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110A - 포장상자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110A
KR20180067110A KR1020160168507A KR20160168507A KR20180067110A KR 20180067110 A KR20180067110 A KR 20180067110A KR 1020160168507 A KR1020160168507 A KR 1020160168507A KR 20160168507 A KR20160168507 A KR 20160168507A KR 20180067110 A KR20180067110 A KR 2018006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folding
plate
box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산업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산업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산업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110A/ko
Publication of KR2018006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3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s, blanks or webs to stationary members, e.g. plates, plough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B65B43/10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by fo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포장상자의 양측 긴 측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상자 절첩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포장상자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는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를 진공흡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흡착수단(200)과;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 좌우 양 측판(RP, LP)을 중앙으로 접어주는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과; 상기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을 각각 정·역회전 가능케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적인 절접 과정을 통해 노동력의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포장상자 절첩 작업의 생산성은 극대화할 수 있고, 작동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포장상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상자 손상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계 구조가 간소하기 때문에, 운용 및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상자 절첩장치{Packaging box folding machine}
본 발명은 포장상자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긴 포장상자의 양측 긴 측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상자 절첩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포장상자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생산 후, 제품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보관, 운반 등을 위해서 제품을 포장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제품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포장상자를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포장상자들을 사용할 경우에, 포장상자 자체의 중량 증가로 인해 물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의 제조원가도 높아서 상품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결점이 있으며, 목재의 사용으로 인한 산림훼손 및 플라스틱 재질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제조되는 각종 제품들을 포장하는 포장상자로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꺼운 골판지를 재료로 한 포장상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두꺼운 골판지를 재료로 한 포장상자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포장상자의 전개 형태로 재단하고, 포장상자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절첩선을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고,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장점을 가짐으로써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두꺼운 골판지로 제작된 포장상자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개 형태로 재단 성형된 포장상자의 중앙 바닥면을 기준으로 사방에 형성된 벽면을 절첩선을 따라 세운 후, 접힌 벽면끼리 서로 끼워지면서 지지되게 하거나, 벽면이 상호 접하는 면을 접착 또는 스테이플러 심과 같은 별도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대략 사각 함체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각 함체 형태로 구성된 포장상자 내부에 제품을 넣은 후, 포장상자의 덮개를 닫아서 테이프로 닫은 덮개를 고정하거나, 플라스틱 밴드를 이용해 포장상자를 밴딩함으로써 제품의 포장이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포장상자를 사각 함체 형태로 접을 때,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를 수행함으로써 노동 강도가 높아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전개 형태로 재단 성형된 포장상자에 절첩선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두꺼운 골판지로 된 포장상자의 특성상 절첩선을 따라서 벽면을 세워 접는데 적지 않은 힘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포장상자의 벽면이 절첩선을 따라서 정확하게 접히지 않거나,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에서 포장상자가 손상되는 등 작업 능률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포장상자를 수작업을 수작업으로 접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포장상자를 자동으로 접는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6481호에는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사각 형상의 바닥판(10)을 기점으로 사면 방향에 대해 각각의 전판과 측판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수 개의 평면형 종이박스를 수납하는 박스대기부(120)와 종이박스의 접이가 실시되는 메카니즘부(130)로 구분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메인프레임 상단에 고정 결속시키되, 메인모터와 회전 롤러에 권취되어 순환 구동되는 컨베이어에 의해 종이박스의 인입을 유도하는 진입부(210)와 상하 관통된 