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678B1 - 표면 개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678B1
KR101773678B1 KR1020150158976A KR20150158976A KR101773678B1 KR 101773678 B1 KR101773678 B1 KR 101773678B1 KR 1020150158976 A KR1020150158976 A KR 1020150158976A KR 20150158976 A KR20150158976 A KR 20150158976A KR 101773678 B1 KR101773678 B1 KR 10177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is
succinimidyl
surface modifying
sulfosuccinimid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774A (ko
Inventor
김시원
김동완
김경환
손성길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5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6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기존 표면 개질 성분에, 모발, 피부 또는 섬유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 하나 이상; 및 특정 관능기 하나 이상을 동일 분자 내에 동시에 가지는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동시에 적층을 통해 그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원하는 표면 개질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표면 개질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본 발명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의 표면 개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 큐티클은 평평하게 중첩된 세포(비늘)로 구성된다. 큐티클 세포들은 모발의 뿌리 쪽에서부터 끝부분 쪽으로 마치 지붕의 타일처럼 부착되어 있다. 각 큐티클 층은 약 0.3~0.5 ㎛ 두께이고 이들 중 보여지는 큐티클의 부분은 약 5~10 ㎛ 정도이다. 사람의 모발의 큐티클은 일반적으로 5~10 층이 쌓여져 있다. 모발의 각 큐티클 세포는 에피큐티클(epicuticle), A-층(A-layer), 엑소큐티클(exocuticle), 엔도큐티클(endocuticle), 내층(inner layer)과 같은 다양한 보조라멜라(sublamella)층과 셀 멤브레인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로 구성된다. 최외각의 epicuticle층은 공유 결합된 지질(지방산)로 덮여 있고, 이중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이 18-메틸 에이코사노산(18-Methyl Eicosanoic Acid, 18-MEA)이다. 이 층은 큐티클 셀 멤브레인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의 외곽 β-층(β-layer)을 구성하며 윤활, 마찰감소, 소수성 표면 형성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모발에 있어서 두피보다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을 모간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모발의 수명과 길이에 따라 변한다. 또한 머리를 자를 때나 샴푸, 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빗질이나 파마, 헤어 칼라 등을 사용할 때, 건조, 자외선, 해수, 풀장의 석회분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변한다. 특히 모간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모소피는 이러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더라도 복합적으로 축적될 경우 손상을 입게 된다. 손상된 모발은 모소피의 끝부분이 삐쳐 나와 있거나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탈락이 한층 진행되어 있다. 이러한 모발은 빛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택을 잃고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모발의 손상이 보다 많이 진행되면 모소피 층이 완전히 떨어져 내부의 모피질이 노출되게 되며 결국 모발이 갈라지거나 끊어지기 쉽게 된다.
18-MEA가 손상된 모발의 표면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실리콘을 사용하여 모발 표면을 코팅하는 헤어 메니큐어나 헤어 에센스와 같은 모발 표면 개질 효과, 즉, 모발 강화 효과를 제공하는 제품들이 판매되거나 미용실을 통해 시술되고 있으며, 특히 모발 표면의 코팅이나 모발 내부로 아미노산 등의 침투를 통해 모발에 강화 효과를 주는 강화 샴푸 등과 같은 제품들이 최근 들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발 개질 성분으로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다음 세정 시까지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모발의 케라틴, 피부의 콜라겐, 울 또는 실크 소재의 섬유에는 동일한 종류의 아미노산 잔기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모발 외에 피부 또는 섬유에 대해서도 모발과 동일한 메카니즘이 적용 가능하여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또는 모발용 비수계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비수계 파트에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로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치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말레이미드(Maleimide), 하이드록시숙신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치올(thiol),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디설파이드(disulfide),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면서 비수계 파트와 수계 파트로 분리되어 있고,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에 제시된 다양한 관능기들의 경우 인체에 유해하거나 또는 모발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에서 그 함량이 모발(1.9~3.1%), 피부 케라틴(3.1~6.9%) 정도로 적은 양을 함유하는 라이신을 표적하거나, 모발(16.6~18%), 피부 케라틴(2.3~3.8%) 정도인 시스테인을 표적하여 반응시키기 때문에 반응 효율이 저하되고 각각의 물질을 하나하나 따로 합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08-00644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표면 개질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표면 개질 성분에,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 하나 이상; 및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피리딜 디설파이드, 치올, 할로아세틸, 아민, 카보네이트, 말레이미드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관능기 하나 이상;을 동일 분자 내 동시에 가지는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
