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036A -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036A
KR20180077036A KR1020170176834A KR20170176834A KR20180077036A KR 20180077036 A KR20180077036 A KR 20180077036A KR 1020170176834 A KR1020170176834 A KR 1020170176834A KR 20170176834 A KR20170176834 A KR 20170176834A KR 20180077036 A KR20180077036 A KR 2018007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onnector
cover
cover memb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733B1 (ko
Inventor
히로유키 마츠모토
신야 마사다
사키 가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일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는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부재(12)와 감합됨과 아울러, 피장착 부재(162)에 장착되는 커버 하우징(78)을 가지는 커버 부재(76)로서, 커버 하우징(78)에는, 피장착 부재(162)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104, 122)를 가지고, 장착부(104, 122)는 각각,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COVER MEMBER, COVER UNIT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부재와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킨 상태에서 물이나 분진 등으로부터의 보호 기능을 가지고, 또한 감합시킨 커넥터 부재를 복수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륜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검사 이외에서 사용하지 않는 커넥터 부재를 차체(車體)에 장착하여 고정하거나, 물이나 분진 등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더미 캡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더미 캡의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을 배설(配設)한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부와 감합하여 그 내부의 터미널을 보호하는 캡부와, 고정 부재측에 대해 걸림·이탈 가능한 클립부로 이루어지는 더미 캡으로서, 게다가 , 상기 클립부가 상기 캡부와 일체(一體)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07-008971호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더미 캡을 이용했을 경우, 장착 방향이 고정 부재에 대해서 수평 방향의 일 방향으로 밖에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장착 방향이 한정되어, 작업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하는 피(被)장착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를 장착하는 방향이 선택 가능한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커버 부재는, 커넥터 부재와 감합됨과 아울러, 피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커버 하우징을 가지는 커버 부재로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될 수 있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는 것과,
상기 상이한 방향의 상기 장착부 중 적어도 1개와 같은 방향이 되는 것,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6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장착부에 상기 피장착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7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삽입된 상기 피장착 부재에 마련된 피걸림부와 걸리는 걸림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8 양태의 커버 부재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양태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양태의 커버 유닛은, 커넥터 부재와 감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장착되는 장착 보조 부재를 가지는 커버 유닛으로서,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복수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보조 부재는 상기 장착부 중 어느 것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0 양태의 커버 유닛은, 제9 양태의 커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1 양태의 커버 유닛은, 제10 양태의 커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될 수 있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2 양태의 커버 유닛은, 제9 양태의 커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3 양태의 커버 유닛은, 제9 양태의 커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는 것과,
상기 상이한 방향의 상기 장착부 중 적어도 1개와 같은 방향이 되는 것,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4 양태의 커버 유닛은, 제9 내지 제13 양태의 커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조 부재는, 상기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되고, 또한 고정되는 클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양태의 커넥터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양태의 커넥터는, 제9 내지 제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커버 유닛의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제2 또는 제3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일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제4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같은 방향이어도,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제5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제6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피장착 부재가 판(板) 모양이나 막대(棒)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장착부와의 장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제7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피장착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제8 양태의 커버 부재에 의하면,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에 예를 들면, 돌기 모양으로 형성된 장착부를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장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9 양태의 커버 유닛에 의하면, 커버 부재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로의 장착을 행할 수 있고,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0 및 제11 양태의 커버 유닛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일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2 양태의 커버 유닛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같은 방향이어도,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제13 양태의 커버 유닛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4 양태의 커버 유닛에 의하면, 피장착 부재로의 장착 보조 부재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5 양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감합 방향으로 피장착 부재에 장착된 커버 부재에 커넥터 부재를 감합시킬 수 있다.
제16 양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의 장착하기 쉬운 감합 방향으로 피장착 부재에 장착된 커버 유닛의 커버 부재에 커넥터 부재를 감합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실시 형태 1의 커넥터를 일방으로부터 피장착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타방으로부터 피장착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상태의 커넥터와 피장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나타내는 상태의 커넥터와 피장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 부재에 따른 도 2의 IV-IV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타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후면도이고, 도 6의 (C)는 도 5의 (A)의 VIC-V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커버 부재의 일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타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의 (C)는 도 7의 (A)의 VIIC-VI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커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평면도이고, 도 8의 (C)는 저면(底面)도이고, 도 8의 (D)는 측면도이고, 도 8의 (E)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8의 (F)는 후면도이다.
