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343B1 -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343B1
KR101585343B1 KR1020140132400A KR20140132400A KR101585343B1 KR 101585343 B1 KR101585343 B1 KR 101585343B1 KR 1020140132400 A KR1020140132400 A KR 1020140132400A KR 20140132400 A KR20140132400 A KR 20140132400A KR 101585343 B1 KR101585343 B1 KR 10158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up
reinforcing component
compound
carbodii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김지형
김경환
진무현
손성길
이정래
이상민
김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3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343B1/ko
Priority to PCT/KR2015/006364 priority patent/WO2016052834A1/ko
Priority to PCT/KR2015/010115 priority patent/WO20160529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갖는 모발 강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모발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원하는 모발 강화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s for hair strengthening}
본 발명은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 강화라 함은 가는 모발을 코팅하거나 유효한 물질을 접합하여 가는 모발을 굵게 보이게 하거나 모발 굵기를 증대시켜 모발을 강화시켜 미화하고, 손상되어 공극 상태로 존재하는 모발 내부를 채워 모발의 강도(인장강도)를 증가시켜줌으로써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키고, 또는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모발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약 부외품은 인체에 작용이 있더라도 작용이 경미하고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구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사용 목적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을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 큐티클은 평평하게 중첩된 세포(비늘)로 구성된다. 큐티클 세포들은 모발 섬유의 뿌리 쪽에서부터 끝부분 쪽으로 마치 지붕의 타일처럼 부착되어 있다. 각 큐티클 층은 약 0.3~0.5 ㎛ 두께이고 이들 중 보여지는 큐티클의 부분은 약 5~10 ㎛ 정도이다. 사람의 모발의 큐티클은 일반적으로 5~10 층이 쌓여져 있다. 모발의 각 큐티클 세포는 에피큐티클(epicuticle), A-층(A-layer), 엑소큐티클(exocuticle), 엔도큐티클(endocuticle), 내층(inner layer)과 같은 다양한 보조라멜라(sublamella)층과 셀 멤브레인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로 구성된다. 최외각의 에피큐티클층은 공유 결합된 지질(지방산)로 덮여 있고, 이중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이 18-메틸 에이코사노산(18-Methyl Eicosanoic Acid, 18-MEA)이다. 이 층은 큐티클 셀 멤브레인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의 외곽 β-층(β-layer)을 구성하며 윤활, 마찰감소, 소수성 표면 형성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모발에 있어서 두피보다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을 모간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모발의 수명과 길이에 따라 변한다. 또한 머리를 자를 때나 샴푸, 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빗질이나 파마, 헤어칼라 등을 사용할 때, 건조, 자외선, 해수, 풀장의 석회분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변한다. 특히 모간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모소피는 이러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더라도 복합적으로 축적될 경우 손상을 입게 된다. 손상된 모발은 모소피의 끝부분이 삐쳐 나와 있거나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탈락이 한층 진행되어 있다. 이러한 모발은 빛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택을 잃고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모발의 손상이 보다 많이 진행되면 모소피 층이 완전히 떨어져 내부의 모피질이 노출되게 되며 결국 모발이 갈라지거나 끊어지기 쉽게 된다.
이처럼 18-MEA가 손상된 모발의 표면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실리콘을 사용하여 모발 표면을 코팅하는 헤어메니큐어나 헤어에센스와 같은 모발 강화 효과를 제공하는 제품들이 판매되거나 미용실을 통해 시술되고 있으며, 특히 모발 표면의 코팅이나 모발 내부로 아미노산 등의 침투를 통해 모발에 강화 효과를 주는 강화 샴푸 등과 같은 제품들이 최근 들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발 강화 성분으로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다음 세정 시까지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또는 모발용 비수계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비수계 파트에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로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티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티올(thiol), 말레이미드(maleimide),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디설파이드(disulfide),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컨디셔닝 성분을 포함하면서 비수계 파트와 수계 파트로 분리되어 있고,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에 제시된 다양한 관능기들의 경우 인체에 유해하거나 또는 모발 또는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에서 그 함량이 모발(1.9~3.1%), 피부 케라틴(3.1~6.9%) 정도로 적은 양을 함유하는 라이신을 표적하거나, 모발(16.6~18%), 피부 케라틴(2.3~3.8%) 정도인 시스테인을 표적하여 반응시키기 때문에 반응 효율이 저하되고 각각의 물질을 하나하나 따로 합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08-00644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모발 강화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모발 강화 성분 및/또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모발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모발 강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모발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반응시키거나 또는 이들 반응 후 기존에 알려진 모발 강화 성분을 처리하여 모발과 모발 강화 성분이 반응하게 함으로써 모발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발 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7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모발 강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모발에 존재하는 반응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모발과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효능 물질과 반응함으로써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강화'라 함은 손상되거나 가늘어진 모발을 굵게 하거나 인장강도를 개선하여 모발을 탄력있게 강화시키는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모발을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키고, 또는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모발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발 강화 효과로, 예를 들면, 모발의 인장강도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발 강화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이 모발의 외부에 작용하여 모발의 굵기를 증대시키거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모발 