을 포함하는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을 상기 표면 개질용 조성물로 공유 결합하여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의 개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와 특정 관능기를 둘 이상 갖는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모발, 피부 또는 섬유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표면 개질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은 표면 개질 성분에,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 하나 이상; 및 특정 관능기 하나 이상;을 동일 분자 내 동시에 가지는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표면 개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및/또는 섬유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표면 개질'이라 함은 모발을 코팅하거나 유효한 물질을 접합하여 모발 표면의 성질을 변화시켜 모발을 굵게 보이게 하거나, 윤기, 부드러움, 차분함 또는 매끄러움 등의 컨디셔닝 효능을 부여하는 등 유익한 특성을 부여해줌으로써 모발을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켜주는 것 또는, 모발에 보습력을 부여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작용을 하여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모발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발 표면 개질 효과로, 예를 들면, 모발의 인장강도 개선, 모발 굵기 증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표면 개질'이라 함은 피부를 코팅하거나 유효한 물질을 접합하여 피부 표면의 성질을 변화시켜 피부를 밝게 보이게 하거나, 윤기, 부드러움 또는 매끄러움 등의 컨디셔닝 효능을 부여하는 등 유익한 특성을 부여해줌으로써 피부를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켜주는 것 또는,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작용을 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피부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피부 표면 개질 효과로, 예를 들면, 피부의 주름 개선, 피부 보습력 증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표면 개질'이라 함은 울, 실크 등의 섬유를 코팅하거나 유효한 물질을 접합하여 섬유 표면의 성질을 변화시켜 섬유의 손상 방지, 향기 지속력 증대, 표백, 살균, 자외선차단 또는 섬유를 유연하게 하는 등 유익한 특성을 부여해줌으로써 섬유를 새 것처럼 유지하기 위하여 섬유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 표면 개질 효과로, 예를 들면, 섬유 유연성 증대, 섬유 색감 유지력 증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 성분은 기존의 항산화, 컨디셔닝, 윤기, 광택, 보습, 미백, 자외선 차단, 향, 주름 방지, 모발 볼륨, 비듬 가려움 개선, 양모육모, 여드름 케어, 섬유 케어, 구강 케어, 체취 방지, 손발톱 케어, 아토피 케어, 염색 또는 생체 접합의 효능을 가지는 물질로서, 구체적으로 천연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모발, 피부 또는 섬유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는 성분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는 홍경천 추출물, 동백잎 추출물, 우르솔산, 오배자 추출물, 해조 추출물, 해바라기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추출물, 화초 추출물, 천라 추출물, 베르가못 추출물, 편백 추출물, 고삼홍경천 추출물, 고삼 추출물, 창출 추출물, 병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홍삼수, 패모 추출물, 은방울꽃 추출물, 벌집 추출물, 카시스 추출물, 석류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싹 추출물, 녹차 추출물, 브로커리 추출물, 꿀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베리 추출물, 라벤터 추출물, 렌틸콩 추출물, 생강 수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백질 및 펩타이드로는 천잠실크, 실크, 폴리라이신, 해조, 울 및 모발, 밀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및 펩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2 내지 200개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백질은 케라틴, 콜라겐, 젤라틴 및 식물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라틴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케라틴(hydroylzed keratin)이 바람직하며, 특히, 분자량이 200 내지 150,000 D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머류는 분자량 1000 내지 100만 정도의 사슬(linier) 및 분지(branched) 사슬형, 네트웍크(network)형 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나 링 구조의 다양한 치환체가 포함된 경우도 사용할 수 있고,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0000 내지 50만 정도의 사슬 및 분지 사슬형 폴리머이면서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폴리머, 폴리아민 폴리머,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폴리머로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양쪽성의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폴리우레탄과 같은 비이온성 폴리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 브이에이/ 크로토네이트/ 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Vinyl Neodecanoate Copolymer)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류로는 예를 들면,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아모디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펜타 페닐트리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알킬메틸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치콘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알콜류는 탄소 수 10 내지 50개 정도의 사슬 및 분지형의 지방알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산류는 탄소 수 10 내지 50개 정도의 사슬 및 분지형 지방산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18-메틸 에이코사노산, 라우르산(도데카노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지방산 유도체로는 프로피온산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왁스류는 예를 들면,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결정체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유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부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에틸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리놀레이트, 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미리스테이트, 세틸팔미테이트, 하이드로겐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ai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발 