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418A -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 Google Patents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418A
KR20180087418A KR1020187019497A KR20187019497A KR20180087418A KR 20180087418 A KR20180087418 A KR 20180087418A KR 1020187019497 A KR1020187019497 A KR 1020187019497A KR 20187019497 A KR20187019497 A KR 20187019497A KR 20180087418 A KR20180087418 A KR 2018008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smetic
eyelashes
componen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898B1 (ko
Inventor
미즈요 이노우에
유미 도미야마
하즈키 우치다
아키히로 나카노
사토시 하라미즈
Original Assignee
조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화장품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8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유용성 피막 형성제 3 ∼ 40 질량%, (B) HLB 값이 7 ∼ 10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1 ∼ 10 질량%, (C) 휘발성 유제 20 ∼ 70 % 및 (D) 불휘발성 유제 0.5 ∼ 30 질량%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 성분과 (D) 성분의 비율[(A)/(D) (질량비)]이 0.7/1 ∼ 5.8/1 이고, 융점 50 ℃ 이상의 고형 유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양이 10 질량% 이하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에 특유의 우수한 컬 효과 및 화장 지속 (내수성) 에 더하여 온수에 의한 씻김성이 우수하여,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용이하게 화장을 지울 수 있다.

Description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본 발명은,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그것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우수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온수에 의한 제거 (화장 지우기) 가 용이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로 대표되는 속눈썹용 화장료는, 속눈썹을 위로 컬하는 것이나, 속눈썹을 굵게, 또한 길게 보이게 함으로써 눈매를 또렷하게 하는 것과 같은 화장 효과를 갖고 있다. 종래, 이들 속눈썹용 화장료로서, 유성 타입, 유중수형이나 수중유형의 유화 타입, 수성 타입 등, 다양한 제형의 것이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전용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중유형의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수중유형의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즉 씻김성이 우수한 반면, 모처럼 부여한 속눈썹의 컬이 지속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아이래시컬러 등의 용구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컬시킨 속눈썹이, 수분에 닿음으로써 컬 효과를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한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수중유형이나 유중수형과 같은 유화계의 속눈썹용 화장료와 비교하여 높은 컬 지속 효과를 갖고 있고, 또, 내수성 등의 화장 지속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단락 0009 참조). 그러나, 유성 타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화장을 지우기 위하여 전용 리무버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화장을 지울 때의 제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서 유용성 수지, 지방산 비누, HLB 값이 12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휘발성 유제를 배합함으로써, 온수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계면 활성제로서 지방산 비누나 HLB 값이 높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조제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아직 충분한 제거성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고, 또, 땀이나 눈물에 대한 내수성도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서는, 오일 겔화제, 고점도 탄화수소 유제, 극성 유제 및 휘발성 유제를 함유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고, 이러한 화장료는 화장 지속이 양호하고, 피막이 매끈하여 도포시의 광택이 우수하고, 또한 클렌징성이 우수한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 및 단락 0007 참조). 또, 이 화장료에 계면 활성제, 특히 HLB 10 미만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HLB 10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조합하여 배합하면, 클렌징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단락 0023 ∼ 0025 참조), 실시예에 있어서는 HLB 14 의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과 HLB 5.3 의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를 병용한 배합예가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 2 및 4 ∼ 6, 표 1 참조).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얻어진 메이크업 화장료는 클렌징성이 우수한 것이라고 평가되어 있지만, 거기에서의 클렌징성의 평가법은 오일 클렌징제를 속눈썹에 융화시킨 후에 비누로 씻는다는 것으로, 화장을 온수만으로 지울 때의 화장료의 제거성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단락 0039 참조).
