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037A -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 - Google Patents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037A
KR20180081037A KR1020187008060A KR20187008060A KR20180081037A KR 20180081037 A KR20180081037 A KR 20180081037A KR 1020187008060 A KR1020187008060 A KR 1020187008060A KR 20187008060 A KR20187008060 A KR 20187008060A KR 20180081037 A KR20180081037 A KR 2018008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axis
article
tubular
low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309B1 (ko
Inventor
에토레 로나티
파우스토 로나티
프란체스코 로나티
Original Assignee
로나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나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로나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8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GMECHANICAL OR PRESSURE CLEANING OF CARPETS, RUGS, SACKS, HIDES, OR OTHER SKIN OR TEXTILE ARTICLES OR FABRICS; 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0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2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23/007Sewing units for assembling parts of knitted panties or closing the stocking toe part
    • D05B23/009Toe clo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가 개시된다. 이 뒤집기 장치는, 관형체(3)를 지지하는 주 지지 구조체(2)를 포함하고, 관형체는 자신의 축선(4)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있도록 배치된다.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을 따라 경사진 축방향 상단부(3a)를 가지고 있다. 뒤집기 장치는, 관형체(3)를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자신의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 1 작동 수단(5)을 포함한다. 관형체(3)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해 축방향 상단부(3a)로 관형 물품(60)의 축방향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당해의 뒤집기 장치는 제 2 작동 수단(6, 6a)을 포함하고, 이 제 2 작동 수단은 관형체(3)를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로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
본 발명은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관형 물품의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해의 장치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관형 물품을 뒤집을 필요가 있는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관형 물품을 이의 축방향 단부에서 자동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예컨대, 양말의 발가락 부분을 자동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재봉 또는 연결 스테이션에서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해 특별히 창안된 것이다.
원형 편직 또는 양말 기계에서 편직된 관형 물품, 특히 양말의 제조가 끝나면 그 물품 또는 양말을 그의 축방향 단부에서 자동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들 기술 중의 일부는, 제조가 끝나면 원형 양말 또는 편직 기계에서 물품을 픽업하여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일반적으로 물품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되는 기계 옆에 배치됨)에 전달하는 것에 기초한다.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는, 물품의 축방향 단부의 폐쇄를 수행하는 연결 또는 재봉 헤드가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물품의 제조가 끝나는 축방향 단부로 구성된다.
일부 기술은 물품을 제조한 기계로부터 그 물품을 픽업하고 물품의 축방향 단부를 폐쇄하는 재봉 또는 연결 작업 동안에 물품을 지지하는 단일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다른 기술로는, 물품을 픽업하여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장치가 있고, 또한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배치되고 다른 재봉 또는 연결 작업을 위해 물품을 준비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재봉 또는 연결 동안에 물품을 연결 또는 재봉 헤드에 대해 이동시키는 취급 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제조하는 기계로부터 그 물품을 픽업하고 선택적으로 취급 장치에 전달하는 것은, 물품으로 형성되는 편직물의 마지막 열의 편직 루프와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행해지고, 편직물의 그러한 마지막 열의 절반 열의 편직 루프는 재봉 또는 연결로 진행하기 전에 다른 절반 열의 편직 루프 쪽으로 개별적으로 향하게 되며, 그래서 물품의 축방향 단부의 폐쇄는, 각 경우 형성된 편직물의 마지막 열을 구성하는 두 절반 열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루프를 연결하여 수행된다. 이로써, 관형 물품, 특히 양말의 축방향 단부의 자동적인 폐쇄시 정확도와 외양 면에서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들 두 기술에서, 매우 종종 재봉 또는 연결 작업은 뒤집힌 상태의 물품에서 수행되며, 그래서 재봉 또는 연결 체인은 물품의 외측, 즉 일반적으로 물품이 마모되면 보이는 측에서는 쉽게 보이지 않다.
이러한 이우로, 편직된 관형 물품의 일 축방향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이들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재봉 또는 연결 스테이션에서, 물품에 대해 재봉 또는 연결 작업을 하고 재봉 또는 또는 연결 작업 후에 물품을 바른 상태로 만들기 위해 물품을 선택적으로 다시 뒤집기 전에, 물품을 제조하는 기계로부터 바른 상태로 취해지는 물품을 뒤집는 기능을 갖는 뒤집기 장치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용도의 뒤집기 장치의 가장 흔한 종류 중의 하나는 관형체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는데, 이 관형체는, 아래쪽에서 물품과 대향하고, 그 물품은 폐쇄될 축방향 단부에서 픽업 장치 또는 취급 장치에 의해 유지되고 그러한 축방향 단부가 위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관형체는 또한 그의 축방향 상단부로 매달려 있는 물품과 대향하도록 그의 축선이 수직인 상태에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관형체의 내부는 축방향 상단부를 통해 물품을 흡인하도록 흡인 수단에 연결되고, 그 물품은 폐쇄될 축방향 단부에서 픽업 장치 또는 취급 장치에 의해 유지된다. 그런 다음, 관형체가 들어 올려져, 관형체의 축방향 상단부가 픽업 장치 또는 취급 장치와 결합해 있는 물품의 축방향 단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통과의 결과로, 물품은 관형체의 외측면에서 밖으로 향하게 되고, 뒤집기를 수행하여 관형체의 축방향 상단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빠지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뒤집기 장치가 예컨대 유럽 특허 EP 2,250,307 B1에 나타나 있다.
픽업 장치 또는 취급 장치와 결합하고 있는 물품의 축방향 단부를 통해 관형체를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관형체의 측면에서 물품을 뒤집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형체의 축방향 상단부는 일반적으로 관형체의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 평면을 따라 경사져 있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발가락 부분 또는 축방향 단부의 폐쇄 전에 원형 제조 기계로부터 분배되는 양말, 즉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반완성 블랭크는 일반적으로 측면에서 돌출하는 2개의 포켓을 가지며, 이들 포켓은 양말의 뒤꿈치 및 발가락 부분 캡을 구성하고 그 근처에서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재봉 또는 연결이 실행된다.
