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04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043A
KR20180049043A KR1020187009662A KR20187009662A KR20180049043A KR 20180049043 A KR20180049043 A KR 20180049043A KR 1020187009662 A KR1020187009662 A KR 1020187009662A KR 20187009662 A KR20187009662 A KR 20187009662A KR 20180049043 A KR20180049043 A KR 20180049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stirring member
inner tank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마미야
타모츠 카와무라
타카시 나카니시
히로키 사토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수직방향과 교차되도록 회동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세탁성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1)는, 축선(J)을 둘러싸며 회전하는 내조(11)를 구비하는 세탁조(3); 내조(11) 내의 세탁물(Q)이 교반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교반부재(45); 내조(11) 및 교반부재(45)를 회전시키는 모터(46); 회동기구; 및 마이크로컴퓨터(48)를 포함한다. 회동기구는 세탁조(3)를 축선(J)이 상하방향(Z)과 교차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세탁조(3)의 회동각도(θ)를 변경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모터(46) 및 회동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회동각도(θ)로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키거나 내조(11)를 회전시키는 세탁작동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 서술한 세탁기에서, 물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네 모서리에는 현수봉이 설치되고 현수봉의 하단부에는 수평대가 설치된다. 수평대의 전면에 편향되도록 설치된 경동 받침점(tilting fulcru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동대(tilting platform)에는 물통이 고정된다. 세탁조는 회전 가능하도록 물통에 배치되며, 세탁조의 바닥면의 내측에는 세탁조 내의 세탁물 및 물을 교반하는 펄세이터(Pulsator)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세탁기의 세탁과정에서, 세탁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펄세이터는 저속으로 회전한다.
특허문헌 1에서 서술한 세탁기와 같이 세탁과정에서 세탁조를 경사지게 하며 펄세이터만 회전시키는 구조에서, 세탁조가 일정한 정도 이상으로 경사지면,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기계적 힘이 세탁조 내의 세탁물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되면, 세탁물의 세탁조 내에서의 활동이 늦어지게 되어 얼룩을 세탁물에서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세탁성능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 4647561 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배경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직방향과 교차되도록 회동 가능한 세탁조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세탁성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축선을 둘러싸며 회전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수용하는 외조를 구비하며, 상기 축선이 수직방향과 교차되게 회동하는 세탁조;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이 교반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교반부재; 상기 내조 및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세탁조를 회동시킴으로써 수직방향과 상기 축선의 교차각도를 변경시키는 회동기구;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회동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교차각도로 상기 교반부재를 반전(Reverse)시키거나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세탁작동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탁작동에서 상기 세탁조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재를 반전시키거나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과 교차되게 회동 가능한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서, 세탁조의 내조는 이의 축선을 둘러싸며 회전할 수 있고 교반부재는 내조 내의 세탁물이 교반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세탁기에서, 모터는 내조 및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며 회동기구는 세탁조를 회동시킴으로써, 수직방향과 축선의 교차각도를 변경한다.
세탁기의 세탁작동에서, 제어부는 모터 및 회동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교차각도로 교반부재를 반전시키거나 내조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교반부재의 반전과 내조의 회전을 조합함으로써, 교차각도가 어느 값이여도, 다시 말해 세탁조가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한 정도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교반부재 및 내조에 생성되는 기계적 힘을 세탁물에 고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내조 내의 세탁물의 위치 교체를 촉진할 수 있어 세탁물의 불균일한 세탁을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교차각도로 교반부재의 반전과 내조의 회전을 조합함으로써 기계적 힘을 세탁물에 더 한층 고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불균일한 세탁을 추가로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결과에 따르면, 세탁기의 세탁성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작동에서 세탁조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반부재를 반전 또는 내조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세제를 고효율적으로 물에 용해시켜 고농도의 세탁수를 생성하거나, 해당 세탁수를 고효율적으로 세탁물에 침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탁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가 회동 중의 시간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생성하거나 세탁수를 세탁물에 침투시킴으로써 세탁작동의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세탁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세탁기의 예시적인 종단면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세탁기의 전기적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세탁작동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세탁작동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세탁작동의 관련 데이터를 총괄한 표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세탁기(1)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서의 상하방향을 세탁기(1)의 상하방향(Z)이라 하고, 도 1에서의 좌우방향을 세탁기(1)의 전후방향(Y)이라 하며, 도 1에서의 지면(paper surface)에 대략 수직되는 가로 방향을 좌우방향(X)이라 한다. 상하방향(Z)은 수직방향이기도 하다. 상하방향(Z)에서, 상방을 상방(Z1)이라 하고, 하방을 하방(Z2)이라 한다. 전후방향(Y)에서, 도 1에서의 우측을 전방(Y1)이라 하고, 도 1에서의 좌측을 후방(Y2)이라 한다. 좌우방향(X)에서, 도 1의 지면의 표면측을 좌측(X1)이라 하고, 도 1의 지면의 배면측을 우측(X2)이라 한다.
세탁기(1)에 있어서, 비록 의류 건조 기능을 구비하는 세탁건조기도 포함하지만, 아래에서는 의류 건조 기능을 생략하고 세탁작동만 실행하는 세탁기를 예로 세탁기(1)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작동은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 탈수과정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낸 세탁기(1)의 구성부품은 하우징(2),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세탁조(3), 지지 프레임(4), 현수봉(5), 회동부(6), 잠금해제기구(7) 및 회동기구(8)를 포함한다.
하우징(2)은 예를 들어 금속제이고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에는 전면(2A)과 상면(2B)을 연결하는 연결면(2C)이 설치된다. 연결면(2C)은 예를 들어 전방(Y1)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면이다. 세탁기(1) 내에 세탁물(Q)(후술할 도 2를 참조)을 넣고 꺼내기 위한 출입구(2D)가 전면(2A)과 연결면(2C)을 걸쳐 형성된다.
