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787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787A
KR20180057787A KR1020160155529A KR20160155529A KR20180057787A KR 20180057787 A KR20180057787 A KR 20180057787A KR 1020160155529 A KR1020160155529 A KR 1020160155529A KR 20160155529 A KR20160155529 A KR 20160155529A KR 20180057787 A KR20180057787 A KR 20180057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groove
window
pattern layer
shield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훈
장성진
최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787A/ko
Priority to US15/813,714 priority patent/US10488723B2/en
Publication of KR2018005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H01L51/52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H01L51/0024
    • H01L51/5246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02F2001/1333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중첩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베이스 기판의 돌출 영역 및 중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정렬된 홈을 포함하는 차광 패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이나 액정 패널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TV,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휴대폰 등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한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은 고정 설치되지 않고 이동하며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쉽게 노출되며, 터치 기능이 추가될 경우 외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윈도우의 기능이 더욱 중요하다.
통상 윈도우는 접착 부재에 의해 표시 패널에 부착되며, 접착 부재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탈착되지 않을 정도로 적절히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부재가 적절히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표시 장치의 불량률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 접착 부재의 충진을 확인하기 위해 완성된 표시 장치를 특정 포인트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분석할 수 있지만, 분석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절단한 특정 포인트만 분석 가능하며, 절단한 표시 장치를 재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착 부재의 채움 정도가 쉽게 확인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접착 부재의 채움 정도를 쉽게 확인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중첩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 및 상기 중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정렬된 홈을 포함하는 차광 패턴층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상기 표시 패널 외측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홈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폭은 1㎛ 내지 100㎛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0.1㎛ 이상이고 상기 차광 패턴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내측벽 및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홈의 내측벽이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의 끝단은 상기 홈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일면 및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층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제1 기판에 이격된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광학 투명성 레진(OC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주변부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 패턴층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라미네이션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체의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제1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의 상기 차광 패턴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차광 패턴층의 홈은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정렬된다.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나이프를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표시 패널 외측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홈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폭은 1㎛ 내지 100㎛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0.1㎛ 이상이고 상기 차광 패턴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일면 및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윈도우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근에 초음파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접착 부재의 충진 여부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홈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제1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된 차광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 패턴층에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정렬된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일면 및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윈도우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근에 초음파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접착 부재 채움 정도를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신뢰성과 공정 효율이 개선될 수 있고,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홈의 형상과 배치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공정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공정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방법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출력된 초음파 이미지 사진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다양한 접착 부재 충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의 4개의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 상에 표시 패널(100)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윈도우(200), 및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접착 부재(3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0)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표시 패널(1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이 참조된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20), 및 제1 기판(11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유기 발광 소자(120)들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제2 기판(15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유기 발광 소자(120)를 지지한다. 제1 기판(110)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배면 또는 양면 발광형인 경우, 제1 기판(110)으로 투명 기판이 사용된다. 표시 패널(100)이 전면 발광형인 경우, 제1 기판(110)으로 투명 기판뿐만 아니라, 반투명이나 불투명 기판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발광인 경우를 예시한다.
제1 기판(110) 상에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20)가 배치된다. 각 유기 발광 소자(120)는 격벽(130)에 의해 각 화소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12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123)을 포함한다. 제1 전극(121)은 화소 마다 마련된 화소 전극으로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전극(122)은 화소의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일함수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애노드 전극이고, 제2 전극(122)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은 투과형 전극, 반투과형 전극 및 반사형 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전면 발광형인 경우, 제1 전극(121)은 반사형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전극(122)은 투과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123)은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 사이에 배치된다. 유기층(123)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은 적색 화소에 배치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화소에 배치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화소에 배치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 발광층은 2 이상의 유기 발광층이 적층되어 백색 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유기층(123)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1)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과 제2 전극(122) 사이에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격벽(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130)은 화소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어 각 화소를 구분한다. 격벽(130)은 제1 전극(121) 상에 위치하며, 제1 전극(121)의 일부를 드러내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격벽(130)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20) 상에는 제2 기판(150)이 제1 기판(1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기판(150)은 제1 기판(1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120) 등을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커버하여 보호한다.
