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885A - 음료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885A
KR20180069885A KR1020187013882A KR20187013882A KR20180069885A KR 20180069885 A KR20180069885 A KR 20180069885A KR 1020187013882 A KR1020187013882 A KR 1020187013882A KR 20187013882 A KR20187013882 A KR 20187013882A KR 20180069885 A KR20180069885 A KR 2018006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ucts
dispensing
dispensing unit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딸로 안드레아 앨버레즈 버트오일
세르지오 자펠라
Original Assignee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UB2015A004988A external-priority patent/ITUB20154988A1/it
Priority claimed from ITUB2015A005134A external-priority patent/ITUB20155134A1/it
Priority claimed from ITUB2015A005147A external-priority patent/ITUB20155147A1/it
Application filed by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6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를, 특히 커피를 공급하는 장치의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에 관한 것이다. 분배 유닛은 음료가 분배되는 흡인 섹션(21)과 분배 섹션(23)을 포함하며, 세 분배 분출관(31, 32, 33)를 포함한다. 분배 유닛은 흡인 섹션(21)과 분배 섹션(23) 사이에 수평하게 삽입되는 두 덕트(41, 42)를 포함하며, 각 덕트(41, 42)는 흡인 섹션(21)과 액체 이송 교류상에 있는 흡인관 및 분배 섹션(23)과 액체 이송 교류상에 있는 송출관(44)을 포함한다. 각 덕트(41, 42)는, 사용 중에, 음료의 개별 부분을 수용한다. 분배 유닛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에 전이가능한 이동가능 부재(5, 53, 7)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부재(5, 53, 7)는 아래와 같이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 및 분배 섹션(23) 사이에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동가능 부재(5, 53, 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음료의 개별 부분이 같은 제1 분배 분출관(31)로 주입되며, 이 때 이동가능 부재(5, 53, 7)은 제2 위치에 있으며, 한 덕트(41)의 음료의 개별 부분은 제2 분배 분출관(32)로 주입되고 또 다른 덕트(42)의 음료의 개별 부분은 제3 분배 분출관(33)로 주입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언급된 분배 유닛과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본 발명은 특히 식재(a food substance)의 주입(infusion)을 통해 음료(a beverage)를 만드는 장치(apparatuses)를 사용한 음료를 분배하는 분야(the sector)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치와 같은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며,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와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와 같은 커피를 만들기 위한 장치에 적용된다.
음료 재조 장치(beverage-making apparatuses)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캡슐, 팟(a pod), 또는 또다른 투과성(permeable)이나 관통성(pierceable) 랩퍼(wrapper)에 포함되는 식으로) 분말 식재(a powdered food substance)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주입 챔버(an infusion chamber)를 포함한다. 온수(hot water)는 식재의 주입을 위해 주입 챔버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음료를 얻는다. 송출 덕트(an outfeed duct)는 주입 챔버에서 음료를 빼내며 음료를 분출관(a spout)로 운반하며 이는 음료를 컵 또는 다른 용기(container)에 분배하며 이 컵이나 용기를 통해 소비자(the consumer)가 음용할 수 있다.
특정 맥락에서 음료는 두 개의 컵에 동시에 분배되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다수의 손님(many customers)이 기다릴 때 두컵의 커피 또는 음료를 동시에 만드는 것이 서비스(service)를 신속화하는(speeds up), 공공장소(public premises)나 다른 상업체(businesses)에서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항시적인 요구사항(a constant requirement)이 아니며, 따라서, 같은 공간 또는 상업체에 다른 시간대에서(at other times of day)에서 같은 장치는 단일 컵의 음료를 분배할 수 있어야한다.
결과적으로, 음료를 만들거나 공급하도록 설계된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일 컵의 음료 또는 두 컵을 동시에 분배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분배 장치(dispensing apparatuses)는, 두 개의 분배 분출관(two dispensing spouts)가 작은 컵의 일반적 폭(the usual width)보다 작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이 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단일 커피를 분배하기 위해, 하나의 작은 컵이 양쪽 분출관 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사용자가 작은 컵들을 매우 특정적인 방법으로(in a very precise way)위치시켜야 하므로, 특히 불편하다. 또한, 분출관이 작은 컵들에 대해 불가피하게(inevitably) 중심에 놓이지 않기 때문에, 작은 컵의 가장자리가 음료의 스플래시(splashes)에 의해 오염(dirtied)될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한 사용되는 컵이 장치에 적합한 것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경우 더욱 가중(accentuated)된다.
다른 해결책이 제안되었으며, 이 때 장치는 단일 또는 이중 분배 그리고 제작에 따른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음료는 하나의 분출관 또는 두 개의 분출관에서 나온다. 그러한 해결책의 일부 예는 유럽 특허 출원 EP1800577A1호 및 국제 특허 출원 WO2014/086602A1호에 기술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현재 기존 해결책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일부 경우에서 장치는 대형으로(bulky)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다. 다른 경우에서, 장치는 실질적으로 같은 두 부분(two substantially equal parts)로 나뉘어질 수 없다. 또 다른 경우에서, 장치는 제작 측면에서 상당히 복잡하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술적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선행기술의 단점을 적어도 일부 극복하도록, 요구에 따라, 음료가 단일 용기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용기에 분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언급된 기술적 목적 및 지칭된 목표는 청구항 1에 따른 음료 배분 유닛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37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그리고 청구항 38에 따른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주제의 특정 실시예는 대응하는 종속항(the corresponding dependent claims)에 정의된다. 설명은 본 특허 출원이나 분할 출원 및/또는 본 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는 출원에 구체적인 청구항의 주제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해결책의 한 측면에 따라서, 분배 유닛은 세 개의 분배 분출관(three dispensing spouts)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는 단일 용기(특히 컵)에 분배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두 개는 두 개의 용기(특히 두 개의 컵)에 동시에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사용의 용이성의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유리한데 이는 용기가 한 케이스 또는 다른 케이스에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가 명확하게(univocally) 정의되기 때문이다. 또한, 동시에 분배하는 두 개의 분출관은 다양한 용기 크기에 대한 용기로의 중심 분배(centered dispensing)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 개의 분배 분출관은 서로에 따라 위치되며 단일 분배를 위한 분출관은 다른 두 개의 분출관 사이에 삽입된다. 이는 위에 언급한 장점들을 가짐에도 집약적인 분배 유닛(a compact dispensing)을 제공하는게 유용하다. 또한, 어떤 경우에도 하나 또는 두 개의 용기는 시상 수직면(a sagittal vertical plane)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올바른 위치조정(their correct positioning)은 즉각적이며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해결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유닛은 두 개의 덕트를 포함하며, 각각은 분배될 음료의 개별 부분을 수용하며 이를 직접적으로나 사이에 삽입된 다른 구성요소로 분배 분출관에 주입(introduces)시킨다. 두 개의 덕트의 존재는 두 개의 실질적으로 같은 음료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두 개의 용기를 같은 양으로 채우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음료의 단일 흐름(a single flow of beverage)을 실질적으로 같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기 위해, 흐름 분할기(a flow divider)가 두 개의 덕트의 상류(upstream)에 위치된다.
분배되는 용기 또는 컵의 수에 따라서, 덕트는 음료의 양쪽 부분을, 단일 컵 분배를 위한 같은 분출관에 주입하거나, 두 컵에 동시에 분배하는 두 개의 다른 분출관에 주입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덕트의 송출과 분출관 사이 액체 이송 경로(the liquid transfer path)는 이동가능 부재(a movable member)를 통해 조정(modified)될 수 있다. 이는 단일 분배 조건(a single dispensing condition)과 이중 분배 조건(a double dispensing condition) 사이의 쉬운 전환(simple switch)을 구현(implementing)하는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이동가능 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닛은 단일 커피에 투여(dosed)되는 캡슐 또는 팟(pods)이나, 두 컵의 커피에 투여되는 캡슐 또는 팟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와의 조합으로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방법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같은 음료 흐름이 단일 용기에 분배하는 같은 분배 지점(the same dispensing point)을 향해 유도되는 것이나, 또는 동시에 두 개의 용기로 분배하는 제2 분배 지점(a second dispensing point) 및 제3 분배 지점(a third dispensing point)을 향해 각각 유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 및 이점은 장치를 위한 음료 분배 유닛의 다수의 바람직하고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적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더 명확해진다.
첨부된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닛의 제1 실시예의 축측 투영도(an axonometric view)이다.
