 검출하여 그렇치 않으면 비상시동모드로 전환하고 사람들이 자동차를 밀게 되므로 인해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록업피스톤을 작동시키고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전환시킨 후 엔진의 회전수가 특정 회전수 범위(예를들어 50 > 엔진 회전수 > 200)내인지를 검출하여 그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계속해서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전환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엔진 회전수가 특정 회전수 범위내에 이르면 키스위치가 스타트단자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이를 만족하지 않으면 주브레이크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주브레이크도 작동된 상태가 아니면 비상시동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록업 피스톤 작동을 해제시킨 다음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 이하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하이면 상기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접속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가되 그 이하가 아니면 아이들 회전수를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의 전장품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9)에서는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키스위치가 "온"상태인지를 계속 검출하여 "온"상태에 있으면 파킹브레이크 상태 검출부(2)와 주브레이크 상태 검출부(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파킹브레이크와 주브레이크가 작동상태에 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파킹 및 주 브레이이크가 작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이면 변속레버 상태 검출부(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변속레버가 중립레인지(N)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중립상태에 있지 않으면 파킹레인지(P)에 있는지를 검출하게 되는데, 만약 파킹레인지에도 있지 않으면 시동불가 판정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변속레버가 중립레인지에 있으면 자동차의 급발진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스로틀밸브 상태 검출부(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스로틀밸브가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스로틀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이면 이번에는 비상시동 스위치 상태 검출부(6)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인지를 검출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파킹 및 주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이거나 변속레버가 파킹레인지에 있는 경우 또는 비상시동 스위치가 "오프"상태에 있으면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키스위치가 스타트 단자에 접속되면 그 순간 정상시동모드로 전환하여 엔진을 아이들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엔진회전수 검출부(1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주행시 록업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의 회전수가 "0"보다 큰지를 검출하게 되는데, 만약 엔진 회전수가 "0"이면 비상시동모드로 전환하고 주행속도 검출부(8)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최소 시동 회전수에 상응한 록업 기어비시 속도인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하인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록업피스톤 구동부(10)에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록업피스톤을 작동시키고,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전환시킨 후 엔진회전수 검출부(7)를 통해 엔진의 회전수가 특정 회전수 범위 즉, 50 > 엔진 회전수 > 200내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그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계속해서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전환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엔진 회전수가 특정 회전수 범위내에 이르면 키스위치가 스타트단자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이를 만족하지 않으면 주브레이크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주브레이크도 작동된 상태가 아니면 비상시동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록업 피스톤 작동을 해제시킨 다음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 이하인지를 다시 검출하여 그 이하이면 상기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접속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가되 그 이하가 아니면 아이들 회전수를 유지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기존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단, 비상시동 스위치는 별도로 장착) 비상시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어 프로그램은 전자제어 유니스로 구성되는 제어부(9)에 내장하여 비상 시동시 활용할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상시동 스위치는 시동전환 프쉬 버튼으로 제어부(9)에 별도의 신호를 보내는 기능으로 기존의 센서에 추가 센싱을 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오토트랜스밋션 차량에서 록업 시스템의 작동으로 유체매체를 통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엔진과 구동계를 연결하게 되는데, 록업 시스템은 통상 2개의 신호(스로틀밸브 개도 및 차량속도)를 입력받는 제어부(9)의 제어를 받어 트랜스밋션(T/M) 록업 클러치 부피스톤 작동으로 엔진과 T/M이 직접 연결이 되어 연비 절감 및 구동력을 증가시킨다.
시동 회전수(RPM)가 통상 50-70 RPM이면 시동이 가능하고, 록업 작용시 60kph 속도에서 보통 1500 RPM정도가 된다.
위의 기능을 이용하여 제어부(9)에 입력 신호를 줄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를 장착하여 차량을 밀어 일정속도가 되었을때 스위치 작동으로 록업이 되게 함으로 인하여 엔진이 회전하게되고, 이때 크랭킹을 하여 시동을 건다.
수동 트랜스밋션 차량에 밀어서 시동시 일정속도에서 클러시를 놓아 크랭킹을 하여 시동을 거는 방법과 동일하게 되며, 시동시 록업이 작동되면 수동 T/M 차량에서 기어를 넣고 시동을 거는 것과 같이 차량 부하를 받게된다.
따라서, 비상시동 스위치는 누르면 작동을 하고 시동이 되어 차량 부하에 의하여 엔진 RPM이 떨어진게 될 때, 즉 50RPM(최소 시동 RPM)이하가 되면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록업이 해제되어 시동을 완료한다.