세탁조(3)는 외조(10)와 내조(11)를 구비한다. 외조(10)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세탁과정, 헹굼과정에서 외조(10) 내에 물이 저장된다. 외조(10)의 원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은 외조(10)의 축선(J)이다.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의 외조(10)는 축선(J)을 따라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원주벽(12); 및 축선(J)과 수직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방(Z2)에서 원주벽(12)의 중공부분을 막는 바닥벽(13); 을 구비한다. 세탁조(3)에서, 바닥벽(13)의 반대 측의 상단부에는 원주벽(12)의 상단 가장자리로 둘러싸인 원 형상의 개구(10A)가 형성된다. 개구(10A)는 세탁기(1) 내에 넣고 꺼내는 세탁물(Q)을 통과시킨다. 원주벽(12)의 좌우 측면에는 좌우방향(X)에서의 외측으로 돌출된 금속제의 회동축(14)이 하나씩 설치된다. 도 1에는, 좌측(X1)의 회동축(14)만 도시된다. 이러한 좌우 한 쌍의 회동축(14)은 좌우방향(X)에서 관찰할 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내조(11)는 예를 들어 금속제이며, 외조(10)보다 한 둘레 작은,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조(11)에는 세탁물(Q)이 수용된다.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의 내조(11)는 축선(J)을 따라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원주벽(15); 및 축선(J)과 수직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방(Z2)에서 원주벽(15)의 중공부분을 막는 바닥벽(16)(도 2를 참조); 을 구비한다. 내조(11)에서 바닥벽(16)의 반대 측의 상단부에는 내조(11) 내에 넣고 꺼내는 세탁물을 통과시키는 원 형상의 개구(11A)가 형성된다. 내조(11)는 외조(10) 내에 동축 형상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내조(11)의 축선은 즉 상술한 축선(J)이다. 내조(11)가 외조(10) 내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내조(11)의 개구(11A)는 외조(10)의 개구(10A)의 내측에 위치한다. 개구(11A)는 하우징(2)의 출입구(2D)와 대향되므로 내조(11) 내에 세탁물(Q)을 넣고 꺼낼 수 있다. 내조(11)의 원주벽(12) 및 바닥벽(13)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11B)이 형성되고, 외조(10) 내의 물은 이러한 관통홀(11B)을 통해 외조(10)와 내조(11) 사이에서 오간다. 따라서, 외조(10) 내의 수위는 내조(11) 내의 수위와 일치한다.
지지 프레임(4)은 금속제이며, 좌우 한 쌍의 측판(17) 및 상기 한 쌍의 측판(17)의 하단부 사이에 가설된 빔(beam)부재(18)를 포함한다. 각 측판(17)은 좌우방향(X)에서 관찰할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X)에서 비교적 얇다. 한 쌍의 측판(17) 사이에는 세탁조(3)가 배치된다.
세탁조(3)의 외조(10)에 있어서, 좌측(X1)으로 돌출된 회동축(14)은 좌측(X1) 측판(17)을 관통하고,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좌측(X1) 측판(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외조(10)에 있어서, 우측(X2)으로 돌출된 회동축(14)(미도시)은 우측(X2) 측판(17)을 관통하며,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우측(X2) 측판(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세탁조(3)는 지지 프레임(4)에 의해 지지되며, 외조(10) 및 내조(11)의 축선(J)이 상하방향(Z)에 교차되게 회동축(14)을 둘러싸며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조(3)의 회동에 따라 축선(J)은 상하방향(Z)에 대해 전후방향(Y)으로 경사진다. 세탁조(3)의 회동방향을 회동방향(K)이라 한다.
상하방향(Z)에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기준축(L)과 축선(J)의 예각을 나타내는 교차각도는 기준축(L)에 대한 세탁조(3)의 회동각도(θ)이다. 회동각도(θ)가 작을수록 세탁조(3)는 직립 자세에 더 접근하고, 회동각도(θ)가 클수록 세탁조(3)는 외조(10)의 개구(10A) 및 내조(11)의 개구(11A)가 전방(Y1)을 향하도록 전방(Y1)으로 경사진 형태를 나타낸다. 회동각도(θ)는 예를 들어, 5도, 15도, 30도, 45도, 60도인 5 단계로 변경될 수 있다.
세탁기(1)에서의 응용의 일 예로서, 세탁작동이 시작 시, 세탁물(Q)을 세탁조(3)에 투입할 때에는 세탁물의 투입이 쉬워지도록 회동각도(θ)를 45도로 설정하고, 다음 세탁물(Q)의 부하량을 감지하거나 세탁조(3)에 물을 공급할 때에는 회동각도(θ)를 5도로 설정한다. 그리고 세탁 과정 및 헹굼 과정에서 내조(11) 내의 세탁물(Q)의 위치 교체를 촉진하여 고효율적인 세탁 및 헹굼을 실현하기 위해, 회동각도(θ)를 5도와 60도 사이에서 변동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탈수과정에서, 회동각도(θ)를 5도로 설정하여 내조(11)가 세탁조(3)에서 거의 직립되는 상태에서 고속 회전하므로, 회동각도(θ)가 예를 들어 60도인 경우에 비해 내조(11)의 고속 회전에 따라 생성되는 진동은 비교적 작게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각도(θ)를 변화시킬 수 있는 세탁기(1)는 내조(11)를 직립 배치 즉, 소위의 수직형 세탁기의 장점과, 내조(11)를 경사 배치, 즉 소위의 드럼식 세탁기의 장점을 겸비할 수 있다.
좌측(X1) 측판(17)에서 회동축(14)보다 하방(Z2)에 더 가까운 영역에는, 해당 측판(17)을 좌우방향(X)으로 관통하는 개구(17A)가 형성된다. 개구(17A)는 전후방향(Y)에서 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각 측판(17)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에는 전후방향(Y)에서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9)가 배치된다. 지지부(19)는 측판(17)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수지제의 기타 부재로서 측판(17)에 장착될 수도 있다.
