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809A -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809A
KR20180091809A KR1020187007441A KR20187007441A KR20180091809A KR 20180091809 A KR20180091809 A KR 20180091809A KR 1020187007441 A KR1020187007441 A KR 1020187007441A KR 20187007441 A KR20187007441 A KR 20187007441A KR 20180091809 A KR20180091809 A KR 2018009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tter
receiver
co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160B1 (ko
Inventor
야스히사 츠지타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8Sharing hardware components like housing, antenna, receiver or signal transmission line with other vehicle systems like keyless entry or brake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60C23/0455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signals
    • B60C23/0461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signals externally triggered, e.g. by wireless request signal, magnet or manual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60C23/0455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signals
    • B60C23/0462Structure of transmission protoc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71System initialisation, e.g. upload or calibr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71System initialisation, e.g. upload or calibr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 B60C23/0472System initialisation, e.g. upload or calibr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to manually allocate ID codes or mounting positions, e.g. by service technic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79Communicating with external units being not part of the vehicle, e.g. tools for diagnostic, mobile phones, electronic keys or service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4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송신기는,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신기용 제어부를 구비한다. 송신 데이터는, 가변 데이터 및 대조 데이터를 포함한다. 대조 데이터는, 수신기의 대조부에, 송신기에 등록된 ID코드와 수신기에 등록된 ID코드를 대조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송신기용 제어부는,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제1상태는, 대조 데이터로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태이다. 제2상태는, 대조 데이터로서, 가변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연산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태이다.

Description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본 발명은,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는 송수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대응지어진다. 수신기는 대응지어진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만을, 자신을 향해 송신된 송신 데이터라고 인식한다. 송신기는 개별의 식별정보가 기억된 송신기용 기억부와 전력원을 구비한다. 수신기는 대응지어진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기억된 수신기용 기억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동일한 식별정보가 수신기와, 수신기에 대응지어진 송신기에 각각 등록된다. 동일한 식별정보가 등록됨으로써 송신기와 수신기가 대응지어진다. 송신기는 수신기에 취득시키려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수신기에 대조시키기 위한 대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한다.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대조 데이터와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한다. 그리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신기는 그 송신 데이터가 수신기 자신을 향하여 송신된 송신 데이터라고 인식한다.
송수신기 시스템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송수신 시스템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송신기는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고정 데이터와 다른 값을 취득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와의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취함으로써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연산한다. 송신기는 연산된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대조 데이터로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기는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고정 데이터와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함으로써 수신한 송신 데이터로부터 고정 데이터와 가변 데이터를 복원한다. 수신기는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고정 데이터와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로부터 복원한 고정 데이터를 대조한다.
그런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은 전력원의 전력을 소비한다. 이 때문에, 전력원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송신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단축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송신기는 고정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 대신에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고정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 그 자체를 송신하는 경우에 비하여 짧아진다. 그러나, 고정 데이터와 가변 데이터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위하는 경우, 고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의 데이터와 동일하게 된다. 즉,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고정 데이터보다 짧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송신기로는 고정 데이터에 의해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단축화가 저해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3-4614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기의 전력원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하면,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가 제공된다. 송신기는 전력원과, 식별정보가 기억된 송신기용 기억부와,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와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수신기에 설치한 대조부에 대조시키기 위한 대조 데이터 및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생성부는 대조 데이터로서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고 또한 고정 데이터보다 길이가 짧은 연산 데이터를 생성 가능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제공된다.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수신한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대조 데이터 및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식별정보가 기억된 수신기용 기억부와, 대조 데이터와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부를 구비한다. 대조 데이터로서,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벙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고 또한 고정 데이터보다 길이가 짧은 연산 데이터가 취득부에 취득된 경우, 대조부는 연산 데이터와 가변 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한 송수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송신기는 전력원과, 식별정보가 기억된 송신기용 기억부와,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와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의 대조에 사용되는 대조 데이터 및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생성부는, 대조 데이터로서,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고 또한 고정 데이터보다 길이가 짧은 연산 데이터를 생성가능하다. 또한,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수신한 송신 데이터로부터 대조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식별정보가 기억된 수신기용 기억부와, 대조 데이터와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수신시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부를 구비한다. 대조 데이터로서, 연산 데이터가 취득부에서 취득된 경우, 대조부는 연산 데이터와 가변 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트리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송신기, 및 트리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a)는 제1데이터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b)는 제2데이터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제1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고, (b)는 제2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ID코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가변 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ID코드로부터 연산된 오차 검출부호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송신기용 제어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셔플 패턴에 의해 셔플된 ID코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제2데이터에 포한되는 가변 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ID코드를 셔플 패턴으로 셔플한 후의 ID코드로부터 연산된 오차 검출부호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1실시형태)
이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 시스템으로서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은, 차량(10)의 4개의 차륜(11)에 각각 장착되는 송신기(21)와, 차량(10)에 설치되는 수신기(40)를 구비한다. 각 차륜(11)은 휠(12)과, 휠(12)에 장착된 타이어(13)를 구비한다. 각 차륜(11) 중 우전차륜을 FR, 좌전차륜을 FL, 우후차륜을 RR, 좌후차륜을 RL로서 설명한다. 송신기(21)로는 타이어 밸브에 고정된 것이나, 휠(12)이나 타이어(13)에 고정된 것이 사용된다.
송신기(21)는 타이어(13)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차륜(11)에 설치된다. 송신기(21)는 대응하는 타이어(13)의 상태(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이나 타이어 내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한 타이어(13)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40)에 무선송신한다.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은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40)에서 수신함으로써, 타이어(13)의 상태를 감시한다. 송신기(21)는 차량(10)에 관련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차량용 송신기이고, 수신기(40)는 차량(10)에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용 수신기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21)는 압력 센서(22), 온도 센서(23), 가속도 센서(24), 송신기용 제어부(25), 송신회로(26), 트리거 수신부(32), 송신 안테나(28), 수신 안테나(29), 배터리(30), 및 전압 센서(31)를 구비한다. 배터리(30)는 송신기(21)의 전력원이 된다. 배터리(30)는 1차 전지, 2차 전지, 커패시터 등의 축전장치일 수 있다.
압력 센서(22)는 대응하는 타이어(13)의 공기압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22)는 검출결과를 송신기용 제어부(25)에 출력한다. 온도 센서(23)는 대응하는 타이어(13) 내의 온도를 검출한다. 온도 센서(23)는 검출결과를 송신기용 제어부(25)에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24)는 차륜(11)과 함께 회전하여 자신에 작용하는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24)는 검출결과를 송신기용 제어부(25)에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24)는 차륜(11)의 회전에 따른 원심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24)의 검출축은 원심가속도가 작용하는 방향을 향한다. 압력 센서(22), 온도 센서(23), 및 가속도 센서(24)가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전압 센서(31)는 배터리(30)의 전압(배터리(30)의 양단전압)을 검출한다. 전압 센서(31)는 검출결과를 송신기용 제어부(25)에 출력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CPU(25a) 및 송신기용 기억부(25b)(RAM 이나 RO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송신기용 기억부(25b)는 각 송신기(21)의 고유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ID코드를 기억한다. 이로써, 송신기(21)에는 ID코드가 등록된다. 또한, 송신기용 기억부(25b)는 송신기(21)를 제어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프로그램에는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대양을 전환하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계시기능을 구비한다. 계시기능은 예를 들면, 타이머나 카운터에 의해 실현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소정의 취득간격마다(예를 들면, 수초~수십초 마다), 압력 센서(22), 온도 센서(23), 가속도 센서(24), 및 전압 센서(31)에 의해 검출된 검출결과를 취득하여 검출값을 얻는다. 검출값은 각 센서(22, 23, 24, 31)의 출력을 AD변환함으로써 얻어진다. AD변환은 각 센서(22, 23, 24, 31)에서 수행될 수 있고, 송신기용 제어부(25)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각 센서(22, 23, 24, 31) 또는 송신기용 제어부(25)는 AD변환기를 포함한다. 검출값은 압력, 온도, 가속도, 및 전압이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타이어 상태(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이나 타이어 내 온도)나 ID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송신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2진수나 16진수의 데이터 열이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생성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회로(26)에 출력한다. 송신회로(26)는 송신기용 제어부(25)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된 송신 데이터는 무선신호로서 송신 안테나(28)로부터 송심된다. 무선신호는 송신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이다. 무선신호는 RF대(예를 들면, 315MHz대나, 434MHz대)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로부터,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가속도 센서(24)에 작용하는 가속도는 차속이 빨라짐에 따라 커진다.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주행 판정용 역치 이상이면,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주행 판정용 역치 미만이면,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차량(10)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주행 판정용 역치에는 공차 등을 고려하여 차량(10)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보다 큰 값이 설정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차량(10)의 주행 중에, 차량(10)의 정지 중에 비하여 높은 빈도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취득한 검출치로부터 고장 판단을 행한다. 각 센서(22, 23, 24, 31)의 검출값은 미리, 취할 수 있는 범위가 설정된다. 이 범위를 넘어서는 검출값이 검출된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는 각 센서(22, 23, 24, 31)가 고장(예를 들면, 단선이나 단락)이라고 판단한다.