표면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아민,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치올,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는 치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또는 아민(amine)의 반응성 잔기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은 표면 개질 성분에,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 하나 이상; 및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피리딜 디설파이드, 치올, 할로아세틸, 아민, 카보네이트, 말레이미드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관능기 하나 이상;을 동일 분자 내 동시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응성 관능기의 하나의 구현예로서, 모발 표면에 존재하는 케라틴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의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과 반응성이 있는 관능기는 아민(amine)이 있고, 리신(lysine)의 아민기(amine group)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는 카르복실(carboxyl), NHS 에스테르(N-hydroxysuccinimide ester), 술포-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sulfo-hydroxysuccinimide ester, sulfo-NHS ester), 이미도에스테르(imidoester), 아릴 아자이드(aryl azide)가 있으며, 시스테인(cysteine)의 치올(thiol)과 반응성이 있는 관능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할로아세틸(haloacetyl), 하이드라자이드(hydrazide), 피리딜 디설파이드(pyridyl disulfide)가 있다. 또한, 세린(serine), 트레오닌(threonine), 티로신(tyrosine)의 하이드록시기(hydroxyl group)와 반응성이 있는 관능기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가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의 하나의 구현예로서, 12-머캡토도데카논산 NHS 에스테르(12-Mercaptododecanoic acid NHS ester),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로닐 하이드라자이드(3-(2-pyridyldithio) propionyl hydrazide), N-(4-[p-아지도살리실아미도]부틸)-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마이드(N-(4-[p-Azidosalicylamido]butyl)-3'-(2'-pyridyldithio)propionamide), 4-(p-아지도살리실아미도)-부틸아민(4-(p-Azidosalicylamido)-butylamine, 비스(설포석신이미딜)글루타레이트-d0(Bis(sulfosuccinimidyl)glutarate-d0), 비스(설포석신이미딜)2,2,4,4-글루타레이트-d4(Bis(sulfosuccinimidyl)2,2,4,4-glutarate-d4), 비스(설포석신이미딜)서베레이트(Bis(sulfosuccinimidyl)suberate), 비스(설포석신이미딜)서베레이트-d0(Bis(sulfosuccinimidyl)suberate-d0), 비스(설포석신이미딜)2,2,7,7-서베레이트-d4(Bis(sulfosuccinimidyl)2,2,7,7-suberate-d4), 비스(NHS)PEO5(Bis(NHS)PEO5), 비스(NHS)PEO9(Bis(NHS)PEO9), 비스(2-[석시이미독시카르보닐옥시]에틸)설폰(Bis(2-[succinimidoxycarbonyloxy]ethyl)sulfone), C6-석신이미딜 4-하이드라진온이코티네이트 아세톤 하이드라진(C6-Succinimidyl 4-hydrazinonicotinate acetone hydrazine), C6-석신이미딜 4-포르밀벤조에이트(C6-Succinimidyl 4-formylbenzoate), 1,4-디-(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미도)부탄(1,4-Di-(3'-[2'yridyldithio]propionamido)butane), 디석신이미딜 글루타레이트(Disuccinimidyl glutarate), 디치오비스(석신이미딜프로피오네이트)(Dithiobis(succimidylpropionate)), 디석신이미딜 서브스트레이드(Disuccinimidyl substrate), 디석신이미딜 타르타레이트(Disuccinimidyl tartarate), 3,3'-디티오비스(설포석신이미딜프로피오네이트(3,3'-Dithiobis(sulfosuccinimidylpropionate)), 에틸렌 글리콜 비스(석신이미딜석시네이트)(Ethylene glycol bis(succinimidylsuccinate)), 석신이미딜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시-(6-아미도카프로에이트)(Succinimidyl4-(N-maleimidomethyl)cyclohexane-1-carboxy-(6-amidocaproate)), 석신이미딜 6-(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ionamido)hexanoate), 석신이미딜 4-하이드라진온이코티네이트 아세톤 하이드라진(Succinimidyl 4-hydrazinonicotinate acetone hydrazine), N-석신이미딜 6-(4'-아자이드-2'-니트로페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N-Succinimidyl 6-(4'-azide-2'-nitrophenylamino)hexanoate), 석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아미도벤조에이트(Succinimidyl(4-iodoacetyl)aminobenzoate), 석신이미딜-6-(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ccinimidyl-6-(β-maleimidopropionamido)hexanoate), 4-석신이미딜옥시카르보닐메틸-α-(2-피리딜디치오)톨루엔(4-Succinimidyloxycarbonylmethyl-α-(2-pyridyldithio)toluene), N-석신이미딜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오네이트(N-Succinimidyl 3-(2-pyridyldithio)propionate), 에틸렌 글리콜 비스(설포-석신이미딜석시네이트(Ethylene glycol bis(sulfo-succinimidylsuccinate)), 설포석신이미딜 6-(α-메틸-α-[2-피리딜디치오)톨루아미도]헥사노에이트)( Sulfosuccinimidyl 6-[α-methyl-α-(2-pyridyldithio)toluamido]hexanoate), 설포석신이미딜 6-(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lfo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ionamido)hexanoate), 설포석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Sulfosuccinimidyl(4-iodo-acetyl)aminobenzoate), 설포석신이미딜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Sulfosuccinimidyl4-(N-maleimido-methyl)cyclohexane-1-carboxylate), 설포석신이미딜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Sulfosuccinimidyl4-(p-maleimidophenyl)butyrate) 및 TSAT(Tris-(succimimidylaminotricetate)(Trifunction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은 전체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유효성분에 의한 효과 제공에 한계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의 경시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반응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의 일 구현예로서,
