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1798A1 -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1798A1
WO2018131798A1 PCT/KR2017/014555 KR2017014555W WO2018131798A1 WO 2018131798 A1 WO2018131798 A1 WO 2018131798A1 KR 2017014555 W KR2017014555 W KR 2017014555W WO 2018131798 A1 WO2018131798 A1 WO 20181317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xafluorophosphate
dimethylamino
bis
benzotriazol
m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5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성길
최원경
김동완
유지희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19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118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US16/477,04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138688A1/en
Priority to CN201780082452.0A priority patent/CN110191701B/zh
Priority to JP2019537263A priority patent/JP7214289B2/ja
Publication of WO20181317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1798A1/ko
Priority to US17/472,162 priority patent/US11975091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of hair, skin, nails, leather or fibers.
  • Skin is a tissue covering the surface of the body, consisting of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and skin appendages include sweat glands, sebaceous glands, hair, hands, and toenails.
  • the epidermis constituting the outermost part of the skin is derived from the ectoderm and consists of the inner part consisting of living cells, called the epidermal layer, and the outer part,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composed of dead cells that are nonnuclear and flat and dry.
  • the thickness of the face is 0.03mm to 1mm
  • the hands and soles are 0.16mm to 0.8mm
  • the thinnest eyelid is about 0.1mm.
  • the epidermis is mainly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consisting mainly of keratinocytes, in addition to melanocytes, Langerhans cells and Merkel cells.
  • Keratinocytes are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epidermis and are composed of four layers of the stratum corneum, granule layer, play layer and basal layer from the outer part of the epidermis, and a transparent layer exists between the stratum corneum and granule layer on the hands and soles.
  • Epidermal cells are first created in the basal layer and gradually pushed to the surface, changing shape and function.
  • the shape changes gradually to the basal layer, the pole layer, the granule layer, and the stratum corneum, and these cells are all cells made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keratin, so they are called keratinocytes.
  • the differentiation process in keratinocytes is divided into four stages: 1) division of basal cells, 2) synthesis and repair in polar cells, 3) self-degradation in granule cells, and 4) rebuilding in keratinocytes. It occurs throughout, forming the stratum corneum as the final stage of differentiation. This process is called keratinization process.
  • the lifespan of keratinocytes is about 28 days and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site, but they are separated by millions every day and millions of new cells are produced from the layers below.
  • Aged keratinocytes continue to fall off the skin surface of the human body, and in aging skin, the stratum corneum thickens because it takes more time for the stratum corneum to fall. Therefore, the deterioration of keratinocytes increases the dead cells and causes fine lines and rough skin.
  • the stratum corneum is composed of 20 to 25 layers of keratinocytes forming the keratin, the outermost hard and thin crust.
  • the stratum corneum is named after the protein is made of keratin, which is hardly changed.
  • the shape of the stratum corneum is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skin becomes flat and elongated. Its main ingredient is keratin protein (58%), lipids (11%) and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38%).
  • the thickness varies depending on the part of the body, and the areas such as palms and soles of the feet are very thick so that they can withstand physical shock, friction or trauma in everyday life.
  • stratum corneum Although the stratum corneum consists of dead cells without the nucleus and a protein called keratin, it is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skin. The stratum corneum acts as an important barrier to keep bacteria and external toxins from entering the body and prevent moisture from escaping the body.
  • Keratin proteins (58%),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se skin keratins, ar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hreonine, serine, cysteine, cystine, methionine, aspartic acid, asparagine, glutamic acid, diyotyrosine, lysine, arginine, Composed of amino acids such as histidine, phenylalanine, tyrosine, tryptophan, proline, oxyproline, and keratin, which makes up the skin keratin, in particular about 6.4 to 8.1% aspartic acid, about 9.1 to 15.4% glutamic acid and about 3.1 to 6.9% lysine It includes.
  • the hair is a mammalian skin appendage, which is a keratinized structure formed by the epidermal epithelium embedded in the epidermis, and corresponds to the appendages of the skin along with sweat glands and sebaceous glands. Hair includes all the hai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such as hair, down, beard, armpit hair, pubic hair, and in some cases, only hair on the scalp.
  • Hair is composed of keratin proteins, such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stratum corneum, and keratin is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its origin. Keratin constituting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is called soft keratin, and keratin constituting the hair and nails is called hard keratin. This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ontent of cysteine, one of the amino acids, hard keratin has a high cysteine content and soft keratin has a low content. Therefore, hard keratin has a strong resistance to external stimulation or chemical invasion.
  • Hair fibers are about 50 to 100 micrometers thick and consist of a cuticle called mosquito and a cortex called cortex, sometimes with a medulla called medulla in the middle. . All these cells are dead and most are filled with keratin proteins.
  • keratin proteins About 65-95% of human hair is composed of keratin proteins and contains water, lipids (binding and non-binding forms), pigments, and trace elements. Proteins are made from a mixture of about 20 to 50 amino acids forming long chains, each of which is wound in a spiral or coil form.
  • cystin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mino acids. Cystine is composed of two cysteines (chiols) in different amino acid chains, forming disulfide bonds known as very strong bonds that form bonds between two sulfur atoms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Doing. In addition to disulfide bonds, hair contains very abundant peptide bonds. The presence of many CO- and NH-groups also generates hydrogen bonds between adjacent chain molecular groups. However, the high cystine content, a very unique part of the human hair's cellular structure, caus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air. The pigment that is related to the color of the hair is melanin, which is mainly present in the form of granules in the cortex of human hair.
  • the protein that makes up most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hair is a keratin protein that contains a lot of cysteine.
  • Hair keratin consists of about 18 amino acids, and its composition has a high content of cysteine as compared to the human epidermis.
  • the ratio of basic amino acids histidine, lysine and arginine is 1: 3: 10, which is unique to hair keratin.
  • Skin collagen is free of cysteine and instead has a high content of glycine, proline, and alanine.
  • the melanin pigment which determines the color of the hair, is contained in the hair in about 3% or less.
  • the hair contains minerals and trace elements such as copper, zinc, iron, manganese, calcium, and magnesium, and inorganic compounds such as phosphorus, silicon, and the like are also present.
  • cystine bonds In addition to the peptide bonds between amino acids in the protein, the bonds present in the hair have intermolecular force or binding force between the respective protein molecules, and the hair maintains its shape and shape.
  • kinds of bonds include cystine bonds and peptide bonds, which are crosslinked, and salt bonds, hydrogen bonds, and hydrophobic interactions, which are not crosslinked.
  • cystine bond (Disulfide Bond; -CH 2 -SS-CH 2- ) is specific to the protein containing sulfur (S), which is a side chain bond not seen in other fibers and is characteristic of keratin. to be. With this cystine bond, keratin exhibits stro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 keratin proteins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se hairs, keratin proteins (58%), ar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hreonine, serine, cysteine, cystine, methionine, aspartic acid, asparagine, glutamic acid, diyotyrosine, lysine, arginine, histidine , Amino acids such as phenylalanine, tyrosine, tryptophan, proline, oxyproline, and especially keratin constituting hair comprises about 3.9 to 7.7% aspartic acid, about 13.6 to 14.2% glutamic acid and about 1.9 to 3.1% lysine do.
  • Fibers are generally divided into natural fibers and artificial fibers. Fibers obtained from animals in natural fibers are called animal fibers, and are also called protein-based fibers because their chemical composition is protein. Protein-based fibers include fibers from animal hairs and fibers from silkworm cocoons. Fibers from animal hairs include hair fibers from cotton wool and hair fibers from goats, camels, rabbits, horses, cattle, and other animals. Can be divided into:
  • These protein-based fibers ar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hreonine, serine, cysteine, cystine, methionine, aspartic acid, asparagine, glutamic acid, diyotyrosine, lysine, arginine, histidine, phenylalanine, tyrosine, It is composed of amino acids such as tryptophan, proline, and oxyproline, and wool (wool), which is most widely used among these protein-based fibers, is known to have an amino acid composition and a hair-like composition.
  • the treatment agent is used to improv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such as hair, skin, fibers, and leather to maintain a beautiful and healthy appearance.
