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951A -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951A
KR20180082951A KR1020170161920A KR20170161920A KR20180082951A KR 20180082951 A KR20180082951 A KR 20180082951A KR 1020170161920 A KR1020170161920 A KR 1020170161920A KR 20170161920 A KR20170161920 A KR 20170161920A KR 20180082951 A KR20180082951 A KR 2018008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fluorophosphate
dimethylamino
bis
benzotriazol
m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186B1 (ko
Inventor
손성길
최원경
김동완
유지희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JP201953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14289B2/ja
Priority to PCT/KR2017/014555 priority patent/WO2018131798A1/ko
Priority to US16/477,047 priority patent/US20200138688A1/en
Priority to CN201780082452.0A priority patent/CN110191701B/zh
Priority to TW107100993A priority patent/TWI816654B/zh
Publication of KR2018008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951A/ko
Priority to KR1020190122974A priority patent/KR102289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86B1/ko
Priority to US17/472,162 priority patent/US11975091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상기 단백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단백질의 강도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반영구적인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of protein substance}
본 발명은 모발,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의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 지방층으로 이루어지며, 피부 부속기로는 한선, 피지선, 모발 및 손, 발톱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피부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표피는 외배엽에서 유래하며 크게 말피기층이라 불리는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된 안쪽의 부분과 무핵이며 편평하고 건조한 죽은 세포들로 이루어진 각질층인 외곽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께는 얼굴부분이 0.03mm 내지 1mm, 손과 발바닥이 0.16mm 내지 0.8mm이고, 가장 얇은 눈꺼풀은 0.1mm 정도이다. 표피는 주로 중층편평각화상피로서, 주로 각질형성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에 멜라닌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및 머켈 세포가 존재한다.
각질형성 세포는 표피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표피의 바깥 부분에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 발바닥 부위에는 각질층과 과립층 사이에 투명층이 존재한다.
표피에는 매일 수백만 개의 새로운 세포들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들은 한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표피의 가장 바깥쪽으로 계속해서 밀려나오기 시작한다. 이때 밀려 올라오는 동안에 이 세포들은 점점 딱딱한 각질로 바뀌어 가게 된다. 표피의 세포는 기저층에서 처음 만들어지며 점차 표면으로 밀려나오면서 모양과 기능 또한 변하게 된다.
표피는 각화됨에 따라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점차 모양이 변하게 되며, 이들 세포들은 모두 각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세포이므로 각질형성 세포라 부른다.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과정은 1) 기저세포의 분열 과정, 2) 유극 세포에서의 합성 및 정비과정, 3) 과립세포에서의 자기 분해 과정, 4) 각질세포에서의 재구축 과정의 4 단계에 걸쳐서 일어나며, 분화의 마지막 단계로 각질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각화(keratinization)과정이라 한다.
각질형성 세포의 수명은 약 28일이며, 부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매일 수 백만 개씩 떨어져 나가고 아래의 층으로부터 수백만 개의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어 올라오게 된다. 인체의 피부 표면에서는 노화된 각질세포가 계속 떨어져 나가고 있으며, 노화된 피부에서는 각질층이 떨어지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각질층이 두꺼워지게 된다. 따라서 각질형성 세포의 기능 저하는 죽은 세포를 더욱 늘어나게 하고, 잔주름과 피부 거칠어짐의 원인이 된다.
각질층은 각질형성 세포 중 가장 바깥쪽의 단단하고 건조한 얇은 껍질인 각질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으로 20 내지 25개의 층으로 되어 있다. 각질층이란 단백질이 딱딱하게 변한 케라틴(keratin)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각질층의 모양은 피부의 표면에 가까울수록 납작하고 길쭉한 모양을 하게 된다. 주성분으로는 케라틴 단백질(58%), 지질(11%),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38%)를 함유하고 있다. 두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다르며, 손바닥이나 발바닥과 같은 부위는 각질층이 매우 두꺼워 일상생활에서 받는 물리적 충격이나 마찰 또는 외상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각질층은 비록 핵이 없는 죽은 세포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나, 피부의 보호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각질층은 외부에서 세균이나 외부의 독성물질이 함부로 몸 속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고, 또 몸의 내부에서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중요한 방어막 구실을 한다. 이러한 피부 각질의 주요 구성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58%)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특히 피부 각질을 구성하는 케라틴은 약 6.4 내지 8.1%의 아스파라긴산, 약 9.1 내지 15.4%의 글루타민산 그리고 약 3.1 내지 6.9%의 라이신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포유류의 피부 부속기관으로서 발생학적으로 표피의 상피가 함입되어 형성된 각질화 된 구조로, 땀샘, 피지샘과 함께 피부의 부속 기관에 해당된다. 모발은 머리카락, 솜털, 수염, 겨드랑이털, 음모 등 인체 외부를 덮고 있는 털을 모두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피의 머리카락만을 의미 하기도 한다.