제2 기판(150)은 유리 및 투명한 소재의 플라스틱 등 투명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150)은 제1 기판(1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판(150)이 제1 기판(110)과 이격된다 함은, 제2 기판(150)과 제1 기판(110) 자체가 상호 이격되어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기판(150)이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120)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 사이에는 이격 공간(160)이 정의된다. 이격 공간(160)은 진공 상태이거나 기체나 공기 또는 기타 충진 물질 등으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은 씰링부(140)에 의해 접합된다. 씰링부(14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 사이에 위치하며, 비표시 영역(NDA)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씰링부(140)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 사이의 표시 영역(DA)의 공간은 밀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20)를 밀봉하는 구조로서 제2 기판(150)과 씰링부(140)가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기판(150) 대신 박막 봉지층이 적용되어 유기 발광 소자(120)를 밀봉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 상부에 표시 패널(10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윈도우(200)는 베이스 기판(210), 및 베이스 기판(210)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층(22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2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한다. 베이스 기판(210)은 글라스 또는 수지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과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210)은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베이스 기판(21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장변(LS1)과 제2 장변(LS2) 및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변(SS1)과 제2 단변(SS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의 크기는 표시 패널(100)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210)의 모든 변(LS1, LS2, SS1, SS2)은 그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00)의 변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의 제1 장변(LS1)과 제2 장변(LS2)은 그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00)의 장변 측 외측면(도 2의 '100s' 참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기판(210)의 제1 단변(SS1)과 제2 단변(SS2)도 그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00)의 단변 측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에는 비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버튼영역이나 카메라 영역 등에 대응되는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에 대향하는 일면(210a)과 그 반대면인 타면(210b)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210)의 일면(210a)에는 차광 패턴층(22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의 타면(210b)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의 비표시 영역(ND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의 표시 영역(DA)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차광 패턴층(220)에는 비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버튼영역이나 카메라 영역 등에 대응되는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층(220)은 비표시 영역(ND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에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212) 전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에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중첩하는 부분을 덮을 뿐만 아니라, 그 내측의 베이스 기판(210)과 표시 패널(100)이 중첩하는 영역까지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차광 패턴층(220)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한 베이스 기판(210)의 돌출 영역(212)과 중첩 영역(211)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의 폭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베이스 기판(210)의 폭보다 같거나 크고, 비표시 영역(NDA)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에 대해 단변(SS1, SS2) 측으로만 돌출되고, 장변(LS1, LS2) 측으로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의 장변(LS1, LS2)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은 표시 장치(10)의 비표시 영역(NDA) 측으로 빛이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시 장치(10)의 베젤에 색상을 부여한다. 차광 패턴층(22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패턴층(220)은 블랙, 화이트, 그레이색 또는 기타 색상을 띄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외곽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차광 패턴층(220)의 색(color)은 화면 외곽의 프레임 색(color)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 상에 색상 잉크를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필름으로 형성된 후 접착 부재를 통해 베이스 기판(2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차광 패턴층(220) 형성 방법이 위에서 열거한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의 두께는 5㎛ 내지 100㎛일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홈(h)을 포함한다. 홈(h)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여기서 홈(h)이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함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이 홈(h)의 내부를 지나는 경우나 홈(h)의 측벽을 지나는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위치를 추산할 수 있을 정도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이 홈(h)과 인접하여 지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홈(h)의 일 측벽이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에 정렬된 경우를 예시한다. 여기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에 정렬되는 홈(h)의 일 측벽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이다.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홈(h)의 타 측벽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홈(h)은 전체적으로 표시 패널(100)과는 중첩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홈(h)은 표시 패널(100)의 4개의 외측면(100s)을 따라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특정 변에 인접한 부분에는 홈(h)의 형성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단변(SS1)을 제외한 제1 장변(LS1), 제2 단변(SS2), 및 제2 장변(LS2)에 홈(h)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홈(h)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홈(h)은 평면상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홈(h)은 평면상 점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홈(h)의 단면 형상은 연장된 직선을 따라 균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홈(h)의 폭(d1)은 1㎛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일 수 있다. 홈(h)의 폭(d1)이 1㎛ 이상이면 초음파 분석 시 홈(h)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접착 부재(300)의 넘침 거리를 줄일 수 있다. 홈(h)의 폭(d1)이 50㎛ 이상이면 초음파 분석 시 홈(h)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으며, 접착 부재(300)의 넘침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홈(h)의 폭(d1)이 너무 크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h) 외측 영역의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홈(h) 외측 영역은 윈도우(200)와 내충격 모듈부(미도시) 또는 세트부(미도시) 가 결합되는 부위로 활용되는데, 상기 면적이 너무 작으면 결합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한 관점에서 홈(h)의 폭(d1)은 100㎛일 수 있다.