  • gloss, softness and smoothness are important representative surface properties to be improved.
  • cosmetic preparations that can be used in hair such as shampoo, rinse treatment, wax, spray, mousse, hair lotion, essence, hair cream, pack, mask, sheet, etc.
  • cosmetic preparations that can be used on the skin such as skins, lotions, essences, serums, creams, gels, foundations, powders, makeup bases, point makeups, masks, patches, etc.
  • Fiber care preparations which can be used for fiber such as a textile dyeing agent, a laundry detergent, a treatment agent, a post-treatment agent, a washing aid, a partial decontamination agent, and a spray, are mentioned.
  • a nail treatment agent the agent which can be used for nails, such as a brightening agent, a nutrient, and a strengthening agent, is mentioned.
  • preparations for leather treatment include creams, lotions, essences, serums, gels, waxes, sprays, cleaning agents, cleaners, partial decontamination agents, ointment types, polishes, strips, sheets, and the like.
  • cosmetics are generally used in a similar way to apply, spread, or otherwise apply to the body to keep the body clean, beautify, increase attractiveness, change appearances, or keep skin or hair healthy. It is intended to do that, the action on the human body is said to be slight '.
  • Such cosmetics include various functions for maintaining healthy and beautiful parts of the human body such as skin, hair, nails, and toenails, and strength enhancement is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cosmetics.
  • Common raw materials constituting such strength-enhancing cosmetics include oily materials such as fats and oils, waxes, hydrocarbons, higher fatty acids, higher alcohols, ester oils and silicone oils, anions, cations, amphoteric, nonionic surfactants, humectants, and thickeners. High molecular compounds, UV absorbers and blocking agents, antioxidants, metal ion blockers, colorants including dyes and pigment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 fats and oils natural or synthetic fatty acids, fatty alcohols, alcohols, alkylglyceryl ethers, esters, hydrocarbons, silicones, fluorine compounds, polyalcohols, sugars, natural or synthetic polymers, waxes, Vitamins, hormone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flora and fauna extracts, mineral extracts and derivatives thereof may be included.
  • the strength-enhanc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se compositions are most likely to be effected by simple adsorption rather than strong covalent bonds.
  •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occur in daily life, resulting in continuous component dissolution and a continuous decrease in strength, which is accelerated in the cleaning proces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96053 discloses a gloss cosmetic method and related kit composition through coating of keratin materials (especially nails), including alkoxy silanes and the number of moles of water obtained through certain formulas, Only one part of the molecule is bound to the surface of the protein through dehydration reaction, but the ability to form a coating, but there is a limit that does not act at all to strengthen the strength through both terminal bonds connecting the silane molecule between protei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e product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comprising an aminosilane compound and a reaction medium.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re product comprising the composition.
  • the protein strength-enhanc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minosilane compound which is covalently bonded to a protein of hair, scalp, skin, nails, leather or fiber, thereby forming a covalent bond between the protein and the aminosilane compound. It can enhance the strength enhancing effect and maximize the semi-permanent protein strength enhanc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comprising an aminosilane compound and a reaction medium.
  • the term 'protein strength strengthening composition' refers to semi-permanently linked proteins by covalently binding amine groups with carboxyl groups present in large amounts as constituents of aminosilane compounds and hair, scalp, nails, skin, leather or fiber proteins. It helps to maximize protein strength enhancing effect. In addition, it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makes the protein appear thick, or to obtain additional effects such as increase in elasticity, increase in thickness.
  • the "protein strength enhancing composition” is a hair protein strength enhancing composition, scalp protein strength enhancing composition, skin protein strength enhancing composition, nail protein strength enhancing composition, leather protein strength enhancing composition and / or fiber protein strength enhancing It may include a composition for.
  • a carboxyl group and an aminosilane of a protein substrate may be reacted by reacting an aminosilane compound with a substrate composed of a protein through a reaction medium.
  • an aminosilane compound with a substrate composed of a protein through a reaction medium.
  • substrate composed of protei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hair, scalp, skin, nails, leather, fibers, and the like.
  • aminosilane compound refers to one to three hydroxy groups directly bonded to silicon (Si) by hydrolysis with water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t least one or more amine groups in the same molecule.
  • Mono, di, trialkoxyaminosilane compounds represented by 3 are included.
  • R 1 is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straight chain, branched or cyclic hydrocarbons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a benzene cyclic hydrocarbon; where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includes a double bon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a structure in which metal ions are bonded in salt form, and each R 2 independently represents a linear, branched or cyclic hydrocarbon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a benzene cyclic hydrocarbon; where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includes a double bon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means that the metal ion comprises at least one primary or secondary amine at the end of the mo
  • the aminosilane compound i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bis [(3-triethoxysilyl) propyl] amine (BIS [(3-TRIETHOXYSILYL) PROPYL] AMINE), 3-aminopropyltri 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aminobutyltriethoxysilane (4-AMINOBUTYLTRIETHOXYSILANE), bis [(3-trimethoxysilyl) propyl] amine (BIS [(3-TRIMETHOXYSILYL) PROPYL] AMINE), 3-amino Propylmethyld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3-AMINOPROPYLDIMETHYLETHOX
  • the aminosilane compound may be used in 0.000001 to 30 parts by weight, 0.001 to 15 parts by weight,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aminosilane compound is less than 0.000001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how a continuous protein strength strengthening effect, and if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the amine present in the aminosilane compound is excessively large in the composition may cause stability problems of the formulation. have.
  • the reaction medium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diimide compounds, dihydroxyquinoline compounds, aluminum compounds, phosphonium compounds and enzymes.
  • the carbodiimide compound may be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 (1,1'-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methylene-bis- (4-isocyane I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ptane)-,
  • the reaction medium is Benzene, 1,3-bis (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or 1,1'-methylene-bis- (4 Carbodiimide compounds of -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s,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can be used.
  • the dihydroxyquinoline-based compound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5 below:
  • R 1 in Formula 5 is a water-soluble nonionic polymer; Polymeric resins in bead and resin form; And it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beads, R 2 and R 3 are each independently a straight chain having 1 to 10 carbon atoms; Or a branched saturated alkyl group; Or an unsaturated alkyl group.
  • the water-soluble nonionic polymer is polyethylene glycol (PEG), polyvinyl alcohol (PVA), polyethylene oxide (PEO), polyacrylonitrile (PAN), polyvinylpyrrolidone (PVP), the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20,000 Da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sopropylacrylamide (PNIPPAm), cellulose derivatives, starch derivatives, dextran, and guar gum. I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nonionic system is 20,000 Da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tio of the dihydroxyquinoline-based compound that induces a covalent bond is too small to show the shine effect.
  • PEG polyethylene glycol
  • PVA polyvinyl alcohol
  • PEO polyethylene oxide
  • PAN polyacrylonitrile
  • PVP polyvinylpyrrolidone
  • PNIPPAm polyisopropylacrylamide
  • cellulose derivatives cellulose derivatives
  • the bead-type and resin-type polymer resins are styrene, ethylene, butadiene, acrylonitrile, methyl styrene, terephthalate, ethylene chloride, ether ketone, etherimide, ether sulfone, phthalamide, phenylene eth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20,000 Da.
  • the polymer may be polymerized with one or more 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ylene oxide, phenylene sulfide, sulfone, urethane, vinylidene fluoride, and tetrafluoroethyl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atio of the dihydroxyquinoline-based compound that induces covalent bonds is too smal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how the shine effect.
  • the silica beads may include those having a diameter of 100 nm to 1 mm, for example, 100 nm to 100 ⁇ m, 1 ⁇ m to 100 ⁇ m, and 1 ⁇ m to 70 ⁇ m. If the diameter of the silica beads is smaller than 100nm may cause safety problems on the skin surface, if the diameter of the silica beads is larger than 1mm there is a problem in the formulation and stabilization.