또, 특허문헌 4 에는, 특정한 화학 구조를 갖는 티로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방부 살균제 (청구항 1 참조) 및 그 티로솔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청구항 3 참조) 가 개시되어 있고, 그 처방예 30 ∼ 32 에는, 유용성 피막 형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휘발성 유제, 불휘발성 유제 및 유성 겔화제를 함유하고, 추가로 밀랍 및 카나우바 왁스를 각각 10 질량% 및 5 질량% (합계 15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마스카라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신규한 방부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고, 그 용도의 일례로서 나타나 있는 유중수형 마스카라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5 에는, (A) 융점이 55 ∼ 70 ℃ 인 왁스 6 ∼ 35 질량%, (B) HLB 가 5 ∼ 10 인 계면 활성제 0.1 ∼ 10 질량%, (C) 휘발성 탄화수소 10 ∼ 90 질량% 를 함유하고, 성분 (A) 을 전체 왁스 중에 85 질량% 이상 함유하며, 또한 임의 성분으로서 유용성 피막 형성제 및 불휘발성 유제를 함유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청구항 1 참조). 그리고, 그 실시예 1 ∼ 3 에는, 왁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휘발성 유제, 유용성 피막 형성제, 불휘발성 유제 및 유성 겔화제를 배합하여 조제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는, 융점이 55 ∼ 70 ℃ 인 왁스를 6 ∼ 35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점에서 속눈썹의 광택이 잘 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또, 불휘발성 유제의 함량에 비해 유용성 피막 형성제의 함량이 큰 점에서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68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652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151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393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0338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기술하에 완성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갖는 우수한 컬 효과 및 내수성을 유지하면서, 수중유형 속눈썹용 화장료와 동일하게 전용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만으로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에 있어서, 유용성 수지와 불휘발성 액체유를 특정 비율로 함유하고, 계면 활성제로서 특정한 HLB 값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컬 효과가 우수하고, 내수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온수에 의해 화장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A) 유용성 피막 형성제 3 ∼ 40 질량%, (B) HLB 값이 7 ∼ 10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1 ∼ 10 질량%, (C) 휘발성 유제 20 ∼ 70 % 및 (D) 불휘발성 유제 0.5 ∼ 30 질량%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 성분과 (D) 성분의 비율[(A)/(D) (질량비)]이 0.7/1 ∼ 5.8/1 이고, 융점 50 ℃ 이상의 고형 유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양이 10 질량% 이하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에 특유의 우수한 컬 효과 및 화장 지속 (내수성) 에 더하여, 온수에 의한 씻김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의하면,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용이하게 화장을 지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필수 성분으로서 (A) 유용성 피막 형성제, (B) HLB 값이 7 ∼ 10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C) 휘발성 유제 및 (D) 불휘발성 유제를 함유하고 있다.
(A) 성분의 유용성 피막 형성제로는, 유성 성분에 용해되고,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부분 가교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불소 변성 실리콘, 아크릴 변성 실리콘, 실리콘 덴드리머 변성 수지 화합물 등의 실리콘계 수지, 로진산펜타에리트리트, 로진산글리세릴 등의 로진산계 수지, 칸델릴라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비닐이소부틸에테르, 폴리이소부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칸델릴라 수지란, 칸델릴라 왁스를 유기 용제로 분별 추출하여 얻어지는 수지분으로서, 수지분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질량 이상인 것이다.
이것들 중에서도,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로진계 수지 및 칸델릴라 수지가, 화장 효과의 지속성 및 컬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 시판품으로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을 미리 용제에 용해시킨 X-21-5595, KF-7312J, KF-7312F (모두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수소 첨가 로진산글리세릴인 PINECRYSTAL KE-311 (하리마 화성사 제조), 칸델릴라 수지 E-1 (니혼 내츄럴 프로덕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 성분의 유용성 피막 형성제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 3 ∼ 4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3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30 질량% 이다. (A) 성분이 과도하게 적으면 속눈썹의 광택, 컬 효과, 내수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온수로 씻어내는 것이 어려워지고, 또 사용할 때에 속눈썹에 도포하기 어려워진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있어서는, (B) 성분으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HLB 값이 7 ∼ 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8 ∼ 9 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 값이 7 미만인 경우에는, 온수에 의한 제거성을 개량할 수 없고, 반대로 HLB 값이 1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수성이 저하된다. 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대신에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나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내수성이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를 얻을 수는 없다.