도 9의 (A)는 커버 부재에 피장착 부재를 일방으로부터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커버 부재에 피장착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의 (C)는 도 9의 (B)의 IXC-IXC선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일방으로부터 피장착 부재가 장착된 커버 부재와 커넥터 부재의 감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커버 부재와 커넥터 부재를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C)는 도 10의 (B)의 XC-X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커버 부재에 피장착 부재를 타방으로부터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커버 부재에 피장착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C)는 도 11의 (B)의 XIC-XIC선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타방으로부터 피장착 부재가 장착된 커버 부재와 커넥터 부재의 감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2의 (B)는 커버 부재와 커넥터 부재를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의 (C)는 도 12의 (B)의 XIIC-XI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실시 형태 2의 커넥터를 일방으로부터 피장착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피장착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상태의 커넥터와 피장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상태의 커넥터와 피장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장착 보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6의 (B)는 타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장착 보조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7의 (B)는 저면도이고, 도 17의 (C)는 도 16의 (A)의 XVIIC-XVI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의 (A)는 일방으로부터 커버 부재로 장착 보조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의 (B)는 커버 부재와 장착 보조 부재가 장착된 커버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의 (C)는 도 18의 (B)의 XVIIIC-XVII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일방으로부터 장착 보조 부재가 커버 부재에 장착된 커버 유닛을 피장착 부재로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9의 (B)는 커버 유닛이 피장착 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의 (C)는 도 19의 (B)의 XIXC-XIX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의 (A)는 일방으로부터 장착 보조 부재가 커버 부재에 장착된 커버 유닛과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0의 (B)는 커버 유닛에 커넥터 부재가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의 (A)는 타방으로부터 커버 부재로 장착 보조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1의 (B)는 커버 부재와 장착 보조 부재가 장착된 커버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의 (C)는 도 21의 (B)의 XXIC-XX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의 (A)는 타방으로부터 장착 보조 부재가 커버 부재에 장착된 커버 유닛을 피장착 부재로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2의 (B)는 커버 유닛이 피장착 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의 (C)는 도 22의 (B)의 XXIIC-XXII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3의 (A)는 타방으로부터 장착 보조 부재가 커버 부재에 장착된 커버 유닛과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3의 (B)는 커버 유닛에 커넥터 부재가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으로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그 밖의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등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먼저, 실시 형태 1에 따른 커넥터(10)에 대해서, 도 1~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의 커넥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적어도 1개의 컨택트(54)가 마련된 커넥터 부재(12)와, 이 커넥터 부재(12)에 감합되는 커버 부재(76)를 가지고 있고,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가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 형태 1의 커넥터 부재(12)는 이륜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검사 등에 이용되는 것이 되고, 검사용 장치에 마련된 상대측 커넥터 부재와 접속되어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 부재(12)가 검사 등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는, 차량 등의 소정의 장소에 마련된 피장착 부재(162)에 미리 장착된 커버 부재(76)에, 커넥터 부재(12)를 감합시킴으로써, 커넥터 부재(12)가 차량 등에 고정되고, 또한 물이나 분진 등으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이 때, 실시 형태 1의 커넥터(10)는, 커버 부재(76)의 피장착 부재(162)로의 장착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1의 (A),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이 되도록 장착되는 경우와, 도 1의 (B),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직 방향이 되도록 장착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커버 부재(76)는, 도 1의 (A),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가 수평으로 감합되도록 장착되는 경우와, 도 1의 (B),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가 수직으로 감합되도록 장착되는 경우가 되는 것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피장착 부재(162)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후술하는 커버 부재(76)에 형성된 각 장착부(104, 122)에 삽입 가능한 폭의 판상체(板狀體)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피장착 부재(162)의 면의 일부에 개구된 피걸림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피장착 부재(162)는 커버 부재(76)의 각 장착부(104, 122)로 먼저 삽입되는 선단(先端)부(166)와 피걸림부(164)와의 사이에 볼록한 모양으로 부풀어오른 볼록부(168)가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도 6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의 커넥터 부재(1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의 커넥터 부재(12)는, 전선(68)이 장착(裝着)된 적어도 1개, 실시 형태 1에서는 6개의 컨택트(54)와, 이들 컨택트(54)가 각각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14)과, 커넥터 하우징(14) 내에서 각 컨택트를 고정하는 리테이너(retainer, 7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부재(12)의 내부에는, 감합된 커버 부재(76)와의 간극을 메우는 수지제의 씰 부재(74)가 마련되어 있고, 전선(68)에는, 전선(68)과 커넥터 하우징(14) 내의 전선 유지부(42)(도 4 참조)와의 간극을 메우는 수지제의 전선 씰 부재(70)가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커넥터 부재(12)의 커넥터 하우징(14)은, 도 5,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방에 커버 부재(76)가 삽입되는 개구부(18)를 가지는 전면(前面, 16)과, 타방에 컨택트(54)에 장착된 복수의 전선(68)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구(揷通口, 22)가 형성된 후면(20)과, 락 기구(26)가 형성된 상면(24)과, 상면(24)과 대향(對向)하는 저면(28)과, 일방의 측면(30) 및 타방의 측면(32)을 가지고,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14)의 내측에는, 컨택트(54)가 유지되는 기둥 모양의 컨택트 유지부(34)가 후면(20)측으로부터 전면(16)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컨택트 유지부(34)의 전면(16)측에는, 상대측의 컨택트(도시 생략)가 삽입되는 복수의 컨택트 삽입구(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 유지부(34)의 내부에는, 컨택트(54)가 수용되고, 유지되는 컨택트 수용부(40)가 형성되고, 컨택트 삽입구(38)와 연통(連通)되어 있다. 또, 컨택트 유지부(34)의 후면(20)측에는, 전선(68)이 유지되는 전선 유지부(42)가 각각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4)의 후면(20)에 형성된 삽통구(22)와 각각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컨택트 수용부(40)와 전선 유지부(42)는, 컨택트 유지부(34) 내에서 각각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면(16)측의 컨택트 삽입구(38)와 후면(20)측의 삽통구(22)가 연통되어 있다.
또, 컨택트 유지부(34)에는, 컨택트 수용부(40)에 수용된 컨택트(54)를 고정하는 랜스(lence, 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14)의 상면(24)측, 저면(28)측, 일방의 측면(30)측 및 타방의 측면(32)측의 내측과, 컨택트 유지부(34)의 외주(外周)와의 사이에는, 간극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부(36)에 후술하는 커버 부재(76)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컨택트 유지부(34)의 외주의 후면(20)측은, 씰 부재(74)가 장착되는 씰 부재 장착부(44)가 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14)의 타방의 측면(32)에는, 리테이너(72)가 삽입되는 리테이너 삽입구(50)가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4)의 내부에는, 이 리테이너(72)가 장착되는 리테이너 장착부(52)가 타방의 측면(32)으로부터 일방의 측면(30)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4)의 일방의 측면(30) 및 타방의 측면(32)의 내측에는, 감합 방향을 따라서 홈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부(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부(48)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76)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96)에 감합되어, 감합시에 안내되게 된다.