도 2는 제1 구동 위치(a first operating position)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리드(a lid)가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전면벽(a front wall)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절개선(a section line) VI-VI에 따라서 절개된(sectioned), 도 1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7은 일부 부분(some parts)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8은 도 2에서 절개선 VIII-VIII에 따라 절개된,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절개선 VI-VI에 따라 절개된,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10은 전면벽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2 구동 위치(a second operating position)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11은 일부 부분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2 구동 위치에 도 1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12는 도 8에서 같은 절개선에 따라 절개된, 제2 구동 위치에 도 1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서와 같은 절개선에 따라 절개된, 제2 구동 위치에 도 1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14는 리드가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전면벽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3 위치(a third position)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16은 일부 부분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3 위치에 도 1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17은 도 8에서와 같은 절개선에 따라 절개된, 제3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리드가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제3 위치에서 도 1의 분배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분배 유닛의 내부 구성요소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내부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내부 구성요소의 후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서 절개선 XXII-XXII에 따라 절개된, 도 19의 내부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서 절개선 XXIII-XXIII에 따라 절개된, 도 19의 내부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분배 유닛의 또 다른 내부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분배 유닛의 추가적 내부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내부 구성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서 절개선 XXVII-XXVII에 따라 절개된, 도 25의 내부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5의 내부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서 절개선 XXIX-XXIX에 따라 절개된, 도 25의 내부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30은 도 1의 분배 유닛의 또 다른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구성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절개선 XXXII-XXXII에 따라 절개된, 도 30의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33은 도 1의 분배 유닛의 또 다른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구성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분배 유닛의 전면벽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본 도면 및 아래 도면에서, 제1 구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닛의 제2 실시예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37은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36의 분배 유닛의 절개 전면도이다.
도 38은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36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39는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36의 분배 유닛의 또 다른 축측 투영도이다.
도 40은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36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41은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36의 분배 유닛의 절개 전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에서 절개선 XLII-XLII에 따라 절개된, 도 36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3은 분배 유닛의 전면벽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본 도면 및 아래의 도면에서, 제1 구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닛의 제3 실시예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44는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43의 분배 유닛의 또 다른 축측 투영도이다.
도 45은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43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46은 제1 구동 위치에서 도 43의 분배 유닛의 절개 전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에서 절개선 XLVII-XLVII에 따라 절개된, 도 43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8은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43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49는 제2 구동 위치에서 도 43의 분배 유닛의 절개 전면도이다.
도 50은 분배 유닛의 전면 벽이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본 도면과 아래의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닛의 제4 실시예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분배 유닛의 또 다른 축측 투영도이다.
도 52는 도 50의 분배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53은 도 50의 분배 유닛의 절개 전면도이다.
도 54는 도 52에 절개선 LIV-LIV에 따라 절개된, 도 50의 분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5는 도 50의 분배 유닛의 구성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56은 절개선 LVI-LVI에 따라 절개된, 도 55의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57은 절개선 LVI-LVI에 따라 절개된, 도 55의 구성요소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58은 절개선 LVI-LVI에 따라 절개된, 도 55의 구성요소의 또 다른 축측 투영도이다.
도 59는 제1 구동 위치에서 다수의 부분(several parts)이 제거된 도 50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60은 제2 구동 위치에서, 다수의 부분이 제거된, 도 50의 분배 유닛의 축측 투영도이다.
도 1 내지 도 35를 초기에 참조하여, 부호 (1)(the numeral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유닛의 제1 실시예를 지칭한다.
분배 유닛(the dispensing unit, 1)은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커피(espresso coffee)에 대해, 커피 음료(a coffee beverage)를 특히 공급(supplying)에 대해, 음료를 공급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장치(an apparatus)에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일부 적용에서 장치는 음료를 만드는 장치로서, 분말 식재(a powdered food substance)가 물과(특히 가압된 뜨거운 물과) 주입되어 음료를 얻는 주입 챔버(an infusion chamber)를 포함하는 타입의 것이다. 예를 들어, 분말 식재는 캡슐 또는 팟, 특히 단일 분량 타입 또는 이중 분량 타입의 팟에 함유되며, 사용 전에 주입 챔버에 삽입되고 사용 후에 주입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음료의 공급 및/또는 제조를 위한 이러한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분배 유닛(1)은 장치의 주입 챔버의 송출 덕트 또는 채널(an outfeed duct or channel)에 연결된다. 따라서, 분배 유닛(1)은 주입 챔버에서 만들어진 음료를 수용하고 이를 컵이나 다른 용기에 분배하여, 음료를 소모(consumption)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분배 유닛(1)은 음료가 단일 용기, 컵, 또는 두 개의 용기나 컵에 동시에 분배되는 것을 필요에 따라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용기에 분배할 때에도, 음료는 동일한 주입(the same infusion)으로 올 수 있다. 즉, 음료는 같은 구동 동안 주입 챔버에서 얻어졌다.
분배 유닛(1)은 장치에 장착가능하며, 특히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guides)상에 장착되는 박스형 케이스 또는 몸체(a box-shaped case or body, 2)를 포함하며 이는 높이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분배 유닛(1)은 흡인 섹션(an infeed section, 21)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 중에 분배될 음료가 분배 유닛(1)에 들어가며, 분배 섹션(a dispensing section, 23)은 세 개의 분배 분출관(dispensing spouts, 31, 32, 33)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 중에 음료가 컵으로 분배된다.
흡인 섹션(21)은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파이프에 의해 주입 챔버의 송출관(the outfeed)에 연결된다. 흡인 섹션(21)은 파이프의 연결부(a connector)나 덕트의 개구(the mouth)에 의해 간단히 도시될 수 있다.
박스형 몸체(2) 안에서, 분배 유닛(1)은 또한 흡인 섹션(21) 및 분배 섹션(23)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된 두 개의 덕트(two ducts, 41, 42)를 포함한다. 두 개의 덕트(41, 42)의 각각은 흡인 섹션(21)과 액체 이송 교류(liquid transfer communication)상에 있는 흡인부(an infeed, 43) 및 분배 섹션(23)과 액체 이송 교류상에 있는 송출관(44)를 가진다. 두 개의 덕트(41, 42)는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위치되고 각각은 음료의 개별 부분 또는 쉐어(a respective part or share)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특히, 음료의 흐름(the flow of beverage)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에서 두 개의 덕트(41, 42) 사이에서 나눠진다. 이 나뉨(that division)은 분배 유닛(1)의 상류에서 이뤄질 수 있고, 즉, 음료는 이미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흡인 섹션(21)으로 들어갈 수 있고, 이 때 각각은 각 덕트(41, 42)에 주입된다. 대안적으로, 음료는 분배 유닛(1)의 안에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분배 유닛(1)은 흡인 섹션(21) 및 두 개의 덕트(41, 42)의 흡인부(43) 사이에 삽입되는 흐름 분할기(a flow divider, 25)를 포함한다. 흐름 분할기(25)는 음료를 흡인부에서 두 덕트(41, 42)로 주입되는 실질적으로 같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도록 설계된다.
박스형 몸체(2) 안에서, 분배 유닛(1)은 또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위치 및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2 위치 사이로 전이가능한 이동가능 부재(a movable member, 5)을 포함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vice versa). 이동가능 부재(5)는 덕트(41, 42)의 송출관(44) 및 분배 섹션(23) 사이 액체 이송 경로(a liquid transfer path)를 변화시키도록(change) 설계된다.
이동가능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41, 42)가 음료의 개별 부분이 같은 제1 분출관(a same first spout, 31)에 주입되는 방식으로 분배 섹션(23)과 교류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음료 흐름의 두 부분은 재결합(reunited)되고 음료는 단일 컵으로 분배된다.
이동가능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덕트(41, 42)는, 덕트(41)의 음료의 개별 부분이 제2 분배 분출관(32)으로 주입되고 다른 덕트(42)의 음료의 개별 부분이 제3 분배 분출관(33)으로 주입되는 방식으로 분배 섹션(23)과 교류한다. 이 조건에서, 두 부분의 음료 흐름(the two parts of beverage flow)은 분리되게 유지되며 음료는 동시에 두 개의 컵으로 분배된다.
기본적으로, 두 위치 사이에 이동가능 부재(the movable member, 5)의 전이(the shifting)는 음료의 다른 경로를 야기하며 이는, 덕트(41, 42)로부터 나와, 분배 분출관(the dispensing spouts, 31, 32, 33)을 향해 간다.
특히, 이동가능 부재(5)는 세 개의 분배 분출관에 대한 두 개의 덕트(41, 42)의 송출관(44)을 전이시킴으로써 액체 이송 경로(the liquid transfer path)를 변화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덕트(41, 42)의 하류에 음료 흐름은 이동가능 부재(5)의 위치 및 음료의 흐름이 덕트(41, 42)에 의해 주입되는 영역(the region)에 따라서 변화하는 경로를 따른다. 이러한 원리는 본 발명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찾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이동가능 부재(5)는 두 개의 덕트(41, 42)를 포함하며 이는 따라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이동가능 부재(5)와 강성적으로(ridigly) 전이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가능 부재(5)는 송출관(44) 뿐만 아니라, 전체 덕트(41, 42)도 전이시키며, 이는 특히 이동가능 부재(5)의 몸체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동가능 부재(5)는 병진 타입(the translating type)의 것이며, 즉, 이는 병진축(an axis of translation, 500)에 따른 이동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로 전이가능하다. 특히, 병진축(500)은 사용 동안 실질적으로 수평하며, 사용 동안, 기기 앞에 위치된 사용자의 시상축(a sagittal axis)에 대응한다.