관형체의 경사진 축방향 상단부가 물품 뒤집기 작업 동안에 이들 돌출 포켓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형체는 자신의 축선 주위에 위치되어, 경사 팁은 포켓을 갖지 않는 물품의 측면의 절반에 영향을 주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사실, 뒤꿈치 및 발가락 부분 캡은 관형 물품의 측면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뒤꿈치 및 발가락 부분 캡은 관형 물품의 측면의 동일한 절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양말의 발부의 상측에서 재봉 또는 연결이 행해지는 양말에 존재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양말의 발부의 하측에서 재봉 또는 연결이 행해지게 된다. 이들 경우, 발가락 부분 캡은 뒤꿈치가 배치되는 절반에 대해 관형 물품의 측면의 반대편 절반에 배치된다.
이들 경우, 발가락 부분 캡의 폐쇄를 위한 재봉 또는 연결을 위한 준비로 물품을 뒤집하는 작업 동안에, 관형체의 자신의 축선 주위에서의 배향에 따라, 뒤집기 장치의 관형체의 축방향 상단부의 경사 팁이 이들 포켓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원치 않게 달라 붙을 수가 있다. 관형체가 이들 포켓 중의 하나에 달라 붙으면, 뒤집기 동안에 물품의 손상 또는 심지어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표는,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하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로서, 관형체의 경사 단부가 뒤집힐 관형 물품의 포켓 안에 달라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여,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관형 물품에 대한 손상을 피하면서, 측면의 동일한 측에서 뒤집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 및 측면의 양 상호 반대 측에 포켓이 배치되어 있는 관형 물품 모두를 정확하게 뒤집을 수 있는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행하기가 간단한 수정을 통해 통상적인 뒤집기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형체가 물품의 포켓 안에 원치 않게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의 제조 사이클의 원치 않는 중단을 방지하는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 명백하게 될 상기 목표와 이들 및 다른 목적은,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로 달성되는데, 이 뒤집기 장치는, 관형체를 지지하는 주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체는 자신의 축선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관형체는 자신의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을 따라 경사진 축방향 상단부를 가지며, 관형체를 상기 주 지지 구조체에 대해 자신의 축선을 따라 병진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 1 작동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체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해 상기 축방향 상단부로 관형 물품의 축방향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뒤집기 장치는 제 2 작동 수단을 포함하고, 제 2 작동 수단은 관형체를 상기 주 지지 구조체에 대해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로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의 바람직하되 비배타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고, 본 발명의 뒤집기 장치는 첨부 도면에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8은, 관형 물품을 뒤집는 다양한 단계에서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의 개략적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은 물품을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위치시키는 작업 동안 및 뒤집기 장치의 관형체의 축방향 상단부를 통해 물품을 흡인하는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는 도 1의 확대 부분이다.
도 1b는 도 1a의 추가 확대 상세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다른 추가 확대 상세도이다.
도 1d는 도 1의 다른 확대 부분이다.
도 2는 물품을 제조한 기계로부터 그 물품을 픽업하기 위해 사용되는 픽업 장치로부터 물품이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배치되어 있는 취급 장치에 전달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2의 확대 부분이다.
도 3은 픽업 장치로부터 물품이 취급 장치에 전달되는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뒤집기 장치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나타나 있다.
도 3a는 도 3의 확대 부분이다.
도 4는 물품의 뒤집기가 시작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a는 도 4의 확대 부분이다.
도 4b는 도 4의 다른 확대 부분이다.
도 5 및 6은 관형체를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는 도 5의 확대 부분이다.
도 5b는 도 5의 다른 확대 부분이다.
도 5c는 도 5b의 추가 확대 상세도이다.
도 5d 및 5e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뒤집기 단계에 대한 제 2 작동 수단의 작동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도 6의 확대 부분이다.
도 6b는 도 6의 다른 확대 부분이다.
도 7은 물품을 뒤집는 중간 단계를 나타낸다.
도 7a는 도 7의 확대 부분이다.
도 7b는 도 7의 다른 확대 부분이다.
도 7c는 도 7b의 추가 확대 상세도이다.
도 7d 및 7e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뒤집기 단계에 대한 제 2 작동 수단의 작동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거의 완성된 물품의 뒤집기를 나타낸다.
도 8a는 도 8의 확대 부분이다.
도 8b는 도 8의 다른 확대 부분이다.
도 9는 제 2 작동 수단의 일 변형 실시 형태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가, 원형 편직 또는 양말 기계에서 제조되는 예컨대 양말과 같은 편직 관형 물품의 축방향 일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연결 또는 폐쇄 스테이션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는 관형 물품이 축방향 단부 중의 하나를 재봉하거나 연결하여 폐쇄되는지에 관계 없이 그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해 더 일반적으로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 로 나타나 있고, 관형체(3)를 지지하는 주 지지 구조체(2)를 포함하고, 그 관형체는 자신의 축선(4)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있도록 배치된다.
관형체(3)는 축선(4)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을 따라 경사진 축방향 상단부(3a)를 가지고 있다.
뒤집기 장치는 제 1 작동 수단(5)을 포함하고, 이 작동 수단은 관형체(3)를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 병진 이동에 의해, 관형체(3)는 관형 물품(60)을 뒤집기 위해 축방향 상단부(3a)로 그 관형 물품의 축방향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해의 뒤집기 장치는 제 2 작동 수단(6)을 포함하고, 이 작동 수단은 관형체(3)를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로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대응 지지 요소(7)에 의해 지지되며, 이 지지 요소는 관형체(3)의 축선(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된다.
더 구체적으로, 관형체(3)의 지지 요소(7)는, 주 지지 구조체(2)에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 가이드(9)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더(8)를 포함한다.