또한 엔진 RPM이 200RPM이상이 되면 시동이 된 상태이므로 록업을 해제하여 시동을 완료하고, 비상 시동중 키스위치를 놓거난 브레이크를 밟을시 안전을 위하여 비상시동 모드를 해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트랜스밋션이 장착된 자동차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자동차를 밀면서 비상시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즉시 엔진에 시동을 걸려지도록 하므로써, 고장수리에 따른 시간적 및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키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키스위치 상태 검출부(1)와;
    운전자가 파킹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파킹브레이크 상태 검출부(2)와;
    운전자가 주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주브레이크 상태 검출부(3)와;
    변속레버가 현재 어느 레인지에 있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변속레버 상태 검출부(4)와;
    스로틀밸브의 개폐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상태 검출부(5)와;
    키스위치와 별도로 운전석 주변에 설치한 비상시동 스위치가 운전자 등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비상시동 스위치 상태 검출부(6)와;
    엔진의 현재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7)와;
    자동차의 현재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8)와;
    상기한 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소정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브레이크들이 작동되지 않고 스로틀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등에 의해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되면 엔진의 상태와 차속을 검출하여 엔진의 시동이 꺼져 있고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비상모드로 들어가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가 될 때 까지 록업피스톤(11)을 작동시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하는 제어부(9)와;
    상기 제어부(9)의 제어를 받아 록업피스톤(11)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록업피스톤 구동부(10)와;
    상기 제어부(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진회전수 제어부(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2. 키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9)에서 파킹브레이크와 주브레이크가 작동상태에 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킹 및 주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았으면 변속레버가 중립레인지(N)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중립이 아니면 파킹레인지(P)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파킹도 아니면 시동불가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중립레인지에 있으면 스로틀밸브가 닫힌상태인지와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인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킹 및 주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이거나 변속레버가 파킹레인지에 있는 경우 또는 비상시동 스위치가 "오프"상태에 있으면 키스위치가 스타트 단자에 접속되는 순간 정상시동모드로 전환하여 엔진을 아이들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비상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엔진의 회전수가 "0"보다 큰지를 검출하여 그렇치 않으면 비상시동모드로 전환하고 사람들이 자동차를 밀게 되므로 인해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차속이 소정속도(3kph) 이상이면 록업피스톤을 작동시키고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전환시킨 후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범위내인지를 검출하여 그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계속해서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전환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엔진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범위내에 이르면 키스위치가 스타트단자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이를 만족하지 않으면 주브레이크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주브레이크도 작동된 상태가 아니면 비상시동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록업 피스톤 작동을 해제시킨 다음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 이하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하이면 상기 키스위치를 스타트단자로 접속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가되 그 이하가 아니면 아이들 회전수를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방법.
KR1020000040793A 2000-07-15 2000-07-15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36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793A KR100365212B1 (ko) 2000-07-15 2000-07-15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793A KR100365212B1 (ko) 2000-07-15 2000-07-15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38A KR20020007538A (ko) 2002-01-29
KR100365212B1 true KR100365212B1 (ko) 2002-12-16

Family

ID=1967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793A KR100365212B1 (ko) 2000-07-15 2000-07-15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07B1 (ko) * 2005-12-09 2007-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 모터 제어장치
CN103470748B (zh) * 2013-08-27 2015-11-18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液控制变速箱的智能换挡控制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17A (ja) * 1983-06-27 1985-01-17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搭載車両のスタータ起動装置
JPS60248443A (ja) * 1984-05-24 1985-12-09 Nippon Denso Co Ltd 自動変速機装着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KR920006166A (ko) * 1990-09-11 1992-04-27 이다가끼 유끼오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17A (ja) * 1983-06-27 1985-01-17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搭載車両のスタータ起動装置
JPS60248443A (ja) * 1984-05-24 1985-12-09 Nippon Denso Co Ltd 自動変速機装着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KR920006166A (ko) * 1990-09-11 1992-04-27 이다가끼 유끼오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38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5126B2 (en) Shift-by-wire control system
JP5880098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およびエンジンの自動停止再始動制御装置
KR19980018405A (ko) 자동차
CA2530868A1 (en) A system for starting automatic car in safety and a method thereof
JPH07501136A (ja) クラッチ制御システム
JP4499195B2 (ja) トルク伝達機構を自動的に操作するための装置
KR100365212B1 (ko)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JP202113111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H1077937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及び方法
KR100325546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20180124646A (ko) 자동차의 주유중 출발방지 안전장치
KR100320376B1 (ko) 자동차의 안전 출발 방법 및 장치
JPH04358729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KR100350267B1 (ko) 대형 반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시동시 안전장치
KR100341758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시동 안전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380084B1 (ko) 자동차의 주차장치 및 그 방법
JP4165032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2001006461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US6188941B1 (en) Programmable ignition-controlled door lock
JPH0558221A (ja) 自動車用自動ステツプの安全装置
JPH11247745A (ja) 車両のスタータ制御装置
KR200174680Y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100325227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0617B1 (ko) 차량의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3276827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pto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