모발 표면에 과량 존재하는 케라틴 단백질의 아미노산과 반응성 모발 표면 개질 성분(제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이 1차 반응하고, 1차 반응 후 남아있는 관능기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관능기와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과 2차 반응하는 과정으로 생체 결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모발 표면 상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생체 결합 반응을 통해 적층시키는 경우에 생체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성분이 분자 내에 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이라 함은,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으로 모발 표면의 아미노산과 반응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관능기와 상기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표면 개질 성분을 모발에 반응시키고,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과 반응 후 남아있는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관능기와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표면 개질 성분(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반응시키는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과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이 번갈아 반응하여 적층시켜 개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사용예로,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샴푸와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린스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경우,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과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번갈아가며 적층함으로써 다층 구조의 개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모발 메커니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피부 또는 섬유에서도 동일한 메커니즘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피부 또는 섬유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반응시켜 적층된 다층 구조의 개질층 최외부에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효능 성분을 추가로 반응시킴으로써 최종적인 효능을 부여하는 효능 성분이 결합되어 표면 개질 효과 이외에 추가적인 효능 부여가 가능하다. 상기 효능 성분은 항산화, 컨디셔닝, 윤기, 광택, 보습, 미백, 자외선 차단, 향, 주름 방지, 모발 볼륨, 비듬 가려움 개선, 양모육모, 여드름 케어, 섬유 케어, 구강 케어, 체취 방지, 손발톱 케어, 아토피 케어, 염색, 마이크로캡슐, 나노캡슐, 마이크로니들, 니들패치, 포접 또는 생체 접합의 효능을 가지는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 증대를 위하여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 개질용 케어 제품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에 있어서, 샴푸-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 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부직포, 시트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에 있어서, 스킨, 로션, 에센스, 세럼, 크림, 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포인트 메이크업 등의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섬유에 있어서도, 섬유유연제, 섬유 염색제, 세탁세제, 부분처리제 등의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케어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모발 케어 제품의 하나의 구현예로, 샴푸 조성물에 12-머캡토도데카논산 NHS 에스테르 가 포함되고, 린스 조성물에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로닐 하이드라자이드 가 포함되어 있을 시, 샴푸 린스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모발 표면 단백질 아미노산에 화합물 12-머캡토도데카논산 NHS 에스테르와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로닐 하이드라자이드가 아미이드(amide) 결합, 이황화 결합을 지속적으로 형성함에 따라 모발 표면 개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화장품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모발 표면 개질 성분 기능을 갖는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에서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모발 및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을 상기 표면 개질용 조성물로 공유 결합하여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의 개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을 상기 표면 개질용 조성물로 아마이드 결합, 치오에테르 결합 또는 이황화 결합하여 제 1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개질층 상에 상기 표면 개질용 조성물로 아마이드 결합. 치오에테르 결합 또는 이황화 결합하여 제 2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의 개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표면 개질 방법은 제 1 개질층 및 제 2 개질층을 교대로 적층하는 과정을 1회 이상 실시하여 다층 구조의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개질 방법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가진 효능 성분을 사용하여 적층을 마무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 결합은 NHS 또는 술포-NHS와 아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마이드 결합은 pH 2-1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6-10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7-9 정도의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반응 효율이 가장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황화 결합은 피리딜 디설파이드(Pyridyl disulfide)와 치올(thiol)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황화 결합은 pH 2-1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5-9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6.5-7.5 정도의 중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반응 효율이 가장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치오에테르(thioether) 결합은 할로아세틸(Haloacetyl)과 치올(thiol)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와 치올(thiol)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할로아세틸(Haloacetyl)과 치올(thiol)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치오에테르(thioether) 결합은 pH 4-14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6.0-10.