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880A -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880A
KR20180085880A KR1020170009488A KR20170009488A KR20180085880A KR 20180085880 A KR20180085880 A KR 20180085880A KR 1020170009488 A KR1020170009488 A KR 1020170009488A KR 20170009488 A KR20170009488 A KR 20170009488A KR 20180085880 A KR20180085880 A KR 2018008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ihydromyricetin
ellagic acid
dhm
eg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302B1 (ko
Inventor
이정복
박선민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7000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3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엘라그신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자외선에 의한 홍반, 광노화, 염증 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특히 엘라그신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병용처리할 경우, 현저한 상승적(synergistic) 효과를 나타내므로, 엘라그신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노화 개선,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등 다양한 용도의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라그신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llagic acid and dihydromyricetin}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및 자외선 차단, 피부 광손상 개선, 피부노화 개선,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 용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내인적인 노화)와 햇볕에 노출되는 부위에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와 연대학적 노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광노화(광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광노화에서는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며 두꺼워지는 반면 연대학적 노화에서는 오히려 피부가 얇고 매끄러워진다. 이 밖에도 광노화에서는 연대학적 노화와는 다르게 깊은 주름이 생기고 이완, 얼룩진 과색소 침착과 저색소 침착, 모세 혈관 확장, 자반, 가성반흔 등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연대학적 노화와 광노화는 여러 가지 임상 양상의 차이가 있다.
햇빛에 의한 손상은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광노화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은 자외선이다. 자외선은 그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 B, C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UV-A(320-400 nm)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미약하여 UV-B보다는 피부에 해가 적지만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기미나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고 피부 노화를 심화시킬 뿐 아니라, 심한 경우 피부암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UV-C(200-280 nm)는 X선과 근접한 파장을 가진 광선으로 발암성이 매우 높지만 오존층에 의해 모두 차단되므로 별도로 차단해야 할 필요는 없다. UV-B(280-320 nm)는 인체에 가장 쉽고 빠르게 영향을 나타내어 피부손상에 관여하며 건조 및 피부홍반, 색소침착, 표피비후 등의 현상과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 기전의 불균형 유발을 통해 피부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효소 등을 손상시킴으로써 염증반응과 피부암 및 광노화를 심화시켜 피부손상을 초래한다. 특히 UV-B 노출에 의해 생성이 유도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광노화 주요원인 중 하나로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를 자극하여 DNA와 지질 및 단백질과 같은 생체분자에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을 통한 피부조직 손상을 야기한다. 또한, 활성산소종은 표피 각질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자극으로 활성화 단백질(activator protein-1, AP-1) 및 핵인자 카파 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의 전사인자를 활성화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토록 하여 콜라겐 분해효소들(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증가된 콜라겐 분해효소들(MMPs)은 피부의 콜라겐을 분해한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진피층의 경우 90%를 차지하고 있고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 노출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들(MMPs)의 발현증가에 따른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 노화와 주름형성을 유발한다. 따라서 체내에서는 활성산소에 의해 생성 및 활성화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과 산화효소에 대한 방어로 카탈라아제(catalase, CAT),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및 글루타티온 S-전달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가 작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UV-B 조사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가 종양괴사인자-알파(tumou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β, IL-1β), IL-6, IL-10 와 IL-8을 세포 외로 분비하도록 자극하여 염증을 유도한다. 특히 TNF-α는 초기 자극에 대한 중요한 염증 유발인자로서 염증반응을 유도해 유도형 NO 생성효소(inducible NO synthase, iNOS) 발현이 증가시키고 iNOS에 의해 생성된 염증매개 물질인 NO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피부 세포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엘라그산(ellagic acid)은 폴리페놀 4개의 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체 내에서는 전구물질인 엘라기탄닌(ellagitannin) 형태로 존재하며, 포도, 딸기, 석류, 나무딸기, 땅콩류 및 녹차 등에 존재하는 식물성 페놀물질로 항 돌연변이 및 항암기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은 기름모과나무(Xanthoceras sorbifolia), 고산지대 코카인 식물(Catha edulis)로부터 분리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엘라그산과 함께 유의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노화 개선,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항노화를 위한 대표적인 피부 주름 개선 물질로 알려진 레티놀, 레티노이드 및 그 유도체들의 경우 콜라겐 분해효소(MMP-1)를 억제해 콜라겐 손실을 방지하여 내인성 및 광노화를 방지하고 회복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홍반, 가려움, 건선 등의 국소적 피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피부 