강화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천연 추출물,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는 홍경천 추출물, 동백잎 추출물, 우르솔산, 오배자 추출물, 해조 추출물, 해바라기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추출물, 화초 추출물, 천라 추출물, 베르가못 추출물, 편백 추출물, 고삼홍경천 추출물, 고삼 추출물, 창출 추출물, 병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홍삼수, 패모 추출물, 은방울꽃 추출물, 벌집 추출물, 카시스 추출물, 석류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싹 추출물, 녹차 추출물, 브로커리 추출물, 꿀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베리 추출물, 라벤터 추출물, 렌틸콩 추출물, 생강 수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백질 및 펩타이드로는 천잠실크, 실크, 폴리라이신, 해조, 울 및 모발, 밀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및 펩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2 내지 200개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백질은 케라틴, 콜라겐, 젤라틴 및 식물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라틴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케라틴(hydroylzed keratin)이 바람직하며, 특히, 분자량이 200 내지 150,000 D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머류는 분자량 1000 내지 100만 정도의 사슬(linier) 및 분지(branched) 사슬형, 네트웍크(network)형 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나 링 구조의 다양한 치환체가 포함된 경우도 사용할 수 있고,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000 내지 50만 정도의 사슬 및 분지 사슬형 폴리머이면서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폴리머, 폴리아민 폴리머,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폴리머로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양쪽성의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폴리우레탄과 같은 비이온성 폴리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 브이에이/ 크로토네이트/ 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Vinyl Neodecanoate Copolymer)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류로는 예를 들면,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아모디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펜타 페닐트리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알킬메틸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치콘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알콜류는 탄소수 10 내지 50개 정도의 사슬 및 분지형의 지방알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산류는 탄소수 10 내지 50개 정도의 사슬 및 분지형 지방산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18-메틸 에이코사노산, 라우릭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왁스류는 예를 들면,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결정체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유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부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에틸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리놀레이트, 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미리스테이트, 세틸팔미테이트, 하이드로겐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ai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발 강화 성분은 전체 화장료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유효성분에 의한 효과 제공에 한계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의 경시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반응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모발 강화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함으로써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발 강화 성분은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백질은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또는 아민(amine)의 반응성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화학식 1]
-N=C=N-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화학식 1의 구조가 최소한 1개 내지 1000개 정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된 구조를 분자 내에 1개 내지 100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1개 내지 10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 하나의 분자 내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기가 1000개를 초과하면 원료의 점도가 너무 크고, 분자량이 너무 과도하게 크고, 반응할 수 있는 반응 위치가 너무 과도하게 많아지며, 카르보디이미드기를 보유한 분자가 너무 거대해져서 실질적인 기능을 갖는 분자의 기능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을 가림에 의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에서 n이 4이고, m이 11인 화합물은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이하, 화학식 2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로 명명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1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다른 예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또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ㆍHC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ㆍHCl)를 사용할 수 있다.내지 100이고, m은 1 내지 100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발 강화 성분을 직접 생체 반응성을 갖는 반응성 에스테르 모발 강화 성분 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모발(17.5~21.9%)에 과량 존재하는 아미노산(ex,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을 반응성 에스테르화시켜 아민기를 포함하는 모발 강화성분이 표적화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성을 갖는 에스테르 형태(반응성 모발 강화 성분)를 만들어서 반응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확연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타 다른 아미노산을 표적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와 같은 관능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모발 강화 성분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발 강화 성분 분자 또는 모발의 단백질 표면에 먼저 화학식 2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나 또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HCl)과 같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형성된 반응성 에스테르 관능기에 다시 아민을 분자 내에 갖는 모발 강화 성분을 반응시키거나, 모발 표면의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우수한 모발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 시에는 바람직하게 pH 2 내지 10의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9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5 정도의 산성 내지 약산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 완결된다.
