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56A -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56A
KR20180062556A KR1020160161976A KR20160161976A KR20180062556A KR 20180062556 A KR20180062556 A KR 20180062556A KR 1020160161976 A KR1020160161976 A KR 1020160161976A KR 20160161976 A KR20160161976 A KR 20160161976A KR 20180062556 A KR20180062556 A KR 2018006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ead
coating material
nozzle
head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331B1 (ko
Inventor
정재관
손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6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331B1/ko
Priority to CN201711234893.6A priority patent/CN108176535A/zh
Publication of KR2018006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는 도포장치는 도포재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 헤드와, 상기 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고장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여 도포장치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포장치의 고장 시점을 미리 예상할 수 있어, 유비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COATING DEVICE FOR MONITERING THE POSITON AND DISPLACEMENT OF DISCHARGE HEAD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출 헤드의 변위를 검출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고장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포장치는 기판이나 필름 등의 피 도포 부재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는 한다. 이 중에서 슬릿노즐 도포장치는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하는 슬릿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슬릿 노즐은 도포액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공급구에 유체적으로 연통(連通)하여 도포액을 슬릿 노즐의 긴쪽 방향으로 확폭(擴幅)하는 매니폴드와, 매니폴드에 접속하여 도포액이 통과하는 토출 슬릿(유로부(流路部))과, 토출 슬릿의 출구에서 도포액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급구로부터 매니폴드로 유입한 도포액은 매니폴드에서 긴쪽 방향으로 확폭되고, 매니폴드 내에서 일단충만한 상태가 되고 나서, 토출 슬릿을 통과하여, 토출구로부터 일정한 간격(갭(gap)) 떨어진 피도포 부재 상으로 토출된다. 이 때에, 슬릿 노즐을 피도포 부재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 도포액은 토출구의 긴쪽 방향 전체길이에 걸쳐 일양(一樣)하게 토출되기 때문에, 피도포 부재에 균일한 막 두께의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도포장치는 토출 헤드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토출 헤드와 노즐의 결합부에 유격이 발생될 경우, 토출 헤드가 설정된 위치로부터 변위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도포공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도포장치의 고장을 미리 예측할 수 없어 고장에 따른 불량제품을 확인 한 후에 고장을 수리함에 따라 많은 불량품의 발생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51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관점은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여 도포장치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여 도포장치의 고장 시점을 미리 예상할 수 있는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고,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다시 토출 헤드를 정상상태로 이동시키는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는 도포재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 헤드와, 상기 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고장유무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구동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고장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와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포장치는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되고, 도포 작업을 위해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는 토출 헤드 이동부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장치는 상기 토출 헤드의 상기 노즐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피도포 부재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는 도포재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 헤드과, 상기 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된 제어부과,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토출 헤드에 각각 연결된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조정모듈은 상기 제어부 의해 검출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에 대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모듈은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모듈에 연결되고, 도포 작업을 위해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는 토출 헤드 이동부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은 토출 헤드의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단계와,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통해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에 토출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토출 헤드에 내재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검출하는 토출 헤드 변위검출단계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정상상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토출 헤더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이상유무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상유무 판단단계에서 상기 토출 헤드의 위치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토출 헤드의 위치 및 자세를 정상상태로 보정하는 토출 헤드 위치보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에 의하면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여 도포장치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포장치의 고장 시점을 미리 예상할 수 있어, 유비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고,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다시 토출 헤드를 정상상태로 이동시켜 불량제품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도포장치가 구현된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포장치가 구현된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포장치(100)는 토출 헤드(110), 도포재 공급수단(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 헤드(110)는 도포재 공급수단(120)으로부터 도포재를 공급받고, 피도포 부재에 도포재를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 헤드(110)는 노즐(111) 및 센서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111)은 도포재 공급수단(120)으로 제공된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를 향해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111)은 슬릿노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2)는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가속도 센서(112a) 및 각속도 센서(1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12)는 토출 헤드(110)의 노즐(111)을 통해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에 분사할 경우, 토출 헤드(110)의 변위를 센싱한다. 