또, 커넥터 하우징(14)의 상면(24)측에 형성된 락 기구(26)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76)에 형성된 맞물림부(88)와 맞물림되는 부분이 된다.
또, 실시 형태 1의 컨택트(54)는,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방에, 상대측의 커넥터 부재가 가지는 컨택트(도시 생략)와 접촉되는 접촉편(58)을 내부에 가지는 접촉부(56)를 가지고, 타방에 전선(68)이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 접속부(60)는 복수의 접속편(62)을 가지고 있고, 이것들에 끼워 지지됨으로써, 전선(68)이 장착되게 된다. 이 때, 접속편(62)은 전선 씰 부재(70)와 함께 전선(68)이 끼워 지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54)에 장착된 전선(68)은, 예를 들면, 차량 내부에 마련된 각종 기기나 장치 등에 연결되어 있다.
또, 컨택트(54)의 커넥터 하우징(14)의 상면(24)측에 배치되는 측에는, 컨택트 유지부(34)에 형성된 랜스(46)가 걸리는 랜스 걸림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또, 컨택트(54)의 접촉부(56)의 전선 접속부(60)측에는, 리테이너(72)와 맞물리는 리테이너 맞물림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부재(12)의 조립은, 먼저, 커넥터 하우징(14)의 내측의 컨택트 유지부(34)의 외주에 형성된 씰 부재 장착부(44)에 씰 부재(74)를 장착한다,
그 후, 커넥터 하우징(14)의 타방의 측면(32)에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구(50)으로부터 리테이너(72)를 삽입하고, 커넥터 하우징(14) 내에 리테이너(72)를 소정의 가(假)고정 위치에서 가고정시킨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14)의 후면(20)에 형성된 삽통구(22)로부터, 전선(68)을 접속시킨 컨택트(54)를, 접촉부(56)가 앞이 되도록 하여 각각 삽입시켜, 컨택트 수용부(40)에 수용시킨다. 이 때, 컨택트(54)는 가고정된 리테이너(72)에 형성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컨택트 유지부(34) 내에 형성된 랜스(46)가 컨택트(54)의 랜스 걸림부(64)에 걸리게 된다. 이 랜스(46)가 컨택트(54)의 랜스 걸림부(64)에 걸림으로써, 컨택트(54)가 컨택트 수용부(40)에 고정됨과 아울러, 빠짐 방지되게 된다.
또, 전선(68)에 장착된 전선 씰 부재(70)는, 전선 유지부(42)에 삽입됨으로써, 전선(68)과 전선 유지부(42)와의 간극이 메워지게 되어, 물이나 분진 등의 침입이 억제된다.
다음에, 커넥터 하우징(14)의 타방의 측면(32)의 리테이너 삽입구(50)로부터 삽입되어, 가고정되어 있던 리테이너(72)를 더 삽입시키고, 컨택트(54)를 커넥터 하우징(14) 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삽입된 리테이너(72)는 커넥터 하우징(14) 내의 리테이너 장착부(52)에 장착됨과 아울러, 컨택트(54)의 리테이너 맞물림부(66)와 맞물리게 된다. 이상으로, 커넥터 부재(12)의 조립이 완료된다(도 2~도 6 참조).
다음에,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의 커버 부재(76)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부재(76)는 커넥터 부재(12)와 감합되는 감합 개구부(82)가 형성된 전면부(80)와, 전면부(80)와 대향하고, 폐색(閉塞)된 후면부(84)와, 커넥터 부재(12)의 락 기구(26)와 맞물리는 맞물림부(88)가 형성된 상면부(86)와, 상면부(86)와 대향하는 저면부(90)와, 일방의 측면부(92) 및 타방의 측면부(94)를 가지고,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상자 모양체의 커버 하우징(78)을 가지고 있다.
또, 커버 하우징(78)의 내부는, 전면부(80)에 형성된 감합 개구부(82)로부터 삽입된 커넥터 부재(12)의 컨택트 유지부(34)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98)이 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98)은, 도 7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의 상면부(86), 저면부(90), 일방의 측면부(92) 및 타방의 측면부(94)가 전면부(80)측으로부터 커넥터 부재(12)의 간극부(36)에 삽입되게 된다.