중공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 이격된 공간으로 컨베이어를 위치시켜 진입부로부터 인입된 종이박스의 접이가 진행되게 한 작업부(220)로 구분 형성되는 이송유닛(200); 진입부와 작업부의 경계 지점에 해당하는 이송유닛 상단면에 고정 결속되어 대상 종이박스를 적재 및 대기시키는 인입부(300); 이송유닛의 작업부 상방으로 고정 안착되어 실린더의 의해 상하 위치가 가변되면서 종이박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가압장치(400); 종이박스의 하부전판과 상부전판을 순차적으로 접기 위하여 메카니즘부(13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좌·우측전판접이수단(500,600);과, 종이박스의 하부측판과 상부측판을 실린더의 상하운동과 직선운동으로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접는 좌·우측측판접이수단(700,800);과, 접이가 완료된 종이박스의 하향 배출을 위하여 컨베이어의 순환을 지속시키는 배출유닛(900); 으로 구성되는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전판접이수단(500,600)은 하부면 중심부에 하향 돌출되는 전판실린더브라켓(511)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받침판(510);과, 받침판 상부면의 선단부에 철판으로 절곡한 전판가이드(520); 와, 가이드지지부(531) 및 실린더지지부(532)를 일정 간격하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양측의 벌어진 간격을 슬라이딩샤프트(533) 2개소로 연결 결합하되 가이드지지부 및 실린더지지부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레크기어(534)를 포함하는 실린더부(530); 와, 직사각 형상의 슬라이딩판(541)과, 슬라이딩판의 좌우 측면에서 상부로 돌출 결합되는 샤프트브라켓(542)과, 슬라이딩판 후면에서 하방 돌출 결합되는 절곡실린더브라켓(543)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부(540); 와, 절곡샤프트(551)와 절곡샤프트 중심부에 'ㄷ' 형태로 이루어진 절곡암(552)이 결속되고, 절곡암 단부에 종이박스 바닥면의 폭과 동일한 넓이의 누름판(553)과, 절곡샤프트의 양단측에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레크기어(554)가 결합되는 절곡부(550); 와, LM블록(561)과 푸시판(562)을 포함하는 보강지접이수단(560); 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기(571)가 흡입기실린더(572)와 상호 결합되는 흡입수단(57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2840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7304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128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96481호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기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포장상자 절첩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인력난 해소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으나, 완전 자동화에 치중한 나머지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 단가가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모터와 실린더 등을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유지 및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과 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개 형태로 제작된 포장상자를 순차적으로 접는 과정을 모두 자동화함으로써 포장상자를 입체형의 사각 함체로 접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비숙련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과정보다는 빠르기는 하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포장상자를 접는 것보다는 시간이 늦어서 기대만큼의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크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이 빈번하고, 오류 발생시에는 기계 내부에 절첩중인 포장상자가 끼어버리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를 제거해주어야 함으로써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오류 발생으로 인해 기계 내부에 끼어버린 포장상자는 외형이 손상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잦은 오류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적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길이가 긴 포장상자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절첩하게 되면, 두꺼운 골판지로 제작되는 포장상자의 특성상, 길이가 긴 부분은 쉽게 휘거나, 접히기 때문에 절첩 과정에서 포장상자가 손상되는 경우도 빈번하여 길이가 긴 포장상자를 자동으로 절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재판(101)을 구비하여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하는 본체(100)와;
상기 적재판(101)에 형성된 통공부(101a)를 통해 상부가 노출되도록 적재판(101) 하부의 지지브래킷(105)에 설치되어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를 진공흡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흡착수단(200)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공(30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01)에 일정 간격으로 절첩판(302)을 착탈 가능케 결합하여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케 대칭으로 설치하여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 좌우 양 측판(RP, LP)을 중앙으로 접어주는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과;
상기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을 각각 정·역회전 가능케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적재판(101) 양 측면에는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의 폭에 대응하여 포장상자(A)를 지지하는 가이드(104)를 탈부착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지지브래킷(10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호스를 통해 진공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커플러(201)와; 상기 커플러(20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관(202)과; 상면에는 진공흡착면(203a)을 형성하고, 하단부는 상기 지지관(202)을 따라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관(202)에 코일스프링(204)으로 탄설되는 흡착컵(2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실린더보디(401)의 하단부를 상기 본체(100)의 후판(103) 일측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되고, 상부에서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는 