홈(h)의 단면 형상은 연장된 선을 따라 각 모서리가 90°인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홈(h)의 기저면은 평탄하고, 표시 패널(100)과 평행할 수 있다.
홈(h)의 깊이(d2)는 차광 패턴층(220)의 표면(또는 그 연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홈(h)의 가장 깊은 곳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홈(h)의 바닥면이 평탄한 경우, 홈(h)의 깊이(d)는 차광 패턴층(220)의 표면으로부터 일 측벽의 기저점까지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홈(h)의 깊이(d2)는 0.1㎛ 이상이고, 차광 패턴층(220) 두께보다는 작을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광 패턴층(220) 두께의 20% 내지 60%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광 패턴층(220)의 두께가 25㎛인 경우, 홈(h)의 깊이(d2)는 5㎛ 내지 15㎛일 수 있다. 홈(h)의 깊이(d2)가 0.1㎛ 이상 이면 초음파 분석 시 홈(h)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접착 부재(300)의 넘침 거리를 줄일 수 있다. 홈(h)의 깊이(d2)가 차광 패턴층(220) 두께의 20% 이상이면 초음파 분석 시 홈(h)의 위치 파악 및 접착 부재(300)의 넘침 방지에 더욱 유리하다. 홈(h)의 깊이(d2)가 차광 패턴층(220) 두께보다 작으면, 베이스 기판(210) 노출에 의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홈(h)의 깊이(d2)가 차광 패턴층(220) 두께의 60% 이하이면 표시 장치(10)의 빛샘 현상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층(220)의 두께는 약 25㎛이고, 홈(h)의 깊이(d)는 약 5㎛이며, 홈의 폭(d1)은 약 100㎛일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에 형성되는 홈(h)의 형상과 배치는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 내지 도 8이 참조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홈의 형상과 배치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4의 실시예는 홈(h)의 단면이 연장된 선을 따라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홈(h)을 이루는 각 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으며, 홈(h)의 기저면은 표시 패널(100)과 평행하지 않는다. 홈(h)의 최저점에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직선(a1)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5의 실시예는 홈(h)의 단면이 오각형 형상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홈(h)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평행한 2개의 면(hw1, hw2) 및 이들 각각으로부터 기저점을 향해 진행하는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홈(h)의 최저점에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직선(a2)은 홈(h)의 중심을 지난다.
도 6의 실시예는 홈(h)의 단면이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홈(h)의 단면은 사각형에 반원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반원은 사각형의 네 개의 변 중 베이스 기판(210)의 일면(210a)과 가장 인접한 변에 결합한다. 홈(h)의 최저점에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직선(a3)은 홈(h)의 중심을 지난다.
도 7의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홈(h)의 일 측벽(hw1)이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보다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홈(h)의 일 측벽(hw1)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으로부터 차광 패턴층(220)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홈(h)의 일 측벽(hw1)이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보다 내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이 홈(h)의 내부를 지나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를 결합시킨다.
접착 부재(300)는 광학 투명성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또는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의 종류에 따라 표면 장력, 점성 등의 물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각각의 접착 부재에 따라 도포 방법이 상이할 수 있으며, 적절한 양을 도포하기 위하여 세밀한 조절이 요구된다.