또, 커버 부재(76)는, 복수, 실시 형태 1에서는, 2개의 장착부(104, 122)를 가지고 있고, 이 장착부(104, 122)는 커버 하우징(78)의 저면부(90)측에 형성된 제1 장착부(104)와, 후면부(84)측에 형성된 제2 장착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장착부(104)는 저면부(90)측으로부터 이간(離間)된 위치에 마련되고, 후면부(84)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된 연장부(100)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저면부(90)와의 사이에 커넥터 부재(12)의 저면(28)측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 홈부(120)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장착부(104)는 내부에 삽입된 피장착 부재(162)를 둘러싸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 하우징(78)의 일방의 측면부(92)측 및 타방의 측면부(94)측이 일부 곡면 모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장착부(104)는 커버 하우징(78)의 후면부(84)측에 피장착 부재(162)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106)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제1 삽입구(106)로부터 삽입된 피장착 부재(162)가 배치되는 제1 배치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장착부(104)의 삽통 홈부(120)와는 반대측은, 대략 중앙 부분에, 피장착 부재(162)에 형성된 피걸림부(164)에 걸리는 제1 걸림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걸림부(11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편부(112)와, 이 제1 편부(112)의 제1 배치부(108)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114)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장착부(104)의 제1 편부(112)의 양측은 노치된 제1 노치부(11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노치부(116)의 양측은, 각각 제1 지지 돌기부(118)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76)는 커버 하우징(78)의 제1 장착부(104)에 피장착 부재(162)가 후면부(84)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가 대략 수평으로 감합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2 장착부(122)는 커버 하우징(78)의 후면부(84)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장착부(122)는, 후면부(84)에 직접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 형태 1에서는, 타방의 측면부(94)측에 피장착 부재(162)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124)가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된 피장착 부재(162)가 둘러싸지도록 후면부(84)를 한 면으로 한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장착부(122)의 내부에는, 제2 삽입구(124)로부터 삽입된 피장착 부재(162)가 배치되는 제2 배치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장착부(122)의 후면부(84)와는 반대측은, 대략 중앙 부분에, 피장착 부재(162)에 형성된 피걸림부(164)에 걸리는 제2 걸림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걸림부(128)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편부(130)와, 이 제2 편부(130)의 제2 배치부(126)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13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장착부(122)의 제2 편부(130)의 양측은 노치된 제2 노치부(1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제2 노치부(134)의 양측은, 각각 제2 지지 돌기부(136)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76)는 커버 하우징(78)의 제2 장착부(122)에 피장착 부재(162)가 타방의 측면부(94)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가 대략 수직으로 감합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 커버 하우징(78)의 상면부(86)에는, 맞물림부(8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부(88)는, 커넥터 부재(12)에 형성된 락 기구(26)와 맞물리게 된다.
또, 커버 하우징(78)의 일방의 측면부(92) 및 타방의 측면부(94)에는, 커버 부재(76)의 감합 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가이드 돌기부(9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부재(12)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48)에 감합되는 부분이 된다.
다음에, 커버 부재(76)의 피장착 부재(162)로의 장착, 및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커버 부재(76)는,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평으로 장착되는 경우와, 대략 수직으로 장착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주로 도 1의 (A), 도 2,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대략 수평이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평이 되는 경우는,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부재(76)의 저면부(90)측에 형성된 제1 장착부(104)에 피장착 부재(162)가 장착된다. 이 장착은, 피장착 부재(162)의 선단부(166)를 앞으로 하여, 커버 부재(76)의 커버 하우징(78)의 후면부(84)측으로부터, 저면부(90)측에 형성된 제1 장착부(104)의 제1 삽입구(106)에 삽입시켜 행한다. 이 때, 피장착 부재(162)와 커버 부재(76)의 장착 방향은,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의 감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도 9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 장착부(104)에 삽입된 피장착 부재(162)는, 제1 장착부(104)에 형성된 제1 걸림부(110)와 피장착 부재(162)에 형성된 피걸림부(164)가 걸려, 빠짐 방지가 됨과 아울러, 제1 장착부(104) 내의 제1 배치부(108)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 피장착 부재(162)에 볼록부(16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장착부(104)의 제1 배치부(108) 내에 있어서, 피장착 부재(162)가 상하 방향으로 압압(押壓)되게 됨으로써, 커버 부재(76)의 진동 등을 억제하여, 안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커버 부재(76)에 커넥터 부재(12)를 감합시킨다.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은,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넥터 부재(12)의 전면(16)과 커버 부재(76)의 전면부(80)를 대향시키고, 커넥터 부재(12)의 전면(16)의 개구부(18)측을 커버 부재(76)의 전면부(80)의 감합 개구부(82)로부터 삽입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커넥터 부재(12)의 커넥터 하우징(14)의 내측과 컨택트 유지부(34)와의 사이의 간극부(36)에 커버 부재(76)가 삽입됨과 아울러, 커버 부재(76)의 감합 개구부(82)로부터 커넥터 부재(12)의 컨택트 유지부(34)가 수용 공간(98)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커넥터 부재(12)의 저면(28)측은, 커버 부재(76)의 저면부(90)와 제1 장착부(104)와의 사이의 삽통 홈부(120)를 삽입 통과되게 된다. 또한, 커넥터 부재(12)의 가이드 홈부(48)에 커버 부재(76)의 가이드 돌기부(96)가 감합되어 안내되게 된다.
또한, 커넥터 부재(12)를 삽입시키면, 도 10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넥터 부재(12)의 상면(24)에 형성된 락 기구(26)가 커버 부재(76)의 상면부(86)에 형성된 맞물림부(88)와 맞물리게 된다. 이상으로,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이 종료된다.
이 때, 커넥터 부재(12)는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대략 수평이 되도록 장착되게 된다.