모발은 피부 각질층의 주성분과 같은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케라틴은 그 유래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케라틴을 연성 케라틴이라 하고, 모발과 손톱을 구성하는 케라틴을 경성 케라틴이라 한다. 이것은 아미노산 중 하나인 시스테인의 함량에 따른 차이로, 경성 케라틴은 시스테인 함량이 높고 연성 케라틴은 그 함량이 낮다. 따라서, 경성 케라틴은 외부 자극이나 화학물질의 침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모발 섬유는 굵기가 약 50 내지 100㎛이며, 모소피로 불리는 큐티클(cuticle)과 모피질로 불리는 콜텍스(cortex)로 구성되고, 때로 가운데 부분에 모수질이라 불려지는 메듈라(medulla)를 가지기도 한다. 이들 모든 세포는 죽은 세포로 되어있고 대부분이 케라틴 단백질로 채워져 있다.
사람의 모발은 약 65 내지 95%가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물과 지질(결합 및 비결합 형태), 안료, 미량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단백질은 약 20 내지 50개의 아미노산 혼합물들이 긴 사슬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며, 각 사슬은 나선이나 코일 형태로 감겨져 있다.
사람 모발을 구성하는 수많은 아미노산 조성 중에서 시스틴은 가장 중요한 아미노산 중 하나이다. 시스틴은 서로 다른 아미노산 사슬에 존재하는 두 개의 시스테인(치올)에 의해서 구성되며, 서로 근접된 상태로 두 황(sulfur) 원자간에 결합을 형성한 매우 강한 결합으로 알려져 있는 디설파이드 결합(disulfide bond)을 형성하고 있다. 디설파이드 결합 이외에도 모발은 매우 풍부한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많은 CO-와 NH-기가 존재함에 의해서 이웃 한 사슬 분자 그룹들 사이에 수소 결합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인간 모발의 세포 구조에 있어서 매우 독특한 부분인 높은 시스틴 함량에 의해서 모발의 물리학적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모발의 색상과 관련 있는 부분인 안료는 멜라닌(melanin)이며 이는 사람 모발의 콜텍스 부분에 그래뉼(granule) 형태로 주로 존재하고 있다.
모발의 대부분은 단백질이며 나머지 성분은 멜라닌 색소, 지질, 미량원소, 수분 등이다. 모발의 아미노산 조성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은 시스테인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케라틴 단백질이다. 모발 케라틴은 약 18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으며, 그 조성에 있어서 사람의 표피와 비교하여 시스테인의 함유량이 많다. 또한 염기성 아미노산인 히스티딘, 라이신, 알기닌의 비율은 1:3:10인데 이는 모발 케라틴만의 특유한 비율이다. 피부 콜라겐은 시스테인이 없고 대신에 글라이신, 프로린, 및 알라닌 함량이 높다.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는 모발에 약 3% 이하로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과 멜라닌 색소 이외에도 모발 중에는 구리, 아연, 철, 망간, 칼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과 미량원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인, 규소, 등 무기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에 존재하는 결합은 단백질 내부의 아미노산들 사이의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이외에도 각각의 단백질 분자들 사이에는 분자간의 힘이나 결합력이 존재하고, 이 결합에 의해 모발은 그 성상 및 형태를 유지한다. 결합의 종류는 크게 가교결합인 시스틴 결합과 펩타이드 결합, 그리고 비가교 결합인 염 결합, 수소결합, 소수성 상호작용 등이 있다. 그 중 시스틴 결합(Cystine Bond; Disulfide Bond; -CH2-S-S-CH2-)은 황(S)을 함유하는 단백질에서 특이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다른 섬유에서는 보이지 않는 측쇄 결합이며 케라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결합이다. 이 시스틴 결합으로 케라틴은 강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발의 주요 구성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58%)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특히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은 약 3.9 내지 7.7%의 아스파라긴산, 약 13.6 내지 14.2%의 글루타민산 그리고 약 1.9 내지 3.1%의 라이신을 포함한다.
섬유는 일반적으로 크게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로 나눠질 수 있는데, 천연 섬유 중 동물체로부터 얻은 섬유를 동물성 섬유라고 하며, 화학적 성분이 단백질이므로 단백질계 섬유라고도 한다. 단백질계 섬유는 동물의 털에서 얻은 섬유와 누에고치로부터 얻은 섬유가 있으며, 동물의 털에서 얻은 섬유는 면양의 털로부터 얻은 모섬유와 산양, 낙타, 토끼, 말, 소, 기타 동물들로부터 얻는 헤어 섬유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계 섬유는 모발과 동일하게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단백질계 섬유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양모(울)는 아미노산의 조성 또한 모발과 유사한 조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단백질계 섬유 및 모발, 피부, 손발톱, 가죽은 물 또는 중성 용매와 같은 온화한 조건에서는 매우 강한 단백질의 일종이지만, 일상 생활 에서 일어나는 빗질, 드라이어의 열, 염색, 퍼머, 일상생활에서의 물리적인 마찰, 세탁, 일광, 다림질의 열, 오염의 흡착, 자외선에의 노출, 고온 및 저온에의 노출, 해수, 풀장의 석회분 등 물리/화학적 처리 및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상된 모발, 피부, 손발톱, 섬유 가죽은 내외부의 단백질이 용출되어 다공성화가 진행되고 거칠어지면서 부드러움 및 탄력이 떨어질 수 있고 마찰력 증가로 인해 손질이 어려워지며, 윤기가 떨어지고 색상이 탁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발, 피부, 섬유, 가죽 등의 기질 표면 특성을 개선하여 아름답고 건강한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처리제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은 개선하고자 하는 중요한 대표적인 표면 특성이다.
