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227B1 -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227B1
KR100325227B1 KR1019990028819A KR19990028819A KR100325227B1 KR 100325227 B1 KR100325227 B1 KR 100325227B1 KR 1019990028819 A KR1019990028819 A KR 1019990028819A KR 19990028819 A KR19990028819 A KR 19990028819A KR 100325227 B1 KR100325227 B1 KR 10032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mined
speed
engine
determining whether
drive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114A (ko
Inventor
유재웅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2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227B1/ko
Priority to AU64414/99A priority patent/AU765172B2/en
Priority to DE19959433A priority patent/DE19959433A1/de
Priority to JP35243899A priority patent/JP4271803B2/ja
Priority to US09/458,049 priority patent/US6189645B1/en
Publication of KR2001001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7Safety-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급발진으로 유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엔진 시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차량의 급발진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목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흡기 계통상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이의 흡기 계통을 개폐하는 흡기 계통 개폐수단과;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흡기 계통 개폐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속도 및 차량의 출발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작동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와,
엔진이 시동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 상태임이 판단되면, 구동륜의 슬립량을 계산하여 임의 설정 기준치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급발진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발진으로 판단시 강제로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시동 정지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ANTI-UNCONTROLLED ACCELERATION SYSTEM OF AUTO-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가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급발진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차량용 자동 변속기는 토오크 컨버터와, 이 토오크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 변속기어 메카니즘과, 차량의 주행상태 및 부하 변동에 따라 상기 변속기어 메카니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해 유압으로 마찰요소를 제어하는 유압 제어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속도와 부하의 변동에 따라 유압 제어시스템이 동작되면서 변속기어 메카니즘에 장치되어 있는 마찰요소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변속하는 일반적인 수동 변속기와는 달리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메카니즘을 적용하고 있은 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자파의 영향으로 유압을 제어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오동작되면서 운전자의 의지와는 달리 출발 또는 서행중에 차량이 급발진하여 추돌 및 충돌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유압 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장 발생시 3속으로 홀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궁극적으로 변속을 행하는 마찰요소를 작동시키는 유압은 운전자의 셀렉트 레버 레인지 변환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는 급발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차체 오작동으로 인한 급출발 이외의 급발진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을 실시하거나,
둘째, 엔진의 워밍 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엔진의 공회전 회전수가 정상치 보다 높을 때, 레인지 변속을 행하거나,
셋째, 운전자가 습관적으로 가속페달을 가볍게 반복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엔진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영향을 주어 많은 량의 연료가 공급되어 엔진 회전수가 일시에 상승하거나,
넷째, 출발을 위해 브레이크를 밟지 않는 상태에서 레인지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레인지 변환시 이의 부하 보상을 위해 엔진 회전수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에 의해 급발진하는 경우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차량이 급발진 한다면, 이는 급발진 원인이 자동 변속기 자체에 있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의 조작 미숙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의 급발진 원인들을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의 원인과 자동 변속기의 자체 결함 또는 전자파에 의한 오동작으로 운전자의 의지와는 달리 급발진이 발생되는 경우, 그 이유가 어디에 있든지간에 차량 자체가 전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급발진으로 유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엔진 시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차량의 급발진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적용상태를 보인 흡기 계통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셔터 다운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셔터 다운 밸브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작동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작동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작동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작동 흐름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시 엔진의 흡기 계통을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시동이 꺼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엔진의 흡기 계통상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이의 흡기 계통을 개폐하는 흡기 계통 개폐수단과;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흡기 계통 개폐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속도 및 차량의 출발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작동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엔진이 시동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 상태임이 판단되면, 구동륜의 슬립량을 계산하여 임의 설정 기준치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급발진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발진으로 판단시 강제로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시동 정지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엔진이 시동되어 본 발명의 변속제어가 시작되면, 작동 선택 스위치의 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스위치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2, 3단계와;
상기 제2, 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셔터다운 컨트롤 유닛에서는 셔터 다운 밸브의 액튜에이터를 구동시켜 이의 밸브판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엔진의 흡기 계통도로서, 외부의 공기는 에어 클리너(2)를 통과하면서 공기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어 흡기관로(4)를 통해 스로틀 바디(6)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스로틀 바디(6)내의 스로틀 밸브(8)에 의하여 공기 유입량이 결정되어 서어지 탱크(10)로 유입되면, 이의 서어지 탱크(10)에서 일시 저장되었다가 엔진(12)의 연소실로 공급되며, 연소실로 공급될 때에는 연료 인젝터(14)로부터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된 혼합가스 상태로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그의 팽창력으로 피스톤을 동작시켜 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기 계통에 있어서, 본 발명은 흡기 계통 개폐수단으로 상기 스로틀 바디(6)와 서어지 탱크(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서어지 탱크(10)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셔터 다운 밸브(16)를 배치하였다.