다음에, 주로 도 1의 (B), 도 3,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대략 수직이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는 경우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부재(76)의 후면부(84)측에 형성된 제2 장착부(122)에 피장착 부재(162)가 장착된다. 이 장착은, 피장착 부재(162)를 선단부(166)를 앞으로 하여, 커버 부재(76)의 커버 하우징(78)의 타방의 측면부(94)측으로부터, 후면부(84)에 형성된 제2 장착부(122)의 제2 삽입구(124)에 삽입시켜 행한다. 이 때, 피장착 부재(162)와 커버 부재(76)의 장착 방향은,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1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2 장착부(122)에 삽입된 피장착 부재(162)는, 상술한 피장착 부재(162)를 제1 장착부(104)에 장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버 부재(76)의 제2 장착부(122)에 형성된 제2 걸림부(128)와 피장착 부재(162)에 형성된 피걸림부(164)가 걸려, 빠짐 방지가 됨과 아울러, 제2 장착부(122) 내의 제2 배치부(126)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 피장착 부재(162)에 볼록부(16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2 장착부(122)의 제2 배치부(126) 내에 있어서, 피장착 부재(162)가 상하 방향으로 압압되게 됨으로써, 커버 부재(76)의 진동 등을 억제하여, 안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커버 부재(76)에 커넥터 부재(12)를 감합시킨다.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은, 방향이 상이할 뿐이며 상술한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감합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이고,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넥터 부재(12)의 전면(16)과 커버 부재(76)의 전면부(80)를 대향시키고, 커버 부재(76)의 전면부(80)측을, 커넥터 부재(12)의 전면(16)의 개구부(18)로부터 삽입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커넥터 부재(12)의 커넥터 하우징(14)의 내측과 컨택트 유지부(34)의 사이의 간극부(36)에 커버 부재(76)가 삽입됨과 아울러, 커버 부재(76)의 감합 개구부(82)로부터 수용 공간(98)에 커넥터 부재(12)의 컨택트 유지부(34)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커넥터 부재(12)의 가이드 홈부(48)에 커버 부재(76)의 가이드 돌기부(96)가 감합되어 안내되게 된다.
또한, 커넥터 부재(12)를 삽입시키면, 도 12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넥터 부재(12)의 상면(24)에 형성된 락 기구(26)가 커버 부재(76)의 상면부(86)에 형성된 맞물림부(88)와 맞물리게 된다. 이상으로,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이 종료된다.
이 때, 커넥터 부재(12)는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대략 수직이 되도록 장착되게 된다.
이상으로, 피장착 부재(162)에 장착된 커버 부재(76)로의 커넥터 부재의 감합이 종료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차량 등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 등에 전선에 의해 연결된 커넥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커버 부재(76)를 피장착 부재(162)로 장착하는 방향을,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했을 경우와, 대략 수직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가 장착하기 쉬운 방향이 되도록, 커버 부재의 장착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장착부는 커버 부재(76)를 피장착 부재(162)로 장착하는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복수 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커버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 또는 대략 수직 방향이 되는 장착부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장착부는, 커버 부재(76)를 피장착 부재(162)로 장착하는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는 것과, 동일 방향이 되는 것을 각각 복수 개 형성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커버 부재(76)의 장착부를 제1 장착부(104)와 제2 장착부(122)의 2개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피장착 부재를 상이한 방향이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장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커버 부재(76)를 먼저 피장착 부재(162)에 장착한 후,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를 감합시키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커버 부재와 커넥터 부재를 먼저 감합시키고, 그 후, 커버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4~도 8, 도 13~도 23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2의 커넥터(10A)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피장착 부재(162)가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피장착 부재(162)를 커버 부재(76)의 어느 장착부(104, 12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서는, 피장착 부재(162A)는 판체(板體)의 일부에 개구된 구멍부(170)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170)에 장착 보조 부재(140)를 매개로 하여 커버 부재(76)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의 커넥터(10A)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이륜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검사 등에 이용되는 적어도 1개의 컨택트(54)가 마련된 커넥터 부재(12)와, 이 커넥터 부재(12)에 감합되는 커버 부재(76)와, 커버 부재(76)와 조합(組合)되어,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되는 장착 보조 부재(1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실시 형태 2의 커넥터 부재(12)는 이륜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검사 등에 이용되는 것으로 되고, 검사용 장치에 마련된 상대측 커넥터 부재와 접속되어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 부재(12)가 검사 등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는, 차량 등의 소정의 장소에 마련된 피장착 부재에 미리 장착된 장착 보조 부재(140)와 조합된 커버 부재(76)에, 커넥터 부재(12)를 감합시킴으로써, 커넥터 부재(12)가 차량 등에 고정되고, 또한 물이나 분진 등으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또한, 조합된 커버 부재(76)와 장착 보조 부재(140)를 커버 유닛(138)이라고 한다.
또, 실시 형태 2의 커버 부재(76)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3의 (A),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이 되도록 장착되는 경우와, 도 13의 (B),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직 방향이 되도록 장착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커버 부재(76)는, 도 13의 (A),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장착 보조 부재(140)를 매개로 하여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가 수평으로 감합되도록 장착되는 경우와, 도 13의 (B),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가 수직으로 감합되도록 장착되는 경우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피장착 부재(162A)는,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판체로서, 이 판체의 일부에 개구된 구멍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시 형태 2의 피장착 부재(162A)의 구멍부(170)는, 예를 들면, 대략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커넥터 부재(12) 및 커버 부재(76)는, 실시 형태 1의 커넥터 부재(12) 및 커버 부재(76)와 공통되므로, 도 4~도 8을 참조함과 아울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2의 커버 부재(76)와 조합되어, 커버 유닛(138)을 구성하는 장착 보조 부재(140)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 보조 부재(140)는, 피장착 부재(162A)의 일방의 면에 재치(載置)되는 본체부(142)를 가지고, 이 본체부(142)의 일방에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 또는 제2 장착부(122)가 장착되어, 조합되는 장착부(144)를 가지고, 타방에, 피장착 부재(162A)의 구멍부(170)에 장착되는 클립부(150)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42)는 대략 타원형의 판상체로서, 피장착 부재(162A)에 가까워짐에 따라 넓어지는, 이른바 스커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부(142)의 가장 넓어진 클립부(150)측이 피장착 부재(162A)에 재치되는 부분이 된다.