  • the reaction medi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uminum compound that is a cationic compound of -R 3 NH + structure formed by hydrogenation to one amine; Or it may include a phosphonium salt (PH 4 + ) -based compound having a structure of PH 4 + as a polyatomic 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R 3 is hydrogen; Or straight or branched chain or cyclic hydrocarbon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benzene cyclic hydrocarbon; Or include a double bond 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a structure in which metal ions are bound in salt form.
  • the aluminum compound is N-[(1H-benzotriazol-1-yl) (dimethylamino) methylene] -N-methylmethanealumin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1H-benzotriazol-1- yl) (dimethylamino) methylene] -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1H-benzotriazol-1-yl) (dimethylamino) methylene] -N-methylmethanealuminum hexafluoroborate, 2 -(3,4- (N-[(1H-benzotriazol-1-yl) (1H-benzotriazol-1-yl hexafluorophosphate N-oxide (2- (3,4- (N- [ (1H-benzotriazol-1-yl) (dimethylamino) methylene] -N-methylme
  • the phosphonium-based compound is benzotriazol-1-yloxy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benzotriazol-1-yloxy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brom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 Phosphate (brom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chlor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chlor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brom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rrolidinophosphate)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chlor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
  • the enzyme is transglutaminase, sortase A, tyrosinase, laccase / peroxidase, which mediates biocombination between amines of glutamine and amines of lysine.
  • lysyl oxidase / amine oxidase Lysyl Oxidase / Amine Oxidase
  • the reaction medium may be used in 0.000001 to 10 parts by weight, 0.001 to 7 parts by weight,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reaction medium is less than 0.000001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inuous surface modification effect is difficult to appear, and if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of the reaction medium is excessively present beyond the reaction site present in the substrate consisting of protein and the protein substrate By reacting with the functional ingredient in the unreact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help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glossing, but rather may act as a lost component.
  • the reaction is possible under the conditions of pH 2 to pH 12,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react at pH 3 to pH 10, and most preferably to react on a weakly acidic aqueous solution of pH 4.5 to pH 8 The most can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 the reaction is completed within 1 to 30 minutes.
  • the composition can be used in a similar way to coating, spreading, dilution, and the like, and can improve the reaction efficiency by promoting the dehydration reaction through mild heating (20 °C to 80 °C) conditions that do not occur protein thermal modification have.
  • reaction between the carboxy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consisting of the protein and the amine group of the triethoxyaminopropylsilane using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as a reaction medium is shown in Scheme 1 below.
  • amino acids combined with hair, scalp, skin, nails, leather, and / or fibers do not easily fall off during normal washing due to shampoo, detergent, soap, etc., and thus almost permanently hair, scalp, skin And structures attached to nails, leather, and / or fibers.
  •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that can additionally increase the protein strength enhancing effect in addition to the aminosilane compound and the reaction medium.
  •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stea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fatty alcohols, long-chain alkyl quaternary ammonium salts of straight and branched chains
  • Formulation may be facilitated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cationic polymer such as cationic surfactant, cationic cellulose, cationic guar, cationic polyvinylpyrrolidone, silicone or the like.
  • cosmetic formulations for the formulation of cosmetics
  • cosmetics such as solvents, surfactants, thicken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colorants, pH adjusters, metal ion sequestrants, colorants, pearlescent agents, cosmetics, pigments, powder particles, etc.
  • Components may be incidentally included.
  • the component for the formulation may be used 40 to 9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ulation of a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including an aminosilane compound having a functional group.
  • a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including an aminosilane compound having a functional group.
  • pre-shampoo products shampoos, rinse treatments, waxes, sprays, mousses, hair lotions, essences, hair creams, packs, masks, sheets, tablets, patches, strips, ointments
  • It can include all the cosmetic preparations that can be used for hair such as permanent hair dyes, temporary hair dyes, and pumps.
  • skin, lotions, essences, serums, creams, gels, foundations, powders, makeup bases, point makeups, masks It can include all the cosmetic preparations that can be used on the skin, such as patches, and also in the fibers, such as fabric softeners, fiber dyes, laundry detergents, treatment agents, post-treatment agents, laundry aids, partial decontamination agents, sprays, etc.
  • Fiber care agents can include all of the fiber care agents that can be used.
  • leather products creams, lotions, essences, serums, gels, waxes, sprays, cleaners, cleaners, decontamination agents, ointment types, temporary hair dyes, permanent hair dyes, varnishes, strips, sheets, etc.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such.
  • 2-basic acid ester oil such as dioctyl succinate, dioctyl adipate, diethyl sebacate, poly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hex Silylene glycol, butanediol and their isomers, glycerol, benzyl alcohol, ethoxydiglycol and derivatives thereof can be used.
  • the above-mentioned solvents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hair and skin and are used as solvents of poorly soluble substances.
  • Example 12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Example 7 Example 8 Example 9 Example 10 Example 11 Example 12 Tensile Strength Growth Rate (%) 56.3 55.2 53.3 52.9 76.3 75.2 73.4 73 75.8 76.9 55.2 53.1
  • Example 14 Example 15 Example 16 Example 17 Example 18 Example 19 Example 20 Example 21 Example 22 Example 23 Example 24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7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 Example 13 Example 14 Example 15 Example 16 Example 17 Example 18 Example 19 Example 20
  • Example 21 Example 22
  • Example 23 Example 24 Skin elasticity increase rate (%) 23.2 22.1 22 20.9 23.1 22.3 22.1 20 33.4 34.7 21.7 22.2
  • Example 25 Example 26
  • Example 27 Example 28
  • Example 30 Example 31
  • Example 32 Example 33
  • Example 34 Example 35
  • Example 36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modimethicone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 Example 25 Example 26
  • Example 27 Example 28
  • Example 29 Example 30
  • Example 31 Example 32
  • Example 33 Example 34
  • Example 35 Example 36 Satisfaction of nail strength improvement effect (five points scale) 3.7 3.7 3.6 3.8 4.1 4 4 3.9 4.2 4.4 3.6 3.6
  • Comparative Example 9 Comparative Example 10 Comparative Example 11 Comparative Example 12 Satisfaction of nail strength improvement effect (five points scale) 2.2 2.4 2.2 2.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상기 단백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단백질의 강도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반영구적인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의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 지방층으로 이루어지며, 피부 부속기로는 한선, 피지선, 모발 및 손, 발톱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피부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표피는 외배엽에서 유래하며 크게 말피기층이라 불리는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된 안쪽의 부분과 무핵이며 편평하고 건조한 죽은 세포들로 이루어진 각질층인 외곽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께는 얼굴부분이 0.03mm 내지 1mm, 손과 발바닥이 0.16mm 내지 0.8mm이고, 가장 얇은 눈꺼풀은 0.1mm 정도이다. 표피는 주로 중층편평각화상피로서, 주로 각질형성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에 멜라닌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및 머켈 세포가 존재한다.
각질형성 세포는 표피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표피의 바깥 부분에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 발바닥 부위에는 각질층과 과립층 사이에 투명층이 존재한다.
표피에는 매일 수백만 개의 새로운 세포들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들은 한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표피의 가장 바깥쪽으로 계속해서 밀려나오기 시작한다. 이때 밀려 올라오는 동안에 이 세포들은 점점 딱딱한 각질로 바뀌어 가게 된다. 표피의 세포는 기저층에서 처음 만들어지며 점차 표면으로 밀려나오면서 모양과 기능 또한 변하게 된다.
표피는 각화됨에 따라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점차 모양이 변하게 되며, 이들 세포들은 모두 각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세포이므로 각질형성 세포라 부른다.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과정은 1) 기저세포의 분열 과정, 2) 유극 세포에서의 합성 및 정비과정, 3) 과립세포에서의 자기 분해 과정 및 4) 각질세포에서의 재구축 과정의 4 단계에 걸쳐서 일어나며, 분화의 마지막 단계로 각질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각화(keratinization)과정이라 한다.
각질형성 세포의 수명은 약 28일이며, 부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매일 수 백만 개씩 떨어져 나가고 아래의 층으로부터 수백만 개의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어 올라오게 된다. 인체의 피부 표면에서는 노화된 각질세포가 계속 떨어져 나가고 있으며, 노화된 피부에서는 각질층이 떨어지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각질층이 두꺼워지게 된다. 따라서 각질형성 세포의 기능 저하는 죽은 세포를 더욱 늘어나게 하고, 잔주름과 피부 거칠어짐의 원인이 된다.
