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76Y1 - 제함기 - Google Patents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76Y1
KR200399376Y1 KR20-2005-0021848U KR20050021848U KR200399376Y1 KR 200399376 Y1 KR200399376 Y1 KR 200399376Y1 KR 20050021848 U KR20050021848 U KR 20050021848U KR 200399376 Y1 KR200399376 Y1 KR 200399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lank
main body
blank box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복만
Original Assignee
차복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복만 filed Critical 차복만
Priority to KR20-2005-0021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2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the underside of a mag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moving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80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수직 방향으로 적재된 블랭크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상태로 펼친 다음에 박스의 하측 날개부를 접어 테이핑하도록 구성된 제함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상기 제함기는, 상면에 컨베이어 장치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블랭크 박스를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재하고 컨베이어 장치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박스 적재대; 상기 본체의 상기 박스 적재대와 인접 설치되고 박스 적재대로부터 낱개로 이송된 비-입체 상채의 블랭크 박스를 입체형태로 성형하는 입체 성형기구;와,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위치되어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좌우날개 및 상하날개를 각각 접어주는 제1 접이기구 및 제2 접이기구;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위치되어 블랭크 박스의 하측의 날개부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고 테이핑이 완료된 블랭크 박스를 누워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세우는 전도기구;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제함기는 블랭크 박스가 수직으로 다수개 적재된 상태에서 이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상태로 펼치게 되므로 보다 많은 박스를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랭크 박스를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테이핑을 완료한 후에 이를 자동으로 직립시킬 수 있으므로 박스 성형 후에 작업자의 후속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함기{Apparatus for forming box}
본 고안은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방향으로 적재된 블랭크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상태로 펼친 다음에 박스의 하측 날개부를 접어 테이핑하도록 구성된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블랭크박스를 자동적으로 펼친 후 박스의 하부날개를 접은 다음 접힌 하부날개를 테이핑하는 제함기가 종래에 개발되어 왔다. 통상적인 제함기는 블랭크 박스를 다수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서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 형태로 펼치는 포밍유닛과, 상기 포밍유닛에 의해 펼쳐진 박스의 하부플랩을 접는 킥커유닛과, 상기 박스를 이송하는 콘베이어와, 박스의 접혀진 하부날개를 테이핑하는 테이핑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제함기는 블랭크 박스를 입체형상으로 펼치는 동작에 있어서, 작동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함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함으로써 제작단가가 증가하는 한편 작업자의 사용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게다가 종래 기술에 따른 제함기는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성형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랭크 박스가 수직으로 다수개 적재된 상태에서 이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상태로 펼치는 작동이 신뢰성있고 효율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하부 날개를 테이핑한 후에 이를 자동으로 똑바로 세우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후속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키고 작업공수를 절감시키는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효율성 있게 성형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된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는, 상면에 컨베이어 장치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블랭크 박스를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재하고 컨베이어 장치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박스 적재대; 상기 본체의 상기 박스 적재대와 인접 설치되고 박스 적재대로부터 낱개로 이송된 비-입체 상채의 블랭크 박스를 입체형태로 성형하는 입체 성형기구;와,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위치되어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좌우날개 및 상하날개를 각각 접어주는 제1 접이기구 및 제2 접이기구;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위치되어 블랭크 박스의 하측의 날개부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고 테이핑이 완료된 블랭크 박스를 누워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세우는 전도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 적재대는 컨베이어 상에 부착된 박스 이송 어태치먼트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어태치먼트 부재가 적재된 다수개의 박스 중 최하부 블랭크 박스를 밀고 상기 입체 성형기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체 