송신기(21)의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된다. 제1상태와 제2상태에서는, 송신기용 제어부(25)에서 생성되는 송신 데이터의 형식(프레임 포맷)이 서로 다르다.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1상태인 경우에 생성되는 송신 데이터를 제1데이터라 한다.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2상태인 경우에 생성되는 송신 데이터를 제2데이터라 한다. 우선, 제1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데이터에는 프리앰블(preamble), 식별코드, ID코드, 고정코드,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스테이터스 코드, 오차검출을 위한 부호인 오차검출 부호, 및 스톱 비트(stop bit)가 포함된다. 제1데이터는 계 100비트의 데이터이다.
ID코드는 32비트의 데이터이다. ID코드는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되고, ID코드를 변경하지 않는 한 항상 동일하다. 따라서, ID코드는 일정 값이 되는 고정 데이터이다.
고정 비트는 4비트의 데이터이다. 고정비트는 예를 들면,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을 위한 데이터이다. 고정 비트는 미리 정해진 값(고정값)이다. 또한, 4개의 송신기(21) 사이에서 ID코드는 서로 다르나 고정 비트는 동일하다.
압력 데이터는 12비트의 데이터이다. 압력 데이터는 압력 센서(22)에 의해 검출된 압력, 즉, 타이어(13)의 공기압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압력 센서(2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은 변동한다. 따라서, 압력 데이터는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가 된다.
온도 데이터는 8비트의 데이터이다. 온도 데이터는 온도 센서(23)에 의해 검출된 온도, 즉, 타이어(13) 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온도 센서(23)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는 변동한다. 따라서, 온도 데이터는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이다.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에는 압력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가 페이로드 데이터, 즉, 수신기(40)에 취득시키려는 데이터가 된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20비트로서, ID코드보다 비트 수가 작다.
스테이터스 코드는 16비트의 데이터이다. 스테이터스 데이터는 송신기(21)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스테이터스 코드는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가 된다.
오차검출 부호는 8비트의 데이터이다, 여기서는 오차검출을 행하기 위한 부호로서 오차검출 부호를 사용하나, 오차검출 부호 대신에 오차정정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오차검출을 행하기 위한 부호로는 오차검출만을 행하는 오차검출 부호 및 오차검출에 추가로 오차정정을 행하는 오차정정 부호를 나타낸다.
오차검출 부호로서는 패리티 비트, 체크섬, 미러 데이터 등 어떠한 오차검출 부호가 사용되어도 된다. 오차검출 부호로서는 BCH부호, RS부호, 해밍 부호, 터보 부호, 합성곱 부호 등 어떠한 오차검출 부호가 사용되어도 된다.
오차검출 부호로서 체크섬이 사용된다. 체크섬은 ID코드, 고정 비트, 압력 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코드로부터 연산된다. 체크섬을 8비트로 하기 문에, 체크섬의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도 8비트로 맞춰진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2비트의 ID코드는 4개로 분할되며, 분할된 데이터는 각각 8비트가 된다. 도 4(a)는 분할된 ID코드 각각을 ID 1, ID 2, ID 3, ID 4로 나타낸다. 도 4(a)는 제1데이터의 일례로서 우전차륜(FR)에 장착된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제1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12비트의 압력 데이터는 2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데이터는 4비트와 8비트가 된다. 도 4(a)는 분할된 데이터 중 4비트의 데이터를 압력 1, 8비트의 데이터를 압력 2로 나타낸다. 그리고, 4비트 데이터인 압력 1과 4비트의 고정 비트를 합하여 8비트의 데이터로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비트를 상위 4비트, 압력 1을 하위 4비트로하는 8비트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16비트의 스테이터스 코드는 2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데이터는 각각 8비트가 된다. 도 4(a)는 분할된 스터이터스 코드 각각을 스테이터스 1, 스테이터스 2로 나타낸다.
그리고,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때, 8비트로 맞춰진 복수의 데이터의 총합으로부터 체크섬을 연산한다. 체크섬은 상기한 데이터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한 값이다.
프리앰블은 16비트의 데이터이다. 식별 코드는 2비트의 데이터이다. 스톱 비트는 2비트의 데이터이다. 프리앰블, 식별 코드, 및 스톱 비트는 예를 들면, 프로토콜에 의해 정해진 데이터이다. 이들 데이터는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되지 않는다. 도 4 (a) 및 도 4(b)에서는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의 데이터 열이 생략되어 있다.
다음, 제2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로부터 ID코드 및 고정 비트를 생략한 송신 데이터이다. 제2데이터는 ID코드 및 고정 비트 만큼 제1데이터보다 데이터의 길이가 짧고, 64비트의 데이터가 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데이터에서는 ID코드 및 고정 비트가 생략되나, 오차검출 부호는 제1데이터와 같은 태양으로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오차검출 부호로서는 ID코드, 고정 비트,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터이터스 코드로부터 연산된 것이 사용된다. 즉, 제2데이터는 ID코드 및 고정 비트를 포함하여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하나, ID코드 및 고정 비트를 포함하지는 않는 송신 데이터이다. 도 4(b)는 제2데이터의 일례로서, 우전차륜(FR)에 장착된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제2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수신부(32)는 수신 안테나(29)를 통하여 트리거 장치(50)로부터 송신되는 트리거 데이터를 수신한다. 트리거 데이터는 트리거 장치(50)에서 변조된 트리거 신호로서 송신된다. 트리거 수신부(32)는 트리거 신호를 복조하여, 트리거 데이터를 송신기용 제어부(25)에 출력한다. 트리거 장치(50)는 송신기(21)에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트리거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행한다. 트리거 데이터로는 예를 들면 송신기(21)에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데이터, 송신 데이터의 송신간격 등의 변경을 요구하는 데이터, 송신기(21)의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ID코드의 기억을 요구하는 데이터, 송신기(21)의 소프트웨어를 갱신하는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트리거 장치(50)는 예를 들면, 송신기(21)를 제조하는 공장, 송신기(21)를 차륜(11)에 장착하는 공장, 딜러 등에 준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장치(50)는 복수의 조작부(51), 트리거 장치용 송신회로(52), 트리거 장치용 수신회로(53), 표시부(54), 트리거 장치용 제어부(55), 트리거 장치용 송신 안테나(56), 및 트리거 장치용 수신 안테나(57)를 구비한다. 각 조작부(5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복수의 조작부(51)(스위치)는 송신기(21)가 실행 가능한 동작에 대응하며, 조작부(51)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요구하는 트리거 데이터가 트리거 장치(50)로부터 송신된다.
조작부(51)는 트리거 장치용 제어부(55)에 접속된다. 트리거 장치용 제어부(55)는 조작부(51)의 조작에 따라 트리거 데이터를 생성한다. 트리거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기(21)에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트리거 장치용 제어부(55)는 생성한 트리거 데이터를 트리거 장치용 송신회로(52)에 출력한다. 트리거 장치용 송신회로(52)는 트리거 데이터에 따른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트리거 신호는 트리거 장치용 송신 안테나(56)로부터 송신된다. 트리거 신호는 예를 들면, LF대(예를 들면, 125kHz대의 신호)의 신호이다.