접착 부재(300)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탈착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서 접착 부재(300)가 채워지는 정도는 이들 사이의 결합력과 내충격 모듈부 또는 세트부 등의 결합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차광 패턴층(220)에 형성된 홈(h)은 접착 부재(300)의 넘침 거리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접착 부재(300)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으로 넘치더라도 홈(h)을 채워야 할 뿐만 아니라, 홈(h)을 충진한 상태에서 표면 장력 때문에 추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접착 부재(300)가 넘친 부위는 내충격 모듈부 또는 세트부 등이 결합할 때 충분한 결합력을 나타내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홈(h)에 의해 접착 부재(300)의 넘침을 억제하면 윈도우(200)에 내충격 모듈부 또는 세트부 등이 강하게 결합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세트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에 형성된 홈(h)에 의한 접착 부재(300) 넘침 억제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두께 25㎛의 차광 패턴층(220)이 형성된 2개의 윈도우(200)를 준비하였다. 하나는 비교예로서, 홈(h)을 형성하지 않았고, 다른 하나는 실시예로서 폭이 100㎛이고, 깊이가 5㎛인 홈(h)을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에 정렬되도록 형성하였다.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접착 부재(300)로서 광학 투명성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을 슬릿 코팅하고, 윈도우를 라미네이션시켰다. 라미네이션 후 광학 투명성 레진이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으로부터 얼마나 넘쳤는지 넘침 거리를 측정한 결과, 홈(h)이 없는 비교예에서는 광학 투명성 레진이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으로부터 0.359mm만큼 넘쳤지만, 홈(h)을 형성한 실시예에서는 넘침 거리가 0.179mm 밖에 되지 않았다.즉, 홈(h)을 형성한 실시예가 홈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넘침 거리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홈(h)을 형성한 실시예가 접착 부재(300)의 넘침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차광 패턴층(220)에 형성된 홈(h)은 접착 부재(300)의 넘침 거리를 줄이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접착 부재(300)의 채움 정도를 측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접착 부재(300)의 채움 정도는 표시 장치를 완성한 후 단면을 절단하여 확인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단면에서 드러나는 부위 이외의 다른 부분의 채움 정도를 확인하기 어렵고,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검사 후 제품을 폐기하여야 하는 등 신뢰성, 공정 효율,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차광 패턴층(220)에 홈(h)이 형성되어 있으면, 비파괴 검사에 의해 접착 부재(300)의 채움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공정 효율 및 공정 비용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층(220)에 홈(h)이 형성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공정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10)에 차광 패턴층(220)을 형성한다(S111).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의 일면의 테두리를 따라 색상 잉크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층(220)에 홈(h)을 형성한다(S112). 홈(h)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층(220) 상에 레이저(LS)를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LS)는 미리 정하여진 위치를 따라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S)의 조사 위치는 후속하는 윈도우(200)와 표시 패널(100)의 라미네이션 공정 결과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홈(h)의 폭이나 깊이는 조사되는 레이저(LS)의 파장,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각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레이저(LS)에 의해 형성되는 홈(h)의 형상 및 배치는 도 2,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거나,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홈(h)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층(220) 상에 나이프(NF), 송곳이나 기타 날카롭고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만드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홈(h)의 폭과 깊이는 나이프(NF) 등의 형상, 가압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이프(NF)에 의해 형성되는 홈(h)의 형상 및 배치는 도 2, 도 5, 도 7, 도 8의 실시예 등과 같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할 때, 표시 패널(100)의 일면에 접착 부재(300)를 도포한다(S121).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일면 상에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광학 투명성 레진을 도포한다. 이어, 자외선 조사 및/또는 열을 가하여 광학 투명성 레진을 가경화 한다(S122).
이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를 라미네이션시킨다(S13).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300)의 표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표시 패널(100)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윈도우(200)를 진공 펌프로 흡착하여 배치한 후, 윈도우(200)를 하강시켜 표시 패널(100)상의 접착 부재(300)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의 얼라인 상태를 조절한다. 얼라인 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과 홈(h)이 정렬되도록 조절한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은 윈도우(200)의 차광 패턴층(220)이 형성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어, 오토 클레이브 공정을 수행한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 및/또는 열을 가하여 광학 투명성 레진을 본경화한다(S14). 그 결과, 차광 패턴층(220)에 홈(h)이 형성된 표시 패널(100)/윈도우(200) 적층체가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공정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를 라미네이션 시킨 후에 차광 패턴층(220) 상에 홈(h)을 형성하는 점이 도 9 내지 도 17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10)에 차광 패턴층(220)을 형성한다(S211). 차광 패턴층(220)은 베이스 기판(210)의 일면의 테두리를 따라 색상 잉크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20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100)의 일면에 접착 부재(300)를 도포한다(S221).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일면 상에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광학 투명성 레진을 도포한다.