상기 셔터 다운 밸브(16)는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의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은 작동 제어수단을 형성하는 구동륜 센서(20), 피동륜 센서(22),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24), 엔진 회전수 센서(26), 가속 페달 작동센서(28)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기 입력되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셔터 다운밸브(16)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 다운 밸브(16)는 도2 및 도3 에서와 같이, 스로틀 바디(6)와 서어지 탱크(10)를 연결하는 흡기관로(4)상에 개재되는 원통형의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싱(30)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판(32)과, 상기 밸브판(32)의 회전축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밸브판(32)을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밸브판(32)과 케이싱(30)은 케이싱 유로의 폐쇄 동작시 공기의 흐름을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액튜에이터(34)는 케이싱(30)의 외측에 장착되는데, 이의 액튜에이터(34)는 그 구성에 한정됨이 없이 밸브판(32)이 유로를 완전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동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은 기존의 전자 제어유닛과는 전혀 무관하게 운용되는 것이며, 작동 제어수단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서는 구동륜 및 피동륜 센서(20)(22)에 의한 정보로만 셔터 다운 밸브(16)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구동륜 및 피동륜 센서(20)(22)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구동륜의 회전수가 피동륜의 회전수에 비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가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제어하여 밸브판(32)이 흡기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엔진의 시동 상태를 정지시켜 차량이 전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동작은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무조건 구동륜의 회전수가 피동륜 보다 일정치 이상으로 높다고 하여 엔진의 시동 상태를 정지시키면, 이에 따른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급발진 방진은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 선택스위치(36)를 장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제2, 3, 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24), 엔진 회전수 센서(26), 가속 페달 작동 스위치(28)등을 적용하여 보다 세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기본 작동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한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엔진이 시동되어 본 발명의 변속제어가 시작되면, 제1 단계에서는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1)
그리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 3단계에서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20)(22)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의 정보를 받고(S12)(S13), 제4 단계에서는 이의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14).
상기 제4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제5 단계에서는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하여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15),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에서는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구동시켜(S16) 이의 밸브판(32)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급발진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 제2 단계(S12)로부터 제5 단계(S5)까지는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고, 제6 단계(S16)는 엔진 시동 정지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제 4, 5단계(S14)(S15)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처음으로 다시 리턴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S11)와 제2 단계(S12) 사이에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한 것이다.
이는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을 검지 하여 운전자가 주행의 의지가 없을 때에는 그 이후의 단계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이후 단계를 거치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엔진이 시동되어 본 발명의 변속제어가 시작되면, 제1 단계에서는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21)
그리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 단계에서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24)로부터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S22), 레인지 변환이 않으면 리턴되고,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면, 제3, 4단계에서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20)(22)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의 정보를 받고(S23)(S24), 제5 단계에서는 이의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25).
상기 제5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제6 단계에서는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하여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26), 제 7단계에서는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에서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구동시켜(S27) 이의 밸브판(32)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급발진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이는 상기 제2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S21)와 제2 단계(S22) 사이에 가속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한 것이다.