이동가능 부재(5)의 전이(the shifting)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레버(a level) 또는 노브(knob)의 형태로 회전가능 셀렉터(a rotatable selector, 55)를 사용해 구현되며, 이는 구동 스크루(an operating screw, 57)에 의해 이동가능 부재(5)에 연결된다. 회전가능 셀렉터(55)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제1 각 위치(a first angular position) 및 제2 각 위치(a second angular position) 사이로 전이가능하다.
특히, 이동가능 부재(5)는 내부 나사산 튜브 공동(an internally threaded tubular cavity, 52)을 포함한다. 나사산 튜브 공동(52)은 병진축(500)에 수평하게 연장되며 구동 스크루(57)을 위한 암 스크루(a female screw)를 구성하며(constitutes) 이는 튜브 공동(52)으로 삽입된다. 구동 스크루(57)는 공동으로 회전하는 회전가능 셀렉터(55)에 고정되며, 치형부(teeth , 58)를 가지며 이는 공동(52)의 나사산(the thread)과 결합한다. 이동가능 몸체(the movable body, 5)는 분배 유닛(1)의 몸체에 고정된 대응하는 리브(corresponding ribs, 24)와 결합하는 그루브(grooves, 54) 덕분에, 회전하지 않고 축(500)에 따라 병진되도록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가능 셀렉터(55) 및 이와 연결된 구동 스크루(57)의 회전은 병진축(500)에 따른 이동가능 부재(5)의 전이를 야기한다. 튜브 공동(52)의 나사산은 회전가능 셀렉터(55)의 제1 각 위치가 이동가능 부재(5)의 제2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1 위치에 이동가능 부재(5)는 이동가능 셀렉터(55) 및 사용자로부터 이격되어 전이되며 그동안 제2 위치에 이동가능 부재(5)는 회전가능 셀렉터(55) 및 사용자의 근처에 있게된다.
분배 유닛(1)은 또한 두 개의 덕트(41, 42) 및 세 개의 분배 분출관(31, 32, 33) 사이에 주입되는 배분 부재(a distributing member, 6)를 포함한다. 배분 부재(6)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세 개의 챔버(three chambers, 61, 62, 63)를 포함한다. 각 챔버는 각각의 분배 분출관과 교류한다.
사용 동안, 배분 부재(6)는 분배 분출관에 대해 정적(stationary)이며 분배 유닛(1)의 몸체(2)에 대해 정적이다. 즉, 배분 부재(6)는 분배가 단일 컵 또는 두 개의 컵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두 개의 덕트(41, 42)의 송출관(the outfeeds, 44)은 이동가능 부재(5)를 이용하여 배분 부재(6)에 대해 전이가능하다.
이동가능 부재(5)는 제1 위치에 있고, 두 개의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제1 챔버(a first chamber, 61)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되고, 이는 제1 분배 분출관(the first dispensing spout, 31)과 교류한다(특히 도 7 내지 도 9 참조). 따라서, 음료 흐름의 두 부분은 제1 챔버(61)에 주입되고나서 제1 분출관(31)으로 주입되어, 단일 컵으로 분배된다.
이동가능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덕트(41) 하나의 송출관(44)은 제2 챔버(a second chamber, 62)의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되고 이는 제2 분배 분출관(the second dispensing spout, 32)과 교류하며, 그동안 또 다른 덕트(42)의 송출관(44)은 제3 챔버(a third chamber, 63)의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하며 이는 제3 분배 분출관(the third dispensing spout, 33)와 교류한다(특히 도 11 내지 도 13 참조).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챔버(the second chamber, 62) 및 제3 챔버(the third chamber, 63)는 이웃하며(side by side) 제1 격벽(a first partition, 65)에 의해 분리된다. 제2 위치에서, 이동가능 부재(5)는 제1 격벽(65) 위에 있으며, 이는 두 개의 송출관(44) 사이에 주입된 공간 아래에 있다. 기본적으로, 송출관(44)은 격벽(65)의 반대편(opposite sides)에 있다.
제1 챔버(61)는 제2 챔버(62) 및 제3 챔버(63)에 대해 상쇄(offset)되며 이로부터 제2 격벽(a second partition, 66)에 의해 분리된다. 이동가능 부재(5)는 제1 위치에 있으며, 양쪽 송출관(44)은 제1 챔버(61)의 위에 있다.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 스위치(the switch) 동안, 두 송출관(44)은 제2 격벽(66)의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이동한다.
기본적으로, 평면시점에서 세 개의 챔버(61, 62, 63)는 (예를 들어 그 들의 중심 또는 그들의 송출 개구부(their outfeed openings, 60)를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꼭짓점(the vertices)에 위치한다. 두 격벽(65, 66)은 T형(T shape)으로 배열된다.
특히, 제2 챔버(62) 및 제3 챔버(63)에 대한 제1 챔버(61)의 상쇄는 상쇄선(a line of offset)을 따르게 되고, 이는 사용 중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된다. 또한, 상쇄선은 이동가능 부재(5)의 병진축(500)에 수평하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챔버(61)는 다른 두 챔버(62, 63)보다 사용자로부터 멀다.
세 챔버(61, 62, 63)의 각각은 각 방출 채널(a respective discharge channel, 610, 620, 630)로 통하는 송출 개구부(an outfeed opening, 60)를 포함한다.
각 챔버에서, 하부(the bottom)는 송출 개구부(60)를 향해 미끄러져 내려오고(slopes down), 이는 주입 영역(the introducing region) 주위(peripheral) 및 그 영역에서 (최대한 멀리) 이격되는 위치에 있고, 이는 음료의 제1 경사법(a first decantation)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출 채널은 기울여지도록(slanting) 절개된(cut) 하측 단부(a lower end)를 포함하여, 방출 단계(the discharge step) 동안 음료에서 대기(air)를 함유(incorporating)하는 것을 가능한 피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분배 분출관은 서로에 대해 나란히 위치되고 특히 같은 수직 평면에 위치된다. 단일 분배를 위한 제1 분출관(31)은 제2 분출관(32) 및 제3 분출관(33) 사이에 주입되는 위치에 있다. 제2 분출관(32) 및 제3 분출관(33)은 따라서 분배 유닛(1)의 허용 크기(the acceptable dimensions)와 호환되는(compatible with) 서로에 대해 최대 거리로 떨어진다. 이는 이중 분배를 위해 이웃하게 위치된 두 컵을 수용하기 위한 최대 공간(the maximum space)을 남기는데 유용하다.
각 분배 분출관(31, 32, 33)은 각 유리형 요소(a respective glass-shaped element, 35)의 하부상에 있다. 세 개의 유리형 요소(35)는 분배 섹션(23)에 속하는 단일 몸체(a single body, 36)의 일부이다. 각 유리형 요소(35)는 음료를 수용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흐름으로 각 분배 분출관을 통해 나오게 하도록 설계되며, 유량(the flow rate)은 일반적인 장치 구동 조건(normal apparatus operating condisions)에 대해 컵형 요소(the cup-shaped element, 35)로의 흡인 유량(the infeed flow rate)보다 더 작다. 다시 말해서, 유리형 요소(35)는 음료 흡인 유량에서 어떠한 변동(any fluctuations)도 균일화(equalising) 및 균등화(evening out)하는데 유용하다.
유리형 요소(35)의 하부에는 송출 개구부(an outfeed opening, 30)이 있고 이를 통해 음료가 분배 불출관으로 강하(descends)한다. 송출 개구부(30)의 수송 횡단면(the transit cross-section)은 필요한 송출 유량(a desired outfeed flow rate)를 얻는데 적합한 크기(dimensions)에 따라 선택된다. 중심 유리형 요소(the central glass-shaped element, 35)의, 제1 분출관(31)으로의, 송출 개구부(30)는, 사용 동안 중심 유리형 요소에 필요한 유량이 각 측면방향 유리형 요소(each lateral glass-shaped element)에 필요한 유량의 실질적으로 두배라는 사실을 고려해서, 측면방향 유리형 요소(35)의 송출 개구부(30)보다 크다.
중심 유리형 요소의 체적(the volume)은 또한 각 측면방향 유리형 요소의 체적보다 크다. 이러한 체적은 분배 동안 각 유리형 요소(35)가 완전히 채워지고(completely filled) 넘치는 것(overflowing)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크도록 선택된다.
또한, 경사 부재(a decanting member, 37)는 각 유리형 요소(3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경사 부재(37)는 내부 챔버(an inner chamber) 또는 공동(cavity, 39)를 형성하는 중공 몸체(a hollow body)이며 적어도 하나의 송출 구멍(one outfeed hole, 390)을 가진 벽을 포함한다. 특히, 경사 부재(37)는 하부가 각 유리형 요소(35)로 연장되는 프로젝션(a projection)에 연결되는 상부 탱크(top tank)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경사 부재(37)는 분배 섹션(23)에 속하는 단일 몸체(a single body, 38)의 일부이며 배분 부재(6) 및 유리형 요소(23)를 가진 몸체(36) 사이로 주입된다.