피스톤로드(402)의 상단부를 상기 작동축(300a, 300b) 일단부에 설치된 크랭크(403)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한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길이가 긴 포장상자(A)의 양측 긴 측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첩을 통해 절첩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를 통해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는 길이가 긴 포장상자의 길게 형성된 양 측판은 자동 절첩한 후, 길이가 짧은 전·후판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접 과정을 통해 노동력의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포장상자 절첩 작업의 생산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소한 기계 구조와 단순한 작동 방식을 통해서 절첩 작업 중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길이가 긴 좌우 양 측판만을 접는 장치의 작동 방식상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포장상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상자 손상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계 구조가 간소하기 때문에, 운용 및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절첩 하고자 하는 포장상자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길이가 긴 좌우 양 측판만을 접는 장치의 작동 방식상 작업자가 포장상자의 길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의 포장상자 절첩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에 의해 절첩되는 포장상자의 전개 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에 의해 절첩 후 작업자에 의해 후공정이 이루어진 포장상자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는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를 진공흡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흡착수단(200)과;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 좌우 양 측판(RP, LP)을 중앙으로 접어주는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과; 상기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을 각각 정·역회전 가능케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부에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긴 적재판(10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적재판(101)의 전후 길이는 포장상자(A)의 전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하며, 상기 적재판(101)을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100)는 전판(102)과 후판(103)을 구비하되, 상기 전판(102)과 후판(103) 간의 거리는 상기 적재판(101)의 전후 길이에 따라서 위치를 조절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판(101)의 좌우 폭은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적재판(101) 하부에서 본체(100)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포장상자(A)의 양 측판(RP, LP)을 접어주는 절첩판(302)의 작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적재판(101) 양 측면에는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의 폭에 대응하여 포장상자(A)를 지지하는 가이드(104)를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포장상자(A)의 좌우 폭에 비해 적재판(101)의 좌우 폭이 좁더라도, 적재판(101) 상부에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104)는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가 적재판(10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외측 단부를 상방으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104)는 적재판(101)의 양 측면에 볼트너트 결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의 폭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의 가이드(104)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를 진공흡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판(101)에 형성된 통공부(101a)를 통해 상부가 노출되도록 적재판(101) 하부의 지지브래킷(105)에 설치한다.
즉,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지지브래킷(10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호스를 통해 진공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커플러(201)와; 상기 커플러(20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관(202)과; 상면에는 진공흡착면을 형성하고, 하단부는 상기 지지관(202)을 따라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관(202)에 코일스프링(204)으로 탄설되는 흡착컵(203)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가 적재되면, 상기 흡착컵(203)의 상면에 포장상자(A)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포장상자(A)를 진공 흡착 방식으로 고정하여 포장상자(A)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진공발생장치는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속의 공기가 노즐과 적당한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 디퓨져 입구를 향하여 나갈 때, 노즐과 디퓨져 사이의 극간은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설명된 부압(진공)이 발생하며, 이 부압에 의하여 디퓨져 입구로 들어온 공기 분류에 주위의 공기가 점성에 의하여 끌려오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진공발생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플러(201)는 암수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브래킷(105)의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브래킷(10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공(105a)을 형성하여 각 설치공(105a)에 조립 설치하며, 커플러(201)는 상기 진공발생장치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호스의 타단부를 원터치 피팅 방식으로 연결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관(202)은 상기 커플러(201)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하여 커플러(201)와 연통되게 하되, 지지관(202)의 