염증 또는 트러블에는 아직까지 안정성에 논란이 되고 있는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의 합성 물질 또는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등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광손상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엘라그신(ellagic acid)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은 자외선에 의한 홍반, 광노화, 염증 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특히 엘라그신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병용처리할 경우, 현저한 상승적(synergistic)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엘라그신(ellagic acid)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을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및 자외선 차단, 피부 광손상 개선, 피부노화 개선,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 용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손상 예방 및 치료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혼합물은 자외선에 의한 홍반, 광노화, 염증 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특히 엘라그신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병용처리할 경우, 현저한 상승적(synergistic) 효과를 나타내므로, 엘라그신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노화 개선,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등 다양한 용도의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엘라그신(ellagic acid; EGA)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DHM) 처리 후, UV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EGA 또는 DHM 처리 후, UV 조사에 따른 TBAES 및 ROS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자외선 조사 후, Collagen 1 및 MMP-1의 발현에 대한 EGA 또는 DHM의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자외선 조사 후, Cu/Mn SOD 및 TNF-a의 발현에 대한 EGA 또는 DHM의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동물실험 방법을 개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마우스에 UV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피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홍반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화상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짖물음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상처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등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표피 및 진피의 두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동물 실험에서 UV 조사 후 mast cell의 수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또는, 광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엘라그신은 포도, 딸기, 석류, 나무딸기, 땅콩류 및 녹차 등에서 추출하거나, 합성한 것 모두 무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기름모과나무(Xanthoceras sorbifolia), 고산지대 코카인 식물(Catha edulis)으로부터 추출하거나, 합성한 것 모두 무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엘라그신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1 : 0.1 내지 10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엘라그신은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하기 [화학식 2]로 기재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과 동일한 활성을 갖는 상기 화합물의 유도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외용제는 피부 주름, 홍반 또는 피부 짖물음을 개선하고, 피부를 재생하며, 피부의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외용제는 노화, 피부 광손상, 보다 구체적으로 UV에 의한 광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할 수 있고, 더욱 더 구체적으로 UV-B에 의한 노화, 산화 또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광노화에 대한 엘라그신,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또는 이들의 병용처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UVB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EGA 는 DHM 처리군에서 세포 사멸이 감소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군은 상승적으로(synergistic)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는 자외선으로 인해 세포에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이 지질을 과산화시켜 과산화물을 생성하고, 이러한 과산화물은 세포막과 핵산의 손상을 일으켜 세포사멸을 나타내므로, EGA 또는 DHM의 UVB 조사에 의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EGA 또는 DHM 처리군은 효과적으로 자외선으로 인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켜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 처리군은 상승적으로(synergistic) 과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는 자외선 조사 후, 항산화 또는 항염증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대한 EGA 또는 DHM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EGA 또는 DHM는 collagen-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M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유의적인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또한, 자외선으로 생성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효소인 SOD의 발현은 EGA 또는 DHM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할 경우, SOD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 반응과 관련된 TNF-α의 발현은 EGA 또는 DHM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할 경우, TNF-α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는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EGA 또는 DHM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UV 노출로 인해, 대조군은 홍반이 나타나고 짖물음, 화상 등이 심해진 반면, EGA군과 DHM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홍반과 화상이 가장 적었고 짖물음도 쉽게 없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특히 EGA+DHM이 가장 효과적으로 홍반, 짖물음, 화상이 없어지고 정상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내지 도 14).