또, 장착부(144)는, 본체부(142)의 일방측, 즉, 본체부(142)가 피장착 부재(162A)에 재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상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144)는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 또는 제2 장착부(122)에 감입되어 장착되어, 조합되는 부분이 된다.
장착부(144)에는, 대략 중앙부에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의 제1 걸림부(110) 또는 제2 장착부(122)의 제2 걸림부(128)가 삽입 통과되는 걸림 홈부(1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 홈부(148)의 홈을 연결하도록, 제1 걸림부(110)의 제1 돌기부(114) 또는 제2 걸림부(128)의 제2 돌기부(132)가 걸리는 피걸림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144)의 양측면(145a, 145b)측에는,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 또는 제2 장착부(122)에 형성된 제1 지지 돌기부(118) 또는 제2 지지 돌기부(136)가 감입되어, 이동되는 장착 홈부(1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립부(150)는 본체부(142)의 대략 중심 부분으로부터 타방측, 즉, 본체부(142)가 피장착 부재(162A)에 재치되는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주상부(柱狀部, 152)와, 이 주상부(152)의 단부(端部)로부터 본체부(142)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복수, 예를 들면, 한쌍의 탄성편부(156)로 구성되어 있다.
또, 탄성편부(156)에는, 피장착 부재(162A)의 타방의 면을 지지하는 단(段) 모양의 지지부(158)를 각각 가지고, 주상부(152)의 단부로부터 지지부(158)의 사이에는, 테이퍼(1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보조 부재(140)와 커버 부재(76)가 조합되어 커버 유닛(138)이 된다(도 18, 도 21 참조). 이 커버 유닛(138)은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부(144)가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 또는 제2 장착부(122)에 장착됨으로써 조합된다. 이 때,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부(144)가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에 장착되는 경우와, 제2 장착부(122)에 장착되는 경우에서,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되는 방향을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실시 형태 2의 커버 유닛(138)을 구성하는 커버 부재(76)와 장착 보조 부재(140)의 조립, 커버 유닛(138)의 피장착 부재(162A)로의 장착, 및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커버 유닛(138)의 커버 부재(76)는,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평으로 장착되는 경우와, 대략 수직으로 장착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주로 도 13의 (A), 도 14,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대략 수평이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대략 수평이 되는 경우는, 먼저,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에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부(144)를 장착시킨다. 이 장착은 커버 부재(76)의 제1 장착부(104)의 제1 걸림부(110)가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부(144)의 걸림 홈부(148)에 삽입됨과 아울러, 제1 장착부(104)의 각 제1 지지 돌기부(118)가, 장착부(144)의 장착 홈부(146)에 감입되어, 이동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도 18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 걸림부(110)의 제1 돌기부(114)가 장착부(144)의 피걸림부(149)에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가 됨과 아울러, 피걸림부(149)가 제1 장착부(104) 내의 제1 배치부(108)에 배치되게 되어, 커버 부재(76)와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이 완료되어, 커버 유닛(138)이 완성된다.
이 때, 커버 부재(76)가 커넥터 부재(12)와 감합하는 방향과, 장착 보조 부재(140)의 클립부(150)와의 축선(軸線) 방향이 대략 직교하게 된다.
다음에, 도 19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유닛(138)의 장착 보조 부재(140)의 클립부(150)를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한다, 이 장착은, 피장착 부재(162A)에 형성된 구멍부(170)에 커버 유닛(138)의 장착 보조 부재(140)의 클립부(150)를 주상부(152)의 본체부(142)와는 반대의 선단(154)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클립부(150)의 탄성편부(156)의 테이퍼(160)가 구멍부(170)의 외주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탄성편부(156)가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된다. 또한, 클립부(150)를 삽입시키면, 장착 보조 부재(140)의 본체부(142)가 피장착 부재(162A)에 맞닿아, 탄성편부(156)의 테이퍼(160)가 구멍부(170)의 외주로부터 빠짐으로써, 탄성편부(156)의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력이 개방(release)되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탄성편부(156)의 지지부(158)가 피장착 부재(162A)의 구멍부(170)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장착되게 된다(도 19의 (C) 참조).
또, 피장착 부재(162A)는 장착 보조 부재(140)의 본체부(142)와 클립부(150)의 각 탄성편부(156)의 지지부(158)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장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된 커버 유닛(138)은,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하는 방향이, 피장착 부재(162A)와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0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유닛(138)의 커버 부재(76)에 커넥터 부재(12)를 감합시킨다.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은, 실시 형태 1의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의 감합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실시 형태 1과 공통되므로 생략한다. 이상으로,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이 종료된다.
이 때, 커넥터 부재(12)는, 피장착 부재(162)에 대해서 대략 수평이 되도록 장착되게 된다.
다음에, 도 13의 (B), 도 15, 도 21~도 23을 참조하여,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이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대략 수직이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을 대략 수직으로 하는 경우는, 먼저, 도 21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부재(76)의 제2 장착부(122)에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부(144)를 장착시킨다. 이 장착은, 커버 부재(76)의 제2 장착부(122)의 제2 걸림부(128)가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부(144)의 걸림 홈부(148)에 삽입됨과 아울러, 제2 장착부(122)의 각 제2 지지 돌기부(136)가, 장착부(144)의 장착 홈부(146)에 감입되어, 이동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도 21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2 걸림부(128)의 제2 돌기부(132)가 장착부(144)의 피걸림부(149)에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가 됨과 아울러, 피걸림부(149)가 제2 장착부(122) 내의 제2 배치부(126)에 배치되게 되어, 커버 부재(76)와 장착 보조 부재(140)의 장착이 완료되어, 커버 유닛(138)가 완성된다.