각 경사 부재(37)는 위에 위치된 배분 부재(6)의 각 방출 채널(a respective discharge channel, 610, 620, 630)에서 음료를 수용하며, 음료를 유리형 요소(35)로 방출하고 이곳에 위치된다. 내부 챔버(the inner chamber, 39)는 격벽(partitions, 370)에 의해 분리되어 음료가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평면 시점에서, 몸체(38)는 배분 부재(6)의 윤곽(the outline)과 유사한 윤곽을 가지고 중심 경사 부재(the central decanting member, 37)는 제1 챔버(61)의 방출 채널(610) 아래 영역이 다른 것들에 대해 상쇄하는, 연장 형태(an elongated shape)를 가진다.
경사 부재(37)의 기능(the function)은 안에 함유된 대기를 방출(release)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음료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목적으로, 내부 챔버(39)의 체적과, 송출 구멍(the outfed hole, 390)의 수송 횡단면(the transit cross-section)과, 음료에 대해 제공되는 경로 및 경사 부재(37)의 형태는 이러한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또한, 경사 부재(37)를 갖춘 몸체(38)는 제1 챔버(61)에서 도달하는(arriving) 상쇄 흐름(the offset flow)을, 분배 분출관의 정렬된 배열과 일관되게(consistent with) 다른 챔버(62, 63)에서 도달하는 흐름과 정렬된 조건으로 되돌린다(returns).
송출 구멍(the outfeed hole, 390)은 특히 후자(the latter)의 하부의 중심에, 내부 공동(the inner cavity, 39)의 하측 영역에 만들어진다. 이러한 구멍(390)은 음료의 낮은 유량에 효과적이며, 이는 경사 부재(37)에서 수초간(for several seconds) 유지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방향 송출 구멍(one lateral outfeed hole, 391)은, 더 높은 유량을 가진 음료의 개선된 분배를 위한, 특히 언급된 프로젝션의 상부에서, 내부 공동(39)의 상측 영역(an upper region에 만들어진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분배 유닛(1)은 흐름 분할기(a flow divider, 25)를 포함하며 이는 흡인관(infeed)에 음료를 실질적으로 같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눈다.
구체적으로, 흐름 분할기(25)는 흡인되는 음료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챔버(27) 및 내부 챔버(27)에서 송출 통로(outfeed passages)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보정 노즐(two calibrated nozzles, 28)을 포함한다. 사용 중에, 분배 동안 내부 챔버(27)는 음료로 채워지고, 상류 압력(the upstream pressure)에 의해, 음료는 두 노즐(28)을 통해 강제로 분출되고(forced out), 두 노즐은 동일하며 내부 챔버(27)의 크기와 비교하여 작은 직경(a small diameter)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제1 노즐(the first nozzle, 28)에 들어가는 음료의 흐름은 제2 노즐(the second nozzle, 28)에 들어가는 음료의 흐름과 실질적으로 균등(equal)하다. 이는 주입되는 음료가 두 개의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으로 나뉘어져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두 덕트(41, 42)로 주입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흐름 분할기(25)는 이동가능 부재(5) 안에 있으며, 이는 따라서 흐름 분할기(25)와 덕트(41, 42) 모두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부재(5)는 흐름 분할기(25)의 내부 챔버(27)와 교류하는 흡인 채널(26)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는 음료가 분배되는 흐름 분할기에 주입하기 위한 언급된 채널(26)에 결합될 수 있다. 흡인 채널(26)의 입구(the mouth)는 흡인 섹션(21)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동가능 부재(5)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언급된 파이프는 예를 들어 유연성 파이프(a flexible pipe)이다.
회전가능 셀렉터(the rotatable selector, 55)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제3 각상 위치로 전이가능하다. 이러한 제3 위치에서, 회전가능 셀렉터(55)는 이동가능 부재(5)에서 분리된다. 이동가능 부재(5)는 실질적으로 회전가능 셀렉터(55)에서 이격된 스트로크(its stroke)의 단부에 있으며 구동 스크루(the operating screw, 57)의 치형부(the teeth, 58)는 나사산 공동(the thread of the cavity, 52)에서 분리되었다. 사용 중에, 구동 스크루(57)는 사용자를 향한 간단한 병진(a simple translation)로 공동(52)에서 뽑힐(extracted) 수 있고, 따라서, 회전가능 셀렉터(55)는 분배 유닛(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내부 청소를 위해 분배 유닛(1)이 개방되고 분해되게 하는데 유용하다. 회전가능 셀렉터(55)를 이동가능 부재(5)에 다시 연결시키기 위해서, 위에 구동(the above operations)은 반대로 실행되어, 구동 스크루(57)를 공동(52)으로 삽입시키고 회전가능 셀렉터(55)를 제1 각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특히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인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는, 장치 설계상 작업량(the workload)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분배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적 커피제조 장치(a professional coffee-making apparatus)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주입 챔버 및 두 개의 분배 유닛(1)을 포함하며, 각각은 각 주입 챔버에 연결된다.
단일 컵에 분배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회전가능 셀렉터(55)를 제1 각 위치에 세팅시키고, 제1 분배 분출관(the first dispensing spout, 31) 아래에 컵을 위치시키고 음료를 만들기 시작한다.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음료는 흡인 섹션(21)을 통해 분배유닛(1)으로 들어가며, 이동가능 부재(5)에 들어가고 흐름 분할기(24)에서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두 부분은 덕트(41, 42)를 통과하고 재결합되며, 제1 챔버(61)로 들어가며, 여기서 음료는 방출 채널(610)을 통해 나가서, 중심 경사 부재(37)의 내부 공동(39)에 들어간다. 음료는 구멍(390)을 통해(그리고 혹은 구멍(391)을 통해) 나오고 중심 유리형 요소(35)로 들어가고, 마지막으로 제1 분배 분출관(31)를 통해 나온다.
두 컵으로 동시에 분배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회전가능 셀렉터(55)를 제2 각 위치에 세팅하며, 하나의 컵을 제2 분배 분출관(32) 하에 위치시키고 또 다른 컵을 제3 분배 분출관(33) 하에 위치시킨 후에, 음료를 만들기 시작한다. 장치에 만들어지는 음료는 흡인 섹션(21)에서 분배 유닛(1)에 들어가고, 이동가능 부재(5)에 들어가서 흐름 분할기(25)에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들어간다. 이 순간에, 음료의 두 부분은 다른 경로를 따르며, 덕트(41, 42)를 통과하고 각각 제2 챔버(62)와 제3 챔버(63)로 들어가고, 각 방출 채널(620, 630)을 통해 나가며, 측면방향 경사 부재(37)의 내부 챔버(39)로 흘러 들어간다. 음료의 부분은 각 구멍(390)을 통해(그리고 또는 구멍(391)을 통해) 나오고 측면방향 유리형 요소(35)로 들어가서, 마지막으로 제2 분배 분출관(32)와 제3 분배 분출관(33)를 통해 나온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의 대안에서, 덕트(41, 42) 및/또는 송출관(outfeeds, 44)은 분배 분출관에 대해서 그리고 분배 유닛의 몸체(2)에 대해서 정적일(stationary) 수 있고, 그동안 이동가능 부재는 배분 부재(6)를 송출관(44)에 대해 전이시켜서 위에 기술된 상대적인 위치를 도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에서, 덕트 및 송출관은 분배 유닛의 몸체에 대해 정적이며, 그동안 배분 부재 및 분배 분출관은 덕트의 송출관에 대한 수직축 에 대해 수평하게 병진가능하거나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대안에서도,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일어나는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과 분배 섹션(23) 사이 액체 이송 경로상 변화가 있으며, 이는 덕트 송출관 대신 배분 부재를 전이시켜서, 본 발명의 목표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유닛의 제2 실시예는 도 36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기술되며 부호 (13)으로 지칭된다.
명백하게 지칭되지 않는한, 위에 기술된 제1 실시예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해 지칭되며 다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분배 유닛(13)은 박스형 케이스 또는 몸체(2)를 포함하며 이것의 전면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아서, 내부 구성요소가 보이도록 하였다.
분배 유닛(1)과는 달리, 분배 유닛(13)에서는 두 덕트(41, 42)가 이동가능 부재의 일부가 아니며 이와 강성적으로 전이가능하지 않다.
분배 유닛(13)에서, 두 덕트(41, 42)는 유연하거나 구부려지며(bendable), 예를 들어 이는 실리콘 호스(silicone hoses)이고, 이동가능 부재(53)는 두 덕트의 송출관(44)을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에 대해 전이시키도록 두 덕트(41, 42)를 굽히거나(bow) 구부리도록 설계되며, 그에 따라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킨다. 특히, 두 덕트(41, 42)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elastically deformable) 따라서 초기 형태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분배 유닛(13)은 음료 흡인 섹션(21) 및 흡인관에 음료를 실질적으로 동등한 두 부분으로 나누는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 사이에 삽입되는 흐름 분할기(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흐름 분할기(25)는 분배 유닛(13)의 몸체에 고정되고 이동가능 부재(53)의 일부가 아니다.
위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흐름 분할기(25)는 음료 및 내부 챔버(27)에서 송출 통로(outfeed passages)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보정 노즐(two calibrated nozzles, 28)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챔버(27)를 포함한다.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은 두 보정 노즐(28)에 직접적으로 장착되고 두 덕트(41, 42)는 뒤집힌 V 배열(an inverted arrangement)로 갈라진다(diverge).