현수봉(5)은 하단부에 마찰 댐퍼(friction damper)(20)를 구비하는 막대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현수봉(5)은 4 개가 있으며 하우징(2) 내에서 상방(Z1)에서 관찰할 때 네 모서리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러한 현수봉(5)은 하우징(2)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외부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매달린 상태에 처한다. 좌측(X1)에서 전후로 배열된 두 개의 현수봉(5)에서, 전방(Y1)의 현수봉(5)의 하단부는 좌측(X1) 측판(17)에서의 전방(Y1)의 지지부(19)에 연결되고, 후방(Y2)의 현수봉(5)의 하단부는 좌측(X1) 측판(17)에서의 후방(Y2)의 지지부(19)에 연결된다. 우측(X2)에서 전후로 배열된 두 개의 현수봉(5)에서, 전방(Y1)의 현수봉(5)의 하단부는 우측(X1) 측판(17)에서의 전방(Y1)의 지지부(19)에 연결되고, 후방(Y2)의 현수봉(5)(미도시)의 하단부는 우측(X2) 측판(17)에서의 후방(Y2)의 지지부(19)(미도시)에 연결된다. 이로써, 측판(17)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4) 및 지지 프레임(4)에 의해 지지되는 세탁조(3)는 현수봉(15)을 통해 하우징(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회동부(6)는 좌우방향(X)에서 얇으며, 좌우방향(X)에서 관찰할 때 전방(Y1)으로 팽출된 대략 부채형(fan shape)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회동부(6)는, 회동방향(K)에 따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방(Y1)으로 팽출된 외주연(6A)을 구비한다. 회동부(6)에서 외주연(6A)의 곡률중심과 일치한 위치에는, 좌우방향(X)으로 회동부(6)를 관통하는 관통홀(6B)이 형성된다. 외주연(6A)에는 복수 개의 요부(6C)가 형성되며, 여기에서는 다섯 개이다. 이러한 요부(6C)는 관통홀(6B)을 향해 함몰되면서 좌우방향(X)으로 회동부(6)를 관통하며 회동방향(K)에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서로 인접한 요부(6C)의 간격은 고정될 수 있고, 회동부(6)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회동각도(θ)의 5도, 15도, 30도, 45도, 60도의 설정에 대응되게, 도 1의 형태에서의 회동부(6)에서, 가장 후방(Y2) 및 그 앞에 인접하여 위치한 두 개의 요부(6C)의 간격은, 회동방향(K) 즉 관통홀(6B)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서 10도이며, 기타 서로 인접한 요부(6C) 사이의 간격은 모두 15도이다.
회동부(6)는 좌측(X1)의 측판(17)보다 더 좌측(X1)에 가깝게 배치된다. 세탁조(3)의 외조(10)에서, 좌측(X1)으로 돌출되어 좌측(X1) 측판(17)을 관통한 회동축(14)은, 회동부(6)의 관통홀(6B)에 삽입 관통되어 회동부(6)에 고정된다. 이로써, 회동부(6)는 회동축(14)을 통해 세탁조(3)에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1에서의 형태에 따른 회동부(6)에서, 외주연(6A)의 후단에는 하방(Z2)으로 돌출된, 구체적으로 관통홀(6B)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부(6)의 반경방향(R)에서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설치부(6D)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연장설치부(6D)는 반경방향(R)에서 길고, 좌우방향(X)에서 얇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연장설치부(6D)에는 반경방향(R)에서 길고, 좌우방향(X)으로 연장설치부(6D)를 관통하는 가이드 홀(6E)이 형성된다. 가이드 홀(6E)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막힌 상태에 처한다. 가이드 홀(6E)은 상하방향(Z)에서 좌측(X1) 측판(17)의 개구(17A)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회동각도(θ)가 5도 내지 60도 중의 어느 값이여도 가이드 홀(6E)은 시종 좌측(X1)에서 개구(17A)와 대향된다.
잠금해제기구(7)는 좌측(X1) 측판(17)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잠금해제기구(7)는 본체부(21)와 잠금부(22)를 포함한다. 본체부(21)에는 솔레노이드(solenoid) 등으로 구성된 액추에이터(actuator)(미도시)가 배치된다. 잠금부(22)는 본체부(21)에서 후방(Y2)으로 돌출된, 엄격히 말하면 후방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며, 본체부(21)에 의해 전후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본체부(21)의 액추에이터가 작업함으로써, 가장 후방(Y2)으로 진입하는 진입 위치와 가장 전방(Y1)으로 퇴출하는 퇴출 위치 사이에서 잠금부(22)를 슬라이드 시킨다.
도 1의 잠금부(22)는 진입 위치에 있다. 회동부(6)에서의 어느 하나의 요부(6C)와 잠금부(22)가 회동방향(K)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 잠금부(22)는 진입 위치까지 진입함으로써, 회동방향(K)에서 동일 위치의 요부(6C)에 감입된다. 이로써, 회동부(6) 및 세탁조(3)의 회동이 잠금된다. 해당 상태에서, 잠금부(22)가 퇴출 위치까지 퇴출하면, 잠금부(22)는 요부(6C)로부터 이탈되므로 회동부(6) 및 세탁조(3)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1에서, 진입 위치의 잠금부(22)는 가장 상방(Z1), 또한 가장 전방(Y1)에 위치하는 요부(6C)에 감입된 상태에 처한다. 이때, 회동각도(θ)가 60도인 상태에서, 회동부(6) 및 세탁조(3)의 회동이 잠금된다. 잠금부(22)가 감입되는 요부(6C)가 후방(Y2)에 위치하는 기타 요부(6C)로 변경됨에 따라 회동각도(θ)가 작아지며, 잠금부(22)가 가장 후방(Y2)의 요부(6C)에 감입된 상태에서 회동각도(θ)가 5도이며, 해당 상태에서 회동부(6) 및 세탁조(3)의 회동이 잠금된다.
회동기구(8)는 세탁조(3)의 회동을 통해 회동각도(θ)를 변경하는 기구로서, 프레임(25), 한 쌍의 지지부(26), 나사산 축(27), 회동모터(28), 커플링(coupling)(29), 너트부재(30), 및 각도센서(31)를 포함한다.