(B)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6, 트리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폴리글리세릴-6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 PEG-10 수소 첨가 피마자유, PEG-20 수소 첨가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 스테아르산 PEG-5, 이소스테아르산 PEG-6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 세테스-4, 올레스-6, 스테아레스-6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 스테아르산스테아레스-12, 이소스테아르산라우레스-10 등의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
이소스테아르산 PEG-6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
이소스테아르산 PEG-20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40 경화 피마자유 등의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와 장사슬 알코올의 에테르, 폴리부틸렌글리콜폴리글리세린 코폴리머와 장사슬 알코올의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및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분자 중에 지방산 잔기를 갖는 경우, 그 지방산 잔기로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과 같은 탄소수 10 ∼ 22 의 고급 지방산의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에말렉스 GWS-320」(트리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 니혼 에멀션사 제조 ; HLB 8), 「유니옥스 GT-20IS」(이소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 니치유사 제조 ; HLB 8), 「에말렉스 PEIS-6EX」(이소스테아르산 PEG-6 ; 니혼 에멀션사 제조 ; HLB 9), 「에말렉스 SWS-12」(스테아르산스테아레스-12 ; 니혼 에멀션사 제조 ; HLB 8)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B)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B) 성분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 중에 0.1 ∼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 8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6 질량% 이다. 이 양이 과도하게 적은 경우에는,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저하되고,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내수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B) 성분 외에, HLB 값이 10 을 초과하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적절히 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계면 활성제는 화장료의 내수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들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전체 조성 중에 2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을 0.05 질량% 이하에 그치게 하는 것이다.
(휘발성 유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C) 성분의 휘발성 유제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는, 상압 (常壓) 에 있어서의 비점이 60 ℃ ∼ 260 ℃, 바람직하게는 100 ∼ 220 ℃ 의 것이며, 그 구체예로서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탄소수 8 ∼ 16 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포화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유 (예를 들어,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등의 탄화수소유나, 휘발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마루젠 석유 화학사 제조의 마루카졸 R, 이데미츠 흥산사 제조의 IP 솔벤트 1620, 동 2028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보존 안정성, 휘발 속도 면에서, 이소도데칸, 탄소수 8 ∼ 16 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C) 성분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 중에 20 ∼ 70 질량%, 바람직하게는 30 ∼ 6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60 질량% 이다. 이 양이 과도하게 적으면 컬 효과 및 내수성이 저하되고,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속눈썹에 대한 잔류 성분이 적어져 볼륨 효과 및 컬 효과가 저하된다.
(불휘발성 유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D) 성분의 불휘발성 유제는, 상기 (C) 성분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유제이다. 이러한 불휘발성 유제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동물유, 식물유, 합성유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불휘발성 유제의 구체예로는, 트리에틸헥사노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데카이소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다이머산과 다이머디올의 올리고머 에스테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이소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호호바유 등의 에스테르류 ;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 스쿠알란, 바셀린, 폴리이소부틸렌의 탄화수소류 ; 올리브유, 피마자유, 밍크유, 마카다미안너트유 등의 유지류 ;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류 ;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 저중합도 디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류 ;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의 불소계 유제류 ;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알코올 등의 라놀린 유도체류 ; 등을 들 수 있다. 또, (D) 성분의 불휘발성 유제는, HLB 값 7 미만의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여도 된다. (D) 불휘발성 유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D) 불휘발성 유제의 배합량은, 전체 조성 중에 0.5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 ∼ 2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15 질량% 이다. (D) 성분을 이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컬 효과, 내수성 및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 유용성 피막 형성제와 (D) 불휘발성 유제를, (A) 유용성 피막 형성제/(D) 불휘발성 유제 (질량비) 가 0.7/1 ∼ 5.8/1, 바람직하게는 1/1 ∼ 5.8/1,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 ∼ 5.5/1 이 되는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A) 성분의 비율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내수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상기 (A) ∼ (D) 의 각 성분에 더하여, (E) 성분으로서 유성 겔화제를 배합할 수 있다. 유성 겔화제의 배합에 의해, 속눈썹에 도포하기 쉬운 적당한 점성을 가진 화장료로 할 수 있고, 또, 계를 균일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유성 겔화제로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전분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 변성 점토 광물, 금속 비누,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또는 환원 덱스트린과 고급 지방산의 에스테르이고, 예를 들어, 팔미트산덱스트린,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팔미트산덱스트린 (「레오펄 KL2」, 「레오펄 TL2」) 이나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레오펄 TT2」) (모두 치바 제분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나 아세트산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등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슈가 왁스 S-10E」, 「DK 에스테르 S-160」, 「슈가 왁스 A-10E」(모두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변성 점토 광물은, 점토 광물 (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등) 의 결정층 간에 개재하는 변환성 카티온을 유기 극성 화합물이나 유기 카티온으로 치환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벤토나이트 (=쿠오타늄-18벤토나이트) 나,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디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벤톤 3 8V」(=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벤톤 34」(=쿠오타늄-18벤토나이트), 「벤톤 27」(=벤질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모두 에레멘티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비누로는,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E)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E)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전체량 중에 1 ∼ 3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20 질량% 이다. (E)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브러시를 사용하여 속눈썹에 충분한 양을 도포하는 데에 있어서 적절한 점성을 얻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계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F) 성분으로서 색재를 배합할 수 있다. 색재는, 화장료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형상, 입자경, 입자 구조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형상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구상, 판상, 침상 등을 들 수 있다. 입자경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연무, 미립자, 안료급 (顔料級) 등을 들 수 있다. 또, 입자 구조로는, 다공질이어도 되고 무공질 (無孔質) 이어도 된다.