이 때, 커버 부재(76)가 커넥터 부재(12)와 감합하는 방향과, 장착 보조 부재(140)의 클립부(150)와의 축선 방향이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2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유닛(138)의 장착 보조 부재(140)의 클립부(150)를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한다, 이 장착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장착 부재(162A)에 형성된 구멍부(170)에 커버 유닛(138)의 장착 보조 부재(140)의 클립부(150)를 주상부(152)의 선단부(166)로부터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도 22의 (C)참조).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와 공통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된 커버 유닛(138)은,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하는 방향이, 피장착 부재(162A)와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3에 나타내는 것처럼, 커버 유닛(138)의 커버 부재(76)에 커넥터 부재(12)를 감합시킨다.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실시 형태 1과 공통되므로 생략한다. 이상으로, 커버 부재(76)와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이 종료된다.
이 때, 커넥터 부재(12)는 피장착 부재(162A)에 대해서 대략 수직이 되도록 장착되게 된다.
이상으로,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된 커버 부재(76)로의 커넥터 부재(12)의 감합이 종료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선(68)에 의해 차량 등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 등에 연결된 커넥터 부재(12)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피장착 부재(162A)에 구멍부(170)가 형성되어 있는 것만으로, 특별한 형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커버 유닛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커버 부재(76)를 피장착 부재(162A)로 장착하는 방향을,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했을 경우와, 대략 수직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부재가 장착하기 쉬운 방향이 되도록, 커버 부재의 장착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커버 부재(76)의 장착부를 제1 장착부(104)와 제2 장착부(122)의 2개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피장착 부재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장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커버 유닛(138)을 먼저 피장착 부재(162A)에 장착한 후, 커넥터 부재(12)와 커버 부재(76)를 감합시키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커버 유닛의 커버 부재와 커넥터 부재를 먼저 감합시키고, 그 후, 커버 유닛의 장착 보조 부재를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피장착 부재(162A)의 구멍부(170)에 장착하기 위해서 장착 보조 부재(140)를 커버 부재(76)와 조합한 커버 유닛(138)을 이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커버 부재에 장착 보조 부재에 형성된 클립부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예를 들면 각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직접 형성하여, 커버 부재를 피장착 부재의 구멍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10, 10A:커넥터 12:커넥터 부재
14:커넥터 하우징 16:전면
18:개구부 20:후면
22:삽통구 24:상면
26:락 기구 28:저면
30:일방의 측면 32:타방의 측면
34:컨택트 유지부 36:간극부
38:컨택트 삽입구 40:컨택트 수용부
42:전선 유지부 44:씰 부재 장착부
46:랜스 48:가이드 홈부
50:리테이너 삽입구 52:리테이너 장착부
54:컨택트 56:접촉부
58:접촉편 60:전선 접속부
62:접속편 64:랜스 걸림부
66:리테이너 맞물림부 68:전선
70:전선 씰 부재 72:리테이너
74:씰 부재 76:커버 부재
78:커버 하우징 80:전면부
82:감합 개구부 84:후면부
86:상면부 88:맞물림부
90:저면부 92:일방의 측면부
94:타방의 측면부 96:가이드 돌기부
98:수용 공간 100:연장부
104:제1 장착부 106:제1 삽입구
108:제1 배치부 110:제1 걸림부
112:제1 편부 114:제1 돌기부
116:제1 노치부 118:제1 지지 돌기부
120:삽통 홈부 122:제2 장착부
124:제2 삽입구 126:제2 배치부
128:제2 걸림부 130:제2 편부
132:제2 돌기부 134:제2 노치부
136:제2 지지 돌기부 138:커버 유닛
140:장착 보조 부재 142:본체부
144:장착부 145a, 145b:측면
146:장착 홈부 148:걸림 홈부
149:피걸림부 150:클립부
152:주상부 154:선단
156:탄성편부 158:지지부
160:테이퍼 162, 162A:피장착 부재
164:피걸림부 166:선단부
168:볼록부 170:구멍부

Claims (16)

  1. 커넥터 부재와 감합(끼워 맞춤)됨과 아울러, 피(被)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커버 하우징을 가지는 커버 부재로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피장착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될 수 있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는 것과,
    상기 상이한 방향의 상기 장착부 중 적어도 1개와 같은 방향이 되는 것,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장착부에 상기 피장착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삽입된 상기 피장착 부재에 마련된 피걸림부와 걸리는 걸림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9. 커넥터 부재와 감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장착되는 장착 보조 부재를 가지는 커버 유닛으로서,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복수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보조 부재는, 상기 장착부 중 어느 것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될 수 있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유닛.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유닛.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피장착 부재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부재와의 감합 방향이 상이한 방향이 되는 것과,
    상기 상이한 방향의 상기 장착부 중 적어도 1개와 같은 방향이 되는 것,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유닛.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조 부재는, 상기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되고, 또한 고정되는 클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유닛.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커버 유닛의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커넥터 부재가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70176834A 2016-12-28 2017-12-21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 KR102387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5121A JP6813181B2 (ja) 2016-12-28 2016-12-28 カバー部材、カバー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JP-P-2016-255121 201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036A true KR20180077036A (ko) 2018-07-06
KR102387733B1 KR102387733B1 (ko) 2022-04-19

Family