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pH 7.0-9.0 정도의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말레이미드(Maleimide)와 치올(thiol)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치오에테르(thioether) 결합은 pH 2-1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5-9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6.5-7.5 정도의 중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반응 효율이 가장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형성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의 수분 내에 완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의 일 구현예로, 1단계 반응으로 동일 분자 내에 NHS 에스테르(N-Hydroxysuccinimide ester)와 치올(thiol)을 포함하는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모발 표면에 반응시켜 모발 표면 단백질에 존재하는 아민(amine)과 NHS 에스테르가 아마이드(amide) 결합을 형성시킨다. 2단계 반응으로 동일 분자 내에 아민과 피리딜 디설파이드(pyridyl disulfide)를 포함하는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반응시켜, 1단계 반응 후 남아 있는 모발 표면에 결합된 표면 개질 성분 말단의 치올(thiol)과 피리딜 디설파이드(pyridyl disulfide) 사이에 이황화(disulfide) 결합을 형성시킨다. 이 후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 분자 내에 NHS 에스테르와 치올을 포함하는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반응시키면, 2단계 반응 결과물 말단에 노출된 아민과 반응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고, 반응 후 남아있는 관능기인 치올과 반응 가능한 피리딜 디설파이드와 아민을 동시에 가지는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이황화 결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동일 분자 내에 둘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연속적으로 반응시킴에 따라, 모발 표면에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이 공유결합을 형성하며 적층되어 지속적으로 다층 구조의 개질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모발 표면 개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반응 시, NHS 또는 술포-NHS와 아민이 반응하는 아마이드 결합은 pH 2-1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6-10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7-9 정도의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반응 효율이 가장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피리딜 디설파이드(Pyridyl disulfide)와 치올(thiol)이 반응하는 이황화 결합은 pH 2-1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5-9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6.5-7.5 정도의 중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반응 효율이 가장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할로아세틸(Haloacetyl)과 치올(thiol)이 반응하는 치오에테르(thioether) 결합은 pH 4-14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6.0-10.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pH 7.0-9.0 정도의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말레이미드(Maleimide)와 치올(thiol)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치오에테르(thioether) 결합은 pH 2-10의 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 5-9에서 반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6.5-7.5 정도의 중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반응 효율이 가장 증대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모든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의 수분 내에 완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하기 반응식 1에서 NHS 에스테르와 치올을 동시에 포함하는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이 모발 표면 케라틴 단백질의 아민을 포함하는 리신(lysine)과 1차 반응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고 뒤이어 피리딜 디설파이드와 아민을 동시에 갖는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과 반응하여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1차, 2차 반응으로 나타냈다. 3차, 4차 반응은 1차, 2차 반응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마이드 결합 및 이황화 결합을 통해 다층 구조의 개질층을 형성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하기 반응식 1은 다층 구조의 개질층 형성 반응의 일부분일 뿐이며, 반응은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110368481-pat00001
이렇게 모발과 결합된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은 샴푸나 세제,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척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모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에 반응성 관능기가 둘 이상 포함된 표면 개질 성분을 반응시켜 다층 구조의 개질층(multilayer)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다층(multilayer) 형성을 통해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가진 효능 성분을 추가 사용하여 개질층의 최외부에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개질 효과 외에 부가적인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6
하기 표 1~2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한 후 모발의 인장 강도 및 굵기를 측정하여 모발 표면 개질 효과 중 한 예로 모발 강화 효과 및 모발 굵기 증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모발 공급 업체인 뷰렉스사의 정상 모발을 치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1제에 20분간 처리하고 여기에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가 포함된 2제를 처리하여 10분간 방치한 후 샴푸로 씻어내는 방법으로 펌을 실시하여 펌 손상 모발을 제작하였다.