높이는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흡착컵(203)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지지관(202)의 상단부에는 나사결합부(20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컵(203)의 중심부에는 상기 지지관(202)을 삽입하되, 흡착컵(203)의 하단부에 상기 커플러(201) 간에는 코일스프링(204)을 설치하여 흡착컵(203)이 코일스프링(204)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 가능케 하고, 상기 지지관(202)의 나사결합부(202a)에는 체결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흡착컵(203)이 지지관(20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흡착컵(203)은 마찰력이 높은 연질의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컵 형태로 되어 형성하여 상기 지지관(202)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적재판(101) 상면에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가 적재되면 흡착컵(203)의 상부가 포장상자(A)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포장상자(A)를 진공 흡착 방식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할 때, 코일스프링(204)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흡착컵(203)이 포장상자(A)에 의해 전해지는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높이로 승강함으로써 포장상자(A)의 길이가 길더라도, 지지브래킷(105)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 모든 흡착판이 포장상자(A)의 저면에 각각 안정적으로 흡착됨으로써 길이가 긴 포장상자(A)도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축(300a, 300b)은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 좌우 양 측판(RP, LP)을 중앙으로 접어주기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공(30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01)에 일정 간격으로 절첩판(302)을 착탈 가능케 결합하여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케 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작동축(300a, 300b)이 구동수단(40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절첩판(302)이 상기 흡착수단(200)에 의해 진공 흡착 방식으로 고정된 포장상자(A)의 양 측판(RP, LP)을 세워 올리면서 중앙으로 접어주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은 상기 구동수단(400)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작동축(300a, 300b)의 회전에 의해 절첩판(302)이 포장상자(A)의 양 측판(RP, LP)을 중앙으로 접을 때 양 측판(RP, LP)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절첩선(FL)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을 각각 정·역회전 가능케 구동하기 위하여 실린더보디(401)의 하단부를 상기 본체(100)의 후판(103) 일측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상부에서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는 피스톤로드(402)의 상단부를 상기 작동축(300a, 300b) 일단부에 설치된 크랭크(403)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한 공압실린더를 사용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402)가 실린더보디(401)에서 배출되면, 피스톤로드(402)에 의해 크랭크(403)가 회전하면서 작동축(300a, 300b)이 정회전하게 되고, 피스톤로드(402)가 실린더보디(401)로 인입되면, 상기 크랭크(403)가 역회전하면서 작동축(300a, 300b)이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축(300a, 300b)의 회전각도는 140 내지 170°의 범위 내에서 정회전하였다가, 다시 역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각도의 조절은 피스톤로드(402)의 스트로크 길이와 크랭크(403)의 크기, 즉 크랭크(403)에 결합된 피스톤로드(402) 단부의 회전 직경에 따라서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400)으로서 상기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상기 각 작동축(300a, 300b)이 개별적으로 정·역회전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정·역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동수단(400)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상자 절첩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절첩이 이루어지는 포장상자(A)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과 같이 중앙에는 바닥판이 위치하고, 바닥판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긴 좌측판(LP)과 우측판(RP)이 위치하며, 바닥판의 전후에 전판(FP)과 후판(BP)이 위치하되, 상기 바닥판의 사방으로 형성되는 좌측판(LP), 우측판(RP), 전판(FP), 후판(BP) 간에는 절첩이 용이하도록 절첩선(FL)이 형성된다.
따라서 두 명의 작업자가 본체(100)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100) 일측에서 공급되는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하면,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흡착수단(200)의 흡착판이 포장상자(A)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포장상자(A)의 가운데 부분을 진공 흡착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구동수단(400)에 의해 본체(100)에 설치된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 중에서 우측에 위치한 제1의 작동축(300a)이 정회전(반시계방향)하면, 상기 제1의 작동축(300a)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절첩판(302)이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포장상자(A)의 우측판(RP)을 절첩선(FL)을 따라서 접어 올려 절첩한 후, 제1의 작동축(300a)이 정해진 회전각도만큼 회전하고 나면, 상기 제1의 작동축(300a)은 구동수단(400)에 의해 다시 역회전(시계방향)함과 동시에 본체(100)에 설치된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 중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2의 작동축(300b)이 정회전(시계방향)하면서 제2의 작동축(300b)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절첩판(302)이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포장상자(A)의 좌측판(LP)을 절첩선(FL)을 따라서 접어 올려 절첩한 후, 제2의 작동축(300b)이 정해진 회전각도만큼 회전하고 나면, 제2의 작동축(300b)도 구동수단(400)에 의해 다시 역회전(반시계방향) 함으로써 포장상자(A)의 양 측판(RP, LP)이 흡착수단(200)의 흡착판에 의해 고정된 포장상자(A)의 가운데 부분에 대하여 수직에 가깝게 직립하게 된다.