(F) 색재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무기 분체류, 광휘성 분체류, 유기 분체류, 색소 분체류, 금속 분체류, 복합 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탤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실리카, 아연화 (亞鉛華), 이산화티탄, 적산화철, 황 (黃) 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 블랙, 저차산화티탄, 코발트바이올렛,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옥시염화비스무트, 티탄-마이카계 펄 안료 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등의 코폴리머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수지 분체 ;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橙色) 203호, 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청색 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 색소 ;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색재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흑색계의 색재, 특히 흑산화철 및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색재의 배합량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5 질량% 이다. 색재의 배합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면, 부착성이 저하되기 쉽고, 반대로, 과도하게 적으면 색재의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G) 성분으로서 소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물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의 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범위이면 (B) 성분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물이 가용화 상태, 즉, 분산매로서 유성 성분이 존재하고, (B) 성분과 물이 역미셀이 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 결과, (B) 성분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A) 성분 및 (C) 성분으로 형성하는 유제에 용해되기 쉬워지고, 장기간의 보존에 있어서도 (B) 성분의 분리나 석출이 일어나지 않아,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다. 특히, 물의 함유량이 0.1 ∼ 3 질량% 일 때에, 그 효과는 현저하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상기 성분 외에,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고형 유분, 다가 알코올류, 저급 알코올,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보습제, 향료, 산화 방지제, 방부제, 금속 이온 봉쇄제, 소포제, 섬유, 염료, 각종 엑기스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고형 유분으로는, 융점 50 ℃ 이상의 동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실리콘 왁스, 합성 왁스 등을 들 수 있지만, 다량으로 함유하면 도포했을 때의 속눈썹의 광택이 저하되는 점에서, 함유하는 경우에는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원료를 가열하고,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냉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색재류를 일부의 유성 성분 및/또는 계면 활성제 성분과 미리 혼련한 후, 그 나머지의 성분과 가열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마스카라, 마스카라용 하지 (下地), 마스카라용 탑코트, 속눈썹 미용액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의 형태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어, 크림상, 액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예를 들어, 브러시, 수지 성형 도포구, 금속 성형 도포구 등의 적절한 용구를 사용하여 속눈썹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사용하여 화장을 한 경우,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제거할 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35 ℃ ∼ 45 ℃ 정도의 온수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화장을 지울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의 처방 중의 배합량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체량에 대한 질량% 이다. 또,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평가 방법 a ∼ e)
하기 평가 항목 a ∼ e 에 대해, 평가자 10 명이 자신의 속눈썹에 각 시료를 도포하고, 하기 (1) 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0 ∼ 6 의 7 단계로 평점을 부여하였다. 평가자 10 명의 평점의 합계를 산출하여, 하기 (2) 에 나타내는 4 단계 판정 기준에 의해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로서의 성능을 판정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 c 의 내수성 및 컬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도포 후 6 시간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번지는 정도에 의해, 또, 평가 항목 d 의 컬 효과 지속성에 대해서는, 도포 후 6 시간에 있어서의 컬의 상황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 e 의 온수 (40 ℃) 에 의한 제거성 I 에 대해서는, 40 ℃ 의 온수 (수돗물) 에 시판되는 코튼을 담그고, 그 코튼으로 도포 후의 속눈썹을 사이에 끼워 30 초간 융화시킨 후, 닦아 내어, 속눈썹 상의 시료의 잔존량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a. 볼륨 효과
b. 컬 효과
c. 내수성 (상온) I
d. 컬 효과의 지속성
e. 온수 (40 ℃) 에 의한 제거성 I
(1) 평가 기준
(평점) : (평가)
6 : 매우 좋음
5 : 좋음
4 : 약간 좋음
3 : 보통
2 : 약간 나쁨
1 : 나쁨
0 : 매우 나쁨
(2) 4 단계 판정 기준
(판정) : (평점의 합계점)
◎ : 합계점이 46 ∼ 60 점
○ : 합계점이 31 ∼ 45 점
△ : 합계점이 16 ∼ 30 점
× : 합계점이 0 ∼ 15 점
(평가 방법 f 및 g)
또, 온수 (40 ℃) 에 의한 제거성 및 내수성에 대해서는, 평가 항목 e 또는 c 의 평가에 더하여, 각각 하기 f 또는 g 에 나타내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 f : 내수성 (온수) II
20 ℃ 의 수돗물에 시판되는 코튼을 담그고, 이것에 각 시료 0.005 g 을 도포한 「인조 속눈썹」을 사이에 끼워, 30 초간 융화시킨 후, 인조 속눈썹의 근원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30 회 문지른 후, 코튼에 대한 시료의 전이 상황을 관찰하고, 하기 (3) 에 나타내는 4 단계 판정 기준에 의해 평가 및 판정하였다. 또한, 코튼에 대한 시료의 전이량은, 클렌징 로션 (제품명 : 멘담사 제조, 우루오치미즈 클렌징 로션) 을 충분히 함유시킨 코튼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을 때의 전이량을 100 %, 전혀 전이되지 않는 경우를 0 % 로 하고, 육안으로 대략적인 전이량을 추정하였다.