강도 강화를 부여하기 위한 처리제의 대표 예시로, 모발에 있어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 크림, 팩, 마스크, 시트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이 있으며, 피부에 있어서, 스킨, 로션, 에센스, 세럼, 크림, 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포인트 메이크업, 마스크, 패치 등의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이 있으며, 섬유에 있어서도, 섬유유연제, 섬유 염색제, 세탁세제, 트리트먼트제, 전후처리제, 세탁보조제, 부분오염 제거제, 스프레이 등의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케어 제제를 들 수 있다. 손발톱 처리제에 있어서도 광택제, 영양제, 강화제 등의 손 발톱에 사용할 수 있는 제제를 들 수 있다. 가죽 제품에 있어서도 크림, 로션, 에센스, 세럼, 젤, 왁스, 스프레이, 세정제, 크리너, 부분 오염제거제, 연고타입, 광택제, 스트립, 시트 등 가죽 처리용의 제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장료라 함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키고, 또는 피부나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는 피부, 모발, 손톱 및 발톱 등과 같은 인체의 다양한 부위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강도 강화는 화장료의 주요 기능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강도 강화용 화장료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원료로는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알콜, 에스텔유, 실리콘유 등과 같은 유성원료,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 자외선흡수 및 차단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한 색재, 향료, 방부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외에 또한, 특별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성분으로 유지 및 천연 또는 합성 지방산, 지방 알코올, 알코올,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 탄화수소, 실리콘, 불소 화합물, 다가알콜, 당류,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 왁스, 비타민류, 호르몬류,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동식물 추출물, 광물 추출물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된 강도 강화 성분은 강한 공유 결합 형태가 아닌 대부분 단순 흡착에 의해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조성물 처리 후 일상 생활 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외부 환경에 의해 지속적으로 성분 용출이 일어나고 강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세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보다 가속화되게 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알콕시 실란과 특정 계산식을 통해 얻어진 몰수의 물을 포함하여 케라틴 물질(특히 네일)의 코팅을 통한 광택 화장용 방법 및 관련 키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지만, 실란 분자의 한쪽 부분만이 단백질 표면에 탈수 반응을 통해 결합하는 한계로 코팅 형성 능력은 있으나 실란 분자를 단백질 사이에 연결하는 양 말단 결합을 통한 강도 강화에는 전혀 작용을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960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에 반영구적인 강도 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상기 단백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단백질의 강도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반영구적인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이라 함은 아미노실란 화합물과 모발, 두피, 손발톱, 피부, 가죽 또는 섬유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 다량 존재하는 카르복실기와 아민기를 공유결합시킴으로써 단백질들을 반영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작용을 하여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을 굵어 보이게 하거나, 탄력 증대, 굵기 증대 부여 등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모발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두피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피부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손발톱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가죽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및/또는 섬유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을 반응매개물질을 통해 반응시켜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을 반응하게 함으로써 단백질 기질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아민기, 단백질 기질의 아민기와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카르복실기 및/또는 단백질 기질의 아민기와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아민기를 공유결합시킴으로써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반영구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이라 함은 예를 들면,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및 섬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라 함은 물에 의한 가수 분해로 규소(Si)에 직접 결합된 1 내지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동일 분자에 최소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모노, 디, 트리 알콕시아미노실란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R2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면서 분자 구조의 말단에 최소 하나 이상의 1차 또는 2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디에틸렌트리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DIETHYLENETRI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피페라지닐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PIPERAZINYLPROPYLMETHYL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3-(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N-(N-BUT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m-AMINOPHENYLTRIM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p-AMINOPHENYLTRIM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AMINOPHENYLTRIM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m-AMINOPHENYLTRI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p-AMINOPHENYLTRI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AMINOPHEN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스(메톡시에톡시-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S(METHOXYETHOXY- ETHOXY)SILANE), 11-아미노언데실트리에톡실란(11-AMINOUNDECYLTRIETHOXYSILANE), 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INOPHENOXY(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AMINOPROPYLSILANETRIOL),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이소프로필에톡시-실란(3-AMINOPROPYLDIISOPROP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 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N-(6-AMINOHEXYL)AMINOMETHYL- 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6-AMINOHEX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11-아미노언데실-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11-AMINOUNDEC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METHYL)PHENETHYL- TRIMETHOXYSILANE), N-3-[(아미노(폴리프로필에녹시))아미노-프로필트레메톡시실란(N-3-[(AMINO(POLYPROPYLENOXY)]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N-(2-AMINOETHYL)-3-AMINOPROPYL-SILANETRIOL),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ISOBUT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3-이소부틸디-메틸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3-ISOBUTYLDI-METHYLMETHOXYSILANE),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n-부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BUT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N-ETHYLAMINOISOBUTYLTRIM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아릴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N-ALL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CYCL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메톡실란(N-CYCL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에톡실란(N-ETHYLAMINOISOBUTYLMETHYL-DIETHOXYSILANE), (페닐아미노메틸)메틸-디메톡실란((PHENYLAMINOMETHYL)METHYL- 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N-M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3-(N-STYRYLMETHYL-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HYDROCHLORIDE), N-(트리메톡실릴프로필)이소티오-우로늄 클로라이드(N-(TRIMETHOXYSILYLPROPYL)ISOTHIO- URONIUM CHLORID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3-(TRIETHOXYSILYL)PROPYL]UREA), 비스(트리메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TRIMETHOXYSILYLPROPYL)UREA), 비스(메틸디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METHYLDIETHOXYSILYLPROPYL)AMINE), 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실란(UREIDOPROPYLTRIETHOXYSILANE), 아세타미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ACETAMIDOPROPYLTRIMETHOXYSILANE), N-[5-(트리메톡실릴)-2-아자-1-옥소-펜틸]카프로락탐(N-[5-(TRIMETHOXYSILYL)-2-AZA-1-OXO-PENTYL]CAPROLACTAM) 및 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UREIDOPROPYLTRIMETHOXYSIL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1 내지 30 중량부, 0.001 내지 1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함량이 0.0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아미노실란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이 조성물 내에 과도하게 많아져 제형의 안정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매개물질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 아미늄계 화합물,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메탄디이민(-N=C=N-)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A는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펜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pen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HC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H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반응매개물질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또는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26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 및 실리카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된 포화 알킬기; 또는 불포화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분자량이 20,000Da 미만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PAm),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타치 유도체, 덱스트란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의 분자량이 20,000Da 이상이면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적어 윤기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분자량이 20,000Da 미만인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스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에틸렌, 