그리하여 포장상자(A)의 양 측판(RP, LP)의 절첩이 완료되면, 본체(100)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두 명의 작업자가 포장상자(A)의 전판(FP)과 후판(BP)을 각각 접어서 포장상자(A)를 입체적인 함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상품을 내부에 담아서 포장할 준비가 된 함체 형태의 포장상자(A)로 절첩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상자 절첩장치는 길이가 긴 포장상자(A)의 길게 형성된 양 측판(RP, LP)만을 자동으로 자동 절첩한 후, 길이가 짧은 전판(FP)과 후판(BP)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접 과정을 통해 노동력의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포장상자(A) 절첩 작업의 생산성은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기계 구조가 매우 간소하고, 작동 방식이 단순하기 때문에 포장상자(A)를 절첩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긴 포장상자(A)의 좌우 양 측판(RP, LP)만을 순차적으로 접는 작동 방식상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포장상자(A)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류 발생시 적재판(101) 상부에서 포장상자(A)를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상자(A)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계 구조가 매우 간소하기 때문에, 운용 및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첩 하고자 하는 포장상자(A)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본체(100) 상부에 설치되는 적재판(101)만을 포장상자(A)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교체한 후, 본체(100)의 전판과 후판의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포장상자(A)의 길이에 따라서 작동축(300a, 300b)에 설치되는 절첩판(302)의 수를 가감함으로써 포장상자(A)의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A)의 길이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100)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두 명의 작업자에 의해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의 포장상자(A) 절첩에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본체 101: 적재판
101a: 통공부 102: 전판
103: 후판 104: 가이드
105: 지지브래킷 200: 흡착수단
201: 커플러 202: 지지관
202a: 나사결합부 203: 흡착컵
204: 코일스프링 300: 작동축
301: 결합공 302: 절첩판
400: 구동수단 401: 실린더보디
402: 피스톤로드 403: 크랭크

Claims (4)

  1.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재판(101)을 구비하여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를 적재하는 본체(100)와;
    상기 적재판(101)에 형성된 통공부(101a)를 통해 상부가 노출되도록 적재판(101) 하부의 지지브래킷(105)에 설치되어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를 진공흡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흡착수단(200)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공(30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01)에 일정 간격으로 절첩판(302)을 착탈 가능케 결합하여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케 대칭으로 설치하여 상기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포장상자(A) 좌우 양 측판(RP, LP)을 중앙으로 접어주는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과;
    상기 한 쌍의 작동축(300a, 300b)을 각각 정·역회전 가능케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절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101) 양 측면에는 적재판(101)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A)의 폭에 대응하여 포장상자(A)를 지지하는 가이드(104)를 탈부착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절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지지브래킷(10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호스를 통해 진공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커플러(201)와; 상기 커플러(20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관(202)과; 상면에는 진공흡착면(203a)을 형성하고, 하단부는 상기 지지관(202)을 따라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관(202)에 코일스프링(204)으로 탄설되는 흡착컵(2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절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0)은, 실린더보디(401)의 하단부를 상기 본체(100)의 후판(103) 일측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되고, 상부에서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는 피스톤로드(402)의 상단부를 상기 작동축(300a, 300b) 일단부에 설치된 크랭크(403)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한 공압실린더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절첩장치.