제 1 작동 수단(5)은, 본체로 주 지지 구조체(2)에 고정되는 전기 모터(10)를 포함하고, 이 전기 모터의 출력 축은 수직 축선을 갖는 나사 축(11)에 연결되어 있고, 이 나사 축은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된다.
나사 축(11)은 슬라이더(8)와 관련되어 있는 암 나사(12)와 맞물리며, 그래서 전기 모터(10)에 의해 나사 축(11)이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 운동하면, 슬라이더(8)가 가이드(9)를 따라 병진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관형체(3)가 축선(4)에 평행하게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병진 이동하게 된다.
관형체(3)는 그의 축방향 하단부(3b)로 그와 동축인 하측 슬리브(13)에 연결되며, 이 하측 슬리브는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관형체(3)의 지지 요소(7), 즉 슬라이더(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관형체(3)는 그의 축방향 하단부(3b)로 하측 슬리브(13)에 분리 가능하게 또한 자신의 축선(4)(하측 슬리브(13)의 축선과 일치함) 주위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래서, 하측 슬리브(13)와 관형체(3)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하측 슬리브(13)가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 관형체(3)가 동일한 축선 주위로 회전하게 되고, 또한 하측 슬리브(13)가 관형체(3)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반대로 관형체가 하측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관형체(3)가 하측 슬리브(13)와 결합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편리하게도, 하측 슬리브(13)에는 탄성 수단(14)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탄성 수단은 관형체의 축방향 하단부(3b) 근처에서 관형체(3)와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그 관형체(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들 탄성 수단(14)은, 관형체(3)의 축방향 하단부(3b)에 삽입될 수 있고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하측 슬리브(13)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박편(15)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박편(15)은 대응 구멍(16)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구멍은 슬리브(1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형체(3)의 축방향 하단부(3b)의 일부분을 통과한다. 실질적으로, 탄성 박편(15)에 작용하는 힘이 없으면, 그 탄성 박편은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구멍(16)이 탄성 박편(15)에 위치하는 경우, 하측 슬리브(13)가 관형체(3)의 축방향 하단부(3b) 안에 삽입되면 탄성 박편이 하측 슬리브(13)의 축선 쪽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져 탄성 반작용에 의해, 관형체(3)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구멍(16)과 결합하게 된다. 탄성 박편(15)과 구멍(16)의 결합에 이어서, 관형체(3)는 공통 축선(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측 슬리브(13)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하측 슬리브(13)를 관형체의 축방향 하단부(3b)로부터 빼내면 하측 슬리브는 관형체(3)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사실, 탄성 박편(15)은 이런식으로 작용하여, 하측 슬리브(13)의 축선(4)의 방향으로 다시 한번 더 휘어져 구멍(16)으로부터 분리된다.
탄성 박편(15)은 하측 슬리브(13)가 관형체(3)에 삽입되어 그 관형체(3)로부터 빠지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윤곽으로 되어 있다.
제 2 작동 수단(6)은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헬리컬 슬롯(17) 및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되는 핀(18)을 포함하고, 제 1 작동 수단(5)의 작용에 의해 하측 슬리브(13)가 관형체(3)와 함께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관형체의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하면 핀은 지시에 따라 그러한 원통형 헬리컬 슬롯(17)과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핀(18)은, 관형체(3)가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할 때 옆에서 하측 슬리브(13)와 대향하도록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된다.
핀(18)은 공압 액츄에이터(19)의 피스톤의 스템에 고정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공압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면, 베어링(18)이 관형체(3)의 축선(4)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베어링이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휴지 위치로부터,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헬리컬 슬롯(17)과 베어링이 결합하는 작동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게 된다.
분명, 베어링 또는 핀(18)이 휴지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은 다른 통상적인 액츄에이터, 예컨대 기계적 또는 전기기계적 액츄에이터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핀(18)은, 제 1 작동 수단(5)의 작동의 결과로 관형체(3)가 중간 상승 위치에 있을 때 하측 슬리브(13)의 측면 쪽을 향하도록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헬리컬 슬롯(17)은 관형체(3)의 축선(4) 주위에 실질적으로 180°의 각도로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있어, 핀(18)이 원통형 헬리컬 슬롯(17)과 결합한 상태에서 관형체(3)가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하면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 주위로 실질적으로 180°로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제 2 작동 수단(6)의 실시 형태에서, 관형체(3)가 하측 슬리브(13)와 함께 축선(4)을 따라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병진 이동하면, 관형체(3)는 하측 슬리브(13)와 함께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한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일 변형 실시 형태에서, 제 2 작동 수단(이 경우 참조 번호 "6a"로 나타나 있음)은, 관형체(3)가 축선(4)을 따라 하측 슬리브(13)와 함께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병진 이동할 필요 없이, 하측 슬리브(13)를 관형체(3)와 함께 축선(4) 주위로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 형태에서, 사실, 제 2 작동 수단(6a)은 슬라이더(8)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20)를 포함하고, 이 전기 모터의 출력 축은, 하측 슬리브(13) 주위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링 기어(22)와 맞물리는 피니언(21)에 연결된다.
도 9에서, 앞 도에서 이미 설명한 요소에 대응하는 뒤집기 장치의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편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는 관형체(3)의 축선(4)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미리 설정된 회전 위치에 관형체(3)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23)을 포함한다.
보가 구체적으로, 이러한 유지 수단(23)은 슬라이더(8)에 의해 지지되는 스냅 핀(24)을 포함하고, 이 스냅 핀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에 따라, 관형체(3)의 축선(4)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이러한 스냅 핀(24)과 결합할 수 있는 시트(seat)(25)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의 일 영역과 대향하게 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 주위로 180°로 회전하게 됨)에서,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영역에 2개의 시트(25)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에는, 주 지지 구조체(2)의 하측 부분(2a)을 포함하는 하측부(1a), 및 주 지지 구조체(2)의 상측 부분(2b)을 포함하는 상측부(1b)가 제공될 수 있고, 하측 부분은 관형체(3)를 자신의 축선(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 1 작동 수단(5)을 지지하며, 상측 부분은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잡기 위한 수단(26)을 지지한다.