성형기구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캠 및 제2 캠; 상기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을 접촉되는 제1 위치와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에 접촉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진공패드; 상기 진공패드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진공패드가 제2 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회동되는 박스 고정핀; 및 상기 제1 캠 및 제2 캠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진공패드 및 박스고정핀을 각각 연동시키는 제1 및 제2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기구는,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 쪽에 설치되어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를 위로 들어올리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진 전도 가이드부재와,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설치되어 직립되는 블랭크 박스의 다른 쪽을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스이송 어태치먼트의 높이를 블랭크 박스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박스두께 조절 핸들과, 상기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 및 하측 날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뒤폭 가이드 및 폭조절핸들과,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의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를 이용하여 박스를 성형하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블랭크 박스(100)가 박스 적재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재되어 있고, 상기 적재된 도1b와 같이 적재된 박스 중에서 최하부의 블랭크 박스(101)를 인출한다. 상기 블랭크 박스(101)의 A, B, C, D 부분은 박스의 상측 날개부(101c)를 구성하는 4개의 면이고, E, F, G, H는 박스 본체(101a)를 구성하는 4개의 면이며, I, J, K, L은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를 구성하는 4개의 면이다. 상기 상측 및 하측 날개부의 A와 B 면 사이 및 C와 D면 사이에는 소정크기의 틈새(s)가 형성되고, 하측날개부의 I와 J면 사이 및 K와 L면 사이에도 소정크기의 틈새(s)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적재대로부터 인출된 블랭크 박스(101)를 입체 성형기구에 의하여 입체 상태로 펼치고(도1c), 펼쳐진 입체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좌우측 날개(J,K)를 접는다(도1d). 그 다음에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의 상하측 날개(I, L)를 접은 다음에, 테이핑 장치에 의하여 테이핑한다(도1e). 그 후 전도기구에 의하여 옆으로 누워진 박스를 똑바로 세워 박스의 상측 날개부(101c)가 상측을 향하도록 한다(도1f).
도2는 상기와 같은 박스 성형 작용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함기는 상면이 길이방향으로 컨베이어가 설치된 본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박스적재대(20), 입체 성형기구(30), 제1 접이기구(40) 및 제2 접이기구(50), 테이핑 장치(60) 및 전도기구(70)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적재대(20)로부터 입체 성형기구(30)까지 연장된 제1 컨베이어(81) 및 입체 성형기구(30)로부터 테이핑 장치(60)까지 연장된 제2 컨베이어(8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입체 성형기구(30)로부터 테이핑 장치(60)까지 연장된 상부 컨베이어(83)가 설치되어 입체상태로 성형된 박스의 상면을 가압 이송시킨다.
상기 박스적재대(20)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봉(21)이 나란히 설치되어 복수개의 블랭크 박스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제1 컨베이어(81)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다수개의 블랭크 박스(100)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재되어 제1 컨베이어(81)를 통하여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박스 적재대(20)의 제1 컨베이어(81) 상에는 복수개의 박스이송 어태치먼트부재(22)가 부착되어 컨베이어와 함께 패쇄루프를 순환이동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부재(2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의하여 블랭크 박스 중의 최하부의 블랭크 박스(101)가 포착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 부재(22)는 상기 블랭크 박스(101)를 밀고 입체 성형기구(30)를 향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박스이송 어태치먼트의 높이(22)는 블랭크 박스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체 성형기구(30)는 상기 박스 적재대(20)로부터 낱개로 이송된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101)를 입체 형태로 성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박스 적재대(20)로부터 낱개로 이송된 블랭크 박스는 상측 날개부(101c)와 하측 날개부(101b)가 각각 본체(10)의 일측[즉, 제1 및 제2 접이기구(40)(50) 및 테이핑 장치(60)가 설치된 측면] 및 타측[즉, 제2 폭 조절부재(85)가 설치된 측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본체의 일측에는 제1 폭 조절부재(84)가 형성되고 본체의 타측에는 보다 긴 길이의 제2 폭 조절부재(85)가 마련된다.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101c)의 끝단은 제2 폭 조절부재(85)에 접촉되고 하측 날개부(101b)의 끝단은 제1 폭 조절부재(84)에 접촉되어 제2 컨베이어(82) 및 상부 컨베이어(83)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83)의 높이는 박스의 성형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즉 상부 컨베이어(83)는 도1c 내지 도1e에 도시된 입체 성형 박스 본체(101a)의 "E"면을 압착 지지하여야 한다. 도2의 도면부호 87은 입체 성형기구(30)로부터 테이핑 장치(60)까지 박스(101)가 이송되는 동안에 박스의 하면("H"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 성형기구(30)는 구동모터(도시생략)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31)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제1 캠(32) 및 제2 캠(33)이 부착되어 회전축(31)과 함께 회전한다.