트리거 장치용 수신회로(53)는 트리거 장치용 수신 안테나(57)를 통하여,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트리거 장치용 수신회로(53)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트리거 장치용 제어부(55)에 출력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40)는 수신기용 제어부(41)와, 수신기용 수신회로(42)와, 수신 안테나(43)를 구비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경보기(44)에 접속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기용 CPU(41a) 및 수신기용 기억부(41b)(ROM이나 RA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는 각 송신기(21)로부터 수신 안테나(43)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출력한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수신부로서 기능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기용 수신회로(42)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어(13)의 상태(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이나 타이어 내 온도)를 파악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타이어(13)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경보기(44)(알림기)로서 알린다. 경보기(44)로서는 예를 들면, 이상을 빛의 점등이나 점멸에 의해 알리는 장치나, 이상을 소리에 의해 알리는 장치가 사용된다. 수신기로서는 차량(10)의 탑승자가 소지하는 휴대단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수신기(40)가 탑재된 차량(10)의 각 차륜(11)에 장착된 4개의 송신기(21)의 ID코드 및 고정 비트를 기억한다. 이로써, 수신기(40)에는 ID코드가 등록된다. 송신기용 기억부(25b)와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동일 ID코드를 기억하고, 이로써, 수신기(40)와 송신기(21)가 대응지어진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기(40)가 탑재된 차량(10)의 각 차륜(11)에 장착된 4개의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만을 자신에게 송신된 송신 데이터로서 인식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수신한 송신 데이터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에 등록된 식별정보(ID코드)와 수신기(40)에 등록된 식별정보(ID코드)를 대조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송신 데이터가 수신기(40)에 대응지어진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 것이라 판단하면, 그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타이어(13)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압력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수신기(40)가 탑재된 차량(10)의 데이터로서 채용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신기(40)에 대응지어진 송신기(21), 즉,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와 동일한 ID코드가 등록된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라 칭한다. 또한, "정규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 즉, 수신기(40)에 대응지어지지 않은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비정규 데이터"라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21)는 송신 데이터로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로서 제1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와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ID코드의 대조를 위하여 수신기용 제어부(41)가 행하는 처리는 다르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1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를 취득하고, 이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를 대조한다. 따라서, 제1데이터에 있어서는 ID코드가 대조 데이터가 된다. 제1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복수의 ID코드 중 어느 것이라도 일치하는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판단한다. 한편, 제1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복수의 ID코드 중 어느 것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를 비정규 데이터로 판단한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에 기초하여 ID코드를 대조한다. 따라서, 제2데이터에 있어서는 오차검출 부호가 대조 데이터가 된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2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 및 고정 비트로부터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은 송신기(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산된다. 즉, 송신기용 기억부(25b)와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동일한 태양으로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하도록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코드에,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 및 고정 비트를 추가하여 8비트의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수신기용 기억부(41b)가 4개의 차륜(11)에 대응하여 4개의 ID코드를 기억하기 때문에, 4개의 오차검출 부호가 연산된다. 여기서, 송신기(21)의 ID코드(및 고정 비트)와 수신기(40)에 등록된 ID코드(및 고정 비트)가 일치하는 경우,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서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는 일치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시에, 송신기(21)와 수신기(40)에서 동일한 태양으로 연산이 행해진다.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 중,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코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한 동일하다. 또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와 수신기(40)에서 ID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ID코드(및 고정 비트)도 일치하며,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연산이 행해진다. 그러면, 송신기(21)와 수신기(40)에서 연산된 연산 데이터인 오차검출 부호는 일치한다. 따라서,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연산 데이터인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의해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송신기(21)의 ID코드와 수신기(40)의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전차륜(FR), 좌전차륜(FL), 우후차륜(RR), 좌후차륜(RL)에 대응하여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4개의 ID코드를 기억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전차륜(FR), 좌전차륜(FL), 우후차륜(RR), 좌후차륜(RL)에 대응한 ID코드를 사용하여 오차검출 부호(체크섬)를 연산하면, 우전차륜(FR)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와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가 일치한다.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의해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 중 어느 것이든 일치하는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판단한다. 한편,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의해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 중 어느 것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를 비정규 데이터로 판단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송신 데이터로부터 대조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신기용 제어부(41)가 대조 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로부터 대조를 행하는 대조부로서 기능한다. 취득부(취득수단) 및 대조부(대조수단)는 수신기용 제어부(41)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ID코드에 추가로, 고정 비트도 포함하여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이는, 송신기용 제어부(25)도 고정 비트도 포함하여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하기 때문이다. 즉,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되는 한편, 제2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는 ID코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ID코드 및 고정 비트일 수도 있고, ID코드만일 수도 있다.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되는 한편, 제2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는 적어도 ID코드를 포함하는 고정값(고정 데이터)으로서,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되고,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면 된다. ID코드 및 고정 비트를 고정 데이터로 간주할 수도 있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오차검출 부호로부터 송신기(21)의 ID코드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가 일치하는 경우,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에 사용된 ID코드가, 제2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의 ID코드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산 데이터로서의 오차검출 부호는 ID코드를 수신기용 제어부(41)에 복원시킬 수 있고 또한, ID코드보다 길이가 짧은 복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차이로부터 구별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기(21)에서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로 식별 코드를 변경하고,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식별 코드로부터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를 구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의 ID코드와, 수신기(40)에 등록된 ID코드를 제2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조하면, 송신기(21)에 등록된 ID코드와 수신기(40)에 등록된 ID코드가 일치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오차검출 부호가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ID코드의 데이터 길이와 오차검출 부호의 데이터 길이의 차이에 기인한다. ID코드의 데이터 길이는 32비트이기 때문에, ID코드에는 2^32의 데이터 열(비트 열)이 존재한다. 반면, 오차검출 부호는 8비트이기 때문에 오차검출 부호에는 2^8의 데이터 열(비트 열) 밖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오차검출 부호의 조합은 ID코드의 조합보다 적다. 이에 기인하여, 가변 데이터의 값에 의하면 송신기(21)에 등록된 ID코드와 수신기(40)에 등록된 ID코드가 일치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오차검출 부호가 일치한다.
따라서, ID코드를 사용하여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할 때, 동일한 오차검출 부호가 연산되는 복수의 ID코드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ID코드 중 좌후차륜(RL)의 ID코드를 분할한 데이터인 ID 2의 데이터(2진수)를 "00000010"에서 "01000011"으로 변경한다. 이 경우, 우전차륜(FR)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와 좌후차륜(RL)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는 동일한 값이 된다. 따라서,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로부터 ID코드를 인식(복원)하도록 하는 경우, 오차를 갖는 ID코드를 인식(복원)할 우려가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제2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의 ID코드가 우전차륜(FR)에 대응하는 ID코드인지, 좌후차륜(RL)에 대응하는 ID코드인지를 특정할 수가 없다. 즉, 송신 데이터가 우전차륜(FR)에 장착된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좌후차륜(RL)에 장착된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특정할 수가 없다.
또한, 차량(10)의 근방에,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이 탑재된 다른 차량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다른 차량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가 우연히 수신기(40)에서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다른 차량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제2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할 우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데이터는 데이터 길이가 긴 한편, 제1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한 수신기(40)에 송신기(21)의 정확한 ID코드를 인식시킬 수 있는 데이터이다. 반면, 제2데이터는 데이터 길이가 짧으나, 수신기(40)에 송신기(21)의 ID코드를 정확히 인식시킬 수 없는 송신 데이터이다.
제1데이터가 송신되는 제1상태와, 제2데이터가 송신되는 제2상태를 전환함으로써, 배터리(30)의 전력소비를 저감하면서, 수신기(40)나 트리거 장치(50)에 ID코드를 정확하게 인식시키려는 경우, ID코드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10에 있어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특정조건이 불성립(NO)인 경우, 제1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상태가 된다(스텝 S20). 송신기용 제어부(25)는 특정조건이 성립(YES)인 경우, 제2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상태가 된다(스텝 S30).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즉,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데이터 생성수단), 및 데이터 생성부를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제어수단)는 송신기용 제어부(25)로서 기능한다. 즉,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1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제2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를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특정조건은 송신기용 제어부(25)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횟수가, 계수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처리역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이다. 송신기용 기억부(25b)는 처리 횟수를 계수함과 함께, 처리 횟수사 처리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계수시점은 송신기(21)의 제조시(송신기(21)의 기동시)이나, 트리거 장치(50)에 의한 트리거 신호의 송신에 의해 계수시점을 리셋할 수도 있다. 즉, 트리거 데이터에 의해 계수시점을 정할 수 있다.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송신 처리, 계측 처리, 계시 처리, 주행시간 계측처리, 주행판단 처리, 및 수신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처리역치는 미리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될 수도 있고, 트리거 장치(50)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송신 처리는 수신기(40)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이다. 계측 처리는 각 센서(22, 23, 24, 31)의 검출값을 계측(각 센서(22, 23, 24, 31)로부터의 출력을 취득)하는 처리이다. 계시 처리는 송신기용 제어부(25)의 계시 기능에 의해 시간을 가산하는 처리(카운터의 증가(increment) 처리)이다.
주행시간 계측처리는 차량(10)의 주행시간을 계측하는 처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용 제어부(25)는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소정의 취득간격마다 취득하여,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가속도가 주행판정용 역치를 상회한다고 판정한 횟수에 취득간격을 곱함으로써 주행간격을 계측할 수 있다.
주행판정 처리는 차량(10)의 주행과 정지가 이루어진 횟수를 계측하는 처리이다,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주행판정용 역치에 걸친 횟수를 계측함으로써, 차량(10)의 주행과 정지가 이루어진 횟수를 계측할 수 있다.
수신 처리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처리이다.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계수되는 처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처리 중 어느 1개의 처리일 수 있고, 복수의 처리일 수도 있다. 1개의 처리일 경우, 1개의 처리가 행해진 횟수가 미리 정해진 처리역치를 초과한 경우에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한다.