따라서, 본 발명의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자외선에 의한 홍반, 광노화, 염증 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특히 엘라그신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병용처리할 경우, 현저한 상승적(synergistic) 효과를 나타내므로, 엘라그신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는 피부 주름, 홍반 또는 피부 짖물음을 개선하고, 피부를 재생하며, 피부의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하여, 적합한 외용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EGA 또는 DHM을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고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제는 본 발명의 EGA 또는 DHM, 또는 이의 혼합물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을 안전하게 함침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뿐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그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거나 또는 석출 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피부 광손상 개선, 피부노화 개선, 피부 재생,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홍반 또는 피부 짖물음을 개선하고, 피부의 재생, 피부의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노화, 보다 구체적으로 UV에 의한 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UVB에 의한 노화, 산화 또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자외선 차단, 피부노화 개선,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 용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엘라그신 ( ellagic acid; EGA )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dihydromyricetin; DHM)의 UVB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 확인
광노화에 대한 엘라그신,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또는 이들의 병용처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UVB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 × 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SIGMA, USA)가 첨가된 무혈청 저농도 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군으로는 본 발명의 EGA 50 μM, DHM 50 μM 또는 EGA 25 μM + DHM 25 μM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세포에 처리한 다음 10 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이 지난 뒤 UVB를 각각 0 MED, 0.5 MED, 1 MED, 2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12시간 후 배지는 제거한 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용액(1 mg/ml)을 넣고 3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SIGMA, USA) 100 μL를 넣어 녹을 수 있도록 10분간 방치 뒤 ELISA(VersaMaxTM,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서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따라서 각 웰에 존재하는 생존 수와 비례한다. 측정 시 공시료는 DMSO로 하였고, 세포의 생존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MED 시에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UVB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에 차이가 없었으나, 0.5 MED 부터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EGA 50 μM 또는 DHM 50 μM 처리군에서 세포 사멸이 감소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한 EGA 25 μM + DHM 25 μM 처리군은 상승적으로(synergistic)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 실시예 2> UVB 조사에 의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 생성 억제효과
자외선으로 인해 세포에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이 지질을 과산화시켜 과산화물을 생성하고, 이러한 과산화물은 세포막과 핵산의 손상을 일으켜 세포사멸을 나타내므로, 엘라그신,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의 UVB 조사에 의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HACAT 세포를 배양한 후, EGA 50 μM, DHM 50 μM 또는 EGA 25 μM + DHM 25 μM 농도로 각각 세포에 처리한 다음,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또한, TBARS 방법으로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후 PBS(pH 7.4)로 세포를 모아 세포 처리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한 마이크로 퓨즈 튜브(micro fuse tube)에 넣고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에 0.38% TBA(2-Thiobarbituric acid, SIGMA, USA) + 15% TCA(Trichloroacetic acid, SAMCHUN) / 0.25N HCl를 1:1로 희석한 용액을 첨가한 후 100℃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준 후 충분히 식힌 뒤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해 ELISA를 이용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양에 따라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이 차이가 있으므로, 세포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단백질 분석(Protein assay)을 이용하여 세포 양을 측정하여 보정해 주었으며 지질과산화물은 지질과산화물의 기준물질인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를 측정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A 50 μM 또는 DHM 50 μM 처리군은 효과적으로 자외선으로 인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켜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한 EGA 25 μM + DHM 25 μM 처리군은 상승적으로 과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시예 3> 광노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에 대한 효과 확인