평가 방법 g : 온수 (40 ℃) 에 의한 제거성 II
40 ℃ 의 온수 (수돗물) 에 시판되는 코튼을 담그고, 시료 0.005 g 을 도포한 「인조 속눈썹」을 사이에 끼워, 30 초간 융화시킨 후, 인조 속눈썹의 근원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30 회 문지른 후, 코튼에 대한 화장료의 전이 상황을 관찰하고, 상기 (3) 과 동일하게 하여 코튼에 대한 전이량을 추정하여, 하기 (4) 에 나타내는 4 단계 판정 기준에 의해 평가 및 판정하였다.
(3) 4 단계 판정 기준 (내수성 시험)
(판정) : (평가 기준)
◎ : 10 % 이하
○ : 10 % 초과 ∼ 50 % 이하
△ : 50 % 초과 ∼ 90 % 이하
Х : 90 % 초과
(4) 4 단계 판정 기준 (온수에 의한 제거성 시험)
(판정) : (평가 기준)
◎ : 90 % 초과
○ : 50 % 초과 ∼ 90 % 이하
△ : 10 % 초과 ∼ 50 % 이하
Х : 10 % 이하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4
<유성 마스카라>
표 1 에 나타내는 처방의 마스카라를 하기의 제조 순서에 따라 조제하고, 속눈썹을 굵게 보이게 하는 화장 효과 (볼륨 효과·컬 효과), 그 화장 효과의 지속성 (내수성·컬 효과), 온수에 의한 제거의 용이성에 대해 하기 방법에 의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함께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 순서)
(1)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 (A) ∼ (D) 를 약 110 ℃ 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2) 상기 (1) 에서 얻은 혼합액에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 (E) ∼ (F) 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3) 상기 (2) 에서 조제한 혼합액을 용기에 충전하여 유성 마스카라로 한다.