에테르케톤, 에테르이미드, 에테르설폰, 프탈아미드, 페닐렌에테르, 산화페닐렌, 페닐렌설파이드, 설폰, 우레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 중합된 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의 분자량이 20,000Da 이상이면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적어 윤기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는 직경이 100㎚ 내지 1㎜, 예를 들어, 100㎚ 내지 100㎛, 1㎛ 내지 100㎛, 1㎛ 내지 70㎛인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실리카 비드의 직경이 100㎚ 보다 작을 경우 피부 표면에서 안전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실리카 비드의 직경이 1㎜ 보다 클 경우에는 제형화 및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반응매개물질은 하나의 아민에 수소화로 인해 형성된 -R3NH+ 구조의 양이온 화합물인 아미늄계 화합물; 또는 폴리아토믹 양이온(polyatomic cation)으로 PH4 +의 구조를 갖는 포스포늄염(PH4 +)계열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 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아미늄계 화합물은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2-(3,4-(N-[(1H-벤조트리아졸-1-일)(1H-벤조트리아졸-1-일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2-(3,4-(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2-(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크(2-(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1,1,3,3,-tetramethyl uronium tetr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2-옥소-1(2H)- 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tetrafluoroborate), N,N,N',N'- 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6-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트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 meth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6- 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 메틸메트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 methan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 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 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 phosphate N-sulfide), S-(1-옥사이도-1-피리디닐)-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S-(1-oxido-1-pyridinyl)-1.1.3.3-tetramethylthiouronium hexafluo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eneamino]-N,N,N',N'-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 methylene amino]-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시아노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cyano 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메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methoxycarbonyl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 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 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2-(5-노보넨-2,3-디카르복시미도)-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5-norbornene-2,3-dicarbox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프탈이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phthal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비스(테트라메틸렌)클로로포름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is(tetra methylene)chloroformamidinium hexafluorophosphate), (1H-벤조트리아졸-1-일)(1-피롤리디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H-benzotriazol-1-yl)(1-pyrollidi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O-(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비스(테트라메틸렌)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1,2,3-benzo 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uranium hexafluorophosphate), O-(3,4- 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 비스(테트라메틸렌) 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 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S-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S-penta fluorothio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sulfid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2-니트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O-2-nitrophenyluronium hexa fluorophosphates),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 hexafluorophosphates),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비스(펜타메틸렌)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bis(penta methylene) uronium tetrafluoroborate), 2-클로로-1,3-디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imidaz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 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엔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클로로-1,3-디메틸피리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pyrim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 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7-벤조트리아졸-일)-1,1,3-트리메틸-1-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benzotriazol-yl)-1,1,3-tri methyl-1-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일)-1,1,3- 트리메틸-1-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yl)-1,1,3-trimethyl-1-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O-(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1H-1,2,3-triazolo[4,5-b]pyridin-yl)-1,1-dimethyl-3,3-tetr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펜타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pent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 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 옥사이드(6-chloro-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 triazolium hexafluorophosphate-3 oxide), 3-((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1,2,3]triazolo[4,5-b]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6-trifluoromethyl-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옥사이드(6-trifluoromethyl-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triazoliumhexafluorophsphate-3-oxide), 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 옥시펜타플루오로페닐메텐이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methylamino)-(morpholino)) oxypentafluorophenylmetheni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1-(dicyano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리덴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ideneaminooxy) 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모르포린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orpholinomethanaminium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 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cyanomethyleneaminooxy) morpholino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 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 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r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morpholino) 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ah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N,N-디메틸-메탄아미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benzotriazol-1-yloxy-N,N-dimethyl-methanaminium hexachloroantimonate), 5-(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 (5-(1H-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7-aza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1-(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페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1-(1H-benzotriaol-1-yloxy)phe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chloroantimonate), 5-(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pentafluorophen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ite), 5-(석시니미딜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succinimid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3',4'-dihydro-4'-oxo-1', 2', 3'-benzotriazin-3'-yloxy)-3,4-di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hlor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hloro-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iden)-amino]- yloxytri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니트로벤조트리아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nitrobenzotriazol―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4-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nitro-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chloro-benzotriazol-1-yloxy)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르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피리딜-2-티오)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ridyl-2-thio)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소는 글루타민의 아민과 라이신의 아민 사이에 생체 결합을 매개하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transglutaminase), 소르타제 에이(Sortase A),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락카아제/퍼옥시다아제(Laccase/Peroxidase) 및 라이실옥시다아제/아민옥시다아제(Lysyl Oxidase/Amine Oxidas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매개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1 내지 10 중량부, 0.001 내지 7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매개물질의 함량이 0.0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표면 개질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에 존재하는 반응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반응매개물질이 단백질 기질과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기능성 성분과 반응함으로써 윤기 부여의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반응시에는 pH 2 내지 pH 12의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pH 10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pH 8의 약산성의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 완결된다.