이는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을 검지하여 가속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레인지 변환으로 인한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엔진이 시동되어 본 발명의 변속제어가 시작되면, 제1 단계에서는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31)
그리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 단계에서 가속페달 작동 선택스위치(26)로부터 가속페달이 밟힌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S32), 가속 페달이 밟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제3 단계에서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24)로부터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S33), 레인지 변환이 않으면 리턴되고,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면, 제4, 5단계에서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20)(22)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의 정보를 받고(S34)(S35), 제6 단계에서는 이의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36).
상기 제6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제7 단계에서는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하여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37), 제8 단계에서는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에서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구동시켜(S38) 이의 밸브판(32)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급발진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단계에서 가속 페달이 밟힌 상태로 판단되면, 제9단계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S39) 셀렉트 레버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리턴되고,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8 단계로 진행되어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구동시켜(S38) 이의 밸브판(32)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이는 상기 제3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S31)와 제2 단계(S32) 사이에 가속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한 것이다.
이는 상기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추가하여 보다 더욱 안정된 급발진 방지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엔진이 시동되어 본 발명의 변속제어가 시작되면, 제1 단계에서는 작동 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41)
그리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스위치(46)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 단계에서 엔진의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42),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제3단계(S43)으로 진행되고, 이하이면 제4 단계(S44)로 진행된다.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것이 가속페달을 밟아서 인진지를 판단하여(S43), 가속 페달이 밟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제4 단계에서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24)로부터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S44), 레인지 변환이 않으면 리턴되고,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면, 제5, 6단계에서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20)(22)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의 정보를 받고(S45)(S46), 제7 단계에서는 이의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47).
상기 제7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제8 단계에서는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하여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48), 제9 단계에서는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18)에서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구동시켜(S49) 이의 밸브판(32)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급발진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에서 가속 페달이 밟힌 상태로 판단되면, 제10단계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S50) 셀렉트 레버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리턴되고,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9 단계로 진행되어 셔터 다운 밸브(16)의 액튜에이터(34)를 구동시켜(S49) 이의 밸브판(32)이 닫히도록 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의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제어방법으로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급발진으로 유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엔진 시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차량의 급발진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7)

  1. 흡기 계통의 스로틀 바디와 서어지 탱크를 연결하는 흡기관로상에 개재되는 원통형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싱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의 회전축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밸브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지는 흡기계통 개폐수단과;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급출발을 검출함으로써,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흡기 계통 개폐수단의 액튜에이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흠기계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구동륜 센서와, 피동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피동륜 센서로 이루어지는 작동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 제어수단에는 상기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의 작동여부를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작동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3.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4. 청구항4는 삭제 되었습니다.
  5. 청구항5는 삭제 되었습니다.
  6. 청구항6는 삭제 되었습니다.
  7. 청구항7는 삭제 되었습니다.
  8. 엔진이 시동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 상태임이 판단되면, 구동륜의 슬립량을 계산하여 임의 설정 기준치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급발진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발진으로 판단시 강제로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시동 정지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엔진이 시동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급발진 여부 판단 단계 사이에 운전자에 의한 작동 선택 스위치의 온상태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급발진 여부 판단단계에서 구동륜 슬립량은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 차이값을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제어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엔진 시동 정지단계는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2. 엔진이 시동되면, 작동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스위치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2, 3단계와;
    상기 제2, 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셔터다운 컨트롤 유닛에서는 셔터 다운 밸브의 액튜에이터를 제어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3. 엔진이 시동되면, 작동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제1단계에서 작동 선택스위치가 온 상태로 판단되면,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3, 4단계와;