뒤집기 장치의 상측부(1b)와 하측부(1a) 사이에는, 뒤집힐 관형 물품(60)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27)이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어 있는 중간 영역(1c)이 있으며, 그 관형 물품은 그의 축방향 단부에서 매달리고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 수단(27)에 의해 유지되는 물품(60)이 관형체(3)의 외측면에서 뒤집히도록,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통해 물품(60)을 흡인한 후에,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관형체(3)가 그의 축방향 상단부(3a)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지지 수단(27)에 매달려 있는 물품(60)의 축방향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물품(60)이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로부터 점진적으로 빠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뒤집기 장치의 하측부(1a)와 상측부(1b) 사이의 중간 영역(1c)에 배치되는 물품(60)의 지지 수단(27)은 환형체(29)가 제공되어 있는 취급 장치(28)를 포함하고, 그 환형체는 자신의 축선이 수직 주 축선(30)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환형체(29)의 하측면에는, 이상적인 원통면(이의 축선은 주 축선(30)과 일치함)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스파이크(31)가 제공되어 있고, 이들 스파이크는 그러한 주 축선(30)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31)는 상단부로 스파이크(31)에 매달려 있는 뒤집힐 물품(6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이 주 축선(30)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지시에 따르 제 1 작동 수단(5)의 작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러한 축선(3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첨부 도면에는, 관형체(3)는 이 위치에서 나타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처럼, 뒤집기 장치가 물품(60)의 일 축방향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위치되기 위한 것이면,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방향 축선(33) 주위로 서로 회전하는 2개의 절반 링(32a, 32b)으로 구성된다. 2개의 절반 링(32a, 32b) 중의 하나(절반 링(32a))는, 절반 링(32a)의 각 스파이크(31)가 절반 링(32b)의 대응 스프이크(31)와 대향하여 정렬되도록 직경 방향 축선(33) 주위로 다른 절반 링(32b)에 대해 역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절반 링(32a, 32b)이 동일 평면 위치에 있으면, 스파이크(31)의 첨단은 아래쪽으로 향하게 되고 절반 링(32a)은 아래쪽에서 절반 링(32b)과 대향하도록 직경 방향 축선(33) 주위로 역전될 수 있다. 취급 장치(28)는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으로부터, 뒤집힐 물품(60)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로 또한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고, 그래서, 그 기계로부터 물품(60)을 픽업하여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보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처럼, 취급 장치(28)는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영구적으로 배치되고, 뒤집힐 물품(60)은, 픽업 장치(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34"로 표시되어 있음)에 의해, 그 물품을 제조한 기계로부터 취급 장치(28)에 전달된다. 픽업 장치(34)는 환형 픽업체(35)를 포함하고, 이 환형 픽업체는 복수의 픽업 요소(36)를 지지하고 그의 축선(37)이 수직 방향으로 있도록 배치된다. 각 픽업 요소(36)는 픽업체(35)의 축선(37)에 대한 반경 방향 평면 내에 배치되는 박편체를 가지며, 이 박편체는 지시에 따라 픽업체(35)의 축선(37) 쪽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다. 픽업 요소(36)는 물품(60)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형 편직 또는 양말 기계의 바늘 사이의 각도 간격에 대응하여 축선(37) 주위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으며, 그래서, 픽업체(35)를 기계의 바늘 실린더 주위에 동축으로 위치시켜 편리하게 축선(37)을 따라 이동시키면, 각 픽업 요소(36)는 기계의 바늘과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게 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예의 픽업 요소(36)의 단부는, 위쪽으로 개방된 훅크 형태로 형성된 픽업체(35)의 축선(37) 쪽으로 향한다. 그러한 단부는 기계의 대응 바늘과 결합할 수 있고(각 픽업 요소(36)가 그 대응 바늘쪽으로 향함), 그러한 바늘로부터 편직 루프를 픽업하여, 물품(60)을 제조한 기계로부터 그 물품을 제거할 수 있다. 각 픽업 요소(60)의 동일한 단부는 스파이크(31)에 연결되어, 물품(60)을 픽업 장치(34)로부터 취급 장치(28)에 전달할 수 있다. 스파이크(31)는 사실 픽업 장치(34)의 픽업 요소(36)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에 대응하는 각도 간격에 따라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의 축선 주위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본질적으로, 각 픽업 요소(36)는 취급 장치(28)의 스파이크(31)에 대응하고, 픽업 장치(34)가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배치되면, 픽업체(35)는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와 동축인 위치에 배치되고, 이때, 픽업 요소(36)는 스파이크(31)의 고리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각 픽업 요소(36)는 스파이크(31)와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다.
물품(60)의 편직 루프가 픽업 요소(36)로부터 취급 장치(28)의 스파이크(31)에 전달되는 것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절반 링(32a)이 절반 링(32b)에 대해 동일 평면 위치에 있을 때, 픽업체(35)를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 아래쪽에 동축으로 위치시키고 각 픽업 요소(36)의 단부를 스파이크(31) 중의 하나와 결합시켜 또한 즉 절반 링(32b) 아래쪽에서 절반 링(32a)을 역전시키기 전에 수행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는 수직 축선 중공 실린더(38) 주위에 동축으로 연결되며, 그 중공 실린더는 자신의 축선 주위(주 축선(30)과 일치함)로 회전할 수 있도록 대응 지지 구조체(39)에 의해 지지된다. 절반 링(32b)은 중공 실린더(38)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절반 링(32a)은 직경 방향 축선(33) 주위로 중공 실린더(38)에 피봇되어 있다.