상기 조성물은 도포, 산포, 희석,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의 열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 온화한 조건의 가온(20℃ 내지 80℃) 조건을 통해 탈수 반응 촉진으로 반응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반응매개물질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의 표면의 카르복실기와 트리에톡시아미노프로필실란의 아민기 사이의 반응을 하기 반응식 1에 도식화하였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7
상기 반응식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및/또는 섬유와 결합된 아미노산은 샴푸나 세제,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척 시에도 쉽게 떨어져 나오지 않아 거의 영구적으로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및/또는 섬유에 부착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 외에 부수적으로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미노실란 화합물을 포함하여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에 있어서, 샴푸-전(pre-shampoo) 제품,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 크림, 팩, 마스크, 시트, 타블랫, 패치, 스트립, 연고타입,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에 있어서, 스킨, 로션, 에센스, 세럼, 크림, 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포인트 메이크업, 마스크, 패치 등의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섬유에 있어서도, 섬유유연제, 섬유 염색제, 세탁세제, 트리트먼트제, 전후처리제, 세탁보조제, 부분오염 제거제, 스프레이 등의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케어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가죽 제품에 있어서도 크림, 로션, 에센스, 세럼, 젤, 왁스, 스프레이, 세정제, 크리너, 부분오염제거제, 연고타입, 일시염모제, 영구염모제, 광택제, 스트립, 시트 등 가죽 처리용의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에서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테르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모발 및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모발 단백질 강도 강화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샴푸 조성물로 모발을 깨끗하게 세척 후 타올 드라이를 한 3g 정도의 모발 트레스(tress)를 준비하여 이중 50가닥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모발 인장강도 시험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조성물 사용 전의 모발 인장강도로 하였다. 동일 트레스로 제조된 조성물을 0.3g씩을 이용하여 30회 샴푸 후 모발 인장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샴푸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강도 변화 특성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0.5 - - - 0.2 0.2 0.5 0.5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 0.5 - - 0.2 0.2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 - 0.5 - 0.2 0.2 -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 - - 0.5 0.2 0.2 - -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 - - - - 0.5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1 0.5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 - - - - - 1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 - - - - - -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 35 35 35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인장강도 증대율(%) 56.3 55.2 53.3 52.9 76.3 75.2 73.4 73 75.8 76.9 55.2 53.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인장강도 증대율
(%)
31.6 28.3 25.6 20.3
상기 표 3 및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실험 결과,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아미노실란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해, 반응매개물질인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1 내지 4, 10) 또는 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5 내지 10),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실시예 11)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실시예 12)를 포함한 경우에 샴푸 사용 후 모발의 인장강도 증대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24 및 비교예 5 내지 8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3 내지 24 및 비교예 5 내지 8의 피부 강화를 통한 탄력 증대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공 피부의 초기 탄력도를 측정하고, 제조된 각각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30회 사용 후 인공 피부의 탄력도를 평가하여 피부 탄력도 증대 효과를 비교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7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Lauric Acid 3 3 3 3 3 3 3 3 3 3 3 3
Myristic acid 4 4 4 4 4 4 4 4 4 4 4 4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0.5 - - - 0.2 0.2 0.5 0.5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 0.5 - - 0.2 0.2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 - 0.5 - 0.2 0.2 -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 - - 0.5 0.2 0.2 - -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 - - - - 0.5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1 0.5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 - - - - - 1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 - - - - - -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7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Lauric Acid 3 3 3 3
Myristic acid 4 4 4 4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 20 20 20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피부탄력 증대율(%) 23.2 22.1 22 20.9 23.1 22.3 22.1 20 33.4 34.7 21.7 22.2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피부탄력 증대율
(%)
10.2 9.8 9.7 8.5
상기 표 7 및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3 내지 24 및 비교예 5 내지 8의 실험 결과,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아미노산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5 내지 8의 조성물에 비해, 반응매개물질인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13 내지 16, 22) 또는 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17 내지 22),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실시예 23)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실시예 24)를 포함한 경우에 바디 샴푸 사용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5 내지 36 및 비교예 9 내지 12
하기 표 9 및 10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25 내지 36 및 비교예 9 내지 12의 네일 강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10명씩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20일간 사용하도록 한 후, 네일의 쪼개짐, 갈라짐 등의 상태를 사용 전 초기 네일 상태와 비교하여 5점 척도(5: 매우 우수, 4: 약간 우수, 3: 차이 없음, 2: 효과 없음, 1: 매우 효과 없음)의 관능으로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18-메틸에이코사민 1 1 1 1 1 1 1 1 1 1 1 1
이소스테아릴아민 1 1 1 1 1 1 1 1 1 1 1 1
글리세린 2 2 2 2 2 2 2 2 2 2 2 2
부틸렌글리콜 2 2 2 2 2 2 2 2 2 2 2 2
프로필렌글리콜 2 2 2 2 2 2 2 2 2 2 2 2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유동파라핀 5 5 5 5 5 5 5 5 5 5 5 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스쿠알란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2 2 2 2 2 2 2 2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0.5 - - - 0.2 0.2 0.5 0.5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 0.5 - - 0.2 0.2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 - 0.5 - 0.2 0.2 -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 - - 0.5 0.2 0.2 - -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 - - - - 0.5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1 0.5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 - - - - - 1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 - - - - - -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0.5 0.5 0.5 0.5