복수의 처리인 경우, 복수의 처리마다 개별의 처리역치가 설정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복수의 처리 중 전부의 처리에 대하여 처리역치 이상의 횟수가 행해진 경우에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처리 중 2이상(전부는 제외)의 처리에 대하여 처리역치 이상의 횟수가 행해진 경우에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처리가 행해진 횟수를 개별로 계수하고, 복수의 처리가 행해진 횟수에 기초하여 특정조건의 성립을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처리 중 임의의 처리에 대하여 처리역치 이상의 횟수가 행해졌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임의의 수는 미리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될 수 있고, 트리거 장치(5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처리역치로는 송신기(21)의 제조 후(기동 후), 송신기(21)가 차륜(11)에 장착된 후에 특정조건이 성립하도록 하는 값이 설정된다. 즉, 적어도 차륜(11)에 송신기(21)를 장착하는 공장 등에서 송신기(21)로부터 제1데이터가 송신된다. 송신기(21)를 제조하는 공장이나, 송신기(21)를 차륜(11)에 장착하는 공장에서는 트리거 장치(50)에 의해 ID코드가 등록된다. 이 때,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ID코드가 기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작업은 송신기(21)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시켜, 이 송 신 데이터를 트리거 장치(50)에서 수신하여, 수신한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를 확인함으로써 행해진다. 불특정 다수의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트리거 장치(50)에는 송신기(21)의 ID코드를 등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트리거 장치(50)는 제2데이터를 수신하여도 제2데이터로부터 ID코드를 인식할 수 없다. 또한, 가사 트리거 장치(50)에 ID코드를 등록함으로써 제2데이터로부터 ID코드를 추측할 수 있다 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그 ID코드는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송신기(21)에 등록된 ID코드를 확인할 때 송신기(21)에 제1데이터를 송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수신기(40)에 ID코드를 등록할 때, 즉, 수신기(40)와 송신기(21)를 대응지을 때 송신기(21)로부터 수신기(40)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시키고, 이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시킨다. 수신기(40)에 ID코드를 등록할 때는 수신기용 기억부(41b)가 ID코드를 기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2데이터를 수신하여도 ID코드를 인식할 수 없다. 따라사, 수신기(40)에 ID코드를 등록할 때 송신기(21)에 제1데이터를 송신시킬 필요가 있다.
스텝 S10~스텝 S30의 처리는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처리의 횟수는 차량(10)의 주행이나 시간경과 등에 따라 증가해 간다. 이 때문에, 처리의 횟수가 처리역치 이상이 된 경우, 처리의 횟수가 리셋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처리가 행해진 횟수가 역치 미만이 되지 않는다. 즉, 특정조건이 한번 성립하면, 이후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2상태로 유지된다.
트리거 장치(50)에 의한 지령(계수시점의 리셋)에 의해 다시 특정조건을 불성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센서(22, 23, 24, 31)가 고장이라 판정한 경우, 처리가 행해진 횟수를 리셋함으로써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로 전환한다. 센서(22, 23, 24, 31)의 고장시에는 센서(22, 23, 24, 31)의 동작확인 등을 목적으로 트리거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때, 송신기(21)의 ID코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데이터가 송신된다.
특정조건이 성립하고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2상태로 전환하면, 송신기(21)로부터는 제2데이터가 송신된다. 제2데이터의 송신은 예를 들면, 송신기(21)를 장착한 차량(10)이 시장에 유통된 후이다. 차량(10)이 시장에 유통된 후에는 송신기(21) 및 수신기(40) 양쪽에 ID코드가 등록된 상태이므로 트리거 장치(50)에 의한 ID코드의 등록이나 수신기(40)에의 ID코드의 등록을 위해 ID코드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데이터에 포한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가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즉, 송신기(21)의 ID코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차검출 부호를 포함한 제2데이터는 정규 데이터로서 취급되지 않는다. 즉,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압력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수신기(40)가 탑재된 타이어(13)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사용하지 않는다.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과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 중 1개만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제2데이터를 정규한 데이터로 간주한다.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의 복수가 일치할 가능성에 비하면,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 중 1개가 일치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제2데이터는 정기적으로 송신된다. 이 때문에, 우발적으로 수신기(40)에서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의 복수와 일치하는 오차검출 부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오차검출 부호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취급하지 않아도, 다음에 송신되는 정규 데이터로부터 타이어(13)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0)과는 다른 차량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제2데이터를 수신기(40)가 수신하면, 수신기(40)는 비정규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정규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하는 확률과 비정규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하지 않을 확률을 비교하면 비정규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하는 확률이 낮다. 또한, 송신 데이터(제2데이터)는 정기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가사, 비정규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한 경우라도, 그 후에 송신되는 정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잘못된 정보(공기압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는 갱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데이터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경우라도,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의 실제 사용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송신기(21), 수신기(40),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기(21)는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기(40)는 제1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도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도,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1) 및 수신기(40)를 구비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은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양쪽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에서는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와 앤티록 브레이킹 시스템(Anti-lock Braking system, ABS)에 의한 차륜(11)의 회전위치 파악에 의해, 4개의 송신기(21) 중, 어느 송신기(2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2데이터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에서도 4개의 송신기(21) 중, 어느 송신기(2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2상태인 경우, 수신기(40)에 제2데이터가 송신된다. 제2데이터는 수신기용 제어부(41)에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는 데조 데이터로서 ID코드보다 데이터 길이가 짧은 오차검출 부호가 포함된다. ID코드와 가변 데이터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한 데이터를 데조 데이터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대조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짧아진다. 특히, ID코드는 송신 데이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ID코드의 데이터 길이를 원인으로 하여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길어지기 쉽다. ID코드를 생략한 제2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송신 데이터 전체의 데이터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송신 데이터(제2데이터)의 송신에 요구되는 소비전력이 저감된다. 따라서, 배터리(3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2)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1상태인 경우, 수신기(40)에 제1데이터가 송신된다. 제1데이터에는 수신기(40)의 수신기용 제어부(41)에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는 대조 데이터로서 ID코드 그 자체가 포함된다. 이로써, 수신기(40)나 트리거 장치(50)에 ID코드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40)나 트리거 장치(50)에서 ID코드를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경우, ID코드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송신기용 제어부(25)를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3) 연산 데이터로서 오차검출을 행하기 위한 부호(오차검출 부호)를 사용한다. 오차검출 부호는 오차검출 부호를 대조 데이터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연산된다. 이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 데이터로서 겸용함으로써 데이터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송신기(21)는 차륜(11)에 장착된다. 송신기(21)는 장착된 차륜(11)의 타이어(13)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데이터를 수신기(40)에 송신한다. 압력 센서(22)나 온도 센서(23)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값은 주행상태, 주변환경, 계측오차에 의해 달라진다. 따라서, 검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가변 데이터로서 사용하고,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할 수 있다. 검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페이로드 데이터로서, 반드시 수신기(40)에 송신되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수신기(40)에 취득시킬 필요가 없는 가변 데이터를 사용하여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하는 경우에 비하여 데이터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륜(11)에 장착되는 송신기(21)는 배터리(30)의 교환이 곤란하거나, 혹은 블가능하다. 케이스 내에 압력 센서(22)나 배터리(30) 등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고, 케이스 내를 포팅한 송신기(21)에 있어서는 배터리(30)을 교환할 수 없다. 가사 배터리(30)가 교환 가능한 송신기(21)라도, 송신기(21)는 타이어(13) 내에 배치되는 관계상 배터리(30)를 교환하는 데에는 타이어(13)를 휠(12)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차륜(11)에 장착되는 송신기(21)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
또한, 배터리(30)의 수명을 늘리는 것을 도모함으로써, 배터리(30)가 교환 가능한 송신기(21)에서 배터리(30)의 교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의 소유자의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0)가 교환 가능한 송신기(21) 자체의 수명을 늘리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5)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처리의 횟수가 처리역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 전환된다. 처리의 횟수는 시간경과에 따라 증가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처리 횟수가 처리역치 이상이 될 때까지의 기간만 제1상태가 되고, 이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2상태가 된다. 제1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고 상정되는 기간에만 제1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배터리(30)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6)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1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도,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도,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의 ID코드와 수신기(40)에 등록된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조 데이터로서 오차검출 부호를 송신하는 송신기(21)를 수신기(40)에 대응지어 사용할 수 있다. 즉, 제2데이터로 ID코드의 대조를 행할 수 있는 수신기(40)를 사용함으로써 제2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21)를 사용할 수 있고, 송신기(21)의 배터리(30)의 수명을 늘릴수 있다.
7) 수신기(40)는 차륜(11)에 장착되는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차량(10)은 복수의 차륜(11)를 구비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복수의 송신기(21)를 구비한다. 수신기(40)는 복수의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복수의 송신기(21)의 ID코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기(21)의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어떤 ID코드가 일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정규 데이터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8)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에 비하여 데이터 길이가 짧다. 따라서,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에 비하면 수신기용 수신회로(42)에 수신되기까지 데이터(부호)에 오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9) 제2데이터는 ID코드 그 자체가 포함되지 않는다.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2데이터로부터 ID코드를 특정하는 데에는 제2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의 ID코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10)에 탑재된 수신기(40) 이외의 수신기가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도, 제2데이터로부터 송신기(21)의 ID코드를 확인할 수는 없다. 제2데이터로부터 ID코드의 유출이 방지되어 송신기(21)의 보안이 향상된다.
10) 송신기(21)와 수신기(40)를 구비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은 송신 데이터로서 제1데이터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제2데이터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송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은 상기한 1)~9)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송신 데이터의 형식(프레임 포맷)이 제1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의 송신 데이터는 고정 비트 대신에 셔플 패턴이 포함된다. 도 8은 송신 데이터의 일례로서 우전차륜(FR)에 장착된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셔플 패턴은 4비트의 데이터이다. 셔플 패턴은 랜덤 패턴(값)이 변화할 수 있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마다 미리 정해진 일정 패턴(값)이 변화할 수도 있다. 즉. 셔플 패턴은 항상 일정한 값이 아니라면 어떠한 값이라도 된다. 셔플 패턴은 가변 데이터이다.