프레임(25)은 예를 들어 금속판을 크랭크(crank)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우측(X2)에서 좌측(X1) 측판(17)의 개구(17A)를 커버하도록 우측(X2)에서 상기 측판(17)에 고정된다. 한 쌍의 지지부(26)는 전후방향(Y)에서 멀어지도록 배열된 상태로 프레임(25)에 고정되고, 프레임(25)에서 좌측(X1)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나사산 축(27)은 전후방향(Y)에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서 거의 전체 영역에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나사산(screw thread)(27A)이 형성된다. 나사산 축(27)은 전후 한 쌍의 지지부(26)의 베어링(32)의 양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모터(28)는 일반적인 전동 모터이며, 후방(Y2)으로 돌출되어 나사산 축(27)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는 출력축(33)을 구비한다. 나사산 축(27)의 전단부 및 출력축(33)은 커플링(29)에 의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회동모터(28)가 구동되어 출력축(33)이 회전할 경우, 나사산 축(27)과 출력축(33)은 일체로 회전한다. 너트부재(30)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사산(미도시)이 내주면에 형성된 링형의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과 나사산 축(27)의 나사산(27A)이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 축(27)에 외부 감합된다. 나사산 축(27)이 회동모터(2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 나사산 축(27)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재(30) 전체가 나사산 축(27)의 축 방향, 즉 전후방향(Y)에 따라 이동한다. 너트부재(30)는 회동부(6)의 연장설치부(51D)에 삽입된 연결핀(34)을 고정함으로써, 연결핀(34)을 통해 회동부(6)와 연결된다. 따라서, 너트부재(30)가 나사산 축(27)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Y)으로 이동하면, 회동부(6)가 너트부재(30)에 의해 전후방향(Y)으로 당겨짐으로써, 세탁조(3)에 따라 회동한다.
각도센서(31)는, 전후방향(Y)에서의 너트부재(30)의 위치에 따라 세탁조(3)의 회동각도(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각도센서(31)로서는 광 센서 등 광학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도센서(31)는 회동부(6)의 요부(6C)의 수량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전후방향(Y)을 따라 배열된 상태로 프레임(25)에 고정된다. 각 각도센서(31)에는 전후방향(Y)을 따라 각도센서(31)를 관통하는 홈(31A)이 형성되고, 각도센서(31)는 감지광이 상하방향(Z)을 따라 홈(64)을 가로지르는 상태에 있다. 너트부재(30)에는 제한부라 불리우는 막대기 모양의 피감지부(30A)가 설치된다. 회동각도(θ)가 5도, 15도, 30도, 45도, 60도 중의 임의의 한 각일 경우, 피감지부(30A)는 임의의 각도센서(31)의 홈(31A)에 감입되고 상기 홈(31A)의 감지광을 차단한다. 따라서, 다섯 개의 각도센서(31)는 통일적으로 회동각도(θ)가 5도, 15도, 30도, 45도, 60도 중의 어느 하나인지를 감지한다.
세탁기(1)의 개략적인 종단면 좌측면도, 즉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상술한 구성부품 이외에 도어(39), 표시 조작부(40), 세제수용실(41), 급수 수로(42), 배수 수로(43), 지지축(44), 교반부재(45), 모터(46), 전달기구(47), 및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48)를 더 포함한다.
도어(39)는 하우징(2)의 연결면(2C)을 따라 만곡된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의 출입구(2D)를 개폐한다. 표시 조작부(40)는 스위치, 액정패널 등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하우징(2)의 상면(2B)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표시 조작부(40)의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세탁기(1)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세탁작동의 코스를 자유로이 설정; 또는 세탁기(1)에 세탁작동을 시작, 정지 등 지시를 전송한다. 표시 조작부(40)의 액정패널 등에는 세탁작동에 대한 정보가 시인 가능하게 표시된다.
세제수용실(41)은 세제를 수용하는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며 세탁조(3)의 상방(Z1)에 배치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각도(θ)가 5도인 경우 세제수용실(41)은 내조(11)의 개구(11A)의 바로 상방에 위치한다. 수도꼭지(미도시)에 연결된 급수 수로(42)는 상방(Z1), 또한 후방(Y2)에서 세제수용실(41)에 연결된다. 수도꼭지로부터의 물은 급수 수로(42) 및 세제수용실(41)을 흘러 지나가고 세제수용실(41)의 바닥부에서 개구(11A)로 흘러내려 내조(11) 내로 공급된다. 세제수용실(41)에 수용된 세제는 세제수용실(41)을 흘러 지나가는 물에 따라 내조(11) 내에 공급된다. 세제수용실(41)로부터의 물은 점선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분수 형상으로 흘러내려 내조(11) 내에 공급된다. 급수 수로(42)의 중도에는 급수를 시작 또는 정지하기 위해 개폐하는 급수 밸브(49)가 설치된다.
배수 수로(43)는 하방(Z2)에서 외조(10)의 바닥벽(13)에 연결되며 외조(10) 내의 물은 배수 수로(43)에서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 수로(43)의 중도에는 배수를 시작 또는 정지하기 위해 개폐하는 배수 밸브(50)가 마련된다. 배수 수로(43)는 세탁조(3)의 회동각도(θ)가 5도 내지 60도 중의 어느 한 값이여도 길게 당겨지지 않도록 일정한 정도의 길이 및 가요성을 가진다.
지지축(44)에 관하여, 외조(10)의 바닥벽(13)에서 축선(J)과 일치한 원심 위치에는 바닥벽(13)을 관통하는 관통홀(13A)이 형성되고, 내조(11)의 바닥벽(16)에서 축선(J)과 일치한 원심 위치에는 바닥벽(16)을 관통하는 관통홀(16A)이 형성된다. 지지축(44)은 바닥벽(16)에서 관통홀(16A)을 둘러싸며 축선(J)에 따라 하방(Z2)으로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축(44)은 바닥벽(13)의 관통홀(13A)을 삽입 관통하며 지지축(44)의 하단부는 바닥벽(13)보다 더 하방(Z2)에 위치한다.
교반부재(45)는 소위의 펄세이터로서, 축선(J)을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조(11) 내에서 바닥벽(16)을 따라 내조(11)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교반부재(45)에서, 하방(Z2)에서 내조(11)의 개구(11A)와 대면하는 상면에는 방사선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날개(45A)가 설치된다. 교반부재(45)에는 그 원심에서 축선(J)을 따라 하방(Z2)으로 연장되는 회전축(51)이 설치된다. 회전축(51)은 지지축(44)의 중공부분을 삽입 관통하며 회전축(51)의 하단부는 외조(10)의 바닥벽(3B)보다 더 하방(Z2)에 위치한다.