    상기 제3, 4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에서는 셔터 다운 밸브의 액튜에이터를 제어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4. 엔진이 시동되면, 작동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로 판단되면, 가속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가속페달이 작동되지 않으면,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 선택스위치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4, 5단계와;
    상기 제4, 5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 판단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에서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에서는 셔터 다운 밸브의 액튜에이터를 제어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가속페달이 작동된다고 판단되면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제8단계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6. 엔진이 시동되면, 작동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작동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로 판단되면,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가속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거나, 상기 2단계에서 가속 페달이 작동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 선택스위치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구동륜과 피동륜 회전수 센서로부터 구동륜과 피동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5, 6단계와;
    상기 제5, 6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구동륜 회전수 A와 피동륜 회전수 B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치 X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에서 A가 B 보다 기준치 X 보다 크면, 실제차량속도 Q와 피동륜의 회전수 B를 비교 판단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제8 단계에서 차량속도 Q가 피동륜 회전수 B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셔터 다운 컨트롤 유닛에서는 셔터 다운 밸브의 액튜에이터를 제어하여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3 단계에서 가속페달이 작동된다고 판단되면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 레인지 변환이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제9 단계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KR1019990028819A 1999-07-16 1999-07-16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2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19A KR100325227B1 (ko) 1999-07-16 1999-07-16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64414/99A AU765172B2 (en) 1999-07-16 1999-12-09 Automobile air supply system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DE19959433A DE19959433A1 (de) 1999-07-16 1999-12-09 Luftversorgungssystem für ein Automobil zum Vermeiden einer plötzlichen Beschleunigung und zugeordnetes Verfahren
JP35243899A JP4271803B2 (ja) 1999-07-16 1999-12-10 自動変速機搭載車両の急発進防止装置
US09/458,049 US6189645B1 (en) 1999-07-16 1999-12-10 Automobile air supply system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19A KR100325227B1 (ko) 1999-07-16 1999-07-16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14A KR20010010114A (ko) 2001-02-05
KR100325227B1 true KR100325227B1 (ko) 2002-03-04

Family

ID=1960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819A KR100325227B1 (ko) 1999-07-16 1999-07-16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89645B1 (ko)
JP (1) JP4271803B2 (ko)
KR (1) KR100325227B1 (ko)
AU (1) AU765172B2 (ko)
DE (1) DE19959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3162A1 (en) 2004-05-28 2005-12-07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for esd prote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688A (ja) * 1992-09-01 1994-03-22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H06108889A (ja) * 1992-09-25 1994-04-19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9980051937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전기자동차의 급발진시 슬립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7930A0 (en) * 1993-12-07 1994-04-12 Electric Fuel Ltd A metal-air battery-powered electric vehicle
US5613571A (en) * 1995-09-26 1997-03-25 Harley-Davidson, Inc. Rotational speed/tip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688A (ja) * 1992-09-01 1994-03-22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H06108889A (ja) * 1992-09-25 1994-04-19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9980051937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전기자동차의 급발진시 슬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9645B1 (en) 2001-02-20
DE19959433A1 (de) 2001-01-18
JP4271803B2 (ja) 2009-06-03
JP2001032733A (ja) 2001-02-06
AU765172B2 (en) 2003-09-11
AU6441499A (en) 2001-01-18
KR20010010114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69B1 (ko)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US6723014B2 (en)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0735957B1 (en) Clutch control system
GB1559719A (e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lutch
KR960029600A (ko) 차량출발 엔진연료제어장치 및 방법
JP2001098965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H0460220A (ja) 自動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304516B1 (ko) 토크컨버터의열열화를감소시키는엔진제어시스템
KR100287662B1 (ko) 토크 컨버터를 구비한 자동차 동력 전달 라인용 로크-업 제어 시스템
US5595550A (en) Clutch control system
JP3845910B2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及び方法
KR19980701607A (ko) 엔진 제어 시스템의 에러에 의존하는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dependent on an error in the engine control system)
KR100325227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1212627A (ja) エンジン/クラッチ総合制御システム
KR19980060028A (ko) 댐퍼 클러치 자기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H0444128B2 (ko)
JP3196512B2 (ja) 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
JPS61232932A (ja) 自動変速装置の変速制御方法
JPH07167286A (ja) トルクコンバータ付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機構の故障診断装置
JP3502142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付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機構の故障診断装置
JP2891019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RU2426019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ыключение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сцеп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524851Y2 (ko)
KR0184958B1 (ko) 정속주행 엑셀레이터 제어장치
JPH03186648A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