절반 링(32a)은 직경 방향 축선(33) 주위로 역전될 수 있고, 중공 실린더(38)는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예컨대, EP 2,250,307 B1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으로 지지 구조체(39)에 대해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편리하게도, 제 1 축방향 밀기 요소(40)이 있으며, 분명 픽업 요소(36)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 픽업 장치(34)의 픽업 요소(36)가 스파이크(31)와 연결되면 픽업 요소는 그 픽업 요소 및 취급 장치(28)의 동일한 스파이크(31)와 상호 작용하여, 픽업 요소(36)로부터 편직 루프를 스파이크(31)에 개별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축방향 밀기 요소(41)이 있으며, 절반 링(32a)이 절반 링(32b) 아래쪽에서 역전될 때 절반 링(32b)의 스파이크(31)으로부터 편직 루프를 절반 링(32a)의 스파이크(31)로 이동시키기 위해 또는 재봉 또는 연결 작업 후에 절반 링(32a)의 스파이크(31)로부터 물품(60)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 2 축방향 밀기 수단은 취급 장치(28)의 스파이크(31)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제 1 축방향 밀기 요소(40) 및 제 2 축방향 밀기 요소(41)는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예컨대, EP 2,250,307 B1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의 상부(1b)는,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와 결합할 수 있는 그립 수단(26)을 포함하고, 제 1 작동 수단(5)으로 얻어질 수 있는 들어올림에 추가로 관형체(3)를 더 들어올리기 위해 작동할 수 있는 제 3 작동 수단(42)이 있다.
그립 수단(26) 및 제 3 작동 수단(42)은 축선이 주 축선(30)에 있도록 배치되는 상측 슬리브(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측 슬리브(43)는 제 3 작동 수단(42)에 의해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주 축선(3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상측 슬리브(43)는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 위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페그(peg)(도면에는 보이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페그는 상측 슬리브(43)에 삽입되는 영역에서 축방향 상단부(3a) 근처에서 관형체(3)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구멍(45)과 결합할 수 있다.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걸거나 분리하기 위해 상측 슬리브(43)를 주 축선(30)을 따라 작동시키고 또한 레그를 작동시키는 것은,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예컨대, EP 2,250,307 B1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에는, 관형체가 중공 실린더(38)의 위쪽에서 돌출하면 관형체(3)의 외측면에 대향하도록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 위쪽에 배치되는 보조 슬라이딩 수단(46)이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슬라이딩 수단(46)은 관형체(3)의 외면에서 이미 뒤집혀 있는 물품(60)의 일부분과 주기적으로 결합하고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또한 물품(60)이 관형체(3)의 외면에서 완전히 뒤집히는 것을 도와주도록 관형체(3)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슬라이딩 수단(46)은 EP 2,250,307 B1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작동될 수 있다.
상측 슬리브(43)는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흡인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하측 슬리브(13)는 또한 통상적인 흡인 수단에도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측 슬리브(13)는 슬라이더(8)를 통과하고, 그 슬라이더(8) 아래에서, 복수의 관형 부분(48-50)으로 구성된 신축자재식 튜브(47)에 연결되어 있고, 그 복수의 관형 부분은 동축으로 삽입되어 서로 내외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신축자재식 튜브(47)의 하단부는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흡인 장치의 흡인구 또는 공기 흡인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주 지지 구조체(2)의 하측 부분(2a)은 EP 2,250,307 B1 특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되어 또는 수평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물품(60)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로부터 물품이 픽업 장치(34)에 의해 취급 장치(28)에 전달되는 동안에 그 물품이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통해 흡인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측 부분이 그의 상단부가 상기 기계 쪽으로 향한 채로 옆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는 편직된 관형 물품의 일 축방향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연결 또는 재봉 스테이션에 사용된다는 바람직한 가정 하에서, 그 뒤집기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휴지 상태에서, 뒤집기 장치의 관형체(3)는 완전히 하강된 주 지지 구조체(2)의 하측 부분(2a)에 의해 지지되고, 관형체의 축선은 주 축선(30)과 일치한다.
일단 뒤집힐 물품(60)이 이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로부터 픽업되면, 뒤집기 동안에 물품을 지지하는 취급 장치(28)에 물품(60)을 전달하기 위한 픽업 장치(34)가 사용된다고 가정하면, 물품(60)으로 형성된 편직물의 마지막 열의 편직 루프를 그의 픽업 요소(36)로 유지하는 픽업체(3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선(37)이 주 축선(30)에 있는 상태로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 아래에 위치된다.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는 아래쪽에서, 픽업 장치(34)에 의해 지지되는 물품(60)과 대향하고, 관형체(3)의 내면이 흡인 수단에 연결되어, 물품(60)이 관형체(3) 내부에서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통해 흡인된다.
그런 다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와 2개의 절반 링(32a, 32b)(동일 평면 위치에 있음) 사이에 있는 픽업체(35)가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들어올려져, 각 픽업 요소(36)가 스파이크(31)와 연결된다.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축방향 밀기 수단(40)이 작동되고, 이에 따라, 픽업 요소(36)에 걸려 있는 물품(60)이 각 픽업 요소(36)로부터 대응 스파이크(31)에 전달되고, 그래서 물품(60)이 픽업 장치(34)로부터 취급 장치(28)에 전달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 모터(10)가 작동되고, 축방향 상단부(3a)로 픽업체(35) 및 취급 장치(28)의 환형체(29) 그리고 스파이크(31)와 결합하는 물품(60)의 축방향 단부를 통과하기 시작하는 관형체(3)를 주 축선(30)과 일치하는 축선(4)을 따라 들어올리게 된다.