진공패드(34)는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위치[힌지(34a)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동된 위치]와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에 접촉되는 제2 위치[힌지(34a)를 중심으로 위 회동된 위치 : 즉 도6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된다. 진공패드(34)의 위와 같은 회동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패드(34)와 제1 캠(32)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연동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캠(32)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캠(32)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요동되는 제1로울러 부재(35), 중앙부가 힌지축(36d)에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로울러부재(35)에 연결된 제1 로드(36a), 상기 제1로드(36a)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실린더(36e), 상기 제1 로드(36a)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로드(36b), 일측이 상기 제2로드(36b)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진공패드(34)의 힌치축(34a)에 연결된 제3로드(36c) 및 상기 힌지축(34a)에 힌지 결합되는 진공패드(34)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박스고정핀(37)은 진공패드(3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진공패드(34)가 제2 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힌지축(37a)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박스고정핀(37)과 제2 캠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연동기구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캠(33)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캠(33)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요동하는 제2 로울러(38)와, 일단이 상기 제2 로울러(38)에 연결되는 제4로드(39a), 하측이 힌지(39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4로드(39a)가 결합되는 제5 로드(39b) 및 상기 제5 로드(39b)의 상측에 연결되되어 탄성바이어스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9c), 상기 스프링(39c)에 결합되고 타측이 박스고정핀의 힌지축(37a)에 결합되는 제6로드(39d)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박스(101)가 입체 성형기구(30)로 이송되어 오면 진공패드(34)는 박스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상태에 위치하고, 진공패드(34)의 힌지축(34a)에 연결된 압착로울러(34b)가 이송되는 블랭크 박스(101)의 본체(101a)의 상면의 일측(즉 도1b의 "F" 면)을 압착 지지한다. 이 때 본체의 양측에 위치한 두개의 박스고정핀(37)은 블랭크 박스(101)의 상측날개부(101c)의 "A" 면 및 하측날개부(101b)의 "I"면을 지지하고 있다. 그 다음에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축(31)이 회전하면 제1 캠(32) 및 제1 연동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진공패드(34)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제1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101)의 상면(도1b의 "F" 면)을 흡착한다. 동시에 제2 캠(33) 및 제2 연동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박스고정핀(37)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블랭크 박스(101)의 하측 및 상측 날개부의 절개된 틈새(s)를 통과하여 블랭크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즉, 도1b의 "B"면과 "D"면 사이의 공간 및 "J"면과 "L"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도7b 참조). 그 다음에 다시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드(34)가 박스 본체의 상면(F)을 흡착한 채로 상부로 회동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박스고정핀(37)의 블랭크 박스의 하면("D"면 및 "L"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블랭크 박스는 입 입체상태로부터 입체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랭크 박스가 입체 상태로 펼쳐지면, 본체(10)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접이기구(40)가 회동하여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의 좌우날개("J" 면 및 "K"면)를 접는다. 상기 제1 접이기구(40)는 소정의 구동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샤프트(41b, 42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날개부(41a, 42a)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회동 날개부(41a, 42a)가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을 향햐여 약 90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상태로 회동됨으로써 하측 날개부의 좌우날개가 접혀진다.
그 다음에 제2 접이기구(50)에 의하여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의 상하날개("I" 면 및 "L"면)를 접는다. 상기 제2 접이기구(50)는 박스의 진행경로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가이드(51)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가이드(52)로 구성된다. 즉, 박스가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상측 가이드(51)에 의하여 하측날개부(101b)의 상측 날개("I"면)가 아래로 접히고 하측 가이드(52)에 의하여 하측 날개부(101b)의 하측 날개("L"면)가 상측으로 접히게 된다.