모발에 단순히 흡착된 유효성분의 영향을 배제하고, 결합된 성분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SLES(Sodium Lauryl Ether Sulfate) 15% 용액으로 모발을 1회 세정 후 인장강도 및 모발 굵기를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측정 결과는 모발 100가닥 측정 결과의 평균 값을 나타내었다.
손상 전의 정상 모발과 손상 후의 손상 모발의 인장강도를 모발 인장강도 특정장치(Diastron Generic Tensil Tester)를 사용하여 Clamping Distance 20mm, 인장속도 20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정상 모발의 인장강도는 각 시험 시 측정한 뷰렉스 정상 모발 50가닥의 인장강도 평균한 값을 나타내며, 펌 모발의 인장강도는 상기 방법으로 뷰렉스 정상 모발을 펌 손상 처리한 모발 50가닥의 인장강도 평균값을 나타내며, 펌 손상 모발 50 가닥에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여 시료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펌 손상 모발 대비 인장강도 증가율을 계산하였다.
손상 전의 정상 모발과 손상 후의 손상 모발의 모발 굵기 변화를 모발 단면적 측정장치(Laser Scan Micrometer, Mitutoyo社 LSM 3100)를 사용하여 처리 전과 후의 모발 장/단축 길이를 측정 후 하기 수학식 1로 환산하여 단면적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단면적(m2) =
Figure 112015110368481-pat00002
상기 수학식 1로 환산된 처리 전/후의 단면적의 평균 증감률은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2]
단면적 평균 증감률 (%) =
Figure 112015110368481-pat00003
구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증류수 48.0 48.0 48.0 48.0 48.0 48.0
12-머캡토도데카노산 NHS 에스테르(Mercaptododecanoic acid NHS ester) - - - - - -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오닐 하이드라자이드(3-(2-pyridyldithio)
propionyl hydrazide)
- - - - - -
12-머캡토도데카노산 1.0  1.0 1.0 1.0 1.0 1.0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산 1.0 1.0 1.0 1.0 1.0 1.0
완충액(pH 7) 50.0 50.0 50.0 50.0 50.0 5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처리 횟수 1회 5회 10회 1회 5회 10회
구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증류수 48.0 48.0 48.0 48.0 48.0 48.0
12-머캡토도데카노산 NHS 에스테르
(제1 반응성 표면개질성분)
1.0 1.0 1.0 1.0 1.0 1.0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오닐 하이드라자이드
(제2 반응성 표면개질성분)
1.0 1.0 1.0 1.0 1.0 1.0
12-머캡토도데카노산 - - - - - -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산 - - - - - -
완충액(pH 7) 50.0 50.0 50.0 50.0 50.0 5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처리 횟수 1회 5회 10회 1회 5회 10회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모발 인장강도 측정 실험결과(표 3), 반응성 관능기를 하나 이하 포함한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1회 또는 반복 처리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반응성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한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1회 또는 반복 처리한 실시예 1~3의 경우가 인장강도가 현저히 증가되어 모발 표면 개질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분 정상 모발의
인장강도 값(gmf)
펌 손상 모발의 인장강도 값 (gmf) 펌 손상 모발에 시료 처리 후의 인장강도 값 (gmf) 펌 손상모 대비 인장 강도 증가율 (%)
비교예 1 47.94 45.43 45.55 0.26
비교예 2 48.12 46.03 46.17 0.30
비교예 3 48.54 45.98 46.12 0.30
실시예 1 48.97 46.72 49.85 6.70
실시예 2 47.83 46.99 53.37 13.58
실시예 3 48.09 45.96 55.96 21.76
상기 실시예 4~6 및 비교예 4~6의 모발 굵기 측정 실험결과(표 4), 반응성 관능기를 하나 이하 포함한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1회 또는 반복 처리한 비교예 4 내지 6에 비하여 반응성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한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1회 또는 반복 처리한 실시에 4 내지 6의 경우가 모발 단면적이 현저히 증가되어 모발 굵기 증대 효과 즉, 모발 표면 개질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분 정상 모발의
모발 단면적(νm2)
펌 손상 모발의 모발 단면적 (νm2) 펌 손상 모발에 시료 처리 후의 모발 단면적 (νm2) 펌 손상모 대비 모발 단면적 증가율 (%)
비교예 4 4042.56 3642.89 3649.82 0.19
비교예 5 3912.08 3648.23 3652.09 0.11
비교예 6 3998.42 3709.73 3717.76 0.22
실시예 4 4013.37 3731.63 3856.69 3.35
실시예 5 3897.68 3618.88 3923.37 8.41
실시예 6 3937.84 3680.70 4213.09 14.46
제제예 : 모발 표면 개질용 헤어 제품 제조
1) 제 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헤어 샴푸 제조
통상적인 헤어 제품의 제조 방법에 따라, 하기 표 5의 성분과 함량으로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
폴리 쿼터니움 0.5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 나트륨 30.0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2.0
카보폴-1342 0.3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12-머캡토도데카노산 NHS 에스테르
(제 1 반응성 모발 표면 개질 성분)