이 단계까지, 뒤꿈치의 포켓(60b), 즉 먼저 픽업 장치(34)에 걸리고 다음에 취급 장치(28)에 걸린 물품(60)의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포켓이 존재하는 물품의 측에 경사 단부의 팁이 배치되도록 관형체(3)가 배치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물품(60)의 발가락 부분 캡을 구성하는 이 포켓(60a)이 관형체(3)의 외측면 상으로 전달되도록 또는 여전히 관형체의 내부에 있지만 그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에 매우 가깝도록 관형체(3)가 들어 올려지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측 슬리브(13)의 원통형 헬리컬 슬롯(17)은 베어링 또는 핀(18)과 대향하게 된다.
이때, 도 5c, 5d 및 5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압 액츄에이터(19)의 작동에 의해 베어링 또는 핀(18)은, 이전의 휴지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가게 되어, 그러한 원통형 헬리컬 슬롯(17)과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전기 모터(10)의 작동에 의해 관형체(3)가 계속 들어 올려지면, 베어링 또는 핀(18)과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 존재하는 원통형 헬리컬 슬롯(17)의 결합의 결과로 관형체(3)가 위쪽으로 병진 이동함으로 인해,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 주위로 바람직하게는 180°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에 존재하는 경사 팁이, 픽업 장치(34) 또는 취급 장치(28)에 걸려 있는 물품(60)의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뒤꿈치의 포켓(60b)에 의해 점유되는 물품(60)의 일측으로부터 이미 관형체(3)의 외측면에서 뒤집힌 다른 포켓(60a)에 의해 점유되는 반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관형체(3)가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하면, 스냅 핀(24)이 사전에 이 스냅 핀이 점유하고 있었던 시트(25)로부터 분리되고,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서 직경 방향으로 반대편의 위치에 배치되는 다른 시트(25)와 결합하게 된다.
스냅 핀(24)과 대응 시트(25)의 결합에 의해, 관형체(3)의 새로운 회전 위치가 유지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때, 공압 액츄에이터(19)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면, 도 7, 7c, 7d, 및 7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모터(10)에 의해 다시 수행되는 관형체(3)의 추가 들어올림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측 슬리브(13)의 외면에 존재하는 원통형 헬리컬 슬롯(17)으로부터 베어링 또는 핀(18)이 분리된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2 작동 수단(6)이 있으면, 관형체(3)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로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하는 것은, 단순히 전기 모터(20)의 작동을 통해 일어난다.
관형체(3)가 더 들어 올려지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뒤꿈치의 포켓(60b), 즉 관형체(3)의 외측면에서 픽업 장치(34) 또는 취급 장치(28)에 걸려 있는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포켓이 뒤집히게 된다. 관형체(3)는 작동 시작시의 위치에 대해 180°의 각도로 축선(4)에 대해 회전되므로, 이 포켓(60b)은 경사 팁에 대해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의 반대측에서 나가게 되고 그래서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가 물품(60)에 달라 붙을 가능성이 안전하게 방지됨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뒤집기 장치의 작동은 EP 2,250,307 B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행한다. 간략히 말하면, 관형체(3)의 외측면에서 물품(60)의 뒤집힘은,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가 자유롭게 될 때까지 보조 슬라이딩 수단(46)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완료되고, 그런 다음 상측 슬리브(43)가 축방항 상단부 위에 끼워 맞춤된다. 그리고 나서, 그러한 상측 슬리브(43)에 제공되어 있는 그립 수단(26)에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가 걸리고, 그런 다음 상측 슬리브(43)가 하측 슬리브(13)에 대해 관형체(3)를 더 들어 올리기 위해 위쪽으로 병진 이동된다. 이렇게 관형체(3)가 하측 슬리브(13)에 대해 축방향 병진 이동을 하면, 관형체(3)의 축방향 하단부(3b)가 하측 슬리브(13)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제 1 축방향 밀기 수단(40)은 하강되고, 하측 슬리브(13) 역시 전기 모터(10)의 반대 방향 작동에 의해 하강되어, 픽업 장치(34) 및 취급 장치(28)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이 자유롭게 된다.
그런 다음 픽업 장치(34)가 취급 장치(28)로부터 분리되어 뒤집기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그래서, 물품(60)은 뒤집힌 상태로 되어, 물품의 하단부의 재봉 또는 연결에 의해 폐쇄될 준비가 되며, 그 재봉 또는 연결은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예컨대 EP 2,250,307 B1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행해진다.
포켓이 관형 물품의 축선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해서는, 관형체(3)는 하측 슬리브(13)에 대해 자신의 축선(4) 주위로 다양하게 배향되는 2개 이상의 위치에서 하측 슬리브(13)와 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축선(4)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2개 이상의 구멍(16)이 있는데, 각 구멍은 관형체(3)의 하단부(3b) 근처에서 탄성 박편(15)과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립 수단(26)으로 관형체(3)를 잡기 위해 상단부(3a) 근처에 2개 이상의 구멍(45)이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뒤집기 장치는, 역전 작동 동안에,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포켓을 뒤집은 후에 또는 뒤집는 동안에 그리고 물품의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는 포켓을 뒤집기 전에 관형체를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형체의 경사 팁이 이들 포켓 중의 하나에 달라 붙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는 점에서, 설정된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해서, 심지어 물품의 양측에 배치되는 포켓을 갖는 물품을 뒤집는 경우에도 물품의 무결성이 보장된다.