각질층은 각질형성 세포 중 가장 바깥쪽의 단단하고 건조한 얇은 껍질인 각질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으로 20 내지 25개의 층으로 되어 있다. 각질층이란 단백질이 딱딱하게 변한 케라틴(keratin)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각질층의 모양은 피부의 표면에 가까울수록 납작하고 길쭉한 모양을 하게 된다. 주성분으로는 케라틴 단백질(58%), 지질(11%),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38%)를 함유하고 있다. 두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다르며, 손바닥이나 발바닥과 같은 부위는 각질층이 매우 두꺼워 일상생활에서 받는 물리적 충격이나 마찰 또는 외상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각질층은 비록 핵이 없는 죽은 세포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나, 피부의 보호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각질층은 외부에서 세균이나 외부의 독성물질이 함부로 몸 속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고, 또 몸의 내부에서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중요한 방어막 구실을 한다. 이러한 피부 각질의 주요 구성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58%)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특히 피부 각질을 구성하는 케라틴은 약 6.4 내지 8.1%의 아스파라긴산, 약 9.1 내지 15.4%의 글루타민산 그리고 약 3.1 내지 6.9%의 라이신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포유류의 피부 부속기관으로서 발생학적으로 표피의 상피가 함입되어 형성된 각질화 된 구조로, 땀샘, 피지샘과 함께 피부의 부속 기관에 해당된다. 모발은 머리카락, 솜털, 수염, 겨드랑이털, 음모 등 인체 외부를 덮고 있는 털을 모두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피의 머리카락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모발은 피부 각질층의 주성분과 같은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케라틴은 그 유래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케라틴을 연성 케라틴이라 하고, 모발과 손톱을 구성하는 케라틴을 경성 케라틴이라 한다. 이것은 아미노산 중 하나인 시스테인의 함량에 따른 차이로, 경성 케라틴은 시스테인 함량이 높고 연성 케라틴은 그 함량이 낮다. 따라서, 경성 케라틴은 외부 자극이나 화학물질의 침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모발 섬유는 굵기가 약 50 내지 100㎛이며, 모소피로 불리는 큐티클(cuticle)과 모피질로 불리는 콜텍스(cortex)로 구성되고, 때로 가운데 부분에 모수질이라 불려지는 메듈라(medulla)를 가지기도 한다. 이들 모든 세포는 죽은 세포로 되어있고 대부분이 케라틴 단백질로 채워져 있다.
사람의 모발은 약 65 내지 95%가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물과 지질(결합 및 비결합 형태), 안료, 미량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단백질은 약 20 내지 50개의 아미노산 혼합물들이 긴 사슬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며, 각 사슬은 나선이나 코일 형태로 감겨져 있다.
사람 모발을 구성하는 수많은 아미노산 조성 중에서 시스틴은 가장 중요한 아미노산 중 하나이다. 시스틴은 서로 다른 아미노산 사슬에 존재하는 두 개의 시스테인(치올)에 의해서 구성되며, 서로 근접된 상태로 두 황(sulfur) 원자 간에 결합을 형성한 매우 강한 결합으로 알려져 있는 디설파이드 결합(disulfide bond)을 형성하고 있다. 디설파이드 결합 이외에도 모발은 매우 풍부한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많은 CO-와 NH-기가 존재함에 의해서 이웃한 사슬 분자 그룹들 사이에 수소 결합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인간 모발의 세포 구조에 있어서 매우 독특한 부분인 높은 시스틴 함량에 의해서 모발의 물리학적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모발의 색상과 관련 있는 부분인 안료는 멜라닌(melanin)이며 이는 사람 모발의 콜텍스 부분에 그래뉼(granule) 형태로 주로 존재하고 있다.
모발의 대부분은 단백질이며 나머지 성분은 멜라닌 색소, 지질, 미량원소, 수분 등이다. 모발의 아미노산 조성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은 시스테인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케라틴 단백질이다. 모발 케라틴은 약 18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으며, 그 조성에 있어서 사람의 표피와 비교하여 시스테인의 함유량이 많다. 또한 염기성 아미노산인 히스티딘, 라이신, 알기닌의 비율은 1:3:10인데 이는 모발 케라틴만의 특유한 비율이다. 피부 콜라겐은 시스테인이 없고 대신에 글라이신, 프로린, 및 알라닌 함량이 높다.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는 모발에 약 3% 이하로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과 멜라닌 색소 이외에도 모발 중에는 구리, 아연, 철, 망간, 칼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과 미량원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인, 규소, 등 무기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에 존재하는 결합은 단백질 내부의 아미노산들 사이의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 이외에도 각각의 단백질 분자들 사이에는 분자 간의 힘이나 결합력이 존재하고, 이 결합에 의해 모발은 그 성상 및 형태를 유지한다. 결합의 종류는 크게 가교 결합인 시스틴 결합과 펩타이드 결합, 그리고 비가교 결합인 염 결합, 수소결합, 소수성 상호작용 등이 있다. 그 중 시스틴 결합(Cystine Bond; Disulfide Bond; -CH2-S-S-CH2-)은 황(S)을 함유하는 단백질에서 특이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다른 섬유에서는 보이지 않는 측쇄 결합이며 케라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결합이다. 이 시스틴 결합으로 케라틴은 강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발의 주요 구성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58%)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특히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은 약 3.9 내지 7.7%의 아스파라긴산, 약 13.6 내지 14.2%의 글루타민산 그리고 약 1.9 내지 3.1%의 라이신을 포함한다.
섬유는 일반적으로 크게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로 나눠질 수 있는데, 천연 섬유 중 동물체로부터 얻은 섬유를 동물성 섬유라고 하며, 화학적 성분이 단백질이므로 단백질계 섬유라고도 한다. 단백질계 섬유는 동물의 털에서 얻은 섬유와 누에고치로부터 얻은 섬유가 있으며, 동물의 털에서 얻은 섬유는 면양의 털로부터 얻은 모섬유와 산양, 낙타, 토끼, 말, 소, 기타 동물들로부터 얻는 헤어 섬유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계 섬유는 모발과 동일하게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단백질계 섬유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양모(울)는 아미노산의 조성 또한 모발과 유사한 조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단백질계 섬유 및 모발, 피부, 손발톱, 가죽은 물 또는 중성 용매와 같은 온화한 조건에서는 매우 강한 단백질의 일종이지만, 일상 생활 에서 일어나는 빗질, 드라이어의 열, 염색, 퍼머, 일상생활에서의 물리적인 마찰, 세탁, 일광, 다림질의 열, 오염의 흡착, 자외선에의 노출, 고온 및 저온에의 노출, 해수, 풀장의 석회분 등 물리/화학적 처리 및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상된 모발, 피부, 손발톱, 섬유 가죽은 내외부의 단백질이 용출되어 다공성화가 진행되고 거칠어지면서 부드러움 및 탄력이 떨어질 수 있고 마찰력 증가로 인해 손질이 어려워지며, 윤기가 떨어지고 색상이 탁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발, 피부, 섬유, 가죽 등의 기질 표면 특성을 개선하여 아름답고 건강한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처리제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은 개선하고자 하는 중요한 대표적인 표면 특성이다.