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완충액 (pH 7.0) 잔량
합계 100.0
2) 제 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헤어 린스 제조
통상적인 헤어 제품의 제조 방법에 따라, 하기 표 6의 성분과 함량으로 헤어 린스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68%) 3.3
스테아라미도 디메틸아민 2.0
프로필렌글리콜 0.5
구연산 0.1
세틸알코올 2.0
스테아릴알코올/세테아레스-20 1.0
사이클로메치콘 3.25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오닐 하이드라자이드
(제 2 반응성 모발 표면 개질 성분)
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완충액 (pH 7.0) 잔량
합계 100.0

Claims (14)

  1. 표면 개질 성분에,
    1)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인 아민,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말레이미드,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치올,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및
    2)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피리딜 디설파이드, 치올, 할로아세틸, 아민, 카보네이트, 말레이미드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관능기 하나 이상;을 동일 분자 내 동시에 가지는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
    을 포함하는 지속적으로 모발, 피부 또는 섬유 표면에 적층 가능한 표면 개질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성분은 천연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표면 개질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는 치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또는 아민(amine)인 표면 개질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은 12-머캡토도데카논산 NHS 에스테르(12-Mercaptododecanoic acid NHS ester),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로닐 하이드라자이드(3-(2-pyridyldithio) propionyl hydrazide), N-(4-[p-아지도살리실아미도]부틸)-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마이드(N-(4-[p-Azidosalicylamido]butyl)-3'-(2'-pyridyldithio)propionamide), 4-(p-아지도살리실아미도)-부틸아민(4-(p-Azidosalicylamido)-butylamine, 비스(설포석신이미딜)글루타레이트-d0(Bis(sulfosuccinimidyl)glutarate-d0), 비스(설포석신이미딜)2,2,4,4-글루타레이트-d4(Bis(sulfosuccinimidyl)2,2,4,4-glutarate-d4), 비스(설포석신이미딜)서베레이트(Bis(sulfosuccinimidyl)suberate), 비스(설포석신이미딜)서베레이트-d0(Bis(sulfosuccinimidyl)suberate-d0), 비스(설포석신이미딜)2,2,7,7-서베레이트-d4(Bis(sulfosuccinimidyl)2,2,7,7-suberate-d4), 비스(NHS)PEO5(Bis(NHS)PEO5), 비스(NHS)PEO9(Bis(NHS)PEO9), 비스(2-[석시이미독시카르보닐옥시]에틸)설폰(Bis(2-[succinimidoxycarbonyloxy]ethyl)sulfone), C6-석신이미딜 4-하이드라진온이코티네이트 아세톤 하이드라진(C6-Succinimidyl 4-hydrazinonicotinate acetone hydrazine), C6-석신이미딜 4-포르밀벤조에이트(C6-Succinimidyl 4-formylbenzoate), 1,4-디-(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미도)부탄(1,4-Di-(3'-[2'yridyldithio]propionamido)butane), 디석신이미딜 글루타레이트(Disuccinimidyl glutarate), 디치오비스(석신이미딜프로피오네이트)(Dithiobis(succimidylpropionate)), 디석신이미딜 서브스트레이드(Disuccinimidyl substrate), 디석신이미딜 타르타레이트(Disuccinimidyl tartarate), 3,3'-디티오비스(설포석신이미딜프로피오네이트(3,3'-Dithiobis(sulfosuccinimidylpropionate)), 에틸렌 글리콜 비스(석신이미딜석시네이트)(Ethylene glycol bis(succinimidylsuccinate)), 석신이미딜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시-(6-아미도카프로에이트)(Succinimidyl4-(N-maleimidomethyl)cyclohexane-1-carboxy-(6-amidocaproate)), 석신이미딜 6-(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ionamido)hexanoate), 석신이미딜 4-하이드라진온이코티네이트 아세톤 하이드라진(Succinimidyl 4-hydrazinonicotinate acetone hydrazine), N-석신이미딜 6-(4'-아자이드-2'-니트로페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N-Succinimidyl 6-(4'-azide-2'-nitrophenylamino)hexanoate), 석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아미도벤조에이트(Succinimidyl(4-iodoacetyl)aminobenzoate), 석신이미딜-6-(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ccinimidyl-6-(β-maleimidopropionamido)hexanoate), 4-석신이미딜옥시카르보닐메틸-α-(2-피리딜디치오)톨루엔(4-Succinimidyloxycarbonylmethyl-α-(2-pyridyldithio)toluene), N-석신이미딜 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오네이트(N-Succinimidyl 3-(2-pyridyldithio)propionate), 에틸렌 글리콜 비스(설포-석신이미딜석시네이트(Ethylene glycol bis(sulfo-succinimidylsuccinate)), 설포석신이미딜 6-(α-메틸-α-[2-피리딜디치오)톨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lfosuccinimidyl 6-[α-methyl-α-(2-pyridyldithio)toluamido]hexanoate), 설포석신이미딜 