이렇게 창안된 뒤집기 장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화를 받을 수 있고, 이들 수정과 변화 모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더욱이, 모든 상세는 기술적으로 등가인 다른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재료 및 치수는 요건 및 최신 기술에 따라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102015000070695(UB2015A005413)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청구 범위에 언급되어 있는 기술적 요소에 참조 후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 이들 참조 부호는 청구 범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만 포함된 것이고, 따라서 그러한 참조 부호는 예컨대 그러한 참조 부호로 식별되는 각 요소의 해석에 어떤 제한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Claims (15)

  1.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로서, 관형체(3)를 지지하는 주 지지 구조체(2)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체는 자신의 축선(4)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을 따라 경사진 축방향 상단부(3a)를 가지며,
    상기 관형체(3)를 상기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자신의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 1 작동 수단(5)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체(3)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해 상기 축방향 상단부(3a)로 관형 물품(60)의 축방향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뒤집기 장치는 제 2 작동 수단(6, 6a)을 포함하고, 제 2 작동 수단은 관형체(3)를 상기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로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대응 지지 요소(7)에 의해 지지되며, 대응 지지 요소는 상기 관형체(3)의 상기 축선(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되는, 뒤집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3)는 자신의 축방향 하단부(3b)로 하측 슬리브(13)에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측 슬리브는 자신의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체(3)의 상기 지지 요소(7)에 의해 지지되는, 뒤집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3)는 상기 하측 슬리브(13)에 분리 가능하게 또한 자신의 축선(4) 주위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측 슬리브(13)가 상기 관형체(3)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반대로 관형체가 하측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관형체(3)가 하측 슬리브(13)와 결합하거나 하측 슬리브(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집기 장치는 상기 하측 슬리브(13)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수단(14)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단은 관형체의 축방향 하단부(3b) 근처에서 관형체(3)와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관형체(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14)은, 상기 관형체(3)의 축방향 하단부(3b)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하측 슬리브(13)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박편(15)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박편(15)은, 하측 슬리브(13)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관형체(3)의 축방향 하단부(3b)의 상기 일부분을 통과하는 대응 구멍(16)에 결합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 수단(6)은, 상기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헬리컬 슬롯(17) 및 상기 주 지지 구조체(2)에 의해 지지되는 핀(18)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작동 수단(5)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측 슬리브(13)가 관형체(3)와 함께 주 지지 구조체(2)에 대해 관형체의 축선(4)을 따라 병진 이동하면 상기 핀은 지시에 따라 상기 원통형 헬리컬 슬롯(17)과 결합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18)은 지시에 따라 상기 원통형 헬리컬 슬롯(17)과 결합할 수 있거나 분리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헬리컬 슬롯(17)은 상기 관형체(3)의 축선(4) 주위에 실질적으로 180°의 각도로 상기 하측 슬리브(13)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있는, 뒤집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3)의 축선(4)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미리 설정된 회전 위치에 상기 관형체(3)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23)을 포함하는 뒤집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3)의 지지 요소(7)는, 상기 주 지지 구조체(2)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 가이드(9)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작동 수단(5)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8)는 지시에 따라 상기 수직 가이드(9)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뒤집기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 수단(6a)은 상기 슬라이더(8)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20)를 포함하고, 전기 모터의 출력 축은, 상기 하측 슬리브(13) 주위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링 기어(22)와 맞물리는 피니언(21)에 연결되어 있는, 뒤집기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집기 장치는 상기 주 지지 구조체(2)의 하측 부분(2a)을 포함하는 하측부(1a), 및 주 지지 구조체(2)의 상측 부분(2b)을 포함하는 상측부(1b)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부분은 관형체(3)를 자신의 축선(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 1 작동 수단(5)을 지지하며, 상기 상측 부분에는,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잡기 위한 수단(26)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하측부(1a)와 상측부(1b) 사이에는, 뒤집힐 관형 물품(60)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27)이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어 있는 중간 영역(1c)이 있으며, 상기 관형 물품은 자신의 축방향 단부에서 매달리고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 수단(27)에 의해 유지되는 물품(60)이 상기 관형체(3)의 외측면에서 뒤집히도록, 관형체(3)의 축방향 상단부(3a)를 통해 관형 물품(60)을 흡인한 후에, 상기 관형체(3)가 자신의 축방향 상단부(3a)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기 지지 수단(27)에 매달려 있는 관형 물품(60)의 상기 축방향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관형 물품(60)이 관형체(3)의 상기 축방향 상단부(3a)로부터 점진적으로 빠지게 되는, 뒤집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뒤집힐 관형 물품(60)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27)은 환형체(29)가 제공되어 있는 취급 장치(28)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체는 자신의 축선이 주 수직 축선(30)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스파이크(spike)(31)를 지지하며,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취급 장치(28)의 상기 환형체(29)의 축선과 일치는 축선을 갖는 이상적인 원통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스파이크는 축방향 단부에서 매달려 있는 뒤집힐 관형 물품(6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관형체(3)는 자신의 축선(4)이 상기 주 축선(30)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어 있고 또한 지시에 따라 상기 제 1 작동 수단(5)의 작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축선(3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뒤집기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3)의 내부는, 하측 영역에서 상기 하측 슬리브(13)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자재식 튜브(47)를 통해 공압 흡인 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뒤집기 장치.
KR1020187008060A 2015-11-10 2016-11-02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 KR102087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5413A ITUB20155413A1 (it) 2015-11-10 2015-11-10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particolarmente per il rovesciamento di manufatti tubolari con sacche sporgenti dalla loro superficie laterale.
IT102015000070695 2015-11-10
PCT/EP2016/076450 WO2017080890A1 (en) 2015-11-10 2016-11-02 Turning device for knitted tubular articles, particularly for turning inside-out tubular articles with pockets that protrude from the lateral surfa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037A true KR20180081037A (ko) 2018-07-13
KR102087309B1 KR102087309B1 (ko) 2020-04-24

Family

ID=5544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060A KR102087309B1 (ko) 2015-11-10 2016-11-02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1015270B2 (ko)
EP (1) EP3374556B1 (ko)
JP (1) JP6847939B2 (ko)
KR (1) KR102087309B1 (ko)
CN (1) CN108474150B (ko)
BR (1) BR112018003346B1 (ko)
CO (1) CO2018002205A2 (ko)
EA (1) EA036273B1 (ko)
ES (1) ES2748671T3 (ko)
HR (1) HRP20191917T1 (ko)
IT (1) ITUB20155413A1 (ko)
MX (1) MX2018005837A (ko)
PL (1) PL3374556T3 (ko)
SV (1) SV2018005691A (ko)
UA (1) UA121256C2 (ko)
WO (1) WO2017080890A1 (ko)
ZA (1) ZA201801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5685B (zh) * 2017-07-20 2022-11-01 浙江嘉志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缝合管状织物的装置及方法
WO2019197928A1 (en) * 2018-04-11 2019-10-17 Santoni S.P.A. Turn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items and method for turning tubular knitted items
EP3715511B1 (en) 2019-03-26 2022-08-31 Stäubli Italia S.p.A. Method and device for revers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IT201900005838A1 (it) * 2019-04-16 2020-10-16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e il suo trasferimento ad un'unità atta ad eseguire ulteriori operazioni sul manufatto.