18-메틸에이코사민 1 1 1 1
이소스테아릴아민 1 1 1 1
글리세린 2 2 2 2
부틸렌글리콜 2 2 2 2
프로필렌글리콜 2 2 2 2
0.9 0.9 0.9 0.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0.1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유동파라핀 5 5 5 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스쿠알란 2.5 2.5 2.5 2.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
네일 강도 개선 효과 만족도(5점 척도) 3.7 3.7 3.6 3.8 4.1 4 4 3.9 4.2 4.4 3.6 3.6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네일 강도 개선 효과 만족도(5점 척도) 2.2 2.4 2.2 2.1
상기 표 11 및 12의 결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실시예 25 내지 36 및 비교예 9 내지 12의 실험 결과,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아미노산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9 내지 12의 조성물에 비해, 반응매개물질인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25 내지 28, 34) 또는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29 내지 34),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실시예 35),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실시예 36)를 포함한 경우에 네일 강도 강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8)

  1.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8

    [화학식 2]
    Figure pat00029

    [화학식 3]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R2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면서 분자 구조의 말단에 최소 하나 이상의 1차 또는 2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디에틸렌트리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DIETHYLENETRI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피페라지닐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PIPERAZINYLPROPYLMETHYL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3-(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N-(N-BUT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m-AMINOPHENYLTRIM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p-AMINOPHENYLTRIM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AMINOPHENYLTRIM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m-AMINOPHENYLTRI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p-AMINOPHENYLTRI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AMINOPHEN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스(메톡시에톡시-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S(METHOXYETHOXY- ETHOXY)SILANE), 11-아미노언데실트리에톡실란(11-AMINOUNDECYLTRIETHOXYSILANE), 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INOPHENOXY(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AMINOPROPYLSILANETRIOL),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이소프로필에톡시-실란(3-AMINOPROPYLDIISOPROP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 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N-(6-AMINOHEXYL)AMINOMETHYL- 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6-AMINOHEX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11-아미노언데실-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11-AMINOUNDEC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METHYL)PHENETHYL- TRIMETHOXYSILANE), N-3-[(아미노(폴리프로필에녹시))아미노-프로필트레메톡시실란(N-3-[(AMINO(POLYPROPYLENOXY)]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N-(2-AMINOETHYL)-3-AMINOPROPYL-SILANETRIOL),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ISOBUT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3-이소부틸디-메틸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3-ISOBUTYLDI-METHYLMETHOXYSILANE),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n-부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BUT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N-ETHYLAMINOISOBUTYLTRIM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아릴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N-ALL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CYCL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메톡실란(N-CYCL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에톡실란(N-ETHYLAMINOISOBUTYLMETHYL-DIETHOXYSILANE), (페닐아미노메틸)메틸-디메톡실란((PHENYLAMINOMETHYL)METHYL- 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N-M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3-(N-STYRYLMETHYL-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HYDROCHLORIDE), N-(트리메톡실릴프로필)이소티오-우로늄 클로라이드(N-(TRIMETHOXYSILYLPROPYL)ISOTHIO- URONIUM CHLORID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3-(TRIETHOXYSILYL)PROPYL]UREA), 비스(트리메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TRIMETHOXYSILYLPROPYL)UREA), 비스(메틸디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METHYLDIETHOXYSILYLPROPYL)AMINE), 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실란(UREIDOPROPYLTRIETHOXYSILANE), 아세타미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ACETAMIDOPROPYLTRIMETHOXYSILANE), N-[5-(트리메톡실릴)-2-아자-1-옥소-펜틸]카프로락탐(N-[5-(TRIMETHOXYSILYL)-2-AZA-1-OXO-PENTYL]CAPROLACTAM) 및 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UREIDOPROPYLTRIMETHOXYSIL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매개물질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 아미늄계 화합물,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N=C=N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31

    상기 화학식 4에서, A는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
    Figure pat00046
    ,
    Figure pat00047
    ,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at00053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 및 실리카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된 포화 알킬기; 또는 불포화 알킬기일 수 있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분자량이 20,000 Da 미만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PEG),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PNIPPAm),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타치 유도체, 덱스트란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분자량이 20,000 Da 미만인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스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에틸렌, 에테르케톤, 에테르이미드, 에테르설폰, 프탈아미드, 페닐렌에테르, 산화페닐렌, 페닐렌설파이드, 설폰, 우레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 중합된 고분자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실리카 비드는 직경이 100㎚ 내지 1㎜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1. 제 4 항에 있어서,