ID=6078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834A KR102387733B1 (ko) 2016-12-28 2017-12-21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73991B2 (ko)
EP (1) EP3349310B1 (ko)
JP (1) JP6813181B2 (ko)
KR (1) KR102387733B1 (ko)
CN (1) CN1082818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376A (ko) * 2020-09-09 2022-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8728B2 (ja) * 2019-03-14 2022-10-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保護装置、ホルダ、および保護カバー
US11837806B2 (en) * 2020-12-09 2023-12-05 Lear Corporation Grounding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71A (ja) 1993-06-28 1995-01-13 Kurita Water Ind Ltd フッ化アンモニウム含有水の処理方法
JPH0982423A (ja) * 1995-09-08 1997-03-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へのクリップ取付構造
US5660408A (en) * 1995-07-12 1997-08-26 Paccar Inc Gladhand and electrical connector holder
JP2601682Y2 (ja) * 1993-07-16 1999-11-29 住友電装株式会社 ダミーキャップ
JP2002329558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係止構造
WO2007010097A1 (fr) * 2005-07-21 2007-01-25 Fci Dispositif de parcage de connecteurs
US20150214662A1 (en) * 2012-09-07 2015-07-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affixa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8267A (en) * 1997-04-15 2000-02-22 Byrne; Norman R. Rotatable power center system
US6083016A (en) 1998-10-13 2000-07-04 Waynick, Sr.; William C. Electrical connector protective device
AU2002356986A1 (en) * 2001-11-21 2003-06-10 Woodhead Industries, Inc. Molded electrical connector
JP4829514B2 (ja) * 2005-03-16 2011-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型基板コネクタ
TWI318483B (en) * 2006-04-28 2009-12-11 I 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713097B2 (en) * 2008-08-05 2010-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ariable direction cable connector adapter
US8025525B2 (en) * 2008-12-19 2011-09-27 Joslyn Sunbank Company Llc Connector back shells having a plurality of cable exit angles
JP2010244757A (ja) * 2009-04-02 2010-10-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スルークリップ
JP5698598B2 (ja) * 2011-05-17 2015-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63424B2 (ja) * 2011-06-02 2015-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752338B2 (en) * 2012-05-04 2014-06-17 D Three Enterprises, Llc Adjustable roof mounting system
US8986022B2 (en) * 2012-06-20 2015-03-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Pivoting face receptacle
JP5991198B2 (ja) * 2012-12-28 2016-09-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9099814B2 (en) * 2013-07-16 2015-08-04 Delphi Technologies, Inc. Shielded electrical header assembly
JP6046572B2 (ja) * 2013-08-09 2016-1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CN204012039U (zh) * 2014-02-21 2014-12-1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连接装置和电子装置
CN104078821B (zh) * 2014-06-06 2016-10-0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的制造方法及使用该方法制成的电连接器
US9601841B2 (en) * 2014-10-16 2017-03-21 Hubbell Incorporated Wire terminal assembly and adapter kit
JP6334456B2 (ja) * 2015-04-30 2018-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71A (ja) 1993-06-28 1995-01-13 Kurita Water Ind Ltd フッ化アンモニウム含有水の処理方法
JP2601682Y2 (ja) * 1993-07-16 1999-11-29 住友電装株式会社 ダミーキャップ
US5660408A (en) * 1995-07-12 1997-08-26 Paccar Inc Gladhand and electrical connector holder
JPH0982423A (ja) * 1995-09-08 1997-03-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へ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2002329558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係止構造
WO2007010097A1 (fr) * 2005-07-21 2007-01-25 Fci Dispositif de parcage de connecteurs
US20150214662A1 (en) * 2012-09-07 2015-07-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affixatio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376A (ko) * 2020-09-09 2022-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733B1 (ko) 2022-04-19
US10573991B2 (en) 2020-02-25
CN108281838A (zh) 2018-07-13
EP3349310A2 (en) 2018-07-18
EP3349310A3 (en) 2018-08-15
CN108281838B (zh) 2021-01-05
US20180183173A1 (en) 2018-06-28
EP3349310B1 (en) 2020-10-14
JP2018107073A (ja) 2018-07-05
JP6813181B2 (ja)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5296B (zh) 手指保护构件、插接式电连接器及组装用结构套件和方法
KR101774602B1 (ko) 더미 플러그 및 커넥터
ES2537885T3 (es) Conector enchufable modular
WO2013069224A1 (en) Joint connector
US20150144395A1 (en) Connector
US9287649B2 (en) Connector and housing
KR20130023148A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JP2002260766A (ja) コネクタ
KR20180077036A (ko) 커버 부재, 커버 유닛 및 커넥터
KR20100112085A (ko) 연결 시스템
WO2012157503A1 (ja) 防水コネクタ
US20170358888A1 (en) Electrical Plug-Type Connector Part
CN110739573A (zh) 电连接器
CN110088990B (zh) 接触装置和接触系统
JP2014093248A (ja) 中継コネクタ
WO2016059947A1 (ja) コネクタ
KR20070121328A (ko)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 및 그 암형 커넥터에접속되는 수형 커넥터
JP2015042109A (ja) 端子台
JP6386138B1 (ja) コネクタ
JP2017220427A (ja)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2012109031A (ja) コネクタ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JP2006252888A (ja) コネクタ及び保護栓
RU2557259C2 (ru) Система штекер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фиксируемых на монтажных рельсах
KR101246518B1 (ko)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