USD961627S1 (en) * 2019-06-17 2022-08-23 Santoni S.P.A. Textile ma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196A (en) * 1988-02-17 1991-10-01 Francesco Turini Pneumatically sock tensioning and revers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JP2005105421A (ja) * 2003-09-26 2005-04-21 Okamoto Kk 靴下裏返し装置
KR20100127221A (ko) * 2008-03-10 2010-12-03 로나티 에스.피.에이.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을 위한 관형 편물용 회전 디바이스
EP2024544B1 (en) * 2006-05-22 2011-04-20 N.T.A. S.R.L. Method and integrated system for knitting a stocking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for closing the toe of the stocking
WO2014167047A1 (en) * 2013-04-12 2014-10-16 Venni S.A.S. Di Massimo Venni E C.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KR20150105970A (ko) * 2013-01-16 2015-09-18 로나티 에스.피.에이. 관형 제품의 축방향 단부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또한 그 제품을 뒤집힌 상태에서 언로딩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1384A1 (it) 2002-06-24 2003-12-22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positivo di prelievo e di trasferimento del manufatto a fine lavoraz
JP2005097803A (ja) * 2003-09-26 2005-04-14 Okamoto Kk 靴下の表返し装置
IT1391070B1 (it) 2008-09-29 2011-11-18 Rumi S R L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e calzetteria
US7882711B2 (en) * 2009-06-19 2011-02-08 Massimo Bianchi Device for closing the toe at the end of tubular hosiery articles
ITMI20111681A1 (it) 2011-09-19 2013-03-20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particolarmente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simili.
ITBS20130137A1 (it) 2013-10-02 2015-04-03 Santoni & C Spa Macchina tessile circolare
US10167695B2 (en) * 2015-11-09 2019-01-01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Blowout preventer including shear bod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196A (en) * 1988-02-17 1991-10-01 Francesco Turini Pneumatically sock tensioning and revers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JP2005105421A (ja) * 2003-09-26 2005-04-21 Okamoto Kk 靴下裏返し装置
EP2024544B1 (en) * 2006-05-22 2011-04-20 N.T.A. S.R.L. Method and integrated system for knitting a stocking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for closing the toe of the stocking
KR20100127221A (ko) * 2008-03-10 2010-12-03 로나티 에스.피.에이.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을 위한 관형 편물용 회전 디바이스
KR20150105970A (ko) * 2013-01-16 2015-09-18 로나티 에스.피.에이. 관형 제품의 축방향 단부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또한 그 제품을 뒤집힌 상태에서 언로딩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4167047A1 (en) * 2013-04-12 2014-10-16 Venni S.A.S. Di Massimo Venni E C.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3346B1 (pt) 2022-03-29
EA201891118A1 (ru) 2018-10-31
ITUB20155413A1 (it) 2017-05-10
EA036273B1 (ru) 2020-10-21
ES2748671T3 (es) 2020-03-17
SV2018005691A (es) 2018-08-31
MX2018005837A (es) 2018-08-01
US11015270B2 (en) 2021-05-25
JP6847939B2 (ja) 2021-03-24
US20180327944A1 (en) 2018-11-15
BR112018003346A2 (ko) 2018-10-02
CN108474150B (zh) 2020-03-24
EP3374556A1 (en) 2018-09-19
CO2018002205A2 (es) 2018-07-19
JP2018536775A (ja) 2018-12-13
UA121256C2 (uk) 2020-04-27
WO2017080890A1 (en) 2017-05-18
EP3374556B1 (en) 2019-08-28
ZA201801197B (en) 2019-01-30
PL3374556T3 (pl) 2020-03-31
CN108474150A (zh) 2018-08-31
HRP20191917T1 (hr) 2020-01-10
KR102087309B1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1037A (ko) 편직된 관형 물품을 위한, 특히, 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포켓을 갖는 관형 물품을 뒤집기 위한 뒤집기 장치
KR101567464B1 (ko)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을 위한 관형 편물용 회전 디바이스
KR101570182B1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물기 상에서 생산 사이클의 종료 시점에,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서 관형 편물을 폐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011928B2 (en) Method for closing automatically an axial end of a tubular manufacture and for unloading it in an inside-out configuratio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969740B1 (ko)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 또는 낙하부를 갖는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에서 양말 등과 같은 관형 제품의 형성 끝에서 자동화된 픽업을 위해 그 관형 제품을 준비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
KR102206977B1 (ko) 관형 제품의 축방향 단부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또한 그 제품을 뒤집힌 상태에서 언로딩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596015B1 (ko)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EP2024544B1 (en) Method and integrated system for knitting a stocking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for closing the toe of the stocking
CN114008258B (zh) 翻转装置、含其的圆形针织机及翻转管状针织物品的方法
CN110359184B (zh) 用于管状织物的翻转装置和翻转方法
JP2019525014A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から管状のニット製品をピックアップして、ニット製品に更なる動作を行うように構成されたユニットにこのニット製品を移すためのピックアップ装置
US7640880B2 (en) Automatic sewing device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CN113286920B (zh) 用于从圆形针织机拾取管状针织物并将其转移到适于在该物品上执行额外操作的单元的拾取设备
JP2024520582A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及び管状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