그리고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토출 헤드(110)의 구동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센서부(112)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전달될 경우, 일정 변위 이상에서 고장으로 판단할 수 도 있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31)에 저장된 정보와 센서부(112)의 제공정보를 비교하여 토출 헤드(11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시점을 예측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도포장치가 구현된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포장치(1000)는 토출 헤드(1100), 토출 헤드 이동부(1200), 도포재 공급수단(1300), 스테이지부(1400) 및 저장탱크(1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 헤드(1100)는 노즐(1110) 및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1110)는 슬릿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노즐은 도포재 유입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피도포 부재에 대향되도록 슬릿 토출구(1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 헤드 이동부(1200)는 토출 헤드(1100)에 연결되고, 도포작업을 위해 토출 헤드(1100)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 헤드 이동부(1200)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1300)은 토출 헤드(1100)의 노즐(1110)에 도포재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토출 헤드(1100)에 연결된 공급관(1310)과 공급펌프(13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부(1400)에는 피도포 부재(M)가 안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헤드(1100)의 노즐(1110)은 스테이지부(1400)의 피도포 부재(M)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저장탱크(1500)은 도포재가 저장된 상태로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1300)에 연결되고, 도포재 공급수단(1300)에 도포재를 공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헤드 이동부(1200)는 피도포 부재(M)에 도포액을 분사하기 위해 토출 헤드(1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센서부(미도시)는 토출 헤드(1100)의 변위 및 노즐(1110)의 변위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토출 헤드(1100)의 고장이 발생되거나, 토출 헤드(1100)와 토출 헤드 이동부(1200)의 조립부상 유격이 발생되거나, 상기 노즐(1110)과 토출 헤드(1100) 사이에 조립불량이 발생될 경우, 노즐(1110) 또는 토출 헤드(1100)는 정상상태로 위치되지 않고, 도 3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짐 등의 변위가 발생되거나, 도포작업을 위해 이동시 계속 변위가 증가된다.
이 때, 상기 센서부(도 1에 112로 도시함)는 변위를 검출하고, 이를 제어부(도 1에 130으로 도시함)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노즐(1110) 또는 토출 헤드(1100)의 변위정보를 통해 토출 헤드(1100)의 작동불량 또는 노즐(1110)과 토출 헤드의 결합불량 등에 대하여 산출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에서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여 고장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상상태의 토출 헤드(1100)의 위치와, 고장상태의 토출 헤드(1100)의 위치에 대하여 기설정된 상태에서, 토출 헤드(1100)의 변위가 점진적으로 고장상태의 토출 헤드(1100)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경우, 이에 대한 변위를 시간의 경과에 대하여 기울기로 설정하고 그래프로 표시하여, 고장상태의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고장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포장치(200)는 도 1에 도시한 도포장치에 비하여 토출 헤드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술적 특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장치(200)는 토출 헤드(210), 도포재 공급수단(220), 제어부(230) 및 위치조정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헤드(210)는 노즐(211) 및 센서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212)는 토출 헤드(210)의 변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212a) 및 각속도 센서(21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12)는 토출 헤드(210)의 노즐(211)을 통해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에 분사할 경우, 토출 헤드(210)의 변위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토출 헤드(210)의 구동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2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센서부(212)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전달될 경우, 기존에 저장된 정보와 센서부(212)의 제공정보를 비교하여 토출 헤드(210)의 고장여부와 고장을 예측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240)는 토출 헤드(210)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조정부(240)는 구동부(241)를 포함하고 토출 헤드(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위치보정 신호에 따라 토출 헤드(210)를 정상상태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포장치가 구현된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포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도포장치(1000)와 비교하여 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장치(2000)는 토출 헤드(2100), 토출 헤드 이동부(2200), 도포재 공급수단(2300), 스테이지부(2400), 저장탱크(2500) 및 위치조정모듈(26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정모듈(2600)은 토출 헤드(2100)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센서부에 의해 토출 헤드(2100)의 변위가 감지되고, 제어부에 의해 토출 헤드가 정상상태의 자세 및 위치로부터 변위가 발생되어 불량상태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 위치조정모듈(2600)는 토출 헤드(2100)을 정상상태의 자세 및 위치로 토출 헤드(2100)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조정모듈(2600)은 토출 헤드(2100)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조정모듈(2600)에 토출 헤드 이동부(220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정모듈(2600)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토출 헤드(2100)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 헤드(2100), 토출 헤드 이동부(2200), 도포재 공급수단(2300), 스테이지부(2400) 및 저장탱크(2500)의 세부기술구성은 도 3을 통해 전술한 토출 헤드(1100), 토출 헤드 이동부(1200), 도포재 공급수단(1300), 스테이지부(1400) 및 저장탱크(1500)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도 1에 도시한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포재 공급단계(S1100), 도포단계(S1200), 토출 헤드 변위검출단계(S1300) 및 이상유무 판단단계(S1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재 공급단계(S1100)는 토출 헤드의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한다.