배분 유닛(13)은 흐름 분할기(25)의 내부 챔버(27)와 교류하는 흡인 채널(26)을 포함한다. 주입 챔버에서 도달하는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는 흐름 분할기에 분배될 음료를 공급하는 채널(26)과 결합될 수 있다. 흡인 채널(26)의 입구를 흡인 섹션(21)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동가능 부재(53)는 병진 타입(the translating type)의 것이고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도 38 내지 도 41에 도시된) 제2 위치 사이로 전이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되, 이는 특히 분배 유닛(13)의 사용 동안 실질적으로 수직인 병진축(530)에 따른 이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동가능 부재(53)는 연장 슬롯(an elongate slot, 531)을 포함하며 이는 병진축(530)에 따라 연장되며 분배 유닛(13)의 박스형 몸체(2)에 고정된 치형부(243)을 수용한다. 연장 슬롯(531) 및 치형부(243)가 동시에 작동하기 때문에, 이동가능 부재(53)는 언급된 병진 이동(said translating movement)를 수행하도록 제한된다. 이동가능 부재(53)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된 시트(seats, 535)를 형성하는 두 프로젝트 요소(two projecting elements)를 포함한다. 시트(535) 각각은 각 덕트(41, 42)의 섹션 또는 연장부(stretch)를 수용한다. 특히, 언급된 두 시트(535)는 실질적으로 C형(C-shaped)이며 서로를 마주보며, 두 덕트는 두 시트(535) 사이에 영역으로 통과한다.
이동가능 부재(53)의 병진 이동(the translating movement) 동안, 두 시트(535)는 두 덕트(41, 42)를 따라 슬라이드하며 따라서 시트(535)에서 수용되는 두 덕트(41, 42)의 섹션 사이에 거리를 두도록 강제한다(force a distance). 다시 말해서, 이동가능 부재(53)의 이동 및 시트(535)의 이동은 덕트(41, 42)가 서로에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실제로, 두 덕트(41, 42)가 갈라지며(diverge) 병진축(530)과 수평하지 않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가능 부재는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도 전이시킨다.
이동가능 부재(53)가 하향 전이되며 송출관(44)에 더 가까운 제1 위치에서, 시트(535)의 벽은 덕트가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고 송출관이 서로 인접하도록 유지시킨다.
이동가능 부재가 상향 전이되고 송출관(44)에서 더 먼(further) 제2 위치에서, 덕트(41, 42) 갈라지고 송출관(44)이 서로에 대해 이격된다.
특히, 덕트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면 이는 제2 위치에 대해 도시된 갈라짐 조건(the diverging condition)으로 동시에 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덕트(41, 42)는 공면(coplanar)상에, 특히 수직 평면상에, 유지된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병진 셀렉터(a translating selector)는 사용자가 이동가능 부재(53)의 전이를 작동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 부재(53)에 연결된다.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셀렉터의 전이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 이동 부재(53)의 전이 및 그 반대의 경우를 야기한다.
구체적으로, 병진 셀렉터는 분배 유닛(13)의 몸체(2)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project)하며 몸체(2)에서 만들어진 적절한 슬롯에서 슬라이드가능한 두 치형부(two teeth, 553)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이동가능 부재(53)와 일체로 만들어진(made in one piece) 두 치형부(553)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잡혀서 이동가능 부재를 아래 위로 전이시킬 수 있다. 근본적으로, 이는 이중 측면방향 그립(double lateral grip)을 가진 셀렉터이다.
대안적으로, 병진 셀렉터는 배분 유닛(13)의 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치형부 또는 노브(a knob)일 수 있다.
분배 유닛(13)은 두 덕트(41, 42)와 세 분배 분출관 사이로 삽입되는 배분 부재(6)를 또한 포함한다. 위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배분 부재(6)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세 챔버(61, 62, 63)를 포함한다. 각 챔버는 각 분배 분출관과 교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챔버(661)는 제2 챔버(62)와 제3 챔버(63) 사이로 삽입된다. 챔버는 격벽(partitions, 67)에 의해 구분(separated)된다.
사용 동안, 배분 부재(6)는 분배 분출관과 분배 유닛(13)의 몸체(2)에 대해 정적이다. 즉, 배분 부재(6)는 분배가 단일 컵 또는 두 컵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이동가능 부재(53)에 의해 배분 부재(6)에 대해 전이가능하다.
이동가능 부재(53)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제1 챔버(61)의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되고, 이는 중심에 위치하고 제1 분배 분출관(31)과 교류한다(도 36 및 도 37 참조). 따라서, 음료 흐름의 두 부분은 양쪽 모두 제1 챔버(61)에 주입된 후 제1 분출관(31)으로 주입되서, 단일 컵으로 분배된다.
이동가능 부재(53)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의 송출관(44)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한 덕트(41)의 송출관(44)이 제2 챔버(62) 위에 있거나 그 챔버상에 위치되며 이는 측면방향이고 제2 분배 분출관(32)과 교류하며 그동안 다른 덕트(42)의 송출관(44)은 제3 챔버(63)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되며 이는 측면방향이며 제3 분배 분출관(33)과 교류한다(특히 도 39 내지 도 41 참조). 따라서, 음료 흐름의 두 부분은 독립된 채로 유지되며, 독립적인 경로를 따르며, 각 분출관(32, 33)에 도달하여, 동시에 두 컵으로 분배된다. 한 챔버에서 다른 챔버로의 덕트(41, 42)의 송출관의 통과(the passage)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두 독립 격벽(two separating partitions, 67)의 각각은 격벽(67)의 상면 가장자리(the top edge)상에 개방되는 리세스 또는 개구부(a recess or opening, 670)를 가진다.
두 덕트(41, 4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모두에서 같은 평면에서 공면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다른 두 챔버(62, 63)에 대해 제1 챔버(61)를 상쇄(offset)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분배 유닛(1)에 비교하여, 분배 유닛(13)은 더 집약적(more compact)이고 덜 굵다(less thick).
분배 유닛(13)도, 분배 유닛(1)에 대해 위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경사 부재(37) 및 유리형 요소(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시, 경사 부재(37) 및 유리형 요소(35)는 배분 부재(6)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즉, 단일 구성요소로 결합된다.
분배 유닛(13)은 청소 및 유지보수(maintenance)를 위해 분해될 수 있다. 보정 노즐(28)은 덕트(41, 42)의 흡인관(43)에 탈착식으로 삽입된다. 주입 챔버에서 도달하는 파이프는 누름으로써(by pressing it) 채널(26)로 탈착식으로 삽입된다. 배분 부재(6)는 치형부(28)를 연동(interlocking)함으로써 몸체(2)에 탈착식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유닛의 제3 실시예는 도 43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기술되고 부호 (15)로 지칭된다.
명시되지 않는한, 위에 기술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지칭되며 다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분배 유닛(15)은 다시 박스형 케이스 또는 몸체(2)를 포함하고, 이것의 전면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아서, 내부 구성요소가 보이도록 하였다.
분배 유닛(15)은 위에 기술된 제2 실시예(분배 유닛(13))과 같은 원리에 기초하며, 주로 아래의 복수의 특징에 있어서 다르다.
특히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분할기(25)는 음료의 두 부분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두 구성요소 또는 챔버(251, 252)를 포함한다. 두 덕트(41, 42)가 뒤집힌 V 구성상에 있는 분배 유닛(13)과는 달리, 분배 유닛(15)에서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고 언급된 두 구성요소 또는 챔버(251, 252)의 송출 개구부에 장착된다. 흐름 분할기는 두 부분으로 도달하는 음료의 흐름을 나누는 격벽(253)을 갖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흐름 분할기(25)는 보정 노즐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분배 유닛(13)에 대해 기술된 것과 같은 흐름 분할기는 또한 분배 유닛(17)에 대해 도입될 수 있다.
두 덕트(41, 42)는 수렴하는 V형 조건(a converging, V-shaped consition)상에 있고, 이 때 이동가능 부재(53)는 제1 위치상에 있으며(도 43 내지 도 46), 이는 특히 상향 전이되는 위치이다. 두 덕트(41, 42)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거나, 덜 수렴하며, 이 때 이동가능 부재(53)는 제2 위치상에 있으며(도 48 및 도 49), 이는 특히 하향 전이되는 위치이다.
덕트(41, 42)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제1 위치에 대해 도시된 수렴 조건으로 동시에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두 시트(535)는 C형이며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즉, 두 덕트(41, 42) 사이에 삽입된다.
이동가능 부재(53)가 축(530)을 따라 병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이동가능 부재(53)는 분배 유닛(15)의 몸체상에 만들어진 트랙(tracks, 29)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a slide, 539)를 포함한다.
분배 유닛(15) 구동 및 사용 방법은 위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분배 유닛(15) 및 분배 유닛(13) 사이에 위에 언급된 차이는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상관관계가 없다(not correlated)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언급된 차이 중 단지 일부만 존재할 경우에만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유닛의 제4 실시예는 도 50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기술되며 부호 (17)로 지칭된다.