강도 강화를 부여하기 위한 처리제의 대표 예시로, 모발에 있어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 로션, 에센스, 헤어 크림, 팩, 마스크, 시트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이 있으며, 피부에 있어서, 스킨, 로션, 에센스, 세럼, 크림, 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포인트 메이크업, 마스크, 패치 등의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이 있으며, 섬유에 있어서도, 섬유유연제, 섬유 염색제, 세탁세제, 트리트먼트제, 전후처리제, 세탁보조제, 부분오염 제거제, 스프레이 등의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케어 제제를 들 수 있다. 손발톱 처리제에 있어서도 광택제, 영양제, 강화제 등의 손발톱에 사용할 수 있는 제제를 들 수 있다. 가죽 제품에 있어서도 크림, 로션, 에센스, 세럼, 젤, 왁스, 스프레이, 세정제, 크리너, 부분 오염제거제, 연고타입, 광택제, 스트립, 시트 등 가죽 처리용의 제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장료라 함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키고, 또는 피부나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는 피부, 모발, 손톱 및 발톱 등과 같은 인체의 다양한 부위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강도 강화는 화장료의 주요 기능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강도 강화용 화장료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원료로는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알콜, 에스텔유, 실리콘유 등과 같은 유성원료,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 자외선흡수 및 차단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한 색재, 향료, 방부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외에 또한, 특별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성분으로 유지 및 천연 또는 합성 지방산, 지방 알코올, 알코올,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 탄화수소, 실리콘, 불소 화합물, 다가알콜, 당류,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 왁스, 비타민류, 호르몬류,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동식물 추출물, 광물 추출물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된 강도 강화 성분은 강한 공유 결합 형태가 아닌 대부분 단순 흡착에 의해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조성물 처리 후 일상 생활 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외부 환경에 의해 지속적으로 성분 용출이 일어나고 강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세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보다 가속화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96053호에서는 알콕시 실란과 특정 계산식을 통해 얻어진 몰수의 물을 포함하여 케라틴 물질(특히 네일)의 코팅을 통한 광택 화장용 방법 및 관련 키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지만, 실란 분자의 한쪽 부분만이 단백질 표면에 탈수 반응을 통해 결합하는 한계로 코팅 형성 능력은 있으나 실란 분자를 단백질 사이에 연결하는 양 말단 결합을 통한 강도 강화에는 전혀 작용을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에 반영구적인 강도 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상기 단백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단백질의 강도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반영구적인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이라 함은 아미노실란 화합물과 모발, 두피, 손발톱, 피부, 가죽 또는 섬유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 다량 존재하는 카르복실기와 아민기를 공유결합시킴으로써 단백질들을 반영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작용을 하여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을 굵어 보이게 하거나, 탄력 증대, 굵기 증대 부여 등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모발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두피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피부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손발톱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가죽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및/또는 섬유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을 반응매개물질을 통해 반응시켜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과 아미노실란 화합물을 반응하게 함으로써 단백질 기질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아민기, 단백질 기질의 아민기와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카르복실기 및/또는 단백질 기질의 아민기와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아민기를 공유결합시킴으로써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반영구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이라 함은 예를 들면,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및 섬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라 함은 물에 의한 가수 분해로 규소(Si)에 직접 결합된 1 내지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동일 분자에 최소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모노, 디, 트리 알콕시아미노실란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면서 분자 구조의 말단에 최소 하나 이상의 1차 또는 2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디에틸렌트리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DIETHYLENETRI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피페라지닐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PIPERAZINYLPROPYLMETHYL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3-(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N-(N-BUT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m-AMINOPHENYLTRIM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p-AMINOPHENYLTRIM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AMINOPHENYLTRIM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m-AMINOPHENYLTRI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p-AMINOPHENYLTRI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AMINOPHEN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스(메톡시에톡시-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S(METHOXYETHOXY- ETHOXY)SILANE), 11-아미노언데실트리에톡실란(11-AMINOUNDECYLTRIETHOXYSILANE), 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INOPHENOXY(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AMINOPROPYLSILANETRIOL),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이소프로필에톡시-실란(3-AMINOPROPYLDIISOPROP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 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N-(6-AMINOHEXYL)AMINOMETHYL- 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6-AMINOHEX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11-아미노언데실-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11-AMINOUNDEC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METHYL)PHENETHYL- TRIMETHOXYSILANE), N-3-[(아미노(폴리프로필에녹시))아미노-프로필트레메톡시실란(N-3-[(AMINO(POLYPROPYLENOXY)]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N-(2-AMINOETHYL)-3-AMINOPROPYL-SILANETRIOL),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ISOBUT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3-이소부틸디-메틸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3-ISOBUTYLDI-METHYLMETHOXYSILANE),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n-부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BUT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N-ETHYLAMINOISOBUTYLTRIM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아릴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N-ALL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CYCL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메톡실란(N-CYCL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에톡실란(N-ETHYLAMINOISOBUTYLMETHYL-DIETHOXYSILANE), (페닐아미노메틸)메틸-디메톡실란((PHENYLAMINOMETHYL)METHYL- 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N-M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3-(N-STYRYLMETHYL-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HYDROCHLORIDE), N-(트리메톡실릴프로필)이소티오-우로늄 클로라이드(N-(TRIMETHOXYSILYLPROPYL)ISOTHIO- URONIUM CHLORID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3-(TRIETHOXYSILYL)PROPYL]UREA), 비스(트리메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TRIMETHOXYSILYLPROPYL)UREA), 비스(메틸디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METHYLDIETHOXYSILYLPROPYL)AMINE), 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실란(UREIDOPROPYLTRIETHOXYSILANE), 아세타미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ACETAMIDOPROPYLTRIMETHOXYSILANE), N-[5-(트리메톡실릴)-2-아자-1-옥소-펜틸]카프로락탐(N-[5-(TRIMETHOXYSILYL)-2-AZA-1-OXO-PENTYL]CAPROLACTAM) 및 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UREIDOPROPYLTRIMETHOXYSIL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1 내지 30 중량부, 0.001 내지 1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의 함량이 0.0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아미노실란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이 조성물 내에 과도하게 많아져 제형의 안정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매개물질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 아미늄계 화합물,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메탄디이민(-N=C=N-)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A는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펜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pen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HC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H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반응매개물질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또는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6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 및 실리카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된 포화 알킬기; 또는 불포화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분자량이 20,000Da 미만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PAm),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타치 유도체, 덱스트란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의 분자량이 20,000Da 이상이면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적어 윤기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분자량이 20,000Da 미만인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스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에틸렌, 에테르케톤, 에테르이미드, 에테르설폰, 프탈아미드, 페닐렌에테르, 산화페닐렌, 페닐렌설파이드, 설폰, 우레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 중합된 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의 분자량이 20,000Da 이상이면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적어 윤기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는 직경이 100㎚ 내지 1㎜, 예를 들어, 100㎚ 내지 100㎛, 1㎛ 내지 100㎛, 1㎛ 내지 70㎛인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실리카 비드의 직경이 100㎚ 보다 작을 경우 피부 표면에서 안전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실리카 비드의 직경이 1㎜ 보다 클 경우에는 제형화 및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반응매개물질은 하나의 아민에 수소화로 인해 형성된 -R3NH+ 구조의 양이온 화합물인 아미늄계 화합물; 또는 폴리아토믹 양이온(polyatomic cation)으로 PH4 +의 구조를 갖는 포스포늄염(PH4 +) 계열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 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아미늄계 화합물은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2-(3,4-(N-[(1H-벤조트리아졸-1-일)(1H-벤조트리아졸-1-일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2-(3,4-(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2-(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크(2-(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1,1,3,3,-tetramethyl uronium tetr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2-옥소-1(2H)- 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tetrafluoroborate), N,N,N',N'- 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6-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트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 meth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6- 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 메틸메트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 methan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 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 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 phosphate N-sulfide), S-(1-옥사이도-1-피리디닐)-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S-(1-oxido-1-pyridinyl)-1.1.3.3-tetramethylthiouronium hexafluo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eneamino]-N,N,N',N'-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 methylene amino]-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시아노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cyano 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메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methoxycarbonyl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 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 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2-(5-노보넨-2,3-디카르복시미도)-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5-norbornene-2,3-dicarbox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프탈이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phthal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비스(테트라메틸렌)클로로포름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is(tetra methylene)chloroformamidinium