여기서, 셔플 패턴이란 ID코드를 셔플(소팅)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어떠한 규칙으로 ID코드를 셔플할지를 규정한 데이터이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셔플 패턴에 따라 ID코드를 변경한다. 셔플 패턴은 각 비트가 ID 1, ID 2, ID 3, ID 4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셔플 패턴의 최하위 비트는 ID 1, 최하위 비트보다 1 상위의 비트는 ID 2, 최상위 비트보다 1 하위의 비트는 ID 3, 최상위 비트는 ID 4에 대응한다.
그리고, 2진수로 표기되는 4비트의 셔플 패턴 중, 각 비트가 '0'인지 '1'인지에 따라 ID 1, ID 2, ID 3. ID 4는 셔플된다. 여기서는 '0'인 경우 셔플되지 않으며, '1'인 경우 셔플된다. 또한, ID 1~ID 4의 상위 4비트와 하위 4비트가 바뀐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셔플 패턴은 1100으로 되어 있다. 최하위 비트 및 최상위 비트의 1 상위의 비트는 0이기 때문에, 이들 비트에 대응하는 ID 1 및 ID 2의 데이터는 셔플되지 않는다. 최상위 비트 및 최상위 비트의 1 하위의 비트는 1이기 때문에, 이들 비트에 대응하는 ID 3 및 ID 4의 데이터는 셔플된다. 셔플 패턴에 따라 정해진 규칙(프로그램)은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제1데이터는 프리앰블, 식별코드, ID코드(셔플 후), 셔플 패턴,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스테이터스 코드, 오차검출 부호, 및 스톱 비트를 포함한 데이터이다. 여기서 말하는 ID코드란 셔플 패턴으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셔플된 후의 ID코드이다. 또한, 오차검출 부호는 셔플 패턴으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셔플된 후의 ID 코드, 셔플 패턴,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코드로부터 연산된다.
제2실시형태의 제2데이터는 프리앰블, 식별코드, 셔플 패턴,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스테이터스 코드, 오차검출 부호, 및 스톱 비트를 포함한 데이터이다. 오차검출 부호는 셔플 패턴으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셔플된 후의 ID코드, 셔플 패턴,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코드로부터 연산된다. 즉, 제1데이터로부터 ID코드를 생략한 송신 데이터가 제2데이터가 된다. 제2데이터는 68비트의 데이터가 된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1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에 포함된 셔플 패턴으로부터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를 셔플한다. 셔플 패턴에 따라 정해진 규칙(프로그램)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되어 있다.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되는 규칙은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된 규칙과 동일하다. 즉, 셔플 패턴의 각 비트 중 '1'에 대응하는 ID 1~ID 4의 상위 비트와 하위 4비트를 바꾼다. 이로 인해,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는 제1데이터와 같은 규칙으로 셔플됨으로써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2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로부터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오차검출 부호의 연산은 송신기(21)의 경우와 같은 태양으로 연산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에 포한되는 셔플 패턴,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스테이터스 코드에,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를 더하여 8비트의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이 때, 연산에 사용되는 ID코드는 셔플 패턴에 의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셔플된다. 셔플 패턴에 의해 정해진 규칙으로는 송신기(21)와 동일한 규칙이 정해져 있다.
이로써,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와 수신기(40)에서 ID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서 동일한 연산이 행해진다. 따라서,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의해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송신기(21)의 ID코드와 수신기(40)의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셔플 패턴에 따라 ID코드를 셔플함으로써, 연산되는 오차검출 부호가 변화한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셔플 패턴에 따라 ID 1~ID 4가 셔플되지 않는 경우, 우전차륜(FR)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와 좌후차륜(RL)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는 동일한 값이 된다. 한편, 셔플 패턴에 따라 ID 1~ID 4를 바꾼 경우, 우전차륜(FR)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와 좌후차륜(RL)에 대응하는 ID코드를 사용하여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는 동일한 값이 되지 않는다. 도 9의 ID 1~ID 4는 셔플 패턴에 따라 셔플된 후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에 기재한 1)~10)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셔플 패턴에 따라 ID코드를 셔플함으로써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의 복수의 일치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셔플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제2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의 ID코드를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인식시키기 쉽다.
12) 제1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도 ID코드를 셔플한다. 따라서, 차량(10)에 탑재된 수신기(40) 이외의 수신기가 제1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도, 제1데이터로부터 송신기(21)의 ID코드를 인식할 수 없다. 제1데이터로부터 ID코드의 유출이 방지되고, 송신기(21)의 보안이 향상된다.
(제3실시형태)
이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의 제3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송신기용 제어부(25)를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처리가 제1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특정조건으로서 처리의 횟수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하였다. 반면, 제3살시형태에서는 특정조건으로서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의 전환을 행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특정조건은 검출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인가, 역치 미만인가이다. 역치는 미리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될 수 있고, 트리거 장치(50)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소정의 취득간격으로 압력 센서(22), 온도 센서(23), 가속도 센서(24), 및 전압 센서(31)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을 취득한다.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이들 검출값이 역치 이상인지 역치 미만인지에 기초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한다.
검출값으로서의 압력을 사용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압력이 미리 정해진 역치 미만인 경우에 특정조건 불성립(제1상태)으로 하고, 압력이 역치 이상인 경우 조건 성립(제2상태)으로 한다.
송신기(21)를 차륜(11)에 장착할 때, 송신기(21)를 차륜(11)에 장착한 후에 송신기(21)에 트리거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동작 확인을 행한다. 송신기(21)는 트리거 데이터를 수신하면 각종 데이터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반송)한다. 이 때, 트리거 장치(50)가 송신 데이터를 반송한 송신기(21)의 ID코드를 확인함에는 제1데이터가 송신될 필요가 있다. 송신기(21)의 동작 확인 후에는 타이어(13) 내에 공기가 주입된다. 이 때문에, 압력이 역치 이상이 된 경우에는 송신기(21)의 동작 확인 후에 타이어(13) 내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미 동작 확인이 종료되고, ID코드를 트리거 장치(50)에서 수신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제1상태를 제2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타이어(13)에 이상이 발생하고, 압력이 역치 미만이 된 경우 수신기(40)에서 정확히 ID코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즉,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21)가 장착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2상태를 제1상태로 전환한다. 역치로서는 타이어(13)에 공기가 주입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역치는 타이어(13)에 권장되는 공기압인 지정 공기압의 80%의 값 등으로 설정된다.
검출값으로서 가속도를 사용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가속도가 미리 정해진 역지 미만인 경우에 특정조건 불성립(제1상태)으로 하고, 가속도가 역치 이상인 경우에 특정조건 성립(제2상태)으로 한다.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 송신기(21)는 차륜(11)에 장착된 후로서, 송신기(21)를 장착한 차량(10)이 시장에 유통된 후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송신기(21)의 동작 확인 등, 공장에서 트리거 장치(50)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제1상태를 제2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역치로는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는 값=주행 판정용 역치가 설정된다. 트리거 장치(50)는 차량(1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차량(10)이 정지한 경우 트리거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트리거 장치에 ID코드를 특정시키기 위하여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2상태를 제1상태로 전환한다.
검출값으로서 온도를 사용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온도가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인 경우에 조건 불성립(제1상태)으로 하고, 온도가 역치 미만인 경우에 조건 성립(제2상태)으로 한다.
겨울철 등 환경온도가 현저히 낮은 상태에서 배터리(30)를 방전시키면, 배터리(30)의 수명 저하를 불러온다. 제1상태는 제2상태보다 배터리(30)의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온도가 역치 미만인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를 제2상태로함으로써 배터리(30)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역치는 빙점 등 환경온도가 현저히 낮다고 판단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된다.
검출값으로서 전압을 사용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전압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인 경우에 조건 불성립(제1상태)으로 하고, 전압이 역치 미만인 경우에 조건 성립(제2상태)으로 한다.
배터리(30)의 잔여용량의 저하에 따라 배터리(30)의 전압은 저하된다. 배터리(30)의 잔여용량이 적어진 경우, 배터리(30)의 수명을 늘리기 위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로 한다. 역치로는 배터리(30)의 잔여용량이 현저히 저하된 경우의 전압이 설정된다.
또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상기한 검출값 중 복수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상기한 각 검출값에 따른 특정조건의 성립조건 중 1개가 성립한 경우에 스텝 S10의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모든 특정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스텝 S10의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각 검출값에 따른 특정조건의 성립조건 중 복수(전부를 제외)의 특정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스텝 S10의 특정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에 기재된 1)~10)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3)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송신기(21)에 구비된 센서(22, 23, 24, 31)의 검출값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한다. 송신기(21)에서는 타이어(13)의 상태나 송신기(21)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 마다 검출값을 취득한다. 이 검출값을 사용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타이어(13)의 상태나 송신기(21)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검출값을 사용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하기 위하여만 검출값을 취득할 필요가 없어, 배터리(30)의 소비전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이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의 제4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실시형태의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의 양쪽이 정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1데이터보다 높은 빈도로 제2데이터를 송신한다. 제1데이터는 제2데이터보다 낮은 빈도로 송신된다.