명시되지 않는한, 위에 기술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지칭되며 다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분배 유닛(17)은 박스형 케이스 또는 몸체(2)를 다시 포함혀며, 이것의 전면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아서, 내부 구성요소가 보일 수 있게 하였다.
분배 유닛(17)은 제1 실시예의 분배 유닛(1)과 공통되는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이동가능 부재에 있어서 다르다.
병진 타입의 것인 대신에, 분배 유닛(17)의 이동가능 부재(7)는 회전축(an axis of rotation, 700)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이동가능 부재(7)의 전이와 그 반대의 경우는 언급된 회전축(700)에 대한 회전이다. 사용 중에, 회전축(700)은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이동가능 부재(7)는 두 덕트(41, 42)를 포함하며, 이는 이동가능 부재(7)의 몸체(71)에서 만들어지고 따라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 이동과 그 반대의 경우 동안 이동가능 부재(7)와 강성적으로 전이가능하다.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회전축(700)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난다(off centre). 결과적으로, 이동가능 부재(7)의 회전은 세 분배 분출관에 대한 두 덕트의 송출관(44)을 전이시켜서,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가능 부재(7)의 몸체(71)는 실린더 벽(a cylindrical wall, 72)과 하부 표면(a bottom face, 73)을 포함한다. 실린더 벽(72)은 회전축(700)과 겹치는(coincides with) 중심축(a central axis)을 가진다. 두 덕트의 송출관(44)은 하부 표면(73)상에 있으며 배분 부재(6)를 아래로 향하게 한다. 특히, 두 송출관(44)은 축(700)에서 같은 방사상 거리(the same radial distance)를 가진다. 즉, 이는 같은 원(the same circle)상에 있다.
두 덕트의 송출관(44)은 축(700)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되지 않는다. 회전축(700)을 포함하는 평면과 두 덕트 중 하나의 송출관(44)을 고려하여, 두 덕트의 다른 하나의 송출관(44)은 언급된 평면에 속하지 않는다. 특히, 두 송출관(44)은 135도 이하의 각상 거리(an angular distance)만큼 떨어져있고, 회전축(700)에 대한 각을 측정한다(즉, 축상 중심으로).
축(700)을 포함하며 분배 유닛(17)((750)로 지칭되는 평면의 트레이스(a trace))의 전면에 수평한 평면을 고려하여, (도 59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두 송출관(44)은 양쪽 모두 평면(the plane, 750)의 한 면상에 있으며 (도 60에 도시된) 제2 위치에서 두 송출관(44)은 양쪽 모두 평면(750)의 다른 면상에 있다. 두 위치는 서로에 대해서 180도에 걸쳐 회전축(700)에 대해 회전된다.
배분 부재(6)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1)에 대해서 기술된 경우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실제로, 배분 부재(6)는 격벽(65, 66)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이격된 세 챔버(61, 62, 63)를 포함한다. 제2 챔버(62)는 제3 챔버(63)의 옆에(alongside) 있고, 그동안 제1 챔버(61)는 제2 챔버(62) 및 제3 챔버(63)에 대해 상쇄된다. 세 챔버는 평면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꼭짓점에 위치된다. 근본적으로, 제1 격벽(65)은 송출관(44) 사이 하부 영역(the bottom region, 73) 아래에 있고 이 때 이동가능 부재(7)는 제2 위치에 있으며, 제2 격벽(66)은 평면(750)에 있게된다.
이동가능 부재(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양쪽 송출관(44)은 제1 챔버(61)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된다. 이동가능 부재(7)가 제2 위치상에 있을 때, 제1 덕트(41)의 송출관은 제2 챔버(62)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되며 제2 덕트(42)의 송출관(44)은 제3 챔버(63)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된다. 분배 유닛(17)의 구동은, 송출관이 배분 부재(6)에 대해 전이되는 것을 이용한 메커니즘(the mechanism)을 제외하고, 분배 유닛(1)의 경우와 유사하다.
분배 유닛(17)은 이동가능 부재(7)에 연결된 회전가능 셀렉터(557)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가능 셀렉터(557)는 분배 유닛(17)의 상면에 있고 이동가능 부재(7)과 함께 회전한다. 제1 각 위치 및 제2 각 위치 사이 회전가능 셀렉터(557)의 회전과 그 반대의 경우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 이동가능 부재(7)의 전이와 그 반대의 경우를 야기한다.
분배 유닛(17)은 흐름 분할기(25)를 또한 포함하며, 이는 흡인 섹션(21)과 두 덕트(41, 42)의 흡인관 사이에 삽입된다. 흐름 분할기(25)는 두 덕트로 주입되는 흡인관에 음료를 실질적으로 같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넣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흐름 분할기(25)는 이동가능 부재(7)에 포함되며 음료 및 내부 챔버(27)에서 송출 통로를 형성하는 두 보정 노즐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챔버(27)를 포함한다. 특히, 보정 노즐은 덕트(41, 42)이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챔버(27)는 축(700)과 실질적으로 동축인(coaxial) 위치에 몸체(71)에 만들어지며 덕트(41, 42)는, 이것이 갈라지고 축(700)에 대해 비스듬하도록, 언급된 내부 챔버(27)에서 연장되어서, 송출관(44)은 축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몸체(71)의 실린더 벽(72)은, 같은 몸체(71)에 만들어진 각 채널을 통해, 흐름 분할기(25)의 내부 챔버(27)와 교류하는 두 개구부를 포함한다. 특히, 두 개구부는 정반대로(diametrically) 대항하는 위치(opposed positions)상에 있다. 몸체(71)는 실린더 벽(72)을 둘러싸는 지지부(a support, 76)에 회전적으로 수용(housed)된다. 지지부(76)는 분배 유닛의 몸체(2)에 고정되며 흡인 섹션(21)에서 음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채널(77)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채널(77)은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에 의해 주입 챔버에 연결될 수 있다. 채널(77)은 실린더 벽(72)상에 개방된다.
이동가능 부재(7)가 제1 위치에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74)의 한 면 또는 또 다른 면은 채널(77)과 교류한다. 특히,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 축(700)에 대한 몸체(71)의 회전은 대안적으로 제1 개구부(74) 또는 제2 개구부(74)를, 채널(77)에 음료가 몸체(71) 및 흐름 분할기(25)의 내부 챔버(27)에 양쪽 위치에서 들어가도록, 채널(77)에 위치로 들여보낸다.
회전가능 몸체(71) 및 지지부(76) 사이 유밀식 밀봉(the fluidtight seal)은 각상 개스킷(annular gaskets, 79)에 의해 보장(guaranteed)된다.
다시, 분배 유닛(17)은, 분배 유닛(1)에 대해 위에 기술된 경우와 유사하게, 경사 부재(37) 및 유리형 요소(35)를 포함한다. 특히, 분배 유닛(17)의 분배 섹션(23)은 분배 유닛(1)의 분배 섹션(23)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시, 분배 유닛(17)은 청소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분해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배분 부재(6)는 세 분배 분출관과 분배 유닛의 몸체에 대해 정적이며, 그동안 이동가능 부재(7)는 배분 부재(6)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덕트(41, 42)를 포함하는 몸체(71)는 분배 유닛의 몸체에 대해 정적일 수 있으며, 그동안 배분 부재(6)는 몸체(71)에 대해 회전가능(또는 병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가능 부재는 배분 부재(6)를 포함할 것이다. 필요시, 구체적인 변형(a specific variant)에서 분배 분출관은 배분 부재(6)와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수의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닛과, 장치 및 방법은, 한 모드(one mode)와 또 다른 모드 사이로 간단하고 쉬운 전환(simple and easy switching)으로, 음료가 단일 용기(a single container) 또는 두 용기(two containers)에 동시에 배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두 용기로 분배되는 경우에서, 두 용기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부분의 음료를(substantially equal parts of the beverage) 수용한다. 이는 커피를 제조하는 장치의 경우에서 특히 유리하며, 공공장소(public premises) 또는 케이터링 사업(a catering business)과 같은 전문적인 맥락으로 사용될 때 더욱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고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연관된 비용조차도 매우 높지 않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은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방법으로 수정되고 적용될 수 있다.