hexafluorophosphate), (1H-벤조트리아졸-1-일)(1-피롤리디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H-benzotriazol-1-yl)(1-pyrollidi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O-(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비스(테트라메틸렌)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1,2,3-benzo 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uranium hexafluorophosphate), O-(3,4- 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 비스(테트라메틸렌) 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 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S-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S-penta fluorothio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sulfid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2-니트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O-2-nitrophenyluronium hexa fluorophosphates),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 hexafluorophosphates),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비스(펜타메틸렌)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bis(penta methylene) uronium tetrafluoroborate), 2-클로로-1,3-디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imidaz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 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엔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클로로-1,3-디메틸피리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pyrim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 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7-벤조트리아졸-일)-1,1,3-트리메틸-1-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benzotriazol-yl)-1,1,3-tri methyl-1-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일)-1,1,3- 트리메틸-1-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yl)-1,1,3-trimethyl-1-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O-(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1H-1,2,3-triazolo[4,5-b]pyridin-yl)-1,1-dimethyl-3,3-tetr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펜타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pent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 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 옥사이드(6-chloro-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 triazolium hexafluorophosphate-3 oxide), 3-((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1,2,3]triazolo[4,5-b]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6-trifluoromethyl-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옥사이드(6-trifluoromethyl-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triazoliumhexafluorophsphate-3-oxide), 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 옥시펜타플루오로페닐메텐이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methylamino)-(morpholino)) oxypentafluorophenylmetheni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1-(dicyano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리덴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ideneaminooxy) 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모르포린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orpholinomethanaminium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 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cyanomethyleneaminooxy) morpholino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 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 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r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morpholino) 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ah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N,N-디메틸-메탄아미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benzotriazol-1-yloxy-N,N-dimethyl-methanaminium hexachloroantimonate), 5-(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 (5-(1H-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7-aza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1-(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페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1-(1H-benzotriaol-1-yloxy)phe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chloroantimonate), 5-(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pentafluorophen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ite), 5-(석시니미딜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succinimid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3',4'-dihydro-4'-oxo-1', 2', 3'-benzotriazin-3'-yloxy)-3,4-di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hlor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hloro-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iden)-amino]- yloxytri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니트로벤조트리아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nitrobenzotriazol―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4-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nitro-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chloro-benzotriazol-1-yloxy)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르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피리딜-2-티오)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ridyl-2-thio)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소는 글루타민의 아민과 라이신의 아민 사이에 생체 결합을 매개하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transglutaminase), 소르타제 에이(Sortase A),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락카아제/퍼옥시다아제(Laccase/Peroxidase) 및 라이실옥시다아제/아민옥시다아제(Lysyl Oxidase/Amine Oxidas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매개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1 내지 10 중량부, 0.001 내지 7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매개물질의 함량이 0.0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표면 개질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에 존재하는 반응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반응매개물질이 단백질 기질과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기능성 성분과 반응함으로써 윤기 부여의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반응시에는 pH 2 내지 pH 12의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pH 10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pH 8의 약산성의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 완결된다.
상기 조성물은 도포, 산포, 희석,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의 열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 온화한 조건의 가온(20℃ 내지 80℃) 조건을 통해 탈수 반응 촉진으로 반응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반응매개물질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의 표면의 카르복실기와 트리에톡시아미노프로필실란의 아민기 사이의 반응을 하기 반응식 1에 도식화하였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7
상기 반응식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및/또는 섬유와 결합된 아미노산은 샴푸나 세제,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척 시에도 쉽게 떨어져 나오지 않아 거의 영구적으로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및/또는 섬유에 부착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 외에 부수적으로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미노실란 화합물을 포함하여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에 있어서, 샴푸-전(pre-shampoo) 제품,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 크림, 팩, 마스크, 시트, 타블랫, 패치, 스트립, 연고타입,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에 있어서, 스킨, 로션, 에센스, 세럼, 크림, 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포인트 메이크업, 마스크, 패치 등의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섬유에 있어서도, 섬유유연제, 섬유 염색제, 세탁세제, 트리트먼트제, 전후처리제, 세탁보조제, 부분오염 제거제, 스프레이 등의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케어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가죽 제품에 있어서도 크림, 로션, 에센스, 세럼, 젤, 왁스, 스프레이, 세정제, 크리너, 부분오염제거제, 연고타입, 일시염모제, 영구염모제, 광택제, 스트립, 시트 등 가죽 처리용의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에서 단백질 강도 강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테르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모발 및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모발 단백질 강도 강화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샴푸 조성물로 모발을 깨끗하게 세척 후 타올 드라이를 한 3g 정도의 모발 트레스(tress)를 준비하여 이중 50가닥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모발 인장강도 시험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조성물 사용 전의 모발 인장강도로 하였다. 동일 트레스로 제조된 조성물을 0.3g씩을 이용하여 30회 샴푸 후 모발 인장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샴푸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강도 변화 특성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0.5 - - - 0.2 0.2 0.5 0.5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 0.5 - - 0.2 0.2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 - 0.5 - 0.2 0.2 -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 - - 0.5 0.2 0.2 - -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 - - - - 0.5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1 0.5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 - - - - - 1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 - - - - - -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 35 35 35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인장강도 증대율(%) 56.3 55.2 53.3 52.9 76.3 75.2 73.4 73 75.8 76.9 55.2 53.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인장강도 증대율(%) 31.6 28.3 25.6 20.3
상기 표 3 및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실험 결과,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아미노실란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해, 반응매개물질인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1 내지 4, 10) 또는 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5 내지 10),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실시예 11)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실시예 12)를 포함한 경우에 샴푸 사용 후 모발의 인장강도 증대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24 및 비교예 5 내지 8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3 내지 24 및 비교예 5 내지 8의 피부 강화를 통한 탄력 증대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공 피부의 초기 탄력도를 측정하고, 제조된 각각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30회 사용 후 인공 피부의 탄력도를 평가하여 피부 탄력도 증대 효과를 비교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7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Lauric Acid 3 3 3 3 3 3 3 3 3 3 3 3
Myristic acid 4 4 4 4 4 4 4 4 4 4 4 4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0.5 - - - 0.2 0.2 0.5 0.5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 0.5 - - 0.2 0.2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 - 0.5 - 0.2 0.2 -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 - - 0.5 0.2 0.2 - -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 - - - - 0.5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1 0.5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 - - - - - 1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 - - - - - -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olyquaternium-7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Lauric Acid 3 3 3 3
Myristic acid 4 4 4 4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 20 20 20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0.9 0.9 0.9 0.9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피부탄력 증대율(%) 23.2 22.1 22 20.9 23.1 22.3 22.1 20 33.4 34.7 21.7 22.2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피부탄력 증대율(%) 10.2 9.8 9.7 8.5
상기 표 7 및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3 내지 24 및 비교예 5 내지 8의 실험 결과,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아미노산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5 내지 8의 조성물에 비해, 반응매개물질인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13 내지 16, 22) 또는 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17 내지 22),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실시예 23)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실시예 24)를 포함한 경우에 바디 샴푸 사용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5 내지 36 및 비교예 9 내지 12
하기 표 9 및 10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25 내지 36 및 비교예 9 내지 12의 네일 강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10명씩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20일간 사용하도록 한 후, 네일의 쪼개짐, 갈라짐 등의 상태를 사용 전 초기 네일 상태와 비교하여 5점 척도(5: 매우 우수, 4: 약간 우수, 3: 차이 없음, 2: 효과 없음, 1: 매우 효과 없음)의 관능으로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18-메틸에이코사민 1 1 1 1 1 1 1 1 1 1 1 1