Figure pct00001
※1 : 상품명 Creasil ID CG (THE INNOVATION COMPANY 사)
※2 : 상품명 레오펄 KL2 (치바 제분사)
※3 : 상품명 PINECRYSTAL KE-311 (하리마 화성사)
※4 : 상품명 슈가 왁스 A-10E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5 : 상품명 S 페이스 IS-201P (사카모토 약품 공업사)
※6 : 상품명 T.I.O. (닛신 오일리오사)
※7 : 상품명 실리콘 KF-96A200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8 : 상품명 EMALEX GWS-320 (니혼 에멀션사)
※9 : 상품명 X-21-5595 (신에츠 화학 공업사)
표 1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5 의 마스카라는, 비교예 1 ∼ 4 의 마스카라에 비해, 컬 효과, 내수성 및 그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 마스카라 전용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온수만에 의한 제거도 용이한 것이었다. 한편, (A) 성분의 유용성 피막 형성제를 5 % 밖에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에서는, 내수성, 컬 효과 및 화장 효과의 지속성 면에서, 또, 유용성 피막 형성제를 29 % 함유하는 비교예 3 및 4 에서는, 온수에 의한 제거성 면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실시예 6 ∼ 9 및 비교예 5 ∼ 10
<유성 마스카라>
표 2 에 나타내는 처방의 마스카라를 상기와 동일한 제조 순서로 조제하고, 내수성 및 온수에 의한 제거성에 대해 상기의 평가 방법 f 및 g 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처방과 함께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10 : 상품명 유니옥스 GT-20IS (니혼 유지사)
※11 : 상품명 EMALEX SWS-12 (니혼 에멀션사)
※12 : 상품명 EMALEX PEIS-6EX (니혼 에멀션사)
※13 : 상품명 EMALEX GWS-304 (니혼 에멀션사)
※14 : 상품명 EMALEX RWIS-320 (니혼 에멀션사)
※15 : 상품명 EMALEX 615 (니혼 에멀션사)
※16 : 상품명 레오돌 TW-O120V (카오사)
※17 : 상품명 NIKKOL MYS-40V (닛코 케미컬즈사)
표 2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6 ∼ 10 의 마스카라는, 비교예 5 ∼ 10 의 마스카라에 비해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온수에 의한 제거가 용이한 것이었다. 한편, HLB 값 2 또는 6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비교예 5 및 6, 그리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10 에서는,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열등하고, HLB 값 12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비교예 7 ∼ 9 에서는, 내수성이 열등한 것이었다.
실시예 10
<마스카라용 하지>
이하에 나타내는 성분을 사용하여, 하기의 제조 순서에 따라 마스카라용 하지를 조제하였다.
(성분) (%)
(1) 이소도데칸 (※1) 잔량
(2) 팔미트산덱스트린 (※2) 15.5
(3) 수소 첨가 로진산글리세릴 (※3) 5
(4) 아세트산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4) 1
(5)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5) 2
(6) 트리에틸헥사노인 (※6) 2
(7) 디메티콘 (※7) 0.5
(8) 토코페롤 0.05
(9)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
(10) 트리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8) 2.5
(11) 펜틸렌글리콜 1
(12) 물 2
(13)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이소도데칸 (6/4) (※9) 30
(14) 페녹시에탄올 0.5
(제조 순서)
A. 성분 (1) ∼ (14) 를 약 110 ℃ 에서 가열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다.
B. 상기 A 에서 얻은 혼합액을 용기에 충전하여 마스카라 하지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마스카라용 하지는, 시판되는 마스카라를 사용하기 전에 속눈썹에 도포함으로써, 마스카라의 컬 효과, 내수성 및 화장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용하고, 또, 이 마스카라용 하지는, 약 40 ℃ 의 온수만으로 마스카라도 함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에 특유의 컬 효과 및 화장 지속 (내수성) 에 더하여, 온수에 의한 제거성이 우수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제공된다. 또, 이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사용하면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용이하게 화장을 지울 수 있으므로, 화장을 지우는 것이 효율적이 된다.

Claims (11)

  1. (A) 유용성 피막 형성제 3 ∼ 40 질량%, (B) HLB 값이 7 ∼ 10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1 ∼ 10 질량%, (C) 휘발성 유제 20 ∼ 70 % 및 (D) 불휘발성 유제 0.5 ∼ 30 질량%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 성분과 (D) 성분의 비율[(A)/(D) (질량비)]이 0.7/1 ∼ 5.8/1 이고, 융점 50 ℃ 이상의 고형 유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양이 1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E) 유성 겔화제 0.5 ∼ 40 질량% 를 함유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F) 색재 0.1 ∼ 20 질량% 를 함유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5 질량% 이하의 (G) 물을 함유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융점 50 ℃ 이상의 고형 유분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LB 값이 10 을 초과하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상한이 0.5 질량% 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이,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로진계 수지 또는 칸델릴라 수지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또는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성분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전분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 변성 점토 광물, 금속 비누 또는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스카라 또는 마스카라용 하지인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사용하여 속눈썹을 화장하고, 그 화장을,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KR1020187019497A 2016-01-16 2017-01-13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KR101932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6698A JP6097417B1 (ja) 2016-01-16 2016-01-16 油性睫毛用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JPJP-P-2016-006698 2016-01-16