모든 세부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 또는 사용상 재료로 대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의 형태 및 크기도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1, 13, 15, 17: 음료 분배 유닛
5, 7, 53: 이동가능 부재
31, 32, 33: 분배 분출관
41, 42: 덕트
61, 62 ,63: 챔버

Claims (38)

  1. 음료를, 특히 커피를 공급하는 장치의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에 있어서,
    분배될 음료의 흡인 섹션(21)을 포함하고,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섹션(23)을 포함하고,
    흡인 섹션(21)과 분배 섹션(23) 사이 수평으로 주입되는 두 덕트(41, 42)를 포함하되, 두 덕트(41, 42)의 각각은 흡인 섹션(21)과 액체 이송 교류상에 있는 흡인관(43) 및 분배 섹션(23)과 액체 이송 교류상에 있는 송출관(44)을 포함하며, 두 덕트(41, 42)의 각각은 음료의 개별 부분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로 전이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는 이동가능 부재(5, 53, 7)를 포함하되, 이동가능 부재(5, 53, 7)는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과 분배 섹션(23) 사이에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키도록 설계되며,
    이동가능 부재(5, 53, 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41, 42)는, 음료의 개별 부분이 언급된 세 분배 분출관 중 같은 첫째 것(31)으로 주입되도록 분배 섹션(23)과 교류하며,
    이동가능 부재(5, 53, 7)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41, 42)는 분배 섹션(23)과 교류하며 이 때 두 덕트 중 하나(41)의 음료의 개별 부분이 언급된 세 분배 분출관의 두번째(32)로 주입되며 두 덕트의 또 다른 하나(42)의 음료의 개별 부분은 언급된 세 분배 분출관의 세번째(33)로 주입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2. 제1항에 있어서,
    두 덕트(41, 42)와 세 분배 분출관(31, 32, 33) 사이로 주입되는 배분 부재(6)를 포함하며, 배분 부재(6)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세 챔배(61, 62, 63)를 포함하며, 세 챔버(61, 62, 63)의 각각은 언습된 세 분배 분출관(31, 32, 33) 중 각각 하나와 교류하며, 이동가능 부재(5, 53, 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제1 분배 분출관(31)과 교류하는 제1 챔버(61)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위치되며, 이동가능 부재(5, 53, 7)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제2 챔버(62) 및 제3 챔버(63) 위에 또는 그 챔버상에 각각 위치되며 제2 챔버(62)는 제2 분배 분출관(32)과 교류하며 제3 챔버(63)는 제3 분출관(33)과 교류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배분 부재(6)는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에 대해 정적이며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은 배분 부재(6)에 대해 전이가능한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 챔버(62)가 제3 챔버와 이웃하며 제1 챔버(61)가 제2 챔버(62) 및 제3 챔버(63)에 대해 상쇄하며, 세 챔버(61, 62, 63)가 실질적으로 평면시점에서 삼각형의 꼭짓점에 위치되는 음료 분배 유닛(1, 17).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섹션(21)과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 사이에 삽입되는 흐름 분할기(25)를 포함하며, 흐름 분할기(25)가 음료를 흡인관에서 두 덕트(41, 42)에 주입되는 실질적으로 같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들어가게 하도록 설계된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6. 제5항에 있어서,
    흐름 분할기(25)가 음료 및 내부 챔버(27)에서 송출 통로를 형성하는 두 보정 노즐(28)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챔버(27)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7).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5, 7)가 흐름 분할기(25)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7).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5, 53, 7)가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에 대해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을 전이시키도록 설계되어, 그에 따라 언급된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키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9. 제8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5, 7)는 두 덕트(41, 42)를 포함하며, 두 덕트(41, 42)가 이동가능 부재(5, 7)에 대해 강성적으로 전이가능한 음료 분배 유닛(1, 17).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5, 53)이 병진되고, 이동가능 부재(5, 53)가 병진축(500, 530)을 따른 이동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전이가능한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1. 제10항과 조합된 제4항에 있어서,
    제2 챔버(62)와 제2 챔버(63)에 대한 제1 챔버(61)의 상쇄는 이동가능 부재(5)의 병진축(500)과 수평한 상쇄선을 따라 있으며, 상쇄선 및 병진축(500)은 사용 중에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는 음료 분배 유닛(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회전가능 셀렉터(55)를 포함하며, 회전가능 셀렉터(55)가 구동 스크루(57)에 의해 이동가능 부재(5)에 연결되며, 제1 각 위치 및 제2 각 위치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의 회전가능 셀렉터(55)의 회전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의 이동가능 부재의 전이를 야기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제12항에 있어서,
    회전가능 셀렉터(55)가 제3 각상 위치로 전이가능하며, 회전가능 셀렉터(55)가 이동가능 부재(5)에서 분리되며 음료 분배 유닛(1)에서 탈착가능한 음료 분배 유닛(1).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덕트(41, 42)가 유연하거나 구부려지고, 이동가능 부재(53)가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을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에 대해 전이시키도록 두 덕트(41, 42)를 굽히거나 구부리도록 설계되어, 그에 따라 언급된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키는 음료 분배 유닛(13, 15).
  15. 제2항과 조합된 제14항에 있어서,
    제1 챔버(61)가 제2 챔버(62) 및 제3 챔버(63) 사이에 주입되며,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이 서로에 대해 인접하며 이 때 이동가능 부재(53)가 제1 위치에 있고,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고 이 때 이동가능 부재(53)가 제2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유닛(13, 15).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53)가 병진하며, 이동가능 부재(53)가 병진축(530)에 따른 이동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전이가능한 음료 분배 유닛(13, 15).
  17. 제16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53)가 두 시트(535)를 포함하며 각 시트가 언급된 두 덕트(41, 42) 중 각각 하나의 섹션을 수용하며, 두 시트(535)가 이동가능 부재(53)의 병진 이동 동안 두 덕트(41, 42)를 따라서 슬라이드되며, 두 시트(535)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시트(535)에 수용되는 두 덕트(41, 42)의 섹션 사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결정하는 음료 분배 유닛(13, 15).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병진축(530)이 실질적으로 수직한 음료 분배 유닛(13, 15).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병진 셀렉터(553)를 포함하며, 병진 셀렉터가 이동가능 부재(53)에 연결되며,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에서 병진 셀렉터(53)의 전이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의 이동가능 부재(53)의 전이를 야기하는 음료 분배 유닛(13, 15).
  20. 제14항 내지 제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덕트(41, 42)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음료 분배 유닛(13, 15).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섹션(21)과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 사이에 삽입되는 흐름 분할기(25)를 포함하며, 흐름 분할기(25)가 흡인관에 음료를 두 덕트(41, 42)에 주입되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두 부분으로 나누도록 설계되는 음료 분배 유닛(13, 15).
  22. 제21항에 있어서,
    흐름 분할기(25)가 음료 및 내부 챔버(27)에서 송출 통로를 형성하는 보정 노즐(28)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챔버(27)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유닛(13, 15).
  23.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이 두 보정 노즐(28)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음료 분배 유닛(13).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흐름 분할기(25)가 음료의 두 부분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두 구성요소 또는 챔버(251, 252)를 포함하며, 두 덕트(41, 42)의 흡인관(43)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언급된 두 구성요소 또는 챔버(251, 252)에서 송출 개구부에 장착되는 음료 분배 유닛(15).
  2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7)가 회전축(700)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의 이동가능 부재(7)의 전이가 언급된 회전축(700)에 대한 회전인 음료 분배 유닛(17).
  26. 제25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7)가 두 덕트(41, 42)를 포함하며,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이, 이동가능 부재(7)가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에 대해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을 전이시키도록 설계되도록, 언급된 회전축(700)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나서, 그에 따라 언급된 액체 이송 경로를 변화시키는 음료 분배 유닛(17).
  27. 제26항에 있어서,
    회전축(700)과 두 덕트(41, 42) 중 하나의 송출관(44)을 포함하는 평면을 고려하여, 두 덕트(41, 42) 중 다른 하나의 송출관(44)이 언급된 평면에 속하지 않는 음료 분배 유닛(17).
  28. 제27항에 있어서,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이 회전축(700)에서 같은 방사상 거리를 가지며, 회전축(700)에 대해, 일정 각 거리로 서로 이격되는 음료 분배 유닛(17).
  29. 제 4항에 조합된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배분 부재(6)가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에 대해 정적이며 이동가능 부재(7)가 분배 부재(6)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그리고 반대의 경우의 전이가 회전축(700)에 대해 180도 회전인 음료 분배 유닛(17).
  30.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회전가능 셀렉터(557)를 포함하며, 회전가능 셀렉터(557)가 이동가능 부재(7)에 연결되고, 제1 각 위치 및 제2 각 위치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에 회전가능 셀렉터(557)의 회전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와 그 반대의 경우의 이동가능 부재(7)의 전이를 야기하는 음료 분배 유닛(17).
  31.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회전축(700)이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음료 분배 유닛(17).
  32. 제7항과 조합된 제2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재(7)가 실린더 벽(72) 및 하부 표면(73)을 가지는 몸체(71)를 포함하며, 흐름 분할기(25) 및 두 덕트(41, 42)가 언급된 몸체(71)에서 만들어지고 두 덕트(41, 42)의 송출관(44)이 언급된 하부 표면(73)상에 있고, 실린더 벽(72)이 흐름 분할기(25)의 내부 챔버(27)와 교류하는 두 개구부(74)를 포함하며, 몸체(71)가 언급된 실린더 벽(72)을 둘러싸는 지지부(76)에 회전식으로 수용되고 흡인 섹션(21에서 음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채널(77)을 가지며, 채널(77)은 실린더 벽(72)상에 개방되고, 언급된 두 개구부(74)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언급된 채널(77)과 교류하며 이 때 이동가능 부재(7)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유닛(17).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 분배 분출관(31, 32, 33)이 서로에 대해 이웃하게 위치되며, 제1 분배 분출관(31)가 제2 분배 분출관(32) 및 제3 분배 분출관(33) 사이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분배 분출관(31, 32, 33)이 각 유리형 요소(35)의 하부상에 위치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35. 제34항에 있어서,
    각 경사 부재(37)가 각 유리형 요소(3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치하며, 경사 부재(37)가 내부 공동(39)을 형성하는 중공 몸체이며 적어도 하나의 송출 구멍(390, 391)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36. 제35항에 있어서,
    경사 부재(37)가 내부 공동(39)의 하측 영역에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출 구멍(390) 및 내부 공동(39)의 상측 영역에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 송출 구멍(391)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
  37. 음료를, 특히 커피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음료 분배 유닛(1, 13, 15, 17)을 포함하는 장치.