이소스테아릴아민 1 1 1 1 1 1 1 1 1 1 1 1
글리세린 2 2 2 2 2 2 2 2 2 2 2 2
부틸렌글리콜 2 2 2 2 2 2 2 2 2 2 2 2
프로필렌글리콜 2 2 2 2 2 2 2 2 2 2 2 2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유동파라핀 5 5 5 5 5 5 5 5 5 5 5 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스쿠알란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2 2 2 2 2 2 2 2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0.5 - - - 0.2 0.2 0.5 0.5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 0.5 - - 0.2 0.2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 - 0.5 - 0.2 0.2 -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 - - 0.5 0.2 0.2 - -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 - - - - 0.5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1 0.5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 - - - - - 1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 - - - - - -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0.5 0.5 0.5 0.5
18-메틸에이코사민 1 1 1 1
이소스테아릴아민 1 1 1 1
글리세린 2 2 2 2
부틸렌글리콜 2 2 2 2
프로필렌글리콜 2 2 2 2
0.9 0.9 0.9 0.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0.1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유동파라핀 5 5 5 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스쿠알란 2.5 2.5 2.5 2.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5 - - -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 0.5 - -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 - 0.5 -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 - - 0.5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 - - -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 - -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
네일 강도 개선 효과 만족도(5점 척도) 3.7 3.7 3.6 3.8 4.1 4 4 3.9 4.2 4.4 3.6 3.6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네일 강도 개선 효과 만족도(5점 척도) 2.2 2.4 2.2 2.1
상기 표 11 및 12의 결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실시예 25 내지 36 및 비교예 9 내지 12의 실험 결과,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아미노산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9 내지 12의 조성물에 비해, 반응매개물질인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25 내지 28, 34) 또는 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실시예 29 내지 34),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실시예 35),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실시예 36)를 포함한 경우에 네일 강도 강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8)

  1. 아미노실란 화합물; 및 반응매개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8
    [화학식 2]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09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10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면서 분자 구조의 말단에 최소 하나 이상의 1차 또는 2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디에틸렌트리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DIETHYLENETRI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피페라지닐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PIPERAZINYLPROPYLMETHYL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3-(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3-(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N-(N-BUT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실란(4-AMINOBUTYLTRI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m-AMINOPHENYLTRIM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p-AMINOPHENYLTRIM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메톡실란(AMINOPHENYLTRIMETHOXYSILANE), m-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m-AMINOPHENYLTRIETHOXYSILANE),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p-AMINOPHENYLTRIETHOXYSILANE), 아미노페닐트리에톡실란(AMINOPHEN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스(메톡시에톡시-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S(METHOXYETHOXY- ETHOXY)SILANE), 11-아미노언데실트리에톡실란(11-AMINOUNDECYLTRIETHOXYSILANE), 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아미노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INOPHENOXY(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AMINOPROPYLSILANETRIOL),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이소프로필에톡시-실란(3-AMINOPROPYLDIISOPROP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 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N-(6-AMINOHEXYL)AMINOMETHYL- TRIETHOXYSILANE), N-(6-아미노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6-AMINOHEX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11-아미노언데실-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11-AMINOUNDEC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METHYL)PHENETHYL- TRIMETHOXYSILANE), N-3-[(아미노(폴리프로필에녹시))아미노-프로필트레메톡시실란(N-3-[(AMINO(POLYPROPYLENOXY)]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실란트리올(N-(2-AMINOETHYL)-3-AMINOPROPYL-SILANETRIOL),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ISOBUTYL-METHYLD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3-이소부틸디-메틸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3-ISOBUTYLDI-METHYLMETHOXYSILANE),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n-부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BUT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N-ETHYLAMINOISOBUTYLTRIM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아릴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N-ALL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CYCL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메톡실란(N-CYCL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에틸아미노이소부틸메틸-디에톡실란(N-ETHYLAMINOISOBUTYLMETHYL-DIETHOXYSILANE), (페닐아미노메틸)메틸-디메톡실란((PHENYLAMINOMETHYL)METHYL- 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메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실란(N-M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3-(N-STYRYLMETHYL-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HYDROCHLORIDE), N-(트리메톡실릴프로필)이소티오-우로늄 클로라이드(N-(TRIMETHOXYSILYLPROPYL)ISOTHIO- URONIUM CHLORID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3-(TRIETHOXYSILYL)PROPYL]UREA), 비스(트리메톡실릴프로필)우레아(BIS(TRIMETHOXYSILYLPROPYL)UREA), 비스(메틸디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METHYLDIETHOXYSILYLPROPYL)AMINE), 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실란(UREIDOPROPYLTRIETHOXYSILANE), 아세타미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ACETAMIDOPROPYLTRIMETHOXYSILANE), N-[5-(트리메톡실릴)-2-아자-1-옥소-펜틸]카프로락탐(N-[5-(TRIMETHOXYSILYL)-2-AZA-1-OXO-PENTYL]CAPROLACTAM) 및 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실란(UREIDOPROPYLTRIMETHOXYSIL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매개물질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 아미늄계 화합물,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N=C=N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A는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1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7. 제 4 항에 있어서,
    디하이드록시퀴놀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CTKR2017014555-appb-I000013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 비드 형태 및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 및 실리카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된 포화 알킬기; 또는 불포화 알킬기일 수 있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분자량이 20,000 Da 미만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PEG),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PNIPPAm),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타치 유도체, 덱스트란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분자량이 20,000 Da 미만인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스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에틸렌, 에테르케톤, 에테르이미드, 에테르설폰, 프탈아미드, 페닐렌에테르, 산화페닐렌, 페닐렌설파이드, 설폰, 우레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 중합된 고분자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실리카 비드는 직경이 100㎚ 내지 1㎜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1. 제 4 항에 있어서,
    아미늄계 화합물은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2-(3,4-(N-[(1H-벤조트리아졸-1-일)(1H-벤조트리아졸-1-일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2-(3,4-(N-[(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2-(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크(2-(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1,1,3,3,-tetramethyl uronium tetr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borate), O-(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2-옥소-1(2H)- 피리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2-oxo-1(2H)-pyrid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석시니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2-succin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tetrafluoroborate), N,N,N',N'- 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6-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트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 meth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6- 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 메틸메트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6-trifluoromethyl(1H-benzotriazol-1-yl)(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옥사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 methanaminium tetrafluoroborate N-oxide), N-[(디메틸아미노)-1H-1,2,3- 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 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N-[(dimethylamino)-1H-1,2,3-triazoleo[4,5-b]pyridin-1-yl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 phosphate N-sulfide), S-(1-옥사이도-1-피리디닐)-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S-(1-oxido-1-pyridinyl)-1.1.3.3-tetramethylthiouronium hexafluo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eneamino]-N,N,N',N'-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 methylene amino]-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시아노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cyano 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디메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dimethoxycarbonylmethylidene)-amino]-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 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 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ethyl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2-(5-노보넨-2,3-디카르복시미도)-1,1,3,3-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5-norbornene-2,3-dicarbox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2-프탈이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phthalimido-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비스(테트라메틸렌)클로로포름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is(tetra methylene)chloroformamidinium hexafluorophosphate), (1H-벤조트리아졸-1-일)(1-피롤리디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H-benzotriazol-1-yl)(1-pyrollidi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xide), O-(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1,1,3,3-비스(테트라메틸렌)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1,2,3-benzo 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uranium hexafluorophosphate), O-(3,4- 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1,1,3,3- 비스(테트라메틸렌) 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1,1,3,3-bis(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 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S-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S-penta fluorothiophenyluronium hexafluorphosphate), 1-(1-피롤리디닐-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설파이드(1-(1-pyrrolidinyl-1H-1,2,3-triazolo[4,5-b]pyridin-1-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N-sulfide),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2-니트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N,N',N'-bis(tetramethylene)-O-2-nitrophenyluronium hexa fluorophosphates), N,N,N',N'-비스(테트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phenyluronium hexafluoro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 hexafluorophosphates),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비스(펜타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1,3,3-bis(pent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2-옥소-1(2H)-피리딜]-1,1,3,3-비스(펜타메틸렌)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oxo-1(2H)-pyridyl]-1,1,3,3-bis(penta