그 다음에 본체(10)의 일측에 위치되어 테이핑 장치(60)에 의하여 블랭크 박스의 접혀진 하측 날개부(101b)를 테이핑한다. 상기 테이핑 장치(60)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테이핑이 완료된 블랭크 박스는 도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누워 있는 상태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누워진 상태의 박스는 후속작업이 매우 불편하므로, 옆으로 누워진 박스(101)를 전도기구(70)에 의하여 본체 상에서 직립된 상태로 세우게 된다. 상기 전도기구(70)는 본체에서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101c) 쪽에 설치된 전도 가이드부재(71)와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 쪽에 설치된 지지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된다. 상기 전도 가이드부재(71)는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측을 위로 들어올리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진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73은 직립 상태로 세워진 블랭크 박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고, 도면부호 74는 직립된 블랭크 박스를 타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롤러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박스의 테이핑이 완료된 후 전방으로 이송되어 전도가이드부재(71)에 도달하면,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101c)은 상기 전도가이드부재(71)에 의하여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 때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101b)는 지지 가이드부재(72)에 지지되므로 박스가 지지부재(73)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똑 바로 세워지게 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성형하기 위하여 장치를 각 구성부분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이송 어태치먼트(22)의 높이를 블랭크 박스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박스두께 조절 핸들(91)이 마련된다. 상기 조절핸들(91)은 지지봉(21)에 박스이송 어태치먼트(22)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로부터 하측날개부까지의 길이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뒤폭 가이드(92)와 폭조절 핸들(93)이 마련된다. 상기 뒤폭 가이드(92)는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8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폭조절핸들(93)은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85)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82)와 상부 컨베이어(83)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샤프트(94)가 마련된다. 한편 자동으로 상부 컨베이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높낮이 조절전동기(9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들 사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입체 성형기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연동기구는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연동기구를 채택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는 블랭크 박스가 수직으로 다수개 적재된 상태에서 이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상태로 펼치게 되므로 보다 많은 박스를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랭크 박스를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테이핑을 완료한 후에 이를 자동으로 직립시킬 수 있으므로 박스 성형 후에 작업자의 후속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키고 작업공수를 절감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효율성 있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도1a 내지 도1f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에 의하여 블랭크 박스가 완성된 박스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박스 적재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입체 성형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7a 내지 도7c는 도6에 도시된 입체 성형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전도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5)

  1. 상면에 컨베이어 장치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블랭크 박스를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재하고 컨베이어 장치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박스 적재대;
    상기 본체의 상기 박스 적재대와 인접 설치되고 박스 적재대로부터 낱개로 이송된 비-입체 상채의 블랭크 박스를 입체형태로 성형하는 입체 성형기구와,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위치되어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좌우날개 및 상하날개를 각각 접어주는 제1 접이기구 및 제2 접이기구;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위치되어 블랭크 박스의 하측의 날개부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고 테이핑이 완료된 블랭크 박스를 누워진 상태에서 직립된 상태로 세우는 전도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 제1항에 있어서, 박스 적재대는 컨베이어 상에 부착된 박스 이송 어태치먼트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어태치먼트 부재가 적재된 다수개의 박스 중 최하부 블랭크 박스를 밀고 상기 입체 성형기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성형기구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캠 및 제2 캠;
    상기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을 접촉되는 제1 위치와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에 접촉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진공패드;
    상기 진공패드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진공패드가 제2 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비-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회동되는 박스 고정핀; 및