모터(46)는 예를 들어 인버터 모터(inverter motor)로 구성된다. 하우징(2) 내에서, 모터(46)는 외조(10)의 하방(Z2)에 배치되며 앵커 볼트(anchor bolt)(미도시) 등에 의해 외조(10)의 바닥벽(13)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46)는 세탁조(3) 및 지지 프레임(4)(도 1을 참조)과 함께 현수봉(5)을 통해 하우징(2)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세탁조(3)와 일체로 회동축(14)을 둘러싸며 회동한다. 모터(46)는 축선(J)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출력축(52)을 구비한다. 전달기구(47)는 지지축(44) 및 회전축(51) 각자의 하단부와 출력축(52)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전달기구(47)는 모터(46)가 출력축(52)에서 출력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지지축(44) 및 회전축(51)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전달한다. 전달기구(47)로는 공지의 클러치 등이 사용된다. 모터(46)로부터의 구동력이 지지축(44) 및 회전축(51)으로 전달되면, 내조(11) 및 교반부재(45)는 축선(J)을 둘러싸며 회전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예를 들어 CPU와 RQM, RAM 등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하우징(2) 내에 배치된다. 세탁기(1)의 전기적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 즉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수위센서(55), 회전센서(56) 및 각도센서(31)를 더 포함한다. 수위센서(55), 회전센서(56), 상술한 각도센서(31) 및 표시 조작부(40)는 각각 마이크로컴퓨터(4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급수 밸브(49), 모터(46), 배수 밸브(50), 전달기구(47), 잠금해제기구(7) 및 회동기구(8)의 회동모터(28)는 각각 예를 들어 구동회로(57)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위센서(55)는 외조(10) 및 내조(11)의 수위를 감지하는, 즉 내조(11) 내의 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수위센서(55)의 감지 결과는 실시간으로 마이크로컴퓨터(48)에 입력된다.
회전센서(56)는 모터(46)의 회전속도, 엄밀하게는 모터(46)의 출력축(52)의 회전속도를 판독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홀 IC(hall IC)(미도시)로 구성된다. 회전센서(56)에 의해 판독된 회전속도는 실시간으로 마이크로컴퓨터(48)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입력된 회전속도에 따라 모터(46)의 ON/OFF를 제어하고, 상세하게는 모터(46)에 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모터(46)가 원하는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모터(46)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모터(46)의 회전속도는 내조(11) 및 교반부재(45) 각자의 회전속도와 동일하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8)는 모터(46)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46)는 정방향으로 회전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모터(46)의 출력축(52)의 회전방향은 내조(11) 및 교반부재(45) 각자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다. 예를 들어, 모터(46)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방(Z1)에서 관찰할 때 내조(11) 및 교반부재(4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모터(46)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방(Z1)에서 관찰할 때 내조(11) 및 교반부재(4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각도센서(31)에 의해 감지된 회동각도(θ)는 실시간으로 마이크로컴퓨터(48)에 입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 조작부(40)를 조작하여 세탁작동의 작동조건 등을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48)는 해당 선택을 접수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인되도록 표시 조작부(40)에 표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전달기구(47)를 제어함으로써, 모터(46)의 구동력의 전달 목표를 내조(11)의 지지축(44) 및 교반부재(45)의 회전축(5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전환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급수 밸브(49) 및 배수 밸브(50) 각자의 개폐를 제어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48)는 배수 밸브(50)가 닫긴 상태에서 급수 밸브(49)를 개방함으로써 내조(11)에 물을 제공할 수 있고, 배수 밸브(50)를 개방함으로써 내조(11)의 배수를 실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회동기구(8)의 회동모터(28)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세탁조(3)를 회동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잠금해제기구(7)의 본체부(21)의 액추에이터(미도시)를 제어함으로써, 잠금부(22)를 진입 위치와 퇴출 위치에서 슬라이드 시킨다(도 1을 참조). 마이크로컴퓨터(48)는 잠금부(22)를 진입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세탁조(3)의 회동각도(θ)를 고정하고 세탁조(3)의 회동을 제한하며, 잠금부(22)를 진입 위치에서 퇴출 위치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세탁조(3)의 회동을 허용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세탁기(1) 중 마이크로컴퓨터(48)가 실행하는 세탁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탁작동에서, 최초에 준비과정을 진행하고, 준비과정 이후의 세탁과정에서 세탁물(Q)의 세탁을 진행하며, 세탁과정 이후의 헹굼과정에서 세탁물(Q)의 헹굼을 진행하며, 탈수과정에서 세탁물(Q)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과정은 세탁작동의 마지막에 실행되는 최종 탈수과정과, 세탁과정, 헹굼과정 이후에 실행되는 중간 탈수과정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세탁작동에서 수돗물만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목욕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의 표에서, 세탁작동의 각 과정에서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 각 처리를 진행할 때 내조(11) 및 교반부재(45)의 상태; 및 각 처리를 진행할 때 회동각도(θ)의 값을 종합적으로 표시한다. 아래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때 도 6도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컴퓨터(48)는 사용자가 표시 조작부(40)를 조작하여 전원을 ON 시킨 경우(단계(S1))에 따라, 그후 사용자가 표시 조작부(40)를 조작하여 세탁작동을 시작하는 지시를 내렸는지를 모니터링 한다(단계(S2)).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에서 대기상태의 세탁기(1)의 세탁조(3)의 회동각도(θ)는 45도이다. 전원이 ON일 때 회동각도(θ)가 45도가 아니기만 하면 마이크로컴퓨터(48)는 신속히 세탁조(3)를 회동시켜 회동각도(θ)를 45도로 변경시킨다. 회동각도(θ)가 45도인 상태에서, 내조(11)의 개구(11A)(도 2를 참조)는 하우징(2)의 출입구(2D)(도 2를 참조)와 대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준비과정으로서의 준비단계로서, 사용자는 세탁물(Q)을 출입구(2D)로부터 내조(11) 내로 투입한다. 세탁물(Q) 투입 시 내조(11) 및 교반부재(45)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