methylene) uronium tetrafluoroborate), 2-클로로-1,3-디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imidaz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 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디메틸엔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d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2-클로로-1,3-디메틸피리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2-chloro-1,3-dimethylpyrimidinium hexafluorophosphate), O-(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7- 아자벤조트리아졸-1-일)-1,3-디메틸-1,3-트리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7-azabenzotriazol-1-yl)-1,3-dimethyl-1,3-tri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7-벤조트리아졸-일)-1,1,3-트리메틸-1-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benzotriazol-yl)-1,1,3-tri methyl-1-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일)-1,1,3- 트리메틸-1-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yl)-1,1,3-trimethyl-1-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tetr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O-(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일)-1,1-디메틸-3,3-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1H-1,2,3-triazolo[4,5-b]pyridin-yl)-1,1-dimethyl-3,3-tetramethyleneuronium hexafluorophosphate), O-(1H-벤조트리아졸-1-일)-1,1-디메틸-3,3-펜타메틸렌 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1H-benzotriazol-1-yl)-1,1-dimethyl-3,3-pentamethylene ura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 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 옥사이드(6-chloro-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 triazolium hexafluorophosphate-3 oxide), 3-((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1,2,3]triazolo[4,5-b]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6-trifluoromethyl-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메틸렌)-1H-벤조트리아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옥사이드(6-trifluoromethyl-1-((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1H-benzotriazoliumhexafluorophsphate-3-oxide), 1-((디메틸아미노)-(모르폴리노)) 옥시펜타플루오로페닐메텐이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methylamino)-(morpholino)) oxypentafluorophenylmetheni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1-(dicyano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 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리덴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 모르폴리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ideneaminooxy) dimethylaminomorphol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N-[(시아노(피리딘-2-일)메틸렌아미노옥시) (디메틸아미노)메틸렌]-N-모르포린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cyano(pyridin-2-yl)methyleneaminooxy) (dimethylamino)methylene]-N-morpholinomethanaminium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 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디시아노메틸렌아미노옥시) 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dicyanomethyleneaminooxy) morpholino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hate), 1-[(1,3-디에톡시-1,3-디옥소프로판-2-일덴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 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3-diethoxy-1,3-dioxopropan-2-yldene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 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 아미노옥시)-디메틸아미노-피롤로디노메틸렌)]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 aminooxy)-dimethylamino-pyrrolodino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rphosphate), 1-((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모르폴리노)메틸렌)피롤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nooxy)(morpholino) methylene)pyrrolidinium hexafluorophospah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N,N-디메틸-메탄아미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benzotriazol-1-yloxy-N,N-dimethyl-methanaminium hexachloroantimonate), 5-(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 (5-(1H-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7-azabenzotriazol-1-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1-(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페닐-메틸렌 피롤리디늄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1-(1H-benzotriaol-1-yloxy)phenyl-methylene pyrrolidinium hexachloroantimonate), 5-(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pentafluorophen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ite), 5-(석시니미딜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succinimidyloxy)-3,4-dih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5-(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3,4-디하이드로-1-메틸-2H-피롤리움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5-(3',4'-dihydro-4'-oxo-1', 2', 3'-benzotriazin-3'-yloxy)-3,4-diydro-1-methyl-2H-pyrrolium hexachloroantimon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2. 제 4 항에 있어서,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s)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3. 제 4 항에 있어서,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hlor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브로모트리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mo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클로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hloro-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tri (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aza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rophosphate), O-[(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아미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O-[(cyano-(ethoxycarbonyl)methyliden)-amino]- yloxytri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니트로벤조트리아졸―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nitrobenzotriazol―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4-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nitro-6-(trifluoromethyl)benzotriazol-1-yl]oxy]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6-클로로-벤조트리아졸-1-일옥시)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chloro-benzotriazol-1-yloxy)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N',N',N',N'-비스(테르라메틸렌)-O-펜타플루오로 페닐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N',N',N'-bis(tetramethylene)-O-pentafluoro phen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피리딜-2-티오)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ridyl-2-thio)tris (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진-3-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1,2,3-benzotriazin-3-yl)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3,4-디하이드로-4-옥소-5-아자벤조-1,2,3-트리아진-3-일] 트리스 (피롤리디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dihydro-4-oxo-5-azabenzo-1,2,3-triazin-3-yl] 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4. 제 4 항에 있어서,
    효소는 트렌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소르타제 에이(Sortase A),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락카아제/퍼옥시다아제(Laccase/Peroxidase) 및 라이실옥시다아제/아민옥시다아제(Lysyl Oxidase/Amine Oxidase)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손발톱, 가죽 또는 섬유 단백질의 강도를 강화하는 것인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매개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18. 제1항의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
PCT/KR2017/014555 2017-01-11 2017-12-12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WO20181317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77,047 US20200138688A1 (en) 2017-01-11 2017-12-12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CN201780082452.0A CN110191701B (zh) 2017-01-11 2017-12-12 蛋白质强度强化用组合物
JP2019537263A JP7214289B2 (ja) 2017-01-11 2017-12-12 タンパク質強度強化用組成物
US17/472,162 US11975091B2 (en) 2017-01-11 2021-09-10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38 2017-01-11
KR20170004038 2017-01-11
KR10-2017-0161920 2017-11-29
KR1020170161920A KR102031186B1 (ko) 2017-01-11 2017-11-29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477,047 A-371-Of-International US20200138688A1 (en) 2017-01-11 2017-12-12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US17/472,162 Continuation US11975091B2 (en) 2017-01-11 2021-09-10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in streng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1798A1 true WO2018131798A1 (ko) 2018-07-19

Family

ID=6283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555 WO2018131798A1 (ko) 2017-01-11 2017-12-12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317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9360A1 (de) * 2018-10-31 2020-05-07 Henkel Ag & Co. Kgaa Wirkstoffzusammensetzung zur pflege und modifikation von humanhaar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9628A2 (en) * 1984-04-12 1985-10-30 Revlon, Inc. Hair stengthening and permanent waving composition
US20090087398A1 (en) * 2007-08-20 2009-04-02 Mark Anthony Brown Method for Treating Damaged Hair
WO2009043613A1 (de) * 2007-10-04 2009-04-09 Henkel Ag & Co. Kgaa Aufhellmittel mit kationischen 3,4-dihydroisochinoliniumderivaten und wasserstoffperoxid
FR2955488A1 (fr) * 2010-01-28 2011-07-29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lorant capillaire et un hydroxyde de phosphonium, 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et dispositif
KR20140121772A (ko) * 2013-04-05 2014-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KR101585343B1 (ko) * 2014-10-01 2016-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9628A2 (en) * 1984-04-12 1985-10-30 Revlon, Inc. Hair stengthening and permanent waving composition
US20090087398A1 (en) * 2007-08-20 2009-04-02 Mark Anthony Brown Method for Treating Damaged Hair
WO2009043613A1 (de) * 2007-10-04 2009-04-09 Henkel Ag & Co. Kgaa Aufhellmittel mit kationischen 3,4-dihydroisochinoliniumderivaten und wasserstoffperoxid
FR2955488A1 (fr) * 2010-01-28 2011-07-29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lorant capillaire et un hydroxyde de phosphonium, 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et dispositif
KR20140121772A (ko) * 2013-04-05 2014-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KR101585343B1 (ko) * 2014-10-01 2016-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9360A1 (de) * 2018-10-31 2020-05-07 Henkel Ag & Co. Kgaa Wirkstoffzusammensetzung zur pflege und modifikation von humanhaaren
CN112955122A (zh) * 2018-10-31 2021-06-11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人毛发的护理和修饰的活性成分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10B1 (ko) 케라틴 처리 제형 및 방법
DK3001809T3 (en) Procedure for the care of hair and skin
KR102342164B1 (ko) 비 석유화학적으로 유도된 중성화된 아미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양이온 유화제 및 그와 관련된 조성물과 방법들
EP2215105A1 (en) Keratin derivativ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7124983A (ja) 化粧料
KR102289259B1 (ko)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WO2018131798A1 (ko)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KR102640290B1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Oshimura et al. Hair and amino acids: the interactions and the effects
KR20190115910A (ko) 리퀴드 마블형 진주광택 복합 안료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01881B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KR102349949B1 (ko) 윤기 강화용 조성물
KR101847580B1 (ko) 파우더리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CA2643784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ionic liquids
WO2019235658A1 (ko) 염색용 조성물
KR102364647B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CA3096610A1 (en) Process for treating hair
JP7281172B2 (ja) 化粧料
WO2024070264A1 (ja) 毛髪着色料
KR20180107956A (ko) 염색용 조성물
JPH04128212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1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726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8.10.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1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