그리고 도포단계(S1200)는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노즐을 통해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에 토출시킨다.
다음으로 토출 헤드 변위검출단계(S1300)는 토출 헤드에 내재된 센서부를 통해 토출 헤드의 변위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상유무 판단단계(S1400)는 센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에 공급하고, 제어부는 정상상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토출 헤드의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장치의 제어방법(S2000)은 도 2에 도시한 도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포재 공급단계(S2100), 도포단계(S2200), 토출 헤드 변위검출단계(S2300), 이상유무 판단단계(S2400) 및 토출 헤드 위치보정단계(S2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재 공급단계(S2100)는 토출 헤드의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한다.
그리고 도포단계(S2200)는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노즐을 통해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에 토출시킨다.
다음으로 토출 헤드 변위검출단계(S2300)는 토출 헤드에 내재된 센서부를 통해 토출 헤드의 변위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상유무 판단단계(S2400)는 센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에 공급하고, 제어부는 정상상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토출 헤드의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토출 헤드 위치보정단계(S2500)는 상기 제어부에서 토출 헤드의 위치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위치조정모듈을 제어하여 토출 헤드를 정상상태의 변위로 이동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토출 헤드 111: 노즐
112a: 가속도 센서 112b: 각속도 센서
112: 센서부 120: 도포재 공급수단
130: 제어부 131: 데이터 베이스
200: 상기 도포장치 210: 토출 헤드
211: 노즐 212a: 가속도 센서
212b: 각속도 센서 212: 센서부
220: 도포재 공급수단 230: 제어부
231: 데이터 베이스 240: 위치조정부
241: 구동부 350: 위치조정부
1000: 도포장치 1100: 토출 헤드
1110: 노즐 1111: 슬릿 토출구
1200: 토출 헤드 이동부 1300: 도포재 공급수단
1310: 연결된 공급관 1320: 공급펌프
1400: 본체바디 1500: 저장탱크
2000: 도포장치 2100: 토출 헤드
2200: 토출 헤드 이동부 2300: 도포재 공급수단
2400: 본체바디 2500: 저장탱크
2600: 위치조정모듈

Claims (9)

  1. 도포재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 헤드;
    상기 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수단; 및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고장유무를 판단하는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구동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고장 시점을 예측하는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와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되고, 도포 작업을 위해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는 토출 헤드 이동부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도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의 상기 노즐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피도포 부재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를 더 포함하는
    도포장치.
  6. 도포재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 헤드;
    상기 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수단;
    상기 토출 헤드와 연결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토출 헤드에 각각 연결된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조정모듈은 상기 제어부 의해 검출된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에 대하여 상기 토출 헤드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는
    도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모듈은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모듈에 연결되고, 도포 작업을 위해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는 토출 헤드 이동부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도포재 공급수단과,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포재 공급수단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도포장치.