    아미늄계 화합물은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2-(3,4-(N-[(1H-벤조트리아졸-1-일)(1H-벤조트리아졸-1-일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2-(3,4-(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2-(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크(2-(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1,1,3,3,-tetramethyl uronium tetr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2-옥소-1(2H)- 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tetrafluoroborate), N,N,N',N'- 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6-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트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 meth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6- 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 메틸메트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 methan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 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 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 phosphate N-sulfide), S-(1-옥사이도-1-피리디닐)-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S-(1-oxido-1-pyridinyl)-1.1.3.3-tetramethylthiouronium hexafluo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eneamino]-N,N,N',N'-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 methylene amino]-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시아노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cyano 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메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methoxycarbonyl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 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 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2-(5-노보넨-2,3-디카르복시미도)-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5-norbornene-2,3-dicarbox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프탈이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phthal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비스(테트라메틸렌)클로로포름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is(tetra methylene)chloroformamidinium hexafluorophosphate), (1H-벤조트리아졸-1-일)(1-피롤리디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H-benzotriazol-1-yl)(1-pyrollidi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O-(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비스(테트라메틸렌)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1,2,3-benzo 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uranium hexafluorophosphate), O-(3,4- 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 비스(테트라메틸렌) 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 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S-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S-penta fluorothio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sulfid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2-니트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O-2-nitrophenyluronium hexa fluorophosphates),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 hexafluorophosphates),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비스(펜타메틸렌)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bis(penta methylene) uronium tetrafluoroborate), 2-클로로-1,3-디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imidaz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 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엔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클로로-1,3-디메틸피리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pyrim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 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7-벤조트리아졸-일)-1,1,3-트리메틸-1-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benzotriazol-yl)-1,1,3-tri methyl-1-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일)-1,1,3- 트리메틸-1-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yl)-1,1,3-trimethyl-1-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O-(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1H-1,2,3-triazolo[4,5-b]pyridin-yl)-1,1-dimethyl-3,3-tetr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펜타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pent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 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 옥사이드(6-chloro-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 triazolium hexafluorophosphate-3 oxide), 3-((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1,2,3]triazolo[4,5-b]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6-trifluoromethyl-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옥사이드(6-trifluoromethyl-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triazoliumhexafluorophsphate-3-oxide), 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 옥시펜타플루오로페닐메텐이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methylamino)-(morpholino)) oxypentafluorophenylmetheni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1-(dicyano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리덴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ideneaminooxy) 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모르포린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orpholinomethanaminium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 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cyanomethyleneaminooxy) morpholino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 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 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r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morpholino) 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ah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N,N-디메틸-메탄아미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benzotriazol-1-yloxy-N,N-dimethyl-methanaminium hexachloroantimonate), 5-(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 (5-(1H-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7-aza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1-(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페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1-(1H-benzotriaol-1-yloxy)phe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chloroantimonate), 5-(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pentafluorophen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ite), 5-(석시니미딜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succinimid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3',4'-dihydro-4'-oxo-1', 2', 3'-benzotriazin-3'-yloxy)-3,4-di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2. 제 4 항에 있어서,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s)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3. 제 4 항에 있어서,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hlor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hloro-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iden)-amino]- yloxytri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니트로벤조트리아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nitrobenzotriazol―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4-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nitro-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chloro-benzotriazol-1-yloxy)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르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피리딜-2-티오)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ridyl-2-thio)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4. 제 4 항에 있어서,