예를 들면, 송신기용 제어부(25)의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소정의 간격마다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 전환하기까지의 간격은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로 전환하기까지의 간격에 비하여 짧아진다. 이로써, 제2데이터를 제1데이터보다 높은 빈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제1데이터가 송신되는지 제2데이터가 송신되는지가 랜덤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데이터가 송신되는 확률을 제2데이터가 송신되는 확률보다 낮도록 함으로써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보다 높은 빈도로 송신된다.
또한, 차량(10)의 스타트 스위치(이그니션 스위치)에 의해 차량(10)이 기동상태(이그니션 스위치 On 상태)가 된 후, 소정 횟수만큼 제1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데이터를 소정 횟수만큼 송신한 후에는 제2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타트 스위치(이그니션 스위치)에 의해 차량(10)이 정지상태(이그니션 스위치 Off 상태)가 된 후, 소정 횟수만큼 제1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데이터를 소정 횟수만큼 송신한 후에는 제2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환경 등의 영향에 의해 수신기(40)가 제1데이터를 수신하기 어려운 환경하에서도 제1데이터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는 횟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에 기재된 1)~10)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4) 송신기용 제어부(25)가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양쪽을 정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가 정확한지 아닌지를 수신기용 제어부(41)에 정기적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데이터보다 제2데이터를 높은 빈도로 송신함으로써 제1데이터를 송신함에 따른 배터리(30)의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다음,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의 제5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 시스템으로서의 차량용 통신 시스템(60)은 송신기(61)와 수신기(70)를 구비한다. 차량용 통신 시스템(60)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이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송신기(61)(전자키)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차량에 탑재된 수신기(70)에 수신시킴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푸는 시스템이다.
송신기(61)는 도어를 잠글 때 조작되는 록 스위치(62), 도어를 풀 때 조작되는 언록 스위치(63), 키용 제어부(64), 송신회로(65), 송신 안테나(66), 및 전력원으로서의 배터리(68)를 구비한다.
록 스위치(62) 및 언록 스위치(63)가 조작됨으로써 키용 제어부(64)에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생성부 및 제어부로서의 키용 제어부(64)는 CPU 및 키용 기억부(67)(RAM이나 RO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송신기용 기억부로서의 키용 기억부(67)는 송신기(61) 고유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ID코드를 기억한다. 또한, 키용 기억부(67)는 송신기(61)를 제어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프로그램에는 송신기(6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태양을 전환하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키용 제어부(64)는 록 스위치(62) 및 언록 스위치(63)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록 스위치(62) 및 언록 스위치(63)가 조작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키용 제어부(64)는 언록 스위치(63)가 조작되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즉, 키용 제어부(64)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언록 스위치(63)가 조작되었는지 여부의 판정, 소위 길게 누름 판정을 행할 수 있다.
키용 제어부(64)는 록 스위치(62) 및 언록 스위치(63)의 조작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송신 데이터에는 페이로드 데이터로서 도어의 조작에 관한 도어 데이터가 포함된다. 도어 데이터에는 도어의 잠금을 요구하는 록 지령을 나타내는 데이터, 도어의 풀림을 요구하는 언록 지령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슬라이드 도어의 열림을 요구하는 개문지령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록 스위치(62)가 조작된 경우 키용 제어부(64)는 록 지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언록 스위치(63)가 조작된 경우 키용 제어부(64)는 언록 지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언록 스위치(63)가 소정시간 이상 조작된(길게 눌려진) 경우 키용 제어부(64)는 개문지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어 데이터는 록 스위치(62) 및 언록 스위치(63)의 조작에 의해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이다.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도어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로는, 프리앰블, ID코드, 롤링 코드 등을 들 수 있다. 롤링 코드는 가변 데이터이다. 제1실시형태에 기재된 송신기용 제어부(25)와 마찬가지로 키용 제어부(64)는 고정 데이터인 ID코드, 및 각 가변 데이터로부터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키용 제어부(64)는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한다. 제1상태에서 송신되는 제1데이터는 ID코드를 포함한다. 제2상태에서 송신되는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로부터 ID코드를 생략한 데이터이다. 키용 제어부(64)는 생성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회로(65)에 출력한다. 송신회로(65)는 송신 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된 송신 데이터는 무선신호로서 송신 안테나(66)로부터 송신된다. 무선신호는 예를 들면, UHF대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예를 들면, 키용 제어부(64)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횟수가 처리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송신처리를 들 수 있다. 송신처리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이다.
수신기(70)는 수신 안테나(71), 수신회로(72), 및 키리스용 제어부(73)를 구비한다. 수신기(70)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제어장치(74)에 접속된다. 차량제어장치(74)는 차량에 탑재된 여러 장치를 제어한다. 차량제어장치(74)는 도어록 장치(75)에 접속된다. 도어록 장치(75)는 도어의 잠금 및 풀림을 행하는 장치이다.
키리스용 제어부(73)는 CPU 및 키리스용 기억부(76)(ROM 이나 RA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신회로(72)는 수신 안테나(71)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송신 데이터를 키리스용 제어부(73)에 출력한다. 수신회로(72)는 수신부로서 기능한다. 송신기용 기억부로서의 키리스용 기억부(76)는 수신기(70)에 대응지어진 송신기(61)의 ID코드를 기억한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는 키리스용 기억부(76)가 1개의 ID코드를 기억한다.
대조부 및 취득부로서의 키리스용 제어부(73)는 송신기(61)의 ID코드와 키리스용 기억부(76)에 기억된 ID코드를 대조한다.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61)의 ID코드와 키리스용 기억부(76)에 기억된 ID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키리스용 제어부(73)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취득한 도어 데이터를 차량제어장치(74)에 보낸다. 차량제어장치(74)는 도어 데이터로부터 송신기(61)에서의 요구를 파악한다. 차량제어장치(74)는 록 지령을 받으면 도어록 장치(75)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를 잠근다. 차량제어장치(74)는 언록 지령을 받으면 도어록 장치(75)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를 푼다. 차량제어장치(74)는 개문지령을 받으면 도시하지 않은 개문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를 연다.
송신기(61)의 ID코드와 키리스용 기억부(76)에 기억된 ID코드를 대조할 때, 키리스용 제어부(73)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제1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신기용 제어부(41)가 행하는 처리와 같다. 수신회로(72)가 제1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키리스용 제어부(73)는 제1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와 키리스용 기억부(76)에 기억된 ID코드를 대조한다. 수신회로(72)가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키리스용 제어부(73)는 송신기(61)와 같은 태양으로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하고, 제2데이터에 포함된 오차검출 부호와 키리스용 제어부(73)에서 연산된 오차검출 부호가 일치하는지에 따라 ID코드를 대조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5)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에 사용되는 송신기(21)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통신 시스템(60)에 사용되는 송신기(61)도 배터리(30)의 수명을 늘릴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ㆍ 제2실시형태에서 셔플 패턴에 따라 정해진 규칙, 즉, 어떻게 ID코드를 셔플할지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D 1~ID 4의 상위 4비트와 하위 4비트를 바꾸는 대신에 ID 1~ID 4의 각 비트를 하위 혹은 상위에 시프트할 수 있다. 시프트하는 비트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2진수로 표기되는 ID 1~ID 4의 '0'과 '1'을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규칙을 조합하여 ID코드를 셔플할 수도 있다.
ㆍ 또한, 셔플 패턴의 각 비트가 '1'인 경우 대응하는 ID 1~ID 4를 셔플하지 않고, 셔플 패턴의 각 비트가 '0'인 경우 대응하는 ID 1~ID 4를 셔플할 수도 있다. 수신기(40)에서 송신기(21)와 동일한 규칙으로 ID코드를 셔플할 수 있다면, 어떠한 규칙이 정해져도 된다. 즉, 송신기용 기억부(25b)에 기억된 셔플 패턴의 규칙(프로그램)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셔플 패턴의 규칙(프로그램)이 동일하면 된다.
ㆍ 제2실시형태에서 제1데이터는 프리앰블, 식별코드, ID코드,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스테이터스 코드, 오차검출 부호, 및 스톱 비트를 포함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셔플 패턴을 제외한 송신 데이터를 제1데이터 할 수 있다. 이 경우, ID코드는 셔플 패턴에 따라 셔플되지 않는 ID코드가 된다. 또한, 제2데이터의 오차검출 부호는 셔플되지 않은 ID코드, 압력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코드로부터 연산된다.