6-(3'-[2-피리딜-디치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Sulfo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ionamido)hexanoate), 설포석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Sulfosuccinimidyl(4-iodo-acetyl)aminobenzoate), 설포석신이미딜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Sulfosuccinimidyl4-(N-maleimido-methyl)cyclohexane-1-carboxylate), 설포석신이미딜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Sulfosuccinimidyl4-(p-maleimidophenyl)butyrate) 및 TSAT(Tris-(succimimidylaminotricetate)(Trifunction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표면 개질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은
    표면 개질 성분에 치올 및 NHS 에스테르를 동일 분자 내 동시에 가지는 제1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 및,
    표면 개질 성분에 아민 및 피리딜 디설파이드를 동일 분자 내 동시에 가지는 제2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표면 개질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은 전체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항산화, 컨디셔닝, 윤기, 광택, 보습, 미백, 자외선 차단, 향, 주름 방지, 모발 볼륨, 비듬 가려움 개선, 양모육모, 여드름 케어, 섬유 케어, 구강 케어, 체취 방지, 손발톱 케어, 아토피 케어, 염색, 또는 생체 접합의 효능을 가지는 표면 개질용 조성물.
  9. 청구항 1의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어 제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58976A 2015-11-12 2015-11-12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177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976A KR101773678B1 (ko) 2015-11-12 2015-11-12 표면 개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976A KR101773678B1 (ko) 2015-11-12 2015-11-12 표면 개질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74A KR20170055774A (ko) 2017-05-22
KR101773678B1 true KR101773678B1 (ko) 2017-08-31

Family

ID=5904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976A KR101773678B1 (ko) 2015-11-12 2015-11-12 표면 개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938B1 (ko) * 2017-05-31 2023-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머용 조성물
KR20230173295A (ko) 2022-06-17 2023-1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비상 탈출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18B1 (ko) * 2013-12-09 2014-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18B1 (ko) * 2013-12-09 2014-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74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552B2 (en)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JP6530031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US20190380936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KR101453218B1 (ko) 컨디셔닝 화장료 조성물
KR101585343B1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59161A1 (en) Keratin derivativ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481393B2 (ja) カチオン性コポリマーによる光沢および非日光性日焼け色の強化
KR20170099656A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3678B1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415236B1 (ko)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KR20090090138A (ko) 피부 또는 모발의 단백질과 결합하는 반응성 분기쇄의 지질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반응성 퍼스널 케어 제품
KR102502511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7932A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491996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7526B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CN112236126A (zh) 一种头发处理方法
KR102025304B1 (ko)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KR20180003870A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1997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3549A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11076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structuring hair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thereof
KR20230137716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미용 방법
KR20210050907A (ko) 결합수분 증대 및 항상성 유지 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