PCT/JP2017/000906 WO2017122757A1 (ja) 2016-01-16 2017-01-13 油性睫毛用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418A true KR20180087418A (ko) 2018-08-01
KR101932898B1 KR101932898B1 (ko) 2018-12-27

Family

ID=5828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97A KR101932898B1 (ko) 2016-01-16 2017-01-13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15311A1 (ko)
JP (1) JP6097417B1 (ko)
KR (1) KR101932898B1 (ko)
CN (1) CN108472229B (ko)
WO (1) WO2017122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0709A (zh) * 2019-05-13 2020-11-13 帕芙姆斯得科尔有限公司 液体化妆品
JPWO2021200419A1 (ko) 2020-03-30 2021-10-07
FR3113588B1 (fr) * 2020-08-28 2023-06-09 Oreal Emulsions eau dans huile contenant un tensioactif a faible hlb, une gomme de silicone et une resine de siloxysilicate
WO2021222764A1 (en) * 2020-04-30 2021-11-04 L'oreal Water-in-oil emulsions containing surfactant, silicone gum and/or latex, and siloxysilicate resin
JPWO2022138646A1 (ko) * 2020-12-24 2022-06-30
FR3130136A1 (fr) * 2021-12-14 2023-06-16 L'oreal Émulsions eau dans l’huile comprenant un tensioactif, un polymère vinylique soluble dans l’eau et un organosiloxane
WO2023120226A1 (ja) * 2021-12-22 2023-06-29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睫毛化粧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5216A (ja) 2005-03-25 2006-10-05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JP2006306829A (ja) 2004-08-24 2006-11-09 Shiseido Co Ltd 油性化粧料
JP2007039340A (ja) 2005-07-05 2007-02-15 Kanebo Cosmetics Inc 防腐殺菌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JP2008115120A (ja) 2006-11-06 2008-05-22 Kao Corp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2140338A (ja) 2010-12-28 2012-07-26 Kao Corp 油性まつ毛用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0231D0 (en) * 1995-05-20 1995-07-19 Procter & Gamble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FR2865634B1 (fr) * 2004-02-03 2007-10-2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pour les fibres keratiniques chargeante
US8211415B2 (en) * 2004-10-13 2012-07-03 L'oreal Easily removable waterproof cosmetic care and/or makeup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latex or pseudolatex
WO2006097350A1 (en) * 2005-03-15 2006-09-21 L'oreal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agent for promoting the microcirculation and a polyol, uses thereof
JP4805595B2 (ja) * 2005-03-30 2011-11-02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睫用化粧料
JP2008255013A (ja) 2007-03-30 2008-10-23 Kose Corp 油性化粧料
CN102791248B (zh) * 2009-01-29 2016-01-06 巴斯夫欧洲公司 化妆品组合物的稳定
JP5973097B1 (ja) * 2016-01-29 2016-08-23 株式会社伊勢半 睫毛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829A (ja) 2004-08-24 2006-11-09 Shiseido Co Ltd 油性化粧料
JP2006265216A (ja) 2005-03-25 2006-10-05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JP2007039340A (ja) 2005-07-05 2007-02-15 Kanebo Cosmetics Inc 防腐殺菌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JP2008115120A (ja) 2006-11-06 2008-05-22 Kao Corp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2140338A (ja) 2010-12-28 2012-07-26 Kao Corp 油性まつ毛用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25000A (ja) 2017-07-20
JP6097417B1 (ja) 2017-03-15
KR101932898B1 (ko) 2018-12-27
US20190015311A1 (en) 2019-01-17
CN108472229A (zh) 2018-08-31
WO2017122757A1 (ja) 2017-07-20
CN108472229B (zh)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898B1 (ko)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JP5758585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2293101B1 (ko) 수중유형 속눈썹용 화장료
KR102319216B1 (ko) 유성 모발 착색료
JP5833812B2 (ja) 油性化粧料
TWI606844B (zh) Eye cosmetic composition
JP2009242269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414082B2 (ja) 油性化粧料
JP2012012378A (ja) 油性化粧料
KR101917994B1 (ko)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및 화장 방법
KR102396751B1 (ko) 화장료 세트
CN104185657B (zh) 树脂组合物和配合有该树脂组合物的化妆品
JP6487252B2 (ja) 油性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4555372B2 (ja) ペンシル状化粧料および化粧製品
JP5933941B2 (ja) 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6402055B2 (ja) 睫用化粧料
JP4976179B2 (ja) 油性睫毛用化粧料
JP2021070650A (ja) 固形化粧料
JPH07277927A (ja) 口紅組成物
JP2020164420A (ja) 油性化粧料
JP2020158451A (ja) 睫毛用化粧料
JP2016124857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