ㆍ 제2실시형태에서 셔플 패턴은 ID코드 이외의 데이터도 포함하여 셔플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ㆍ 제3실시형태에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 전환한 경우, 이후, 검출값이 역치에 걸쳤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2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21)의 제조 후 압력이 역치 이상인 상태를 경과한 경우 송신기(21)의 제조 후 가속도가 역치 이상의 상태를 경과한 경우, 송신기(21)의 제조 후 온도가 역치 이하인 상태를 경과한 경우, 송신기(21)의 제조 후 전압이 역치 이하인 상태를 경과한 경우에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3상태로 유지된다. 송신기(21)는 적어도 송신기(21)를 차륜(11)에 장착하는 공장에서 제1상태이면 된다. 상기한 조건이 성립한 경우 송신기(21)는 이미 차륜(11)에 장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로 전환될 수 없어도 된다.
ㆍ 제4실시형태에서 수신기(40)로서 제2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ID코드를 대조하지 않는 수신기, 즉, 제1데이터를 사용한 통신만이 가능한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기용 수신회로(42)가 제2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2데이터는 자신에게 송신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ID코드를 대조하지 않고 비정규 데이터라고 판단한다. 한편,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ID코드를 대조한다. 제4실시형태의 송신기(21)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양쪽을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이 때문에, 수신기(40)로서 제1데이터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ㆍ 제4실시형태에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제1데이터를 제2데이터보다 높은 빈도로 송신할 수 있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수신기(40)에는 타이어(13)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기가 접속될 수 있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검출부는 적어도 1개 설치되면 된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나, 단위 시간당 온도 변화가 역치 이상인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를 제1상태로 할 수 있다. 역치로서는 타이어(13)의 압력 급변이나 온도 급변을 검출할 수 있는 역치가 설정된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수신기용 제어부(41)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의 복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제2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트리거 장치(50)로부터 제1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트리거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기(21)로부터 제1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트리거 장치(50)로부터 제2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트리거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기(21)로부터 제2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트리거 데이터가 송신되기까지, 송신기(21)는 제1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트리거 장치(50)로부터 제1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트리거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기(21)로부터 제1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트리거 데이터가 송신되기까지, 송신기(21)는 제2데이터를 송신한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트리거 신호, 무선신호 등은 2.4GHz 대의 신호 등 어떠한 주파수대의 신호를 사용하여도 된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차량(10)에 설치되는 차륜(11)의 수보다 많은 ID코드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차륜(11)에 장착된 송신기(21)의 ID코드 및 스페어 타이어에 장착된 송신기(21)의 ID코드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용 기억부(41b)는 여름 타이어에 장착된 송신기(21)의 ID코드 및 겨울 타이어에 장착된 송신기(21)의 ID코드 양쪽을 기억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빈도가 높은 상위 4륜까지의 ID코드에 대하여 타이어(13)의 이상을 알릴 수 있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차량은 복수의 차륜을 구비하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2륜차라도 된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연산 데이터로서 오차검출을 행하기 위한 부호 이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D코드를 분할한 데이터인 ID 1~ID 4 중 적어도 하나와, 가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한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연산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즉, 고정 데이터 및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는 연산 데이터는 고정 데이터의 일부 및 가변 데이터의 일부로부터 연산된 데이터일 수 있고, 고정 데이터의 전부 및 가변 데이터의 전부로부터 연산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ID 1~ID 4는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 1~ID 4 중 적어도 하나와,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가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40)와, 수신기(40)에 대응지어지는 송신기(21)에서 동일한 데이터로부터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된다. 구체적으로, 송신기용 기억부(25b)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가 연산되도록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이 경우, 오차검출 부호는 배타적 논리합을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연산된다.
상기한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를 연산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2데이터에는 오차검출 부호가 포함될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데이터에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및 오차검출 부호 양쪽이 포함되는 경우,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및 오차검출 부호 양쪽을 연산 데이터(대조 데이터)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기용 제어부(25)는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및 오차검출 부호를 포함하고 ID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제2데이터를 생성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를 취득하면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가변 데이터 및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로부터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및 오차검출 부호를 연산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어에 포함되는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와 연산한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및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검출 부호와 연산한 오차검출 부호 양쪽이 일치하는 경우, 제2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판정한다. 이에 의하면, 양쪽의 일치로부터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기 때문에 오차검출 부호 및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중 어느 것을 대조 데이터를 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정규 데이터를 정규 데이터로 오인할 확률이 낮아진다. 배타적 논리합 및 오차검출 부호 양쪽을 연산 데이터(대조 데이터)로 하는 경우,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 및 오차검출 부호의 데이터 길이의 합계가 고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보다 짧으면 된다.
배타적 논리합 데이터 대신에 ID코드를 분할한 데이터인 ID 1~ID 4 중 적어도 하나와, 가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연산된 데이터를 연산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송신기용 제어부(25)와 수신기용 제어부(41)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연산이 행해진다면 어떠한 연산 방법이라도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응지어지는 송신기(21)와 수신기(40)에서 동일한 연산이 행해진다면 그 연산 방법은 임의이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송신기(21, 61)는 제2데이터만을 송신 가능할 수 있다. 송신기용 제어부(25) 및 키용 제어부(64)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항상 제2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송신기(21, 61)로의 ID코드의 등록(송신기용 기억부(25b) 및 키용 기억부(67)로의 ID코드 등록)은 QR코드(등록상표)나 바코드의 판독, 송신기(21, 61)에 유선접속된 기기에 의한 기록, 음성인식 등으로 행해진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수신기(40, 70)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ID코드를 대조하지 않고, 제2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만 ID코드를 대조할 수 있다. 수신기용 제어부(41) 및 키리스용 제어부(73)는 데이터 길이나 식별코드로부터, 송신 데이터가 제2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 및 키리스용 제어부(73)는 제2데이터 이외의 송신 데이터(제1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도 ID코드의 대보나 ID코드의 등록 등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송신 데이터를 비정규 데이터로 판단한다. 수신기용 제어부(41) 및 키리스용 제어부(73)는 제2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실시형태와 같은 제어에 의해 ID코드를 대조한다. 이 경우, 수신기(40, 70)로의 ID코드의 등록(수신기용 기억부로의 ID코드의 등록)은 QR코드나 바코드의 판독, 수신기(40, 70)에 유선접속된 기기에 의한 기록, 음성인식 등으로 행해진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때에 제1데이터에 포한된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의 대조를 행하고,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되지 않은 ID코드를 취득한 경우에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1회의 취득으로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할 수 있고, 복수회 연속하여 동일한 ID코드를 취득한 경우에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할 수도 있다. 1회의 취득으로 ID코드를 등록하면 우발적으로 수신한 제1데이터에 포함된 ID코드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될 우려가 있다. 복수회 연속하여 동일한 ID코드를 취득한 경우에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함으로써 잘못된 ID코드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면, 고정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ID코드를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데이터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2데이터에 포함된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하는 등록부로서 기능한다. 등록부(등록수단)는 수신기용 제어부(41)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ㆍ 제1~제4실시형태에서 수신기(40)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때에 제1데이터에 포함된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할 수 있다. 즉, 수신기용 제어부(41)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제1데이터에 포한되는 ID코드와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된 ID코드를 대조하지 않고,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1회의 취득으로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할 수 있고, 복수회 연속하여 동일한 ID코드를 취득한 경우에 ID코드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기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고정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ID코드를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데이터를 수신기용 기억부(41b)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수신기용 제어부(41)는 등록부로서 기능한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제1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상태(제1상태), 제2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상태(제2상태), 및 제1상태 및 제2상태가 전환되는 상태의 3개로부터,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의 상태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의 상태는 송신기(21, 61)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의 상태는 송신기(21, 61)에 유선접속 또는 무선접속된 기기(예를 들면, 트리거 장치(50))에서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에 탑재되는 수신기(40, 70)에 맞추어 송신기(21, 61)의 송신태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데이터로 통신(대조)하는 수신기(40, 70)가 사용되는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는 제1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제1상태로 설정된다. 제2데이터로 통신(대조)하는 수신기(40, 70)가 사용되는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는 제2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제2상태로 설절된다.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양쪽으로 통신(대조)하는 수신기(40, 70)(각 실시형태의 수신기)가 사용되는 경우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는 제1상태와 제2상태가 전환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송신기용 제어부(25)(키리스용 제어부(73))의 상태가 제1상태와 제2상태가 전환되는 상태로 설정된 경우 제1상태와 제2상태는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태양으로 전환된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수신기(40, 70)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때에만 ID코드를 대조하는 상태, 제2데이터를 취득한 때에만 ID코드를 대조하는 상태, 및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중 어느 것을 수신한 경우에도 ID코드를 대조하는 상태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중 어느 것, 혹은 양쪽을 정규 데이터라 간주할지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수신기(40, 70)의 상태는, 수신기(40, 70)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40, 70)의 상태는, 수신기(40, 70)에 유선접속 또는 무선접속된 기기에서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40, 70)에 대응 설치되는 송신기(21, 61)에 맞추어, 수신기(40, 70)의 수신태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21, 61)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기(40, 70)는 제1데이터를 취득한 때에 ID 코드를 대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제3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21, 61)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기(40, 70)는 제2데이터를 취득한 때에 ID 코드를 대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21, 61)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기(40, 70)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 중 어느 것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ID코드를 대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송신기(21, 61)는 제1데이터만을 송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의 수신기(40, 70)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의 어느 것을 수신한 경우라도 ID코드를 대조한다. 따라서, 송신기(21, 61)로서 제1데이터만을 송신 가능한 송신기(21, 61)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신기(40, 70)와 송수신할 수 있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오차검출 부호의 비트 수(데이터 길이)는 ID코드의 비트 수(데이터 길이)보다 적다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검출 부호는 16비트일 수 있다.