다음, 사용자가 세탁작동의 코스를 설정하여 세탁작동을 시작하는 지시를 내리면(단계(S2)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내조(11) 및 교반부재(45)가 계속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회동각도(θ)가 45도에서 5도로 될 때까지 회동기구(8)의 회동모터(28)를 ON 시켜, 세탁조(3)를 직립시킨다(단계(S3)).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48)는 내조(11) 내의 세탁물(Q)의 양을 부하량으로서 감지한다(단계(S4)).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48)는 내조(11)가 정지된 상태에서 교반부재(45)를 저속 회전시킨다. 상세히 말하면, 마이크로컴퓨터(48)는 교반부재(45)가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을 반복적으로 교체하여 진행하도록 반전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회전부재(45)를 소정의 시간동안 정방향으로만 회전시킨 후, 교반부재(45)를 소정의 시간동안 역방향으로만 회전시킨 다음 모터(46)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정지 후 바로 모터(46)의 관성 회전량을 측정한다. 관성 회전량은, 예를 들어 모터(46)가 관성 회전하는 동안, 회전센서(56)의 홀 IC(미도시)에 의해 출력된 펄스(pulse)의 총수이다. 세탁물(Q)의 부하량이 클수록, 비교적 무거운 세탁물(Q)을 적재한 교반부재(45)에 연결된 모터(46)의 관성 회전량은 더 작아진다. 세탁물(Q)의 부하량이 작을수록, 비교적 가벼운 세탁물(Q)을 적재한 교반부재(45)에 연결된 모터(46)의 관성 회전량은 더 커진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관성 회전량의 크기에 따라 부하량을 감지한다. 부하량의 단위는 예를 들어 kg이다. 회동각도(θ)를 5도로 되게 하여 세탁조(3)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내조(11) 내의 세탁물(Q)이 고효율적으로 교반부재(45)에 적재되므로, 부하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관성 회전량의 사용 대신, 세탁조(11)를 저속으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때의 모터(46)의 회전속도의 파동을 통해 부하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감지된 부하량에 대응되는 세탁작동의 시간, 수요되는 세제의 양 등을 표시 조작부(40)에 나타나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8)는 감지된 부하량에 근거하여 세탁과정에서 내조(11)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설정한다(단계(S5)). 세탁작동의 시간, 수요되는 세제의 양 및 수위 각각과 부하량의 관계는 사전에 설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8)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단계(S5)의 수위의 설정이 종료되면 준비과정은 종료되므로, 마이크로컴퓨터(48)는 세탁과정을 시작한다(단계(S6)). 세탁과정에서의 최초의 처리로서 마이크로컴퓨터(48)는 급수 밸브(49)를 개방하여 내조(11)에 물을 공급한다. 회동각도(θ)를 계속 5도로 하여 세제수용실(41)이 내조(11) 개구(11A)의 바로 상방의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수도꼭지(미도시)로부터의 물은 급수 수로(42) 및 세제수용실(41)을 통과하며 세제수용실(41) 내의 세제와 함께 개구(11A)로부터 내조(11) 내로 공급된다(도 2를 참조). 급수과정에서, 내조(11)를 정지시키거나 내조(11)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교반부재(45)를 정지시키거나 교반부재(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의 교반부재(45)의 회전은 상술한 반전일 수도 있고 내조(11)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일체적인 회전일 수도 있다. 내조(11)에 물이 단계(S5)에서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되면, 마이크로컴퓨터(48)는 급수 밸브(49)를 닫아 급수를 종료한다.
급수 후, 마이크로컴퓨터(48)는 내조(11)가 정지된 상태에서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킨다(단계(S7)). 마이크로컴퓨터(48)는 교반부재(45)의 반전을 계속하는 상태에서, 회동기구(8)의 회동모터(28)를 ON 시켜 세탁조(3)가 방금 전 직립 상태보다 더 전방(Y1)으로 경사지도록 회동시킨다(단계(S8)). 세탁조(3)의 회동을 통해, 현재까지 5도였던 회동각도(θ)가 45도에 도달하면(단계(S9)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회동모터(28)를 OFF 시킨다(단계(S10)). 또한, 단계(S7)에서 교반부재(45)의 반전이 개시된 후로부터 소정의 제 1 시간을 경과하면(단계(S11)에서 "예"),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48)는 전달기구(47)를 제어하여 모터(46)의 구동력의 전달목표를 현재까지의 교반부재(45)에서 내조(11)로 전환한다(단계(S12)). 이로써, 내조(11)가 회전한다(단계(S13)). 상기 제 1 시간은 각 부하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8)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단계(S7)에서, 교반부재(45)의 반전의 개시로부터 제 1 시간을 경화한 기간에, 급수에 의해 내조(11) 내에 공급된 세제는 교반부재(45)의 반전에 따라 내조(11) 내에 생성된 수류에 의해 교반된다. 이로써, 세제는 내조(11) 내의 물에 용해되어 세탁수로 된다. 이와 같은 세제 용해처리를 진행한 후, 단계(S13)에서는 내조(11)를 회전시키며 내조(11)의 회전을 소정의 제 2 시간 동안만 지속시킨다. 상기 제 2 시간은 각 부하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8)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제 2 시간에서, 세탁수는 내조(11)의 회전에 따라 내조(11) 내에 생성된 수류에 의해 농축되어 세탁물(Q)에 침투된다. 제 2 시간에서, 교반부재(45)를 정지시키거나 교반부재(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의 교반부재(45)의 회전은 상술한 반전일 수도 있고 내조(11)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일체적인 회전일 수도 있다.
단계(S13)에서, 내조(11)의 반전이 개시된 후로부터 소정의 제 2 시간을 경과하면(단계(S14)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전달기구(47)를 제어하여 모터(46)의 구동력의 전달목표를 교반부재(45)로 전환하여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킨다(단계(S15)). 마이크로컴퓨터(48)는 교반부재(45)의 반전을 계속하는 상태에서, 회동기구(8)의 회동모터(28)를 ON 시켜 세탁조(3)가 현재의 상태보다 더 직립되도록 회동시킨다(단계(S16)). 현재까지 45도였던 회동각도(θ)가 15도에 도달하면(단계(S17)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회동모터(28)를 OFF 시킨다(단계(S18)).