이어, 도 18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광학 투명성 레진에 자외선 조사 및/또는 열을 가하여 가경화 한다(S222).
이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를 라미네이션시킨다(S23).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300)의 표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표시 패널(100)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윈도우(200)를 진공 펌프로 흡착하여 배치한 후, 윈도우(200)를 하강시켜 표시 패널(100) 상의 접착 부재(300)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의 얼라인을 조절한다. 얼라인시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은 윈도우(200)의 차광 패턴층(220)이 형성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어, 오토 클레이브 공정을 수행한 후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 및/또는 열을 가하여 광학 투명성 레진을 본경화한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윈도우(200)의 차광 패턴층(220)에 홈(h)을 형성한다(S25).
차광 패턴층(220)의 홈(h)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층(220) 상에 레이저(LS)를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LS) 조사 위치는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을 기준으로 그에 정렬되도록 또는 그와 인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홈(h)의 폭이나 깊이는 조사되는 레이저(LS)의 파장,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각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레이저(LS)에 의해 형성되는 홈(h)의 형상 및 배치는 도 2, 도 7,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거나,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홈(h)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패턴층(220) 상에 나이프(NF), 송곳이나 기타 날카롭고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만드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나이프(NF) 등의 바디부를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에 접하게 하고 나이프(NF) 등의 절개부가 차광 패턴층(220)을 두께 방향으로 일부 관통하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나이프(NF) 등을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을 따라 이동시켜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다. 홈(h)의 폭과 깊이는 나이프(NF) 등의 형상, 가압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이프(NF)에 의해 형성되는 홈(h)의 형상 및 배치는 도 2, 도 5, 도 7, 도 8의 실시예 등과 같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검사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표시 장치는 접착 부재의 채움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7 내지 도 32를 참고하여 표시 장치의 비파괴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차광 패턴층(220)에 홈(h)이 형성된 표시 장치(10)를 준비한다(S31).
차광 패턴층(220)의 홈(h)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어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00)의 채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초음파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얻는다(S32).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적층체를 배치하고, 적층체의 테두리 부근으로 초음파 프로브(500)가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고 그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초음파 프로브(500)는 트랜스듀서, 펄스송 신모듈, 펄스 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펄스 송신모듈은 초음파 신호를 트랜스듀서를 통해 검사 대상으로 방사하고, 펄스 수신모듈은 검사 대상으로부터 돌아오는 에코 신호를 수신한다.
초음파는 주로 액체 및 고체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진공 또는 기체로 채워진 공간은 초음파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음파 신호의 진행 방향에 액체나 고체 없이 비워진 공간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 다음에 있는 물질에 관한 초음파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 사이에 이격 공간(160)이 존재하면, 표시 패널(100) 측으로 초음파 신호를 방사할 경우 그 상부의 접착 부재(300)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반면, 윈도우(200)의 경우 접착 부재(300)까지 빈 공간 없이 매질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초음파 신호는 윈도우(200)의 베이스 기판(210)의 타면(210b) 측으로 방사한다. 초음파 신호는 베이스 기판(210)을 통과하여 베이스 기판(210) 일면(210a) 상의 차광 패턴층(220)과 홈(h)에 도달하고 그로부터 반사된다. 반사된 초음파 신호는 다시 베이스 기판(210)을 통과하여 초음파 프로브(500)의 펄스 수신모듈에 입력될 수 있다.