자외선 조사 후, 항산화 또는 항염증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대한 엘라그신,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HACAT 세포를 배양한 후, EGA 50 μM, DHM 50 μM 또는 EGA 25 μM + DHM 25 μM 농도로 각각 세포에 처리한 다음,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멸균된 PBS (pH 7.4)로 접시를 2회 세척한 다음 PBS를 제거하고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Life Technologies, Rockville, MD, USA)으로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는 람다 850 분광광도계(Perkin Elmer, Waltham, MA, USA)로 정량하였고, cDNA는 추출된 1 μg의 RNA로부터 합성되었다. 역전사효소 키트를 사용하여 각 cDNA를 제조하여 실시간 PCR에 사용하였다. 특정 유전자에 대한 동량의 cDNA 및 프라이머를 SYBR 그린믹스(Bio-Rad, Richmond, CA)와 혼합하고 실시간 PCR 기구를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열 사이클 조건은 55℃에서 2분, 95℃에서 10분, 94℃에서 20초, 65℃에서 30초, 22℃에서 20초로 40 사이클 하였다.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 측정을 위하여 유도성 NO합성효소 iNOS, 종양괴사 인자 TNF-α, 콜라겐분해효소 MPP-1, Cu/Zn SOD, TGF-β, 타입 I 콜라겐(collagen-I)을 검지하기 위한 프라이머들이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llagen-1의 발현은 EGA 또는 DHM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할 경우, collagen-1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피부세포를 유의적으로 재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GA는 MMP1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지 않았지만, EGA 및 DHM의 병용처리는 MMP1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피부 재생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EGA 및 DHM의 병용처리는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 재생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으로 생성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효소인 SOD의 발현은 EGA 또는 DHM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할 경우, SOD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 반응과 관련된 TNF-α의 발현은 EGA 또는 DHM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EGA 및 DHM를 병용처리할 경우, TNF-α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 실시예 4>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EGA 또는 DHM 의 효과 확인
ICR 마우스(대한바이오링크)를 분양받아, 1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후, 각 그룹당 6마리씩 총 5그룹으로 나누고, 3 주 동안 0.7% dextrin(대조군), 0.7% EGA, 0.7% DHM, 또는 0.35% EGA + 0.35% DHM (EGA+DHM)가 각각 첨가된 43% 고지방식이를 마우스에 공급한 후, UV-B를 1 MED 조사하였다.
한편, 도 6과 같이 UV-B를 조사하기 전,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은 본 발명의 폴리페놀을 용해시킨 용매인 1,3-butylene glycol를 사용하였고, EGA군의 3% EGA 용액을 150 uL, DHM군은 3% DHM 용액을 150 uL, EGA+DHM군은 3% EGA 용액과 3% DHM 용액을 75uL씩 혼합하여 마우스에 도포하였다. UV-B를 조사는 UV-B(VL: 115 C, 30 W; Vilber Lourmat, Marne Lavalee, France) 램프를 a radiometer/photometer에 장착하고 UV-B를 피부에서 약 30cm 떨어진 곳에서 36.5 uW로 30 분 동안 상기 등의 털을 제모한 ICR mice의 등에 1 MED (1MED = 36.5uW/30min/cm2)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발시켰으며, UV-B 조사 후, 매일 실험군을 마우스에 도포하였다(도 5 및 도 6).
<4-1> UV 조사 후, 등에 피부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하여 UV 노출 후, 각 군들 사이에 등의 피부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 노출 후 0시간에는 군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피부의 주름이 증가하고 수분이 적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대조군은 점차 홍반도 나타나고 짖물음, 화상 등이 심해진 반면, EGA군과 DHM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홍반과 화상이 가장 적었고 짖물음도 쉽게 없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특히 EGA+DHM이 가장 효과적으로 홍반, 짖물음, 화상이 없어지고 정상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4-2> UV 조사 후, 홍반의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하여 UV 노출 후, 각 군들 사이에 홍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홍반 변화는 하기와 같이 점수로 변환하여 측정하였다:
홍반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홍반(육안으로 식별할 정도): 1
분명한 홍반: 2
약간 심한 홍반: 3
심한 홍반(홍당무색 발적)과 가벼운 정도의 피부가 까지는 것: 4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A군, DHM군 및 EGA+DHM군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홍반 증가를 감소시키고, 발생한 홍반도 유의적으로 회복시키므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특히 EGA+DHM군은 현저한 상승적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8).