  38.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료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동등한 두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와,
    단일 용기로 음료 분배가 요구될 때, 음료의 두 부분을 같은 제1 분배 지점을 향해 안내하는 단계와,
    두 용기로 동시적인 음료 분배가 요구될 때, 음료 흐름의 제1 부분을 제2 분배 지점을 향해 안내하며 음료 흐름의 제2 부분을 제3 분배 지점을 향해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13882A 2015-10-19 2016-10-07 음료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KR20180069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4988A ITUB20154988A1 (it) 2015-10-19 2015-10-19 Erogatore di bevanda e apparecchiatura comprendente tale erogatore
ITUB2015A005134A ITUB20155134A1 (it) 2015-10-19 2015-10-19 Erogatore di bevanda e apparecchiatura comprendente tale erogatore
IT102015000063037 2015-10-19
ITUB2015A005147A ITUB20155147A1 (it) 2015-10-19 2015-10-19 Erogatore di bevanda e apparecchiatura comprendente tale erogatore
IT102015000063076 2015-10-19
IT102015000063023 2015-10-19
PCT/IB2016/056024 WO2017068449A1 (en) 2015-10-19 2016-10-07 Beverage dispensing unit and apparatus comprising said dispens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885A true KR20180069885A (ko) 2018-06-25

Family

ID=5732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882A KR20180069885A (ko) 2015-10-19 2016-10-07 음료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820747B2 (ko)
EP (1) EP3364831B1 (ko)
JP (1) JP6694505B2 (ko)
KR (1) KR20180069885A (ko)
CN (1) CN108366694B (ko)
AU (1) AU2016341547B2 (ko)
BR (1) BR112018007937B1 (ko)
CA (1) CA3000112C (ko)
CO (1) CO2018003853A2 (ko)
ES (1) ES2784368T3 (ko)
MX (1) MX2018004662A (ko)
MY (1) MY186685A (ko)
PL (1) PL3364831T3 (ko)
PT (1) PT3364831T (ko)
WO (1) WO2017068449A1 (ko)
ZA (1) ZA201802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6457A1 (de) * 2018-10-24 2020-04-30 Miele & Cie. Kg Getränkeautomat und Verfahren zur zeitgleichen Herstellung zweier unterschiedlicher Aufgussgetränke aus mindestens einem Getränkesubstrat mit einem derartigen Getränkeautomaten
CN110960091B (zh) * 2019-11-28 2021-11-30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多品种饮料出料装置及出料方法
JP7460424B2 (ja) 2020-03-30 2024-04-02 日本電熱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12416A (fr) * 1919-07-12 1921-01-22 Luigi Vernetti Subdiviseur d'un jet liquide, particulièrement applicable aux machines pour la préparation instantanée du café
US5094153A (en) * 1990-04-23 1992-03-10 Edward Helbling Coffee machine with product selectivity
US5657683A (en) * 1993-06-07 1997-08-19 Sandei; Pietro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NL1001989C2 (nl) * 1995-12-22 1997-06-24 Gerrit Jan Van Den Top Verkoopautomaat.
CH692443A5 (de) * 1998-01-26 2002-06-28 Fianara Int Bv Kaffeemaschine.
IT1315218B1 (it) * 1999-09-29 2003-02-03 Ducale Macchine Da Caffe Di Sa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in bicchiere e relativo metodo perla preparazione di dette
DE10239594B4 (de) 2002-08-28 2006-06-14 Niro-Plan Ag Abgabevorrichtung für Getränke
US7047870B2 (en) * 2004-01-28 2006-05-23 Grindmast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with a desired strength
US7661352B2 (en) 2004-08-31 2010-02-16 Nestec S.A. Method and system for in-cup dispensing, mixing and foaming hot and cold beverages from liquid concentrates
ATE400210T1 (de) * 2005-12-21 2008-07-15 Jura Elektroapparate Ag Getränkeabgabevorrichtung
DE102007041022A1 (de) * 2007-08-29 2009-03-05 Niro-Pla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en von aromatisierten Heißgetränken, insbesondere Kaffee und Tee
CN101827547A (zh) * 2007-10-16 2010-09-08 埃格罗咖啡系统公司 具有至少两个冲泡组的咖啡机
EP2220972A1 (de) * 2009-02-24 2010-08-25 Jura Elektroapparate AG Abgabevorrichtung für Milch und/oder Milchschaum und eine Kaffee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Abgabevorrichtung
CN102028412A (zh) * 2009-09-30 2011-04-27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多口味饮料分配喷嘴与使用它的分配器
US20110259203A1 (en) * 2010-04-21 2011-10-27 J. C. Penney Private Brands, Inc. High Efficiency Multipath Heat Exchanger for Coffee Maker
CA2836592A1 (en) 2010-05-19 2011-11-24 Con Staveris A vessel for dispensing a fluid contained therein
CA2830768A1 (en) * 2011-03-30 2012-10-04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improved nozzles assembly
EP2543290A1 (en) *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wing unit with a water heater
EP2543289A1 (en) *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CN104053386B (zh) * 2012-01-17 2018-04-13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可调节的分配喷嘴
DE102012205665A1 (de) * 2012-04-05 2013-10-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Ausgabe von unterschiedlichen Brühmengen bei einem Kaffeevollautomaten
WO2014032208A1 (en) 2012-08-31 2014-03-06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ITMI20122069A1 (it) 2012-12-04 2014-06-05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e' automatica ad elevata flessibilita' di impiego
WO2015101428A1 (en) * 2013-12-31 2015-07-09 Koninklijke Philips N.V. Beverage machine
US9302289B2 (en) * 2014-03-04 2016-04-05 Nordson Corporation Dispensing devices for use with side-by-side fluid cartridg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6694B (zh) 2021-04-13
MY186685A (en) 2021-08-06
ES2784368T3 (es) 2020-09-24
CA3000112C (en) 2023-10-17
BR112018007937A2 (pt) 2018-10-30
CA3000112A1 (en) 2017-04-27
JP6694505B2 (ja) 2020-05-13
US10820747B2 (en) 2020-11-03
PT3364831T (pt) 2020-04-22
MX2018004662A (es) 2018-07-06
AU2016341547B2 (en) 2021-06-24
EP3364831B1 (en) 2020-02-05
AU2016341547A1 (en) 2018-04-26
ZA201802207B (en) 2019-07-31
PL3364831T3 (pl) 2020-07-13
JP2018531101A (ja) 2018-10-25
EP3364831A1 (en) 2018-08-29
CN108366694A (zh) 2018-08-03
WO2017068449A1 (en) 2017-04-27
CO2018003853A2 (es) 2018-07-10
BR112018007937B1 (pt) 2021-12-07
US20180303282A1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3953B (zh) 飲料製備機器與系統以及分配飲料的方法
CN102762486B (zh) 具有水冷却器和浓缩物添加装置的饮料分配器
ES2763371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preparación de un producto líquido
US9788686B2 (en) Electrically operated drink maker, in particular electrically operated coffee machine, with steam lance for frothing up milk
CN101389564B (zh) 用于分配饮料的具有受控的进气口的设备及方法
JP5840149B2 (ja) 飲料の自動分配機及び方法
CN102762485B (zh) 具有水冷却器的饮料分配器
KR20180069885A (ko) 음료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BRPI0513193B1 (pt) A device for measuring a base liquid and mixing said base liquid with a diluent, base station, package for measuring a liquid and mixing said liquid with a diluent
KR100235817B1 (ko) 분배 밸브 조립체
CN103391737A (zh) 用于储存和分配产品的容器系统和用于定量供给产品的机器
JP2018531101A6 (ja) 飲料分注ユニット及び前記飲料分注ユニットを備えた装置
BRPI1107158A2 (pt) Inserção para produção de bebida com desvio de água embutido
CN110072412A (zh) 微排出设备及具有所述微排出设备的饮料制备机
BRPI1104973A2 (pt) distribuidor para produzir bebidas a partir de pà
TWM566202U (zh) Structure of liquid filling machine
ITUB20155134A1 (it) Erogatore di bevanda e apparecchiatura comprendente tale erogatore
JP2021505256A (ja) 飲料流体注出ヘッド及びシステム
JPH09216696A (ja) 流体流路選択装置
RU26765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кофе
ITUB20155147A1 (it) Erogatore di bevanda e apparecchiatura comprendente tale erogatore
ITUB20154988A1 (it) Erogatore di bevanda e apparecchiatura comprendente tale erogatore
WO2024091114A1 (en) Dispensing unit for dispensing mixed fluids
ITUA20164066A1 (it) Distributore di dosi predeterminate di zucchero.
CA2205984A1 (en) M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