초음파 측정은 초음파 프로브(500)와 베이스 기판(210)의 접촉 유무에 따라 접촉식 탐상방식과 비접촉식 탐상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접촉식 탐상방식은 베이스 기판(210)의 표면 상태 및 형상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초음파 프로브(500)와 베이스 기판(210)의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비접촉식 탐상방식은 초음파 프로브(500)에서 방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베이스 기판(2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접촉 매질을 필요로 하며, 예시적으로 초음파 전송 효율이 우수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접촉식 탐상방식은 수침식 초음파 탐상방식과 워터젯 방식을 포함한다. 수침식 초음파 탐상방식은 표시 장치를 물에 침적(dipping)한 후 초음파 프로브(500)를 이용해 초음파 탐상 하는 방법이다. 워터젯 방식은 표시 장치에 물을 분사하면서 초음파 탐상하는 방법이다. 워터젯 방식은 물에 침적(dipping)되지 않으므로 표시 장치(10)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초음파 측정시 주파수는 5 ~ 500Mhz 범위이거나, 30 ~ 70Mhz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므로, 초음파 탐상시 고(高)주파수를 사용하면 작은 결함을 검출하기에 적합하다. 즉, 상기 범위 내에서 초음파의 거리 분해능(음속의 진행 방향에 있는 서로 다른 물체를 구별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초음파 측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출력된 초음파 이미지 사진이다.
도 27 및 도 29를 참조하면, 이어서, 초음파 데이터를 분석한다(S33).
구체적으로, 펄스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미지화한다. 초음파 이미지를 통해 표시 장치 내부의 균열 발생 여부나 표시 장치를 이루는 여러 구성이 적절히 정렬되어 있는지 뿐만 아니라, 접착 부재(300)의 채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9의 초음파 이미지에서 접착 부재(300)가 채워진 부분은 주변에 비하여 어두운 색으로 표시되고, 접착 부재(300)가 미충진된 부분은 주변에 비해 다소 밝게 표시되어 그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차광 패턴층(220)의 홈(h)도 주변에 비해 다소 밝게 표시되어 그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홈(h)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에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 위치가 추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300)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보다 넘쳤는지, 아니면 그에 미치지 않아 미충진되었는지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도 30 내지 도 32는 다양한 접착 부재 충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0의 단면도는 접착 부재(300)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까지 정확히 채워진 경우로서,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줄 뿐만 아니라, 접착 부재(300)의 넘침도 억제되어 내충격 모듈부 또는 세트부 등의 안정적인 결합 부위 면적을 충분히 확보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초음파 이미지는 접착 부재(300)가 충진된 부분의 끝단이 홈(h)의 위치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윈도우(200) 외측면(210s)으로부터 접착 부재(300)까지의 거리(d3)가 윈도우(200) 외측면(210s)으로부터 홈(h)까지의 거리(d4)가 동일하게 측정된다.
도 31의 단면도는 접착 부재(300)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까지 채워지 못한 경우로서,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주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초음파 이미지는 접착 부재(300)가 충진된 부분의 끝단이 홈(h)의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윈도우(200) 외측면(210s)으로부터 접착 부재(300)까지의 거리(d3)가 윈도우(200) 외측면(210s)으로부터 홈(h)까지의 거리(d4)보다 크게 측정된다.