<4-3> UV 조사 후, 화상 정도의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하여 UV 노출 후, 각 군들 사이에 화상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화상 정도는 하기와 같이 점수로 변환하여 측정하였다:
화상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화상(육안으로 식별할 정도): 1
분명한 화상: 2
약간 심한 화상: 3
심한 화상: 4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A군은 자외선 노출 후 화상이 나타났으나 대조군보다는 현저히 낮았고 그 후에는 더 이상 화상이 진행되지 않고, 회복되어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DHM 군은 첫 번째 자외선 노출 후에는 홍반이 낮았던 것처럼 화상 정도도 다른 군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으며, EGA+DHM군은 화상 정도 감소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4-4> UV 조사 후, 짖물림 정도의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하여 UV 노출 후, 각 군들 사이에 짖물림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짖물림 정도는 하기와 같이 점수로 변환하여 측정하였다:
짖물림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짖물림(육안으로 식별할 정도): 1
분명한 짖물림: 2
약간 심한 짖물림: 3
심한 짖물림: 4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짖물음은 모든 군에서 자외선 조사 2일부터 생기기 시작해서 2일째에 가장 많았으며 5일에 최고조에 도달하였고,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EGA+DHM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짖물림 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4-5> UV 조사 후, 상처 정도의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하여 UV 노출 후, 각 군들 사이에 상처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처 정도는 하기와 같이 점수로 변환하여 측정하였다:
상처가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상처(육안으로 식별할 정도): 1
분명한 상처: 2
약간 심한 상처: 3
심한 상처: 4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 노출에 따라 손상된 상처가 EGA군, DHM군 및 EGA+DHM군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EGA+DHM 처리군 현저한 상처 정도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1).
<4-6> 등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 확인
UV 노출 후 각 그룹의 등 조직을 분리한 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염색 및 톨루이딘블루(toluidine blue)을 수행한 후, 각 실험군 마우스 등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 조사는 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세포의 배열이 엉성해지며 부종을 증가시켰으며, 피부의 표피 부분이 거칠어지고, 진피도 많은 변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2). 또한,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세포의 mast cell의 수는 대조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EGA군과 DHM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지만, 특히 EGA+DHM군에서 상승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내지 도 14).
<4-7> 등 조직의 사이토카인 발현 변화 확인
UV 노출 후 각 그룹의 등 조직을 분리한 후 염증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인 TNF-a와 IL-1b의 mRNA 발현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EGA군과 DHM군을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였는데, 특히 EGA+DHM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5).

Claims (11)

  1.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피부 광손상을 개선하고, 피부 주름, 홍반 또는 피부 짖물음을 개선하며, 피부를 재생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피부의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UV에 의한 광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5.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피부 광손상 개선, 피부노화 개선, 피부 재생, 항염증,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홍반 또는 피부 짖물음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에 의한 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엘라그신(ellagic acid)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손상 예방 및 치료용 피부 외용제.
  10.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11. 엘라그신(ellagic acid),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09488A 2017-01-20 2017-01-20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94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88A KR101943302B1 (ko) 2017-01-20 2017-01-20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88A KR101943302B1 (ko) 2017-01-20 2017-01-20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880A true KR20180085880A (ko) 2018-07-30
KR101943302B1 KR101943302B1 (ko) 2019-01-29

Family

ID=6304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488A KR101943302B1 (ko) 2017-01-20 2017-01-20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57B1 (ko) 2019-06-05 2021-06-11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베리로부터 엘라그산을 추출하는 방법
KR20220135000A (ko) 2021-03-29 2022-10-06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가시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243A (ko) * 2008-10-13 2010-04-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9947A (ko) * 2009-02-05 2010-08-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라직산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243A (ko) * 2008-10-13 2010-04-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9947A (ko) * 2009-02-05 2010-08-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라직산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302B1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3238A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43302B1 (ko)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08694B1 (ko)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230135528A (ko)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1243B1 (ko) 4&#39;-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7426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806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116620A (ko) 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8059A (ko) 콩나물 및 콩나물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2692B1 (ko) 피부미백용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0757A (ko)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030012562A (ko)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9B1 (ko)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20160090512A (ko) 트록세루틴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86533B1 (ko)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8B1 (ko) 아임계 수 처리된 감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주름개선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