ㆍ 송신기 및 수신기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20)나 차량용 통신 시스템(60) 이외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트렁크, 본네트, 파워 윈도우 등의 개폐부재에 설치된 센서 유닛과,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제어장치(차량 ECU)와 무선접속하는 경우, 센서 유닛마다 ID코드가 설정된다. 센서 유닉은 개폐부재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결과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회로 등을 포함한다. 차량제어장치는 ID코드로부터 어느 센서 유닛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인지를 인식한다. 이 경우에도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액츄에이터를 제어라는 제어부에 지령(구동지령 등)을 내리는 송신 데이터로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차량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마우스나, 와이어리스 키보드 등의 와이어리스 기기와, 휴대단말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의 송수신에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주택용 소비전력 센서, 화재 알림기, 건물의 비틀림 센서, 에어콘, 주택용 방범 센서 등의 주택용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송수신에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만보계, 심박계, 혈압계, 안경형 표시장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와, 휴대단말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의 송수신에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속도 센서 내장 배트나 골프 클럽 등의 스포츠 용품과, 휴대단말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의 송수신에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로 프리앰블이나 스톱 비트를 다른 값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용 제어부(41)는 프리앰블이나 스톱 비트로부터 송신 데이터가 제1데이터인지 제2데이터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생성부와, 데이터 생성부를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는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즉, 송신기(21, 61)는 데이터 생성부로서 기능하는 장치(마이크로 컴퓨터), 및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장치)마이크로 컴퓨터)를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ㆍ 각 실시형태에서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제4실시형태에서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Claims (12)

  1.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로서,
    전력원과,
    식별정보가 기억된 송신기용 기억부와,
    상기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설치된 대조부에 대조시키기 위한 대조 데이터 및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 상기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 및 상기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며 상기 고정 데이터보다 데이터 길이가 짧은 연산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데이터는 오차검출 부호 또는 오차정정 부호인,
    송신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가변 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신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 데이터를 상기 고정 데이터로 하는 제1상태 또는 상기 대조 데이터를 상기 연산 데이터로 하는 제2상태로 상기 데이터 생성부를 전환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송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처리의 횟수를 소정의 계수 시점으로부터 계수하고, 상기 처리의 횟수가 처리역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제1상태를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는,
    송신기.
  6. 제 4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이 역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를 전환하는,
    송신기.
  7. 제 4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이 역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를 전환하고, 이후, 상기 검출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2상태를 유지하는,
    송신기.
  8.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송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대조 데이터 및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식별정보가 기억된 수신기용 기억부와,
    상기 대조 데이터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 및 상기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며 상기 고정 데이터보다 데이터 길이가 짧은 연산 데이터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경우, 상기 대조부는, 상기 연산 데이터와 상기 가변 데이터 및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수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 상기 고정 데이터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경우, 상기 대조부는, 상기 고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수신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하는 등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등록부는,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 상기 고정 데이터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경우에, 상기 고정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하는,
    수신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차륜에 각각 장착되고, 타이어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가변 데이터를 포함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는, 각 차륜에 장착된 상기 송신기의 각각에 등록된 식별정보가 기억되며,
    상기 대조부는, 상기 대조 데이터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각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수신기.
  12.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기는,
    전력원과,
    식별정보가 기억된 송신기용 기억부와,
    상기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의 대조에 사용되는 대조 데이터 및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 상기 송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정 데이터 및 상기 가변 데이터로부터 연산되며 상기 고정 데이터보다 데이터 길이가 짧은 연산 데이터를 생성 가능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송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 및 상기 가변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식별정보가 기억된 수신기용 기억부와,
    상기 대조 데이터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 상기 연산 데이터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경우, 상기 대조부는, 상기 연산 데이터와 상기 가변 데이터 및 상기 수신기용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송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기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대조하는,
    송수신 시스템.
KR1020187007441A 2017-01-11 2017-03-29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KR102028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02932A JP2018112901A (ja) 2017-01-11 2017-01-11 送信機、受信機、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JP-P-2017-002932 2017-01-11
PCT/JP2017/013114 WO2018131177A1 (ja) 2017-01-11 2017-03-29 送信機、受信機、及び送受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809A true KR20180091809A (ko) 2018-08-16
KR102028160B1 KR102028160B1 (ko) 2019-10-02

Family

ID=6284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41A KR102028160B1 (ko) 2017-01-11 2017-03-29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2329B2 (ko)
EP (1) EP3570511B1 (ko)
JP (1) JP2018112901A (ko)
KR (1) KR102028160B1 (ko)
CN (1) CN109196833B (ko)
WO (1) WO2018131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825B1 (ko) 2017-03-28 2020-12-14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JP7006241B2 (ja) * 2017-12-20 2022-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943416B2 (en) 2018-05-09 2021-03-09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ecured communication i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systems
CN109358591B (zh) * 2018-08-30 2020-03-1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故障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012092B2 (ja) * 2018-10-01 2022-01-27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送信機及び受信機
JP7136928B2 (ja) * 2019-08-30 2022-09-13 太平洋工業株式会社 送信機及びid登録装置
WO2023112260A1 (ja) * 2021-12-16 2023-06-2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送信機、登録装置、及び送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381A (ko) * 1992-12-14 1994-07-26 양승택 고유정보(id)와 동기정보의 무작위 전송 및 동시 인식장치
JP2007112434A (ja) * 2005-10-21 2007-05-10 Infineon Technologies Sensonor As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の送信機特定方法
JP2013046148A (ja) 2011-08-23 2013-03-04 Tokai Rika Co Ltd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並びに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064B2 (ja) * 1992-07-20 2004-05-10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の秘匿通信方法
JP2002077319A (ja) * 2000-08-24 2002-03-1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及び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US6915473B2 (en) 2001-05-14 2005-07-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icit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JP2006062533A (ja) 2004-08-27 2006-03-09 Denso Corp 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06306202A (ja) 2005-04-27 2006-11-09 Hitachi Ltd タイヤ内の気体圧力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タイヤ圧測定モジュール及び監視装置
JP2007145262A (ja) * 2005-11-30 2007-06-14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US20080018448A1 (en) * 2006-07-18 2008-01-24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JP2008024180A (ja) * 2006-07-21 2008-02-07 Aisin Seiki Co Ltd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US7924148B2 (en) * 2007-02-23 2011-04-1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Robust radio frequency signals
JP2009240055A (ja) * 2008-03-26 2009-10-15 Panasonic Corp 電池制御回路、電池パック、及び電池制御用プログラムの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
DE102008021469A1 (de) * 2008-04-29 2009-11-05 Beru Ag Verfahren, System und Systemkomponenten zur drahtlosen Reifendrucküberwachung
DE102008021466A1 (de) * 2008-04-29 2009-11-12 Beru Ag Verfahren, System und Systemkomponenten zur drahtlosen Reifendrucküberwachung
JP2013046147A (ja) 2011-08-23 2013-03-04 Tokai Rika Co Ltd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並びに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381A (ko) * 1992-12-14 1994-07-26 양승택 고유정보(id)와 동기정보의 무작위 전송 및 동시 인식장치
JP2007112434A (ja) * 2005-10-21 2007-05-10 Infineon Technologies Sensonor As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の送信機特定方法
JP2013046148A (ja) 2011-08-23 2013-03-04 Tokai Rika Co Ltd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並びに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6833B (zh) 2021-04-30
US20190036625A1 (en) 2019-01-31
CN109196833A (zh) 2019-01-11
EP3570511B1 (en) 2021-12-15
EP3570511A4 (en) 2020-09-02
EP3570511A1 (en) 2019-11-20
US10432329B2 (en) 2019-10-01
KR102028160B1 (ko) 2019-10-02
JP2018112901A (ja) 2018-07-19
WO2018131177A1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160B1 (ko)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 시스템
US7924148B2 (en) Robust radio frequency signals
CN109070664B (zh) 轮胎状态检测装置
US10525779B2 (en) Receiver
CN109562658B (zh) 发送器、接收器以及收发系统
CN115135517A (zh) 识别车辆车轮上的电子车轮单元的方法及其用途
JP7012092B2 (ja) 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送信機及び受信機
US11092516B2 (en)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JP6756822B2 (ja) 受信機、及び、送信機ユニット
JP2004098993A (ja)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及び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idコードの登録方法
JP2013006473A (ja) 自車両信号判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WO2003086788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ognition of transmitter identifiers for tires associated with a vehicle
JP6707635B2 (ja) 受信機、及び、送信機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