단계(S16)에서 회동모터(28)가 ON 되면, 단계(S15)의 개시로부터 지속되는 교반부재(45)의 반전을 통해, 내조(11) 내의 세탁물(Q)의 본격적인 세탁을 실행한다. 본격적인 세탁에서, 세탁물(Q)은 반전하는 교반부재(45)의 날개(45A)와 접촉되거나 반전하는 교반부재(45)에 의해 내조(11) 내에 생선된 수류에 따라 교반된다. 교반 시 수류의 세탁물(Q)에 대한 마찰, 진동 등 기계적 힘에 의해, 얼룩은 세탁물(Q)로부터 제거되므로 세탁물(Q)은 세척된다. 이로써, 내조(11) 내의 세탁수에 포함된 세제에 의해 얼룩이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세탁물(Q)은 세척된다.
본격적인 세탁 시, 내조(11)는 정지 또는 회전 가능하다. 교반부재(45)가 반전하는 동시에 내조(11)도 회전하는 경우 내조(11) 내에 다양한 수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해당 수류에 의해 세탁물(Q)은 고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물로 세탁물(Q)이 세척되므로 절수를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단계(S18)에서 본격적인 세탁은 회동모터(28)가 OFF된 후에도 교반부재(45)가 반전을 계속하는 상태에 처한다. 해당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48)는 예를 들어 단계(S4)에서의 부하량 감지와 동일한 순서로 모터(46)의 관성 회전량을 측정하며, 해당 관성 회전량에 근거하여 세탁물(Q)의 상태, 즉 물을 흡수한 후의 세탁물(Q)의 부하량을 감지한다. 여기에서의 부하량이 소정 부하량 이상으로 커지면, 대량의 세탁물(Q)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48)는 본격적인 세탁에서 교반부재(45)의 회전속도를 높혀 수류를 강화시킨다. 여기에서의 부하량이 소정 부하량보다 작으면, 현 상태의 수류는 필요한 강도를 초과하므로, 물이 내조(11)의 주위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48)는 교반부재(45)의 회전속도를 감소하여 수류를 약화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세탁물(Q)의 상태를 감지하는 동안, 내조(11)는 정지 상태에 처한다.
다음, 단계(S15)에서 교반부재(45)의 반전의 개시로부터 소정의 제 3 시간을 경과하면(단계(S19)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세탁과정의 필요한 순환의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단계(S20)). 상기 제 3 시간은 각 부하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8)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필요한 순환은 예를 들어 본격적인 세탁을 두 번 실시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본격적인 세탁을 한 번 실시하였을 경우, 필효한 순환이 종료되지 않으므로(단계(S20)에서 "아니오"), 마이크로컴퓨터(48)는 단계(S8) 이후의 처리를 다시 한번 실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48)는, 단계(S15)에서부터 교반부재(45)를 지속적으로 반전시키는 상태에서 단계(S8~S11)를 제 2 회로 실행함으로써, 현재까지 5도였던 회동각도(θ)가 45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조(3)를 경사지게 한다. 다음, 마이크로컴퓨터(48)는 단계(S12~S14)를 제 2 회로 실행함으로써, 교반부재(45)가 정지된 상태에서 내조(11)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회동각도(θ)가 45도인 상태에서, 내조(11) 내에 수류가 생성되며 해당 수류에 의해 내조(11) 내의 세탁물(Q)의 위치는 교체된다.
다음, 마이크로컴퓨터(48)는 단계(S15)를 제 2 회로 실행함으로써 교반부재(45)의 반전을 시작하며, 단계(S16~S18)를 제 2 회로 실행함으로써 현재까지 45도였던 회동각도(θ)가 15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조(3)를 직립시킨다. 다음, 마이크로컴퓨터(48)는 단계(S15)에서부터 제 3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교반부재(45)를 반전시켜 본격적인 세탁을 제 2 회로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회동각도(θ)가 15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교반부재(45)가 반전되는 기간을 제 2 회 본격적인 세탁으로 정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 1 회 본격적인 세탁과 같이,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키면서 회동각도(θ)를 45도에서 15도로 변화시키는 기간이 제 2 회 본격적인 세탁 중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회 본격적인 세탁이 개시되어 제 3 시간을 경과하면(단계(S19)에서 "예"), 필요한 순환은 종료되므로(단계(S20)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이번의 세탁과정에서 설정된 세탁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한다(단계(S21)). 세탁시간은, 단계(S4)에서 감지된 부하량에 근거하여 설정된 세탁작동의 기간의 일부이다. 세탁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단계(S21)에서 "아니오"), 마이크로컴퓨터(48)는 단계(S13) 이후의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어, 내조(11) 내의 세탁물(Q)의 위치를 다시 한 번 전환시킨 후 제 3 회 본격적인 세탁을 실행한다.