  8. 토출 헤드의 노즐에 도포재를 공급하는 도포재 공급단계;
    상기 토출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통해 도포재를 피도포 부재에 토출하는 도포단계;
    상기 토출 헤드에 내재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토출 헤드의 변위를 검출하는 토출 헤드 변위검출단계;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정상상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토출 헤더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이상유무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도포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유무 판단단계에서
    상기 토출 헤드의 위치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토출 헤드의 위치 및 자세를 정상상태로 보정하는 토출 헤드 위치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61976A 2016-11-30 2016-11-30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5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76A KR102655331B1 (ko) 2016-11-30 2016-11-30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01711234893.6A CN108176535A (zh) 2016-11-30 2017-11-30 监测排出头的位置和位移的涂覆装置以及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76A KR102655331B1 (ko) 2016-11-30 2016-11-30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56A true KR20180062556A (ko) 2018-06-11
KR102655331B1 KR102655331B1 (ko) 2024-04-08

Family

ID=6254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976A KR102655331B1 (ko) 2016-11-30 2016-11-30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5331B1 (ko)
CN (1) CN1081765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6566A3 (en) * 2019-02-26 2020-11-19 Nord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hot melt liquid dispensing system mana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14A (ja) * 1998-01-06 1999-09-28 Toray Ind Inc 凹凸基材への塗液の塗布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23782A (ko) * 2009-08-28 2011-03-08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장치 및 도포장치의 구동방법
JP2013212454A (ja) * 2012-04-02 2013-10-17 Ulvac Japan Ltd 液体吐出方法
JP2016010969A (ja) * 2014-06-04 2016-01-21 株式会社リコー ハンディモバイルプリンタ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60125167A (ko) 2015-04-21 2016-10-31 에스브이에스 주식회사 스핀 코터 및 그 코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324B2 (ja) * 2005-12-28 2010-09-29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ペーストの塗布量測定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装置
JP5459833B2 (ja) * 2009-07-17 2014-04-02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ペースト塗布装置
KR101089747B1 (ko) * 2009-07-29 2011-12-07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도포 장치의 제어 방법
TWI511794B (zh) * 2011-08-05 2015-12-11 Sumitomo Heavy Industries A film pattern forming apparatus, a film pattern forming method, and a device adjusting method
CN202815380U (zh) * 2012-09-29 2013-03-2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涂胶设备
CN205701313U (zh) * 2016-06-27 2016-11-23 深圳市艾宇森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三轴联动定位点胶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14A (ja) * 1998-01-06 1999-09-28 Toray Ind Inc 凹凸基材への塗液の塗布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23782A (ko) * 2009-08-28 2011-03-08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장치 및 도포장치의 구동방법
JP2013212454A (ja) * 2012-04-02 2013-10-17 Ulvac Japan Ltd 液体吐出方法
JP2016010969A (ja) * 2014-06-04 2016-01-21 株式会社リコー ハンディモバイルプリンタ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60125167A (ko) 2015-04-21 2016-10-31 에스브이에스 주식회사 스핀 코터 및 그 코팅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6566A3 (en) * 2019-02-26 2020-11-19 Nord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hot melt liquid dispensing system management
EP4140600A1 (en) * 2019-02-26 2023-03-01 Nordson Corporation A method of predicting failure of an applicator of a hot melt liquid dispensing system.
US11904344B2 (en) 2019-02-26 2024-02-20 Nord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hot melt liquid dispensing system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331B1 (ko) 2024-04-08
CN108176535A (zh)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364B2 (en) Control system for can coating
US7462377B2 (en) Methods for regulating the placement of fluid dispensed from an applicator onto a workpiece
JP7066637B2 (ja) 粘性媒体を基板上に噴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711369B2 (ja) 基材上に材料を分配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550552B2 (en) Method for fluid pressure control in a closed system
US200601754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ntrolled patterns of liquid
JPH10244211A (ja) 塗布パターンの位置ずれを検知する方法及びその補正方法
KR20170003942A (ko) 고-과도 시스템의 유동 제어 교정 방법
KR20180062556A (ko) 토출 헤드의 변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5338100B2 (ja) 塗装装置の噴射量制御方法及び装置
EP3265242B1 (en) Liquid dispensing system with improved pressure control
KR101874403B1 (ko) 디스플레이 제조용 정량 토출장치
JP4776962B2 (ja) 多ガン塗装における塗料流量制御システム
TWI490046B (zh) Slurry coating apparatus and slurry coating method
KR20110071831A (ko) 기판 코터 장비의 약액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66408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도포막 두께 제어 장치 및 그의제어 방법
JP7173117B2 (ja) 塗布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420197A (zh) 塗佈裝置以及塗佈裝置的動作方法
JP2865885B2 (ja) 塗装ロボット装置
JP2013184131A (ja) 静電塗装装置
JPH06175730A (ja) 流体吐出量制御装置
JPH04200773A (ja) 塗装装置における塗料の吐出量制御方法
JPH0788408A (ja) 流量安定化装置
JP2010237484A (ja) 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