하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발 강화 성분 분자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생체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3
하기 반응식 2에서 모발 또는 피부의 단백질 표면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타민산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모발 강화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4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모발의 단백질과 모발 강화 성분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켜 모발에 결합된 반응성 모발 강화 성분은 샴푸나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정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모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발 강화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기,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과 공유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시켜 생성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 증대를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모발 강화 기능의 성분을 포함하여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에 있어서 샴푸, 린스, 트린트먼트, 헤어 팩, 헤어 에센스, 왁스, 젤, 스프레이 등의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화장품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모발 강화 성분을 캡슐화 형태의 단일제 또는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모발 강화 기능을 갖는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관능기를 가지는 모발 강화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모발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관능기를 가지는 모발 강화 성분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모발 강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한 후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모발 강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모발 공급 업체인 뷰렉스사의 정상 모발을 치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1제에 20분간 처리하고 여기에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가 포함된 2제를 처리하여 10분간 방치한 후 샴푸로 씻어내는 방법으로 펌을 실시하여 펌 손상 모발을 제작하고, 손상 전의 정상 모발과 손상 후의 손상 모발의 인장강도를 모발 인장강도 측정장치(Diastron Generic Tensile Tester)를 사용하여 Clamping Distance 20mm, 인장속도 20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정상 모발의 인장강도는 각 시험 시 측정한 뷰렉스 정상 모발 50가닥의 인장강도를 평균한 값을 나타내며, 펌 모발의 인장강도는 상기 방법으로 뷰렉스 정상 모발을 펌 손상 처리한 모발 50가닥의 인장강도 평균값을 나타내며, 펌 손상 모발 50가닥에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여 시료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펌 손상 모발 대비 인장강도 증가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5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실험결과(표 2),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모발 강화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한 실시예 2~4의 경우가 인장강도가 현저히 증가되어 모발 강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6
제제예 : 모발 강화용 헤어제품 제조
통상적인 헤어 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3의 성분과 함량으로 헤어 제품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7

Claims (7)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강화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4094019417-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100이고, m은 1 내지 100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강화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강화 성분은 천연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강화 성분은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인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강화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강화용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32400A 2014-10-01 2014-10-01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400A KR101585343B1 (ko) 2014-10-01 2014-10-01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5/006364 WO2016052834A1 (ko) 2014-10-01 2015-06-23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5/010115 WO2016052931A1 (ko) 2014-10-01 2015-09-24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400A KR101585343B1 (ko) 2014-10-01 2014-10-01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343B1 true KR101585343B1 (ko) 2016-01-13

Family

ID=5517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400A KR101585343B1 (ko) 2014-10-01 2014-10-01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5343B1 (ko)
WO (1) WO201605293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136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20180082951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WO2018131798A1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7522A1 (en) *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diimides and amino compoun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JP2018127400A (ja) * 2016-12-12 2018-08-16 ロレアル アミノシリコーン及びポリ(カルボジイミド)を含む、ケラチン繊維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210A (ja) 2003-12-17 2005-07-07 Lion Corp 毛髪変形剤組成物、2剤混合型毛髪変形剤組成物、並びに毛髪変形剤用組成物
KR100862651B1 (ko) 2006-12-20 2008-10-09 선바이오(주) 모발 처리용 조성물,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모발처리방법
KR101351467B1 (ko) 2007-01-05 2014-0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또는 모발용 혼합형 퍼스널 케어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0733B1 (fr) * 2004-05-28 2006-07-07 Oreal Composition pour la 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mpose portant au moins une fonction amine, un pigment et un agent de couplage chimique
KR20130114468A (ko) * 2012-04-09 2013-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헤어 트리트먼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210A (ja) 2003-12-17 2005-07-07 Lion Corp 毛髪変形剤組成物、2剤混合型毛髪変形剤組成物、並びに毛髪変形剤用組成物
KR100862651B1 (ko) 2006-12-20 2008-10-09 선바이오(주) 모발 처리용 조성물,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모발처리방법
KR101351467B1 (ko) 2007-01-05 2014-0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또는 모발용 혼합형 퍼스널 케어 제품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KR102640290B1 (ko) 2016-11-08 2024-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20180051136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031186B1 (ko) * 2017-01-11 2019-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CN110191701A (zh) * 2017-01-11 2019-08-30 株式会社Lg生活健康 蛋白质强度强化用组合物
KR20190116223A (ko) * 2017-01-11 2019-10-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WO2018131798A1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KR102289259B1 (ko) * 2017-01-11 2021-08-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US20210401714A1 (en) * 2017-01-11 2021-12-3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CN110191701B (zh) * 2017-01-11 2023-02-21 株式会社Lg生活健康 蛋白质强度强化用组合物
TWI816654B (zh) * 2017-01-11 2023-10-01 韓商Lg生活健康股份有限公司 蛋白質強度強化用組合物及包含其的護理產品
KR20180082951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US11975091B2 (en) * 2017-01-11 2024-05-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931A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0936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KR101585343B1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JP6530031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101453218B1 (ko) 컨디셔닝 화장료 조성물
CN105431128B (zh) 用于修复头发和皮肤的方法
EP1767187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composé organique du silicium, et procédé de mise en forme des cheveux
US20160193129A1 (en) Methods for Fixing Hair and Skin
EP1767189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composé organique du silicium, et procédé de mise en forme des cheveux
KR20150066826A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6811A (ko)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656A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6808A (ko) 손ㆍ발톱 케어용 조성물
KR101773678B1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502511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951B1 (ko) 비듬 또는 가려움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1996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7526B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KR20160123549A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9148B1 (ko) 체모 성장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1997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4951A (ko) 손ㆍ발톱 케어용 조성물
KR20150066806A (ko) 아토피 또는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