세탁시간을 경과하면(단계(S21)에서 "예"), 마이크로컴퓨터(48)는 내조(11) 및 교반부재(45)가 모두 정지된 상태에서, 현재까지 15도였던 회동각도(θ)가 5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조(3)를 직립시킨다(단계(S22)). 다음, 마이크로컴퓨터(48)는 내조(11)가 정지된 상태에서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킨다(단계(S23)). 이로써, 내조(11) 내의 세탁물(Q)이 교반부재(45)에 의해 교반되므로, 예를 들어 내조(11) 내에 엉킨 상태로 편이되게 배치된 세탁물(Q)이 풀리게 된다. 세탁물(Q)의 풀림이 종료되면 세탁과정은 종료되므로, 마이크로컴퓨터(48)는 계속하여 다음 과정, 즉 헹굼과정을 실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헹굼과정이 개시되기 전, 마이크로컴퓨터(48)는 우선 배수 밸브(50)를 개방하여 내조(11) 내의 물을 잠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48)는 세탁작동의 세탁과정을 실행할 때, 모터(46) 및 회동기구(8)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회동각도(θ)로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키거나 내조(1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세탁과정의 최초 급수 처리에서부터 마지막의 풀림 처리까지의 기간에, 마이크로컴퓨터(48)는 회동각도(θ)를 다양한 값으로 변경시키며 각 회동각도(θ)로 교반부재(45)의 반전 및 내조(11)의 회전의 한쪽을 실행하거나 양쪽을 함께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교반부재(45)의 반전과 내조(11)의 회전을 조합함으로써, 회동각도(θ)가 어느 값이여도, 즉 세탁조(3)가 기준축(L)에 대해 일정한 정도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교반부재(45) 및 내조(11)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적 힘을 세탁물(Q)에 고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내조(11) 내의 세탁물(Q)의 위치의 교체를 촉진할 수 있어 세탁물(Q)의 불균일한 세탁을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회동각도(θ)로 교반부재(45)의 반전과 내조(11)의 회전을 조합함으로써 기계적 힘을 세탁물(Q)에 더 한층 고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불균일한 세탁을 추가로 감소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세탁기(1)의 세탁성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8)는 상술한 세제용해 처리와 같이 세탁과정 중 세탁조(3)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킨다. 이로써, 세제는 물에 고효율적으로 용해되어 고농도의 세탁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8)는 농축 및 침투 처리에서 내조(11)를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이후의 본격적인 세탁 처리에서 세탁조(3)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조(1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세탁수를 고효율적으로 세탁물(Q)에 침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탁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3)의 회동 중의 시간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생성하거나 세탁물(Q)에 침투시킴으로써, 세탁작동의 시간 단축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과정에서의 상기 처리의 내용은 단지 일 예이며, 회동각도(θ)의 값 및 처리의 조합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세탁과정 중 교반부재(45)의 반전과 내조(11)의 회전의 조합은 다음 과정, 즉 헹굼과정에서 실행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48)는 헹굼과정을 실행할 때, 모터(46) 및 회동기구(8)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회동각도(θ)로 교반부재(45)를 반전시키거나 내조(11)를 회전시킨다.
또한, 회동모터(28)의 구동이 정지 시 세탁조(3)의 회동을 제한할 수만 있으면, 잠금해제기구(7) 및 회동부(6)의 요부(6C)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로써, 회동각도(θ)를 무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1: 세탁기; 3: 세탁조;
8: 회동기구; 10: 외조;
11: 내조; 45: 교반부재;
46: 모터; 48: 마이크로컴퓨터;
J: 축선; Q: 세탁물;
Z: 상하방향; θ: 회동각도.

Claims (2)

  1. 세탁물을 수용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선을 둘러싸며 회전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수용하는 외조를 구비하며, 상기 축선이 수직방향과 교차되게 회동하는 세탁조;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이 교반되도록 회전하는 교반부재;
    상기 내조 및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세탁조를 회동시킴으로써 수직방향과 상기 축선의 교차각도를 변경시키는 회동기구;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회동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교차각도로 상기 교반부재를 반전시키거나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세탁작동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작동에서 상기 세탁조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재를 반전시키거나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87009662A 2015-09-07 2016-09-07 세탁기 KR20180049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5841 2015-09-07
JP2015175841A JP6762473B2 (ja) 2015-09-07 2015-09-07 洗濯機
PCT/CN2016/098311 WO2017041713A1 (zh) 2015-09-07 2016-09-07 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043A true KR20180049043A (ko) 2018-05-10

Family

ID=5823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662A KR20180049043A (ko) 2015-09-07 2016-09-07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45263A1 (ko)
EP (1) EP3348693A4 (ko)
JP (1) JP6762473B2 (ko)
KR (1) KR20180049043A (ko)
CN (1) CN108026685B (ko)
WO (1) WO2017041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55B1 (ko) * 2018-12-18 202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7469964B2 (ja) * 2020-06-17 2024-04-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12711A1 (en) * 1988-06-20 1989-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H02249590A (ja) * 1989-03-23 1990-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US6286344B1 (en) * 1999-02-04 2001-09-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tilted tub assembly
JP3972504B2 (ja) * 1999-02-19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3802316B2 (ja) * 2000-06-30 2006-07-26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2005103180A (ja) *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4647561B2 (ja) * 2006-03-17 2011-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濯機
CN101356309A (zh) * 2006-03-17 2009-01-28 三菱电机株式会社 洗涤机
CN101153439B (zh) * 2006-09-27 2011-02-02 海尔集团公司 倾斜桶洗衣方法
JP4619380B2 (ja) * 2007-04-27 2011-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20100040635A (ko) * 2008-10-10 2010-04-20 윤태소 드럼세탁기
CN101718029B (zh) * 2009-08-23 2011-07-20 钟作亮 滚动与波轮二合一洗衣机
KR101708635B1 (ko) * 2010-01-22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방법
CN102212950A (zh) * 2010-04-09 2011-10-12 谢海洋 三维运动多功能洗衣机
IT1403411B1 (it) * 2010-12-20 2013-10-17 Indesit Co Spa Macchina per il lavaggio di biancheria
CN103147258B (zh) * 2012-11-28 2015-04-15 青岛科技大学 洗衣方法及应用此类方法的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8693A4 (en) 2019-04-17
CN108026685A (zh) 2018-05-11
JP2017051266A (ja) 2017-03-16
CN108026685B (zh) 2020-05-12
JP6762473B2 (ja) 2020-09-30
US20180245263A1 (en) 2018-08-30
EP3348693A1 (en) 2018-07-18
WO2017041713A1 (zh)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344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3993156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2663682B1 (en) Operat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US10669664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321013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2011152253A (ja) 洗濯機
CN107761320B (zh) 洗衣机
KR20180049043A (ko) 세탁기
US20100154133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152252A (ja) 洗濯機
CN107614779B (zh) 洗衣机
JP6603042B2 (ja) 洗濯機
JP201020744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3236288A (ja) 洗濯機の制御方法
CN114008261B (zh) 控制洗衣机的方法和洗衣机
JP200723644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2106415A (ja) 洗濯機
WO2019120137A1 (zh) 洗衣机
KR100689935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231704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H0938371A (ja) 複数のサブパルセーターからなる複合パルセーターを備えた洗濯機
JP7128606B2 (ja) 洗濯機
JP2013034544A (ja) 洗濯機
JP2019154612A (ja) 洗濯機
JP2019208822A (ja) 洗濯機、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