    효소는 트렌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소르타제 에이(Sortase A),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락카아제/퍼옥시다아제(Laccase/Peroxidase) 및 라이실옥시다아제/아민옥시다아제(Lysyl Oxidase/Amine Oxidase)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 단백질의 강도를 강화하는 것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매개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8. 제1항의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
KR1020170161920A 2017-01-11 2017-11-29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KR10203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37263A JP7214289B2 (ja) 2017-01-11 2017-12-12 タンパク質強度強化用組成物
PCT/KR2017/014555 WO2018131798A1 (ko) 2017-01-11 2017-12-12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US16/477,047 US20200138688A1 (en) 2017-01-11 2017-12-12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CN201780082452.0A CN110191701B (zh) 2017-01-11 2017-12-12 蛋白质强度强化用组合物
TW107100993A TWI816654B (zh) 2017-01-11 2018-01-10 蛋白質強度強化用組合物及包含其的護理產品
KR1020190122974A KR102289259B1 (ko) 2017-01-11 2019-10-04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US17/472,162 US11975091B2 (en) 2017-01-11 2021-09-10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4038 2017-01-11
KR1020170004038 2017-01-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974A Division KR102289259B1 (ko) 2017-01-11 2019-10-04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951A true KR20180082951A (ko) 2018-07-19
KR102031186B1 KR102031186B1 (ko) 2019-11-08

Family

ID=630584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920A KR102031186B1 (ko) 2017-01-11 2017-11-29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KR1020190122974A KR102289259B1 (ko) 2017-01-11 2019-10-04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974A KR102289259B1 (ko) 2017-01-11 2019-10-04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00138688A1 (ko)
JP (1) JP7214289B2 (ko)
KR (2) KR102031186B1 (ko)
CN (1) CN110191701B (ko)
TW (1) TWI816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0973B (zh) * 2015-08-27 2021-05-07 株式会社Lg生活健康 表面改性用组合物
CN113416213B (zh) * 2021-06-22 2022-10-11 重庆大学 有机鏻鎓盐分子在钙钛矿太阳能电池中的应用及其器件的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9628A2 (en) * 1984-04-12 1985-10-30 Revlon, Inc. Hair stengthening and permanent waving composition
US20090087398A1 (en) * 2007-08-20 2009-04-02 Mark Anthony Brown Method for Treating Damaged Hair
WO2009043613A1 (de) * 2007-10-04 2009-04-09 Henkel Ag & Co. Kgaa Aufhellmittel mit kationischen 3,4-dihydroisochinoliniumderivaten und wasserstoffperoxid
KR20140096053A (ko) 2011-11-09 2014-08-04 로레알 하나 이상의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40121772A (ko) * 2013-04-05 2014-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KR101585343B1 (ko) * 2014-10-01 2016-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7951B2 (ja) * 1995-10-12 2004-09-22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JP3715464B2 (ja) * 1998-04-20 2005-11-09 日清紡績株式会社 水性ジシクロヘキシルメタンカルボジイミド組成物
JP4912058B2 (ja) 2006-06-29 2012-04-0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感光性樹脂組成物
JP5539623B2 (ja) * 2008-03-27 2014-07-02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ルボジイミド化合物、カルボジイミド組成物及び水性塗料組成物
JP5521190B2 (ja) * 2009-10-01 2014-06-11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コラーゲ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144283A (en) * 2009-12-17 2011-12-16 Millennium Pharm Inc Methods of synthesizing factor Xa inhibitors
FR2955488B1 (fr) * 2010-01-28 2012-02-24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lorant capillaire et un hydroxyde de phosphonium, 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et dispositif
US8614289B2 (en) 2011-04-20 2013-12-24 Novartis Ag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macrocyclic depsipeptides and new intermediates
WO2015088126A1 (ko) * 2013-12-09 2015-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R3029110B1 (fr) * 2014-11-27 2018-03-09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organosilane, un tensioactif cationique et un polymere cationique ayant une densite de charge superieure ou egale a 4 meq/g
CN107920973B (zh) * 2015-08-27 2021-05-07 株式会社Lg生活健康 表面改性用组合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9628A2 (en) * 1984-04-12 1985-10-30 Revlon, Inc. Hair stengthening and permanent waving composition
US20090087398A1 (en) * 2007-08-20 2009-04-02 Mark Anthony Brown Method for Treating Damaged Hair
WO2009043613A1 (de) * 2007-10-04 2009-04-09 Henkel Ag & Co. Kgaa Aufhellmittel mit kationischen 3,4-dihydroisochinoliniumderivaten und wasserstoffperoxid
KR20140096053A (ko) 2011-11-09 2014-08-04 로레알 하나 이상의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40121772A (ko) * 2013-04-05 2014-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KR101585343B1 (ko) * 2014-10-01 2016-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5091B2 (en) 2024-05-07
US20210401714A1 (en) 2021-12-30
KR102289259B1 (ko) 2021-08-13
JP2020505337A (ja) 2020-02-20
CN110191701B (zh) 2023-02-21
US20200138688A1 (en) 2020-05-07
KR20190116223A (ko) 2019-10-14
TWI816654B (zh) 2023-10-01
KR102031186B1 (ko) 2019-11-08
JP7214289B2 (ja) 2023-01-30
CN110191701A (zh) 2019-08-30
TW201825076A (zh)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10B1 (ko) 케라틴 처리 제형 및 방법
KR102342164B1 (ko) 비 석유화학적으로 유도된 중성화된 아미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양이온 유화제 및 그와 관련된 조성물과 방법들
US11207249B2 (en) Non-petrochemically derived cationic emulsifier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100129262A (ko) 케라틴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975091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KR100929956B1 (ko) 지속성을 갖는 이제식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WO2017122615A1 (ja) 化粧料
CN111194205A (zh) 包含柚皮苷:锌复合物的个人护理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70099656A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1611B1 (ko) 염색용 조성물
WO2018131798A1 (ko)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KR101701881B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CN117693533A (zh) 有机化合物或与之相关的改进
KR102349949B1 (ko) 윤기 강화용 조성물
JPH0429912A (ja) 新規化粧料
JP4646098B2 (ja) 化粧品基材
Alexander Hair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KR20180003870A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4858A (ko) 모발, 피부 또는 섬유의 단백질 소실 방지용 조성물
KR20210050907A (ko) 결합수분 증대 및 항상성 유지 기술
JPH04128212A (ja) 毛髪化粧料
JP2013087075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