    상기 제1 캠 및 제2 캠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진공패드 및 박스고정핀을 각각 연동시키는 제1 및 제2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기구는,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 쪽에 설치되어 입체 상태의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를 위로 들어올리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진 전도 가이드부재와
    상기 본체의 블랭크 박스의 하측 날개부 쪽에 설치되어 직립되는 블랭크 박스의 다른 쪽을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이송 어태치먼트의 높이를 블랭크 박스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박스두께 조절 핸들과,
    상기 블랭크 박스의 상측 날개부 및 하측 날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뒤폭 가이드 및 폭조절핸들과,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의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20-2005-0021848U 2005-07-27 2005-07-27 제함기 KR200399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48U KR200399376Y1 (ko) 2005-07-27 2005-07-27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48U KR200399376Y1 (ko) 2005-07-27 2005-07-27 제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76Y1 true KR200399376Y1 (ko) 2005-10-25

Family

ID=4370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848U KR200399376Y1 (ko) 2005-07-27 2005-07-27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7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597B1 (ko) * 2012-03-28 2012-10-29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
KR200470760Y1 (ko) 2012-11-30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포장케이스 받침부의 자동 접이장치
WO2014088163A1 (ko) * 2012-12-05 2014-06-12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KR20160047285A (ko)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WO2016140385A1 (ko) * 2015-03-05 2016-09-09 에이스기계(주)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KR101839015B1 (ko) * 2017-11-08 2018-03-15 임진수 박스 기능성 자동 제함장치
KR20180067110A (ko) * 2016-12-12 2018-06-20 삼성산업에스아이 주식회사 포장상자 절첩장치
CN114291352A (zh) * 2021-12-29 2022-04-08 杭州申佳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打包机的上箱开张机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597B1 (ko) * 2012-03-28 2012-10-29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
KR200470760Y1 (ko) 2012-11-30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포장케이스 받침부의 자동 접이장치
WO2014088163A1 (ko) * 2012-12-05 2014-06-12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KR20160047285A (ko)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WO2016140385A1 (ko) * 2015-03-05 2016-09-09 에이스기계(주)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GB2538651A (en) * 2015-03-05 2016-11-23 Ace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processing blank
US10105924B2 (en) 2015-03-05 2018-10-23 Ace Machinery Co., Ltd. Blank feeding/processing apparatus
GB2538651B (en) * 2015-03-05 2021-03-24 Ace Machinery Co Ltd Blank feeding / processing apparatus
KR20180067110A (ko) * 2016-12-12 2018-06-20 삼성산업에스아이 주식회사 포장상자 절첩장치
KR101839015B1 (ko) * 2017-11-08 2018-03-15 임진수 박스 기능성 자동 제함장치
CN114291352A (zh) * 2021-12-29 2022-04-08 杭州申佳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打包机的上箱开张机构
CN114291352B (zh) * 2021-12-29 2023-10-24 浙江申达斯奥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打包机的上箱开张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376Y1 (ko) 제함기
US7828708B2 (en) Case erector and sealer apparatus
US7976449B2 (en)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folding box
CN110451021B (zh) 一种纸箱开箱机
US5352178A (en)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US8297029B2 (en) Apparatus for folding cardboard boxes
JP6262173B2 (ja) 製箱装置
WO2009003032A2 (en)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and methods
CA2155976C (en)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US20070256394A1 (en) Covering machine for packing boxes
KR20190070939A (ko) 척으로부터 박스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0975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ping a blank around a mandrel
CN217125289U (zh) 礼盒插底机构及立式礼盒扣底开箱机
JP7255863B2 (ja) 製函機
US5180355A (en) Cartoning apparatus
KR101195597B1 (ko) 제함기
US5957825A (en) Parallelepiped carton forming machine
JPH07257517A (ja) 折畳み式コンテナ組立装置
KR20050105227A (ko) 카톤 조작방법 및 조작장치
JPH07315337A (ja) カートン開函装置
JPH0596664A (ja) 製函機における折畳みシートの開函装置
JPH06278726A (ja) コンテナの自動折畳み装置
JP2775139B2 (ja) ケース詰め機における折畳みケースの開口装置
CN213620522U (zh) 纸箱折底机
CN208664457U (zh) 一种汉堡包包装盒粘贴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