도 32의 단면도는 접착 부재(300)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100s)의 연장면을 넘어까지 채워진 경우로서, 내충격 모듈부 또는 세트부 등의 안정적인 결합 부위 면적이 줄어든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초음파 이미지는 접착 부재(300)가 충진된 부분의 끝단이 홈(h)의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윈도우(200) 외측면(210s)으로부터 접착 부재(300)까지의 거리(d3)가 윈도우(200) 외측면(210s)으로부터 홈(h)까지의 거리(d4)보다 작게 측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데이터를 분석하면 표시 장치를 절단하지 않더라도 홈(h)의 위치를 기준으로 접착 부재(300)의 미충진 또는 과충진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윈도우
300: 접착 부재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제1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정렬된 홈을 포함하는 차광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홈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은 1㎛ 내지 100㎛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0.1㎛ 이상이고 상기 차광 패턴층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내측벽 및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홈의 내측벽이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과 정렬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끝단은 상기 홈에 정렬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일면 및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층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제1 기판에 이격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광학 투명성 레진(OCR)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주변부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층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라미네이션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체의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제1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의 상기 차광 패턴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차광 패턴층의 홈은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정렬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나이프를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홈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은 1㎛ 내지 100㎛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0.1㎛ 이상이고 상기 차광 패턴층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일면 및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윈도우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근에 초음파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접착 부재의 충진 여부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홈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된 제1 영역과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배치된 차광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 패턴층에 상기 표시 패널의 외측면에 정렬된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일면 및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윈도우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근에 초음파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155529A 2016-11-22 2016-11-2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57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29A KR20180057787A (ko) 2016-11-22 2016-11-2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5/813,714 US10488723B2 (en) 2016-11-22 2017-11-15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29A KR20180057787A (ko) 2016-11-22 2016-11-2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787A true KR20180057787A (ko) 2018-05-31

Family

ID=6214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529A KR20180057787A (ko) 2016-11-22 2016-11-2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88723B2 (ko)
KR (1) KR20180057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998A (ko) * 2018-10-16 2020-04-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785B (zh) * 2018-05-21 2020-05-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8777910B (zh) * 2018-06-15 2020-05-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电路板、显示面板以及显示模组
CN110389687B (zh) * 2019-07-31 2022-06-2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保护盖的贴合结构
CN112164331B (zh) * 2020-10-14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多曲面显示装置
JP2022068468A (ja) * 2020-10-22 2022-05-1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
CN112820196A (zh) * 2021-01-20 2021-05-1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柔性显示装置
CN112885243A (zh) * 2021-02-26 2021-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477455B (zh) * 2021-07-16 2022-04-15 平显智能装备(深圳)有限责任公司 一种ocr全贴合组装工艺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528A (en) 1988-06-13 1992-08-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for evalu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discontinuity indications from non-destructive examination of a turbine rotor, stress applied to the rotor and remaining life of the rotor
JP2007005060A (ja) * 2005-06-22 2007-01-11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1014022B1 (ko) 2009-01-09 2011-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DE102009060106A1 (de) * 2009-12-17 2011-06-22 Salzgitter Mannesmann Line Pipe GmbH, 57074 Verfahren zur Prüfung von Verbindungen metallischer Werkstücke mit Kunststoffmassen auf Hohlräume mittels Ultraschall
KR101251204B1 (ko) 2011-04-29 2013-04-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비파괴 검사 장치 및 초음파 비파괴 검사 방법
JP5841638B2 (ja) 2012-09-28 2016-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EP3620847B1 (en) * 2012-12-14 2021-09-01 Dexerials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JP2014182164A (ja) * 2013-03-18 2014-09-29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JP2014211584A (ja) 2013-04-22 2014-1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046426B1 (ko) * 2013-07-12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9704A (ko) 2013-07-17 2015-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169089A1 (en) * 2013-12-12 2015-06-18 Pedco, LLC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Making a Protection Film for a Touch Screen
CN104344292A (zh) * 2014-11-20 2015-02-1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CN104460085B (zh) * 2014-12-11 2017-02-0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显示装置的基材、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7009662A (ja) *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566739B2 (ja) * 2015-06-24 2019-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998A (ko) * 2018-10-16 2020-04-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3499A1 (en) 2018-05-24
US10488723B2 (en)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778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16673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10059532B (zh) 指纹感测显示设备以及传感器
JP5426588B2 (ja) 液晶表示装置
US8232718B2 (en) Tiled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filled gaps
CN116994300A (zh) 指纹感测显示设备
KR20140044579A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TW201621578A (zh) 觸控裝置
WO2018103195A1 (zh) 显示模组及其使用方法
JP2009192794A (ja) 表示装置
US2012020080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8103193A1 (zh) 显示模组及其使用方法
KR2020000257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170257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WO2016101372A1 (zh) 液晶面板与背光模组定位胶结构及显示器
US20140293573A1 (en) Flat panel display
WO2019019045A1 (zh) 光学指纹传感器模组
US8654300B2 (en) Display apparatus
KR102098184B1 (ko) 표시장치
KR20160064297A (ko) 표시패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표시패널
US11545520B2 (en) Display device
KR102244002B1 (ko)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569686B (zh) 显示模组
TW201511962A (zh) 具有保護層的電子裝置
KR2022002251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