KR1020160168507A 2016-12-12 2016-12-12 포장상자 절첩장치 KR20180067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507A KR20180067110A (ko) 2016-12-12 2016-12-12 포장상자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507A KR20180067110A (ko) 2016-12-12 2016-12-12 포장상자 절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110A true KR20180067110A (ko) 2018-06-20

Family

ID=6277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507A KR20180067110A (ko) 2016-12-12 2016-12-12 포장상자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1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396A (zh) * 2019-04-16 2019-08-23 桐庐中浩塑料机械有限公司 一种翻盖产品自动折叠设备
KR102068757B1 (ko) * 2019-07-02 2020-01-21 한승욱 박스 테이핑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840Y1 (ko) 1992-02-24 1994-04-27 박완희 김치냉장고
JPH079590A (ja) * 1993-06-29 1995-01-13 Tanabe:Kk 自動製箱用ブランクの斜方折り曲げ装置
KR960011087B1 (ko) * 1993-06-23 1996-08-20 서기원 의류용 절첩포장 장치
KR960007304Y1 (ko) 1990-12-15 199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KR960031284A (ko) 1995-02-16 1996-09-17 정완용 포장박스의 덮개접는 장치 및 덮개접는 방법
JPH1158562A (ja) * 1997-08-21 1999-03-02 Kikkoman Corp 八角形の内筒を有する包装箱の組立装置
KR200399376Y1 (ko) * 2005-07-27 2005-10-25 차복만 제함기
KR101323532B1 (ko) * 2012-11-14 2013-10-29 김은숙 각티슈 케이스의 자동패커 포장장치
CN103419964A (zh) * 2013-07-26 2013-12-04 北京印刷学院 一种自动折箱装置
KR20130135806A (ko) * 2013-11-11 2013-12-11 강상태 종이 상자용 접지장치
KR101596481B1 (ko) 2014-03-20 2016-02-22 승리산업(주)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04Y1 (ko) 1990-12-15 199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KR940002840Y1 (ko) 1992-02-24 1994-04-27 박완희 김치냉장고
KR960011087B1 (ko) * 1993-06-23 1996-08-20 서기원 의류용 절첩포장 장치
JPH079590A (ja) * 1993-06-29 1995-01-13 Tanabe:Kk 自動製箱用ブランクの斜方折り曲げ装置
KR960031284A (ko) 1995-02-16 1996-09-17 정완용 포장박스의 덮개접는 장치 및 덮개접는 방법
JPH1158562A (ja) * 1997-08-21 1999-03-02 Kikkoman Corp 八角形の内筒を有する包装箱の組立装置
KR200399376Y1 (ko) * 2005-07-27 2005-10-25 차복만 제함기
KR101323532B1 (ko) * 2012-11-14 2013-10-29 김은숙 각티슈 케이스의 자동패커 포장장치
CN103419964A (zh) * 2013-07-26 2013-12-04 北京印刷学院 一种自动折箱装置
KR20130135806A (ko) * 2013-11-11 2013-12-11 강상태 종이 상자용 접지장치
KR101596481B1 (ko) 2014-03-20 2016-02-22 승리산업(주)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396A (zh) * 2019-04-16 2019-08-23 桐庐中浩塑料机械有限公司 一种翻盖产品自动折叠设备
KR102068757B1 (ko) * 2019-07-02 2020-01-21 한승욱 박스 테이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54756U (zh) 一种全自动装箱机
US4524560A (en) Case top folder and flap supporter
CN106586133B (zh) 一种多规格快递箱包装一体机
CN206254553U (zh) 一种新型纸箱切割装置
CN108438326B (zh) 小包装产品二次装袋装置
CN207404068U (zh) 一种纸箱的自动包装入库生产线
KR20180067110A (ko) 포장상자 절첩장치
CN113155654A (zh) 一种瓦楞纸箱制作强度测试装置
CN103738754B (zh) 自动送纸台
KR200393769Y1 (ko) 포장박스 접이장치
CN105292602A (zh) 伺服开供箱装置
CN111605798A (zh) 包装机
CN106166851A (zh) 一种多压线预折成型机
CN214931084U (zh) 一种立式装盒机的包装盒上料装置
CN108382660A (zh) 一种工业用自动包装的封箱机
CN211618256U (zh) 立式包装箱开箱成型机构
CN209814421U (zh) 包装机
CN209667548U (zh) 一种小包装薄膜卷折装包机
CN112660485A (zh) 套袋工装
CN220298978U (zh) 一种瓦楞纸箱用翻箱机
US20060060043A1 (en) Semi-automatic machine for cutting and scoring packaging structures
CN112352999A (zh) 一种烟丝智能上料系统
CN207089716U (zh) 自动包装机的封箱机构
CN204399598U (zh) 纸张自动折叠及装载设备
CN220948835U (zh) 带翻板的包装袋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